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465B1 -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컨텐츠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컨텐츠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465B1
KR102301465B1 KR1020190128829A KR20190128829A KR102301465B1 KR 102301465 B1 KR102301465 B1 KR 102301465B1 KR 1020190128829 A KR1020190128829 A KR 1020190128829A KR 20190128829 A KR20190128829 A KR 20190128829A KR 102301465 B1 KR102301465 B1 KR 102301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marine environment
providing server
cont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602A (ko
Inventor
이성찬
권태광
박석출
Original Assignee
(주)네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모 filed Critical (주)네모
Priority to KR1020190128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4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POI를 기반으로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단말이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와 해양콘텐츠 제공서버와, 전자해도 제공서버를 통해 항로생성 또는 관심지점 생성시 POI를 기반으로 현 위치의 해양환경정보를 자동 저장하여 현재와 과거 혹은 미래의 해양환경정보를 비교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해양환경에 맞춰 낚시, 서핑, 요트, 스킨스쿠버, 갯벌체험, 어업 등 해양활동을 즐기면서 우수한 해양활동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이를 타인과 공유하고, 관심지점별로 수집된 해양환경정보와 AI기반의 예측정보를 비교분석하여 가장 유사한 해양환경을 가지는 날짜나 포인트를 추천 안내하여 주는 한편 이동 또는 포인트 확인을 위한 전자해도를 스트리밍 서비스를 받을 때에 줌레벨에 맞춰 가변된 타일이미지를 서비스 받아 이미지 손상 없는 고해상도의 맵을 서비스할 수 있는 지능형 해양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컨텐츠 서비스 방법.{the intelligent marine contents service method in which the marine environment information is reflected.}
본 발명은 POI를 기반으로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해양활동(낚시, 서핑, 요트, 스킨스쿠버, 갯벌체험, 어업 등등) 진행시 관심지점(POI)을 기반으로 해당 위치의 해양환경정보를 자동 저장하여 현재와 과거 혹은 미래의 해양환경정보를 비교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해양환경에 맞춰 안전하게 해양활동을 즐기면서 우수한 해양활동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이를 타인과 공유하고,
관심지점별로 수집된 해양환경정보와 AI기반의 예측정보를 비교분석하여 가장 유사한 해양환경을 가지는 날짜나 장소를 추천 안내하여 주는 한편,
이동 또는 장소확인을 위한 전자해도를 스트리밍 서비스를 받을 때에 관심지점별로 줌레벨(Zoom Level)에 맞춰 가변된 타일이미지를 서비스 받아 이미지 손상 없는 고해상도의 맵을 서비스할 수 있는 지능형 해양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객선 및 중소형 선박의 발달로 도서간의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해양 레저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특히 최근 통계에 따르면 바다낚시 인구가 300만 이상으로 급증하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급증하는 해양레저인구와 관심에 비해 관련시설 및 서비스는 그대로여서 사용자의 니즈(Needs)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특히 바다는 육지와 달리 수심, 날씨, 수온, 풍향, 풍속, 파고, 파향, 조위, 조류 등 다양한 해양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타인의 정보를 활용하더라도 시간 및 장소에 따라 전혀 다른 해양활동 결과가 나타난다.
더욱이 어류는 암초나 어초 혹은 장애물 등이 많은 지역에 살고, 이러한 항로나 장소를 이용할 때에는 각각의 선박들이 전자지도를 사용하나, (등록특허공보 제10-1950356호 참조)
모바일기기에서 이용하는 전자지도는 이미지 타일링 방식으로 구성되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받는 것이기 때문에 관심지점(예, 포인트, 암초지역, 등등)을 확대할 때 이미지 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사용자의 안전 관계상 그 확대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바다는 구축환경이 열악하여 육지와 같이 촘촘한 이동통신망/인터넷망을 구축할 수가 없기 때문에,
대축적지도(1/5000~1/1000)로 모든 영역을 타일링(Tiling)한 이미지를 제공할 경우에는 데이터 용량이 수십 배로 급증하여 시스템 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서비스하는데 곤란한 점이 많다.
KR 10-1950356 B1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급증하는 해양활동인구와 관심에 발 맞춰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해양활동 이용자들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해양환경에 맞춰 해양활동을 즐기면서 안전하고 우수한 해양활동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이를 타인과 공유할 수 있고,
AI기반의 예측정보를 통해 활동하기 좋은 날짜나 장소를 안내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심지점(예, 포인트, 암초지역 등등) 확인시 이미지 손상이 없으면서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하는 서비스 방법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로생성 또는 관심지점 생성시, POI를 기반으로 물때, 수심, 날씨, 수온, 풍향, 풍속, 파고, 파향, 조위, 조류 등의 해양환경정보를 자동 저장하여, 현재/과거/미래의 해양환경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한편 그 차이를 확인하거나 안내 받을 수 있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해양활동 이용자들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해양환경에 맞춰 해양활동을 즐기면서 안전하고 우수한 해양활동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황정보 등 관심지역의 해양활동 결과를 촬영할 때에 자동으로 현재의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의 해양환경정보가 자동 저장되어, 촬영된 사진을 SNS 또는 블로그, 카페 등을 통해 공유할 때에 해양환경정보도 같이 공유되게 구성하여,
이를 조회하거나 구독하는 사용자들도 공유된 해양환경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관심지점별로 수집된 과거의 해양환경정보와 AI기반의 예측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가장 유사한 해양환경을 가지는 날짜나 장소를 예측하고 이를 추천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해도를 스트리밍 서비스할 때에 관심지역을 줌레벨에 맞춰 가변적으로 타일이미지를 서비스하여 확대시 이미지 손상 없는 고해상도의 맴 을 유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관심지역은 모든 해양 지역을 대축적지도로 이미지 타일링(Tiling)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들의 이용 빈도가 높은 관심지역부터 부분적으로 벡터맵 기술로 이미지 손실 없이 대축적(1/1000 ~ 1/5000)으로 이미지 타일링(Tiling)하고, 특히 이용 빈도는 사용자들이 등록 또는 공유한 정보를 토대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이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와 해양콘텐츠 제공서버를 통해 사용자들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해양환경에 맞춰 해양활동을 즐기면서 안전하고 우수한 해양활동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본 발명은 공유URL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생성한 콘텐츠를 피공유인들과 공유할 수 있게 되면서 피공유인도 콘텐츠를 통해 간접적으로 해양활동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심지점별로 수집된 해양환경정보와 AI기반의 예측정보를 비교분석하여 가장 유사한 해양환경을 가지는 날짜나 장소를 추천 안내받아 용이하게 해양활동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해도를 스트리밍 서비스할 때에 이용 빈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타일이미지를 서비스하여, 데이터용량의 증가를 최소로 하면서 관심지점 확대시 이미지 손상 없는 맴을 서비스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해양환경정보를 서비스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블록도 및 순서도와 화면 구성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해양환경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블록도 및 순서도와 화면 구성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가변적인 맵 타일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블록도 및 순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낚시하기 좋은 추천날짜 또는 관심지역을 안내 받는 과정을 보여주는 블록도 및 화면 구성도.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POI를 기반으로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블록도 및 순서도와 화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해양환경정보를 서비스하는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20)와,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해양콘텐츠 제공서버(30)와, 관심지점 생성시 POI를 기반으로 주변의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해양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이를 서비스 받는 사용자단말(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후 관심지점을 생성할 때 위치정보와 일시정보를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는 전송받은 위치정보와 일시정보를 토대로 현 지역의 물때, 수심, 날씨, 수온, 풍향, 풍속, 파고, 파향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해양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대응하는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전송받은 해양환경정보를 토대로 해양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해양콘텐츠 제공서버로 전송하여 각 콘텐츠별로 저장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해양콘텐츠 제공서버는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각각의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콘텐츠를 등록하는 과정을 완료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단말이 해양콘텐츠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콘텐츠 ID를 토대로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콘텐츠를 전송받아 화면상에 표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각의 사용자단말이 등록된 콘텐츠의 해양환경정보와 현재의 해양환경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해양환경에 맞춰 각각의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보고 해양환경정보를 획득하면서 안전하고 우수한 해양활동 결과를 얻을 수 있게 서비스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단말은 위치정보 및 일시정보를 기반으로 과거의 해양환경정보와 현재의 해양환경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거나 안내 받을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사용자단말이 해양활동 또는 해양활동 결과를 사진 촬영하고 이를 등록할 때에 현재의 위치와 일시를 기반으로 해양환경정보를 확보하여 자동 저장하면서 해양콘텐츠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3a와 도 3b는 각각 도 1 또는 도 2를 통해 사용자단말이 콘텐츠를 생성할 때와,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콘텐츠가 표출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을 때,
화면상에는 타일링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현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맵(11)과, 상기 맵(이하, 맵 또는 전자지도라고 함)을 통해 표출되는 현재의 위치를 관심지역으로 설정 등록하기 위한 관심지점 등록버튼(12)을 형성하여,
상기 관심지점 등록버튼(12)이 눌려졌을 때 사용자단말이 위치한 현 위치의 위치정보와 일시정보를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20)로부터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해양환경정보를 전송받아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등록버튼은 어플리케이션 구성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낚시, 서핑 등 해양활동 유형 별로 등록버튼이 제공되고, 특히 콘텐츠는 위치, 일시, 해양환경정보가 필수입력으로 자동 등록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정보란(13)에 제목 및 해양활동 장비, 해양활동 결과, 사진 등의 부가정보가 추가 입력되면서 혹은 편집되면서 콘텐츠가 구체적으로 완성되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보란(13) 하단에는 공개/비공개 여부를 설정 등록할 수 있는 선택버튼(14)과, 촬영된 사진을 등록하기 위한 사진 등록부(15)를 형성하여
사용자단말이 해양활동 또는 해양활동 결과를 촬영하기만 하더라도 현재의 위치와 일시를 기반으로 해양환경정보를 확보한 콘텐츠가 자동 생성되어 공개/비공개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단말(10)은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콘텐츠를 해양콘텐츠 제공서버(30)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단말(10)이 상기 해양콘텐츠 제공서버(3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전송받았을 때,
사용자단말(10)의 화면상에는 콘텐츠가 생성된 날짜(16)와 함께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날씨, 수온, 파고, 풍속, 물때 등을 각각 확인할 수 있는 항목(17)들과, 일정한 시간(예, 3시간) 간격으로 각각의 항목에 숫자 혹은 아이콘 혹은 그래프가 뷰잉(Veiwing)되는 정보부(18)로 구성된 해양환경정보창(19)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들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해양환경에 맞춰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해양활동을 즐기면서 안전하고 우수한 해양활동 결과를 얻을 수 있게 서비스하는 것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콘텐츠를 타인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는 블록도 및 순서도와 화면구성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10)과, 해양콘텐츠 제공서버(30)와, 사용자단말이 생성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공유단말기(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10)이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해양콘텐츠 제공서버가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게 구축한 상태에서,
사용자단말(10)은 콘텐츠 ID를 토대로 해양콘텐츠 제공서버(30)로 해당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URL을 요청하고,
상기 해양콘텐츠 제공서버(30)는 콘텐츠 ID를 확인하고, 대응하는 사용자단말(10)로 해당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공유URL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10)은 공유URL을 SNS, 메시지 등을 통해 자신의 콘텐츠를 공유할 사람들의 공유단말(40)로 전송하여,
각각의 공유단말(40)이 전송받은 공유URL을 통해 해양콘텐츠 제공서버(30)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콘텐츠를 제공받아 화면상에 표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뿐만 아니라 피 공유인 들도 같이 해양환경정보를 보고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해양환경에 맞춰 직/간접적으로 해양활동을 즐기면서 안전하고 우수한 해양활동 결과를 가질 수 있게 지원 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 6은 사용자단말이 해양콘텐츠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이 생성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공유URL을 전송받았을 때, 이를 카카오 톡이나, 트위터 혹은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SNS나 메시지를 통해 피공유인에게 전송하여, 각각의 피공유인들이 공유URL(41)를 통해 해양콘텐츠 제공서버(30)에 접속하여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콘텐츠를 확인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때의 각 공유단말(40)의 화면상에는 콘텐츠가 생성된 날짜(43)와 함께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날씨, 수온, 파고, 풍속, 물때 등을 각각 확인할 수 있는 항목(44)들과, 일정한 시간(예, 3시간) 간격으로 각각의 항목에 숫자 혹은 아이콘 혹은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부(45)로 구성된 공유정보창(42)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하여,
피공유인들이 사용자를 중심으로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해양환경에 맞춰 간접적으로 해양활동을 즐기면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가변적인 맵 타일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블록도 및 순서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평상시 사용자단말(10)과 현재의 위치를 확인시켜 주기 위한 전자해도 제공서버(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해도 제공서버(50)는 평상시 사용자단말(10)로 균일한 타일 이미지를 전송하다가, 특정지역(예, 관심지역, 암초지역)을 확대할 때 줌레벨(Zoom Level)에 맞춰 가변된 타일 이미지를 서비스하여 고해상도의 맵을 서비스한다. 이때 가변된 타일 이미지는 벡터맵으로 구현된 것을 대축적(1/1000~1/5000)으로 확대한 후 이미지 타일링한 것을 서비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대축적으로 타일링되는 특정지역은 각각의 사용자들에 의해 콘텐츠 생성시 등록된 관심지점으로,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용 빈도가 높은 관심지점부터 선택적이면서 부분적으로 타일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용 빈도는 관심지점별로 등록된 횟수 혹은 공유된 횟수를 수집 분석하여 자동 생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 전자해도 제공서버(50)가 균일한 타일 이미지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다가,
상기 사용자단말(10)이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전자해도의 특정영역(예, 관심지점, 포인트, 암초지역 등등)이 확대될 때, 위치정보 및 줌레벨을 전자해도 제공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해도 제공서버(50)는 해당 위치의 줌레벨 및 지원여부를 확인한 후 줌레벨에 맞춰 가변된 타일 이미지를 서비스하여,
상기 사용자단말(10)이 이미지 손상 없이 확대되는 고해상도의 전자해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10)은 암초지역이나 어초지역 진입시 자동으로 대축적지도를 요청하고, 고해상도의 전자해도를 표출하여 줄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전자해도는 자동으로 확대되어 암초지역이나 어초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암초, 어초지역을 이탈할 때 자동으로 평상시 줌 레벨에 맞게 복귀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낚시, 서핑, 요트, 스킨스쿠버, 갯벌체험, 어업 등 해양활동하기 좋은 추천날짜 또는 관심지역을 안내 받는 과정을 보여주는 블록도 및 화면 구성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10)과, 해양콘텐츠 제공서버(30)와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20)는 빅 데이터와 AI기반의 기상모듈과 해양모듈을 통해 변수값이 반영된 해양환경 예측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해양콘텐츠 제공서버(30)가 관심지점별로 수집된 해양환경정보와 AI기반의 해양환경 예측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가장 유사한 해양환경을 가지는 날짜나 관심지점을 추천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단말(10)이 해양콘텐츠 제공서버(30)로 관심지점 등록 및 알림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상기 해양콘텐츠 제공서버(30)는 전송받은 관심지점의 위치정보와 일시정보를 토대로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20)에 해양환경 예측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상기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20)는 해양환경정보와 기상정보를 토대로 변수값이 반영된 AI기반의 해양환경 예측정보를 생성하는 한편, 이를 해양콘텐츠 제공서버(30)로 전송하고,
상기 해양콘텐츠 제공서버(30)는 관심지점별로 수집된 해양환경정보와 AI 기반의 해양환경 예측정보를 비교분석하여 가장 유사한 해양환경을 가지는 날짜 또는 관심지점을 추출한 후,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추천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10)로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10)은 해양콘텐츠 제공서버를 통해 전송받은 추천메시지(31)를 통해 가장 유사한 해양환경을 가지는 관심지점이나 가장 유사한 해양환경을 가지는 날짜를 추천 안내받아,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해양활동을 즐기면서 안전하고 우수한 해양활동 결과를 가지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 및 균등이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사용자단말 11:맵
12:관심지점 등록버튼 13:정보란
14:선택버튼 15:사진 등록부
16:날짜 17:항목
18:정보부 19:해양환경정보창
20: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 30:해양컨텐츠 제공서버
31:추천메시지 40:공유단말
41:공유URL 42:공유정보창
50:전자해도 제공서버

Claims (9)

  1. 해양환경정보를 서비스하는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20)와,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해양콘텐츠 제공서버(30)와, 관심지점 생성시 POI를 기반으로 주변의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해양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단말(1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단말이 관심지점을 생성할 때 위치정보와 일시정보를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는 전송받은 위치정보와 일시정보를 토대로 주변지역의 날씨, 수온, 풍속, 파고, 물때를 확인할 수 있는 해양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대응하는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은 위치정보와 일시정보를 토대로 전송받은 해양환경정보과 상기 해양환경정보를 기반으로 해양활동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콘텐츠를 지정된 해양콘텐츠 제공서버로 전송하여 각의 콘텐츠별로 저장토록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해양콘텐츠 제공서버는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각각의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와,
    사용자단말은 해양콘텐츠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콘텐츠 ID를 토대로 각각의 위치정보와 일시정보를 기반으로 한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콘텐츠를 전송받는 단계 및 이를 화면상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각의 사용자단말이 해양콘텐츠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등록된 콘텐츠의 해양활동 결과와 함께 해양환경정보를, 현재의 해양환경정보와 비교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여,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해양환경에 맞춰 각각의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보고 우수한 해양활동 결과를 얻을 수 있게 서비스하는 지능형 해양콘텐츠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이 해양콘텐츠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위치정보와 일시정보를 토대로 주변지역의 날씨, 수온, 풍속, 파고, 물때를 확인할 수 있는 해양환경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해양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URL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해양콘텐츠 제공서버는 콘텐츠 ID를 확인하고, 대응하는 사용자단말로 해당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공유URL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이 전송받은 공유URL을 SNS 또는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콘텐츠를 공유할 피공유인의 공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각각의 공유단말이 공유URL을 통해 해양콘텐츠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위치정보와 일시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콘텐츠를 전송받는 단계 및, 이를 화면상에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콘텐츠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전자해도 제공서버로부터 균일한 타일 이미지를 전송받아 전자해도 상에 현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은 전자해도의 특정지역이 확대될 때 해당 지역의 위치정보 및 줌레벨을 전자해도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해도 제공서버는 해당 지역의 줌레벨 및 지원여부를 확인한 후, 지원시에는 줌레벨에 맞춰 가변된 타일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은 줌레벨에 맞춰 가변된 타일 이미지를 전송받아 이미지 손상 없는 고해상도의 전자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콘텐츠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해도 제공서버는 각각의 관심지점별로 등록 혹은 공유된 이용 빈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해도 제공서버는 이용 빈도가 높은 관심지점부터 벡터맵으로 이미지 손상 없이 대축적으로 이미지 타일링된 가변된 이미지 타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콘텐츠 서비스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해양콘텐츠 제공서버로 관심지점 등록 및 알람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해양콘텐츠 제공서버는 관심지점 등록시 전송된 위치정보와 일시정보를 기반으로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로 해양환경 예측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는 해양환경정보와 기상정보를 토대로 AI기반의 해양환경 예측정보를 생성하는 한편, 이를 해양콘텐츠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해양콘텐츠 제공서버는 관심지점별로 수집된 해양환경정보와 AI 기반의 해양환경 예측정보를 비교분석하여, 가장 유사한 해양환경을 가지는 날짜나 가장 유사한 해양환경을 가지는 장소를 추출한 후, 이를 안내하는 추천 메시지를 생성하고 각각의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단말은 전송받은 추천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콘텐츠 서비스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유단말 또는 사용자단말은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에 접속할 때,
    상기 해양환경정보 제공서버는 관심지점의 해양환경정보와 기상정보를 토대로 AI기반의 해양환경 예측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각각의 공유단말 또는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공유단말 또는 사용자단말은 등록된 관심지점의 해양환경정보와 AI 기반의 해양환경 예측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거나 안내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콘텐츠 서비스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암초지역이나 어초지역 진입시 자동으로 가변된 타일 이미지를 요청하고 고해상도의 전자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은 암초지역 혹은 어초지역을 이탈할 때 자동으로 평상시 줌 레벨에 맞는 균일한 타일 이미지를 요청하고 전자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콘텐츠 서비스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90128829A 2019-10-17 2019-10-17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컨텐츠 서비스 방법. KR102301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829A KR102301465B1 (ko) 2019-10-17 2019-10-17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컨텐츠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829A KR102301465B1 (ko) 2019-10-17 2019-10-17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컨텐츠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602A KR20210045602A (ko) 2021-04-27
KR102301465B1 true KR102301465B1 (ko) 2021-09-14

Family

ID=7572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829A KR102301465B1 (ko) 2019-10-17 2019-10-17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컨텐츠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956B1 (ko) * 2021-09-30 2022-04-08 텔레픽스 주식회사 사용자의 관심 해상 영역에 대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294B1 (ko) * 2015-06-09 2017-08-22 (주)윕스 해상풍력단지 설비를 이용한 낚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낚시정보 제공 방법
KR101950356B1 (ko) * 2016-12-27 2019-02-20 (주)네모 스마트단말을 기반으로 한 전자해도 스트리밍 캐싱 서비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715A (ko) * 2015-03-31 2016-10-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의 해양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
KR20160144269A (ko) * 2015-06-08 2016-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전자 지도 표시 방법
KR20170049739A (ko) * 2015-10-28 2017-05-11 (주)태원이노베이션 전자 카탈로그 제작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294B1 (ko) * 2015-06-09 2017-08-22 (주)윕스 해상풍력단지 설비를 이용한 낚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낚시정보 제공 방법
KR101950356B1 (ko) * 2016-12-27 2019-02-20 (주)네모 스마트단말을 기반으로 한 전자해도 스트리밍 캐싱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602A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9896B2 (en) Live branded dynamic mapping
US9749829B2 (en) Method to provide ad hoc and password protected digital and voice networks
Van Setten et al. Context-aware recommendations in the mobile tourist application COMPASS
JP2022500799A (ja) 情報推薦方法及び情報推薦装置、端末、サーバ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2243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communication bandwidth utilization when monitoring location information
US9351118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ly connecting people
US9645221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2637110A (zh) 手持无线设备中的智能图形界面
US11140120B2 (en) Space time region based communications
TR201909349T4 (tr) Ampirik uzman belirleme ve soru yönlendirme sistemi ve yöntemi.
KR20150037725A (ko) 경험 공유 시스템 및 방법
WO2011100307A1 (en) Geo-coded comments in a messaging service
CN104182168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14553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globally communicating and evaluating, digital still and video images of sports and event spectators, including augmented reality images from entertainment and venues
US20160004723A1 (en) Providing Geographically Relevant Information to Users
US20190289452A1 (en) Method to provide ad hoc and password protected digital and voice networks
KR101083245B1 (ko) 지역정보 추출방법, 지역정보 출력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01465B1 (ko) 해양환경정보가 반영된 지능형 해양컨텐츠 서비스 방법.
JP2013128221A (ja) プログラム、情報端末及び情報システム
US10372752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globally communicating and evaluating, digital still and video images of sports and event spectators, including augmented reality images from entertainment and gathering venues
Ahmad et al. Context-aware services based on spatio-temporal zoning and crowdsourcing
US20150177935A1 (en) Digital map based 3D-character virtual interaction system for social networking
JP2010217976A (ja) 情報配信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KR102302647B1 (ko) 실시간 온라인 여행 가이드 공유경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6883078A (zh) 景区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