KR102304799B1 -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 Google Patents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799B1
KR102304799B1 KR1020190158948A KR20190158948A KR102304799B1 KR 102304799 B1 KR102304799 B1 KR 102304799B1 KR 1020190158948 A KR1020190158948 A KR 1020190158948A KR 20190158948 A KR20190158948 A KR 20190158948A KR 102304799 B1 KR102304799 B1 KR 102304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ker
magnetic field
golf ball
magnetic
h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763A (ko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곽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190158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799B1/ko
Priority to JP2020179672A priority patent/JP7461649B2/ja
Publication of KR2021006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47Visualisation of executed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는 복수의 자성체를 포함하며 골프에 있어서 벙커샷을 재현할 수 있는 벙커 부재 및 상기 벙커 부재의 자성체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자기장 인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은 소정의 타이밍에 자동으로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타격 플레이트, 자기장 인가 수단,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격 플레이트에는 타격용 골프공이 위치하며, 또한 상기 타격 플레이트는 복수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인가 수단은 상기 벙커 부재의 자성체에 자기장을 인가하며, 상기 표시부는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에 대한 영상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타이밍에 상기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상기 자기장 인가 수단의 동작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HITTING PLATE FOR BUNKERSHOT AND VIRTUAL GOLF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제 골프의 벙커에서 타격하고 있는 것 같은 타격감을 체감할 수 있는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와 상기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를 이용한 가상 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3차원 입체영상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현장에 나가지 않고도 스포츠 경기를 즐길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됨으로써 가상의 실내 스포츠 경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소위 스크린 골프라 불리는 가상 골프 장치에서는 실제 골프장과 유사한 영상에 사용자의 스윙 결과를 조합하여 스크린에 보여줌으로써, 마치 야외에서 실제의 골프 경기를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면서도 야외의 필드에서 경기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세이브되기 때문에, 스크린 골프는 시간이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야외 골프를 하기 어려운 현대인들에게 인기가 있다.
그런데 실제 골프코스에는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과 같은 다양한 속성의 영역이 존재하고, 이들 영역에 따라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할 때의 타격감이나 타격 난이도가 달라진다. 이에 비해,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서는 스크린상의 골프공이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에 위치한 경우에도, 골프공에 대한 타격은 모두 동일한 타격 플레이트에서 이루어지고, 단지 스크린상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영역에 따라 골프공의 비거리를 다르게 산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상의 골프공이 벙커에 있을 때 타격한 경우의 비거리는, 스크린상의 골프공이 페어웨이에 있을 때 타격한 경우의 비거리에 비하여 50% 수준이 되게 하는 등의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영역에 따른 타격감의 차이를 체험할 수가 없으므로, 실제 골프장에서 플레이를 하는 것과 비교할 때 상당한 괴리감이 생길 수 있다. 스크린 골프 등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실제의 플레이를 하고 있다는 리얼리티를 줄 수 있는지 여부라 할 수 있는데, 종래의 스크린 골프에서는 골프코스의 영역에 따라 타격감이 달라지는 점을 체험하기 어려워서 리얼리티를 부여하는데에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페어웨이, 러프, 벙커를 비교했을 때, 페어웨이와 러프는 모두 잔디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타격감의 차이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으나, 샌드 트랩(sand trap)이라고도 불리는 벙커는 페어웨이나 러프와는 구성물질이 확연히 달라서 타격감이 전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실제 골프 플레이를 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벙커샷에 대해서는 실제 골프와 유사한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실제 골프에 있어서의 벙커를 현실감 있게 재현하고 또한 상기 벙커를 재현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입자들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를 이용한 가상 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는 복수의 자성체를 포함하며 골프에 있어서 벙커샷을 재현할 수 있는 벙커 부재 및 상기 벙커 부재의 자성체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자기장 인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은 소정의 타이밍에 자동으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자성을 갖는 입자, 자성물질로 코팅된 비자성의 입자 및 비자성 물질로 코팅된 자성을 갖는 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는 상기 벙커 부재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벙커 부재의 자성체가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인가 수단은 상기 차단 부재를 통하여 상기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자성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인가 수단은 상기 베이스 부재를 통하여 상기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벙커 부재에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는 경우에 상기 벙커 부재에서 상기 골프공을 타격하는 시점을 '타격시점'이라 하면, 상기 자기장은 상기 타격 시점이전부터 상기 타격 시점이후 사이의 기간 중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는 상기 벙커 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는 별도의 자기장 인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타격 플레이트, 자기장 인가 수단,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격 플레이트에는 타격용 골프공이 위치하고, 상기 표시부는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에 대한 영상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한다. 여기에서 상기 타격 플레이트는 앞에서 언급한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타격 플레이트, 자기장 인가 수단,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격 플레이트에는 타격용 골프공이 위치하며, 또한 상기 타격 플레이트는 복수의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인가 수단은 상기 벙커 부재의 자성체에 자기장을 인가하며, 상기 표시부는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에 대한 영상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타이밍에 상기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상기 자기장 인가 수단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상기 벙커 부재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벙커 부재의 자성체가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인가 수단은 상기 차단 부재를 통하여 상기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자성을 갖는 입자, 자성물질로 코팅된 비자성의 입자 및 비자성 물질로 코팅된 자성을 갖는 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상기 타격 플레이트의 상기 벙커 부재에 놓인 골프공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벙커 부재에 골프공이 위치하는 시점을 배치 시점이라 하면, 상기 자기장이 인가되기 시작하는 시점은 상기 배치 시점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상기 타격 플레이트의 상기 벙커 부재에 놓인 골프공이 타격된 후, 상기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며,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타격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는 시점을 감지 시점이라 하면, 상기 자기장의 인가를 종료하는 시점은 상기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상기 타격 플레이트의 상기 벙커 부재에 사용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은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벙커 부재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동안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골프에 있어서의 벙커를 현실감 있게 재현하여 사용자가 실제 벙커에서 타격하고 있는 것 같은 타격감을 체감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벙커를 재현하여 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자성체 입자들에 적정한 시기에 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이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에 있어서 벙커 부재를 구성하는 자성체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에 있어서 자기장 인가 수단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에 있어서 자기장 인가 수단의 동작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가상 골프 장치의 구성요소간 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8의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의 여러가지 동작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는 스크린 골프장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는 골프 연습장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에 있어서 벙커 부재를 구성하는 자성체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에 있어서 자기장 인가 수단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에 있어서 자기장 인가 수단의 동작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는 베이스 부재(10), 벙커 부재(20) 및 자기장 인가 수단(30)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0)는 벙커 부재(20)를 수용하는 프레임의 역할을 하며, 벙커 부재(20)가 수용될 수 있는 한 형상이나 구조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10)는 사각형의 바닥면과 상기 사각형의 각 변에 형성되는 측면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닥면과 측면에 의하여 둘러싸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벙커 부재(20)가 수용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 부재(10)는 반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는 스크린 골프나 실내 골프 연습장과 같이 주로 실내에서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데, 만약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에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홈에 의하여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여기에 벙커 부재(20)가 수용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베이스 부재(10)가 생략될 수도 있다.
벙커 부재(20)는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골프에 있어서 벙커의 지형속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대해 부연하면, 골프장의 골프코스에는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과 같은 다양한 속성의 지형이 존재한다. 페어웨이는 잔디가 잘 관리되어 있어서 대체로 잔디 길이가 짧게 되어 있는 영역이고, 러프는 페어웨이에 비하여 잔디가 길게 되어 있는 영역이며, 벙커는 모래가 채워져 있는 영역으로 '샌드 트랩(sand trap)'이라고도 한다. 페어웨이와 러프는 잔디의 길이에 차이가 있어서 잔디가 긴 러프에서는 잔디가 짧은 페어웨이보다는 타격하기 어려운 점은 있지만, 페어웨이와 러프는 모두 잔디로 이루어져 있는 영역이기 때문에 페어웨이에서의 타격감과 러프에서의 타격감이 크게 차이나지는 않는다. 하지만, 벙커는 모래로 이루어져 있어서, 벙커에서의 타격감은 페어웨이나 러프에서의 타격감과 큰 차이가 있다. 특히, 벙커에서 타격시에는 골프클럽에 의하여 골프공 근처에 놓여 있던 모래가 튀게 되므로, 벙커에서의 타격은 페어웨이나 러프에서의 타격과는 그 양상이 매우 다르다. 하지만, 종래의 타격 플레이트에서는 모래가 튀는 것과 같은 타격감을 재현할 수 없어서, 실제의 골프와 상당한 괴리감이 있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의 벙커 부재(20)에는 모래와 같은 입자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자들이 있어서 벙커에서의 타격감을 재현할 수 있다.
벙커 부재(20)의 복수의 입자들은 강자성(ferromagnetism)이나 상자성(paramagnetism) 등과 같은 자성을 갖는 자성체(磁性體)이다. 상기 자성체는 자성을 갖는 입자, 자성물질로 코팅된 비자성의 입자 및 비자성 물질로 코팅된 자성을 갖는 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벙커 부재(20)는 모래와 같이 작은 사이즈의 자성체 입자(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자성체인 철, 코발트, 니켈 등의 소재로 된 가루를 이용하여 벙커 부재(2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벙커 부재(20)는 모래보다는 비교적 사이즈가 큰 자성체의 비드(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드(2)도 철, 코발트, 니켈 등과 같은 강자성체로 형성할 수 있고, 비드(2)의 형태는 구형이나 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가루 형태보다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제조 등에 있어서 비교적 용이하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벙커 부재(20)는 자성의 고분자 비드(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성의 고분자 비드(3)는 자성 비드(3a)에 고분자 외층(3b)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성 고분자 비드(3)는 유화중합, 분산중합, 현탁중합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자성 고분자 비드(3)뿐만 아니라, 자성을 갖는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의 표면에 비자성의 물질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외부 자기장에 반응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든 벙커 부재(20)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고분자 구체 내에 자석성분의 미립자가 분산된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의 (d)를 참조하면, 벙커 부재(20)는 자성물질이 코팅된 비자성 비드(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성물질이 코팅된 비자성 비드(4)는, 비자성의 비드(4a)에 자성을 갖는 외층(4b)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자성을 갖는 외층(4b)은 코팅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코팅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 붓을 이용한 코팅법, 침지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자성물질이 코팅된 비자성 비드(4)뿐만 아니라, 비자성의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의 표면에 자성의 물질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외부 자기장에 반응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든 벙커 부재(20)로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벙커 부재(20)는 자성을 갖는 입자들로 이루어진다. 자성을 갖는 입자들을 사용하는 이유는 이들을 회수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벙커 부재(20)의 입자들은 실제 벙커에서 모래가 튀는 것과 같은 타격감을 재현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타격시에는 사용자의 골프 클럽에 의하여 튄 입자들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를 벗어나서 주위로 흩어지게 된다. 따라서 타격이 반복될수록 더 많은 입자들이 튀어나가게 되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주위가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벙커 부재(20)의 입자들이 주위로 튀어나갈수록 벙커 부재(20)에 있는 입자들의 총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적절한 시기에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주위에 흩어져 있는 입자들을 회수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 부재(20)에는 자성을 갖는 자성체 입자가 사용되기 때문에, 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흩어져 있는 자성체 입자들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 플레이트에는 자기장 인가 수단(30)이 구비되어 있어서, 자기장 인가 수단(30)를 이용하면 자성체 입자들이 튀어나가는 것 자체를 방지하여 자성체 입자를 회수하는 과정 자체를 생략할 수도 있다.
자기장 인가 수단(30)은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에 따라 주위에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는 전자석 등의 원리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인가 수단(30)은 전자석(5), 전기회로(6), 스위치(7), 컨트롤 유닛(8)을 포함할 수 있고, 동작시에는 스위치(7)가 닫힘으로써 전기회로(6)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석(5)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8)은 스위치(7)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타이밍에만 스위치(7)가 닫혀서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자기장 인가 수단(30)은 적정한 위치,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10)에 설치되어 베이스 부재(10)의 바닥면 등을 통하여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자기장 인가 수단(30)에 의하여 자기장이 형성되면 벙커 부재(20)의 자성체가 베이스 부재(10)의 바닥면을 향하여 자기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에 골프공을 놓고 타격할 때, 자기장 인가 수단(30)에 의하여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하면, 벙커 부재(20)를 구성하는 자성체 입자들이 베이스 부재(10)의 바닥면을 향하여 자기력을 받기 때문에, 사용자가 골프 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하여 벙커 부재(20)의 자성체 입자들이 튀어오르더라도, 이 튀어오른 입자들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로부터 벗어나기보다는 베이스 부재(10)쪽으로 다시 되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벙커 부재(20)의 자성체 입자들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를 벗어나서 주위로 흩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벙커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벙커샷을 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에, 도 4를 참조하면, 벙커샷을 하기 전에 먼저 벙커 플레이트에 골프공(GB)이 놓여 지는 시점을 편의상 제1 시점(T1)이라 한다. 이후 사용자가 벙커 플레이트에 위치하여 스윙자세를 취하고, 이어서 실제로 골프공(GB)을 타격하면 골프공(GB)이 전방을 향하여 날아가게 되는데, 벙커샷이 끝나고 골프공(GB)이 날아가는 시점을 편의상 제2 시점(T2)이라 한다. 제1 및 제2 시점(T1, T2) 사이의 소정의 타이밍(ΔT) 동안 자기장 인가 수단(30)에 의하여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하면, 벙커샷에 이하여 튀어오르는 자성체 입자들이 벙커 플레이트를 벗어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골프공(GB)을 타격하는 시점에서 주로 자성체 입자가 튀어오르기 때문에, 자기장이 인가되는 타이밍(ΔT)은 골프공(GB)의 타격시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벙커샷에 앞서서 스윙 연습을 하는 중에 골프클럽으로 자성체 입자를 튀게 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타이밍(ΔT)은 골프공(GB)의 실제 타격시점보다 어는 정도 이전까지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자기장 인가 수단(30)은 컨트롤 유닛(8)에 의하여 자기장을 인가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컨트롤 유닛(8)을 제어하면 제1 및 제2 시점(T1, T2) 사이의 소정의 타이밍(ΔT) 동안 자동으로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는 벙커 부재(20)를 복수의 입자들로 구성함으로써 실제 벙커에서 모래가 튀는 것과 같은 타격감을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입자들을 자성체로 구성하고 적정한 시기에 자기장 인가 수단(30)을 통하여 자동으로 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자성체 입자들이 골프공 타격시에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를 벗어나서 주위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들과 관련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공통된 부분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는 베이스 부재(10), 벙커 부재(20), 자기장 인가 수단(30) 및 차단 부재(40)를 포함한다. 차단 부재(40)는 벙커 부재(20)의 주위를 커버하도록 배치되지만, 벙커 부재(20)의 주위를 완전히 커버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40)는 4각 형상의 베이스 부재(10)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0)의 한 변을 완전히 커버하고, 상기 커버된 변에 인접하는 두 변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부재(40)는, 사용자가 골프 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할 때 벙커 부재(20)로부터의 자성체 입자들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로부터 벗어나서 주위의 다른 곳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차단 부재(40)가 벙커 부재(20)의 주위를 완전히 커버하는 경우에는 벙커에서의 샷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차단 부재(40)는 벙커샷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최대한 자성체 입자들이 튀어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적정한 범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차단 부재(40)는 베이스 부재(10)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베이스 부재(10)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자기장 인가 수단(30)은 차단 부재(40)에 구비되어 차단 부재(30)를 통하여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자기장 인가 수단(30)이 없는 경우에는 차단 부재(40)쪽으로 튀어나가는 자성체 입자들을 차단할 수 있지만, 자기장 인가 수단(30)이 있는 경우에는 차단 부재(40)쪽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튀어나가는 자성체 입자들도 자기장에 의하여 차단 부재(40)쪽으로 끌어당길 수 있기 때문에, 자성체 입자들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주위로 튀어나가는 것을 더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는 베이스 부재(10), 벙커 부재(20), 자기장 인가 수단(30) 및 차단 부재(40)를 포함한다. 자기장 인가 수단(30)은 베이스 부재(10)에 배치된 제1 자기장 인가 수단(30a)과 차단 부재(40)에 배치된 제2 자기장 인가 수단(30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10)는 반원형의 형상을 하고 있는데, 베이스 부재(1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기 때문에, 사각형, 반원형 등 어떠한 형상이든 가능하다. 또한 차단 부재(40)도 베이스 부재(10)의 반원형 형상에 맞추어, 베이스 부재(10)의 직선부분을 완전히 커버하고, 베이스 부재(10)의 곡선부분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장 인가 수단(30)이 복수로 구성되어 있어서, 베이스 부재(10)에 있어서의 제1 자기장 인가 수단(30a)은 사용자가 골프 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할 때에 튀어오르는 벙커 부재(20)의 자성체 입자들을 베이스 부재(10)쪽으로 다시 되돌리는 역할을 하고, 차단 부재(40)에 있어서의 제2 자기장 인가 수단(30b)은 위쪽이나 주변방향으로 튀어오르는 벙커 부재(20)의 자성체 입자들을 차단 부재(40)쪽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방향으로 자기장이 작용하기 때문에, 자성체 입자들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주위로 튀어나가는 것을 더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는 베이스 부재(10), 벙커 부재(20), 자기장 인가 수단(30)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는 보조 플레이트(50)와 함께 사용되는데, 보조 플레이트(50)에는 별도의 자기장 인가 수단(51)이 구비된다. 보조 플레이트(50)는 사용자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에서 타격을 마친 후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의 근방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의 특징 중 하나는, 사용자가 벙커샷을 하고자 할 때 사용자 자신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에 들어간 상태에서 벙커샷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종래 스크린 골프에서 벙커샷을 하는 경우, 골프공은 매트에 놓여있지만 사용자는 상기 매트와는 다른 곳에 위치한 상태에서 타격한다. 실제의 골프에서는 벙커샷을 할 때 골퍼들이 벙커에 들어가서 샷을 하기 때문에, 골프공이 놓여 있는 곳과 골퍼가 위치하는 곳이 동일하다. 따라서 종래의 스크린 골프에서 벙커샷을 하는 상황은 실제 골프의 상황과 부합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자신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에 들어간 상태에서 벙커샷을 하게 되므로, 실제 골프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다. 하지만,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의 벙커 부재(20)는 자성체 입자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자성체 입자들이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골프화의 바닥면 또는 골프화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홈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벙커샷을 할 때마다 사용자는 골프화 바닥에 부착된 입자들 등으로 인하여 골프화 착용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데, 보조 플레이트(50)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즉, 벙커샷을 마친 사용자가 보조 플레이트(50) 위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자기장 인가 수단(51)에 의하여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하면, 자성체 입자들이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보조 플레이트(51) 쪽으로 자력을 받게 되므로, 골프화 바닥으로부터 자성체 입자들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예로서 가상 골프 장치 등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가상 골프 장치의 구성요소간 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10 내지 도 13은 도 8의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의 여러가지 동작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100)는 타격 플레이트(110), 감지부(120), 입력부(130), 제어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타격 플레이트(110)는 타격용 골프공이 놓여있는 타격존에 해당하는 것으로,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와 비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2)를 포함한다.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는 벙커샷을 하기 위한 것으로, 자기장 인가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로는 앞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것과 같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앞에서 설명하였던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와 동일하지는 않더라도, 상기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자성체 입자를 갖는 벙커부재와 자기장 인가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벙커샷을 재현하고 또한 자성체 입자들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2)는 벙커샷을 제외한 통상의 샷을 하기 위한 것으로, 골프장의 페어웨이(잔디 지역) 등에서의 타격을 재현할 수 있도록 인조잔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타격된 골프공에 관한 전반적인 상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골프공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나 골프공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 등과 같은 감지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감지수단에는 이미지 센싱, 발광/수광 센싱, 레이저 센싱 등 다양한 센싱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센싱 방식으로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또한 1대만 사용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여러 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플레이 하고자 하는 골프코스나 난이도 등을 선택하는 경우 등과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정보입력이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입력부(130)가 구비된다.
감지부(120)로부터의 감지 데이터 및 입력부(130)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는 제어부(140)에 전달되어 처리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자신이 플레이 하고자 하는 골프코스를 입력한 경우에 선택된 가상의 골프코스가 표시부(15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부(140)가 작동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가상 골프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면서 사용자 등으로부터의 다양한 요청을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면 감지부(120)로부터 감지 데이터(타격된 골프공에 관한 전반적인 상태 정보 등)를 수신한 후, 이에 의거하여 상기 골프공이 실제 골프장에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에 어떠한 궤적으로 비행할 것인지를 산출한다.
제어부(140)에서 골프공의 궤적이 산출되면, 관련 영상이 생성되어 표시부(150)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표시부(150)는 빔 프로젝터(151)와 스크린(152)을 포함한다. 빔 프로젝터(151)는 스크린(152)에 영상을 투사하고, 투사된 영상은 스크린(152)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스크린(152) 속 영상에는 현재 사용자가 플레이 하고 있는 가상의 골프코스와 제어부(140)에서 산출된 궤적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에서 가상의 골프공(Virtual Ball)'은 스크린(152) 속 영상으로 표현되는 골프공을 의미하며, 마찬가지로 '가상의 골프코스'란 실제 골프장의 골프코스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골프장의 골프코스가 스크린(152) 속 영상으로 표현된 것을 의미한다. 스크린(15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골프코스에는 실제의 골프코스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속성의 지형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면 가상의 골프코스에는 페어웨이나 벙커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따른 가상 골프 장치(100)에서는, 가상의 골프공이 스크린(152) 속 페어웨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페어웨이에 대응하는 비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2)에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고, 가상의 골프공이 스크린(152) 속 벙커에 위치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벙커에 대응하는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골프공을 놓고 타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비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2)와 함께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를 사용함으로써, 스크린(152)에 가상의 골프공이 어떠한 속성의 지형에 놓여 있는지에 맞추어, 해당 속성을 나타내는 타격 플레이트(110)를 선택하여 적절하게 골프공을 놓고 타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크린 골프를 하면서도 마치 야외에서 실제의 골프를 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리얼리티를 체감할 수 있다. 다만,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서 타격하는 경우에는, 벙커샷을 재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복수의 자성체 입자들이 타격시의 충격으로 튀어올라서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를 벗어나 사방으로 흩어지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40)는 적정한 시기에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구비되는 자기장 인가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적정한 타이밍에 자성체 입자들에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스크린(152) 속 가상의 골프공이 벙커에 빠져 있어서 사용자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서 벙커샷을 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다음과 같이 다양한 시점에서 자기장이 인가되는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벙커샷을 하기 전에 먼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골프공(GB)이 놓여 지는데, 이 때를 편의상 배치 시점(T1)이라 하면, 배치 시점(T1)을 기준으로 자기장이 인가되는 타이밍(ΔT)을 정할 수 있다. 특히, 배치 시점(T1)은 자기장이 인가되기 시작하는 시점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치 시점(T1)에 이어서 조만간 골프공(GB)의 타격이 이루어지고 타격시에는 자성체 입자들이 튀어오를 수 있으므로, 배치 시점(T1)부터 시작하여 소정의 타이밍(ΔT) 동안 자기장 인가 수단에서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하면, 벙커샷에 의하여 튀어오르는 자성체 입자들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를 벗어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배치 시점(T1)에서는 아직 골프공(GB)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배치 시점(T1)으로부터 약간의 시간(이는 골프공(GB)을 배치한 후 실제의 타격이 이루어질 때까지의 평균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을 감안하여 정해질 수 있다)이 경과한 후부터 소정의 타이밍(ΔT) 동안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배치 시점(T1)부터 골프공(GB)이 타격될 때까지의 시간이 매우 짧아서, 배치 시점(T1)부터 자기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자성체 입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데에 부족하다 판단되면, 배치 시점(T1) 약간 이전부터 소정의 타이밍(ΔT) 동안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 시점(T1)을 기준으로 자기장이 인가된 후, 상기 자기장은 골프공(GB)의 타격이 종료되고 자성체의 튀어오름이 끝날 때까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골프공(GB)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놓여 있는지 여부 및 골프공(GB)에 대한 타격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감지 동작을 편의상 '타격동작 감지'라고 하면, 이러한 타격동작 감지를 위하여 별도의 감지수단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타격후 골프공(GB)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감지부(120)가 상기한 타격동작 감지까지 함께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감지부(120)에서 타격동작 감지까지 함께 수행하는 경우, 감지부(120)는 타격동작 감지를 수행한 결과를 제어부(140)에 전달하고, 제어부(140)는 감지된 결과에 맞추어 적정한 시기에 자기장이 인가될 수 있도록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구비되는 자기장 인가 수단을 컨트롤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놓여 있는 골프공(GB)을 실제로 타격하는 순간을 편의상 타격 시점(T2)이라 하면, 타격 시점(T2)을 기준으로 자기장이 인가되는 타이밍(ΔT)을 정할 수 있다. 타격 시점(T2)은 골프공(GB)에 대한 타격이 이루어지는 순간으로 타격 시점(T2) 직후에 자성체 입자들이 튀어오를 수 있으므로, 타격 시점(T2)을 포함하는 소정의 타이밍(ΔT) 동안 자기장 인가 수단에서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타격 시점(T2)을 기준으로 자기장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타격 시점(T2)을 감지할 필요가 있다. 타격 시점(T2)을 감지하는 데에는 별도의 감지수단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타격후 골프공(GB)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감지부(120)가 타격 시점(T2)을 감지하는 역할까지 수행할 수도 있다. 감지부(120)에서 타격 시점(T2)을 감지하는 역할까지 수행하는 경우, 감지부(120)는 타격 시점(T2)을 감지하여 제어부(140)에 전달하고, 제어부(140)는 감지된 결과에 맞추어 적정한 시기에 자기장이 인가될 수 있도록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구비되는 자기장 인가 수단을 컨트롤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골프공(GB)을 타격한 이후 골프공(GB)은 타격시 임팩트나 타격방향 등에 따라 소정의 물리적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물리적 상태는 속도(V)나 회전(θ) 등과 같은 파라미터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이들 파라미터는 감지부(120)에 의하여 감지되어 제어부(140)에 전달되고 제어부(140)는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골프공(GB)이 어떠한 궤적으로 비행할 것인지를 산출한다. 감지부(120)에서 골프공(GB)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는 시점을 감지 시점(T3)이라 하면, 감지 시점(T3)을 기준으로 자기장이 인가되는 타이밍(ΔT)을 정할 수 있다. 특히, 감지 시점(T3)은 자기장의 인가를 종료하는 시점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감지 시점(T3)은 골프공(GB)의 타격이 완료된 이후이므로, 골프공(GB)의 타격으로 인한 자성체 입자들의 튀어오름도 끝난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 시점(T3)까지 소정의 타이밍(ΔT) 동안 자기장 인가 수단에서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하면, 벙커샷에 의하여 튀어오르는 자성체 입자들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를 벗어나는 것을 적절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는 감지 시점(T3) 이후에도 골프공(GB)의 타격으로 인한 자성체 입자들이 튀어오를 가능성이 있다면, 감지 시점(T3)으로부터 약간의 시간이 경과한 후까지 소정의 타이밍(ΔT) 동안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 시점(T3)을 기준으로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하려면 감지 시점(T3)이 언제인지를 확인해야 하는데, 이는 골프공(GB)의 궤적을 산출하기 위하여 감지부(120)에서 필수적으로 진행하는 절차이므로, 감지 시점(T3)을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은 불필요하다. 즉 감지부(120)는 골프공(GB)이 타격되면 타격된 골프공(GB)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140)에 전달하는 통상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제어부(140)는 감지부(120)에 의하여 감지 결과가 전달되는 순간을 베이스로 감지 시점(T3)을 파악하여 이를 기준으로 적정한 시기에 자기장이 인가될 수 있도록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구비되는 자기장 인가 수단을 컨트롤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감지부(120) 또는 별도의 감지 수단에 의하여 배치 시점(T1), 타격 시점(T2), 감지 시점(T3) 등을 파악하여 제어부(140)에 전달하면, 제어부(140)는 상기한 시점을 기준으로 적정한 시기에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구비되는 자기장 인가 수단을 컨트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구비되는 자기장 인가 수단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 제어부(140)는 컨트롤 유닛(도 3의 도면부호 8 참조)을 제어하여 스위치(도 3의 도면부호 7 참조)의 온/오프를 조절함으로써 자기장의 인가시점, 자기장이 인가되는 시간, 자기장 인가의 종료 시점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기장이 자동으로 인가되는 타이밍을 배치 시점(T1), 타격 시점(T2), 감지 시점(T3) 등과 같이, 주로 골프공에 포커스를 맞추어 골프공의 타격과 관련한 시점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시점만을 기준으로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골프공을 타격하고자 하는 사용자을 관찰하여 이를 기준으로 자기장 인가 타이밍을 결정할 수도 있다.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의 자성체 입자들이 튀어오르는 것은 벙커샷을 하기 때문이고, 벙커샷은 사용자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임을 감안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등과 같은 감지수단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위치하면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한 후 사용자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서 벗어나면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등의 감지수단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타격후 골프공(GB)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감지부(120)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사용자가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역할까지 함께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별도의 감지수단 또는 감지부(120)에 의하여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있는 사용자가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위치하고 있는 타이밍(ΔT) 동안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구비되는 자기장 인가 수단을 컨트롤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다양한 기준에 따라 자기장의 인가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는데, 상기한 기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자기장 인가 타이밍이 미리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나 시스템 운영자 등이 입력부(130) 등을 통하여 상기한 기준 등에 의거하여 자기장 인가 타이밍을 직접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번 방식(배치 시점(T1)부터 감지 시점(T3)까지 자동으로 자기장을 인가)과 2번 방식(사용자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에 위치하는 동안 자기장을 인가)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하여 선택하도록 하되,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1번 방식에 의하여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하는 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골프 장치에 복수의 자성체 입자를 갖는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가 구비됨으로써, 실제 벙커에서 모래가 튀는 것과 같은 타격감을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고, 또한 적정한 시기에 자성체 입자에 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자성체 입자들이 골프공 타격에 의하여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111)를 벗어나서 주위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100)는 타격 플레이트(110), 감지부(120), 입력부(130), 제어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타격 플레이트(110)를 제외하면, 이전 실시예(도 8 내지 도 13 및 이에 대한 설명 참조)와 큰 차이가 없으므로, 타격 플레이트(110)에 관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타격 플레이트(110)는 제1 플레이트(111), 제2 플레이트(112) 및 제3 플레이트(113)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11)는 골프에 있어서 벙커의 지형속성을 나타내고, 제2 플레이트(112)는 골프에 있어서 페어웨이의 지형속성을 나타내며, 제3 플레이트(113)는 골프에 있어서 러프의 지형속성을 나타낸다. 실제 골프에서 페어웨이와 러프는 모두 잔디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도록 제2 및 제3 플레이트(112, 113)는 인조잔디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페이웨이와 러프는 잔디의 길이 등 잔디 상태가 상이하므로, 제2 및 제3 플레이트(112, 113)는 인조잔디의 상태가 다르게 되도록 조절하여, 페어웨이와 러프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플레이트(113)에서는 인조잔디의 길이를 짧게 하여 타격 난이도를 낮춤으로써 실제 골프코스에서 페어웨이에 대응되게 할 수 있고, 제3 플레이트(113)에서는 인조잔디의 길이를 길게 하여 타격 난이도를 높힘으로써 실제 골프코스에서의 러프에 대응되게 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1)는 적어도 복수의 자성체 입자와 상기 자성체 입자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자기장 인가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자성체 입자에 의하여 벙커샷을 재현하고 상기 자기장 인가 수단에 의하여 자성체 입자가 튀어올라 제1 플레이트(111) 주위로 벗어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111)로서 앞에서 설명(도 1 내지 도 7 및 이에 대한 설명 참조)하였던 것과 같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앞에서 설명하였던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와 동일하지는 않더라도, 제1 플레이트(111)는 상기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자성체 입자를 갖는 벙커부재와 자기장 인가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조잔디의 길이를 다르게 하거나 복수의 자성체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실제 골프에 있어서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 타격 난이도가 상이한 다양한 영역에 대응되도록 타격 플레이트(110)를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크린(152)에 가상의 골프공이 어떠한 속성의 지형에 놓여 있는지에 맞추어, 해당 속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플레이트(111, 112, 113)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선택된 플레이트에 골프공을 놓고 타격함으로써, 사용자는 스크린 골프를 하면서도 실제의 골프에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지형에서의 다양한 타격감을 그대로 체감할 수 있다.
도 15는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는 스크린 골프장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장(200)에는 복수의 스크린 골프 부스(201, 202)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스크린 골프 부스(201, 202)는 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1)와 비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2)로 구분된다. 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1)와 비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2)는 주로 타격 플레이트에 차이가 있는데, 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1)에는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201a)가 구비되어 있고 비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2)에는 비벙커용 타격 플레이트(202a)가 구비되어 있다.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201a)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것과 같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고, 비벙커용 타격 플레이트(202a)로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비벙커용 타격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1)는 벙커샷을 하기에 적합하고, 비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2)는 벙커샷 이외의 타격(주로 페어웨이샷)을 하기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골프 플레이에서 벙커샷을 해야 하는 경우는, 다른 샷에 비하여 자주 발생되지는 않는다. 빈도수가 떨어지는 벙커샷을 위하여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201a)를 모든 스크린 골프 부스마다 설치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의 스크린 골프장(200)에는 다수의 비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2)와 소수의 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1)가 구비되며, 이들 스크린 골프 부스(201, 202)들이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는 다수의 비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2)와 소수의 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1)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즉 비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2)에서 플레이 하는 중에 벙커샷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그 상황에서만 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1)로 이동하여 벙커샷을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실제 벙커에서의 타격감을 체감할 수 있고 아울러 다수의 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1)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경제적이다. 도면에는 2대의 비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2)와 1대의 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1)가 공유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1)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 벙커샷만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벙커샷 연습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페어웨이나 러프와 같은 잔디에서의 샷과는 달리, 벙커샷은 모래 입자가 튀어오르면서 정확한 샷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골프에서 난이도가 매우 높은 샷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고레벨의 골프 실력자가 되기 위해서는 벙커샷의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의 스크린 골프에서 실제 벙커샷의 타격감을 재현할 수 있는 타격 플레이트가 없었기 때문에, 벙커샷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없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벙커샷의 타격감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벙커샷용 스크린 골프 부스(201)가 구비되기 때문에, 여기에서 벙커샷만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충분히 연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연습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스크린에는 골프공이 벙커에 빠져 있는 다양한 상황이 보여지고, 사용자는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201a)를 이용하여 상기 다양한 상황에서의 벙커샷을 연습할 수 있다.
도 16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는 골프 연습장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300)에는 복수의 타석(301, 302)이 구비되어 있다. 골프 연습장(300)은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고, 복수의 타석(301, 302)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골프를 연습할 수 있다. 복수의 타석(301, 302)은 비벙커샷용 타석(301)과 벙커샷용 타석(302)으로 구분된다. 비벙커샷용 타석(301)은 벙커샷을 제외한 통상의 샷을 하기 위한 것으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비벙커용 타격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벙커샷용 타석(302)은 벙커샷을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것과 같은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장(300)에 따르면, 비벙커샷용 타석(301)과 함께 벙커샷용 타석(302)이 함께 사용됨으로써, 통상의 샷뿐만 아니라 벙커샷도 충분히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부재
20: 벙커 부재
30: 자기장 인가 수단
100: 가상 골프 장치
200: 스크린 골프장
300: 골프 연습장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타격용 골프공이 위치하며, 복수의 자성체를 포함하는 벙커 부재를 포함하는 타격 플레이트;
    상기 벙커 부재의 자성체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자기장 인가 수단;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에 대한 영상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 사이의 소정의 타이밍 동안에 상기 자기장이 자동으로 인가되도록 상기 자기장 인가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타격 플레이트의 상기 벙커 부재에 놓인 골프공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벙커 부재에 골프공이 위치하는 시점을 배치 시점이라 하면, 상기 자기장이 인가되기 시작하는 시작 시점은 상기 배치 시점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가상 골프 장치.
  9. 타격용 골프공이 위치하며, 복수의 자성체를 포함하는 벙커 부재를 포함하는 타격 플레이트;
    상기 벙커 부재의 자성체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자기장 인가 수단;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에 대한 영상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 사이의 소정의 타이밍 동안에 상기 자기장이 자동으로 인가되도록 상기 자기장 인가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타격 플레이트의 상기 벙커 부재에 놓인 골프공이 타격된 후, 상기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며,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타격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는 시점을 감지 시점이라 하면, 상기 자기장의 인가를 종료하는 종료 시점은 상기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가상 골프 장치.
  10. 타격용 골프공이 위치하며, 복수의 자성체를 포함하는 벙커 부재를 포함하는 타격 플레이트;
    상기 벙커 부재의 자성체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자기장 인가 수단;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에 대한 영상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 사이의 소정의 타이밍 동안에 상기 자기장이 자동으로 인가되도록 상기 자기장 인가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타격 플레이트의 상기 벙커 부재에 사용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은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벙커 부재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동안 인가되는 가상 골프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벙커 부재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벙커 부재의 자성체가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인가 수단은 상기 차단 부재를 통하여 상기 자기장을 인가하는 가상 골프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자성을 갖는 입자, 자성물질로 코팅된 비자성의 입자 및 비자성 물질로 코팅된 자성을 갖는 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골프 장치.
  13. 삭제
KR1020190158948A 2019-12-03 2019-12-03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304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948A KR102304799B1 (ko) 2019-12-03 2019-12-03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JP2020179672A JP7461649B2 (ja) 2019-12-03 2020-10-27 バンカー用打撃プレート及びこれを利用する仮想ゴル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948A KR102304799B1 (ko) 2019-12-03 2019-12-03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763A KR20210069763A (ko) 2021-06-14
KR102304799B1 true KR102304799B1 (ko) 2021-09-28

Family

ID=7621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948A KR102304799B1 (ko) 2019-12-03 2019-12-03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61649B2 (ko)
KR (1) KR1023047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881B1 (ko) * 2009-02-05 2012-07-13 이주희 압축형 실내 골프장
KR101976982B1 (ko) * 2018-03-02 2019-05-10 주식회사 에스지엠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20271D0 (en) 2001-08-21 2001-10-10 Sear Philip G Golf mat
JP2004147813A (ja) 2002-10-30 2004-05-27 Aruze Corp ゴルフ遊技システム
KR100986512B1 (ko) * 2008-04-07 2010-10-07 권구만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JP6554950B2 (ja) 2014-10-31 2019-08-07 横浜ゴム株式会社 移動体の挙動計測方法および挙動計測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881B1 (ko) * 2009-02-05 2012-07-13 이주희 압축형 실내 골프장
KR101976982B1 (ko) * 2018-03-02 2019-05-10 주식회사 에스지엠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87768A (ja) 2021-06-10
JP7461649B2 (ja) 2024-04-04
KR20210069763A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69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rajectories of basketball shots for display
US93584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game simulations using motion capture
US8992322B2 (en) Interactive gaming systems with haptic feedback
US20100311512A1 (en) Simulator with enhanced depth perception
US10139899B1 (en) Hypercatching in virtual reality (VR) system
KR101905324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TW202103759A (zh) 虛擬高爾夫模擬處理方法及利用其的螢幕高爾夫系統
JP2004097662A (ja) サッカーシミュレーションゲーム装置および方法
KR101752310B1 (ko) 혼합 현실공간을 활용한 골프 게임 시스템
US112853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etitive training of golf swing with virtual reality
KR20190104909A (ko) 타격위치의 오류를 방지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304799B1 (ko)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1976982B1 (ko) 벙커용 타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20210027607A (ko) 골프코스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983899B1 (ko) 향상된 리얼리티를 나타내는 가상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
KR200450233Y1 (ko) 레슨 전용 연타석 스크린골프 연습장
KR101937720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280404B1 (ko) 비거리를 조정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20190051930A (ko) 향상된 리얼리티를 나타내는 가상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
KR102009622B1 (ko)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KR102602364B1 (ko) 스크린 골프에서 공놓는 위치를 지정해 주는 방법
KR102284901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1963080B1 (ko) 모의 골프클럽을 이용한 복합 플레이 방식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CN211050861U (zh) 一种交互式运动训练设备
JP2023130316A (ja) 左右打撃可能な仮想ゴル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