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438B1 -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438B1
KR102304438B1 KR1020200012627A KR20200012627A KR102304438B1 KR 102304438 B1 KR102304438 B1 KR 102304438B1 KR 1020200012627 A KR1020200012627 A KR 1020200012627A KR 20200012627 A KR20200012627 A KR 20200012627A KR 102304438 B1 KR102304438 B1 KR 10230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terminal
identification value
termin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8727A (ko
Inventor
배진흥
Original Assignee
소프트런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프트런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프트런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438B1/ko
Priority to US17/165,287 priority patent/US20210243228A1/en
Priority to CN202110148935.4A priority patent/CN113204756A/zh
Publication of KR20210098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727A/ko
Priority to KR1020210122599A priority patent/KR20210118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2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managing network security; network security policie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41User authentication where a single sign-on provides access to a plurality of comp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8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secure binding, e.g. securely binding identity modules to devices,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5Temporary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단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획득하는 단계, 제1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과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USING CHANGEABLE IDENTIFICATION VALUES OF THE USER TERMINAL }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관리하는 경우, 정보 유출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고정된 식별값을 이용하여 외부 계정과의 연결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고정된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값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관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기기 변경에 의해 연속적인 사용자 단말 관리가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보안성을 보장하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정된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 및 사용자 개인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단말 관리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획득하는 단계, 제1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과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지정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컨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획득하는 단계, 제2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 단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값과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값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정해진 컨텐츠를 더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고유값이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로그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과 대응되며, 상기 지정된 컨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은, 제3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상기 지정된 컨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장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획득하고, 제1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과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계정 정보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지정된 컨텐츠를 전송하며, 상기 지정된 컨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관리 시스템도 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방법에서 이용되는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일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방법에서 지정된 컨텐츠를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방법을 포함하는 단말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a, 10b, 10c), 단말 관리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를 포함하고, 몇몇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a, 10b, 10c)과 단말 관리 장치(100), 단말 관리 장치(100)와 외부 장치(20) 및 단말 관리 장치(100)와 컨텐츠 제공 장치(30)는 네트워크(40)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a, 10b, 10c)과 외부 장치(20)간 통신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a, 10b, 10c)과 컨텐츠 제공 장치(30)간 통신도 네트워크(4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10a, 10b, 10c)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은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 태블릿 PC 및 데스크탑 중 하나 일 수 있고, 스마트 워치 등 다양한 종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도 있으며, IOT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사용자 단말(10a, 10b, 10c) 통상 기기 고유 값이 지정되어 있으며, 기기 고유 값은 기기 식별을 위한 것이므로 공장 초기화를 수행하더라도 변경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많은 서비스 제공자들이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기기 고유 값의 일 예인 스마트폰 고유 값(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이용하나, 스마트폰 고유 값은 개인 정보의 일부이므로 유출되는 경우 그 피해가 상당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장치(100)는 변경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식별값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a, 10b, 10c)을 관리 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은 다른 디바이스와 상이한 해당 사용자 단말의 고유한 식별값이지만 사용자에 의해 변경 및 초기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 광고 식별자(ADID)를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이는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의 이해를 위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이 광고 식별자(ADID)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a, 10b, 10c) 각각의 가변 식별값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관리 장치(100)는 획득한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 그룹은 동일한 사용자의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단일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과 사용자의 식별값을 매핑할 수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계정 정보와 전술한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 그룹은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과 복수의 사용자의 식별값을 매핑할 수도 있고,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 그룹에 대한 식별값과 전술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매핑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그룹에 대한 식별값을 별도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그룹의 식별값과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그룹의 식별값과 매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식별값은 사용자마다 상이한 고유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값은 사용자가 정한 사용자 ID(Identification) 일 수 있고, 단말 관리 장치(100)가 임의로 부여한 사용자의 고유 식별 데이터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20)에는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장치(20)는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된 서드파티(Third party)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장치(100)는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 단말의 고정된 기기 고유 값뿐 아니라 사용자의 개인 정보도 획득 및/또는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장치(100)는 외부 장치(20)에서 획득한 사용자 계정 정보와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함으로써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전술한 단말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a, 10b, 10c)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관리 장치(100)가 별도의 컨텐츠 제공 장치(3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a, 10b, 10c)에 전달할 수도 있고, 컨텐츠 제공 장치(30)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a, 10b, 10c)로 직접 컨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공 장치(30)는 단말 관리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고, 이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30)와 단말 관리 장치(100)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하드웨어에서 동작하는 각각의 모듈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동일한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10a, 10b, 10c) 동일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고, 이 경우 컨텐츠는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사용자 식별값과 매핑된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은 동일한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단말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기초로 제2 사용자 단말에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지정된 컨텐츠를 전술한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제1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지정된 컨텐츠를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10a, 10b, 10c)에 전달되는 컨텐츠는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관리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 단말 정보뿐 아니라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정보, 과거에 이용한 사용자 단말의 정보 및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지정 및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단말 관리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 단말 관리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 단말 관리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1, 21, 101), 메모리(12, 22, 102), 프로세서(13, 23, 103) 및 통신 모듈(14, 24, 104)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 22, 102)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 22, 102)에는 사용자 단말(10), 단말 관리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설정, 카메라 영상, 그리고 물체의 포즈 데이터가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3, 23, 103)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2, 22, 102) 또는 통신 모듈(14, 24, 104)에 의해 프로세서(13, 23, 103)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 23, 103)는 메모리(12, 22, 10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03)는 통신 모듈(104)을 이용해 획득한 사용자 단말(10)의 가변 식별값을 기초로 해당 사용자 단말(10)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는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과 사용자의 식별값을 매핑할 수 있으며, 통신 모듈(104)을 통해 외부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계정 정보와 전술한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3)는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지정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고, 전술한 사용자 단말과 상이한 새로운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획득하고, 전술한 사용자와 상이한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새로운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새로운 사용자 단말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03)는 복수의 사용자간 또는 복수의 사용자의 식별자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새로운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이전의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정해진 컨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4, 24, 104)은 네트워크(40)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0)의 프로세서(13)가 메모리(1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14)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40)를 통해 단말 관리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단말 관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03)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네트워크(40)를 거쳐 통신 모듈(14)을 통해 사용자 단말(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4, 24, 104)을 통해 수신된 단말 관리 장치(10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13, 23, 103)나 메모리(12, 22, 102)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사용자 단말(10)이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의 가변 식별값은 사용자 단말의 통신 모듈(14)을 이용하여 네트워크(40)를 거쳐 단말 관리 장치(100)의 통신 모듈(104)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20)에 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는 외부 장치의 통신 모듈(24)을 이용하여 네트워크(40)를 거쳐 단말 관리 장치(100)의 통신 모듈(104)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4)은 외부 장치(20)와 네트워크(4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40)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40)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통신망일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 21, 101)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출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사용자 단말(1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0)의 식별값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10), 단말 관리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충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와 외부 장치(20)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단일 하드웨어에 포함된 모듈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 단말 관리 장치(1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3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중복 서술을 피하기 위해 도 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 및 단말 관리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은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3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 메모리(32), 프로세서(33) 및 통신 모듈(34)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30)는 통신 모듈(34)을 이용하여 네트워크(40) 단말 관리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30)와 단말 관리 장치(100)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는 단일 하드웨어에 포함된 별개의 모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30)의 프로세서(33)는 단말 관리 장치(100)에서 획득한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한 컨텐츠를 단말 관리 장치(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30)의 프로세서(33)는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동일한 사용자 식별값과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10)로 지정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30)에서 전송하는 컨텐츠가 광고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30)는 단말 관리 장치(100)에서 수신한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10)에 최적화된 광고 컨텐츠를 지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30)의 프로세서(33)는 단말 관리 장치(100)로부터 요청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0) 및/또는 단말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관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03)가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컨텐츠를 지정할 수 있고, 컨텐츠 제공 장치(30)는 단말 관리 장치(100)의 요청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네트워크(4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장치(30)에서 전송하는 컨텐츠가 광고 컨텐츠인 경우, 단말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 각각에 최적화된 광고 컨텐츠를 지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에서 상세히 서술한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방법의 순서가 도 4에 도시된 순서도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일부 단계의 생략 또는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단계 S110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이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값이다. 따라서,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로그 데이터 및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식별값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스마트폰인 경우 광고 식별자(ADID)를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단말 관리 장치는 스마트폰의 운영체제 마다 부여된 GAID(Google Advertising ID) 또는 IDFA(Identifier For Advertisers) 등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광고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의 이해를 위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이 광고 식별자(ADID)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단계 S120에서 제1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은 제1 사용자 식별값과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은 모두 동일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그룹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로 구성된 사용자 단말 그룹이 생성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서 특정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이 속한 사용자 단말 그룹의 정보를 알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단말 그룹에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또는 친구 등의 특정 관계가 있는 복수의 사용자의 경우 특정 사용자 단말 그룹에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등록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이 포함된 사용자 단말 그룹의 정보를 알 수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이 포함된 사용자 단말 그룹 정보를 확인할 수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간 관심사가 유사한 경우 또는 복수의 사용자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패턴이 유사한 경우 등 본 실시예의 경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복수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각각은 단말 관리 장치(100)에 의해 포함된 사용자 단말 그룹이 정해질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과 제1 사용자 식별값이 매핑될 수 있다. 단말 관리 장치(100)는 단일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과 사용자의 식별값을 매핑할 수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전술한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 그룹은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과 복수의 사용자의 식별값을 매핑할 수도 있고,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 그룹에 대한 식별값과 전술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매핑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그룹에 대한 식별값을 별도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그룹의 식별값과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그룹의 식별값과 매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식별값은 사용자마다 상이한 고유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값은 사용자가 정한 사용자 ID(Identification) 값일 수 있고, 단말 관리 장치(100)가 임의로 부여한 사용자의 고유 식별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소정의 규칙에 따라 부여된 사용자 식별값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사용 패턴 등의 정보를 기초로 소정의 규칙을 만족하는 사용자 식별값이 생성될 수도 있다.
이후, 단계 S140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제1 사용자 식별값이 매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장치(100)는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 단말의 고정된 기기 고유 값뿐 아니라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된 서드파티(Third party)인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외부 장치에서 획득한 사용자 계정 정보와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함으로써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함에 따라, 단계 S130에서 전술한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과 사용자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값 각각이 모두 동일한 사용자 식별값과 매핑되는 경우, 전술한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값 각각은 모두 동일한 사용자 정보와 매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150에서 선택적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지정된 컨텐츠가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전술한 단계 S110 내지 단계 S140을 수행한 후 단일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지정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별도의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전달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가 단말 관리 장치(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 직접 컨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반드시 컨텐츠 제공 장치와 단말 관리 장치가 분리된 하드웨어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컨텐츠 제공 장치는 단말 관리 장치(100)의 하드웨어 포함되는 모듈일 수 있고, 이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와 단말 관리 장치(100)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동일한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동일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이 경우 컨텐츠는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사용자 식별값과 매핑된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은 동일한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단말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기초로 제2 사용자 단말에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지정된 컨텐츠를 전술한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는 모두 동일한 컨텐츠가 전송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자의 목적에 따라 생성된 사용자 단말 그룹에 대하여 모두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단말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컨텐츠가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컨텐츠는 유사한 컨텐츠일 수 있고, 소정의 기준으로 그룹화된 복수의 컨텐츠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그룹에 전송되는 컨텐츠가 광고 컨텐츠인 경우, 소정의 기준에 따라 그룹화된 단일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광고 컨텐츠가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 상이한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각각 동일하거나 유사한 컨텐츠가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이한 복수의 사용자 식별값 각각과 매핑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그룹이 생성된 경우의 단말 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방법에서 이용되는 사용자의 인원 수 및 사용자 단말의 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단계 S160에서 전술한 제1 사용자와 상이한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이 획득 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과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도 제2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제2 사용자 단말의 고유 값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은 상술한 제2 사용자 단말의 AD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70에서 제2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 단말 그룹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 단말 그룹은 제2 사용자의 식별값과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사용자 단말 그룹은 소정의 조건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S180에서 제1 사용자의 식별값과 제2 사용자의 식별값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제1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지정된 컨텐츠를 제2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소정의 조건은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이용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이용 정보를 기초로 각 사용자간 관심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이용 기록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 이용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간 관심 정보가 동일하거나 유사한지, 사용자간 사용자 단말 이용 패턴이 동일하거나 유사한지 여부를 기초로 전술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값과 매핑된 서드파티 장치에서 획득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전술한 소정의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관리 장치(100)가 서드파티 장치에서 획득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간 관계 정보(예를 들어, 친구 관계, 가족 관계, 연락처 공유 관계 등)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단말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간 특정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전술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로 판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소정의 조건은 본원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조건이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에 전달되는 컨텐츠는 예를 들어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관리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 단말 정보뿐 아니라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정보, 과거에 이용한 사용자 단말의 정보 및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정보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지정 및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180의 제1 사용자의 식별값과 제2 사용자의 식별값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계 S190에서 제2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제1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정해진 컨텐츠가 더 전송될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컨텐츠는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컨텐츠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S180의 제1 사용자의 식별값과 제2 사용자의 식별값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전술한 일련의 단말 관리 방법을 종료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방법에서 이용되는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일 예시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구조, 매개변수의 이름, 매개변수의 타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 사용자 식별값 및 사용자 정보를 매핑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 DB에 저장된 테이블(210)은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ADID)이 기본키(PK; Primary Key)로 지정될 수 있고, 단말 관리 장치 DB(220)에 저장된 테이블은 사용자 식별값(SERVICE_ID)이 기본키로 지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 DB(230)에 저장된 테이블의 기본키는 사용자 정보(LOCAL_ID)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단말 관리 장치 DB(220)에 저장된 테이블은 사용자 단말 DB에 저장된 테이블(21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값(ADID) 및 외부 장치 DB(230)에 저장된 테이블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LOCAL_ID)를 각각 외래키(FK; Foreign Key) ADID 및 THIRD_PARTY_ID로 지정할 수 있고, 외래키를 이용하여 각각의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다.
단말 관리 장치 DB(220)를 참조할 때, 단말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값(SERVICE_ID)과 매핑된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ADID)을 참조하여 해당 가변 식별값(ADID)이 기본키(PK)인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관리 장치 DB(220)는 외부 장치의 기본키(예를 들어, 도 6의 'LOCAL_ID')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단말 관리 장치 DB는 기본키를 참조할 수 있는 외래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관리 장치 DB(220)는 외부 장치 DB(230)의 기본키 LOCAL_ID 와 대응되는 외래키 THIRD_PARTY_ID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 관리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고, 단말 관리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의 조건 만족 여부 또는 지정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지정하기 위한 소정의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DB 는 서로 다른 외부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관리 장치 DB는 동일한 사용자의 복수의 외부 장치의 기본키를 외래키로 저장할 수 있고, 상술한 복수의 외부 장치의 기본키는 모두 동일한 사용자 식별값과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1과 사용자 단말 2가 모두 동일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일 경우를 가정할 때, 사용자 단말 1의 DB(310a)가 포함하는 외부 장치의 사용자 정보('THIRD_PARTY_1_ID')와 사용자 단말 2의 DB(310b)가 포함하는 외부 장치의 사용자 정보('TTHRID_PARTY_2_ID')는 각각 상이한 외부 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관리 장치가 각각 상이한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사용자의 정보는 모두 동일한 사용자의 정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장치는 동일한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외부 장치의 기본키를 하나의 사용자 식별값과 매핑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관리 장치 DB(320)는 외부 장치 1의 DB(330a)의 기본키 'LOCAL_1_ID'과 외부 장치 2의 DB(330b)의 기본키 'LOCAL_2_ID'를 단일 사용자 식별값 'SERVICE_ID'과 대응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 관리 장치는 다양한 외부 장치로부터 많은 양의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단말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의 조건 만족 여부 또는 지정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지정하기 위한 소정의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방법에서 지정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제1 사용자(410) 식별값을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 그룹(411)이 생성되고, 제2 사용자(420) 식별값을 기초로 제2 사용자 단말 그룹(421)이 생성되었다고 가정하고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단말 그룹(411)은 사용자 단말 A(412) 및 사용자 단말 B(413)를 포함하고, 제2 사용자 단말 그룹(421)은 사용자 단말 a(422), 사용자 단말 b(423) 및 사용자 단말 c(424)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 그룹에 지정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지정된 컨텐츠는 반드시 단말 관리 장치(100)에서 제1 사용자 단말 그룹(411) 및 제2 사용자 단말 그룹(421)으로 전송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 관리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30)에서 네트워크(40)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동일한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동일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 그룹(411)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 A(412) 및 사용자 단말 B(413)에 동일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 관리 장치(100)는 제2 사용자 단말 그룹(421)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 a(422), 사용자 단말 b(423) 및 사용자 단말 c(424)에 동일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단말 그룹(411) 및 제2 사용자 단말 그룹(421)에 전송되는 컨텐츠는 각각 제1 사용자(410) 식별값과 제2 사용자(420) 식별값을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정해지는 컨텐츠는 예를 들어 상술한 사용자 식별값과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 및/또는 상술한 사용자 식별값과 대응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정보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 그룹(411)에 전달되는 컨텐츠는 제1 사용자(410)의 사용자 단말 A(412) 이용 정보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 그룹(421)에 전달되는 컨텐츠는 제2 사용자(420)의 특정 정보를 기초로 정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컨텐츠는 유사한 컨텐츠일 수 있고, 소정의 기준으로 그룹화된 복수의 컨텐츠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그룹에 전송되는 컨텐츠가 광고 컨텐츠인 경우, 소정의 기준에 따라 그룹화된 단일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광고 컨텐츠가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410)와 제2 사용자(420)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사용자(410)의 식별값을 기초로 정해진 컨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 그룹(421)에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420)의 식별값을 기초로 정해진 컨텐츠를 제1 사용자 단말 그룹(411)에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소정의 조건은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이용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될 수도 있다. 도 8은 제1 사용자(410)와 제2 사용자(420)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A(412)의 이용 정보를 기초로 정해진 컨텐츠를 제1 사용자 단말 그룹(411) 및 제2 사용자 단말 그룹(421)에 전송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단말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이용 정보를 기초로 각 사용자간 관심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이용 기록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 이용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간 관심 정보가 동일하거나 유사한지, 사용자간 사용자 단말 이용 패턴이 동일하거나 유사한지 여부를 기초로 전술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값과 매핑된 외부 장치(예를 들어, 서드파티 장치)에서 획득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전술한 소정의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관리 장치(100)가 외부 장치에서 획득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간 관계 정보(예를 들어, 친구 관계, 가족 관계, 연락처 공유 관계 등)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단말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간 관계 정보가 특정 관계를 가리키는 한하여 전술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로 판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소정의 조건은 본원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조건이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획득하는 단계;
    제1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과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지정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컨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정해진,
    단말 관리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제2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획득하는 단계;
    제2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 단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값과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값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정해진 컨텐츠를 더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관리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고유값이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로그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과 대응되며,
    상기 지정된 컨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실행되는,
    단말 관리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은,
    제3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상기 지정된 컨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정해진,
    단말 관리 방법.
  6.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획득하고, 제1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과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계정 정보와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매핑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지정된 컨텐츠를 전송하며, 상기 지정된 컨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값을 기초로 정해진,
    단말 관리 장치.
KR1020200012627A 2020-02-03 2020-02-03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304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627A KR102304438B1 (ko) 2020-02-03 2020-02-03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17/165,287 US20210243228A1 (en) 2020-02-03 2021-02-02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using changeable identification values of the user terminal
CN202110148935.4A CN113204756A (zh) 2020-02-03 2021-02-03 利用用户终端的可变识别值管理多用户终端的方法及其装置
KR1020210122599A KR20210118013A (ko) 2020-02-03 2021-09-14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627A KR102304438B1 (ko) 2020-02-03 2020-02-03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599A Division KR20210118013A (ko) 2020-02-03 2021-09-14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727A KR20210098727A (ko) 2021-08-11
KR102304438B1 true KR102304438B1 (ko) 2021-09-24

Family

ID=770253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627A KR102304438B1 (ko) 2020-02-03 2020-02-03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10122599A KR20210118013A (ko) 2020-02-03 2021-09-14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599A KR20210118013A (ko) 2020-02-03 2021-09-14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43228A1 (ko)
KR (2) KR102304438B1 (ko)
CN (1) CN1132047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75B1 (ko) * 2016-08-24 2017-12-0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통신방식을 이용한 수신자 응답 기반 상황 대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1283B2 (en) * 2011-03-14 2019-03-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oaming groups in a peer-to-peer network
KR101730539B1 (ko) * 2015-05-27 2017-04-27 (주)위니텍 위치기준 능동적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N105306259B (zh) * 2015-09-28 2018-10-1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6375784A (zh) * 2016-08-31 2017-02-01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评论节目和提供节目的评论信息的方法和装置
CN113014568B (zh) * 2016-10-10 2023-06-30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账户登录方法、设备和服务器
CN107948255B (zh) * 2017-11-13 2019-09-03 苏州达家迎信息技术有限公司 App的推送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566299B (zh) * 2018-04-20 2021-02-19 浪潮集团有限公司 一种物联网云平台终端组管理方法
CN109525612B (zh) * 2019-01-15 2021-06-04 北京云中融信网络科技有限公司 多端消息加密传输方法及系统
CN110727678B (zh) * 2019-09-25 2021-01-01 湖南新云网科技有限公司 用户信息与移动终端的绑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75B1 (ko) * 2016-08-24 2017-12-0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통신방식을 이용한 수신자 응답 기반 상황 대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43228A1 (en) 2021-08-05
KR20210098727A (ko) 2021-08-11
CN113204756A (zh) 2021-08-03
KR20210118013A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9573B1 (en) Selective regulation of information transmission from mobile applications to third-party privacy compliant target systems
KR101227707B1 (ko) 콘텍스트 정보 이용 제어 방법,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 및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CN104081713B (zh) 云计算环境中的服务器和客户机的远程信任认证和地理位置
CN104094576B (zh) 基于云服务之间的信任关系整合不同的云服务数据和行为
CN107026832B (zh) 账户登录方法、设备和服务器
US201803436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US10009328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ivacy preserving interaction with a computing system
KR102218693B1 (ko) 복수의 심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616784B2 (en) Personal-public service set identifiers connection implemented by a WAP
CN103999120A (zh) 与接近装置共享用户信息
US10546126B2 (en) Method for detecting the tampering of application cod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60100760A (ko)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493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 인증 방법
KR102614445B1 (ko) 메신저 봇을 이용하여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20230334353A1 (en) Intelligent signal matching of disparate input data in complex computing networks
US10382414B2 (e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service account authentication
KR102304438B1 (ko) 사용자 단말의 가변 식별값을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00746A (ko)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914592B2 (en) Navigation in an establishment site for a user us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2582398B1 (ko)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01912B2 (en) Automated home memory cloud with key authenticator
CN111625288A (zh) 应用程序的启动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Abdulla et al. ICMS: A Flexible Location-Based Access Control System for Mobi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