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915B1 - Screener for removeig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of whole cottonseeds - Google Patents

Screener for removeig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of whole cottonsee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915B1
KR102303915B1 KR1020190134498A KR20190134498A KR102303915B1 KR 102303915 B1 KR102303915 B1 KR 102303915B1 KR 1020190134498 A KR1020190134498 A KR 1020190134498A KR 20190134498 A KR20190134498 A KR 20190134498A KR 102303915 B1 KR102303915 B1 KR 102303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drum
cotton
cotton yarn
foreign substances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0179A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배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지선 filed Critical 배지선
Priority to KR102019013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915B1/en
Publication of KR2021005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1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9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실집합체(24)로부터 면실(25)을 분리하고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면실집합체내 이물질제거용 정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선기는 상류측에 상기 면실집합체(24)가 공급되는 유입구(20)와 하류측에 상기 면실(25)이 분리되고 남은 면섬유의 솜덩어리(즉, 솜 벌크) 등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유출구(22)를 가지고, 둘레 전체에 다수의 타공(10)이 형성되며, 기대(18)에 상기 유입구(20)로부터 상기 유출구(22)를 향해 하향하여 경사지게 축설되는 중심의 회전축(14)을 가지고, 내부면에 상기 회전축(14)을 향하여 돌출되고 주연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개의 돌출핀(26)을 갖는 원통형 드럼(12);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상기 상류측 유입구(20) 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20) 측으로 상기 면실집합체(24)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슈트(28);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상기 하류측 유출구(22) 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구(22) 측으로부터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슈트(30);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상기 타공(10)을 통과한 면실(25)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슈트(32)와;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측면에 해당하는 외주면에 탄지수단(38)에 의하여 날카로운 선단부(36)가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측면에서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축선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판상의 스크랩퍼(3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rting machin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cotton thread assembly for separating the cotton yarn 25 from the cotton yarn assembly 24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e siev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let 20 through which the cotton yarn assembly 24 is supplied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cotton yarn 25 on the downstream side,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a lump of cotton fibers remaining after separation (ie, cotton bulk) are discharged. Having an outlet 22,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10 are formed on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a central rotating shaft 14 that is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inlet 20 to the outlet 22 on the base 18. a cylindrical drum (12) having, on its inner surface, several protruding pins (26) protruding toward the rotation shaft (14) and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upply chute 28 disposed on the upstream inlet 20 side of the cylindrical drum 12 to supply the cotton yarn assembly 24 to the inlet 20 side; a discharge chute 30 disposed on the downstream outlet 22 side of the cylindrical drum 12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let 22 side; a collecting chute 32 disposed below the cylindrical drum 12 to collect the cotton yarn 25 passing through the perforation 10 of the cylindrical drum 12;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drum 12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so that the sharp tip portion 36 can be elastically adher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by the pressing means 38 .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ate-shaped scraper 34 arranged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Figure R1020190134498
Figure R1020190134498

Description

면실집합체내 이물질제거용 정선기 {SCREENER FOR REMOVEIG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OF WHOLE COTTONSEEDS}Screening machin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cotton yarn assembly {SCREENER FOR REMOVEIG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OF WHOLE COTTONSEEDS}

본 발명은 사료자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면실(棉實)의 덩어리(bulk), 즉 면실집합체내에 남아 있는 면화줄기조각, 꽃받침조각 또는 면실에 남아 있는 면섬유가 엉키어 있는 솜 덩어리(솜 벌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면실집합체내 이물질제거용 정선기(精選機)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lk of cotton thread for use as a feed resource, that is, a cotton stem fragment remaining in a cotton thread assembly, a calyx fragment or a cotton lump (cotton bulk) in which the cotton fibers remaining in the cotton thread are entangled. It relates to a sieving machin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a cotton yarn assembly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면실, 즉 전지면실은 높은 열량의 지방과 소화가 용이한 섬유소가 풍부하여 반추동물의 사료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료를 얻기 위하여, 목화의 조면과정에서 남는 면실은 이들의 수집과정에서 유입된 이물질과 면실에 남아 있는 면섬유가 뒤엉키어 덩어리진 면실집합체에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여 면실을 사료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Cotton yarn, that is, full cotton yarn, is known to be suitable for feeding ruminants because it is rich in high-calorie fat and easy-to-digest fiber. In order to obtain such a feed, the cotton threads remaining in the cotton ginning process are entangled with th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m and the cotton fibers remaining in the cotton threads. .

통상적으로 면화의 조면과정에서 남는 면실을 수집하는 과정은 유리하지 않은 환경에서 수행되므로 수집된 면실집합체에는 면화를 구성하는 줄기의 조각 또는 토막, 꽃받침조각은 물론 주위환경으로부터 유입되는 돌조각, 금속조각 등 각종 이물질이 혼합되어 있다. 이들 이물질은 그 크기나 무게 등이 달라 하나의 이물질제거장치로는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In general, the process of collecting cotton threads remaining in the ginning process of cotton is carried out in an unfavorable environment, so the collected cotton thread aggregate includes pieces of stems, fragments, calyx, etc. Various foreign substances are mixed. These foreign substances cannot be efficiently removed with a single foreign substance removal device because of their different sizes and weights.

따라서, 면실집합체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의 하나로 운영되고 있는 방식은 예를 들어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다양한 선별수단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면실산지로부터 입하된 면실집합체는 왕복운동하는 선형 스크린이 구비된 1차 스크린선별기에서 솜 덩어리(솜 벌크)나 큰 이물질을 제거한다(단계 S1). 이후에 큰 이물질 등이 제거된 면실집합체는 이에 섞여 있는 철과 같이 자력에 반응하는 금속을 자력으로 선별하는 1차 자력선별기에서 자성체 금속을 제거한다(단계 S2). 다음으로 자성체 금속이 1차 선별된 면실집합체는 면실에 붙어 있다가 분리된 면섬유 등의 면실 보다 가벼운 솜이나 먼지 등과 면실 보다 무거운 돌조각과 같은 이물질을 바람을 이용하여 비중선별하는 비중선별기에서 비중선별과정을 거친다(단계 S3). 비중선별을 통하여 가벼운 이물질과 무거운 이물질이 분리된 면실집합체는 다시 종실에 붙어 있는 린트(lint)를 제거하기 위한 린트제거기에 보내어진다. 이 린트제거기에서는 먼저 자력을 이용하여 앞선 1차 자력선별기에서 선별되지 않은 자성체 이물질을 자력으로 분리, 제거한 다음 회전톱날을 이용하여 종실에 붙어 있는 린트를 분리하고 솜과 같은 면섬유 이물질을 집진기로 이송하여 포집하는 단계를 거친다(단계 S4). 이후에, 린트제거기에서 처리된 면실집합체는 왕복운동하는 격자망 타입의 스크린이 구비된 2차 스크린선별기로 보내지며, 여기에서는 면실집합체에 아직도 남아 있을 줄기조각, 꽃받침조각, 솜 덩어리(솜 벌크) 등의 이물질을 선별하여 분리, 제거한다(단계 S5). 2차 스크린선별기를 거친 면실집합체는 면실전분코팅기로 보내져 면실에 전분을 코팅하여 코팅면실을 얻는 과정을 거친다(단계 S6). 이후에 코팅면실로 이루어진 면실집합체는 회전하는 원통형 드럼으로 구성된 정선기에 보내지며, 여기에서 기준치 이상 또는 기준치 이하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주로 면섬유의 솜 덩어리(솜 벌크)에 의하여 엉키어 있는 면실을 분리해낸다(단계 S7). 이와 같이 정선기를 통하여 면실이 분리되어 집합된 면실집합체는 최종적으로 이에 남아 있는 금속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2차 자력선별기로 보내져 자력선별을 이용하여 금속이물질을 제거한다(단계 S8).Accordingly, a method operated as one of the system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cotton yarn assembly uses various sorting mean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For example, the cotton yarn aggregate received from the cotton yarn production area removes cotton lumps (cotton bulk) or large foreign substances in a primary screen separator equipped with a reciprocating linear screen (step S1). Afterwards, the cotton yarn assembly from which large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removes the magnetic metal in the primary magnetic separator that magnetically selects metals that respond to magnetic force such as iron mixed therein (step S2). Next, the cotton yarn aggregate, in which the magnetic metal is first selected, is attached to the cotton yarn and then separated from the cotton yarn, such as cotton or dust,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stone fragments heavier than the cotton yarn. through (step S3). The cotton yarn aggregate, in which light and heavy foreign substances are separated through specific gravity sorting, is again sent to a lint remover to remove lint attached to the seeds. This lint remover uses magnetic force to first separate and remove magnetic foreign substances that were not sorted in the previous primary magnetic separator by magnetic force. A step of collecting is performed (step S4). Afterwards, the cotton yarn aggregates treated in the lint eliminator are sent to a secondary screen sorter equipped with a reciprocating grid type screen, where stem pieces, calyx pieces, and cotton lumps (cotton bulk) that will still remain in the cotton yarn aggregates Separation and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rting (step S5). The cotton yarn aggregat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ary screen sorter is sent to the cotton yarn starch coating machine to coat the cotton yarn with starch to obtain a coated cotton yarn (step S6). Afterwards, the cotton yarn assembly made of the coated cotton yarn is sent to a sorting machine composed of a rotating cylindrical drum, where foreign substances above or below the standard value are removed, and the cotton yarn entangled mainly by the cotton mass (cotton bulk) of the cotton fiber is separated. (Step S7). In this way, the cotton yarn assembly in which the cotton yarns are separated and collected through the sorting machine is sent to the secondary magnetic separator to finally remove the metal foreign material remaining therein, and the metal foreign material is removed using magnetic separation (step S8).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면실집합체내의 이물질제거시스템에서 코팅면실로 이루어진 면실집합체에서 이물질로부터 면실을 분리해내는 정선기를 보다 개량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고 보다 효율적인 기능을 갖는 정선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a need to further improve the sorting machine that separates the cotton yarn from foreign substances in the cotton yarn assembly made of the coated cotton yarn in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system in the cotton yarn assembly,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election machine having a more efficient function.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37883호 (2013.12.06 공고)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37883 (Announcement on Dec. 06, 2013)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51333호 (2015.09.18 공고)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51333 (Announcement on September 18, 2015)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20636호 (2018.01.22 공고)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20636 (Announcement on Jan. 22, 2018)

본 발명에 있어서는 면실집합체내의 이물질제거시스템에서 코팅면실로 이루어진 면실집합체에서 이물질로부터 면실을 분리해내는 보다 효율적인 기능을 갖는 정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rting machine having a more efficient function of separating the cotton yarn from foreign substances in the cotton yarn assembly made of the coated cotton yarn in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system in the cotton yarn assembly.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면실이 혼합되어 있는 면실집합체로부터 면실을 분리하고 면섬유의 솜 덩어리(즉, 솜 벌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면실집합체내 이물질제거용 정선기를 제공하는바, 상기 정선기가 상류측에 상기 면실집합체가 공급되는 유입구와 하류측에 상기 면실이 분리되고 남은 면섬유의 솜 덩어리(솜 벌크) 등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유출구를 가지고, 둘레 전체에 다수의 타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대에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를 향해 하향하여 경사지게 축설되는 중심의 회전축을 가지고, 내부면에 상기 회전축을 향하여 돌출되고 주연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개의 돌출핀을 갖는 원통형 드럼; 상기 원통형 드럼의 상기 상류측 유입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 측으로 상기 면실집합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슈트; 상기 원통형 드럼의 상기 하류측 유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구 측으로부터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슈트; 상기 원통형 드럼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통형 드럼의 상기 타공을 통과한 면실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슈트와; 상기 원통형 드럼의 측면에 해당하는 외주면에 탄지수단에 의하여 날카로운 선단부가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통형 드럼의 측면에서 상기 원통형 드럼의 축선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판상의 스크랩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ieving machin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cotton yarn assembly for separating the cotton yarn from the cotton yarn assembly in which the cotton yarn is mixed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cotton lumps (ie, cotton bulk) of cotton fibers. It has an inlet through which the cotton yarn assembly is supplied on the upstream sid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such as a cotton ball (cotton bulk) of cotton fibers remaining after the cotton yarn is separated are discharged on the downstream side, and a number of perforations are form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a cylindrical drum having a central axis of rotation on a base that is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nd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pins protruding toward the axis of rotation on an inner surface and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upply chute disposed on the upstream inlet side of the cylindrical drum to supply the cotton yarn assembly to the inlet side; a discharge chute disposed on the downstream outlet side of the cylindrical drum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let side; a collection chute disposed below the cylindrical drum to collect the cotton yarn passing through the perforation of the cylindrical drum; A plate-shaped scraper disposed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drum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so that the sharp tip can be elastically adher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스크랩퍼의 하측에 고정된 "L"자형의 탄지대와 상기 기대에 수직으로 입설된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L"자형 탄지대의 중간이 상기 지지대의 중간에 축으로 축설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과 상기 탄지대의 하단단부 사이에 코일 스프링이 연결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support means includes an "L"-shaped charcoal zon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craper and a support vertically standing on the base, and the middle of the "L"-shaped carbon zone is the support of the support. A coil spring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and the lower end of the tanji.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대에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를 향해 하향하여 경사지게 축설된 상기 원통형 드럼의 상기 회전축의 경사각도는 2 ~ 3°의 범위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cylindrical drum installed in an inclined direction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n the base is in the range of 2 to 3°.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드럼을 구성하는 철판의 두께는 1.2 ~1.7 mm 의 범위이고, 상기 타공의 직경은 면실이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인 10 ~ 12 mm 의 범위이며 상기 타공 사이의 간격은 3.0 ~ 3.5 mm 의 범위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iron plate constituting the cylindrical drum is in the range of 1.2 to 1.7 mm, the diameter of the perforation is in the range of 10 to 12 mm, which is a size that the cotton thread can pass sufficiently,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perforations. is in the range of 3.0 to 3.5 mm.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핀은 솜덩어리(솜 벌크)의 결속력 때문에 비교적 큰 덩어리(벌크)로 뭉쳐진 면실집합체가 상기 원통형 드럼의 회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원통형 드럼의 상부위치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작은 덩어리(벌크)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pin allows the cotton yarn aggregate, which is agglomerated into a relatively large lump (bulk) due to the binding force of the cotton lump (cotton bulk), to move along the rotation of the cylindrical drum, and the rotation shaft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cylindrical drum By repeating falling in the direction, it can be separated into small lumps (bulk).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드럼의 회전과 원심력의 작용으로 상기 면실집합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타공으로 방출되는 상기 면실이 상기 스크랩퍼의 상기 선단부에 의하여 솜덩어리(솜 벌크)의 면섬유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되고 외부로 방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tton yarn discharged through the perforation without being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tton yarn assembly due to the rotation of the cylindrical drum and the action of centrifugal force is removed from the cotton fiber of the cotton ball (cotton bulk) by the tip of the scraper. It is cut, separated, and releas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면실집합체내의 이물질제거시스템에서 코팅면실로 이루어진 면실집합체에서 이물질로부터 면실을 분리해내는 보다 효율적인 기능을 갖는 정선기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rting machine having a more efficient function of separating the cotton yarn from foreign substances in the cotton yarn assembly made of the coated cotton yarn in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system in the cotton yarn assembly.

도 1은 면실집합체내의 이물질제거시스템의 여러 단계를 보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면실집합체내 이물질제거용 정선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보인 정선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2에서 보인 정선기의 정면도.
도 5는 정선기에서 스크랩퍼의 구조를 보인 부분확대 사시도.
도 6은 면실의 분리를 위하여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원통형 드럼의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원통형 드럼의 타공을 통하여 면실이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확대단면도.
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various steps of a foreign material removal system in a cotton yarn assembly.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ection machin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cotton yar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selector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selector shown in Figure 2;
Figure 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crapper in the selection machin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drum in whic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are formed for separation of cotton yarn.
7 and 8 are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cotton yarn is separated through the perforation of the cylindrical drum.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면실집합체내에 남아 있는 면화줄기조각, 꽃받침조각 또는 면실에 남아 있는 면섬유가 뒤엉키어 덩어리져있는 상태의 개체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솜 덩어리" 또는 "솜 벌크(bulk)"의 용어를 혼용하나, 여기서 "덩어리"와 "벌크(bulk)"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general, the term "cotton lump" or "cotton bulk" as a term indicating an individual in a state in which the cotton stem pieces, calyx pieces, or cotton fibers remaining in the cotton thread are entangled in the cotton thread aggregate. Although the terms are used interchangeably, the terms "chunk" and "bulk" are used interchangeably herein.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선기의 전체구성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선기의 주요구성은 철판으로 가공되고 둘레 전체에 다수의 타공(10)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드럼(12)이다. 이러한 원통형 드럼(12)은 기본적으로 중심에 회전축(14)을 가지고 이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지지대(16)에 의하여 외형이 원통형을 유지하며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2 to 4 show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e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se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drum 12 which is processed into an iron plate and has a plurality of perforations 10 form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The cylindrical drum 12 has a rotational shaft 14 at its center and is rotatable about the rotational shaft 14 while maintaining a cylindrical shape by a support 16 radially extending therefrom.

이와 같은 원통형 드럼(12)은 그 회전축(14)이 기대(18)에 수평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원통형 드럼(12)의 수평에 대한 경사각도는 2 ~ 3°, 좋기로는 2.5°이다. 이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된 원통형 드럼(12)은 높이가 높은 구부측이 유입구(20)가 되고 높이가 낮은 구부측이 유출구(22)가 된다.Such a cylindrical drum 12 is disposed so that its rotational axis 14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to the base 18 . For example, the angle of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of the cylindrical drum 12 is 2-3°, preferably 2.5°. In the cylindrical drum 12 disposed inclined in this way, the high bent side becomes the inlet 20 , and the low bent side becomes the outlet 22 .

유출구(22) 측에서 보았을 때 원통형 드럼(12)은 그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하여 모터구동장치(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When viewed from the outlet 22 side, the cylindrical drum 12 can be rotated clockwise by a motor driving device (not shown) about its rotational shaft 14 .

이러한 원통형 드럼(12)에서 선별처리될 면실집합체(24)는 원통형 드럼(12)의 상류측, 즉, 높이가 높은 구부측의 유입구(20)로 공급되고 하류측인 높이가 낮은 유출구(22) 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면실집합체(24)는 전분이 코팅된 다량의 면실(25)을 포함하며, 이들 면실(25)은 잔존하는 면섬유 등의 솜덩어리(솜 벌크)에 엉키어 있다.The cotton yarn aggregate 24 to be sorted in the cylindrical drum 12 is supplied to the inlet 20 on the upstream side of the cylindrical drum 12, i.e., on the high bulge side, and the low height outlet 22 on the downstream side. move to the side The cotton yarn aggregate 24 includes a large amount of starch-coated cotton yarn 25, and these cotton yarns 25 are entangled in a cotton mass (cotton bulk) such as remaining cotton fibers.

원통형 드럼(12)의 타공(10)은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면실이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직경이 10 ~ 12 mm 의 범위이고 타공(10) 사이의 간격은 3.0 ~ 3.5 mm 의 범위이다. 원통형 드럼(12)을 구성하는 철판의 두께는 1.2 ~ 1.7 mm 의 범위이다.The perforations 10 of the cylindrical drum 12 have a diameter in the range of 10 to 12 mm, for example, a size through which cotton threads can pass sufficiently, and the spacing between the perforations 10 is 3.0 to 3.5 mm,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s the range of The thickness of the iron plate constituting the cylindrical drum 12 is in the range of 1.2 to 1.7 mm.

이와 같은 원통형 드럼(12)의 내부에는 내주면으로부터 회전축(14)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수개의 돌출핀(26)이 주연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원통형 드럼(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A plurality of protruding pins 26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toward the rotational shaft 14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drum 12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한편, 원통형 드럼(12)의 상류측인 유입구(20) 측에는 처리할 면실집합체(24)를 공급할 수 있는 면실집합체 공급슈트(28)가 배치되어 있고, 원통형 드럼(12)의 하류측인 유출구(22) 측에는 원통형 드럼(12)의 타공(10)을 통과하지 못한 면실집합체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슈트(30)가 배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cotton yarn aggregate supply chute 28 capable of supplying the cotton yarn aggregate 24 to be treated is disposed on the inlet 20 side, which is upstream of the cylindrical drum 12,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cylindrical drum 12, the outlet ( 22), a discharge chute 30 is disposed on the side of which foreign substances of the cotton yarn assembly that do not pass through the perforation 10 of the cylindrical drum 12 are discharged.

그리고, 원통형 드럼(12)의 하측에는 원통형 드럼(12)의 타공(10)을 통과한 면실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슈트(32)가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collection chute 32 for collecting the cotton yarn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erforations 10 of the cylindrical drum 12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ylindrical drum 12 .

한편, 원통형 드럼(12)의 측면에 해당하는 외주면에는 판상의 스크랩퍼(34)가 원통형 드럼(12)의 측면에서 원통형 드럼(12)의 축선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랩퍼(34)는 날카로운 선단부(36)가 원통형 드럼(12)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지된다. 이를 위하여, 스크랩퍼(34)에는 그 길이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수개의 탄지수단(38)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탄지수단(38)은 스크랩퍼(34)의 하측에 고정된 "L"자형의 탄지대(40)와 기대(18)에 수직으로 입설된 지지대(42)를 포함하며, "L"자형 탄지대(40)의 중간이 지지대(42)의 중간에 축(44)으로 축설되어 있고 지지대(42)의 상단과 탄지대(40)의 하단단부 사이에 코일 스프링(46)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46)의 탄력에 의하여 스크랩퍼(34)의 선단부(36)가 원통형 드럼(12)의 외주면에 항시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a plate-shaped scraper 34 is dispose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drum 12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The scraper 34 is supported so that the sharp tip portion 36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 To this end, the scraper 34 is coupled with several tan holding means 38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its length. The bullet support means 38 includes an "L"-shaped bullet belt 40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craper 34 and a support rod 42 vertically erected on the base 18, and "L"-shaped bullet The middle of the support (40) is chukseol with a shaft (44) in the middle of the support (42), and a coil spring (46)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42) and the lower end of the tanji (40). Accordingly, the tip portion 36 of the scraper 34 is always in elastic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46 .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출구(22) 쪽에서 보았을 때 원통형 드럼(12)이 그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하지 않은 모터구동장치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유입구(20) 측으로 공급슈트(28)를 통하여 면실집합체(24)가 공급된다. 이러한 면실집합체(24)에는 다수의 면실(25)이 면섬유의 솜덩어리(솜 벌크)에 엉키어 있어 이물질에 해당하는 솜덩어리(솜 벌크)로부터 대다수의 면실(25)을 분리해주는 것이 요구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viewed from the outlet 22 side, the cylindrical drum 12 rotates clockwise by a motor driving device (not shown) about the rotation shaft 14 thereof. Then, the cotton yarn assembly 24 is supplied to the inlet 20 side through the supply chute 28 . In such a cotton yarn assembly 24, a plurality of cotton yarns 25 are entangled in a cotton ball (cotton bulk) of cotton fiber, and it is required to separate the majority of cotton yarns 25 from the cotton ball (cotton bulk) corresponding to foreign substances.

유입구(20) 측으로부터 유출구(22) 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원통형 드럼(12)내에 공급된 면실집합체(24)는 원통형 드럼(12)내에서 유입구(20) 측으로부터 유출구(22) 측으로 유동하려 할 것이며, 특히 원통형 드럼(12)의 시계방향 회전하면서(유출구 22 측에서 보았을 때) 원심력이 작용하여 면실집합체(24)는 원통형 드럼(12)의 내주면으로 향하게 된다.The cotton yarn aggregate 24 supplied into the cylindrical drum 12 inclined downward from the inlet 20 side toward the outlet 22 side tries to flow from the inlet 20 side to the outlet 22 side in the cylindrical drum 12. In particular, as the cylindrical drum 12 rotates clockwise (as viewed from the outlet 22 side), centrifugal force acts so that the cotton yarn assembly 24 is directe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

이러한 과정에서 면실집합체(24)에서 분리된 낱낱의 면실(25)은 원통형 드럼(12)의 타공(10)을 통하여 원통형 드럼(12)의 외주연으로 방출되어 수집슈트(32) 측으로 수집될 것이다.In this process, each cotton yarn 25 separated from the cotton yarn assembly 24 is discharg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drum 12 through the perforation 10 of the cylindrical drum 12 and collected toward the collection chute 32. .

솜덩어리(솜 벌크)의 결속력 때문에 비교적 큰 덩어리(벌크)로 뭉쳐진 면실집합체(24)는 원통형 드럼(12)의 내주면에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돌출핀(26)에 의하여 원통형 드럼(12)의 회전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부위치에서 원통형 드럼(12)의 회전축(14) 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작은 덩어리(벌크)로 분리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분리된 면실(25)이 원통형 드럼(12)의 타공(10)을 통하여 방출된다. Because of the binding force of the cotton ball (cotton bulk), the cotton yarn assembly 24, which is agglomerated into a relatively large lump (bulk),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by a protruding pin 26 disposed to protrude inward radially to the cylindrical drum 12. It is separated into small lumps (bulk) by repeating fall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14 of the cylindrical drum 12 from the upper position while moving along the rotation of the. In this process, the separated cotton yarn 25 is discharged through the perforation 10 of the cylindrical drum 12 .

한편 원통형 드럼(12)의 회전과 원심력의 작용, 그리고 돌출핀(26)에 의한 낙하과정에서 솜덩어리(솜 벌크)의 규모가 작아진 경우, 작은 규모의 솜덩어리(솜 벌크)로 이루어진 면실집합체(24)는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원통형 드럼(1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외측으로 향하려는 경향을 보일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솜덩어리(솜 벌크) 형태의 면실집합체(24)에 엉키어 있는 면실(25)이 면실집합체(24)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심력의 작용으로 원통형 드럼(12)의 타공(10)으로 방출되려는 경향을 보일 때, 타공(10)으로부터 나오는 면실(25)은 원통형 드럼(12)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접속하여 있는 스크랩퍼(34)의 날카로운 선단부(36)에 의하여 솜덩어리(솜 벌크)의 면섬유가 절단되면서 분리되어 외부로 방출된다(도 7 및 도 8 참조).On the other hand, when the size of the cotton lump (cotton bulk) is reduc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cylindrical drum 12, the action of centrifugal force, and the falling process by the protruding pin 26, a cotton yarn aggregate composed of a small-scale cotton lump (cotton bulk) (2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rotating by centrifugal force will show a tendency toward the outside. In this process, the perforation 10 of the cylindrical drum 12 under the action of centrifugal force in the state that the cotton yarn 25 tangled in the cotton yarn assembly 24 in the form of a cotton ball (cotton bulk) is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tton yarn assembly 24. ), the cotton yarn 25 coming out of the perforated hole 10 is resiliently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by the sharp tip 36 of the scraper 34 (cotton). Bulk) cotton fibers are separated while being cut and released to the outside (see FIGS. 7 and 8 ).

스크랩퍼(34)는 판상의 형태로 원통형 드럼(12)의 측면에 해당하는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그 날카로운 선단부(36)가 워통형 드럼(12)의 타공(10)의 변부와 상호작용하여 통상적인 가위날의 작용과 같이 면실(25)에 붙어 있는 면섬유를 절단할 수 있다. 판상의 스크랩퍼(34)는 원통형 드럼(12)의 측면에서 원통형 드럼(12)의 축선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그 전길이를 통하여 연장되어 배치되고, 일전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탄지수단(38)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탄지수단(38)은 스크랩퍼(34)의 하측에 고정된 "L"자형의 탄지대(40)와 기대(18)에 수직으로 입설된 지지대(42)로 구성되고, "L"자형 탄지대(40)의 중간이 지지대(42)의 중간에 축(44)으로 축설되며 지지대(42)의 상단과 탄지대(40)의 하단단부 사이에 코일 스프링(46)이 연결되어 코일 스프링(46)의 탄력에 의하여 스크랩퍼(34)의 선단부(36)가 원통형 드럼(12)의 외주면에 항시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The scraper 34 is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in the form of a plate, so that its sharp tip 36 interacts with the edge of the perforation 10 of the barrel drum 12. It is possible to cut the cotton fibers attached to the cotton yarn 25 like the action of a conventional scissors blade. The plate-shaped scraper 34 is arranged to exten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drum 12 through its entire length, and the traction means 38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 is bound to This bullet holding means 38 is composed of an "L"-shaped bullet belt 40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craper 34 and a support rod 42 vertically erected on the base 18, and "L"-shaped bullet The middle of the belt 40 is axially installed with a shaft 44 in the middle of the support 42 , and a coil spring 46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42 and the lower end of the coal belt 40 , so that the coil spring 46 ), the tip portion 36 of the scraper 34 is always in elastic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by the elasticity.

이와 같이, 면실집합체(24)가 원통형 드럼(12)에 공급되어 회전하는 원통형 드럼(12)에 의하여 규모가 작은 덩어리(벌크)로 분리되고 이로부터 분리된 낱낱의 면실(25)이 원통형 드럼(12)의 타공(10)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어 수집슈트(32)로 수집되어 면실(25)의 다음 처리단계로 이송되며, 면실집합체(24)에서 대다수의 면실(25)이 분리, 방출되고 남은 솜덩어리(솜 벌크) 등의 이물질은 원통형 드럼(12)의 유출구(22)에서 배출슈트(30)로 배출되어 폐기처분된다. In this way, the cotton yarn aggregate 24 is supplied to the cylindrical drum 12, and is separated into small lumps (bulk) by the rotating cylindrical drum 12, and each cotton yarn 25 separated therefrom is separated from the cylindrical drum ( 1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erforation 10 Foreign substances such as remaining cotton lumps (cotton bulk) are discharged from the outlet 22 of the cylindrical drum 12 to the discharge chute 30 and disposed of.

10: 타공, 12: 원통형 드럼, 14: 회전축, 16: 지지대, 18: 기대, 20: 유입구, 22: 유출구, 24: 면실집합체, 25: 면실, 26: 돌출핀, 28: 공급슈트, 30: 배출슈트, 32: 수집슈트, 34: 스크랩퍼, 36: 선단부, 38: 탄지수단, 40: 탄지대, 42: 지지대, 44: 축, 46: 코일 스프링.10: perforated, 12: cylindrical drum, 14: rotation shaft, 16: support, 18: base, 20: inlet, 22: outlet, 24: cotton thread assembly, 25: cotton thread, 26: protruding pin, 28: supply chute, 30: Discharge chute, 32: collection chute, 34: scrapper, 36: tip, 38: means to support, 40: support, 42: support, 44: shaft, 46: coil spring.

Claims (6)

면실(25)이 혼합되어 있는 면실집합체(24)로부터 면실(25)을 분리하고 면섬유의 솜 벌크를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면실집합체내 이물질제거용 정선기에 있어서,
기대(18) 상에서 지지되고, 둘레 전체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타공(10)과, 상류측에 상기 면실집합체(24)가 공급되는 유입구(20)와 하류측에 상기 면실(25)이 분리되고 남은 상기 이물질이 배출되는 유출구(22)와, 상기 유입구(20)로부터 상기 유출구(22)를 향해 하향하여 경사지게 축설되는 중심의 회전축(14)과, 내부면에 상기 회전축(14)을 향하여 돌출되고 주연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돌출핀(26)을 포함하는 원통형 드럼(12)과;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상기 유입구(20) 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20) 측으로 상기 면실집합체(24)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슈트(28)와;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상기 유출구(22) 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구(22) 측으로부터 상기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슈트(30)와;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상기 타공(10)을 통과한 면실(25)을 수집하기 위도록 하는 수집슈트(32)와;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측면에 선단부(36)가 탄지수단(38)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측면에서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축선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판상의 스크랩퍼(34)를 포함하고,
상기 탄지수단(38)은 상기 스크랩퍼(34)의 하측에 고정된 "L"자형의 탄지대(40)와 상기 기대(18)에 수직으로 입설된 지지대(42)를 포함하고, 상기 "L"자형의 탄지대(40)의 중간이 상기 지지대(42)의 중간에 축(44)으로 축설되고 상기 지지대(42)의 상단과 상기 "L"자형의 탄지대(40)의 하단단부 사이에 코일 스프링(46)이 연결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집합체내 이물질제거용 정선기.
In the selection machin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cotton yarn assembly for separating the cotton yarn 25 from the cotton yarn assembly 24 in which the cotton yarn 25 is mixed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the cotton bulk of cotton fibers,
A plurality of perforations 10 supported on the base 18 and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ntire circumference, the inlet 20 through which the cotton yarn assembly 24 is supplied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cotton yarn 25 on the downstream side are separated An outlet 22 through which the remaining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a central rotating shaft 14 that is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inlet 20 toward the outlet 22, and the inner surface protrudes toward the rotating shaft 14 a cylindrical drum (12)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pins (26)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upply chute 28 disposed on the inlet 20 side of the cylindrical drum 12 to supply the cotton yarn assembly 24 to the inlet 20 side;
a discharge chute 30 disposed on the outlet 22 side of the cylindrical drum 12 to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from the outlet 22 side;
a collecting chute 32 disposed below the cylindrical drum 12 to collect the cotton yarn 25 passing through the perforation 10 of the cylindrical drum 12;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drum 12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so that the front end 36 is elastically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drum 12 by the pressing means 38 . and a plate-shaped scraper 34 disposed thereon,
The carbon support means 38 includes an "L"-shaped charcoal belt 40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craper 34 and a support rod 42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ase 18, and the "L""The middle of the "shaped coal belt 40 is axially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upport 42, an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42 and the lower end of the "L"-shaped coal belt 40. A selection machin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cotton yar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spring (46) is connec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드럼(12)에서 상기 유입구(20)로부터 상기 유출구(22)를 향해 하향하여 경사지게 축설되는 상기 회전축(14)의 경사각도는 2~3°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집합체내 이물질제거용 정선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ylindrical drum (12),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otation shaft (14), which is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inlet (20) toward the outlet (22), is in the range of 2 to 3°. dragon sel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드럼(12)을 구성하는 철판의 두께가 1.2~1.7 mm의 범위이고, 상기 타공(10)의 직경은 면실(25)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인 10~12 mm의 범위이며, 상기 타공(10) 사이의 간격은 3.0~3.5 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집합체내 이물질제거용 정선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steel plate constituting the cylindrical drum 12 is in the range of 1.2 to 1.7 mm, and the diameter of the perforation 10 is in the range of 10 to 12 mm, which is the size through which the cotton thread 25 can pass, and the perforation (10) A separato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cotton yar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m is in the range of 3.0 to 3.5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핀(26)은 솜 벌크의 결속력으로 제1벌크로 뭉쳐진 면실집합체(24)가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회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상부위치에서 상기 회전축(14) 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제1벌크보다 더 작은 크기의 제2벌크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집합체내 이물질제거용 정선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pin 26 allows the cotton yarn assembly 24, which is aggregated into the first bulk, to move along the rotation of the cylindrical drum 12 by the binding force of the cotton bulk, and the rotation shaft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cylindrical drum 12. (14) A selection machin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a cotton yar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parated into a second bulk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bulk by repeating falling in th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드럼(12)의 회전과 원심력의 작용으로 상기 면실집합체(24)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타공(10)으로 방출되는 상기 면실(25)이 상기 스크랩퍼(34)의 상기 선단부(36)에 의하여 솜 벌크의 면섬유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되고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집합체내 이물질제거용 정선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tton yarn 25 discharged into the perforated hole 10 without being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tton yarn assembly 24 due to the rotation of the cylindrical drum 12 and the action of centrifugal force is the tip of the scrapper 34 ( 36), separated from the cotton fibers of the cotton bulk,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KR1020190134498A 2019-10-28 2019-10-28 Screener for removeig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of whole cottonseeds KR1023039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498A KR102303915B1 (en) 2019-10-28 2019-10-28 Screener for removeig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of whole cottonsee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498A KR102303915B1 (en) 2019-10-28 2019-10-28 Screener for removeig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of whole cottonsee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179A KR20210050179A (en) 2021-05-07
KR102303915B1 true KR102303915B1 (en) 2021-09-23

Family

ID=7591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498A KR102303915B1 (en) 2019-10-28 2019-10-28 Screener for removeig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of whole cottonsee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9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2209B1 (en) 2021-02-21 2021-10-20 キム ジェホンKim, Jae Hong Breast augmentation implant bag and breast augmentation implant bag abnormality detector
CN114558767B (en) * 2022-03-07 2023-11-17 邓州中联水泥有限公司 Automatic classifying and screening device for sand aggregat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617B2 (en) * 1992-07-01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Documen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7200679A (en) * 2016-05-02 2017-11-09 株式会社マルセイ Sorting method and sor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617U (en) * 2009-08-12 2009-11-26 喜一郎 浜崎 Horizontal type trommel
KR101337883B1 (en) 2012-12-28 2013-12-06 주식회사 피드윌 A preparation method of the coated whole cottonseed for animal feed using by binding agent
KR101551333B1 (en) 2014-06-03 2015-09-18 (주)이푸른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ated Whole Cottonseed of which germination is inhibited
KR101820636B1 (en) 2017-10-26 2018-01-22 (주)이푸른 Apparatus for removing lint tail of coated cottonseed for animal fe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617B2 (en) * 1992-07-01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Documen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7200679A (en) * 2016-05-02 2017-11-09 株式会社マルセイ Sorting method and sor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179A (en)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915B1 (en) Screener for removeig foreign substances in aggregate of whole cottonseeds
US4300267A (en) Total fiber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US6135020A (en) Nut sheller bypass
CN212189394U (en) Mining centrifugal spiral screen machine
US20110262607A1 (en) Vibro-elastic helical conic aprons implemented in de- pulping machines for the selective processing of mixtures of green and ripe coffee cherries
JPH0759795B2 (en) Wood particle screen
CN109248751A (en) Sludge crusher and the method for being crushed sludge using it
JP5577076B2 (en) Trommel separator
CN103039191B (en) The separator that straw skin flesh is separated and separating method
KR20200117664A (en) The A garlic screening machine for improving garlic screening efficiency
KR100532854B1 (en) Sorting Machine For A Bean
CN109208122B (en) Down feather grading and collecting system
CN202530200U (en) Cleaning recovery device for leftover materials in cottonseed delinting production line
KR20110049016A (en) Clove of a garlic sorter
NO300257B1 (en) Apparatus for sorting particulate material
US43387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trash from material
US7774903B2 (en) Roller gi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RU2649328C1 (en) Grain heap separator
CN103547733B (en) Fiber sorts
JP2007038102A (en) Process for removing inclusion seed in raw material wheat
US3261466A (en) Cottonseed cleaner and fractionator
US7308734B2 (en) Cotton seed cleaner
RU159569U1 (en) AIR GRILLE GRAIN CLEANING MACHINE
KR100485612B1 (en) Garlic clove grader using vibration
RU2341339C2 (en) Grain separat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