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167B1 - 바디플라이 끝단 구조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바디플라이 끝단 구조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167B1
KR102301167B1 KR1020190151684A KR20190151684A KR102301167B1 KR 102301167 B1 KR102301167 B1 KR 102301167B1 KR 1020190151684 A KR1020190151684 A KR 1020190151684A KR 20190151684 A KR20190151684 A KR 20190151684A KR 102301167 B1 KR102301167 B1 KR 102301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ly
apax
pneumatic tire
reinforcing mater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141A (ko
Inventor
조성욱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1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1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03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bead filler or ape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2015/0617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cushion rubber other than the chafer or clinch rubber
    • B60C2015/0621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cushion rubber other than the chafer or clinch rubber adjacent to the carcass turnup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2015/0617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cushion rubber other than the chafer or clinch rubber
    • B60C2015/0625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cushion rubber other than the chafer or clinch rubber provided at the terminal edge portion of a carcass or reinforc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플라이 끝단 구조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노면에 접촉되는 트레드부; 휠의 림에 계합될 수 있게 제공되는 비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비드부를 연결하는 사이드 월부; 상기 트레드부와 사이드 월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바디플라이; 상기 비드부의 상측에 마련되는 에이팩스; 및 상기 바디플라이의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에이팩스는, 상기 바디플라이의 끝단을 감싸도록 턴다운되는 턴다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입 타이어의 바디플라이 끝단에 지그재그 형상의 보강재에 의해 전단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바디플라이 끝단 구조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HAVING BODY PLY END STRUCTURE}
본 발명은 바디플라이 끝단 구조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이팩스(apex) 끝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파레이션(separation)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바디플라이 끝단 구조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자동차에서 노면과 직접 접촉을 유지하는 유일한 부분으로, 자동차 전체의 하중을 받고, 지면으로부터 모든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 때문에 타이어는 높은 내구성과 안정성이 요구되는 중요한 부품이다.
타이어는 고속 주행 중에 지면과 마찰로 인해 반복적인 굴신운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굴신운동으로 사이드 월(sidewall)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변형 에너지의 일부는 히스테리시스 손실(hysteresis loss)인 열에너지로 전환되고, 이러한 열에너지는 타이어 회전을 방해하는 구름저항(rolling resistance)을 야기 시킨다. 또한, 타이어 비드(bead)에 반제품 끝단이 밀집되는데, 이 부분에 타이어의 굴신운동으로 인해 발생된 응력, 열에너지 및 타이어 내압이 가해진다. 그에 따라 자동차의 주행 중 세파레이션(sepa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바디플라이(body ply)를 사이드 월에 비해 굴신운동이 미비한 트레드(tread) 솔더까지 턴업하여 세파레이션이 발생하는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폭이 증가하기 때문에 중량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자동차의 연비 경쟁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타이어 비드(bead)에 세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기존 타이어에 대비하여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노면에 접촉되는 트레드부; 휠의 림에 계합될 수 있게 제공되는 비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비드부를 연결하는 사이드 월부; 상기 트레드부와 사이드 월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바디플라이; 상기 비드부의 상측에 마련되는 에이팩스; 및 상기 바디플라이의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에이팩스는, 상기 바디플라이의 끝단을 감싸도록 턴다운되는 턴다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입 타이어의 바디플라이 끝단에 지그재그 형상의 보강재에 의해 전단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바디플라이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어 타이어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세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취선 X-X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다운 에이팩스에 보강재를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다운 에이팩스에 적용된 보강재에 의해 응력이 분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팩스 반제품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보강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팩스를 적용하여 타이어를 성형하는 일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팩스를 적용하여 턴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팩스를 부착시키기 위한 스티칭(stitching) 작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팩스를 성형 설비를 사용하여 턴다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팩스의 내부의 잔존 공기를 제거하는 스티칭 작업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아래에서와 같이, 실시 가능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기본적인 구조는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와 동일하다. 다만, 바디 플라이 및 에이팩스의 프로파일에 있어서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와 차이를 보이는 바,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취선 X-X를 취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2의 III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는, 공기압을 제공하기 위한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 수용부(10), 노면에 접하는 트레드부(20), 트레드부(20)의 거동을 최소화하여 내마모성을 높이고 타이어 중앙부의 급격한 변형을 막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벨트부(30), 트레드부(20)를 중심으로 타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제공되고 타이어 측면을 보호하는 사이드 월부(40) 및 트레드부(20)의 내측에 구비되어 공기입 타이어(1)의 형태를 유지하는 바디플라이(body ply, 50), 공기 수용부(10)를 형성하기 위한 이너라이너(60), 공기입 타이어(1)를 림에 고정하기 위한 강성을 제공하는 비드부(70)를 포함한다.
바디플라이(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트레드부(20)의 내측으로부터 타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비드부(7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플라이(50)는 비드부(70)의 안쪽으로부터 비드부(70)의 하측을 거쳐 턴업되어 비드부(70)의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비드부(70)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코드 및 코어 등을 포함한다. 비드부(70)는 공기입 타이어(1)를 림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비드부(70)의 주위에 바디플라이(50), 이너라이너(60) 등의 반제품 끝단이 밀집된다.
사이드 월부(40)는 트레드부(20)와 비드부(70)를 접속한다. 사이드 월부(40)는 트레드부(20)가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탄성 변형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공기입 타이어(1)의 굴신운동에 대한 저항성이나 내구성,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1)의 바디플라이(50)는 제1 바디플라이(51) 및 제2 바디플라이(52)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1)는 비드부(70)의 상측에 마련되는 에이팩스(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플라이(52)는 트레드부(20)의 내측으로부터 타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비드부(70)를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비드부(70)의 안쪽으로부터 비드부(70)의 하측을 거쳐 턴업되어 비드부(70)의 외측까지 연장된다.
제1 바디플라이(51)는 제2 바디플라이(52)를 덮고 트레드부(20)의 내측으로부터 공기입 타이어(1)의 폭 방향을 따라 비드부(70)를 향해 연장되며, 비드부(70)의 안쪽으로부터 비드부(70)의 하측을 거쳐 턴업되어 비드부(70)의 외측까지 연장된다. 이때, 제1 바디플라이(51)는 제2 바디플라이(52)의 끝단(521)을 지나 제2 바디플라이(52)보다 더 높게 턴업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플라이(51)의 끝단(511)은 제2 바디플라이(52)의 끝단(521)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플라이(51)의 끝단(511)의 위치와 제2 바디플라이(52)의 끝단(521) 위치 사이의 간격은 약 15mm 내지 25mm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간격이 15mm이하로 설정되면 제1 바디플라이(51)와 제2 바디플라이(52)의 턴업부가 가까워져 제1 바디플라이(51)의 끝단(511) 및 제2 바디플라이(52)의 끝단(521)에서 발생하는 응력과 열에너지가 집중되어 세파레이션(separ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간격이 25mm 이상으로 설정되면 제1 바디플라이(51)의 끝단(511)의 위치가 에이팩스(80)보다 높게 설치되어 에이팩스(80)를 턴다운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다운 에이팩스에 보강재를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디플라이(51)의 끝단(511)에 보강재(90)를 추가로 부착할 수 있다. 보강재(90)는 제1 바디플라이(51)의 끝단(511)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재(90)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됨에 따라 그 단면이 중앙의 형상이 양측 형상보다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강재(90)는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이 제1 바디플라이(51)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재(90)는 제1 바디플라이(51)의 끝단(511)에 배치됨에 따라 제1 바디플라이(51)의 형상도 보강재(90)의 형상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형상이 변형된 부분이 보강 부착부(512)이다. 그리고 보강재(90)의 타 측에 턴다운부(82)가 배치된다. 즉, 보강재(90)는 제1 바디플라이(51)와 턴다운부(82)의 사이에 배치되며, 보강재(90)의 형상을 따라 제1 바디플라이(51) 및 턴다운부(82)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턴다운부(82)에 보강재(90)의 형상을 따라 변형되어 보강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다운 에이팩스(80)에 적용된 보강재에 의해 응력이 분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1)의 내측으로부터 공기에 의한 내압과 공기입 타이어(1)의 굴신운동으로 인해 제1 바디플라이(51) 및 제2 바디플라이(52)를 통해 전단력이 발생하는데, 이렇게 발생된 전단력이 보강재(90)의 형상을 따라 응력이 분산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플라이(51) 및 제2 바디플라이(52)를 통해 전달되는 전단력은 본체부(81)를 거쳐 제1 바디플라이(51)의 끝단(511)으로 전달되는데, 이렇게 전달된 전단력이 보강부의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보강부의 양측 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응력이 분산되므로, 그에 따라 에이팩스(80) 끝단에서 세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팩스 반제품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보강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에이팩스(80)의 턴다운부(82)의 폭(Wt)은 0.6 < Wt/Wa <0.7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설정한다. 이는 에이팩스(80)의 끝단이 턴다운 후 비드부(70)에 위치하게 하여 림(rim) 장착 시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만약, Wt/Wa < 0.6이면, 턴다운부(82)가 에이팩스(80) 중간에 위치하여 제2 바디플라이(52)의 턴업부에 미치지 못해 제1 바디플라이(51)의 끝단(511)부에서 응력분산이 어려워 세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Wt/Wa > 0.7이면, 에이팩스(80) 턴다운부(82)의 끝단(821)이 이너부까지 말려 올라가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공기입 타이어(1)의 중량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보강부의 폭(W2)은 0.5 < W1/W2 <0.7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설정한다. 이렇게 보강부의 폭(W2)을 설정하는 것은, 에이팩스(80) 높이의 비에 따른 것이며, 제1 바디플라이(51)의 끝단(511)에 인접하게 설치하여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만약, W1/W2 < 0.5이면, 에이팩스(80)에서 발생하는 전단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하기 어려워 세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W1/W2 > 0.7이면, 에이팩스(80) 높이를 초가하기 때문에 제1 바디플라이(51) 끝단(511)에 보강재(90)를 설치할 수 없다.
그리고 제1 바디플라이(51)와 에이팩스(80)의 끝단은 10 ~ 15mm로 설정한다. 10mm 이하로 설정하는 경우, 보강재(90)는 제1 바디플라이(51)의 끝단(511)에 맞닿게 설치되기 때문에 턴업 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15m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경우, 에이팩스(80)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견디는 것이 어려워 보강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장재의 형상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양측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며, 단면 형상에서 오목한 중앙의 형상과 양측 사이는 약 45도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보강재(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중앙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오목한 형상과 양측 플레이트 형상 사이에 약 45도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팩스를 적용하여 타이어를 성형하는 일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팩스를 적용하여 턴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팩스를 부착시키기 위한 스티칭(stitching) 작업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팩스를 성형 설비를 사용하여 턴다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팩스의 내부의 잔존 공기를 제거하는 스티칭 작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에이팩스(80)를 적용하기 위한 성형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이팩스(80)를 공기입 타이어(1)에 적용하기 위해, 기존의 성형 공정에서 에이팩스(80) 턴다운 장비(100)가 추가로 적용된다. 우선,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성형 장비, 즉, 드럼(drum, 110) 및 블래더(bladder, 120) 위에 에이팩스(80)를 기존의 성형 고정과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다음으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래더(120) 턴업을 통해 인너라이너(inner liner, 60), 제1 바디플라이(51), 제2 바디플라이(52) 및 에이팩스(80)를 턴업시킨다. 이때, 턴다운 장비(100)를 사용하여 에이팩스(80)를 턴업부 시작점, 즉, 도 8b에서 본체부(81)와 턴다운부(82)의 경계지점까지만 턴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턴업된 반제품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90)를 추가로 설치한 다음, 부착 및 잔류 공기 제거를 위해 롤러(roller, 150)를 사용하여 에이팩스(80)의 턴다운 시작점까지 스티칭(stitching)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보강재(90)는 제1 바디플라이(5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강재(90)의 오목한 부분이 제1 바디플라이(5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티칭 작업 후,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다운 장비(100)를 사용하여 제1 바디플라이(51) 및 제2 바디플라이(52) 상부에 에이팩스(80)의 턴다운부(82)를 턴다운시킨다. 그에 따라 보강재(90)는 하부에 제1 바디플라이(51)가 배치되고, 상부에 본체부(81)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50)를 사용하여 스티칭 작업을 수행하면 잔존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에이팩스(80)는 일정 폭, 예컨대, 에이팩스(80)의 전체 폭(Wa)에 대한 에이팩스(80)의 턴다운부(82)의 폭(Wt)의 비(Wt/Wa)가 0.6 내지 0.7이 되도록 유지하여 에이팩스(80)의 턴다운부(82)의 끝단(821)이 비드부(70)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바디플라이(50) 위에 에이팩스(80)를 턴다운시킨 후, 가류 공정을 실행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바디플라이(51)에 보강재(90)를 설치하면, 가류 작업으로 보강재 형상에 맞게 에이팩스(80)와 제1 바디플라이(51)의 끝단(511) 형상이 변형된다. 따라서 공기입 타이어(1)의 굴신운동으로 발생하는 전단력을 보강재(90) 형상으로 변형된 제1 바디플라이(51)와 에어팩스에서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세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턴다운 에이팩스(80)도 가류 작업을 통해 사이드 월부(40)의 고무와 화학적 결합이 이루어지고, 사이드 월부(40)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표면을 통해 에이팩스(8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에이팩스(80)를 턴다운시켜 제1 바디플라이(51)의 끝단(511)을 감싸도록 하는 구성에 의해, 타이어 주행 시 발생하는 굴신운동으로 인해 제1 바디플라이(51)의 끝단(511)에 집중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에이팩스(80)를 적용하여, 비드부(70) 주위의 열에너지와 응력을 분산함으로써, 비드부(70)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입 타이어(1)의 세파레이션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최적의 바디플라이(50) 폭을 사용하여 기존 타이어 대비 감소된 중량을 확보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공기입 타이어 10: 공기 수용부
20: 트레드부 30: 벨트부
40: 사이드 월부 41: 보강홈
50: 바디플라이 51: 제1 바디플라이
511: 끝단 512: 보강 부착부
52: 제2 바디플라이 521: 끝단
60: 이너라이너 70: 비드부
80: 에이팩스 81: 본체부
82: 턴다운부 821: 끝단
90: 보강재 100: 턴다운 장비
Wa: 에이팩스 전폭 Wt: 에이팩스 턴다운부 폭
W1: 에이팩스 턴업부 폭 W2: 보강재 폭

Claims (5)

  1. 노면에 접촉되는 트레드부;
    휠의 림에 계합될 수 있게 제공되는 비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비드부를 연결하는 사이드 월부;
    상기 트레드부와 사이드 월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바디플라이;
    상기 비드부의 상측에 마련되는 에이팩스; 및
    상기 바디플라이의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에이팩스는, 상기 바디플라이의 끝단을 감싸도록 턴다운되는 턴다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요철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디플라이는, 상기 보강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요철 형상을 갖는 공기입 타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플라이는,
    제1 바디플라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바디플라이와 에이팩스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바디플라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플라이의 끝단이 상기 제2 바디플라이의 끝단보다 상기 비드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공기입 타이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1 바디플라이의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공기입 타이어.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플라이와 에이팩스의 끝단 위치 사이의 간격은 10~15mm인 공기입 타이어.
KR1020190151684A 2019-11-22 2019-11-22 바디플라이 끝단 구조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 KR102301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684A KR102301167B1 (ko) 2019-11-22 2019-11-22 바디플라이 끝단 구조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684A KR102301167B1 (ko) 2019-11-22 2019-11-22 바디플라이 끝단 구조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141A KR20210063141A (ko) 2021-06-01
KR102301167B1 true KR102301167B1 (ko) 2021-09-14

Family

ID=7637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684A KR102301167B1 (ko) 2019-11-22 2019-11-22 바디플라이 끝단 구조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1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35019A (ja) * 2017-02-22 2018-08-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81533A1 (en) * 1992-09-16 1994-03-17 Thomas Joseph Segatta Tire with apex rubber ble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35019A (ja) * 2017-02-22 2018-08-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141A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1622B2 (ja) ビード/リム境界部を改良したランフラットタイヤ
US8678055B2 (en) Pneumatic tire
US11491827B2 (en) Run-flat tire
KR101252035B1 (ko) 비공기입 휠 일체형 타이어 및 그 제조방법
US20120222790A1 (en) Pneumatic tire with two carcass plies
US6422280B1 (en) Heavy duty tire with specified bead design
KR102183211B1 (ko) 비공기압 타이어
JP6053055B2 (ja) 農業用タイヤ用の全鋼製ラジアル構成
US6719029B2 (en) Tire wall gauges to optimize runflat tire ride comfort
US7562685B2 (en) Run-flat tire
KR102301167B1 (ko) 바디플라이 끝단 구조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
JP2004026099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631265B1 (ko) 공압형 레디얼 플라이 런플랫 타이어
EP0958153A1 (en) Heavy duty tire with specified bead design
CA2294794C (en) Tire bead core and filler construction
US6712108B1 (en) Discontinuous ply for runflat tire construction
KR102125937B1 (ko) 턴다운 에이펙스를 적용한 공기입 타이어
CN114633586A (zh) 非充气轮胎
CN210363210U (zh) 免充气轮胎
KR102172793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922339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KR102420749B1 (ko) 공기입 타이어
CN216659462U (zh) 一种全钢载重矿山用防爆胎
KR102463569B1 (ko) 방열을 위한 함몰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1085084B1 (ko) 런플렛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