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176B1 - 매립 힌지연결구를 이용한 블록 연결 구조의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매립 힌지연결구를 이용한 블록 연결 구조의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176B1
KR102303176B1 KR1020190163501A KR20190163501A KR102303176B1 KR 102303176 B1 KR102303176 B1 KR 102303176B1 KR 1020190163501 A KR1020190163501 A KR 1020190163501A KR 20190163501 A KR20190163501 A KR 20190163501A KR 102303176 B1 KR102303176 B1 KR 102303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ed
arch
parts
rotating body
concret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061A (ko
Inventor
이관상
이대성
이창기
이종윤
신영섭
문현주
김인철
한상주
Original Assignee
금호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filed Critical 금호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1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4/00Arch-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21D11/083Methods or devices for joining adjacent concret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아치방향으로 연속 배치하되 콘크리트 블록을 회전이 가능한 매립 힌지연결구로 연결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분절된 콘크리트 블록이 매립 힌지연결구를 힌지점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치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를 아치형상으로 들어 올렸을 때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에 손상 발생하거나 아치구조체의 양끝단에 들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아치방향 양 끝단의 콘크리트 블록에는 가이드 콘 부재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아치구조체를 기초부에 거치할 때 아치구조물의 양 끝단을 당겨주는 와이어 풀링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하여 시공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립 힌지연결구를 이용한 블록 연결 구조의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매립 힌지연결구를 이용한 블록 연결 구조의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Concrete Block Assembly for Arch type Structure using Hinge Connector, Arch type Structure using such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아치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아치형 교량, 아치형 거다, 개착식 터널 등의 아치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이용되는 아치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아치가 형성되는 방향("아치방향")으로 연속 배치하고 콘크리트 블록을 회전이 가능한 매립 힌지연결구로 연결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콘크리트 블록이 매립 힌지연결구를 힌지점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분절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아치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를 아치형상으로 들어 올렸을 때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에 손상 발생하거나 아치구조체의 양끝단에 들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아치방향 양 끝단의 콘크리트 블록에는 가이드 콘(guide cone) 부재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아치구조체를 기초부에 거치할 때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을 당겨주는 와이어 풀링(wire pulling)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하여 시공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립 힌지연결구를 이용한 블록 연결 구조의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이나 중,소규모의 개착식 터널로서, 상향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아치형상의 아치구조물이 활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7638호에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아치방향으로 일렬 배열하되 섬유재질의 망으로 이루어진 연결재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일체화시켜서 조립체를 만든 후, 이를 현장으로 이송하여 크레인 등으로 인양하여 아치형상을 이루도록 설치함으로써, 교량, 터널, 아치형 지붕 등의 아치구조물을 시공하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다. 편의상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일체화시켜서 만든 조립체를 "블록 조립체"라고 기재하고, 블록 조립체를 들어 올려서 만들어지는 아치 형상의 구조체를 "아치구조체"라고 기재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연결재는 섬유재질의 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단순히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용도와 기능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며, 아치방향으로 블록 조립체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콘크리트 블록을 철근으로 연결하고 아치방향으로 강선을 설치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 철근 및 강선을 이용한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블록 조립체의 강성 보강에는 효과적이지만, 블록 조립체를 들어 올려서 아치형상의 아치구조체를 만들었을 때 철근이나 강선에 장력이 발생하여 콘크리트 블록에 국부적인 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아진다. 또한 블록 조립체를 들어 올려서 아치구조체를 만들었을 때, 아치구조체의 아치방향 양 끝단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장력 발생으로 인하여 상향으로 들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경우, 아치구조체를 아치방향 양쪽에 위치하는 기초부에 거치할 때, 아치구조체의 아치형상을 설계대로 유지하여 양 끝단이 기초부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을 아치의 중앙방향으로 당겨주는 작업 즉,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에 와이어를 묶어서 중앙방향으로 당겨주는 와이어 풀링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바, 그에 따른 시공상의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결국 시공비 및 공기가 증가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이 기초부에 위치하게 만드는 과정에서 자칫 아치구조체의 전도가 발생하거나, 양 끝단이 기초부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아치구조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복수개의 아치구조체를 횡방향(아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이웃 배치하여 일체화시킬 경우,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아치구조체 사이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일체화시킬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기술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충분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7638호(2012. 06. 19.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블록 조립체를 들어 올려 아치형상의 아치구조체를 이루게 하였을 때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에 손상 발생하거나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에 들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아치구조체를 기초부에 거치할 때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을 당겨주는 와이어 풀링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하여 시공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아치구조체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이웃 배치하여 일체화시킬 때,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아치구조체 사이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연결되어 블록 조립체로서, 콘크리트 블록은 하부 본체와 그 위쪽에 존재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 본체로 구분되고; 서로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매립 힌지연결구에 의해 연결되는데, 매립 힌지연결구는 일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회전체와, 타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회전체로 이루어지며;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 각각은 연직방향으로 하부 매립부와 상부 매립부로 구분되어, 하부 매립부는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본체에 매립되고 상부 매립부는 상부 본체에 매립되고,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에는 회전 결합부가 구비되어 회전 결합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가 회전되어 회전 결합부에서 절곡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부 본체가 위쪽이 되도록 인양되면 아치형상으로 구부러져서 아치구조체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연결되어 만들어진 블록 조립체를 들어 올려 구부러지게 만들어서 아치형상의 아치구조체를 이룬 후, 아치구조체를 아치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기초부 사이에 거치하되, 아치구조체를 횡방향으로 복수개 거치하여 구성되는 아치구조물로서, 상기한 본 발명의 블록 조립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과, 이를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조립체에서는 매립 힌지연결구의 회전 결합부를 힌지점으로 하여 서로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이 연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절곡됨으로써, 설계에 부합되는 아치형상의 아치구조체를 이루게 되는데, 아치구조체를 이루는 동안에, 별도의 장력이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본체에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문제점이었던 아치형상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철근이나 강선에 장력이 발생하여 하는 콘크리트 블록에 국부적인 손상이 유발되는 현상 및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이 들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매립 힌지연결구의 콘크리트 블록 매립 배치를 통해서 콘크리트 블록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블록 조립체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가이드 콘 부재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블록 조립체는 아치방향의 양 단부가 들려지는 현상 없이 설계에 부합되는 아치형상을 자연스럽게 이루게 되며, 아치구조체를 기초부에 설치할 때,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을 아치의 중앙방향으로 당겨주기 위한 와이어 풀링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설치작업의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될 뿐만 아니라, 블록 조립체에 의해 만들어진 아치구조체를 기초부에 매우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아치구조체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이웃 배치하여 일체화시킬 때,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아치구조체 사이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장점이 발휘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블록 조립체를 구축하는데 이용되는 매립 힌지연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블록 조립체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콘크리트 블록만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 1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5는 2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연결된 상태를 횡방향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6은 복수개의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매립 힌지연결구에서 상부 매립부와 하부 매립부가 분리되어 있는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3개의 매립 힌지연결구가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횡측보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후속하여 횡측보강부재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각각 매립 힌지연결구가 콘크리트 블록에 매립되어 일체화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매립 힌지연결구에 의해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일체 연결된 상태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연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가이드 콘 부재의 설치 구성을 보여주는 도 1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블록 조립체를 인양하여 기초부 사이에 설치하여 아치구조물을 시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도 17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원 C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21은 횡결합재를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 2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아치구조물의 구축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조립체(10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에는 블록 조립체(100)를 지면에 놓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블록 조립체(100)를 인양하여 아치형태의 아치구조체로 만든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조립체(100)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1)이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있되, 매립 힌지연결구(2)에 의해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1)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블록 조립체(100)을 이루고 있는 구성을 가진다. 블록 조립체(100)는 평평한 지면에 놓았을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직선을 이루고 있으나 크레인 등의 인양장치로 들어 올렸을 때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아치형상으로 구부러져서 아치형 교량, 개착식 터널 등의 이용되는 아치구조물을 구축하게 되는 아치구조체가 된다. 참고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 전체에서 블록 조립체(100)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이 "아치방향"이며, "횡방향"은 블록 조립체(100)의 폭방향 즉, 아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1에서 화살표 H로 표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도 3의 (a) 내지 (c)에는 각각 본 발명에서 블록 조립체(100)을 구축하는데 이용되는 매립 힌지연결구(2)의 실시예를 회전되기 전의 상태 및 회전된 후의 상태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블록 조립체(100)를 이루기 위하여 2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도 3의 매립 힌지연결구(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콘크리트 블록이 연결된 상태를 횡방향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2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서로 구분하여 지칭할 때에는 각각 "제1콘크리트 블록(1-1)" 및 "제2콘크리트 블록(1-2)"으로 기재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매립 힌지연결구(2)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매립 힌지연결구(2)는 제1콘크리트 블록(1-1)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회전체(21)와, 제2콘크리트 블록(1-2)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회전체(22)로 이루어지는데,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는 회전에 의해 절곡될 수 있는 형태로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매립 힌지연결구(2)는 도 3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가 일직선을 이루거나,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힌지점으로 하여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가 회전함으로써 도 3의 (b) 또는 도 3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절곡될 수 있다.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에는 회전 결합부(213, 223)가 구비되어 회전 결합부(213, 22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회전 결합부(213, 223)는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된 봉부재로 이루어져서, 양측의 회전 결합부(213, 223)가 횡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이루도록 배치된 후 힌지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는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매립 힌지연결구(2)를 형성하게 된다.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은 연직방향으로,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에 해당하는 하부 본체(11)에 매립되는 하부 매립부(211, 221)와,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 즉, 하부 본체(11)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 본체(12)에 매립되는 상부 매립부(212, 222)로 구분된다. 즉, 블록 조립체(100)을 이루는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1)은 하부 본체(11)와 그 위쪽에 존재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 본체(12)로 구분되는 것이며, 매립 힌지연결구(2)의 하부 매립부(211, 221)는 하부 본체(11)에 매립되고, 매립 힌지연결구(2)의 상부 매립부(212, 222)는 상부 본체(12)에 매립되는 것이다. 콘크리트 블록(1)의 하부 본체(11)는 횡방향으로 바라볼 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본체(11) 상면의 아치방향 길이 보다 하면의 아치방향 길이가 짧은 역사다리꼴 측면을 가진다.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의 상부 매립부(212, 222)는 아치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부 매립부(211, 221)은 상부 매립부(212, 222)의 아래쪽으로 돌출된 부재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아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막대부재가 회전 결합부(213, 223)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상부 매립부(212, 222)를 이루고 있고, ㄴ자 형태로 절곡된 막대부재가 상부 매립부(212, 222)의 하면에 구비되어 하부 매립부(211, 221)를 이루고 있다. 상부 매립부(212, 222) 및 하부 매립부(211, 221)가 막대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에서 막대부재가 서로 끼워지는 등의 방식에 의해 연결되면서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끼리 연결되어 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도 6의 (a) 및 (b)에는 각각 복수개의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매립 힌지연결구(2)끼리의 일체 연결구성을 통해서 블록 조립체(100)에서의 콘크리트 블록(1) 간의 일체화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하부 매립부(211, 221)와 상부 매립부(212, 222)를 형성하는 부재가 막대부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형상의 부재 등 다양한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매립부(211, 221)와 상부 매립부(212, 222)를 이루는 부재가 막대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기타 다양한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건 간에, 하부 매립부(211, 221)와 상부 매립부(212, 222)가 아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아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이를 이루는 부재가 콘크리트 블록에 매립됨으로써 콘크리트 블록 자체를 보강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매립 힌지연결구(2)에서 상부 매립부(212, 222)와 하부 매립부(211, 221)는 일체로 이루고 있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 매립부(212, 222)와 하부 매립부(211, 221)가 분리되어 있다가 서로 조립됨으로써 일체를 이루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7에는 매립 힌지연결구(2)에서 상부 매립부(212, 222)와 하부 매립부(211, 221)가 분리되어 있는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블록 조립체(100)를 공장 제작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매립 힌지연결구(2)가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데, 복수개의 매립 힌지연결구(2)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축력이나 뒤틀림 등에 대한 매립 힌지연결구(2)의 저항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횡측보강부재(8)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에는 3개의 매립 힌지연결구(2)가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횡측보강부재(8)가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에 후속하여 횡측보강부재(8)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횡측보강부재(8)는 아치방향으로 연장된 막대부재로 이루어져서 한 쌍이 매립 힌지연결구(2)의 횡방향 양측(양쪽 횡측면)에 설치되는데, 횡측보강부재(8)의 일단은 하나의 매립 힌지연결구(2)의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이에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의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8 및 도 9에는 3개의 매립 힌지연결구가 일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편의상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3개의 매립 힌지연결구를 순차적으로 제1매립 힌지연결구(2-1), 제2매립 힌지연결구(2-2) 및 제3매립 힌지연결구(2-3)라고 명명한다. 그리고 제1매립 힌지연결구(2-1)와 제2매립 힌지연결구(2-2) 사이에 설치되는 횡측보강부재를 편의상 제1횡측보강부재(8-1)라고 명명하고, 제2매립 힌지연결구(2-2)와 제3매립 힌지연결구(2-3) 사이에 설치되는 횡측보강부재를 편의상 제2횡측보강부재(8-2)라고 명명한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제1횡측보강부재(8-1)의 막대부재의 일단은 제1매립 힌지연결구(2-1)의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제2매립 힌지연결구(2-2)의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횡측보강부재(8-2)의 막대부재의 일단은 제2매립 힌지연결구(2-2)의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제3매립 힌지연결구(2-3)의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횡측보강부재(8)는 한 쌍의 막대부재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막대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 사이에서 매립 힌지연결구(2)의 횡측면에 배치되며, 막대부재의 양단은 각각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횡측보강부재(8)는 매립 힌지연결구(2)가 회전에 의한 절곡될 때, 아무런 방해도 주지 않으면서도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를 서로 연결하고, 매립 힌지연결구가 발휘하는 축력이나 뒤틀림 등에 대한 저항력을 더욱 증진시켜 보강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횡측보강부재(8)는 콘크리트 블록(1)의 상부 본체(12)에 매립되어서 상부 본체(12)의 콘크리트를 더 보강하는 기능도 발휘한다.
도 10 내지 도 13에는 각각 매립 힌지연결구가 콘크리트 블록에 매립되어 일체화되어 블록 조립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10 내지 도 13에서는 4개의 콘크리트 블록만을 도시하였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우선 콘크리트 블록(1)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19)을 아치방향으로 일렬 배치하고,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의 매립 힌지연결구(2)를 거푸집(19)에 설치한다. 매립 힌지연결구(2)를 거푸집(19)에 설치함에 있어서,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 사이에 간격을 둘 수도 있지만, 상부 매립부(212, 222) 및 하부 매립부(211, 221)가 막대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막대부재를 서로 삽입하거나 기타 방식에 의해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매립 힌지연결구(2)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일체화시킨 상태로 복수개의 매립 힌지연결구(2)를 일렬로 거푸집(19)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매립 힌지연결구(2)의 하부 매립부(211, 221)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본체(11)를 제작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의 하부 매립부(211, 221)가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거푸집(19)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본체(11)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 때,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의 상부 매립부(212, 222)는 하부 본체(11)의 위쪽에 돌출된 상태로 존재한다. 도 12에는 하부 본체(11)가 제작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후속하여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본체(11) 위에서 매립 힌지연결구(22)의 상부 매립부(212, 222)가 매립되도록 추가적인 콘크리트를 일정 두께로 더 타설하여 상부 본체(12)를 형성한다. 비록 하부 본체(11)와 상부 본체(12)는 각각 별도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지만, 하부 매립부(212, 222)와 상부 매립부(211, 221)가 일체를 이루고 있는 상태의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가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에서 하부 본체(11)와 상부 본체(12)에 걸쳐서 매립되므로, 하부 본체(11)와 상부 본체(12)는 일체를 이루게 된다.
위의 설명에서는 제작하고자 하는 블록 조립체(100)의 아치방향 길이 전체에 거푸집(19)을 일렬 배치하고 매립 힌지연결구(2)를 배치하여, 전체 콘크리트 블록(1)을 제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제1회전체(21)가 매립된 제1콘크리트 블록(1-1)과, 제2회전체(22)가 매립된 제2콘크리트 블록(1-2)을 각각 별도로 완성된 상태로 제작한 후,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를 회전결합부(23)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블록 조립체(100)를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예시된 것처럼 매립 힌지연결구가 상부 매립부와 하부 매립부의 분리/조립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하부 본체(11)를 제작할 때에는 매립 힌지연결구(2)의 하부 매립부(211, 221)만을 콘크리트에 매립한 후, 하부 본체(11)의 제작이 완료된 이후에 하부 매립부(211, 221)에 상부 매립부(212, 222)를 조립하여 매립 힌지연결구를 완성한 후, 상부 매립부(212, 222)가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상부 본체(12)를 제작할 수도 있다.
도 14에는 매립 힌지연결구(2)에 의해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1)이 일체 연결된 상태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연직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블록 조립체(100)에서는 매립 힌지연결구(2)의 회전 결합부(213, 223)를 힌지점으로 하여 서로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1)이 연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절곡될 수 있다. 블록 조립체(100)가 완성되면 도 1과 같은 상태로 지면에 놓이게 되는데, 블록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교량 등의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상부 본체(12)가 위쪽에 있는 상태로 블록 조립체(100)를 들어 올리게 된다. 블록 조립체(100)에서 서로 이웃한 콘크리트 블록(1)은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서 연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절곡될 수 있는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블록 조립체(100)를 들어 올리게 되면 매립 힌지연결구(2)의 회전 결합부를 힌지점으로 하여 양측 콘크리트 블록(1)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콘크리트 블록(1) 사이의 힌지점에서 자연스럽게 절곡되면서 블록 조립체(10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설계된 형상에 부합하는 아치형상을 가지는 아치구조체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아치구조체를 이루는 동안에,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장력이 하부 본체(12)에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문제점 즉, 블록 조립체를 들어 올려서 아치형상으로 만들었을 때 철근이나 강선에 장력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블록에 국부적인 손상이 유발되는 현상 및 아치구조물의 양 끝단이 들여지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부 본체(12)를 형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사전에 정해진 위치의 콘크리트 블록(1)에 대해서는,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앵커볼트 고정부(121)를 미리 형성해둘 수 있다. 앵커볼트 고정부(121)는 오목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앵커볼트 고정부(121)의 활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블록 조립체(100)의 아치방향 양 끝단의 각각에 위치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는 필요에 따라 가이드 콘(guide cone) 부재(4)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5에는 가이드 콘 부재(4)의 설치 구성을 보여주는 도 1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도 15에 도시된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블록 조립체(100)의 아치방향 양 끝단에 위치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상부 본체(12)에는 연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확장플랜지부(120)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확장플랜지부(120)에는 가이드 콘 부재(4)가 아치방향 끝단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콘 부재(4)는 아치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원추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콘 부재(4)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콘 부재(4)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 콘 부재(4)의 자중이 연직방향으로 작용하면서 단부 콘크리트 블록 아치방향 측면이,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아치방향 측면에 자연스럽게 밀착하게 되어 블록 조립체(100)가 설계된 아치형상을 이루는데 큰 도움을 주게 된다. 즉,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구비된 가이드 콘 부재(4)의 자중에 의해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는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연직방향으로 연직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연직하중으로 인하여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는 화살표 M으로 표현된 형태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모멘트력은 단부 콘크리트 블록이 위로 들어 올려지지 않고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과 아치방향 측면이 잘 밀착되도록 만들게 된다. 따라서 블록 조립체(100)는 아치방향의 양 단부가 들려지는 현상 없이 설계에 부합되는 아치형상을 자연스럽게 이루게 되며, 아치형상을 이룬 아치구조체를 기초부(5)에 설치할 때, 아치구조체의 양 끝단을 아치의 중앙방향으로 당겨주기 위한 와이어 풀링(pulling)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설치작업의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체(100)를 아치형태의 아치구조체로 만들어서 횡방향으로 복수개 연속배치함으로써, 터널이나 교량 등의 아치구조물을 구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체(100)를 인양하여 기초부(5) 사이에 설치하여 아치구조물을 시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 및 도 19에는 각각 도 17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는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9에는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된 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블록 조립체(100)를 공장에서 사전 제작한 후, 현장으로 이송하여 크레인 등으로 인양하여 아치형상을 만들어서,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기초부(5) 사이에 거치하게 된다. 이 때, 블록 조립체(100)의 아치방향 양 끝단에 위치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이 기초부(5)에 놓이게 되는데,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가이드 콘 부재(4)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단부 콘크리트 블록이 접하는 기초부(5)의 상면에는 가이드 콘 부재(4)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50)이 오목하게 형성해놓는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아치형태를 이룬 상태의 블록 조립체(100)를 기초부(5)에 거치할 때,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된 후에는 필요에 따라 가이드 홀(50)에 모르타르 등의 채움재를 충진하여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가이드 콘 부재(4)와 가이드 홀(50)의 결합 구성은, 블록 조립체(100)를 정해진 위치에서 기초부(5)에 거치하는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발휘한다. 가이드 홀(50)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하면 제작 내지 시공시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가이드 콘 부재(4)가 용이하게 가이드 홀(50)에 삽입되면서, 블록 조립체(100)가 정해진 위치에서 기초부(5)에 거치된다. 이와 같이 블록 조립체(100)를 기초부(5)에 거치할 때,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블록 조립체(100)의 거치 과정에서 전도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단부 콘크리트 블록(1-3)이 접하는 기초부(5)의 상면이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블록 조립체(100)가 기초부(5)에 거치될 때, 가이드 콘 부재(4)가 사선 방향으로 쉽게 가이드 홀(50)에 삽입된다. 가이드 홀(50)의 지름과 가이드 콘 부재(4)의 지름을 동일하게 만들면,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끼워져서 고정되면서 블록 조립체(100)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것처럼 가이드 홀(50)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하게 되면,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끼워지는 즉시 블록 조립체(100)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지는 않지만, 제작 내지 시공시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가이드 콘 부재(4)가 용이하게 가이드 홀(50)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된 후에는 블록 조립체(100)의 위치 조정 후 가이드 홀(50)에 모르타르 등의 채움재를 충진하여 가이드 콘 부재(4)가 가이드 홀(5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시킴으로써, 블록 조립체(100)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7에 예시된 것처럼 블록 조립체(100)를 인양하여 아치형태로 만들어서 아치방향 양단의 기초부(5) 사이에 설치하면서 복수개의 블록 조립체(100)를 횡방향으로 연속배치함으로써 터널, 교량 등과 같은 아치구조물을 축조한다. 이 때,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블록 조립체(100)를 결속하여 서로 간의 일체화를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횡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진 횡결합재(6)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0에는 도 17의 원 C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1에는 횡결합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2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블록 조립체(100)를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1)을 제작할 때, 사전에 정해진 위치의 콘크리트 블록(1)에 대해서는, 오목한 홈 형태의 앵커볼트 고정부(121)를 상부 본체(12)에 미리 형성해둘 수 있는데, 복수개의 블록 조립체(100)를 횡방향으로 연속배치하였을 때, 각 블록 조립체(100)에 형성된 앵커볼트 고정부(121)가 횡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20 내지 도 22에 예시된 것처럼, 막대부재, 판부재 등으로 이루어져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진 횡결합재(6)를 이웃하는 블록 조립체(100)의 앵커볼트 고정부(121) 사이에 배치하고, 앵커볼트(60)를 이용하여 횡결합재(6)를 앵커볼트 고정부(121)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조립체(100) 사이가 횡결합재(6)에 의해 더욱 강하게 결속되며, 그에 따라 블록 조립체(100) 간의 일체화를 더욱 강화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1: 콘크리트 블록
2: 매립 힌지연결구
4: 가이드 콘 부재
5: 기초부
6: 횡결합재
8: 횡측보강부재
11: 하부 본체
12: 상부 본체
19: 거푸집
21: 제1회전체
22: 제2회전체
100: 블록 조립체
121: 앵커볼트 고정부
211, 221: 하부 매립부
212, 222: 상부 매립부
213, 223: 회전 결합부

Claims (8)

  1.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연결된 구성의 블록 조립체(100)로서, 콘크리트 블록은 하부 본체(11)와 그 위쪽에 존재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 본체(12)로 구분되고;
    서로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매립 힌지연결구(2)에 의해 연결되는데, 매립 힌지연결구(2)는 일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회전체(21)와, 타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회전체(22)로 이루어지며;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은 연직방향으로 하부 매립부(211, 221)와 상부 매립부(212, 222)로 구분되어, 하부 매립부(211, 221)는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본체(11)에 매립되고 상부 매립부(212, 222)는 상부 본체(12)에 매립되고,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에는 회전 결합부(213, 223)가 구비되어 회전 결합부(213, 22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가 회전되어 회전 결합부(213, 223)에서 절곡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부 본체(12)가 위쪽이 되도록 인양되면 아치형상으로 구부러져서 아치구조체를 이루게 되는데;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의 상부 매립부(212, 222)는 아치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막대부재가 회전 결합부(213, 223)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하부 매립부(211, 221)는 ㄴ자 형태로 절곡된 막대부재가 상부 매립부(212, 222)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에서 상부 매립부(212, 222)의 막대부재 또는 하부 매립부(211, 221)의 막대부재가 서로 끼워짐으로써,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끼리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아치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막대부재로 이루어진 횡측보강부재(8)가 매립 힌지연결구(2)에 설치되어 매립 힌지연결구(2)의 강성을 더 보강하는데,
    횡측보강부재(8)의 막대부재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매립 힌지연결구(2) 사이에서 매립 힌지연결구(2)의 횡측면에 배치되는데, 막대부재의 양단은 각각 회전 결합부(213, 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블록 조립체(100)의 아치방향 양 끝단의 각각에 위치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서, 상부 본체(12)에는 연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확장플랜지부(120)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확장플랜지부(120)에는 가이드 콘 부재(4)가 아치방향 끝단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서;
    블록 조립체(100)가 들어 올려졌을 때, 가이드 콘 부재(4)의 자중에 의한 힘과 모멘트력이 작용하여 단부 콘크리트 블록이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과 아치방향 측면에서의 향상된 밀착이 이루어지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6.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연결되어 만들어진 블록 조립체(100)를 들어 올려 구부러지게 만들어서 아치형상의 아치구조체를 이룬 후, 아치구조체를 아치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기초부(5) 사이에 횡방향으로 복수개 거치하여 구성되는 아치구조물로서,
    블록 조립체(100)의 콘크리트 블록은 하부 본체(11)와 그 위쪽에 존재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 본체(12)로 구분되고;
    서로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매립 힌지연결구(2)에 의해 연결되는데, 매립 힌지연결구(2)는 일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회전체(21)와, 타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회전체(22)로 이루어지며;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은 연직방향으로 하부 매립부(211, 221)와 상부 매립부(212, 222)로 구분되어, 하부 매립부(211, 221)는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본체(11)에 매립되고 상부 매립부(212, 222)는 상부 본체(12)에 매립되고,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에는 회전 결합부(213, 223)가 구비되어 회전 결합부(213, 22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가 회전되어 회전 결합부(213, 223)에서 절곡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데;
    매립 힌지연결구(2)의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의 상부 매립부(212, 222)는 아치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막대부재가 회전 결합부(213, 223)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하부 매립부(211, 221)는 ㄴ자 형태로 절곡된 막대부재가 상부 매립부(212, 222)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블록 조립체(100)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진 횡결합재(6)를 배치하고, 앵커볼트(60)로 횡결합재(6)를 블록 조립체(100)에 고정함으로써,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조립체(100)이 횡결합재(6)에 의해 결속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
  8. 복수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아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연결되어 만들어진 블록 조립체(100)로 이루어진 아치구조체를 이용하여 아치구조물을 구축하게 되는 시공방법으로서,
    블록 조립체(100)의 콘크리트 블록은 하부 본체(11)와 그 위쪽에 존재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 본체(12)로 구분되고;
    서로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매립 힌지연결구(2)에 의해 연결되는데, 매립 힌지연결구(2)는 일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회전체(21)와, 타측의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회전체(22)로 이루어지며;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은 연직방향으로 하부 매립부(211, 221)와 상부 매립부(212, 222)로 구분되어, 하부 매립부(211, 221)는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본체(11)에 매립되고 상부 매립부(212, 222)는 상부 본체(12)에 매립되고,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에는 회전 결합부(213, 223)가 구비되어 회전 결합부(213, 22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가 회전되어 회전 결합부(213, 223)에서 절곡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도록 블록 조립체(100)를 제작하고;
    상부 매립부(212, 222)가 위쪽에 위치한 상태로 블록 조립체(100)를 들어 올려 구부러지게 만들어서 아치형상의 아치구조체를 이루고;
    아치구조체를 아치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기초부(5) 사이에 거치하되, 아치구조체를 횡방향으로 복수개 거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매립 힌지연결구(2)의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22) 각각의 상부 매립부(212, 222)는 아치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막대부재가 회전 결합부(213, 223)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하부 매립부(211, 221)는 ㄴ자 형태로 절곡된 막대부재가 상부 매립부(212, 222)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90163501A 2019-12-10 2019-12-10 매립 힌지연결구를 이용한 블록 연결 구조의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03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501A KR102303176B1 (ko) 2019-12-10 2019-12-10 매립 힌지연결구를 이용한 블록 연결 구조의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501A KR102303176B1 (ko) 2019-12-10 2019-12-10 매립 힌지연결구를 이용한 블록 연결 구조의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061A KR20210073061A (ko) 2021-06-18
KR102303176B1 true KR102303176B1 (ko) 2021-09-16

Family

ID=7662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501A KR102303176B1 (ko) 2019-12-10 2019-12-10 매립 힌지연결구를 이용한 블록 연결 구조의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2405A (ko) 2022-10-14 2024-04-23 금호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아치구조물을 이루는 아치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아치블록의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2922B (zh) * 2020-10-30 2022-04-01 中国电建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异形截面箱式钢结构流线型钢拱制造方法
KR102501685B1 (ko) * 2021-12-28 2023-02-21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반개착과 탑다운 굴착을 병행하는 터널 시공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2971A (ja) 1999-01-25 2000-08-02 Hitoshi Mori べた基礎用のpc礎版とpc基礎梁部材ならびにこれらを使用するべた基礎の施工方法
JP2002089194A (ja) 2000-09-19 2002-03-27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アーチトンネル用湾曲版据付構造
KR101524238B1 (ko) 2014-12-15 2015-06-01 비코비엔주식회사 상단힌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아치블록조립체 시공방법
JP2019094736A (ja) 2017-11-28 2019-06-20 矢内 誠 凸状連結構造物を構成する一連の箱状構造物と凸状連結構造物の構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638B1 (ko) 2012-02-06 2012-06-19 이형훈 아치 블록조립체, 그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2971A (ja) 1999-01-25 2000-08-02 Hitoshi Mori べた基礎用のpc礎版とpc基礎梁部材ならびにこれらを使用するべた基礎の施工方法
JP2002089194A (ja) 2000-09-19 2002-03-27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アーチトンネル用湾曲版据付構造
KR101524238B1 (ko) 2014-12-15 2015-06-01 비코비엔주식회사 상단힌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아치블록조립체 시공방법
JP2019094736A (ja) 2017-11-28 2019-06-20 矢内 誠 凸状連結構造物を構成する一連の箱状構造物と凸状連結構造物の構築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2405A (ko) 2022-10-14 2024-04-23 금호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아치구조물을 이루는 아치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아치블록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061A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176B1 (ko) 매립 힌지연결구를 이용한 블록 연결 구조의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45538B1 (ko) 더블 벽체 및 더블 벽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더블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565864B1 (ko) 피시(pc)콘크리트박스거더와 결합시공된 콘크리트아치하로교 시공방법
KR101157638B1 (ko) 아치 블록조립체, 그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KR101675908B1 (ko) 프리캐스트 아치형 터널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283531B1 (ko) 외부 힌지연결구를 이용한 블록 연결 구조의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180163425A1 (en) Link-Plate Connection For Monopole Reinforcing Bars
KR102174773B1 (ko) 횡좌굴 방지 클립부재를 구비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KR101099885B1 (ko)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를 이용한 아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아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00013548A (ko) 하프pc슬래브의 이음구조
KR101645525B1 (ko) 트윈월 및 트윈월을 이용하여 제작된 트윈월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222522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터널구조물
KR101480275B1 (ko) 입체형 수평전단 연결재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슬래브 및 그 시공 방법
KR101994089B1 (ko) 인발전단메쉬부재가 구성되며 넓은 폭을 갖는 현장 타설용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JP6192972B2 (ja) カルバート
CN208235557U (zh) 一种装配式基础
CN109016127B (zh) 一种桥梁拱箱预制生产及其横向连接方法
KR102065623B1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RU2554364C2 (ru)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нкера для подъема бетонных элементов
KR100500143B1 (ko) 통수단면 확보를 위한 교각의 중공 단면확대 시공방법 및그 구조
KR200404658Y1 (ko) 프리캐스트 부벽식 옹벽
CN113931348A (zh) L形预制混凝土组件及建筑结构
KR20220135682A (ko) 엄지말뚝 시공용 강재 조립 파일
KR101846245B1 (ko) 나선형 횡보강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기둥 시공방법
KR101304335B1 (ko) 절곡성형부재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슬래브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