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484B1 - 앵커리벳의 절개홈 성형금형 및 이를 이용한 앵커리벳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앵커리벳의 절개홈 성형금형 및 이를 이용한 앵커리벳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484B1
KR102303484B1 KR1020200127765A KR20200127765A KR102303484B1 KR 102303484 B1 KR102303484 B1 KR 102303484B1 KR 1020200127765 A KR1020200127765 A KR 1020200127765A KR 20200127765 A KR20200127765 A KR 20200127765A KR 102303484 B1 KR102303484 B1 KR 102303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t
mold
forming
hea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출곤
Original Assignee
김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출곤 filed Critical 김출곤
Priority to KR1020200127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58Making machine elements rivets
    • B21K1/60Making machine elements rivets hollow or semi-hollow riv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08Upse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0Piercing bi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벳 성형에서 리벳머리를 성형할 때 먼저, 둥근머리를 형성한 후 평머리의 완성머리를 성형하고, 미완의 둥근머리에 초기 쐐기공을 리벳머리 깊이로 형성한 후 다시 쐐기공을 성형함으로써 성형 중 리벳머리와 쐐기공의 파열, 찌그러짐 등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십자형태의 절개홈을 성형하는 커터가 쉽게 마모와 파열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 하금형에 일체로 커터를 구성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성형 중 커터의 파열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커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앵커리벳의 절개홈 성형금형 및 이를 이용한 앵커리벳 제조방법{The cutout groove molding/metal patterns of the anchor rivet and anchor rivet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앵커리벳에 관한 것으로 특히, 쐐기에 의하여 외향으로 벌어지는 앵커 절개홈을 자동으로 성형하는 앵커리벳의 절개홈 성형금형 및 이를 이용한 앵커리벳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벳(rivet)은 부재와 부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헤드부와 일체로 봉형의 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리벳이 부재와 부재를 관통한 상태에서 몸체의 단부를 타격함으로써 단부가 외향으로 확장되는 변형에 따라 부재의 체결공에서의 이탈을 방지함으로 부재를 상호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벳은 단부를 타격하는 어려움과 함께 타격으로 외향 변형부가 일그러짐으로 인해 외관이 매끄럽지 못한 단점과 또한 부재와 부재를 결합할 때에 반드시 부재의 이면부에서 타격이 가능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타격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건축물, 기체, 선박 등에서 리벳을 이용한 체결작업을 할 때 리벳의 단부를 타격할 수 있는 공간이 없거나, 또는 기체부에 직접적인 체결을 할 때에는 리벳의 이면부가 아닌 전면부에서 리벳의 단부를 외향 확장하여야 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개선된 앵커리벳은 헤드부와 일체의 몸체부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헤드에서 몸체부까지 쐐기공을 형성하고 몸체 단부에는 십자형의 절결홈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앵커리벳은 헤드부에 노출된 쐐기공으로 쐐기를 박음으로서 쐐기가 몸체의 단부를 외향으로 확장하고 이때 십자형으로 절결된 절결홈이 등분으로 절결됨과 함께 각각의 확장부가 외향으로 확장되면서 체결공 내면에 압착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견고한 체결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삭제
상기와 같은 기능과 작용을 하는 앵커리벳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롤(roll) 형태의 철선(황동, 동, 알미늄 또는 합금재 등) 재료를 인발과 함께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과, 절단된 부재를 1차금형에서 헤드와 일체의 몸체부로 성형하는 성형공정과, 성형된 리벳의 헤드와 몸체부에 쐐기공을 형성하는 공정과, 성형된 리벳 몸체부에 수작업에 의해 절결홈을 형성한 다음 쐐기공에 쐐기를 체결하여 제조하게 된다.
삭제
이렇게 제조된 앵커리벳은 리벳의 쐐기공에 삽입된 쐐기를 박음으로써 절결홈에 의해 확장부가 외향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2개의 부재를 일체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앵커리벳의 제조과정은 리벳을 성형한 다음 수작업에 의해 리벳을 수직으로 세워 지그에 의해 지지한 상태에서 커터로 십자홈을 2차에 걸쳐 형성하게 된다.
삭제
이에 따라, 작업이 매우 난이하고 많은 작업시간의 소모 및 인력난의 가중과 함께 정밀성이 결여되어 불량률이 높은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수작업에 의해 대량 생산이 어려워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선행기술로 알려진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24340호에는, 슬릿이 있는 워크의 제조방법에서 소형재의 일단측의 외주면에 나사 전조기로 나사를 전조하여 폭 10㎜의 Y자 모양 슬릿을 가지는 전장 60㎜의 앵커볼트가 개시되어 있다.
삭제
또 다른 특허공개공보 제 10-1995-16952호에서는 확개 압입 볼트의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는데, 관형의 볼트를 구성하되, 볼트의 일단부를 연장하고 이 연장부에 절개되는 절개부와 내향된 확장부를 형성한 것이다.
삭제
그리고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볼트가 선단에 위치된 쐐기를 밀어 앞의 확장부를 외향으로 확개함으로써 고정되는 확개 압입볼트의 제조방법으로 개시되었다.
이러한 실시는 볼트를 구성하기 위한 소정크기의 관체를 1차금형에서 십자형으로 절개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날부를 형성한 금형으로 펀칭하는 단계로 이루워져 있으나, 펀칭금형에 절개부의 성형날이 구성되어 정확한 절개가 어렵고 이동되는 금형에 의해 정밀성이 떨어지면서 특히 성형날이 파열되는 단점이 많이 발생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절개부의 단부를 1차 펀칭하여 그 단부가 외부로 확개되도록 하는 예비단계와, 상기 예비단계의 확개부를 다시 2차 펀칭하여 확개부가 내부로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실시는 단순히 관체로 구성되는 볼트의 연장부에 절개부와 내측면으로 확개부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선 발명의 실시는 관체에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봉형의 리벳 등에서는 극히 적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선박 기술에서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삭제
또한 상기한 앵커볼트는 그 사용에 한계가 있어 다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 및 확개 정도가 극히 미미하여 체결 후에 미끄럼에 의한 이탈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선 등록된 특허 제10-0420273호(앵커리벳 제조방법과 금형)가 제안한 바 있다.
삭제
상기한 기술은, 원재료를 장치부에 공급하여 커팅장치부에 의한 절단과 함께 절단된 부재를 이송시켜 제 1금형에 공급하는 절단공급공정과, 상기 부재를 형상성형공에 공급시켜 펀치로 타격하여 형상을 성형하는 공정과 함께 펀치 내의 펀치핀에 의한 2차 펀칭으로 리벳 헤드를 관통하는 쐐기공이 몸체까지 형성되는 리벳성형공정과, 상기 쐐기공에 쐐기를 끼워맞춤하는 조립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리벳조제 방법과, 상기 부재에 절결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펀칭금형에 십자형의 커터날을 구성시켜 펀칭금형의 펀칭으로 절결홈을 성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절단공급 공정에 의해 제 1금형의 성형공으로 부재를 공급시켜 성형공 내로 펀칭함으로 제 1금형 내의 커터에 의해 부재 단부에 커터가 삽입된 절결홈을 성형하는 절결홈 성형공정과, 상기 절결홈 성형공정으로 절결홈을 구성한 부재를 제 2금형으로 공급하여 형상과 쐐기공을 성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리벳 제조방법과, 제 1금형은 금형 중앙부에 안내공과 확장된 체결공을 일체로 형성하여 체결공에 성형공을 형성한 전, 후 체결링과 이들 사이로 1 이상의 커터를 체결함과, 상기 커터는 각각의 분할된 체결부재로 고정하여서 구성되는 제 1금형으로 이루어지는 앵커리벳 제조 금형이다.
삭제
이러한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은 제 5공정에서 쐐기공을 함께 성형함으로써 헤드부가 정확하고 안정적이지 못하게 성형되는 단점과, 성형 중 헤드의 파열이 발생되는 단점이 발생되었고, 앵커리벳 제조금형은 제 1금형을 중앙부에 안내공과 확장된 체결공을 일체로 형성하여 체결공에 성형공이 각각 형성된 전, 후 체결링을 삽1입하면서 이들 사이에 1 이상의 커터를 체결하되, 상기 커터는 각각의 분할된 체결부재로 고정하여 구성되는 제 1금형으로 이루어지는 앵커리벳 제조금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얇은 형태의 커터는 성형시 높은 압력에 의해 쉽게 파열됨은 물론이고 마모 및 이탈로 작업 중 고장이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삭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24340호. 특허공개공보 제 10-1995-16952호. 등록특허 제 10-042027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에서 리벳머리와 쐐기공을 함께 성형함으로써 머리부가 정확하고 안정적이지 못하게 성형되는 단점과, 파열로 인한 불량이 많고, 쐐기공을 천공하는 성형 중에도 파열과 터짐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벳머리를 성형할 때 미완의 둥근머리를 형성한 후 평머리의 완성머리를 성형하고, 미완의 둥근머리에 초기 쐐기공을 리벳머리 깊이로 형성한 다음 쐐기공을 성형함으로써 성형 중 리벳머리와 쐐기공의 파열, 찌그러짐 등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십자형태의 절개홈을 성형하는 커터가 쉽게 마모되거나 파열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 하금형에 커터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성형 중 커터의 파열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원재료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리벳소재를 얻는 제1 공정과, 상기 리벳소재를 제1 금형에 투입하여 십자형상의 절개홈을 성형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절개홈이 형성된 리벳소재를 제1 금형에서 인출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절개홈이 형성된 리벳소재를 제2 금형에 투입하여 리벳머리를 성형하는 제4 공정과, 상기 리벳머리가 형성된 리벳소재에 쐐기공을 형성하는 제5, 6 공정으로 이루어진 앵커리벳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 중심부에 소재인입공이 형성되고 소재인입공에는 커터가 일체로 형성된 커터금형의 소재인입공으로 리벳소재를 압인하여 리벳소재에 십자형상의 절개홈을 형성하는 절개홈 형성공정과, 상기 제4 공정에서 십자형 절개홈이 형성된 리벳소재를 제 2금형에 공급하여 머리성형공을 갖는 1차 머리금형으로 압인하여 미완의 둥근머리를 성형하는 미완의 머리성형공정과, 상기 제 5공정에서 미완의 머리성형공정에서 리벳소재를 초기 쐐기공 성형핀을 갖는 2차 머리금형으로 압인하여 납작한 완성된 리벳머리를 성형함과 아울러, 초기 쐐기공 성형핀에 의해 리벳머리의 중앙에 초기 쐐기공을 성형하는 초기 쐐기공 성형공정과, 상기 제 6공정에서 초기 쐐기공 성형공정에 의해 형성된 초기 쐐기공을 쐐기공 성형핀을 갖는 3차 쐐기공 성형금형으로 압인하여 초기 쐐기공에 연이어지면서 선단에 슬라이드면을 갖는 쐐기공이 성형되는 리벳성형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리벳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제1 금형의 내부에 설치되어 리벳머리와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부에 십자형상의 절개홈을 형성하는 앵커리벳의 절개홈 성형금형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 성형금형을 커터금형으로 하되, 상기 커터금형을 중심부에 소재인입공이 형성된 상금형과 하금형으로 분리형성하고, 상기 상금형은 소재인입공의 내부에 소재인입공의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위치되게 십자형태의 커터를 일체로 형성하고, 하금형은 상금형에 형성된 소재인입공의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는 소재인입공까지 위치되도록 돌출되면서 하금형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는 십자형태의 커터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리벳의 절개홈 성형금형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출원인의 선행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인, 리벳성형 중 리벳머리와 몸체부의 파열과 찌그러짐을 방지하고 절개홈을 성형하는 금형의 커터가 쉽게 파열되거나, 마모로 인한 성형 불량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금형과 커터금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3의 (a)는 리벳소재를 제 1금형에 조립된 커터금형에 압인하여 리벳소재에 절개홈을 성형하는 공정도
(b)는 십자형 커터금형에 의해 절개홈이 형성된 리벳소재를 인출하는 공정도
도 4의 (a)는 도 3에서 절개홈이 성형된 리벳소재를 제 2금형에 공급하여 제 1머리금형으로 미완의 리벳머리를 성형하는 공정도
(b)는 미완의 리벳머리를 제 2머리금형에서 평면의 리벳머리를 성형함과 동시에 리벳머리 깊이로 초기 쐐기공을 성형하는 공정도
(c)는 (b)에서 형성된 초기 쐐기공을 통해 쐐기공을 성형하는 공정도
(d)는 본 발명의 리벳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리벳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리벳의 쐐기공에 쐐기를 결합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리벳을 이용한 체결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부재와 부재를 간편히 체결하기 위한 리벳으로, 머리부와 일체로 봉형의 몸체부로 구성된 리벳의 쐐기공에 쐐기를 삽입하여 몸체부가 부재와 부재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쐐기를 때려박음으로써 쐐기가 리벳 단부를 외향으로 확장시킴에 따라 부재와 부재에 형성된 체결공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고 부재간 체결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금형과 커터금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 종단면도로써, 상기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앵커리벳 제조공정을 첨부도면에 의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제 1금형(10)과 커터금형(20)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낸 제 2금형(30)에 의해 리벳(50)을 순차적으로 가공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제 1공정
삭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다란 원재료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리벳소재(51)를 얻는다.
상기 제1 공정은 리벳(50)을 제조하기 위해 리벳소재(51)를 얻는 공정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금형(10)의 커터금형 체결공(11)에 오링(12)과 십자형태의 커터(21)를 갖는 상, 하금형(23)(24)으로 이루어진 커터금형(20), 체결링(13)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 1금형(10)의 구성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 2공정
삭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벳소재(51)를 커터금형(20)의 중심에 형성된 소재인입공(22)의 내부로 삽입한 다음 밀대(60)로 가압하면 커터금형(20)에 일체로 형성된 십자형태의 커터(21)에 의해 리벳소재(51)의 단부로부터 십자형상의 절개홈(52)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공정에서 리벳소재(51)의 길이로 절단된 리벳소재(51)를 커터(21)에 압인함으로써 압인되는 리벳소재(51)가 커터(21)에 의해 십자형상의 절개홈(52)이 형성되는 데, 이때, 리벳소재(51)를 밀어 넣는 깊이를 조절함에 따라 리벳소재(51)에 형성되는 절개홈(5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삭제
제 3공정
삭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벳소재(51)가 상, 하금형(23)(24)에 구비된 십자형태의 커터(21)를 통과하면서 십자형상의 절개홈(52)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나면 리벳소재(51)를 타측에서 연동하는 인출봉(61)으로 밀어내 인출하게 된다.
상기 인출봉(61)에는 십자형태의 커터(21)를 통과하기 위한 절개부(63)가 형성되어 있어 절개홈(52)이 형성된 리벳소재(51)를 밀어 낼 때 인출봉(61)이 십자형태의 커터(21)를 통과하게 된다.
제 4공정
삭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공정에서 형성된 십자형상의 절개홈(52)이 형성된 리벳소재(51)를 리벳머리 성형공(31)이 구비된 제 2금형(30)의 리벳공(32)으로 공급하여 소재고정봉(62)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미완의 머리성형공(41)이 구비된 1차 머리금형(40)으로 압인하여 미완의 둥근머리(53)를 성형하게 된다.
상기 제4 공정에서 미완의 둥근머리(53)을 1차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리벳머리(54)를 성형작업할 때 리벳머리(54)가 파열 또는 형태가 불량해지거나, 찌그러지는 등의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에는 1번의 공정으로 리벳머리(54)를 압인 성형함으로써 성형 압력과 확장 등의 성형으로 머리부에 많은 불량을 초래하였다.
삭제
제 5공정
삭제
도 4(b)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벳소재(51)에 미완의 둥근머리(53)를 성형하고 나면 초기 쐐기공 성형핀(42)이 구비된 2차 머리금형(43)으로 미완의 둥근머리(53)를 압인함에 따라 리벳소재(51)에 상면이 납작한 리벳머리(54)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리벳머리(54)에는 초기 쐐기공 성형핀(42)에 의해 초기 쐐기공(55)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5 공정에서 형성되는 초기 쐐기공(55)은 제 6공정에서 성형되는 쐐기공(56) 보다 내경이 약 0.2mm 정도 확장된 크기로 형성되고, 깊이는 리벳머리(54)의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제 6공정
삭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5공정에서 리벳소재(51)에 상면이 납작한 리벳머리(54)가 형성되고, 상기 리벳머리(54)에는 소정의 깊이로 초기 쇄기공(55)이 형성되고 나면 제2 금형(30)의 일 측에 쐐기공 성형핀(44)이 구비된 3차 쐐기공 성형금형(45)으로 압입하여 초기 쐐기공(55)의 중심부에 쐐기공(56)을 소정의 깊이로 형성함에 따라 리벳(50)의 성형을 완성하는 데, 상기 초기 쐐기공(55)에 연이어 형성되는 쐐기공(56)의 끝단에는 십자형상의 절개홈(52)이 용이하게 확장되도록 슬라이드면(58)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 6공정을 거쳐 얻어진 리벳(50)은 제2 금형(30)에서 소재고정봉(62)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인출되는 데, 상기 쐐기공(56)의 깊이와 폭은 리벳(50)의 사용 용도와 견고성 등에 따라 쐐기공 성형핀(44)의 굵기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삭제
상기 도 4(d)는 본 발명의 리벳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로써, 제 5공정에서 성형되는 초기 쐐기공(55)은 쐐기공(56) 보다 내경이 약 0.2mm 정도 크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즉, 초기 쐐기공(55)을 쐐기공(56)과 동일한 크기로 성형하면 이후 쐐기공(56)을 성형할 때 리벳머리(54)가 쐐기공(56)의 형성에 따른 확장에 의해 파열 또는 찌그러짐 등이 발생되는 불량을 초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성형 중 상기와 같은 차이로 순차적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는 데, 이때 상기 제시된 차이 0.2mm는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제시된 수치에서 전, 후로 증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성형된 본 발명의 리벳(50)은 쐐기공(56)에 쐐기(57)를 끼워넣는 것으로 상품화된다.
삭제
또한, 리벳(50)의 단부로부터 형성되는 십자형상의 절개홈(52)을 구성하기 위한 커터금형(20)은,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금형(23)과 하금형(24)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 하금형(23)(24)의 중심부에는 리벳소재(51)가 삽입되는 소재인입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재인입공(22)에는 리벳소재(51)에 소정의 길이로 절개홈(52)을 형성하는 십자형태의 커터(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 하금형(23)(24)의 소재인입공(22)에 형성되는 십자형태의 커터(21)는 상금형(23)의 전체와 하금형(24)의 일부에 형성하여도 되지만, 본 발명은 리벳소재(51)를 밀대(60)로 가압하여 절개홈(52)을 형성할 때 커터(21)가 파열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상금형(23)은 소재인입공(22)의 내부에 소재인입공의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위치되게 십자형태의 커터(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금형(24)은 상금형(23)에 형성된 소재인입공(22)의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는 소재인입공까지 위치되도록 도 1과 같이 돌출되면서 하금형(24)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는 십자형태의 커터(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리벳소재(51)를 상, 하금형(23)(24)에 형성된 소재인입공(22)으로 삽입하여 밀대(60)로 가압하여 절개홈(52)을 형성할 때 상, 하금형(23)(24)의 접속면에서 하금형(24)에 형성된 커터(21)가 상금형(23)의 내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어 리벳소재(51)가 상금형(23)에 형성된 소재인입공(22)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금형(23)에 형성된 커터(21)에 의해 계속해서 절개홈(52)이 성형되므로 커터(21)가 파열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리벳(50)을 이용하여 2개의 결합부재(70)를 일체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리벳을 이용한 체결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써, 한 쌍의 결합부재(70)를 중첩한 상태로 체결공(71)을 뚫은 다음 체결공(71)에 리벳(50)의 기다란 몸체부를 끼워 넣는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상태에서 리벳머리(54)에 쐐기공(56) 보다 크게 형성된 초기 쐐기공(55)을 통해 쐐기공(56)으로 삽입되어 있던 쐐기(57)를 가압하면 쐐기(57)의 선단이 슬라이드면(58)에 접속되어 있어 상기 쐐기(57)의 선단이 쐐기공(56)의 끝단에 형성된 슬라이드면(58)을 가압하게 되므로 슬라이드면(58)이 외향으로 밀리면서 절개홈(52)에 의해 사방으로 벌어지면서 확장된다.
삭제
이러한 외향 확장에 따라 리벳(50)은 도 7에서와 같이 한 쌍의 결합부재(70)를 견고히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커터금형(2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천공된 소재인입공(22)을 상금형(23)과 하금형(24)에 각각 구비하되, 소재인입공(22)에 십자형태의 커터(21)를 상호 어긋나게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참조 등록 제 10-0420273호)에서 발생되는 성형작업 중에 커터의 파열, 휨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상, 하금형(23)(24)에 각기 구성되어 견고성과 제조가 용이한 효과 및 절개홈(52)을 보다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기술의 진보를 이루는 것이다.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은 앵커리벳의 제조가 용이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특징과 자동성형에 의한 불량방지와 함께 균일성 유지로 품질향상은 물론이고 생산성 향상을 얻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삭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제 1금형 11 : 커터금형체결공
12 : 오링 13 : 체결링
20 : 커터금형 21 : 커터
22 : 소재인입공 23 : 상금형
24 : 하금형 30 : 제 2금형
31 : 리벳머리 성형공 32 : 리벳공
40 : 1차 머리금형 41 : 머리성형공
42 : 초기 쐐기공 성형핀 43 : 2차 머리금형
44 : 쐐기공 성형핀 45 : 3차 쐐기공 성형금형
50 : 리벳 51 : 리벳소재
52 : 절개홈 53 : 미완의 둥근머리
54 : 리벳머리 55 : 초기 쐐기공
56 : 쐐기공 57 : 쐐기
58 : 슬라이드면 60 : 밀대
61 : 인출봉 62 : 소재고정봉
63 : 절개부 70 : 결합부재
71 : 체결공

Claims (3)

  1. 원재료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리벳소재(51)를 얻는 제1 공정과, 상기 리벳소재(51)를 제1 금형(10)에 투입하여 십자형상의 절개홈(52)을 성형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절개홈(52)이 형성된 리벳소재(51)를 제1 금형(10)에서 인출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절개홈(52)이 형성된 리벳소재(51)를 제2 금형(30)에 투입하여 리벳머리(54)를 성형하는 제4 공정과, 상기 리벳머리(54)가 형성된 리벳소재(51)에 쐐기공(56)을 형성하는 제5, 6 공정으로 이루어진 앵커리벳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 중심부에 소재인입공(22)이 형성되고 소재인입공(22)에는 커터(21)가 일체로 형성된 커터금형(20)의 소재인입공(22)으로 리벳소재(51)를 압인하여 리벳소재(51)에 십자형상의 절개홈(52)을 형성하는 절개홈 형성공정과, 상기 제4 공정에서 십자형 절개홈(52)이 형성된 리벳소재(51)를 제 2금형(30)에 공급하여 미완의 머리성형공(41)을 갖는 1차 머리금형(40)으로 압인하여 미완의 둥근머리를 성형하는 미완의 머리성형공정과, 상기 제 5공정에서 미완의 머리성형공정에서 리벳소재(51)를 초기 쐐기공 성형핀(42)을 갖는 2차 머리금형(43)으로 압인하여 납작한 완성된 리벳머리(54)를 성형함과 아울러, 초기 쐐기공 성형핀(42)에 의해 리벳머리(54)의 중앙에 초기 쐐기공(55)을 성형하는 초기 쐐기공 성형공정과, 상기 제 6공정에서 초기 쐐기공 성형공정에 의해 형성된 초기 쐐기공(55)을 쐐기공 성형핀(44)을 갖는 3차 쐐기공 성형금형(45)으로 압인하여 초기 쐐기공(55)에 연이어지면서 선단에 슬라이드면(58)을 갖는 쐐기공(56)이 성형되는 리벳성형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리벳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공정에서 미완의 둥근머리(53)에 성형되는 초기 쐐기공(55)을 리벳머리(54)의 깊이로 형성하고 쐐기공(56)의 내경보다 0.2mm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리벳 제조방법.
  3. 제1 금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리벳머리(54)와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부에 십자형태의 절개홈(52)을 형성하는 앵커리벳의 절개홈 성형금형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 성형금형을 커터금형(20)으로 하되, 상기 커터금형(20)을 중심부에 소재인입공(22)이 형성된 상금형(23)과 하금형(24)으로 분리형성하고, 상기 상금형(23)은 소재인입공(22)의 내부에 소재인입공(22)의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위치되게 십자형태의 커터(21)를 일체로 형성하고, 하금형(24)은 상금형(23)에 형성된 소재인입공의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는 소재인입공(22)까지 위치되도록 돌출되면서 하금형(24)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는 십자형태의 커터(21)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리벳의 절개홈 성형금형.
KR1020200127765A 2020-10-05 2020-10-05 앵커리벳의 절개홈 성형금형 및 이를 이용한 앵커리벳 제조방법 KR102303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765A KR102303484B1 (ko) 2020-10-05 2020-10-05 앵커리벳의 절개홈 성형금형 및 이를 이용한 앵커리벳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765A KR102303484B1 (ko) 2020-10-05 2020-10-05 앵커리벳의 절개홈 성형금형 및 이를 이용한 앵커리벳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484B1 true KR102303484B1 (ko) 2021-09-16

Family

ID=7792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765A KR102303484B1 (ko) 2020-10-05 2020-10-05 앵커리벳의 절개홈 성형금형 및 이를 이용한 앵커리벳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860B1 (ko) 2022-07-25 2023-04-10 김재곤 앵커리벳의 절개홈 제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952A (ko) 1993-12-24 1995-07-20 레인홀트 찰라츠, 롤란트 빌티 확개 슬리브를 구비한 확개 압입 볼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확개 압입 볼트
JPH1024340A (ja) 1996-07-08 1998-01-27 T M T:Kk スリット付きワークの製造方法及びアンカーボルトの製 造方法
KR20020082055A (ko) * 2001-04-23 2002-10-30 김출곤 앵커리벳 제조방법과 금형
KR20070116472A (ko) * 2006-06-05 2007-12-10 삼우정공 주식회사 앵커리벳의 제조방법
KR101669080B1 (ko) * 2015-06-22 2016-10-25 혜성금속공업주식회사 자동차 팝업 보닛용 실린더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952A (ko) 1993-12-24 1995-07-20 레인홀트 찰라츠, 롤란트 빌티 확개 슬리브를 구비한 확개 압입 볼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확개 압입 볼트
JPH1024340A (ja) 1996-07-08 1998-01-27 T M T:Kk スリット付きワークの製造方法及びアンカーボルトの製 造方法
KR20020082055A (ko) * 2001-04-23 2002-10-30 김출곤 앵커리벳 제조방법과 금형
KR100420273B1 (ko) 2001-04-23 2004-03-02 김출곤 앵커리벳 제조방법과 금형
KR20070116472A (ko) * 2006-06-05 2007-12-10 삼우정공 주식회사 앵커리벳의 제조방법
KR101669080B1 (ko) * 2015-06-22 2016-10-25 혜성금속공업주식회사 자동차 팝업 보닛용 실린더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860B1 (ko) 2022-07-25 2023-04-10 김재곤 앵커리벳의 절개홈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104B1 (ko) 관형상부재를 형성하는 방법
US2966872A (en) Forming shaped hollow metal articles and equipment therefor
KR102303484B1 (ko) 앵커리벳의 절개홈 성형금형 및 이를 이용한 앵커리벳 제조방법
US20190210092A1 (en) Forging method and forging apparatus
JP2784960B2 (ja) ミシン針及びその製造方法
EP1477250B1 (en) Method of making self-piercing nuts
US2116712A (en) Method of making fastener units
US20110034259A1 (en) Method of making a washer
KR100420273B1 (ko) 앵커리벳 제조방법과 금형
JPS6127136B2 (ko)
US3078566A (en) Confined extrusion method of making hollow articles
US2125272A (en) Manufacture of screws
US3410127A (en) Plate with integral rive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1388566A (en) Rivet manufacture
TWI757596B (zh) 具長槽孔之工件成型方法及其模具
JPH0521662B2 (ko)
US1916432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gings
US4448055A (en) Method to manufacture pole pieces for dynamo electric machine, and so-made pole piece
CN205732613U (zh) 自卸料导正销
TWI817735B (zh) 多沖程之長套筒成型方法
US2256796A (en) Manufacture of separable fastener elements
JPH11216289A (ja) ミシン針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66159B1 (ko) U형 요오크 제조방법
KR100344097B1 (ko) 손톱깍기용 누름편의 제조방법
RU2074049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ых ступенчатых дета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