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674B1 -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1674B1 KR102301674B1 KR1020200002585A KR20200002585A KR102301674B1 KR 102301674 B1 KR102301674 B1 KR 102301674B1 KR 1020200002585 A KR1020200002585 A KR 1020200002585A KR 20200002585 A KR20200002585 A KR 20200002585A KR 102301674 B1 KR102301674 B1 KR 1023016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frame
- frame part
- display device
- fixed frame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천정에 디스플레이기기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토록 하되, 특히, 차량 실내 천정에 형성된 융기부에 디스플레이기기가 조화롭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cradle that enables angle adjustment within a certain angular range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the ceiling of a vehicle, and in particular, enables the display device to be harmoniously arranged on a raised portion formed on the ceiling of the vehicle interi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디스플레이기기의 접이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천정에 디스플레이기기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토록 하되, 특히, 차량 실내 천정에 형성된 융기부에 디스플레이기기가 조화롭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cradle for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enable angle adjustment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the vehicle ceiling, in particular, a display on a raised portion formed on the vehicle interior ceiling. It relates to a folding cradle that allows devices to be harmoniously arranged.
현대생활에 있어 버스, 승용차 등의 차량은 단순한 운송수단의 개념에서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생활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행성이나 승차감과 같은 차량의 기술적인 사항 못지 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탑승자의 편의성과 안락성을 줄 수 있는 각종 편의장치의 제공이다.In modern life, vehicles such as buses and passenger cars can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living space beyond the concept of simple means of transport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one of the things that is as important as the technical matters of the vehicle such as drivability and ride comfort is the provision of various convenience devices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and comfort to the occupants.
정보화시대인 현대에 이르러 장거리 여행이나 교통정체로 인하여 차량 내에서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므로 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 모니터를 설치하여 영화나 TV 프로그램 등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즉, 디스플레이기기가 장착된 차량이 점차 늘고 있다.In the modern age of information age, the amount of time spent in a vehicle increases due to long-distance travel or traffic congestion. Therefore, in order to use this time efficiently, a monitor is installed in the vehicle to watch movies or TV programs. That is, the number of vehicles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is gradually increasing.
기존 CRT를 대체하기에 이른 LCD나 PDP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창치의 보급에 따라, 단순히 장식장 탁자에 세워지는 것을 넘어서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하는 디스With the spread of display devices such as LCD and PDP TVs, which have come to replace the existing CRT, display devices that are fixed to the ceiling or wall are not simply placed on a table in a decorative cabinet.
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The development of a cradle for a play device is being actively carried out.
특히, 버스와 같은 대형 차량의 경우 뒷쪽에 착석한 승객들이 디스플레이기기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거치대를 통상적으로 천장에 설치하여 버스 내 모든 승객이 디스플레이기기의 시청이 가능토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arge vehicle such as a bus, it is common to install a cradle on the ceiling so that passengers seated at the back can view the display device, so that all passengers in the bus can view the display device.
이러한 이유로, 버스와 같은 대형 차량에 디스플레이기기를 설치하기 위해선 차량 실내 천정에 설치 가능한 구조를 갖춘 거치대가 요구되어 왔으며 이에 대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1948호(버스용 디스플레이기기의 수동 접이식 거치대, 종래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For this reason, in order to install a display device in a large vehicle such as a bus, a cradl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vehicle has been required. Manual folding cradle, prior art) has been proposed.
한편, 근래 대형 차량의 경우, 캠핑, 화물운송, 광고 등과 같이 사용 목적에 따라 인테리어 디자인도 다양하게 설계변경이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ecent large vehicles, the interior design is also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such as camping, cargo transportation, advertisement, and the like.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대형 차량의 실내의 경우 전방 천정부위 잉여공간을 유효공간으로 활용하고자 차량의 전방 천정에 융기부(G)가 형성된 인테리어가 적용되기도 하며, 이러한 융기부(G) 내부로 각종 수납공간을 형성한 차량이 속속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nterior of a large vehicle shown in FIG. 1, an interior in which a ridge (G) is formed on the front ceiling of the vehicle is sometimes applied to utilize the surplus space at the front ceiling as an effective space, and the ridge (G) inside Vehicles with various storage spaces are being developed one after another.
이와 같은 차량에 종래기술의 거치대를 장착하게 되면 이동판넬(1)이 융기부(G) 하방으로 치우치게 회동되어 시인성을 저하시키게 됨은 물론이고, 차량 내 통로를 가로막아 불편함을 초래함과 동시에, 안전상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도 있다.When the cradle of the prior art is mounted on such a vehicle, the moving
이에 따라, 융기부(G)가 마련된 차량 내에서도 디스플레이기기를 차량의 천정 융기부(G)에 간섭되지 않도록 조화롭게 배치시켜 디스플레이기기의 최적의 설치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거치대의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even in the vehicle in which the raised part (G) is provided,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the cradle that can secure the optimal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by arranging the display device harmoniously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vehicle's ceiling elevation (G) is required. the current situation.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차량 천정에 디스플레이기기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토록 하되, 특히, 차량 실내 천정에 형성된 융기부에 디스플레이기기가 조화롭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while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vehic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ing cradle that allows the display devices to be harmoniously arranged on the screen.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량의 실내 천정 융기부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부; 정면으로 디스플레이기기를 지지하며 복수의 제1 위치조절공이 관통 형성되는 가동프레임부; 상기 가동프레임부가 고정프레임부에 대해 상대회동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부와 가동프레임부를 연결시키는 힌지부; 및 일단은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타단은 상기 가동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외충격을 완충시키는 댐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가동프레임부의 배면에 밀착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위치조절공과 연통되는 제2 위치조절공이 관통 형성되며 가동프레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멤버; 및 일측은 상기 보강멤버에, 타측은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각각 설치되는 경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프레임부의 상대회동시 가동프레임부의 배면 일부가 차량의 실내 천정 융기부 측면에 대향되도록 상기 가동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위치조절공을 따라 상기 보강멤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xed frame portion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ior ceiling ridge of the vehicle; a movable frame part supporting the display device in the front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positioning holes formed therethrough; a hinge part connecting the fixed frame part and the movable frame part so that the movable frame part rotates relative to the fixed frame part; and a damper portion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xed frame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frame portion to buffer external shock, wherein the hinge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first positioning holes and a reinforcing member through which a communicating second positioning hole is formed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vable frame part; and a hinge memb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ed frame portion, respectively, wherein, when the movable frame portion is rotated relative to one another, a rear surface portion of the movable frame portion is movable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interior ceiling ridge of the vehicle. The frame part is movably installed on the reinforcing member along the plurality of first positioning holes.
또한, 상기 보강멤버는, 상기 경첩부재의 일측이 부착되는 가동판; 상기 가동판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판; 및 상기 한 쌍의 연장판 각각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어 가동프레임부의 배면과 맞닿으며, 상기 제2 위치조절공이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멤버는 상기 연장판의 길이만큼 고정프레임부에서 가동프레임부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 may include a movable plate to which one side of the hinge member is attached; a pair of extension plates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ends of the movable plate; and a pair of flanges extending vertically from each end of the pair of extension plates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and through which 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hole is formed,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s the extension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frame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frame portion by the length.
또, 상기 가동프레임부는, 디스플레이기기의 배면과 맞닿으며 좌, 우 양 측단에 한 쌍의 지지판이 배면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판 각각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기기의 양 측면을 감싸되, 브라켓홀이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부는, 차량의 실내 천정 융기부 저면과 맞닿는 판상의 고정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브라켓 각각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좌, 우 양 측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브라켓홀과 연통되는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서로 연통된 브라켓홀과 고정홀에는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가동프레임부의 위치를 구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able frame portion, abutt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 pair of support plates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members extending vertically bent toward the rear surface; and a pair of support brackets mounted on each of the pair of support plates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display device, and through which a bracket hole is formed, wherein the fixed frame part has a plate shap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ior ceiling ridge of the vehicle. of the fixing member; and a cover member extending vertically bent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fixing member so as to cover a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support brackets and having a fix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racket hole formed therethrough. A fixing bolt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hole and the fixing hole to constrain the position of the movable frame part.
또한, 상기 보강멤버의 좌, 우 양 측단은 상기 지지판에서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플랜지 각각은 복수 개로 분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oth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reinforcing member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ach of the pair of flanges is segmen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기기가 융기부의 측면에 대향되도록 가동프레임부를 회동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인성 향상은 물론이고, 고정프레임부 하부 공간이 확보되어 승객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할 수 있고, 불측의 사유로 차량의 급선회시, 승객이 디스플레이기기에 부딪치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visibility by allowing the display device to rotate the movable frame to face the side of the raised part, and secures a space under the fixed frame to ensure free movement of passenger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in which the passenger collides with the display device when making a sudden turn.
또한, 융기부가 형성된 차량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도록 디스플레이기기를 차량 내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device can be mounted in the vehicle so as to be in harmony with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which the ridge is formed,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can be efficiently used.
또, 회동기준점이 가동프레임부의 상단으로 치우치게 가동프레임부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면 통상 천정이 편평하게 형성된 실내 인테리어에 접이식 거치대를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movable frame portion is adjusted so that the rotation reference point is biased toward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frame portion, it is possible to apply the folding cradle to an indoor interior in which the ceiling is generally flat.
도 1은 종래 접이식 거치대의 차량 내 설치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의 차량 내 설치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회동기준점의 변위에 따른 가동프레임부의 회동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가동프레임부가 전개된 상태에서 접이식 거치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가동프레임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접이식 거치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접이식 거치대의 분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접이식 거치대의 작동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보강멤버가 배제된 접이식 거치대의 접혀진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지지부재와 보강멤버의 결합상태를 배면을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측면이 경사진 융기부에 적용된 접이식 거치대의 설치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12a는 고정볼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b는 돌출편과 결합부재의 구성 및 서로의 결합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보조결속부가 적용된 접이식 거치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in-vehicle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folding cradle by way of example.
Figure 2 is a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in a vehicle of the folding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3 is a view showing an exemplary rotation state of the movable frame part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rotation reference point.
4 to 5 are views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olding cradle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frame part is deployed.
6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olding cradle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frame part is folded.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folding cradle.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folding cradle.
9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folded state of the folding cradle in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is excluded.
10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reinforc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rear surface.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the folding cradle applied to the ridge of the side inclined.
12A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xing bolt, and FIG. 1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truding piece and a coupling member and a coupling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13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folding cradle to which an auxiliary binding unit is applied.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xample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설명에서는 융기부(G)가 마련된 차량 실내 인테리어에 적용된 접이식 거치대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는 융기부(G)가 없는 차량 실내 인테리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olding cradle applied to the vehicle interior in which the raised portion G is provid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foldin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vehicle interior in which the raised portion G is not provided.
또한, 이하 설명에서의 디스플레이기기(D)는 위성 TV, 지상파 디지털 TV, 모니터, 노래방기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Also, the display device 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satellite TV, a terrestrial digital TV, a monitor, a karaoke device, and the like.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를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의 차량 내 설치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회동기준점의 변위에 따른 가동프레임부의 회동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5는 가동프레임부가 전개된 상태에서 접이식 거치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가동프레임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접이식 거치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접이식 거치대의 분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접이식 거치대의 작동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보강멤버가 배제된 접이식 거치대의 접혀진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지지부재와 보강멤버의 결합상태를 배면을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측면이 경사진 융기부에 적용된 접이식 거치대의 설치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a는 고정볼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b는 돌출편과 결합부재의 구성 및 서로의 결합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보조결속부가 적용된 접이식 거치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A folding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2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olding cradle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the rotation state of the movable frame part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rotation reference point, Figures 4 to 5 are It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olding cradle in a state where the movable frame part is deploye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olding cradle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frame part is folded, and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isassembled configuration of the folding cradle.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folding cradle, FIG. 9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the folded state of the folding cradle in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is excluded,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folding cradle applied to a ridge with an inclined side, FIG. 12a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xing bolt, FIG. 12b is a configuration of a protruding piece and a coupling member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folding cradle to which an auxiliary binding part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차량의 실내 천정 융기부(G) 저면(G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부(100), 정면으로 디스플레이기기(D)를 지지하며 복수의 제1 위치조절공(210)이 관통 형성되는 가동프레임부(200), 상기 가동프레임부(200)가 고정프레임부(100)에 대해 상대회동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부(100)와 가동프레임부(200)를 연결시키는 힌지부(300) 및 일단은 상기 고정프레임부(100)에, 타단은 상기 가동프레임부(200)에 설치되어 외충격을 완충시키는 댐퍼부(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to 6, the folding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가동프레임부(200)는 디스플레이기기(D)의 시청, 객실의 공간확보 등을 위해 고정프레임부(100)에 대해 상대회동될 수 있다. 가동프레임부(200)는 힌지부(300)를 회전중심으로 해 회동될 수 있으며, 특히, 가동프레임부(200)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회동되었을 때 고정프레임부(100)의 직하방으로 회동되어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융기부(G)의 측면(G2)을 향해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추도록 하여 디스플레이기기(D)가 융기부(G) 하방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이동판넬(1)이 전개되었을 때 디스플레이기기(D)가 융기부(G) 하방으로 치우쳐 디스플레이기기(D)의 시인성이 떨어짐은 물론, 차량 내 통로를 가로막아 불편함을 초래함과 동시에, 안전상의 문제를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가동프레임부(200)에는 별도 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은 국제규격인 베사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주변으로 제1 위치조절공(210)이 복수 개가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베사홀의 위치, 크기, 개수 등은 디스플레이기기(D)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제1 위치조절공(210)에는 후술 될 힌지부(300)의 보강멤버(310)에 관통 형성되는 제2 위치조절공(311)이 연통될 수 있고, 상기 제1 위치조절공(210)과 제2 위치조절공(311)을 볼트부재(미도시)가 상호 관통해 가동프레임부(200)와 힌지부(300)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가동프레임부(200)의 상대회동시 가동프레임부(200)의 배면 일부가 차량의 실내 천정 융기부(G) 측면(G2)에 대향되도록 상기 가동프레임부(200)는 상기 복수의 제1 위치조절공(210)을 따라 상기 보강멤버(3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되, 특히, 가동프레임부(200)의 위치를 조절하면 가동프레임부(200)의 회동기준점(H)이 조절될 수 있다.When the
예컨대, 도 3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기준점(H)이 가동프레임부(200)의 중심 또는 하단으로 치우치게 가동프레임부(200)의 위치를 조절하면 가동프레임부(200)의 회동시 가동프레임부(200)의 일부가 융기부(G)의 측면(G2)으로 향하게 되어 디스플레이기기(D)를 융기부(G)의 측면(G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기기(D)를 시청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of the
이렇게 되면, 시인성 향상은 물론이고, 고정프레임부(100) 하부 공간이 확보되어 승객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할 수 있고, 불측의 사유로 차량의 급선회시, 승객이 디스플레이기기(D)에 부딪치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as well as improving visibility, the space below the fixed
아울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기준점(H)이 가동프레임부(200)의 상단으로 치우치게 가동프레임부(20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면 통상 천정이 편평하게 형성된 실내 인테리어에 접이식 거치대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이와 같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힌지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프레임부(200)의 배면에 밀착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위치조절공(210)과 연통되는 제2 위치조절공(311)이 관통 형성되며 가동프레임부(200)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멤버(310) 및 일측은 상기 보강멤버(310)에, 타측은 상기 고정프레임부(100)에 각각 설치되는 경첩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In order to realize such a function, the
보강멤버(310)는 가동프레임부(200)의 배면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가동프레임부(200)를 지지하여 외충격에 의해 가동프레임부(20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프레임부(100)에서 가동프레임부(200)를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reinforcing
보다 구체적으로 보강멤버(3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부재(320)의 일측이 부착되는 가동판(312), 상기 가동판(312)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판(313) 및 상기 한 쌍의 연장판(313) 각각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어 가동프레임부(200)의 배면과 맞닿으며, 상기 제2 위치조절공(311)이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31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 the reinforcing
가동판(312)에는 경첩부재(320)의 일측이 접속되는 제1 결합홀(312a)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314)와 가동판(31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연장판(313)이 이 둘을 상호 연결시킨다. 플랜지(314)는 가동프레임부(200)의 배면에 면접촉으로 접촉되되 제1 위치조절공(210)과 제2 위치조절공(311)에는 볼트부재가 상호 체결될 수 있다.A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보강멤버(310)는 도 8b의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와 같은 횡단면을 가지며 가동판(312),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연장판(313) 및 가동프레임부(200)의 배면 사이에 일정 공간(S)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연장판(313)의 길이만큼 고정프레임부(100)에서 가동프레임부(200)를 이격시키게 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reinforcing
보강멤버(310)를 이용해 고정프레임부(100)에서 가동프레임부(200)를 일정 거리 이격시킴으로써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거치대가 접혀진 상태가 됐을 때 고정프레임부(100)와 가동프레임부(200)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가동프레임부(200)를 회동시킬 수 있다.By separating the
한편, 고정프레임부(100)에는 돌출편(5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동프레임부(200)에는 상기 돌출편(500)과 결착되는 결합부재(600)가 형성될 수 있다. 접이식 거치대가 접혀진 상태가 되면 상기 돌출편(500)과 결합부재(600)가 상호 끼움 결합되어 가동프레임부(200)가 고정프레임부(100) 상에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rotruding
만일,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멤버(310)를 배제하게 되면 고정프레임부(100)와 가동프레임부(200) 사이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접이식 거치대가 접혀진 상태가 됐을 때 가동프레임부(200)가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에서 접혀지게 되고, 이는 서로 대향되는 돌출편(500)과 결합부재(600)의 위치가 틀어져 정위치에서 정확한 끼움결합을 유도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으로 작용한다.If the reinforcing
돌출편(500)과 결합부재(600)가 정확히 끼움될 수 없게 되면 안전성에서 불리해짐은 물론이고, 접이식 거치대가 접혀 있는 상태가 되더라도 디스플레이기기(D)가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상기 돌출편(500)과 결합부재(60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If the protruding
한편, 상기 일정 공간(S)에는 디스플레이기기(D)의 전선 등이 수용될 수도 있다. 상기 일정 공간(S)에 전선 등을 수용시킴으로써 별도 배선정리를 위한 케이블타이 설치 등을 생략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electric wire of the display device D may be accommod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S. By accommodating the electric wire in the predetermined space (S), it is also possible to omit the installation of a cable tie for separate wiring arrangement.
가동프레임부(200)는 일례로, 디스플레이기기(D)의 배면과 맞닿으며 좌, 우 양 측단에 한 쌍의 지지판(221)이 배면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는 지지부재(220)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판(221) 각각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기기(D)의 양 측면을 감싸되, 브라켓홀(231)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브라켓(2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he
지지부재(220)의 전면으로 디스플레이기기(D)가 장착되고 지지부재(220)의 배면으로 보강멤버(31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20)에 베사홀과 제1 위치조절공(21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221)에 지지브라켓(23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230)은 디스플레이기기(D)의 규격에 따라 변화하는 디스플레이기기(D)의 크기, 두께 등에 맞게 적절한 형태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D may b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22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브라켓(230)을 예시하나, 지지부재(220)와 지지브라켓(230)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고정프레임부(100)는 일례로, 차량의 실내 천정 융기부(G) 저면(G1)과 맞닿는 판상의 고정부재(110)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브라켓(230)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고정부재(110)의 좌, 우 양 측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브라켓홀(231)과 연통되는 고정홀(121)이 관통 형성되는 커버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he fixing
고정부재(110)에는 장착홀(111)과 공기순환홀(112)이 서로 혼재되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홀(111)은 융기부(G) 저면(G1)에 고정프레임부(100)를 부착시키기 위한 볼트부재가 삽입되는 부분이며, 공기순환홀(112)은 고정부재(110)가 차량의 공조기 에어벤트를 완전히 차폐하지 못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공기순환홀(112)로 공조기에서 토출되는 기류가 자유롭게 통과될 수 있다.In the fixing
서로 연통된 브라켓홀(231)과 고정홀(121)에는 고정볼트(700)가 삽입되어 가동프레임부(200)의 위치를 구속시킬 수 있다. 전술한 돌출편(500)과 결합부재(600)의 끼움작용에 더하여, 고정볼트(700)가 고정프레임부(100)와 가동프레임부(200)를 상호 결속함으로써 접이식 거치대가 접혀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기기(D)를 흔들림이나 떨림 없이 지지할 수 있게 된다.A fixing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멤버(310)의 좌, 우 양 측단은 상기 지지판(221)에서 일정거리(W) 이격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일정 공간(S) 내로 전선을 수용시킬 때 전선이 일정 공간(S) 내로 배선될 수 있도록 보강멤버(310) 상에 입구와 출구를 각각 부여시키기 위함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0 , both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reinforcing
또한, 상기 한 쌍의 플랜지(314) 각각은 복수 개로 분절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보강멤버(310)의 중량을 최소화시켜 접이식 거치대의 하중을 줄이고, 아울러, 플랜지(314)가 지지부재(220)와 면접촉이 되어 있으므로, 분절된 지점으로 디스플레이기기(D)에서 지지부재(220) 측으로 전달된 열기를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pair of
상기 고정볼트(700)는 디스플레이기기(D)에서 영상물의 시청 후 접이식 거치대를 접을 경우에, 고정프레임부(100)와 가동프레임부(200)를 확실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게 한다.The fixing
상기 고정볼트(700)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710), 수나사부(720), 스프링(730) 및 고정부(7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he fixing
상기 머리부(710)는 고정볼트(700)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볼트(700)가 지지브라켓(230)의 브라켓홀(231)에 나사결합되도록 고정홀(121)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상기 수나사부(720)는 상기 고정프레임부(100)에 형성된 고정홀(121)을 관통하여 가동프레임부(200)의 지지브라켓(230)에 형성된 브라켓홀(23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스프링(730)은 상기 머리부(710)에 내장되어 상기 머리부(710)에 상기 고정프레임부(100)의 반대방향으로 수직 항력을 제공한다.The
상기 스프링(730)은 디스플레이기기(D)에서 영상물을 시청하기 위하여 가동프레임부(200)와 분리된 후, 접이식 거치대를 일정 각도로 전개시킨 경우에, 상기 고정볼트(700)의 이탈이나 움직임, 떨림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70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The
고정부(740)는 일측이 상기 머리부(710)의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이 커버부재(12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볼트(700)를 브라켓홀(231)과 고정홀(121)에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상대이동되는 머리부(710)에 고정부(740)의 일단이 삽입되면서 스프링(730)을 탄성 가압시키게 되며, 가압된 스프링(730)의 탄성복원력이 고정볼트(700)의 풀림 방지력으로 작용하게 된다.One side of the fixing
상기 돌출편(500)은 상기 고정부재(110)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편(500)은 양측 상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600)와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부(100)와 가동프레임부(200)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돌출편(500)과 결합부재(600)는 1차적으로 고정프레임부(100)와 가동프레임부(2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고정볼트(700)는 2차적으로 이들을 고정시켜서, 차량의 이동중에 흔들림으로 인하여 고정프레임부(100)에서 가동프레임부(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A plurality of the
상기 결합부재(600)는 상기 돌출편(500)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600)는 지지부재(220)의 배면에 형성된 돌출편(5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The
결합부재(600)는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공(610), 스프링(620) 및 조임나사(6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결합공(610)은 볼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편(500)에 양측으로 돌출된 돌기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스프링(620)은 상기 결합부재(600) 내측의 중공부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공(610)과 돌출편(50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공(6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조임나사(630)는 상기 결합부재(600)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와 나사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조임나사(630)가 상기 중공부 내측으로 더 많이 위치할수록 상기 스프링(620)을 더 강하게 압박하여 상기 결합공(610)에 더 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조임나사(630)를 신축성있게 드라이버로 조절하여 디스플레이기기(D) 무게나 크기에 따라 체결력이나 체결강도 및 이완강도등을 조절할 수 있다.The
한편, 결합부재(600)의 중공부의 일단에는 이탈방지턱(6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턱(640)은 중공부 내에서 결합공(610)의 완전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상기 댐퍼부(400)는 차량의 이동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댐퍼부(400)는 내측에 공기와 같은 가스가 내장되어 있어 가스에 의해 미는 힘을 발생시켜서 차량의 이동시 흔들림에 의한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상기 댐퍼부(400)는 가스쇼바와 같은 공지의 완충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편의를 위해 도 5 및 도 8에만 도시하였고,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Since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부(100)와 가동프레임부(200) 사이에서 고정프레임부(100)와 가동프레임부(200)를 자력으로 결합시키는 보조결속부(8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lding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xiliary for magnetically coupling the fixed
상기 보조결속부(800)는 상기 고정프레임부(100)와 가동프레임부(200)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돌출편(500)과 결합부재(600)는 1차적으로 고정프레임부(100)와 가동프레임부(2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고정볼트(700)는 2차적으로 이들을 고정시켜서, 차량의 이동중에 흔들림으로 인하여 고정프레임부(100)에서 가동프레임부(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결속부(800)가 3차적으로 이들을 고정시켜 3중 결속으로 접이식 거치대의 접혀진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auxiliary
이를 위해, 보조결속부(800)는 커버부재(120)의 외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브라켓(811)과 상기 제1 브라켓(811)에 장착되는 제1 자석원판(812)으로 구성되는 제1 자석부재(810) 및 상기 지지브라켓(230)의 외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브라켓(821)과 상기 제2 브라켓(821)에 장착되되, 상기 제1 자석원판(812)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1 자석원판(812)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2 자석원판(822)으로 구성되는 제2 자석부재(820)로 예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auxiliary
즉, 접이식 거치대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제1 자석원판(812)과 제2 자석원판(822)가 서로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프레임부(200)가 상대회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고, 접이식 거치대를 전개시키기 위해 가동프레임부(200)에 소정의 견인력을 가하면, 제1 자석부재(810)와 제2 자석부재(820)가 서로 떨어지면서 가동프레임부(200)의 상대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firs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의 작동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operating method of the folding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승객은 디스플레이기기(D)의 시청을 위해 도 8b에 도시된 상태의 접이식 거치대에서 가동프레임부(200)에 힘을 가해 가동프레임부(200)를 상대회동시킨다.First, the passenger applies a force to the
이때, 승객은 고정프레임부(1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고정볼트(700)를 일 방향으로 돌려 상기 가동프레임부(200)의 브라켓홀(231)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ssenger may turn the fixing
가동프레임부(200)에 계속적인 힘을 가하면, 상기 가동프레임부(200)에 구비된 결합부재(600)가 상기 돌출편(500)으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후, 디스플레이기기(D) 및 가동프레임부(200)는 경첩부재(320)를 중심으로 상대회동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프레임의 배면 일부가 융기부(G) 측면(G2)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When a continuous force is applied to the
이와 같이 가동프레임부(200)가 자유롭게 상대회동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부(G)의 측면(G2)이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에서도 가동프레임부(200)의 회동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게 되면 디스플레이기기(D)를 무리 없이 전개시킬 수 있게 된다.As such, since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고정프레임부 200: 가동프레임부
300: 힌지부 400: 댐퍼부100: fixed frame portion 200: movable frame portion
300: hinge part 400: damper part
Claims (8)
차량의 실내 천정 융기부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부;
정면으로 디스플레이기기를 지지하며 복수의 제1 위치조절공이 관통 형성되는 가동프레임부;
상기 가동프레임부가 고정프레임부에 대해 상대회동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부와 가동프레임부를 연결시키는 힌지부; 및
일단은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타단은 상기 가동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외충격을 완충시키는 댐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가동프레임부의 배면에 밀착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위치조절공과 연통되는 제2 위치조절공이 관통 형성되며 가동프레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멤버; 및
일측은 상기 보강멤버에, 타측은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각각 설치되는 경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프레임부의 상대회동시 가동프레임부의 배면 일부가 일정 각도 경사진 차량의 실내 천정 융기부 측면에 대향되도록 상기 가동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위치조절공을 따라 상기 보강멤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동프레임부의 회동기준점이 조절되며,
회동기준점이 가동프레임부의 중심 또는 하단으로 치우치게 가동프레임부의 위치를 조절하면 가동프레임부의 회동시 가동프레임부의 일부가 융기부의 측면으로 향하게 되어 디스플레이기기가 융기부의 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보강멤버는,
상기 경첩부재의 일측이 부착되는 가동판;
상기 가동판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판; 및
상기 한 쌍의 연장판 각각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어 가동프레임부의 배면과 맞닿으며, 상기 제2 위치조절공이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멤버는 상기 연장판의 길이만큼 고정프레임부에서 가동프레임부를 이격시키며,
상기 가동프레임부는,
디스플레이기기의 배면과 맞닿으며 좌, 우 양 측단에 한 쌍의 지지판이 배면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판 각각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기기의 양 측면을 감싸되, 브라켓홀이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부는,
차량의 실내 천정 융기부 저면과 맞닿는 판상의 고정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브라켓 각각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좌, 우 양 측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브라켓홀과 연통되는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서로 연통된 브라켓홀과 고정홀에는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가동프레임부의 위치를 구속시키며,
상기 한 쌍의 플랜지 각각은 복수 개로 분절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부에는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프레임부에는 상기 돌출편과 결착되는 결합부재가 형성되되, 접이식 거치대가 접혀진 상태가 되면 상기 돌출편과 결합부재가 상호 끼움 결합되어 가동프레임부가 고정프레임부 상에 위치가 구속되며,
상기 고정프레임부와 가동프레임부 사이에서 고정프레임부와 가동프레임부를 자력으로 결합시키는 보조결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멤버는 ''형태의 횡단면을 가지며, 가동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연장판 및 가동프레임부의 배면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일정 공간에는 디스플레이기기의 전선이 수용되며,
상기 보강멤버의 좌, 우 양 측단은 상기 지지판에서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어 상기 일정 공간 내로 전선을 수용시킬 때 전선이 일정 공간 내로 배선될 수 있도록 보강멤버 상에 입구와 출구를 각각 부여하며,
상기 보조결속부는 커버부재의 외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에 장착되는 제1 자석원판으로 구성되는 제1 자석부재; 및
상기 지지브라켓의 외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에 장착되되, 상기 제1 자석원판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1 자석원판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2 자석원판으로 구성되는 제2 자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기기의 접이식 거치대.In the folding cradle of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for arranging a display device on a raised portion formed on a ceiling inside a vehicle,
a fixed frame part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ior ceiling ridge of the vehicle;
a movable frame part supporting the display device in the front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positioning holes formed therethrough;
a hinge part connecting the fixed frame part and the movable frame part so that the movable frame part rotates relative to the fixed frame part; and
One end is install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the other end is installed in the movable frame portion damper portion for buffering an external shock; includes,
The hinge part,
a reinforcing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part having a second positioning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first positioning holes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vable frame part; and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the other side of the hinge member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ixed frame portion; includes,
The movable frame part is movably installed on the reinforcing member along the plurality of first positioning holes so tha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part faces the side of the indoor ceiling ridge of the vehicl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during relative rotation of the movable frame part. , the rotation reference point of the movable frame part is adjusted,
If the position of the movable frame part is adjusted so that the rotation reference point is biased toward the center or the bottom of the movable frame part, when the movable frame part is rotated, a part of the movable frame part is directed to the side of the raised part, and the display devi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aised part,
The reinforcing member is
a movable plate to which one side of the hinge member is attached;
a pair of extension plates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ends of the movable plate; and
A pair of flanges extending vertically bent from each end of the pair of extension plate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part, and through which the second positioning hole is formed; includes,
The reinforcing member separates the movable frame from the fixed frame by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late,
The movable frame part,
a support member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extending vertically bent toward the rear surface of a pair of support plates at both left and right side ends; and
and a pair of support brackets mounted on each of the pair of support plates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display device, and through which bracket holes are formed;
The fixed frame portion,
a plate-shaped fix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ior ceiling ridge of the vehicle; and
and a cover member extending vertically bent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fixing member to cover a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support brackets and having a fix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racket hole formed therethrough; and
A fixing bolt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hole and the fixing ho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o constrain the position of the movable frame,
Each of the pair of flanges is segmented into a plurality,
A protruding piece is formed on the fixed frame portion, and a coupling member for binding to the protruding piece is formed on the movable frame portion. The position is constrained on
I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binding portion for magnetically coupling the fixed frame portion and the movable frame portion between the fixed frame portion and the movable frame portion,
The reinforcing member is ' Having a cross-section in the form of ',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movable plate, a pair of extension plates facing each othe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part, and the electric wire of the display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Both the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reinforcing member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late by a certain distance to provide an inlet and an outlet respectively on the reinforcing member so that the wire can be routed into the predetermined space when receiving the wire into the predetermined space,
The auxiliary binding unit includes: a first magnet member comprising a first bracket detachably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member and a first magnet disk mounted to the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detachably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racket and a second magnet disc mounted on the second bracket, facing the first magnet disc and selectively contacting the first magnet disc; 2 Magnet member; Folding cradle for a vehic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2585A KR102301674B1 (en) | 2020-01-08 | 2020-01-08 |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2585A KR102301674B1 (en) | 2020-01-08 | 2020-01-08 |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9428A KR20210089428A (en) | 2021-07-16 |
KR102301674B1 true KR102301674B1 (en) | 2021-09-10 |
Family
ID=7715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2585A KR102301674B1 (en) | 2020-01-08 | 2020-01-08 |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1674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9365Y1 (en) * | 2003-09-09 | 2004-01-31 | 주식회사 원음 | A supporter for a car monito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01085A (en) * | 1996-05-20 | 1997-11-25 | Tanaka Tec:Kk | Car navigation system attachment |
JP3131185U (en) * | 2007-01-12 | 2007-04-26 | 株式会社パワーサポート | In-vehicle holders such as portable video players |
KR101291948B1 (en) | 2012-09-28 | 2013-07-31 | 김충연 | Manual folding type apparatus of display device for bus |
KR101555748B1 (en) * | 2013-07-24 | 2015-09-25 | 김충연 |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panel |
-
2020
- 2020-01-08 KR KR1020200002585A patent/KR10230167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9365Y1 (en) * | 2003-09-09 | 2004-01-31 | 주식회사 원음 | A supporter for a car monitor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03131185 U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9428A (en) | 2021-07-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74824C (en) | Rear seat entertainment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n active headrest | |
US6669285B1 (en) | Headrest mounted video display | |
US20090235513A1 (en) | Headrest-mounted monitor | |
JP5225668B2 (en) | Vehicle screen device | |
US7661822B2 (en) | Projection apparatus for vehicle | |
AU2012227300A1 (en) | Support device of an adjustable vehicular display integrated in the dashboard of a vehicle, in particular an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 | |
KR101291948B1 (en) | Manual folding type apparatus of display device for bus | |
KR102301674B1 (en) | Folding type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 |
CN207860090U (en) | Electronic equipment mounting device, vehicle-mounted projecting device and in-vehicle multi-media system | |
US20080100117A1 (en) | Car seat head rest with built-in screen | |
US20040164210A1 (en) | Vehicle mounting system for a video display unit | |
KR101446030B1 (en) | Installation bracket structure of monitor for back seat passengers of vehicle | |
CA2505344A1 (en) | Portable and car-borne dual-purpose lcd screen holding device | |
CN216269014U (en) | Vehicle-mounted projection system and automobile | |
KR200495975Y1 (en) | Remote control type display holding device for vehicle | |
CN114248696B (en) | Vehicle-mounted display screen and vehicle with same | |
JP2011105034A (en) | On-vehicle support device for thin type image display monitor | |
KR101411916B1 (en) | Attachable monitor for automobiles | |
CN214689300U (en) | Vehicle-mounted display screen and vehicle with same | |
CN219821340U (en) | Display screen for vehicle, display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 |
CN209870270U (en) | Display screen for passenger vehicle | |
CN114333587B (en) | Display mechanism and cabin | |
JPH0336141Y2 (en) | ||
CN217003867U (en) | Angle-adjustable vehicle-mounted display screen | |
CN109835267A (en) | Vehicle-mounted projecting device and in-vehicle multi-media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