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210B1 -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침대헤드 - Google Patents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침대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210B1
KR102304210B1 KR1020210011963A KR20210011963A KR102304210B1 KR 102304210 B1 KR102304210 B1 KR 102304210B1 KR 1020210011963 A KR1020210011963 A KR 1020210011963A KR 20210011963 A KR20210011963 A KR 20210011963A KR 102304210 B1 KR102304210 B1 KR 10230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rifier
bed
air
intake port
bed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선
Original Assignee
황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선 filed Critical 황영선
Priority to KR1020210011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2Head or foot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침대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헤드는 상기 수납부(11)의 후측면에는 침대본체(A)의 후측으로 개방된 흡기구(13)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는 공기정화기(20)가 상기 흡기구(13)를 막도록 구비되어, 공기정화기(20)를 작동시키면 침대헤드(B)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침대헤드(B)의 전방, 즉, 침대에 누워있는 사용자 쪽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별도로 공기정화기(20)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침대에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침대헤드{bed head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침대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된 침대본체(A)와, 상기 침대본체(A)의 일측에 구비된 침대헤드(B)로 구성된다.
상기 침대헤드(B)는 높이가 상기 침대본체(A)에 비해 높게 구성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는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수납부(11)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한편, 최근 들어, 공기오염이 심해짐에 따라 공기정화기를 실내에 설치하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그런데, 실내에 이러한 공기정화기를 설치할 경우, 설치장소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공기정화기를 설치할 때는 사용자가 공기정화기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정화기를 침대에서 떨어진 곳에 설치하게 됨으로, 침대에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공기정화기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실용신안 20-2019-000109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침대헤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침대본체(A)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면에는 수납부(11)가 오목하게 형성된 침대헤드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의 후측면에는 침대본체(A)의 후측으로 개방된 흡기구(13)가 형성되고, 후측면에 흡기공(21a)이 형성되고 전면에 배기공(21b)이 형성되며 후측면이 상기 흡기구(13)를 막도록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 구비된 공기정화기(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헤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11)의 일측과 상기 공기정화기(20)의 일측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자석부재(14)와 자성체(24)가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재(14)와 자성체(24)에 의해 공기정화기(20)가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헤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기(20)의 케이스(21)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구동모터(25a)에 의해 구동되어 공기정화기(20)의 측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구동휠(25)과, 상기 케이스(21)의 후측면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정화기(20)가 상기 흡기구(13)를 막도록 위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초음파센서(26,27)와, 상기 제1 및 제2 초음파센서(26,27)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구동모터(25a)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공기정화기(20)가 상기 흡기구(13)를 막도록 공기정화기(20)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제어수단(2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헤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헤드는 상기 수납부(11)의 후측면에는 침대본체(A)의 후측으로 개방된 흡기구(13)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는 공기정화기(20)가 상기 흡기구(13)를 막도록 구비되어, 공기정화기(20)를 작동시키면 침대헤드(B)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침대헤드(B)의 전방, 즉, 침대에 누워있는 사용자 쪽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별도로 공기정화기(20)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침대에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침대의 침대헤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헤드가 구비된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헤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헤드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헤드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헤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헤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헤드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헤드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헤드를 도시한 것으로, 침대본체(A)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면에는 수납부(11)가 오목하게 형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수납부(11)의 후방에는 막음판(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1)의 후측면에는 침대본체(A)의 후측으로 개방된 흡기구(13)가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13)는 상기 막음판(12)의 하측에, 상기 수납부(11)의 내부 하측면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는 공기정화기(20)가 상기 배기공(21b)을 막도록 구비된다.
상기 공기정화기(20)는 후측면에 흡기공(21a)이 형성되고 전면에 배기공(21b)이 형성된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재(22)와,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된 환기팬(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1)는 사각 박스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부재(22)는 헤파필터와 탄소필터를 이용한다.
상기 수납부(11)의 일측과 상기 공기정화기(20)의 일측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자석부재(14)와 자성체(24)가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납부(11)의 후방 하측에는 상기 자석부재(14)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21)의 후측면 하부에는 상기 자석부재(14)에 대응되도록 자성체(24), 즉, 금속판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정화기(20)를 후측면이 상기 흡기구(13)를 막도록 상기 막음판(12)에 밀착시키면, 상기 자성체(24)가 자석부재(14)에 부착되어, 공기정화기(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환기팬(23)을 구동시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침대헤드(B)의 후방에 있는 공기가 상기 흡기구(13)와 흡기공(21a)을 통해 케이스(21)의 내부로 흡입된 후, 상기 필터부재(22)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배기공(21b)을 통해 케이스(21)의 전방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침대헤드는 상기 수납부(11)의 후측면에는 침대본체(A)의 후측으로 개방된 흡기구(13)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는 공기정화기(20)가 상기 흡기구(13)를 막도록 구비되어, 공기정화기(20)를 작동시키면 침대헤드(B)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침대헤드(B)의 전방, 즉, 침대에 누워있는 사용자 쪽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별도로 공기정화기(20)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침대에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1)의 일측과 상기 공기정화기(20)의 일측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자석부재(14)와 자성체(24)가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재(14)와 자성체(24)에 의해 공기정화기(20)가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됨으로, 공기정화기(20)의 사용중에 공기정화기(2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정화기(20)를 분리하여 공기정화기(20)를 손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공기정화기(20)는 자석부재(14)와 자성체(24)를 이용하여 수납부(11)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공기정화기(20)를 수납부(11)에 고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공기정화기(20)의 케이스(21)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구동모터(25a)에 의해 구동되어 공기정화기(20)의 측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구동휠(25)과, 상기 케이스(21)의 후측면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정화기(20)가 상기 흡기구(13)를 막도록 위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초음파센서(26,27)와, 상기 제1 및 제2 초음파센서(26,27)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구동모터(25a)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공기정화기(20)가 상기 흡기구(13)를 막도록 공기정화기(20)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제어수단(28)이 더 구비된다.
상기 구동휠(25)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로 구성되며 전후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케이스(21)의 하측면 모퉁이 부분에 구비되어, 구동모터(25a)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공기정화기(20)가 측방향을 위치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초음파센서(26,27)는 후방으로 초음파를 출력하고, 출력된 초음파가 상기 막음판(12)에 반사되면 이를 수신함으로써, 공기정화기(20)가 상기 막음판(12)에 형성된 흡기구(13)를 막도록 위치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초음파센서(26,27)의 측방향 간격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기구(13)의 측방향 폭에 비해 조금 좁게 구성되어, 상기 공기정화기(20)가 상기 흡기구(13)를 정확히 막도록 위치되면, 상기 제1 및 제2 초음파센서(26,27)가 상기 흡기구(13)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정화기(20)가 흡기구(13)를 정확히 막지 못하고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위치되면, 상기 제1 또는 제2 초음파센서(27)가 흡기구(13)를 벗어나 상기 막음판(12)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실수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정화기(20)를 정해진 위치에 비해 좌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하면, 상기 제1 초음파센서(26)는 흡기구(13) 좌측의 막음판(12)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초음파센서(27)는 흡기구(13)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제1 초음파센서(26)가 막음판(12)의 전방에 위치될 경우, 제1 초음파센서(26)에서 출력된 초음파가 막음판(12)에 반사되어 제1 초음파센서(26)에 수신됨으로, 상기 제어수단(28)은 제1 및 제2 초음파센서(26,27)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서, 공기정화기(20)가 상기 흡기구(13)를 막도록 위치되었는지, 아니면, 흡기구(13)의 전방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침대헤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공기정화기(20)를 상기 수납부(11)에 설치하고, 공기정화기(20)의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제어수단(28)은 상기 제1 및 제2 초음파센서(26,2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기정화기(20)가 상기 흡기구(13)를 막도록 위치되었는지, 아니면, 흡기구(13)의 전방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었는지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기(20)가 상기 흡기구(13)의 전방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될 경우,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정화기(20)가 흡기구(13)의 좌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경우, 상기 제어수단(28)은 상기 제1 및 제2 초음파센서(26,27)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구동모터(25a)를 제어하여 구동휠(25)을 회전시킴으로써,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정화기(2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흡기구(13)를 막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침대헤드는 사용자가 공기정화기(20)의 필터부재(22)를 교체하는 등과 같이 공기정화기(20)를 유지보수한 후, 다시 공기정화기(20)를 수납부(11)에 설치할 때, 공기정화기(20)를 흡기구(13)의 전방에 정확히 배치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수단(28)이 제1 및 제2 초음파센서(26,27)의 신호를 피드백하고 구동모터(25a)를 제어하여, 공기정화기(2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공기정화기(20)가 정확하게 흡기구(13)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B. 침대헤드 11. 수납부
12. 막음판 13. 흡기구
20. 공기청정기

Claims (3)

  1. 침대본체(A)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면에는 수납부(11)가 오목하게 형성된 침대헤드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의 후측면에는 침대본체(A)의 후측으로 개방된 흡기구(13)가 형성되고, 후측면에 흡기공(21a)이 형성되고 전면에 배기공(21b)이 형성되며 후측면이 상기 흡기구(13)를 막도록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 구비된 공기정화기(2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기(20)의 케이스(21)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구동모터(25a)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공기정화기(20)의 측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구동휠(25)과,
    상기 케이스(21)의 후측면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정화기(20)가 상기 흡기구(13)를 막도록 위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초음파센서(26,27)와,
    상기 제1 및 제2 초음파센서(26,27)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구동모터(25a)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공기정화기(20)가 상기 흡기구(13)를 막도록 공기정화기(20)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제어수단(2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침대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의 일측과 상기 공기정화기(20)의 일측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자석부재(14)와 자성체(24)가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재(14)와 자성체(24)에 의해 공기정화기(20)가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침대헤드.
  3. 삭제
KR1020210011963A 2021-01-28 2021-01-28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침대헤드 KR102304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963A KR102304210B1 (ko) 2021-01-28 2021-01-28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침대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963A KR102304210B1 (ko) 2021-01-28 2021-01-28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침대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210B1 true KR102304210B1 (ko) 2021-09-23

Family

ID=7792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963A KR102304210B1 (ko) 2021-01-28 2021-01-28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침대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283B1 (ko) * 2022-12-19 2023-10-10 이병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5032B2 (ja) * 1993-05-28 2004-10-06 松下電工株式会社 空気清浄器及び空気清浄装置
KR20170132063A (ko) * 2016-05-23 2017-12-01 김명원 차량에 장치된 주행 중 대기 먼지 포집장치
KR101936749B1 (ko) * 2012-09-28 2019-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이온 발생 장치
KR20190001092U (ko) 2017-10-30 2019-05-09 박인철 침대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5032B2 (ja) * 1993-05-28 2004-10-06 松下電工株式会社 空気清浄器及び空気清浄装置
KR101936749B1 (ko) * 2012-09-28 2019-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이온 발생 장치
KR20170132063A (ko) * 2016-05-23 2017-12-01 김명원 차량에 장치된 주행 중 대기 먼지 포집장치
KR20190001092U (ko) 2017-10-30 2019-05-09 박인철 침대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283B1 (ko) * 2022-12-19 2023-10-10 이병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4302B2 (en) Portable air purifier
US7632340B2 (en) Air purifier for removing particles or contaminants from air
US20070221061A1 (en) Air purifier
KR102304210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침대헤드
CN203907766U (zh) 空气调节机
WO2006137650A1 (en) Indoor floating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convection flow
KR20100019824A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3040708A (ja) 空気調和機
KR100653955B1 (ko) 차량의 리어셀프에 설치되는 내장형 공기청정기
KR102111216B1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
JP5850677B2 (ja) 空気清浄機及びイオン発生ユニット
KR20100060925A (ko) 먼지 센서와 습도 센서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663014B1 (ko) 공기 청정기
KR100669026B1 (ko) 공기정화장치
KR102586283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침대
KR100797154B1 (ko) 냉장고용 공기청정기
KR20210024817A (ko) 강제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TW202024543A (zh) 空氣清淨裝置
KR20210051764A (ko) 스마트 환기시스템
JPH088969B2 (ja) 空気清浄機
JP6168109B2 (ja) 空気清浄装置
JP2754357B2 (ja) 煙浄化装置付台
CN211503077U (zh) 一种磁悬浮静电集尘空气净化器
JP5983801B2 (ja) 空気調和機
CN212111305U (zh) 一种多传感器集成模块化手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