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686B1 - Resistive Displacement Sensor for Monitoring Suspended Furnace Scaffolding Loads - Google Patents

Resistive Displacement Sensor for Monitoring Suspended Furnace Scaffolding Loa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686B1
KR102304686B1 KR1020200002665A KR20200002665A KR102304686B1 KR 102304686 B1 KR102304686 B1 KR 102304686B1 KR 1020200002665 A KR1020200002665 A KR 1020200002665A KR 20200002665 A KR20200002665 A KR 20200002665A KR 102304686 B1 KR102304686 B1 KR 102304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displacement sensor
housing
type displacement
arm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6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9471A (en
Inventor
반창우
권오성
윤찬녕
장동영
박민영
유동호
정상헌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기계융합기술원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기계융합기술원, 한국동서발전(주)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기계융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02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686B1/en
Publication of KR20210089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4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6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position, not involving coordinate determ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05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specially adapted for tanks, silos or similar ve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은 인양식 시스템 비계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저항형 변위센서로서, 일측에 제1방향으로 세장형인 슬롯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일측에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 레일; 슬라이드 레일 상에 조립되어 제1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슬라이드; 슬라이드에 조립되어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긴 형태인 암(arm) 조립체; 하우징 내부에 슬라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가변저항 몸체 및 슬라이딩 핀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변저항; 슬롯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암 조립체와 슬라이딩 핀을 기구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되어 노(furnace) 내벽에 저항형 변위센서를 자력으로 부착하도록 형성된 마그네틱 베이스; 및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a lifting system scaffold,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elongate slot formed on one side thereof in a first direction; a slide rai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a slide assembled on the slide rail to allow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an arm assembly assembled to the slide and having an elongated shap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sliding variable resistor disposed in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slide rail and including a variable resistance body and a sliding pin;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through the slot and mechanically connecting the arm assembly and the sliding pin; a magnetic bas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o magnetically attach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to the inner wall of the furnace; and a circuit portio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Description

노내비계 하중 모니터링을 위한 저항형 변위센서{Resistive Displacement Sensor for Monitoring Suspended Furnace Scaffolding Loads}Resistive Displacement Sensor for Monitoring Suspended Furnace Scaffolding Loads

본 발명은 노내 비계 하중 모니터링을 위한 저항형 변위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stance type displacement sensor for monitoring scaffold load in a furnac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발전소, 특히 화력발전소는 매 2-3년마다 설비건전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계획예방정비(overhaul)를 전력수급계획을 고려하여 수행한다. 발전효율의 향상에는 이러한 계획예방정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계획예방정비는 수개월의 기간에 거쳐 발전소 가동을 중단하고 보일러 내부에 비계를 설치하여 작업자들이 내부를 정비한다. A power plant, especially a thermal power plant, performs planned preventive overhaul every 2-3 years in consideration of the power supply and demand plan to maintain facility integrity. Improv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may include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such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Such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stops the operation of the power plant over a period of several months and installs scaffolding inside the boiler, and workers maintain the inside.

기존의 시스템 비계의 경우 하부지지를 기반으로 상향식으로 쌓아 올리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이 경우 전체 비계 시스템의 무게는 하부에 집중되며, 하부에 사소한 문제라도 발생하면 인명피해를 포함하는 심각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증가된다. 즉, 발전소 보일러 내부를 정비하기 위한 비계설치 작업은 신속성과 안전성의 확보가 중요하다. In the case of the existing system scaffolding, the method of stacking in the bottom up based on the lower support has been used. In this case, the weight of the entire scaffolding system is concentrated on the lower part, and if even a minor problem occurs in the lower part, the risk of a serious safety accident including personal injury increases.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speed and safety of the scaffold installation work for maintenance of the inside of the boiler in the power plant.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노의 최상단에 인양기를 설치하고, 인양기에 플랫폼을 매달고, 플랫폼의 하부에 비계 시스템을 팬던트 식으로 매달아 설치하는 인양식 시스템 비계의 사용이 대중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비계를 쌓아 올림에 따라 점차 높은 위치에서 조립이 이루어져야 하는 적층식 비계와 비교하면, 하단부에서 비계의 조립 및 인양을 반복하며 설치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낮다.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use of a lifting system scaffold that installs a lifting machine at the top of the furnace, hangs the platform on the lifter, and hangs the scaffold system in the form of a pendant on the lower part of the platform has become popular. Compared to stacked scaffolding, which must be assembled at a gradually higher position as the scaffold is stacked up, in this way,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s low because the scaffold is installed repeatedly assembling and lifting at the lower end.

한편, 보다 적극적으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계 시스템 내에 작업을 위해 투입된 작업자 및 장비가 비계 시스템에 가하는 하중을 와이어(122) 로프 위치에 측정하여 편하중 상태를 기초로 안전성을 판단하여 경고하는 시스템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특허문헌 0001 참조) 이 경우, 위험예방시스템은 플랫폼에 설치되어, 와이어(122) 로프만을 측정 대상으로 하므로 전체 비계에 대한 감시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인양식 시스템 비계의 경우 전체 비계의 붕괴가 일어나기는 힘드나, 작업자 또는 작업용 장비등의 위치적 쏠림으로 인해 하중집중이 일어나 부분적으로 붕괴되는 위험성은 여전히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ore actively prevent safety accidents, the load applied to the scaffolding system by the workers and equipment put for work in the scaffolding system is measured at the position of the wire 122 rope to determine safety based on the eccentric load state and to warn A system has also been proposed. (See Patent Document 0001) In this case, the risk prevention system is installed on the platform, and since only the wire 122 and the rope are measured, the entire scaffold is not monitored. In the case of salvage system scaffolding, it is difficult for the entire scaffold to collapse, but there is still a risk of partial collapse due to load concentration due to positional concentration of workers or work equipment.

비계가 설치된 노내 정비 환경은 금속가루와 분진이 발생하는, 각종 측정 장비의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환경이다. 또한, 작업장 특성 상 다수의 위치에 센서를 적용하기 위해 센서 모듈은 매우 경제적으로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하중의 측정보다는 변위 측정이 유리하다. 또한, 변위 측정 방식에서 광학식 또는 비접촉식 변위 센서는 환경적인 제약으로 고려되기 어렵다. 비계 시스템 내의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어, 하중집중이 감지되면 위험을 알리는 환경 제약이 적고 경제적인 변위 센서가 요구된다. The maintenance environment in the furnace where the scaffolding is installed is an environment in which metal powder and dust are generated, and it is not easy to apply various measuring equipment.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the sensor to a number of locations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place, the sensor module needs to be built very economically. From this point of view, displacement measurement is more advantageous than load measurement. In addition, in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method, it is difficult to consider an optical or non-contact displacement sensor due to environmental constraints. A displacement sensor that is installed at multiple locations in the scaffolding system and notifies a danger when a concentration of load is detected is required, which has less environmental restrictions and is economical.

한국특허 제10-1539203호(2015.07.17)Korean Patent No. 10-1539203 (2015.07.17)

본 발명은 비계의 변위를 측정하여 하중 집중에 의한 안전성 저하를 실시간으로 경고하기 위한 인양식 시스템 비계 전용의 비계 변위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센서 모듈의 설치가 용이하고, 환경에 강건하며, 비용이 저렴한 변위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affold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dedicated to the lifting system scaffold for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scaffold to warn in real time of a decrease in safety due to load concentration.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that is easy to install a sensor module, is robust to the environment, and is inexpensive.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형 변위센서는, 인양식 시스템 비계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저항형 변위센서로서, 일측에 제1방향으로 세장형인 슬롯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일측에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 레일; 슬라이드 레일 상에 조립되어 제1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슬라이드; 슬라이드에 조립되어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긴 형태인 암(arm) 조립체; 하우징 내부에 슬라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가변저항 몸체 및 슬라이딩 핀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변저항; 슬롯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암 조립체와 슬라이딩 핀을 기구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되어 노(furnace) 내벽에 저항형 변위센서를 자력으로 부착하도록 형성된 마그네틱 베이스; 및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항형 변위센서.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a lifting system scaffold, and a housing having a slot elongated in the first direction on one side is formed. ; a slide rai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a slide assembled on the slide rail to allow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an arm assembly assembled to the slide and having an elongated shap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sliding variable resistor disposed in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slide rail and including a variable resistance body and a sliding pin; a connecting member disposed through the slot and mechanically connecting the arm assembly and the sliding pin; a magnetic bas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o magnetically attach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to the inner wall of the furnace; and a circuit par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Resistance displacement sensor.

또한, 연결부재는 'ㄷ'자 형태이고, 'ㄷ'자의 일측 부재는 암 조립체에 조립되도록 형성되고, 'ㄷ'자의 중간 부재는 슬롯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ㄷ'자의 타측 부재는 종단에 요홈이 형성되되, 요홈은 슬라이딩 핀과 조립되어 암 조립체의 제1방향의 변위를 슬라이딩 가변저항에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has a 'C' shape, one side member of the 'C' shape is formed to be assembled into the arm assembly, the middle member of the 'C' shape is disposed through the slot, and the other member of the 'C' shape is at the end. The groove is formed, and the groove is assembled with the sliding pin to transmit the displacement of the arm assembly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또한, 요홈과 슬라이딩 핀은 헐거운 끼워맞춤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groove and the sliding pi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to be in a loose fit state.

또한, 하우징과 마그네틱 베이스는 상대적인 각도 조정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and the magnetic base are formed so as to be fixed after the relative angle adjustment.

또한, 회로부는, 슬라이딩 가변저항의 값을 전기적으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변환부; 신호변환부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 출력으로 변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 슬라이딩 가변저항의 선형성을 보정하는 모듈 및 신호를 통신으로 전송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MCU(microcontroller unit);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ircuit unit includes a signal conversion unit for electrically converting the value of the sliding variable resistance; ADC (analog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analog output of the signal converter to a digital output; MCU (microcontroller unit) including a module for correcting the linearity of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and a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a signal through communication; and a communication module.

또한, MCU는, 슬라이딩 가변저항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문턱값 보다 큰 경우에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여 값을 통신으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CU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value of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to transmit the value through communication.

또한, 암 조립체의 하중을 보상하도록 하우징의 제1방향 상단부와 슬라이드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ension spring for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lide and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compensate the load of the arm assembly.

또한, 암 조립체의 하중을 보상하도록 하우징의 제1방향 상단부와 연결부재의 'ㄷ'자의 타측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ension spring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member of the 'C'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compensate the load of the arm assembly.

또한,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을 더 포함하고,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저항형 변위센서는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를 구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further includes a Bluetooth module, and a plurality of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s including the Bluetooth module are formed to configure a mesh network.

또한, MCU 또는 블루투스 모듈은, 슬라이딩 가변저항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문턱값 보다 큰 경우에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하여 블루투스 모듈이 메쉬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값을 통신으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CU or the Bluetooth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value of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the Bluetooth module is activated to connect the Bluetooth module to the mesh network and transmit the value through communication.

또한, 소정의 비계 층 영역마다 중간 중계서버를 더 포함하고, 중간 중계서버는 소정의 비계 층 영역 내의 저항형 변위센서로부터 수집된 변위를 소정의 비계 층 구조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복수의 중간 중계서버는 최상단 플랫폼에 설치된 서버에 통신으로 연결되어 서버는 인양식 시스템 비계를 전체적으로 안전관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each predetermined non-hierarchical area further includes an intermediate relay server, and the intermediate relay server comprehensively manages the displacements collected from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in the predetermined non-hierarchical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predetermined non-hierarchical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The intermediate relay server is communicationally connected to the server installed on the top platform, and the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safely manage the hoisting system scaffolding as a whole.

본 발명에 따른 변위측정 장치는 인양식 시스템 비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분진이 많은 환경에서도 사용가능 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노내 다수의 위치에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인양식 시스템 비계의 안전사고 방지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lifting system scaffolding, can be used in a dusty environment, and can be economically installed at multiple locations in the furnace due to low manufacturing cost, resulting in a safety accident of the lifting system scaffolding It contributes to prevention.

도 1은 인양식 시스템 비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형 변위센서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형 변위센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샘플 제작된 저항형 변위센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형 변위센서의 설치사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1 shows a salvage system scaffoldin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showing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prepared as a s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In addition, the '...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인양식 시스템 비계를 나타낸다. 1 shows a salvage system scaffolding.

도 1을 참조하면, 발전소 보일러에 계획예방정비를 위해 설치되는 인양식 시스템 비계(10)의 일반적인 적용형태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1 , a general application form of a lifting system scaffold 10 installed for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in a power plant boiler is shown.

일반적으로 인양식 시스템 비계(10)는 보일러(100) 최상부에 철골보(110)가 설치되고, 철골보(110)에 인양용 와이어(122)를 인출하거나 권선하기 위한 유압인양장치(120)가 배치된다. 시스템 비계(140)의 설치는 인양용 와이어(122)를 보일러(100) 내부 하단부까지 내려 플랫폼(130)을 먼저 조립하고, 차례로 인양용 와이어(122)를 상승시키면서 복수 층의 비계(140)를 층별로 조립하여 상승시킴으로써 조립된다. 모든 층의 비계(140) 조립이 완료되면 노 내벽(102)과 이에 대응되는 비계(140) 부위는 노 내벽 버팀대(미도시)를 이용하여 밀착함으로써 고정된다. 보일러(100) 내부에 대한 계획예방정비가 종료되면 노 내벽 버팀대를 해제하고 최하층 비계(140)부터 해제하면서, 조립의 역순으로 해체가 이루어진다. In general, the lifting system scaffolding 10 is a boiler 100, the cheolgolbo 110 is installed at the top, and the hydraulic lifting device 120 for drawing or winding the lifting wire 122 to the cheolgolbo 110 is disposed. . The installation of the system scaffold 140 is to assemble the platform 130 by lowering the lifting wire 122 to the lower end inside the boiler 100, and in turn raising the lifting wire 122 while raising the scaffolding 140 of multiple layers. It is assembled by assembling it layer by layer and raising it. When the scaffolding 140 of all layers is assembled, the furnace inner wall 102 and the corresponding scaffolding 140 are fixed by closely adhering to the furnace inner wall brace (not shown). When the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for the inside of the boiler 100 is completed, disassembly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assembly while releasing the support for the inner wall of the furnace and releasing it from the lowermost scaffold 14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형 변위센서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형 변위센서(20)는 노 내벽(102)에 마그네틱 베이스(210)로 장착될 수 있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된 암(arm, 220)은 자석(222)이 내장되어 노 내벽(102)과 인접한 비계(140)의 하단부에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측이 개방된 것처럼 일부 부재를 생략하여 도시한 것이다. 완성된 형태는 내외부가 밀봉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노 내벽(102)에 부착되는 마그네틱 베이스(210)는 제어 다이얼(212)을 돌림으로써 자력을 해제하여 탈착할 수 있고, 암(220)에 내장되는 자석(222)은 작업자가 인력으로 충분히 분리할 수 있는 정도의 자력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the inner wall 102 of the furnace as a magnetic base 210 , and an arm 220 formed to be slidable includes a magnet 222 . ) is built in and can be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scaffold 140 adjacent to the furnace inner wall 102 .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that some members are omitted as if one side is ope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nished form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sealed inside and outside. The magnetic base 210 attached to the furnace inner wall 102 can be detached by releasing the magnetic force by turning the control dial 212, and the magnet 222 built into the arm 220 can be sufficiently separated by the operator by manpower. It may be configured to form a magnetic force to a certain degre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형 변위센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형 변위센서(20)는 일측에 제1방향(91)으로 세장형인 슬롯(slot, 202)이 형성된 하우징(200), 하우징(200)의 일측에 제1방향(91)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 레일(230), 슬라이드 레일(230) 상에 조립되어 제1방향(91)으로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슬라이드(240), 슬라이드(240)에 조립되어 제2방향(92)으로 긴 형태인 암 조립체(220), 하우징(200) 내부에 슬라이드 레일(230)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가변저항 몸체(252) 및 슬라이딩 핀(254)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변저항(250), 슬롯(202)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암 조립체(220)와 슬라이딩 핀(254)을 기구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260), 하우징(200)의 타측에 배치되어 노 내벽(102)에 저항형 변위센서(20)를 자력으로 부착하도록 형성된 마그네틱 베이스(210) 및 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2 and 3,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housing 200, a housing 200 having a slot 202 elongated in the first direction 91 on one side thereof. Slide rail 230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91 on one side of the slide 240, assembled on the slide rail 230 to allow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91, assembled to the slide 240 The arm assembly 220 having an elongated shape in the second direction 92,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lide rail 230 inside the housing 200, and includes a variable resistance body 252 and a sliding pin 254. A connection member 260 that is disposed through the variable resistor 250 and the slot 202 and mechanically connects the arm assembly 220 and the sliding pin 254,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200 and is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furnace ( It includes a magnetic base 210 formed to magnetically attach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20 to the 102 , and a circuit unit (not show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0 .

여기서, 제1방향(91)은 변위 측정 방향, 제2방향(92)은 노 내벽(102)에 수직인 방향으로서 암(220)의 길이 방향, 제3방향(93)은 암(220)의 폭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한다. Here, the first direction 91 is a displacement measurement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92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urnace inner wall 102 , and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 220 , and the third direction 93 is the direction of the arm 220 . It is defined as pointing in the width direction.

하우징(200)은 내부에 슬라이딩 가변저항(250)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가변저항 조립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하우징(200) 내부의 제1방향(91) 일측에 슬라이딩 가변저항(25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소켓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가변저항(250)의 타측은 가변저항 조립부재(270)로 조립될 수 있다. The housing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sliding variable resistance assembly member 270 for fixing the sliding variable resistance 250 therein. Alternatively, the housing 200 includes a socket part (not shown)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25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91 inside the housing 200,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250 is a variable resistance assembly member. (270) can be assembled.

하우징(200)의 일측에 형성된 슬롯(202)은 연결부재(260)의 이동을 허용하되 외부로부터의 분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브러쉬 구조(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lot 202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200 may be formed with a brush structure (not shown), etc. to allow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260 but prevent the inflow of dust from the outside.

암 조립체(220)는 암 조립체(220) 내부에 배치되고 제1방향(91)의 상부 측에 인접하여 제2방향(92)으로 배치되어, 비계(140)와의 자기력에 의한 부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2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rm assembly 220 is disposed inside the arm assembly 220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irection 91 in the second direction 92 , and includes one or more for attachment by magnetic force to the scaffold 140 . It may include a permanent magnet 222 .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형 변위센서(20)는 마그네틱 베이스(210)에 의해 노 내벽(102)에 부착될 수 있다. 통상 노 내벽(102)은 파이프 외주면의 형태를 가지며, 마그네틱 베이스(210)는 이러한 형태에 부착이 용이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노 내벽(102) 부착면의 굴곡 형태는 수직, 수평 뿐만 아니라 기울어진 형태일 수도 있으며,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마그네틱 베이스(210)와 하우징(200)은 회전될 수 있고, 회전 후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노 내벽(102) 부착면에 따라 마그네틱 베이스(210)를 고정하고, 하우징(200)을 제1방향(91)에 나란하도록 회전시킨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ttached to the furnace inner wall 102 by a magnetic base 210 . Typically, the furnace inner wall 102 has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nd the magnetic base 210 may be easily attached to this shape. The curved shape of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furnace inner wall 102 may be vertical or horizontal as well as an inclined shape, an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magnetic base 210 and the housing 200 can be rotated and fixed after rotation. can be formed with That is, the magnetic base 210 may be fixed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furnace inner wall 102 , and the housing 200 may be rotated to b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91 and then fixed.

슬라이드 레일(230)과 슬라이드(240)는 통상의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240)와 슬라이드 레일(230)이 밀착되는 주변부는 분진 유입이 방지되도록 밀봉부재(미도시)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240)는 암 조립체(220)의 하중을 보상하도록 하우징(200)의 제1방향(91) 상단부와 슬라이드(240)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인장스프링(28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장스프링(280)에 의해 진동 및 제2 또는 제3방향(92, 93)으로의 비계(140)의 슬라이딩이 있는 경우에도 암 조립체(220)와 비계(140)의 부착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즉시 회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 조립체(220)의 하중이 보상됨으로써 암 조립체(220) 내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222)의 크기를 필요 최소한의 수준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고려로 인해 영구자석(222)에 붙을 수 있는 분진에 의한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The slide rail 230 and the slide 240 may be a conventional one, and preferably, the peripheral portion where the slide 240 and the slide rail 230 are in close contact includes a sealing member (not shown) to prevent dust from entering. can 3, the slide 240 is a tension spring disposed to connect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lide 240 and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200 in the first direction 91 to compensate the load of the arm assembly 220 ( 280) may be included. Even if there is vibration by the tension spring 280 and sliding of the scaffold 140 in the second or third directions 92 and 93, the attachment state of the arm assembly 220 and the scaffold 140 is not released immediately. It has a recovery effect. In addition, since the load of the arm assembly 220 is compensated, the size of the permanent magnet 222 disposed inside the arm assembly 220 may be selected to a minimum required level. Due to this design conside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ect of dust that may adhere to the permanent magnet 222 .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인장스프링(280)은 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장스프링(280)은 연결부재(260)의 하우징(200) 내부측 부분과 하우징(200) 내부의 제1방향(91) 내측면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tension spring 28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200 . In this case, the tension spring 280 may be disposed to connect between the inn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of the connecting member 260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in the first direction 91 .

암 조립체(220) 내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222)은 비계(140) 하단부와 암 조립체(220)의 부착 상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형 변위센서(20)는 현장에서의 환경에 대한 고려와 조립 편의성 증대를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의 내벽(102)과 비계(140)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은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암 조립체(220) 내부의 영구자석(222)에 의해 비계(140)에 부착됨으로써 작업자가 이러한 거리 차이를 신경 쓰지 않고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The permanent magnet 222 disposed inside the arm assembly 220 provides an attachment state of the lower end of the scaffold 140 and the arm assembly 220 .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signed to consider the environment in the field and to provide an increase in assembly convenience. It is preferable to assum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wall 102 of the furnace and the scaffold 140 is not constant, and by attaching it to the scaffold 140 by a permanent magnet 222 inside the arm assembly 220, the operator can use this distance It can be easily and quickly installed without noticing the difference.

한편, 인양식 시스템 비계(10)는 기본적으로 노(100) 최상부로부터 내려진 인양용 와이어(122)에 의해 매달려 지지된다. 인양식 시스템 비계(10)는 국부적인 편하중에 의해 진동 및 흔들림이 상당히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만일, 암 조립체(220)가 비계(140) 하단부와 기계적으로 완전히 고정된 경우를 가정하면, 수평 방향(제2방향(92) 또는 제3방향(93))으로 흔들릴 경우 저항형 변위센서(20)의 슬라이드 레일(230) 등 관련 부품의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와 같이 제1방향(91)으로의 밀착 상태는 유지하되 제2방향(92) 또는 제3방향(93)의 진동에 의한 작은 변위는 허용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the lifting system scaffolding 10 is basically supported by hanging by the lifting wire 122 lowered from the top of the furnace 100. The lifting system scaffolding 10 may vibrate and shake fairly frequently due to a local eccentric load. If it is assumed that the arm assembly 220 is completely mechanically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caffold 140, when the arm assembly 220 is shake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92 or the third direction 93), the resistance type displacement sensor 20 ) of the slide rail 230 and the like may be deformed or damaged. Therefore, as in one embodiment, a structure is required to maintain a state of close contact in the first direction 91 but to allow small displacement due to vibration in the second direction 92 or the third direction 93 .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60)는 슬라이딩 가변저항(250)의 슬라이딩 핀(254)과 조립되는 부분의 요홈(268)은 헐거운 조립 공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연결부재(260)는 'ㄷ'자 형태인 것을 예시한다. 'ㄷ'자의 일측 부재(262)는 암 조립체(220)에 조립되도록 형성되고, 'ㄷ'의 중간 부재(264)는 하우징(200)의 슬롯(20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ㄷ'자의 타측 부재(266)는 종단에 요홈(268)이 형성되되 요홈(268)은 슬라이딩 가변저항(250)의 슬라이딩 핀(254)과 조립되어 암 조립체(220)의 제1방향(91)의 변위 만을 슬라이딩 가변저항(250)에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요홈(268)과 슬라이딩 핀(254)은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조립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암 조립체(220)의 진동이 슬라이딩 가변저항(25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n the connection member 2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groove 268 of the portion assembled with the sliding pin 254 of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250 is formed to have a loose assembly tolerance. . Referring back to FIG. 3 , the connecting member 260 illustrates a 'C' shape. One side member 262 of the 'C' shape is formed to be assembled to the arm assembly 220, and the middle member 264 of the 'C' is formed to penetrate the slot 202 of the housing 200, and the 'C'-shaped member 262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lot 202 of the housing 200 . The other member 266 has a groove 268 formed at the end thereof, and the groove 268 is assembled with the sliding pin 254 of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250 to only displace the arm assembly 220 in the first direction 91 . It may be formed to be transmitted to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250 . That is, the concave groove 268 and the sliding pin 254 are formed to be assembled with a loose fit, thereby preventing the vibration of the arm assembly 220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250 .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가변저항(250)은 신뢰성을 높이고, 기구적으로 및 회로적으로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접촉 저항식으로 구성한다. 이 경우, 슬라이딩 핀(254)에 제2방향(92)으로 힘이 가해지면 가변저항의 접촉 압력이 달라져서 저항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이 심한 열악한 환경인 노내 시스템 비계(1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헐거운 끼워맞춤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2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contact resistance type to increase reliability and to be simple mechanically and circuitly. In this cas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sliding pin 254 in the second direction 92 , the contact pressure of the variable resistor may be changed to affect the resistance value. Therefore, in the in-furnace system scaffolding 10, which is a harsh environment with severe vibra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loose fit as described above.

회로부는 가변저항의 신호를 전기적으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변환부(미도시), ADC(analog digital converter, 미도시), MCU(microcontroller unit, 미도시), 통신 모듈(미도시) 및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유선 인터넷 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인터넷 통신(미도시), 블루투스 통신 모듈(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circuit unit includes a signal conversion unit (not shown), an analog digital converter (ADC), an MCU (microcontroller unit, not shown),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a battery (not shown) for electrically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variable resistance. ) may be included.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wired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not shown),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변저항(250)은 변위에 상응하여 저항값이 변하도록 형성되는 가변저항 요소이다. 따라서, 저항값은 단일 파라미터가 변하는 경우이며, 통상의 알려진 다양한 방식으로 저항값을 회로적으로 읽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저항값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읽은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고, 처음부터 디지털 신호로 읽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25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a variable resistance element that is formed to have a resistance value changed in response to displacement. Accordingly, the resistance value is a case where a single parameter is changed, and it may be configured to circuitly read the resistance value in various commonly known methods. In addition, the resistance value may be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fter being read in an analog manner, or may be configured to be read as a digital signal from the beginning.

MCU는 저항형 센서를 포함하는 전체 회로 시스템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형 변위센서(20)가 설치되는 시점의 온도를 고려하여 저항값을 보정하는 등 추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상 센서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보정 및 부가 기능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저항형 센서의 선형성을 보정하는 루틴이 MCU에 포함되어 저항형 센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MCU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and manage the entire circuit system including the resistive sensor. Additionally, it may include an additional function, such as correcting the resistance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emperature at the time when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Although not illustrated, it may be formed to control various corrections and additional functions that may be included in a typical sensor. In addition, if necessary, a routine for correcting the linearity of the resistive sensor may be included in the MCU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resistive sensor.

한편, 통상 노(100)내 계획예방정비는 3-4개월이 소요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형 변위센서(20)는 그 회로적 구조가 매우 단순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매우 작은 전력만 소비할 수 있다. 하우징(200) 내부에 계획예방정비 기간 동안 충분히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를 절약하도록 MCU는 저항값의 변화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문턱값을 넘는 경우에만 통신 모듈을 가동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안전과 관련하여 상위 제어 계층에 알릴 필요가 있는 수준의 변위가 발생한 경우에만 통신이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요구되는 배터리 용량을 줄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in the normal furnace 100 may take 3-4 months, and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 very simple circuit structure, so that substantially very little power can only be consumed. The housing 200 may include a battery at a level sufficient to supply power during the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period. In this case, in order to save the battery, the MCU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communication module only when the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set in advance. That 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quired battery capacity by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to operate only when a displacement of a level that needs to be notified to the upper control layer in relation to safety occurs.

통신 모듈은 전력 공급선 만을 추가로 포함하여, 유선 인터넷 배선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only a power supply line, and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through a wired Internet line.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형 변위센서(20)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완전 무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노(100)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저항형 변위센서(20)는 변위값을 전송하기 위해 무선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completely wirelessly, including a battery.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s 20 installed in the furnace 100 may be configured to us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to transmit displacement values.

보다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저전력으로 블루투스 메쉬 네트워크(Bluetooth mesh network)를 구성하여 전체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MCU에 의해 안전과 관련하여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어 인접한 블루투스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중계 및 전송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entire system can be operated by configuring a Bluetooth mesh network with low power includ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Even in this case,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only when a safety-related situation occurs by the MCU to relay and transmit data through an adjacent Bluetooth nod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이 경우, 몇 개의 비계(140) 층마다 이들 복수의 블루투스 노드를 관리하는 중간 중계서버(미도시)를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다. 중간 중계서버에서는 수집된 각각의 저항형 변위센서(20)에서 수집된 변위를 종합하여 해당 구역의 비계(140)의 전체적인 거동과 변형을 종합적으로 계산하여 판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랫폼(130) 영역에는 전체 인양식 시스템 비계(10)를 관리하는 메인 서버(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으며, 메인 서버와 중간 중계서버는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인양식 시스템 비계(10)를 설치하여 구축함에 있어, 유선 배선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체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operate an intermediate relay server (not shown) that manages the plurality of Bluetooth nodes for each several scaffolding 140 layers. The intermediate relay server may be formed to comprehensively calculate and determine the overall behavior and deformation of the scaffold 140 in the corresponding area by synthesizing the displacements collected from each of the collected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s 20 . In addition, in the area of the platform 130, a main server (not shown) that manages the entire lifting form system scaffold 10 may be located, and the main server and the intermediate relay server may be connected by a wired network, and the lifting form system scaffolding ( 10) When installing and building,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overall installation time by minimizing the wired wirin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샘플 제작된 저항형 변위센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4 is a photograph showing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prepared as a s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형 변위센서의 설치사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5 is a photograph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시험적으로 제작된 저항형 변위센서(20) 및 설치사례를 도시한다. 노 내벽(102)의 굴곡 형상이 비계(140)의 수평과 어긋난 경우에 해당하며, 마그네틱 베이스(210)와 하우징(200)은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이 제1방향(91)으로 오도록 회전되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4 and 5,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20 and an installation example manufactured on a trial ba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shown. It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curved shape of the furnace inner wall 102 is out of alignment with the horizontal of the scaffold 140 , and the magnetic base 210 and the housing 200 rotate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00 comes in the first direction 91 . It shows the attached state.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explain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Claims (11)

인양식 시스템 비계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저항형 변위센서로서,
일측에 제1방향으로 세장형인 슬롯(slot)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 레일;
상기 슬라이드 레일 상에 조립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슬라이드;
상기 슬라이드에 조립되어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긴 형태인 암(arm) 조립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가변저항 몸체 및 슬라이딩 핀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변저항;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암 조립체와 상기 슬라이딩 핀을 기구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되어 노(furnace) 내벽에 상기 저항형 변위센서를 자력으로 부착하도록 형성된 마그네틱 베이스;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는 상대적인 각도 조정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저항형 변위센서.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a lifting system scaffold,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slot elongated in the first direction on one side thereof;
a slide rai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in a first direction;
a slide assembled on the slide rail to allow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an arm assembly assembled to the slide and having an elongated shap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sliding variable resistor disposed in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slide rail and including a variable resistance body and a sliding pin;
a connection member disposed through the slot and mechanically connecting the arm assembly and the sliding pin;
a magnetic bas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o magnetically attach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to an inner wall of a furnace; and
Including a circuit portio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he resistance type displacement sensor is formed so that the housing and the magnetic base can be fixed after a relative angle adjus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ㄷ'자 형태이고,
상기 'ㄷ'자의 일측 부재는 상기 암 조립체에 조립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ㄷ'자의 중간 부재는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ㄷ'자의 타측 부재는 종단에 요홈이 형성되되, 상기 요홈은 상기 슬라이딩 핀과 조립되어 상기 암 조립체의 상기 제1방향의 변위를 상기 슬라이딩 가변저항에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저항형 변위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has a 'C' shape,
One side member of the 'C' shape is formed to be assembled to the arm assembly,
The 'C'-shaped intermediate member is disposed through the slot,
The other member of the 'C' shape has a groove formed at the end thereof, and the groove is assembled with the sliding pin to transmit the displacement of the arm assembly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과 상기 슬라이딩 핀은 헐거운 끼워맞춤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는 저항형 변위센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is formed such that the groove and the sliding pin are in a loose fit st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슬라이딩 가변저항의 값을 전기적으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변환부;
상기 신호변환부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 출력으로 변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
상기 슬라이딩 가변저항의 선형성을 보정하는 모듈 및 상기 신호를 통신으로 전송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MCU(microcontroller unit);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저항형 변위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circuit unit,
a signal converter for electrically converting the value of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ADC (analog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analog output of the signal converter to a digital output;
an MCU (microcontroller unit) including a module for correcting the linearity of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and a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the signal through communication; and
A resistance type displacement sensor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슬라이딩 가변저항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문턱값 보다 큰 경우에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여 상기 값을 통신으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저항형 변위센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CU is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is configured to activate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 the value through communication when the value of the sliding variable resistance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조립체의 하중을 보상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제1방향 상단부와 상기 슬라이드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저항형 변위센서.
According to claim 1,
and a tension spring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nd the upper end of the slide to compensate for the load of the arm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조립체의 하중을 보상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제1방향 상단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ㄷ'자의 타측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저항형 변위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resistance type displacement sensor further comprising a tension spring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member of the 'C'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compensate for the load of the arm assemb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기 저항형 변위센서는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를 구성하도록 형성되는 저항형 변위센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mmunication module further comprises a Bluetooth module,
A plurality of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including the Bluetooth module is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configured to form a mesh networ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MCU 또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슬라이딩 가변저항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문턱값 보다 큰 경우에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하여 상기 블루투스 모듈이 상기 메쉬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값을 통신으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저항형 변위센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CU or the Bluetooth module,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is configured to activate the Bluetooth module when the value of the sliding variable resistor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so that the Bluetooth module is connected to the mesh network and transmits the value through communication.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소정의 비계 층 영역마다 중간 중계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 중계서버는 상기 소정의 비계 층 영역 내의 상기 저항형 변위센서로부터 수집된 변위를 상기 소정의 비계 층 구조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복수의 상기 중간 중계서버는 최상단 플랫폼에 설치된 서버에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버는 상기 인양식 시스템 비계를 전체적으로 안전관리 하도록 형성되는 저항형 변위센서.
11. The method of claim 9 or 10,
Each predetermined non-hierarchical area further includes an intermediate relay server,
The intermediate relay server comprehensively manages the displacements collected from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in the predetermined non-hierarchical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predetermined non-hierarchical structure,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relay servers are connected to a server installed on the uppermost platform by communication, and the server is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that is formed to safely manage the lifting system scaffolding as a whole.
KR1020200002665A 2020-01-08 2020-01-08 Resistive Displacement Sensor for Monitoring Suspended Furnace Scaffolding Loads KR1023046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65A KR102304686B1 (en) 2020-01-08 2020-01-08 Resistive Displacement Sensor for Monitoring Suspended Furnace Scaffolding Loa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65A KR102304686B1 (en) 2020-01-08 2020-01-08 Resistive Displacement Sensor for Monitoring Suspended Furnace Scaffolding Loa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471A KR20210089471A (en) 2021-07-16
KR102304686B1 true KR102304686B1 (en) 2021-09-23

Family

ID=7715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665A KR102304686B1 (en) 2020-01-08 2020-01-08 Resistive Displacement Sensor for Monitoring Suspended Furnace Scaffolding Loa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6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4196B (en) * 2021-07-28 2023-09-22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High-rise outer wall overhanging scaffold deformation detection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154B1 (en) * 2008-04-18 2008-09-05 주식회사 정신 Apparatus for diagnostic hang down of bridge upper intrastructure
KR101421272B1 (en) * 2014-03-10 2014-07-18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Structure safety diagnosis equipment is bridge top boar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203B1 (en) 2015-03-17 2015-07-24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Furnace scaffolding platform support system and lift system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154B1 (en) * 2008-04-18 2008-09-05 주식회사 정신 Apparatus for diagnostic hang down of bridge upper intrastructure
KR101421272B1 (en) * 2014-03-10 2014-07-18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Structure safety diagnosis equipment is bridge top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471A (en)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0789B2 (en) Crane monitoring device
US9989349B2 (en)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s and methods
AU650359B2 (en) Load moment indicator system
KR102304686B1 (en) Resistive Displacement Sensor for Monitoring Suspended Furnace Scaffolding Loads
US9824841B2 (en) Safety switch and associated methods
CN102815612A (en) Method of monitoring crane safety during the setup procedure, as well as crane and crane control
EP2847545B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13366188B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fall protection safety systems
ES2738916T3 (en) Procedure to monitor crane safety as well as a system to monitor crane safety
US9873602B2 (en) Boom protection system
CN110642199A (en) Aerial work platform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9071195B (en) Platform load sensing system
CN108699892A (en) Intelligent ladder
CN104495622A (en) Wind load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and hoisting equipment
CN210885196U (en) Aerial work platform control system
CN210374973U (en) Bridge jacking intelligent double-displacement sensor device
IT201900011067A1 (en) Device for the detection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the displacement or deformation of an external element to be monitored
CA3127081C (en) Load holder with levelling module and measurement module
FI118701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loads
WO2020129055A1 (en) Motorized hoist with high precision load measurement arrangement
CN215626268U (en) Counterweight monitoring system, boom monitoring system, hoisting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hoisting equipment
WO20160605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deployable mast from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CN214621583U (en) Frock suitable for detect mining plate ring formula tension sensor tensile load
RU2346879C2 (en) Device for measuring angle of inclination of hoisting machine cable (versions)
KR20200025721A (en) Apparatus for Measuring Bridge Displa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