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186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186B1
KR102304186B1 KR1020140190790A KR20140190790A KR102304186B1 KR 102304186 B1 KR102304186 B1 KR 102304186B1 KR 1020140190790 A KR1020140190790 A KR 1020140190790A KR 20140190790 A KR20140190790 A KR 20140190790A KR 102304186 B1 KR102304186 B1 KR 102304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il
roller
brack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441A (ko
Inventor
이쿠마 후쿠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1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9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일면이 개구되어 의류가 출입할 수 있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열 수 있는 도어개폐부와 상기 도어를 잠그고 해제할 수 있는 도어잠금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개폐부는 상기 도어에 연결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연결된 롤러와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여, 상기 도어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과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를 위로 올리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도어개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동시에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일면이 개구되어 의류가 출입할 수 있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도어는 상기 투입구의 일측에서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도어에 구비된 잠금해제장치를 손으로 눌러야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즉, 상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회전 반경에 해당하는 공간이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필요하며, 사용자는 도어를 열기 위하여 빨래 바구니를 놓고, 상기 잠금해제장치를 손으로 작동시켜야 한다.
이 경우,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이 협소한 경우 도어를 열고 닫기가 불편한 문제가 되며,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개방된 도어는 사용자의 동선 또는 빨래 바구니 등에 간섭되어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빨래를 하기 위하여 빨래 바구니를 바닥에 내려놓고, 도어를 개방하고, 빨래를 넣는 세개의 단계가 필요해 가사 노동의 효율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이 협소하여도 도어를 열고 닫기 편리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나 빨래 바구니 등에 간섭되지 않는 의류처리장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빨래 바구니를 바닥에 놓지 않고, 도어를 열고, 바로 빨래를 넣을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일면이 개구되어 의류가 출입할 수 있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열 수 있는 도어개폐부와 상기 도어를 잠그고 해제할 수 있는 도어잠금해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개폐부는 상기 도어에 연결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연결된 롤러와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여, 상기 도어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과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를 위로 올리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는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와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롤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은 상부롤러가 가이드되는 상부레일과 하부롤러가 가이드되는 하부레일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가 구비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도어 사이를 연결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레일은 상기 상기 롤러를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3레일과 상기 제3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제1각도로 구비되는 제1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일은 상기 제3레일과 상기 제1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제2각도로 구비되는 제2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일은 상기 제3레일의 끝단에 수평한 방향으로 구비된 제4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가 상기 제4레일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는 평면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잠금해제부는 상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는 도어에 구비된 후크와 상기 후크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후크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잠금해제부는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해제부는 사용자가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누를 수 있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누름 힘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이 협소하여도 도어를 열고 닫기 편리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나 빨래 바구니 등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평상시 도어를 개방시켜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곰팡이 등의 번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빨래 바구니를 바닥에 놓지 않고, 도어를 열고, 바로 빨래를 넣을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포함된 도어개폐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잠금이 해제된 상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도어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도어가 상측으로 개방된 상태도 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의 일면이 개구되어 의류가 출입할 수 있는 투입구(11)와 상기 투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2)와 상기 도어(2)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열 수 있는 도어개폐부(8)와 상기 도어(2)를 잠그고 해제할 수 있는 도어잠금해제부(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도어(2)는 통상의 의류처리장치(100)와 같이 캐비닛(1)에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상측으로 수직하게 이동시켜 개방되므로 상기 캐비닛(1)의 전방에 도어(2)의 회전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될 수 있는 터브(3)와 상기 터브(3)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될 수 있는 드럼(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4)을 회전 시키기 위한 구동부(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부에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6)와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개폐부(8)는 상기 도어(2)에 연결된 브라켓(81)과 상기 브라켓(81)에 연결된 롤러(83)와 상기 롤러(83)를 가이드하는 레일(85)과 상기 브라켓(81)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2)를 위로 올리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8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브라켓(81), 롤러(83), 레일(85), 탄성부재(87)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브라켓(81)은 상기 롤러(83)가 구비되는 제1브라켓(81a)과 상기 도어(2)의 배면과 상기 제1브라켓(81a) 사이를 연결하는 제2브라켓(8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브라켓(81a)은 소정의 길이(L)로 수직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브라켓(81b)은 상기 도어(2)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이후 상기 도어(2)가 상측으로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도어(2)와 상기 캐비닛(1) 사이의 거리를 결정한다.
상기 롤러(83)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상기 브라켓(81)에 연결되며, 상기 제1브라켓(81a)의 양단에서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롤러(83a)와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롤러(83b)로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롤러(83a)와 하부롤러(83b)는 상기 제1브라켓(81a)의 길이에 해당되는 소정의 길이(L)로 떨어져 구비된다.
상기 상부롤러(83a)와 하부롤러(83b)를 구비하는 이유는 하나의 롤러(83)만 있으면 상기 도어(2)가 이동하면서 앞과 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레일(85)은 상기 상부롤러(83a)가 가이드되는 상부레일(85a)과 상기 하부레일(85b)이 가이드되는 하부레일(85b)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레일(85a)과 하부레일(85b)은 상기 상부롤러(83a)와 하부롤러(83b)가 떨어진 거리, 즉 소정의 길이(L)에 해당하는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비닛(1)의 측벽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레일(85a)과 하부레일(85b)은 구조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부레일(85b)에 대해서면 설명한다. 즉, 하부레일(85b)에 관한 설명은 상부레일(85a)에 대하여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레일(85b)은 상기 하부롤러(83b)를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다. 즉, 상기 하부레일(85b)의 단면을 보면 'ㄷ'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개구된 일면으로 상기 하부롤러(83b)가 삽입되고, 나머지 면에 하부롤러(83b)가 가이드된다.
상기 하부레일(85b)은 상기 하부롤러(83b)를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3레일(855)과 상기 제3레일(855)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롤러(83b)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제1각도로 구비되는 제1레일(851)을 포함한다.
상기 제3레일(855)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롤러(83b)를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2)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851)은 상기 제1각도로 구비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1각도란 캐비닛(1) 내부에서 상기 제1레일(851)이 상기 도어(2)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이루는 선과 상기 캐비닛(1)이 구비된 지상과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의류처리장치(100)의 도어(2)는 캐비닛(1)의 표면에 구비된 것이 아니라, 오목하게 단차진 투입구(11) 내부에 구비되므로, 도어(2)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도어(2)를 전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하부레일(85b)은 상기 제3레일(855)과 상기 제1레일(851) 사이에 구비되는 제2레일(8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853)은 제2각도로 구비되며, 여기서, 상기 제2각도는 상기 제1각도 보다는 크고, 90도 보다는 작은 각도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2)가 상기 탄성부재(87)의 도움으로 상측으로 이동할 때 제1레일(851)을 통과한 하부롤러(83b)가 상기 제3레일(855)을 급격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2)가 빠르게 상측으로 이동하기 않아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롤러(83b)가 가이드에서 천천히 이동하여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레일(85b)은 상기 제3레일(855)의 끝단에 수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4레일(8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레일(857)은 상기 하부롤러(83b)의 스토퍼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하부롤러(83b)가 상기 제3레일(855)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측으로 이동할 뒤 상기 제4레일(857)에 안착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2)는 상기 탄성부재(87)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상측에서 지지되고 있지만 상기 도어(2)의 무게나 외력에 의해 탄성부재(87)의 탄성력이 작용하기 않는 상황에 상기 도어(2)가 급격히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87)는 탄성력을 가진 어떠한 물질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코일스프링(미도시)으로도 구비될 수 있고, 평면스프링(87)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평면스프링(87)이란 금속 재질의 얇은 판을 롤 형태로 가로로 길게 말아 둥글게 감은 것으로, 일단을 잡아 당기면 평평하게 펴진 금속 판은 원래 형태로 되돌아 가려는 복원력이 작용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생략한다.
상기 탄성부재(87)는 상기 브라켓(81)에 연결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브라켓(81a)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87)는 상기 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는 최대한 인장된 상태가 되어 복원되려는 탄성부재(87)의 탄성력이 최대가 되며, 상기 도어(2)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재(87)는 상기 도어(2)를 상측으로 끌어 올려 도어(2)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87)는 상기 도어(2)가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도어(2)를 닫기 위하여 사용자가 도어(2)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때는 도어(2)가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도 하게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 도어잠금해제부(9)를 설명한다.
상기 도어잠금해제부(9)는 상기 도어(2)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부(91)와 상기 도어(2)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부(93)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부(91)는 상기 도어(2)의 배면에 구비된 후크(911)와 상기 후크(911)가 끼워져 상기 도어(2)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는 후크홀(9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부(93)는 사용자가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버튼부(931)와 상기 버튼부(931)의 누름 힘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2)의 잠금을 해제하는 작동부(933)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931)는 사용자에 의해 눌리워지는 버튼부재(9311)와 상기 버튼부재(9311)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재(9311)가 눌리워졌을 때 원래 상태로 버튼부재(9311)를 되돌릴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버튼스프링(9313)과 상기 버튼부재(9311)와 상기 버튼스프링(9313)을 가이드하는 버튼가이드(93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부(931)는 상기 도어(2)의 하측인 캐비닛(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빨래 바구니 등을 들고 있는 손 대신에 발이나 무릅을 이용하여 상기 버튼부(931)를 누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933)는 상기 버튼부재(9311)의 끝단에 연결된 링크(9331)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9331)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회전출(933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재(9311)에 의해 상기 링크(9331)의 일측이 회전하면, 상기 링크(9331)의 타측이 상기 도어(2)를 밀어서 상기 후크(911)를 상기 후크홀(913)에서 빠지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5 및 6을 참조하여, 상기 도어(2)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의 후면에 구비된 후크(911)가 상기 후크홀(913)에 끼워진 상태로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931)를 눌러 상기 링크(9331)를 회전시키고, 상기 링크(9331)에 의해 도어(2)가 밀리면서 상기 후크(911)를 후크홀(913)을 탈출한다.(도 4의 상태)
그 다음, 상기 도어(2)의 배면에 구비된 브라켓(81)에 연결된 탄성부재(87)는 인장된 상태에 있으므로 탄성부재(87)의 복원력으로 상기 브라켓(81)을 상측으로 잡아 당긴다.(도5의 상태)
상기 브라켓(81)에 구비된 상부롤러(83a)와 하부롤러(83b)는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상부레일(85a)과 하부레일(85b)에 각각 가이드된다.
이 때, 상부레일(85a)과 하부레일(85b)은 제1레일(851)을 통과하면서 상기 도어(2)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레일(853)을 통해서 조금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후에 상기 상부레일(85a)과 하부레일(85b)은 상기 제3레일(855)을 통과하면서, 수직하게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도어(2)도 상측으로 이동한다.(도 6의 상태)
상기 상부레일(85a)과 하부레일(85b)은 상기 제3레일(855)을 통과한 후 상기 제4레일(857)에 안착되어 상기 도어(2)가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상기 도어(2)를 닫는 과정은 여는 과정의 반대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1: 캐비닛 2: 도어
81: 브라켓 83: 롤러
85: 레일 87: 탄성부재
91: 잠금부 93: 해제부

Claims (1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일면이 개구되어 의류가 출입할 수 있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열 수 있는 도어개폐부;
    상기 도어를 잠그고 해제할 수 있는 도어잠금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개폐부는 상기 도어에 연결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연결된 롤러;와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여, 상기 도어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과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를 위로 올리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와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상부롤러가 가이드되는 상부레일;과
    하부롤러가 가이드되는 하부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가 구비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도어 사이를 연결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상기 롤러를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3레일;과
    상기 제3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제1각도로 구비되는 제1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제3레일과 상기 제1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제2각도로 구비되는 제2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제3레일의 끝단에 수평한 방향으로 구비된 제4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가 상기 제4레일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평면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잠금해제부는 상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는 도어에 구비된 후크;와 상기 후크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후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잠금해제부는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부는 사용자가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누를 수 있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누름 힘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40190790A 2014-12-26 2014-12-26 의류처리장치 KR102304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790A KR102304186B1 (ko) 2014-12-26 2014-12-26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790A KR102304186B1 (ko) 2014-12-26 2014-12-2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441A KR20160079441A (ko) 2016-07-06
KR102304186B1 true KR102304186B1 (ko) 2021-09-23

Family

ID=56502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790A KR102304186B1 (ko) 2014-12-26 2014-12-2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654B1 (ko) * 2019-12-19 2021-01-2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846B1 (ko) * 2004-10-22 2007-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100673445B1 (ko) * 2004-10-25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측 개방형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441A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3531B2 (en) Washing machine
KR101414628B1 (ko) 의류 처리장치
USRE48487E1 (en) Washing machine
US20080072632A1 (en) Washing machine
KR101708679B1 (ko) 드럼세탁기
US9057151B2 (en) Door assembly of a drum type washing machine
US9777422B2 (en) Detergent case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US11629451B2 (en) Washing machine
JP6373569B2 (ja) 洗濯物処理機器
JP3664689B2 (ja) ドアロック装置を備えた洗濯機
KR10194024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04186B1 (ko) 의류처리장치
EP2065506B1 (en) Laundry machine
JP2018038464A (ja) 衣類乾燥機
KR101771592B1 (ko) 세탁기
KR101370293B1 (ko)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KR101431448B1 (ko) 세탁기
US10378138B2 (en) Washing machine
KR101144780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KR102437482B1 (ko) 록킹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기기
JP2017046979A (ja) 衣類処理装置
KR20120056713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제어 방법
KR20060098843A (ko) 세탁물 처리 기기
KR101373622B1 (ko) 도어 안전장치를 갖는 드럼세탁기
JP2017046978A (ja) 衣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