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685B1 -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 - Google Patents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685B1
KR102301685B1 KR1020210037043A KR20210037043A KR102301685B1 KR 102301685 B1 KR102301685 B1 KR 102301685B1 KR 1020210037043 A KR1020210037043 A KR 1020210037043A KR 20210037043 A KR20210037043 A KR 20210037043A KR 102301685 B1 KR102301685 B1 KR 102301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lackboard
main board
predetermin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영순
Original Assignee
소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영순 filed Critical 소영순
Priority to KR102021003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01Wall mounting or suspension arrangement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A47B97/06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with means for balancing weight of blackboards or the like, e.g. connected to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045Blackboards with magnetic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06Blackboards rig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칠판을 쉽게 승강시킬 수 있으면서 원하는 높이로 칠판을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은, 한 쌍의 보조칠판부; 메인칠판부; 한 쌍의 승강유닛; 및 작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메인칠판부의 중앙 저면 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작동버튼; 일단이 상기 작동버튼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수직연결바; 일단이 상기 수직연결바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칠판부의 양단을 향하여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사선연결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사선연결바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칠판부의 양단을 향하여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연결바; 및 상기 한 쌍의 수평연결바의 타단에 설치되면서 상기 한 쌍의 수평연결바(44)가 수평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승강유닛에 자력으로 부착되거나 떨어지는 소정 크기의 한 쌍의 영구자석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버튼의 누름 동작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승강유닛에 상기 한 쌍의 영구자석블록이 탈착되면서 상기 메인칠판부가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Manual Elevating Blackboard with Improved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하는 높이로 칠판을 수동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칠판은 소정 크기를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학습을 위한 글씨 및 도형 등이 판서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칠판은 아래쪽에 판서된 내용을 먼 위치에서 확인하기가 어렵고, 또한, 칠판의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많은 내용을 한 번에 판서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칠판이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판서된 내용이 먼 위치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되는 칠판의 안쪽에 또 다른 칠판이 설치되어 승강된 칠판에 의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칠판을 확장할 수 있는 승강식 칠판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93915호의 칠판의 승강장치(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칠판은, 칠판 뒷벽에 고정된 쇽업쇼바부와, 상기 쇽업쇼바부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칠판프레임의 양쪽에 수직으로 삽입 고정된 2개의 가이드축과, 가이드축의 이동을 안내하며 가이드축의 뒷벽에 고정된 축부와, 상기 쇽업쇼바부와 축부와 칠판프레임을 연결하는 와이어부와, 칠판의 승강시 해당 위치에 칠판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강식 칠판은 크게 전동식과 수동식으로 구분되는데, 전동식 승강 칠판의 경우 승강 동작을 위해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고, 또한 필요한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에 더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하기까지 조작 스위치 등을 누른 채 유지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수동식 승강 칠판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까지 칠판을 빠르게 승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칠판을 수동으로 승강시켜야 하므로 칠판을 승강시키기 위한 힘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칠판이 최대로 상승 또는 하강된 상태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높이에서는 칠판을 고정시키기가 어려운 문제도 있다.
따라서 칠판을 쉽게 승강시킬 수 있으면서 원하는 높이로 칠판을 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20-0293915 Y1 (2002. 10. 21.) KR 20-0285224 Y1 (2002. 07. 30.) KR 10-2013-0035626 A (2013. 04. 09.) KR 10-2010-0108965 A (2010. 10. 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동 승강식 칠판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칠판을 쉽게 승강시킬 수 있으면서도 원하는 높이에 칠판을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은, 소정 넓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칠판부; 상기 한 쌍의 보조칠판부 사이에 설치되면서 소정 넓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는 메인칠판부; 상기 한 쌍의 보조칠판부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칠판부가 상하로 승강되도록 하는 한 쌍의 승강유닛; 및 상기 메인칠판부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칠판부가 승강 또는 고정되도록 하는 작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메인칠판부의 중앙 저면 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작동버튼; 일단이 상기 작동버튼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수직연결바; 일단이 상기 수직연결바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칠판부의 양단을 향하여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사선연결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사선연결바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칠판부의 양단을 향하여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연결바; 및 상기 한 쌍의 수평연결바의 타단에 설치되면서 상기 한 쌍의 수평연결바가 수평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승강유닛에 자력으로 부착되거나 떨어지는 소정 크기의 한 쌍의 영구자석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버튼의 누름 동작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승강유닛에 상기 한 쌍의 영구자석블록이 탈착되면서 상기 메인칠판부가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수직연결바에 소정 크기의 중량체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버튼이 상기 중량체의 자중에 의해 하향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한 쌍의 영구자석블록이 상기 한 쌍의 승강유닛에 부착된 상태가 상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승강유닛이 상기 메인칠판부의 양단과 마주하는 상기 한 쌍의 보조칠판부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소정 크기의 이송블록; 상기 한 쌍의 보조칠판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 일단이 상기 이송블록의 일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 개의 롤러를 경유하여 소정 높이에서 수직으로 하향되도록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블록은, 상기 메인칠판부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칠판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승강유닛이 양측 상기 무게추의 무게 합이 상기 메인칠판부의 무게와 1 : 1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상기 이송블록의 상승을 제한함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칠판부의 중앙 하부에 위치되는 작동버튼을 이용하여 메인칠판부의 고정을 쉽게 해제할 수 있고, 또한 메인칠판부를 승강시킬 때 양측 승강유닛에 구비되는 무게추가 메인칠판부와 무게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메인칠판부를 어려움이 없이 승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동버튼이 자중에 의해 하강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작동버튼을 놓으면 영구자석블록이 자연스럽게 승강유닛의 가이드레일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메인칠판부의 높이가 고정되게 되고, 그 결과 사용 간에 메인칠판부가 임의로 움직이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칠판부 및 승강유닛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승강유닛이 동작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칠판부 및 작동유닛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작동유닛이 동작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이 승강 동작되는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칠판을 쉽게 승강시킬 수 있으면서도 원하는 높이에 칠판을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칠판부(10A, 10B), 메인칠판부(20), 승강유닛(30A, 30B) 및 작동유닛(4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기준으로 칠판 보드가 설치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보조칠판부(10A, 10B)는 후술되는 메인칠판부(20)의 양측에서 메인칠판부(2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보조칠판부(10A, 10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넓이를 가지는 일측이 개방된 "ㄷ"자 틀 모양으로 형성되는 구조프레임(11)과, 벽면과 마주하는 상기 구조프레임(11)의 일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소정 넓이의 베이스판(12)을 포함한다.
여기서 구조프레임(11)의 개방된 일측에는 후술되는 승강유닛(30A, 30B)의 가이드레일(31)이 설치된다.
또한, 구조프레임(11)의 전방 쪽에는 상기 구조프레임(11)에 대응되는 소정 크기의 커버플레이트(10')가 설치되며, 이에 의해 메인칠판부(20)의 커버플레이트(10')와 베이스판(12) 사이에 소정 크기의 설치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커버플레이트(10')는 구조프레임(11)에 경첩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개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필요에 따라 설치 공간에 설치된 승강유닛(30A, 30B)을 쉽게 보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보조칠판부(10A, 10B)는 메인칠판부(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이때 구조프레임(11)의 개방된 일측면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이 되도록 하여 승강유닛(30A, 30B)의 가이드레일(31)이 메인칠판부(20)의 양측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메인칠판부(20)는 한 쌍의 보조칠판부(10A, 10B) 사이에 설치되면서 필요에 따라 소정 높이로 승강 동작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메인칠판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넓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틀 모양의 구조프레임(21)과, 상기 구조프레임(21)을 연결하는 소정 넓이의 보강판(22)을 포함한다.
이때 보강판(22)은 구조프레임(21)을 보강함과 동시에 후술되는 작동유닛(40)이 지지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메인칠판부(20)의 전방 쪽에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칠판 보드(20')가 설치되고, 이를 통해 보강판(22)과 칠판 보드 사이에 소정 크기의 설치 공간이 형성된다.
승강유닛(30A, 30B)은 보조칠판부(10A, 10B)의 내부에 설치되어 메인칠판부(20)가 상하로 승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승강유닛(30A, 30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프레임(11)의 개방된 일측에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1)과, 상기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이송되는 소정 크기의 이송블록(32)과, 상기 한 쌍의 보조칠판부(10A, 10B)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33)와, 일단이 상기 이송블록(32)의 일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 개의 롤러(33)를 경유하여 소정 높이에서 수직으로 하향되도록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34) 및 상기 와이어(34)의 타단에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무게추(35)를 포함한다.
또한, 이송블록(3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1)이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소정 크기의 개구부(32A)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2A)를 통해 후술되는 작동유닛(40)의 영구자석블록(45)이 가이드레일(31)의 측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떨어지게 된다.
이에 더해 이송블록(32)의 일단은 후술되는 메인칠판부(20) 쪽으로 소정 길이 연장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이를 통해 메인칠판부(20)의 양단에 이송블록(32)의 돌출된 일단이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강건하게 결합되며, 그 결과 메인칠판부(20)의 양단에 이송블록(32)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승강유닛(30A, 30B)에 각각 설치되는 양측 무게추(35)의 무게 합은 메인칠판부(20)의 무게와 1 : 1이 되도록 구성되고, 이를 통해 메인칠판부(20)와 양측 무게추(34)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게 되며, 그 결과 후술되는 영구자석블록(45)을 통해 메인칠판부(20)의 높이를 고정하지 않더라도 메인칠판부(20)의 자중에 의해 임의로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때 무게추(35)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조립식 블록 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메인칠판부(20)의 무게에 맞추어 조립식 블록 또는 금속판의 설치 개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무게추(35)의 무게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레일(31)의 상, 하부에는 이송블록(32)의 상승을 제한함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36)가 설치되고, 이를 통해 메인칠판부(20)의 승강시 보조칠판부(10A, 10B)의 구조프레임(11)에 이송블록(32)이 부딪쳐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칠판부(20)의 높이가 보조칠판부(10A, 10B)와 동일한 높이가 되면, 가이드레일(31)의 하부에 이송블록(32)이 위치된 상태에서 무게추(35)가 소정 높이로 상승된 상태가 되고, 이와 반대로 이송블록(32)이 가이드레일(31)의 상부에 위치되면 무게추(35)가 와이어(34)를 통해 소정 높이로 하강된 상태가 되며, 그 결과 메인칠판부(20)의 상승시에는 무게추(35)가 하강되고, 메인칠판부(20)의 하강시에는 무게추(35)가 상승되면서 무게의 균형이 유지되게 된다.
작동유닛(40)은 메인칠판부(20)의 내측에 설치되어 메인칠판부(20)의 높이가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작동유닛(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칠판부(20)의 중앙 저면 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작동버튼(41)과, 일단이 상기 작동버튼(41)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수직연결바(42)와, 일단이 상기 수직연결바(42)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메인칠판부(20)의 양단을 향하여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사선연결바(43)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사선연결바(43)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메인칠판부(20)의 양단을 향하여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연결바(44) 및 상기 한 쌍의 수평연결바(44)의 타단에 설치되면서 한 쌍의 수평연결바(44)가 수평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승강유닛(30A, 30B)에 자력으로 부착되거나 떨어지는 소정 크기의 한 쌍의 영구자석블록(45)을 포함한다.
이때 작동버튼(41)은 자중에 의해 상시 하강되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의해 수직연결바(42)와 연결된 사선연결바(43)의 일단이 함께 하강되도록 하는 힘이 작용하게 되며, 그 결과 수평연결바(44)가 사선연결바(43)에 의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되면서 영구자석블록(45)이 이송블록(32)의 개구부(32A)를 통해 가이드레일(31)의 측면에 부착되도록 메인칠판부(20)의 양측으로 소정 폭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작동버튼(41)을 눌러 상승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연결바(43)의 일단이 상승되게 되면서 수평연결바(44)가 끌어당겨지게 되고, 이에 의해 수평연결바(44)에 설치된 영구자석블록(45)이 메인칠판부(20)의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메인칠판부(20)는 영구자석블록(45)을 통해 메인칠판부(20)의 높이가 고정되지 않더라도 양측의 무게추(35)로 인해 메인칠판부(20)가 높이 조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나, 칠판을 사용하면서 외력에 의해 메인칠판부(20)의 높이가 임의로 변경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메인칠판부(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작동버튼(41)을 누르면 영구자석블록(45)이 가이드레일(3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이송블록(32)의 고정이 해제되고, 이에 의해 적절한 높이로 메인칠판부(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후 작동버튼(41)을 놓으면 자중에 의해 작동버튼(41)이 하강되면서 영구자석블록(45)이 가이드레일(31)의 측면에 부착되고, 이에 의해 이송블록(32)의 위치가 고정되어 메인칠판부(20)의 높이가 고정되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작동버튼(41)의 자중에 의해 사선연결바(43)의 일단이 하강되어 영구자석블록(45)이 메인칠판부(20)의 양측으로 소정 폭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만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수직연결바(42)에 소정 크기의 중량체(46)가 설치되어 작동버튼(41)이 더욱 쉽고 빠르게 하강되어 당초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이 사용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 쌍의 보조칠판부(10A, 10B)의 높이와 메인칠판부(20)의 높이가 동일하게 유지된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무게추(35)가 소정 높이로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송블록(32)은 가이드레일(31)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버튼(41)을 눌러 상승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연결바(42)를 따라 사선연결바(43)의 일단이 상승되고, 이에 의해 양측 수평연결바(44)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영구자석블록(45)을 가이드레일(31)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수동으로 메인칠판부(20)를 상승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블록(32)이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에 의해 와이어(34)에 연결된 양측 무게추(35)가 소정 높이로 하강되면서 메인칠판부(20)와 균형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메인칠판부(20)의 높이를 적절하게 상승시키고 나면 눌렀던 작동버튼(41)을 놓게 되고, 이에 의해 상승된 작동버튼(41)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블록(45)이 가이드레일(31)의 측면에 부착되게 되며, 그 결과 이송블록(32)이 영구자석블록(45)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면서 메인칠판부(20)의 높이가 고정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칠판부의 중앙 하부에 위치되는 작동버튼을 이용하여 메인칠판부의 고정을 쉽게 해제할 수 있고, 또한 메인칠판부를 승강시킬 때 양측 승강유닛에 구비되는 무게추가 메인칠판부와 무게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메인칠판부를 어려움이 없이 승강시킬 수 있으며, 작동버튼이 자중에 의해 하강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작동버튼을 놓으면 영구자석블록이 자연스럽게 승강유닛의 가이드레일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메인칠판부의 높이가 고정되게 되고, 그 결과 사용 간에 메인칠판부가 임의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A, 10B: 보조칠판부 10': 커버플레이트
11: 구조프레임 12: 베이스판
20: 메인칠판부 20': 칠판 보드
21: 구조프레임 22: 보강판
30A, 30B: 승강유닛 31: 가이드레일
32: 이송블록 32A: 개구부
33: 롤러 34: 와이어
35: 무게추 36: 완충부재
40: 작동유닛 41: 작동버튼
42: 수직연결바 43: 사선연결바
44: 수평연결바 45: 영구자석블록
46: 중량체

Claims (5)

  1. 소정 넓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칠판부(10A, 10B);
    상기 한 쌍의 보조칠판부(10A, 10B) 사이에 설치되면서 소정 넓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는 메인칠판부(20);
    상기 한 쌍의 보조칠판부(10A, 10B)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칠판부(20)가 상하로 승강되도록 하는 한 쌍의 승강유닛(30A, 30B); 및
    상기 메인칠판부(20)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칠판부(20)가 승강 또는 고정되도록 하는 작동유닛(40);
    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40)은,
    상기 메인칠판부(20)의 중앙 저면 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작동버튼(41);
    일단이 상기 작동버튼(41)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수직연결바(42);
    일단이 상기 수직연결바(42)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칠판부(20)의 양단을 향하여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사선연결바(43);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사선연결바(43)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칠판부(20)의 양단을 향하여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연결바(44); 및
    상기 한 쌍의 수평연결바(44)의 타단에 설치되면서, 상기 한 쌍의 수평연결바(44)가 수평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승강유닛(30A, 30B)에 자력으로 부착되거나 떨어지는 소정 크기의 한 쌍의 영구자석블록(45);
    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버튼(41)의 누름 동작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승강유닛(30A, 30B)에 상기 한 쌍의 영구자석블록(45)이 탈착되면서 상기 메인칠판부(20)가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연결바(42)에는,
    소정 크기의 중량체(46)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버튼(41)이 상기 중량체(46)의 자중에 의해 하향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한 쌍의 영구자석블록(45)이 상기 한 쌍의 승강유닛(30A, 30B)에 부착된 상태가 상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승강유닛(30A, 30B)은,
    상기 메인칠판부(20)의 양단과 마주하는 상기 한 쌍의 보조칠판부(10A, 10B)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가이드레일(31);
    상기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이송되는 소정 크기의 이송블록(32);
    상기 한 쌍의 보조칠판부(10A, 10B)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33);
    일단이 상기 이송블록(32)의 일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 개의 롤러(33)를 경유하여 소정 높이에서 수직으로 하향되도록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34); 및
    상기 와이어(34)의 타단에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무게추(35);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블록(32)은,
    상기 메인칠판부(20)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칠판부(20)가 상기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승강유닛(30A, 30B)은,
    양측 상기 무게추(35)의 무게 합이 상기 메인칠판부(20)의 무게와 1 : 1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31)의 상부에는,
    상기 이송블록(32)의 상승을 제한함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3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
KR1020210037043A 2021-03-23 2021-03-23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 KR102301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043A KR102301685B1 (ko) 2021-03-23 2021-03-23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043A KR102301685B1 (ko) 2021-03-23 2021-03-23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685B1 true KR102301685B1 (ko) 2021-09-10

Family

ID=7777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043A KR102301685B1 (ko) 2021-03-23 2021-03-23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68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544A (ko) * 1995-06-05 1997-01-21 프랭클린 루디 마리온 다중-셀의 완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970064979A (ko) * 1996-03-28 1997-10-13 장창호 승하강 개폐칠판
KR200285224Y1 (ko) 2002-05-03 2002-08-13 고재천 칠판의 승강장치
KR200293915Y1 (ko) 2002-07-24 2002-11-07 고재천 칠판 승강장치
KR20030026413A (ko) * 2001-09-25 2003-04-03 주식회사 동양흑판 자동승강칠판
KR20100108965A (ko) 2009-03-31 2010-10-08 곽노윤 상하 이동이 가능한 판서용 부재를 구비한 칠판
KR20130035626A (ko) 2011-09-30 2013-04-09 (주)한국바이오초크 승하강식 칠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544A (ko) * 1995-06-05 1997-01-21 프랭클린 루디 마리온 다중-셀의 완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970064979A (ko) * 1996-03-28 1997-10-13 장창호 승하강 개폐칠판
KR0161210B1 (ko) * 1996-03-28 1998-12-01 장창호 승하강 개폐칠판
KR20030026413A (ko) * 2001-09-25 2003-04-03 주식회사 동양흑판 자동승강칠판
KR200285224Y1 (ko) 2002-05-03 2002-08-13 고재천 칠판의 승강장치
KR200293915Y1 (ko) 2002-07-24 2002-11-07 고재천 칠판 승강장치
KR20100108965A (ko) 2009-03-31 2010-10-08 곽노윤 상하 이동이 가능한 판서용 부재를 구비한 칠판
KR20130035626A (ko) 2011-09-30 2013-04-09 (주)한국바이오초크 승하강식 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151531A (ja) スライド式ボード
CN105986718B (zh) 具有与门尺寸无关的门配件的推拉门
KR102301685B1 (ko) 구조 개선된 수동 승강식 칠판
CN209193427U (zh) 一种用于建筑智能化的起吊装置
US3536350A (en) Adjustable spreader
KR20020021216A (ko) 정밀 제어용 자유 링크장치
CN106710354A (zh) 一种升降模拟训练台
US6467739B1 (en) Adjustable device for adjusting length of foldable table leg
CN216232481U (zh) 一种抽屉开关柜检修转运车
US3454317A (en) Support and combination concealed storage unit
CN212356443U (zh) 一种带有可调式防护机构的升降机
JPS6029551U (ja) 金融機関用昇降カウンタ−
CN108819480A (zh) 一种纸箱机械印刷机网纹辊装配装置
CN211794952U (zh) 一种思政教育教学用易扩展讲台
US4724556A (en) Latch for crib dropside
CN207821391U (zh) 一种具有书籍固定功能的讲台
CN208009396U (zh) 一种立式冲击夯稳定装置
JP3210902U (ja) 伸縮可能な金具を使用したテーブル
CN213898112U (zh) 一种建筑主体结构施工用模架结构
KR200404849Y1 (ko) 승강식 교탁
CN211741712U (zh) 一种城市规划用沙盘装置
CN212029039U (zh) 一种机电设备安装用支撑座
KR101952166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인출식 보조책상
KR10242018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CN211565810U (zh) 一种升降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