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615B1 - 피보호자 보호 방법 및 서버 장치 - Google Patents

피보호자 보호 방법 및 서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615B1
KR102302615B1 KR1020150092481A KR20150092481A KR102302615B1 KR 102302615 B1 KR102302615 B1 KR 102302615B1 KR 1020150092481 A KR1020150092481 A KR 1020150092481A KR 20150092481 A KR20150092481 A KR 20150092481A KR 102302615 B1 KR102302615 B1 KR 102302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uardian
protected
short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225A (ko
Inventor
최용원
정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09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6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피보호자 보호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피보호자 방법은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이 피보호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이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이 끊기는 경우,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이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탈상황을 통보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은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과 상기 피보호자 단말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성공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은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이탈상황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보호자 보호 방법 및 서버 장치{METHOD FOR PROTECTING WARD AND SERVER APPARATUS}
본 발명은 피보호자 보호 방법 및 서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통신(ex. NFC, 비콘 등)은 구축 비용이 저렴하고 짧은 거리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멀리 떨어진 사람과는 통신이 어렵다. 반면, 이동통신망은 인프라 구축 비용이 비싸지만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이렇게 이동통신망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과 그 특징을 달리하고 있으며, 현재 각 분야별로 진화를 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단말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의 예가 주로 기기간의 연결에 머물러 있으며 타 기술 분야와 융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로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근거리 통신 및 이동통신망을 상호 연계하여 피보호자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 및 서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피보호자 보호 방법은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이 피보호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이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이 끊기는 경우,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이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탈상황을 통보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은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과 상기 피보호자 단말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성공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은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이탈상황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상황을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이 끊기는 경우, 알람을 송출하고,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탈상황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성공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이탈상황을 해제하는 단계는,
알람 송출을 중단하고, 타이머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과 상기 피보호자 단말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은,
상기 주 보호자 단말로부터 이탈상황을 통보받으면,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 연결부를 구동하여 상기 피보호자 단말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제3자 단말로 이탈상황을 통보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제3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성공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이탈상황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성공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3자 단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 여부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제3자 단말은,
상기 주 보호자 단말로부터 이탈상황을 통보받으면,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 연결부를 구동하여 상기 피보호자 단말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실패하는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구조기관 서버로 이탈상황을 신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주 보호자 단말, 상기 피보호자 단말 및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 간에 피보호자-보호자 관계를 상호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주 보호자 단말이 앱 서버 또는 웹 서버로부터 인증번호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증번호를 상기 주 보호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앱 또는 웹 상에서 입력하여 상기 앱 서버 또는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앱 서버 또는 상기 웹 서버는,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이 입력한 인증번호가 전송한 인증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을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보호자로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 이전에,
전용 앱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용 앱의 실행에 따라 각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버 장치는 전용 앱 또는 웹 상에서 수신된 보호자들 및 피보호자의 요청에 따라 피보호자 단말, 주 보호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 간에 피보호자-보호자 관계를 상호 등록하는 등록부, 그리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다가 연결이 끊긴 상기 주 보호자 단말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탈상황을 통보받으면,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탈상황을 전달하는 중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부로부터 상기 이탈상황을 수신한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이 상기 피보호자 단말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시도하여 연결에 성공하면,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은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이탈상황을 해제한다.
상기 중계부는,
기 정의된 시간 이내에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이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에 실패하면, 상기 이탈상황을 통보받기로 사전에 약정한 복수의 제3자 단말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탈상황을 통보하고,
상기 복수의 제3자 단말은,
상기 이탈상황을 통보받으면, 자동으로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등록부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 동일한 인증번호를 각각 전송하고, 상기 전용 앱 또는 상기 웹 상에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입력받은 인증번호가 상기 전송한 인증번호와 동일하면, 상기 피보호자의 보호자로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이 사전에 정해진 안심존의 진입 및 이탈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위치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관리부는,
보호자가 설정한 집중 모니터링 시간 및 간격에 따라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관리부는,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위치 관리부가 확인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위치까지 길 안내 경로 정보를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 보호자 단말이 설정한 볼륨 조절, 배경화면 설정 및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명령을 상기 피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피보호자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은 상기 단말 제어 명령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피보호자 제어부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단말 사용량 및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피보호자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보호자 단말과 보호자 단말을 근거리 통신으로 서로 연결하고, 근거리 통신의 연결 여부로 피보호자의 이탈상황을 확인하며, 피보호자가 이탈한 경우 제3자에게도 피보호자의 이탈상황을 전파하여 장애우, 노약자, 어린이, 반려동물 등 피보호자의 실종 및 미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및 이동통신망의 장점을 각각 사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한 관계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피보호자의 이탈 감지 후 기 연결된 단말들 간의 이탈 상황을 알람 또는 진동으로 알려 이탈상황에 대한 즉각적 인지를 가능케 한다.
또한, 주 보호자 단말이 인지한 이탈상황을 보조 보호자 단말이 통보받아 복수의 보호자들이 피보호자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시도함으로써, 다자간의 피보호자 이탈 상황을 공유 및 피보호자 찾기를 가능케 한다.
또한, 피보호자의 이탈상황이 지속될 시 구조기관으로 이탈상황 보고가 이루어지는 한편, 이동통신망의 일반 고객들과의 상황공유 및 피보호자 단말 찾기 시도를 통해 실종 및 미아 발생에 대한 적극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보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보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보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 보호자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보호자 단말 및 제3자 단말의 공통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보호 방법 및 서버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100),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200), 하나 이상(n)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 및 복수(n)의 제3자 단말(400)은 근거리 통신망(500)에 연결된다.
이때,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200), 하나 이상(n)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 및 복수(n)의 제3자 단말(400) 각각은 피보호자 단말(100)과 근거리 통신망(50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피보호자는 보호가 필요한 보호 대상을 지칭하는데, 장애우, 노약자, 어린이, 반려동물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주보호자 및 보조 보호자는 피보호자의 보호자로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3자는 피보호자와 관계는 없는 일반 사용자를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망(500)은 블루투스 규격에 따른 통신망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근거리 통신 규격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피보호자 단말(100),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200), 하나 이상(n)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 및 복수(n)의 제3자 단말(400)은 이동통신망(600)을 통해 서버 장치(700) 및 구조기관 서버(800)와 연결된다.
이동통신망(600)은 이통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으로서, LTE망, 3G망, WiFi망 등이 될 수 있다.
서버 장치(700)는 피보호자 단말(100),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200), 하나 이상(n)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 및 복수(n)의 제3자 단말(400)에 설치 및 실행되는 전용 앱 및 웹 사이트를 제어하는 서버이다. 여기서, 전용 앱은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구조기관 서버(800)는 경찰청, 미아구조기관 등의 관공서 서버를 지칭한다. 구조기관 서버(800)는 이동통신망(600)을 통해 피보호자 단말(100) 또는 주보호자 단말(200)로부터 구조 요청을 수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보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100) 및 주 보호자 단말(200)은 기 설치된 전용 앱을 각각 실행(S101, S103)한 상태에서 근거리 통신 연결부를 구동한다(S105, S107). 그리고 피보호자 단말(100) 및 주 보호자 단말(200)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근거리 통신 연결에 성공한다(S109).
피보호자 단말(100) 및 주 보호자 단말(200)은 S109 단계에서 성공한 근거리 통신 연결의 상태를 확인한다(S111, S113). 그리고 근거리 통신 연결이 계속 유지되는지를 판단한다(S115, S117).
이때, 근거리 통신 연결이 끊기는 경우, 이탈상황으로 판단하여 피보호자 단말(100) 및 주 보호자 단말(200)은 알람을 송출한다(S119, S121). 여기서, 알람은 소리 알람 또는 진동 알람일 수 있다.
주 보호자 단말(200)은 타이머를 구동한다(S123). 그리고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로 이동통신망(600)을 통해 이탈상황을 통보한다(S125). 이때, 통보 방식은 문자(SMS), 앱 푸쉬(push) 방식일 수 있다.
주 보호자 단말(200)은 타이머 만료 이전에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이 피보호자 단말(100)과 근거리 통신 연결에 성공하는지를 판단한다(S127).
이때, 근거리 통신 연결에 성공하면, 이탈상황을 해제한다(S129).
반면, 근거리 통신 연결에 실패하면, 복수의 제3자 단말(400) 및 구조기관 서버(800)로 이동통신망(600)을 통해 이탈상황을 통보한다(S131).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보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2에서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의 동작이 포함된 세부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이 전용 앱을 실행(S201)한 상태에서 주 보호자 단말(200)로부터 이동통신망(600)을 통해 이탈상황을 통보받는다(S203).
여기서, 주 보호자 단말(200)은 사전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전화번호로 이탈상황 통보 문자를 자동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주 보호자 단말(200)은 전용 앱 푸쉬 메시지로 이탈상황 통보를 자동 발송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주 보호자 단말(200)의 전용 앱이 서버 장치(700)로 이탈상황 통보를 요청하면, 서버 장치(700)가 이탈상황 통보를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의 전용 앱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이탈상황 통보가 수신되면,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은 근거리 통신 연결부를 자동으로 구동한다(S205). 그리고 피보호자 단말(100)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S207). 즉, 주 보호자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로 이탈상황을 통보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강제로 실행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은 근거리 통신 연결에 성공하는지를 판단한다(S209). 그리고 근거리 통신 연결에 성공하면, 근거리 통신 연결 성공 보고를 주 보호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211). 그러면, 주 보호자 단말(200)은 이탈상황을 해제한다(S213). 즉, 도 2의 알람 송출 및 타이머 구동을 종료한다.
반면, 근거리 통신 연결에 실패하면, 근거리 통신 연결 실패 보고를 주 보호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215). 그러면, 주 보호자 단말(200)은 복수의 제3자 단말(400) 및 구조기관 서버(800)로 이탈상황을 통보한다(S217).
여기서, S211 단계, S215 단계 역시 S203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보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2, 도 3에서 제3자 단말의 동작이 포함된 세부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 보호자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이 피보호자 단말(100)과 근거리 통신 연결에 실패한 경우로 판단(S301)되면, 서버 장치(700) 및 구조기관 서버(800)로 이동통신망(600)을 통해 이탈상황을 통보한다(S303, S305).
서버 장치(700)는 사전에 이탈상황을 통보받기로 약정한 가입자를 확인한다(S307). 그러면, 이러한 가입자의 단말, 즉 복수의 제3자 단말(400)로 이탈상황을 통보한다(S309). 여기서, 이탈상황 통보는 문자(SMS) 또는 앱 푸쉬의 방식일 수 있다.
복수의 제3자 단말(400)은 이탈상황을 통보받으면, 전용 앱을 실행(S311)하고 근거리 통신 연결부를 자동으로 강제 구동한다(S313). 그리고 피보호자 단말(100)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S315).
복수의 제3자 단말(400)은 근거리 통신 연결의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S317). 이때, 성공하면, 주보호자 단말(200)로 근거리 통신 연결 보고를 전송한다(S319). 그러면, 주 보호자 단말(200)은 이탈상황을 해제한다(S319).
반면, 실패하면, 복수의 제3자 단말(400)은 근거리 통신 연결 실패를 보고한다(S323).
지금까지, 도 2, 3, 4에서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 및 복수의 제3자 단말(400)이 피보호자 단말(100)로의 근거리 통신 연결 시도는 사전에 약정된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메시지 또는 데이터 송수신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감지된 단말의 고유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피보호자 단말(100)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보호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100)은 근거리 통신 연결부(110), 이동통신 연결부(13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피보호자 단말(100)은 스마트 워치 또는 반려견에 부착되는 스마트 칩과 같이 통신 기능 및 제어 기능만 구비된 소규모 형태일 수도 있고, 휴대 전화 단말의 형태일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연결부(110)는 근거리 통신망(500)에 접속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예컨대 블루투스 모듈일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연결부(110)는 주 보호자 단말(200),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 및 복수의 제3자 단말(400)과 근거리 통신망(500)을 통해 연결된다.
근거리 통신 연결부(110)는 주 보호자 단말(200)과 먼저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근거리 통신 연결이 지속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 연결이 끊기면, 근거리 통신 끊김을 프로세서로 보고한다.
이동통신 연결부(130)는 이동통신망(600)에 접속되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동통신 연결부(130)는 휴대 단말에 탑재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중앙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알람 송출부(151), 위치 제어부(153), 단말 설정 제어부(155) 및 전용 앱 실행부(157)를 포함한다.
알람 송출부(151)는 근거리 통신 연결부(110)로부터 근거리 통신 연결 끊김이 보고되면, 진동 알람 또는 소리 알람을 포함하는 정해진 방식의 알람을 송출하여 사용자가 근거리 통신 연결 끊김을 인지하도록 한다.
위치 제어부(153)는 피보호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현재 위치를 토대로 정해진 안심 존 진입 및 이탈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위치 확인은 이동통신망의 셀 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탑재된 GPS 모듈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제어부(153)는 현재 위치 정보, 안심존 진입 및 이탈 여부 정보를 서버 장치(700)로 전송한다.
위치 제어부(153)는 피보호자 단말(100)의 외부에 구비된 구조 버튼(또는 홈 버튼)이 정해진 시간(예, 1.5초) 동안 눌리면, 등록된 보호자 전화번호로, 즉, 주 보호자 단말(200) 및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로 긴급 상황 알림 및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문자를 전송한다. 이때, 서버 장치(700)는 피보호자 단말(100)이 전송한 위치 정보를 토대로 보호자 단말(200, 300)의 현재 위치에서 피보호자의 위치까지 길 안내 정보가 포함된 문자를 추가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제어부(153)는 표 1의 위치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 설정 제어부(155)는 표 2의 단말 설정 기능 및 부가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 설정 제어부(155)는 서버 장치(700)로부터 수신되는 보호자 단말(200)의 설정 정보에 따라 단말 볼륨을 조절하고, 배경화면을 변경하며, 단말 사용량을 전송하고, 스케쥴 관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탑재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피보호자의 활동량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한다.
전용 앱 실행부(157)는 표 1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전용 앱을 실행하고, 전용 앱의 실행에 따라 알람 송출부(151), 위치 제어부(153), 단말 설정 제어부(155)의 동작을 구현한다. 전용 앱은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이다.
위치 관련 기능 현재 위치 발송
집중 모니터링 위치 발송
안심존 진입 이탈 발송
긴급 호출 발신
단말 설정 기능 연락처 설정 동기화
발송문자 동기화
배터리 잔량 정보 발송
볼륨/진동 정보 동기화
배경화면 업데이트
단말 사용량 통계 발송
부가 기능 스케쥴 발송/ 위치 발송
활동량 정보 발송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 보호자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주 보호자 단말(200)은 근거리 통신 연결부(210), 이동통신 연결부(230) 및 프로세서(250)를 포함한다. 주 보호자 단말(200)은 휴대 전화 단말,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연결부(210)는 근거리 통신망(500)에 접속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예컨대 블루투스 모듈일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연결부(210)는 피보호자 단말(100)과 근거리 통신망(500)을 통해 연결된다.
근거리 통신 연결부(210)는 피보호자 단말(100)과 먼저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근거리 통신 연결이 지속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 연결이 끊기면, 근거리 통신 끊김을 프로세서(250)로 보고한다.
이동통신 연결부(230)는 이동통신망(600)에 접속되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동통신 연결부(230)는 휴대 단말에 탑재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중앙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근거리 통신 제어부(251), 위치 제어부(253), 단말 설정 제어부(255) 및 전용 앱 실행부(257)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 제어부(251)는 근거리 통신 연결부(110)로부터 근거리 통신 연결 끊김이 보고되면, 진동 알람 또는 소리 알람을 포함하는 정해진 방식의 알람을 송출하여 사용자가 근거리 통신 연결 끊김을 인지하도록 한다.
또한, 근거리 통신 제어부(251)는 2차 통보자로 설정된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로 이동통신망(600)을 통해 이탈상황을 통보한다. 여기서, 1차 통보자는 주 보호자 단말(200)이다.
이때, 이탈상황을 통보한 이후에도 근거리 통신 제어부(251)는 타이머를 구동하여 타이머가 만료할 때까지 계속해서 피보호자 단말(100)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 그리고 타이머가 만료할 때까지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중 적어도 하나라도 피보호자 단말(100)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에 성공하는지를 판단한다.
근거리 통신 제어부(251)는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이 피보호자단말(100)과 근거리 통신 연결에 성공하면, 타이머 작동 및 알람 송출을 종료하고 이탈상황을 해제한다.
위치 제어부(253)는 표 2의 위치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 제어부(253)는 피보호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 안심존 진입 및 이탈 여부 정보를 서버 장치(700)를 통해 수신하여 화면에 지도 정보의 형태로 출력한다.
단말 설정 제어부(255)는 표 2의 단말 설정 기능 및 부가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 설정 제어부(255)는 서버 장치(7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을 통해 피보호자 단말(100)의 단말 볼륨 조절, 배경화면 설정을 포함한 피보호자 단말(100)의 단말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설정 제어부(255)는 피보호자 단말(100)의 이용 이력 및 시간을 서버 장치(700)를 통해 피보호자 단말(100)로부터 수집하고, 서버 장치(700)를 통해 피보호자 단말(100)의 이력 확인후 기능 별 차단을 원격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설정 제어부(255)는 서버 장치(700)를 통해 피보호자 단말(100)의 스케쥴 관리를 할 수 있다. 특정 시간에 피보호자 단말(100)에서 알림 기능 제공 및 알림시 피보호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설정 제어부(255)는 서버 장치(700)를 통해 피보호자 단말(100)로 기프티콘 형태의 칭찬 스티커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설정 제어부(255)는 센서를 이용한 피보호자의 활동량 정보를 수집 할 수 있다.
전용 앱 실행부(257)는 표 2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전용 앱을 실행하고, 전용 앱의 실행에 따라 근거리 통신 제어부(251), 위치 제어부(253), 단말 설정 제어부(255)의 동작을 구현한다. 전용 앱은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이다.
위치 관련 기능 현재 위치 확인 요청/수신
집중 모니터링 설정/수신
안심존 설정/이탈 수신
긴급호출 설정/수신
단말 설정 기능 연락처 설정
발송문자 문구설정
통화/문자 설정
배터리 잔량 알림 설정
볼륨/진동 설정
배경화면 설정
단말 사용량 통계
부가 기능 스케쥴 설정/위치 수신
활동량 설정/수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보호자 단말 및 제3자 단말의 공통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조 보호자 단말(300) 및 제3자 단말(400)은 각각 근거리 통신 연결부(310, 410), 이동통신 연결부(330, 430) 및 프로세서(350, 450)를 포함한다. 보조 보호자 단말(300) 및 제3자 단말(400)은 휴대 전화 단말,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연결부(310, 410)는 근거리 통신망(500)에 접속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예컨대 블루투스 모듈일 수도 있다.
이동통신 연결부(330, 430)는 이동통신망(600)에 접속되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동통신 연결부(230)는 휴대 단말에 탑재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프로세서(350, 450)는 중앙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350, 450)는 근거리 통신 제어부(351, 351) 및 전용 앱 실행부(353, 453)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 제어부(351, 351)는 주 보호자 단말(200)로부터 이동통신망(600)을 통해 이탈상황 통보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구동되어 피보호자 단말(100)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 연결 성공 여부를 주 보호자 단말(200)로 리턴한다.
전용 앱 실행부(353, 453)는 서버 장치(70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전용 앱을실행하고, 근거리 통신 제어부(351, 351)의 동작을 구현한다. 전용 앱은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버 장치(700)는 이동통신 연결부(710), 데이터베이스(730) 및 프로세서(75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연결부(710)는 이동통신망(600)에 접속되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동통신 연결부(710)는 휴대 단말에 탑재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730)는 피보호자-보호자 관계 정보, 회원 정보, 인증 정보 등을 저장한다.
프로세서(750)는 중앙처리 유닛(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750)는 등록부(751), 위치 관리부(753), 중계부(755) 및 피보호자 제어부(757)를 포함한다.
등록부(751)는 전용 앱 또는 웹 상에서 수신된 보호자들 및 피보호자의 요청에 따라 피보호자 단말(100), 주 보호자 단말(200) 및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 간에 피보호자-보호자 관계를 상호 등록한다.
이때, 한 보호자는 주 보호자와 보조 보호자의 구분 없이 최대 4대 피보호자 단말(100)의 보호자가 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100)은 1명의 주 보호자와 3명의 보조 보호자를 포함한 최대 4명의 보호자를 등록할 수 있다.
이처럼, 피보호자 단말(100)은 여러 명의 보호자를 등록할 수 있고, 보호자단말(200)은 여러 자녀의 단말(100)을 등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부(751)는 피보호자-보호자 관계 정보 등록시 SMS 인증번호 인증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등록부(751)는 대표 보호자가 등록 후 앱, 웹을 통해 피보호자 단말(100)과 보호자 단말(200, 300)에게 SMS 인증번호를 발송하여 보호자 등록을 수행한다. 이때, 자/타사 구분없이 최대 4명까지 보호자 등록이 가능하며 보호자는 앱 또는 웹을 통해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하다.
등록부(751)는 앱 또는 웹에서 약관 동의 및 회원 가입 절차 이후, 피보호자 단말(100), 주 보호자 단말(200) 및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로 동일한 SMS 인증번호를 각각 전송한다. 그러면, 전용 앱 또는 웹 상에서 피보호자 단말(100), 주 보호자 단말(200) 및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 각각은 SMS 인증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한다. 이때, 각각으로부터 입력받은 인증번호가 전송한 인증번호와 동일하면, 피보호자의 보호자로 주 보호자 단말(200) 및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을 등록한다.
또한, 등록부(751)는 표 3의 인증/등록 기능을 수행하는데, 전용 앱 설치, 웹 상의 회원 가입, 인증, 로그인/로그아웃 등의 인증/등록을 수행한다.
위치 관리부(753)는 표 3의 위치 확인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 관리부(753)는 주 보호자 단말(200) 또는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피보호자 단말(100)로부터 피보호자 단말(100)의 위치를 수신하여 주 보호자 단말(200) 또는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로 전달한다.
이때, 위치 관리부(753)는 주 보호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WPS 측위, GPS 측위 순으로 위치를 측위하고, 셀 측위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즉시 위치 찾기, 주기적 위치 찾기, 안심존 진입 이탈 등을 이력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위치 관리부(753)는 피보호자 단말(100)이 사전에 정해진 안심존의 진입 및 이탈 여부를 확인하여 주 보호자 단말(200) 또는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위치 관리부(753)는 보호자가 집중 모니터링을 진행할 시간, 즉 위치 알림 시간대 및 알림 간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자가 설정한 시간에 피보호자의 위치를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위치 알림 시간대는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위치를 받을 시간대로서, 최대 8시간 설정 가능하도록 하고, 8시간 범위내에서 겹치지 않는 2구간을 설정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 설정값은 오전 09시 ~ 오후 05시(8시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알림 간격은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위치를 받을 시간 간격으로서, 30분/1시간 간격으로 설정 가능하며, 기본 설정값은 1시간일 수 있다.
위치 관리부(753)는 피보호자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정해진 안심존으로의 진입 및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주 보호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이때, 하나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에게도 전송할 수 있다.
위치 관리부(753)는 지도 기반으로 안심존을 3개까지 등록 가능하며, 10분 단위로 진입 또는 이탈 시 보호자 단말로 알린다. 안심존 설정 반경은 최소 500m에서 최대 2km까지 500m 단위로 설정 가능하다. 기본 반경은 500m로 설정될 수 있다.
위치 관리부(753)는 주 보호자 단말(200) 또는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에서 피보호자 단말(100)의 위치까지 길 안내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치 관리부(753)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길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길 안내는 전용 앱 버전과 웹 버전으로 구분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먼저, 보호자 단말(200, 300)은 전용 앱을 실행하여 피보호자의 위치조회 결과 세부 메뉴에서 길찾기 버튼 선택시 네비게이션 앱과 연동하여 현위치에서 자녀의 위치까지의 경로 탐색 후 길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200, 300)은 웹 상에서 피보호자의 위치 조회 세부 메뉴에서 길찾기 버튼 선택시 맵 API를 이용하여 피보호자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지도에 바로 표시할 수 있다.
중계부(755)는 피보호자 단말(100)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다가 연결이 끊긴 주 보호자 단말(200)로부터 이동통신망(600)을 통해 이탈상황을 통보받는다. 그러면, 데이터베이스(730)에 등록된 관계 정보로부터 확인한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로 이동통신망(600)을 통해 이탈상황을 전달한다.
중계부(755)는 기 정의된 시간(또는 타이머 만료) 이내에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300)이 피보호자 단말(100)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에 실패하면, 이탈상황을 통보받기로 사전에 약정한 복수의 제3자 단말(400)로 이동통신망(600)을 통해 이탈상황을 통보한다. 여기서, 복수의 제3자 단말(400)은 회원 가입 또는 전용 앱 설치시 이탈상황 통보 수신을 약정한 가입자일 수 있다.
중계부(755)는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하여 피보호자 단말(100)과 주 보호자 단말(200)의 연결이 끊기게 되면 보호자에게 알리는데, 이때, 무조건 알리기보다는 단계별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과의 거리에 따라"멀어짐","끊김"2단계로 보호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피보호자 제어부(757)는 표 3의 단말 관리 및 부가 기능을 수행한다.
피보호자 제어부(757)는 주 보호자 단말(200) 설정한 볼륨 조절, 배경화면 설정 및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명령을 피보호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피보호자 단말(100)은 단말 제어 명령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한다.
피보호자 제어부(757)는 피보호자 단말(100)로부터 단말 사용량 및 피보호자 단말(100)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피보호자의 정보를 수신한다.
인증/등록 사용자 가입/인증
로그인/로그아웃
사용자 정보 현행화
보호자 등록/수정/삭제
복수 자녀/보호자 등록
타사 보호자 지원
대표 보호자 등록
위치 확인 현 위치 찾기
위치 인력 확인
집중 모니터링 설정
안심존 설정 및 진입/이탈 알림
자녀위치까지 길안내
긴급호출(SOS) 및 상황 전파
단말 관리 연락처 관리
발송문자문구 설정
미등록번호 수신차단
배터리 잔량정보 알림
단말 볼륨 원격 조절
배경화면 등록/변경
온라인 컨텐츠 업데이트
자녀 단말 사용량 통계
부가기능 자녀 스케쥴 설정/관리
센서기반 자녀 활동량 정보
근거리 이탈감지
자녀 칭찬 스탬프
피보호자 제어부(757)는 피보호자 단말(100)의 연락처를 등록/수정/삭제를 원격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보호자는 전용 앱 또는 웹에서 미리 피보호자가 발송할 수 있는 문자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피보호자 제어부(757)는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지 않은 번호는 문자와 전화를 수신 차단하여 스팸 방지가 되도록 원격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피보호자의 배터리 부족 상황을 보호자에게 전달하여 충전 필요 상태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피보호자 제어부(757)는 보호자가 원격으로 피보호자의 단말 볼륨 조절을 5단계로 조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배경화면 변경은 사진을 이동 또는 확대 축소를 통해 원하는 영역을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피보호자 제어부(757)는 피보호자 단말(100)의 사용량, 예를 들면, 통화 시간, 문자 이용 시간, 게임 이용시간을 피보호자 단말(100)로부터 수집하여 보호자 단말(200, 300)이 조회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또한, 특정 기능 예를들면, 영단어 및 숫자게임 진행 건수 등을 수집하여 내역을 제공할 수도 있다.
피보호자 제어부(757)는 보호자가 원하는 시간에 피보호자에게 알림 또는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스케쥴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피보호자 제어부(757)는 최소 10분 단위로 최대 5개까지 스케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정해진 시간에 단말에 텍스트와 소리로 알림하고, 텍스트는 최대 20자로 단말에 직접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피보호자 제어부(757)는 설정 옵션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위치 조회 가능하도록 하고, 위치 조회 스케쥴 예약 시 자동 위치 알림과 별개로 보호자에게 피보호자의 위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피보호자 제어부(757)는 센서 기반 피보호자의 활동량 정보를 보호자 단말(200, 300)로 제공할 수 있다. 피보호자 제어부(757)는 피보호자 단말(100)에 탑재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활용하여 피보호자의 활동량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보호자 단말(200, 300)에서 활동량 체크 메뉴를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피보호자 활동량은 예를 들면, 센서를 활용하여 피보호자의 일일 걸음 수를 측정하고, 일 단위 걸음 수는 초기화 시킬 수 있다.
피보호자 제어부(757)는 보호자가 전용 앱을 통해 피보호자에게 칭찬 스탬프, 예를 들면, 커피숍 스탬프 형태의 펀(Fun)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보상 기능을 제공하는데, 보호자 단말(200)의 전용 앱에서 목표, 예를 들면, 목표, 목표 스탬프 개수를 설정하고, 피보호자에게 칭찬이 필요 할 때 스탬프를 발송하며, 리스트에서 스탬프 누적 현황을 확인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칭찬 스탬프는 피보호자 단말(100)에서 자녀에게 시각적, 청각적 알림으로 송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상 설명한 표 1, 표 2, 표 3을 포함한 서버 장치(700)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이동통신망(600)을 통해 연결된 피보호자 단말(100), 보호자 단말(200, 300)로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1. 주 보호자 단말의 피보호자 보호 방법으로서,
    피보호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결이 끊기는 경우, 서버 장치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이탈상황을 통보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과 상기 피보호자 단말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성공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 성공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이탈상황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은,
    상기 서버 장치에 의해, 상기 서버 장치에 등록된 주 보호자 단말과 보조 보호자 단말의 관계 정보로부터 확인되고,
    상기 이탈상황의 통보는,
    상기 서버 장치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 전달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이 상기 피보호자 단말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시도하게 하는, 피보호자 보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상황을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이 끊기는 경우, 알람을 송출하고,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탈상황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성공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이탈상황을 해제하는 단계는,
    알람 송출을 중단하고, 타이머 구동을 종료하는 피보호자 보호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제3자 단말로 이탈상황을 통보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제3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성공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이탈상황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보호자 보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성공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3자 단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피보호자 단말 과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 여부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제3자 단말은,
    상기 주 보호자 단말로부터 이탈상황을 통보받으면,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 연결부를 구동하여 상기 피보호자 단말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피보호자 보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에 실패하는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구조기관 서버로 이탈상황을 신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보호자 보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주 보호자 단말, 상기 피보호자 단말 및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 간에 피보호자-보호자 관계를 상호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보호자 보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주 보호자 단말이 앱 서버 또는 웹 서버로부터 인증번호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증번호를 상기 주 보호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앱 또는 웹 상에서 입력하여 상기 앱 서버 또는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앱 서버 또는 상기 웹 서버는,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이 입력한 인증번호가 전송한 인증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을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보호자로 등록하는 피보호자 보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 이전에,
    전용 앱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용 앱의 실행에 따라 각 단계가 수행되는 피보호자 보호 방법.
  10. 전용 앱 또는 웹 상에서 수신된 보호자들 및 피보호자의 요청에 따라 피보호자 단말, 주 보호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 간에 피보호자-보호자 관계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 그리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다가 연결이 끊긴 상기 주 보호자 단말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탈상황을 통보받으면, 상기 주 보호자 단말의 피보호자-보호자 관계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을 확인하고, 확인한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에게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탈상황의 통보를 전달하는 중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 전달한 이탈상황의 통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이 상기 피보호자 단말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시도하게 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부터 상기 주 보호자 단말로 전달된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 보고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과 상기 피보호자 단말간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의 성공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의 성공이 포함된 경우 상기 하나의 주 보호자 단말에 의해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이탈상황이 해제되는 서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는,
    기 정의된 시간 이내에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이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에 실패하면, 상기 이탈상황을 통보받기로 사전에 약정한 복수의 제3자 단말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탈상황을 통보하고,
    상기 복수의 제3자 단말은,
    상기 이탈상황을 통보받으면, 자동으로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서버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 동일한 인증번호를 각각 전송하고, 상기 전용 앱 또는 상기 웹 상에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입력받은 인증번호가 상기 전송한 인증번호와 동일하면, 상기 피보호자의 보호자로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을 등록하는 서버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이 사전에 정해진 안심존의 진입 및 이탈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위치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서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부는,
    보호자가 설정한 집중 모니터링 시간 및 간격에 따라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부는,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위치 관리부가 확인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위치까지 길 안내 경로 정보를 상기 주 보호자 단말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보호자 단말이 설정한 볼륨 조절, 배경화면 설정 및 스케쥴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제어 명령을 상기 피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피보호자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은 상기 단말 제어 명령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서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제어부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단말 사용량 및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피보호자의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장치.
KR1020150092481A 2015-06-29 2015-06-29 피보호자 보호 방법 및 서버 장치 KR10230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481A KR102302615B1 (ko) 2015-06-29 2015-06-29 피보호자 보호 방법 및 서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481A KR102302615B1 (ko) 2015-06-29 2015-06-29 피보호자 보호 방법 및 서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225A KR20170002225A (ko) 2017-01-06
KR102302615B1 true KR102302615B1 (ko) 2021-09-14

Family

ID=57832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481A KR102302615B1 (ko) 2015-06-29 2015-06-29 피보호자 보호 방법 및 서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589B1 (ko) * 2018-07-06 2019-10-23 최성은 긴급 상황발생 알림 및 긴급 조치용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11B1 (ko) * 2012-04-23 2013-01-11 (주) 세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325A (ko) * 2008-10-14 2010-04-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미아 찾기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 휴대단말, 서버 및 방법
KR101456129B1 (ko) * 2012-11-12 2014-11-03 김정옥 스마트폰을 이용한 키즈 케어 제공방법 및 키즈 케어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11B1 (ko) * 2012-04-23 2013-01-11 (주) 세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225A (ko)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560B1 (ko) 방문자에게 건물로의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CA2890503C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based personalized interactive evacuation guidance
CA2646607C (en) Personal security system
US86497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based monitoring of mobile object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420906B1 (ko) Gps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조회 및 안심 서비스 방법
US20170186307A1 (en) Personal protec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20160142443A1 (en) Personal device network for use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KR101584983B1 (ko) 비콘 기반 미싱 객체 찾기 시스템, 미싱 객체 찾기 방법, 그 컴퓨터 프로그램 및 미싱 객체 찾기 서버
CN105933852A (zh) 一种通过蓝牙设备实现的远程通信系统及方法
WO201707968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and/or receiving locally relevant information in emergencies
JP2017045218A (ja) 近距離無線通信可能な発信機器を用いた迷子防止システム
JP5360405B2 (ja) 災害安否確認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125493B1 (ko) 위치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위치 제공 서버, 피보호자 단말, 보호자 단말
KR102302615B1 (ko) 피보호자 보호 방법 및 서버 장치
WO2014112730A1 (ko) 미아 추적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05967U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KR101547948B1 (ko) 모바일 사용자의 위급상황 오신호 알림을 방지하는 위급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JP6579582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91856A (ja)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KR101686215B1 (ko) 웹링크 기반의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방법
Godino-Llorente et al. P2P Multiuser Low-Cost Universal Solution for On-Demand GPS Positioning and Tracking in Large Environments
KR102556900B1 (ko) 성인 긴급 구조 시스템
KR102458629B1 (ko) 화재대피 유도시스템 및 방법
JP6467231B2 (ja) 通信プログラム、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KR20180068691A (ko) 스마트폰 잠금 해제 정보를 이용한 굿모닝 알람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굿모닝 알람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