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887B1 -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887B1
KR102301887B1 KR1020170018033A KR20170018033A KR102301887B1 KR 102301887 B1 KR102301887 B1 KR 102301887B1 KR 1020170018033 A KR1020170018033 A KR 1020170018033A KR 20170018033 A KR20170018033 A KR 20170018033A KR 102301887 B1 KR102301887 B1 KR 102301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control unit
tray
induction film
vehic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2409A (ko
Inventor
신현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8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8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92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 하부로 물체가 낙하시 수거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바닥으로 낙하하는 물체를 수거 및 감지하는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에 있어서, 낙하하는 물체를 차량 시트의 측부로 낙하시키기 위해 차량 시트의 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차량의 바닥까지 유도막을 상하로 조절하는 유도막 조절부; 및 유도막에 의해 낙하한 물체를 감지 또는 수거하도록 유도막 조절부의 측하부에 설치되는 트레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유도막 조절부 및 트레이 조절부는 구동 모터부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의 착석을 감지하여 낙하물의 유도 장치가 전개 또는 전폐되고, 낙하물을 감지하는 경우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어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A FALLING OBJECT BETWEEN A VEHICLE SEAT AND A CENTER FASCIA}
본 발명은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 하부로 물체가 낙하시 수거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플로워 위인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카세트 테이프, 동전, 담배 등의 각종 소품을 넣어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갖춘 콘솔박스 또는 센터페시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납공간에는 차량의 주행중 실내에서 각종 청량음료나 건강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컵을 놓을 수 있는 홀더 또는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거나, 주행 중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각종 물건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 종래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9755호(리어시트의 암레스트 수납 공간부 차단막 구조)는 리어시트의 암레스트 수납공간부 차단막 구조에 관한 것으로, 암레스트의 사용시 리어시트상의 암레스트 수납공간부 전면에 일정 높이의 차단막이 설치되어, 차량 뒷좌석에서의 수납공간 확보가 가능하고, 운행중 차량의 흔들림에도 수납된 물품이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리어시트 수납공간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차단막 구조는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차량 시트에 떨어지는 물체를 수거할 수 없으며, 낙하물이 떨어져 시트 하부 장치 사이에 끼임으로 시트 이송장치의 파손 및 낙하물 수거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9755호
본 발명은 승객의 분실물 방지나 낙하물 수거의 용이함을 위한 유도막과 센서가 구비된 낙하물 수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탑승을 감지하여 유도막의 전개 또는 전폐 시 트레이의 개폐를 통해 운저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바닥으로 낙하하는 물체를 수거 및 감지하는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에 있어서, 낙하하는 물체를 차량 시트의 측부로 낙하시키기 위해 차량 시트의 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차량의 바닥까지 유도막을 상하로 조절하는 유도막 조절부; 및 유도막에 의해 낙하한 물체를 감지 또는 수거하도록 유도막 조절부의 측하부에 설치되는 트레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유도막 조절부 및 트레이 조절부는 구동모터부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유도막 조절부는, 구동모터부의 회전에 의해 유도막을 조절하도록 유도막의 하단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차량 시트에 측단에 회전이 가능한 바 형태로 설치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유도막을 권취하도록 유도막의 상단에 설치된 제1 유도 샤프트; 및 와이어의 하단에 설치되어 구동모터부의 동력을 와이어로 전달하는 제2 유도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트레이 조절부는, 낙하하는 물체를 수거하도록 유도막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수평면을 구성하여 유도막이 전개될 때 좌우의 이동을 통해 낙하하는 물체를 수거하는 트레이 커버; 및 트레이 커버의 이동 방향을 유도하도록 양측에 레일 형태로 설치된 트레이 커버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트레이 커버가 수평면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트레이 커버의 경로를 수직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제1 트레이 샤프트; 및 제1 트레이 샤프트의 수직 하부에 설치되어 트레이 커버를 구동하도록 구동모터부의 동력을 트레이 커버에 전달시키는 제2 트레이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트레이 커버는, 제2 트레이 샤프트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이송 톱니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트레이 조절부는, 유도막이 전개되는 경우 낙하하는 물체를 수거하도록 일정한 경사가 형성된 낙하물 안착부; 및 낙하물 안착부의 경사로 인하여 낙하하는 물체가 이동되는 경우 이동되는 끝 지점에서 낙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서부는 낙하하는 물체를 인식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구동모터부는, 모터; 모터와 동일한 회전축 상에서 유도막 조절부와 트레이 조절부에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유도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유도 기어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되어 유도막 조절부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유도 기어; 및 제1 유도 기어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되어 트레이 조절부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트레이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유도 기어 및 제1 트레이 기어는, 제1 유도 기어와 일정한 기어비를 구성하여 유도막 조절부와 트레이 조절부의 개폐 작동 시간이 일치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유도막 조절부 또는 트레이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차량의 운전자가 착석을 했는지 여부에 따라 유도막 조절부 또는 트레이 조절부의 구동을 알리는 구동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구동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유도막의 전개 또는 전폐의 종점에서 구동모터부의 부하를 인식하여 구동모터부의 구동 또는 역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의 착석을 감지하여 낙하물의 유도 장치가 전개 또는 전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하물을 감지하는 경우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고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가 설치된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막 조절부의 측면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막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막의 이송 톱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모터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유도막이 전개 또는 전폐시 구동 모터부와 각 기어들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조절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1)가 설치된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1)는 유도막 조절부(2) 및 트레이 조절부(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1)는 제어부 및 구동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유도막 조절부(2) 또는 트레이 조절부(3)를 제어할 수 있으며, 구동 스위치는 차량의 운전자가 착석을 했는지 여부에 따라 유도막 조절부(2) 또는 트레이 조절부(3)의 구동을 알리는 구동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운전자의 착석 여부에 따라 구동 스위치를 통해 제어부를 구동할 수 있고, 제어부는 최종적으로 유도막 조절부(2) 또는 트레이 조절부(3)를 동작시켜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유도막 조절부(2)는, 낙하하는 물체를 차량 시트의 측부로 낙하시키기 위해 차량 시트의 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차량의 바닥까지 유도막(21)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낙하하는 물체가 시트의 바닥으로 이동하는 경우 발견이 쉽지 않고, 시트의 이송 레일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유도막(21)을 통해 시트의 측부로 낙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트레이 조절부(3)는, 유도막(21)에 의해 낙하한 물체를 감지 또는 수거하도록 유도막 조절부(2)의 측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 조절부(3)도 운전자의 착석에 따른 구동 스위치에 신호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에 운전자가 착석하는 경우 트레이 커버(31)를 전개시켜 상술한 유도막(21)에 의해 낙하한 물체를 수거할 수 있다.
상술한 유도막 조절부(2) 및 트레이 조절부(3)는 구동 모터부(4)의 회전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구동 모터부(4)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도막 조절부(2)는 와이어(25), 제1 유도 샤프트(22) 및 제2 유도 샤프트(23)를 포함하고, 트레이 조절부(3)는 트레이 커버(31), 트레이 커버 가이드(33), 제1 트레이 샤프트(34) 및 제2 트레이 샤프트(35)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25)는, 구동 모터부(4)의 회전에 의해 유도막(21)을 조절하도록 유도막(21)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 모터부(4)의 회전에 의한 장력으로 유도막(21)의 전개 또는 전폐할 수 있다.
제1 유도 샤프트(22)는 차량 시트에 측단에 회전이 가능한 바 형태로 설치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유도막(21)을 권취하도록 유도막(21)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유도 샤프트(22)의 회전에 상하로 이동되는 유도막(21)을 권취하는 역할을 하며, 유도막(21)을 인출 또는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유도 샤프트(23)는, 와이어(25)의 하단에 설치되어 구동 모터부(4)의 동력을 와이어(25)로 전달할 수 있다.
유도막(21)은 미 전개시에는 제1 유도 샤프트(22)에 권취되어 있고, 와이어(25)만 제2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트레이는 바닥에 위치할 수도 있고 바닥 위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유도 샤프트(22)는 태엽 구조로 형성되어 유도막(21)을 와이어(25)에 의해 권취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 조절부(3)는, 트레이 커버(31)와 트레이 커버 가이드(33)로 구성되며, 트레이 커버(31)는 낙하하는 물체를 수거하도록 유도막(21)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수평면을 구성하여 유도막(21)이 전개될 때 좌우의 이동을 통해 낙하하는 물체를 수거할 수 있다. 트레이 커버 가이드(33)는, 트레이 커버(31)의 이동 방향을 유도하도록 양측에 레일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 커버 가이드(33)는 일반적으로 'ㄷ'형태로 형성되어 트레이 커버(31)가 이동되는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커버(31)의 상단에 제1 트레이 샤프트(34) 설치되고, 하부에는 제2 트레이 샤프트(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트레이 샤프트(34)는 트레이 커버(31)가 수평면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트레이 커버(31)의 경로를 수직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고, 제2 트레이 샤프트(35)는 제1 트레이 샤프트(34)의 수직 하부에 설치되어 트레이 커버(31)를 구동하도록 구동 모터부(4)의 동력을 트레이 커버(31)에 전달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트레이 샤프트(34)와 제2 트레이 샤프트(3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커버(31) 내측에 설치되어 전개시 또는 전폐시 가이드 역할을 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막 조절부(2)의 측면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 모터부(4)의 모터(41) 회전에 의해 제1 유도 기어(42)가 회전하게 되고, 와이어(25)의 회전으로 제1 유도 샤프트(22)의 회전에 의해 유도막(21)은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는, 유도막(21)의 전개 또는 전폐의 종점에서 구동 모터부(4)의 부하를 인식하여 구동 모터부(4)의 구동 또는 역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 모터부(4)에는 부하를 인식하는 부하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부하가 올라가면 제어부에서는 구동 모터부(4)의 회전을 중지시키거나 역방향으로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막(21)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유도막(21)은 제2 유도 샤프트(23)를 포함하고, 제2 유도 샤프트(23)에는 유도막 전개용 풀리(24)를 구비하여 와이어(25)의 구동을 통해 유도막(21)을 전개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커버(31)의 이송 톱니(36)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레이 커버(31)는, 제2 트레이 샤프트(35)의 회전력을 전 달받도록 이송 톱니(36)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송 톱니(36)의 움직임으로 트레이 커버(31)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트레이 커버(31)는 트레이 커버 가이드(33)에 의해 유도되어 전개와 전폐를 하고, 트레이 커버(31) 내면에는 이송톱니가 설치되어 트레이 커버 구동용 기어와 맞물려 모터(41)의 회전에 따라 커버가 전개와 전폐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모터부(4)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 모터부(4)는 모터(41), 제1 유도 기어(42), 제2 유도 기어(43), 제1 트레이 기어(44)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41)는 구동 모터부(4)의 핵심이며, 상술한 제어부의 구동 신호에 따라 움직임이 제어될 수 있다. 모터(41)의 동축선상에는 제1 유도 기어(42)와 제1 트레이 기어(4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41)의 회전력은 유도막 조절부(2)와 트레이 조절부(3)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제1 유도 기어(42)의 회전력은 이와 이맞물림된 제2 유도기어(43)로 전달되고, 상기 제2 유도 기어(43)의 회전력은 동일축상에 설치된 유도막 전개용 풀리(24)를 회전시켜 이 전개용 풀리(24)에 감겨진 와이어(25)를 통해 유도막(21)을 전개시킬 수 도록 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유도막(21)이 전개 또는 전폐시 구동 모터부(4)와 각 기어들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유도 기어(43)는 제1 유도 기어(42)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될 수 있고, 유도막 조절부(2)로 모터(41)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레이 기어(44)와 제1 유도 기어(43)는 동축선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트레이 기어(44)에는 제2기어(45)가 이맞물림되고, 상기 제2 기어(45)에는 제3기어(46)이 이맞물림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트레이 기어(44)의 회전동작시 제3 기어(46)가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상기 제3 기어(46)에 이맞물림된 이동톱니(36)에 의해 트레이 커버(31)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 또는 윗 방향으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트레이 커버(31)의 동작에 따라 이를 구성하는 낙하물 안착부(32)이 하방 또는 상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어비를 구성하기 위해 톱니 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어비를 조정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개 시 또는 전폐 시 구동 방향은 모터(41)의 회전 방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데, 모터(41)에 연결된 기어를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어의 수를 늘리거나 연결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모터(41)의 회전에 의해 유도막(21) 또는 트레이의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해 변형되는 모든 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조절부(3)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트레이 조절부(3)는 낙하물 안착부(32)와 센서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낙하물 안착부(32)는, 유도막(21)이 전개되는 경우 낙하하는 물체를 수거하도록 일정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운전자가 물체를 낙하시키는 경우 트레이 조절부(3)로 낙하하게 되고, 경사에 의해 낙하물은 한 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센서부(50)는 낙하물 안착부(32)의 경사로 인하여 낙하하는 물체가 이동되는 경우 이동되는 끝 지점에서 낙하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고, 낙하하는 물체를 인식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센서부(50)는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알람은 부저 또는 클러스터를 통해 알릴 수 모니터가 형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릴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막(21)의 전개 시 모터(41)의 회전으로 와이어(25)가 유도 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 유도 샤프트(23)에 감겨 유도막(21)이 제2 유도 샤프트(23)까지 전개되는 구조이고, 전개 시 모터(41)의 회전으로 제1 트레이 기어(44)에 연결된 제2 트레이 기어(45)가 트레이 커버(31)의 이송톱니를 제1 트레이 샤프트(34)에 감기게 하여 트레이 커버(31)가 전개되는 구조이고, 트레이 커버(31)는 스톱퍼 없이도 트레이 커버(31)가 전개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제어부에 의해 종료될 수 있다. 제2 트레이 기어(45) 뿐만 아니라 추가로 제3 트레이 기어(46)와 제4 트레이 기어(47)도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2 : 유도막 조절부
3 : 트레이 조절부 4 : 구동 모터부
21 : 유도막 22 : 제1 유도 샤프트
23 : 제2 유도 샤프트 24 : 유도막 전개용 풀리
25 : 와이어
31 : 트레이 커버 32 : 낙하물 안착부
33 : 트레이 커버 가이드 34 : 제1 트레이 샤프트
35 : 제2 트레이 샤프트 36 : 이송 톱니
41 : 모터 42 : 제1 유도 기어
43 : 제2 유도 기어 44 : 제1 트레이 기어
45 : 제2 트레이 기어 46 : 제3 트레이 기어
47 : 제4 트레이 기어
50 : 센서부

Claims (11)

  1. 차량 바닥으로 낙하하는 물체를 수거 및 감지하는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낙하하는 물체를 상기 차량 시트의 측부로 낙하시키기 위해 상기 차량 시트의 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차량의 바닥까지 유도막을 상하로 조절하는 유도막 조절부; 및
    상기 유도막에 의해 낙하한 물체를 감지 또는 수거하도록 상기 유도막 조절부의 측하부에 설치되는 트레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막 조절부 및 트레이 조절부는 구동 모터부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막 조절부는,
    상기 구동 모터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도막을 조절하도록 상기 유도막의 하단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상기 차량 시트에 측단에 회전이 가능한 바 형태로 설치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상기 유도막을 권취하도록 상기 유도막의 상단에 설치된 제1 유도 샤프트; 및
    상기 와이어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모터부의 동력을 와이어로 전달하는 제2 유도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조절부는,
    상기 낙하하는 물체를 수거하도록 상기 유도막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수평면을 구성하여 상기 유도막이 전개될 때 좌우의 이동을 통해 상기 낙하하는 물체를 수거하는 트레이 커버; 및
    상기 트레이 커버의 이동 방향을 유도하도록 양측에 레일 형태로 설치된 트레이 커버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커버는,
    상기 제2 트레이 샤프트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이송 톱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조절부는,
    상기 유도막이 전개되는 경우 상기 낙하하는 물체를 수거하도록 일정한 경사가 형성된 낙하물 안착부; 및
    상기 낙하물 안착부의 경사로 인하여 상기 낙하하는 물체가 이동되는 경우 이동되는 끝 지점에서 상기 낙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낙하하는 물체를 인식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부는,
    모터;
    상기 모터와 동일한 회전축 상에서 상기 유도막 조절부와 상기 트레이 조절부에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유도 기어;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은 회전축에 설치된 제1 유도 기어와 이맞물림된 제2 유도 기어가 회전되고, 상기 제2 유도 기어의 회전력은 동일축상에 설치된 유도막 전개용 풀리를 회전시켜 이 전개용 풀리에 감겨진 와이어를 통해 유도막을 전개시킬 수 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9. 제 7 또는 제 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도 기어는 이와 이맞물림되는 제1 유도 기어와 일정한 기어비를 구성하여 상기 유도막 조절부와 상기 트레이 조절부의 개폐 작동 시간이 일치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막 조절부 또는 트레이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착석을 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유도막 조절부 또는 트레이 조절부의 구동을 알리는 구동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구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도막의 전개 또는 전폐의 종점에서 상기 구동 모터부의 부하를 인식하여 상기 구동 모터부의 구동 또는 역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KR1020170018033A 2017-02-09 2017-02-09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KR102301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033A KR102301887B1 (ko) 2017-02-09 2017-02-09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033A KR102301887B1 (ko) 2017-02-09 2017-02-09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409A KR20180092409A (ko) 2018-08-20
KR102301887B1 true KR102301887B1 (ko) 2021-09-13

Family

ID=63443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033A KR102301887B1 (ko) 2017-02-09 2017-02-09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2246B (zh) * 2019-05-14 2022-10-28 奥迪股份公司 掉落物体拾取辅助装置、包括其的车辆及相应的方法
KR102267184B1 (ko) * 2019-08-20 2021-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건 낙하 감지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7159A (ja) 2006-08-02 2008-02-21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小物収納部形成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8016A (ja) * 1995-01-25 1996-08-06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車両用内装品装置
KR20070099755A (ko) 2006-04-05 2007-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시트의 암레스트 수납 공간부 차단막 구조
KR101000850B1 (ko) * 2009-03-10 2010-12-14 이종수 낙하방지용 선반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7159A (ja) 2006-08-02 2008-02-21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小物収納部形成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409A (ko)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1887B1 (ko) 차량 시트와 센터페시아 사이의 낙하물 유도수거 장치
KR100892494B1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장치
US20090322141A1 (en) Auxiliary Mechanism for Seat Belt Apparatus
JP5317478B2 (ja) メダルカップホルダ
US20130082492A1 (en) Armrest assembly having beverage holder
CN103443831B (zh) 自动售货机
US109467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rest of vehicle seat
US9330519B2 (en) Automatic dispensing machine
JP5689439B2 (ja) 遊技機
CN101259938B (zh) 用于移动扶手的安全装置
JP2017226273A (ja) 車両用シート
KR101821263B1 (ko) 게임 자판기
JP6747021B2 (ja) 景品取得ゲーム装置
US10354475B2 (en) Vending machines
EP2704111B1 (en) Dispensing machine
US9145093B1 (en) Trunk server/butler
US20210178935A1 (en) Vehicle seat assembly
JP6087733B2 (ja) 包装硬貨処理装置および包装硬貨処理方法
JP6806271B2 (ja) X線撮影装置
US9919655B2 (en) Under seat capture device
CN108116293A (zh) 杯托组件
JP2012162179A (ja) 電動シートスライド制御システム及び電動シートスライド制御装置
CN111942246B (zh) 掉落物体拾取辅助装置、包括其的车辆及相应的方法
EP4089654A1 (en) Paper sheet storage device
KR102114066B1 (ko) 테이블 일체형 컵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