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090B1 - 안경을 지탱하는 템플 바 캠 - Google Patents

안경을 지탱하는 템플 바 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090B1
KR102301090B1 KR1020190154655A KR20190154655A KR102301090B1 KR 102301090 B1 KR102301090 B1 KR 102301090B1 KR 1020190154655 A KR1020190154655 A KR 1020190154655A KR 20190154655 A KR20190154655 A KR 20190154655A KR 102301090 B1 KR102301090 B1 KR 10230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e bar
cam
temple
glasses
ba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091A (ko
Inventor
리 빈센트
Original Assignee
리 빈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 빈센트 filed Critical 리 빈센트
Publication of KR20200063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03Arrangements for fitting and securing to the head in the position of u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으로 사용될 때 안경의 노즈패드(nose pad)가 착용자의 코 위에 유지되도록 안경을 지탱하는 템플 바 캠(temple bar cam)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템플 바 캠이 안경의 각 템플 바에 배치된다. 안경이 착용자의 얼굴에 위치되면, 템플 바 캠은 사용자의 관자놀이 안쪽 및 위쪽으로 회전하여 안경의아래방향 이동을 중단시키고 안경을 사용자의 코 바로 위에 유지시킨다. 템플 바 캠은 착용자의 편안함을 위해 의료용 실리콘과 같은 부드럽고 탄성이 있으며 무독성인 재료로 제작될수 있다.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착용자의 편안함은 템플 바 캠의 원추형 절두체 형상및 템플 바 캠 형상의 변형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각각의 템플 바 캠을 통해서연장하는 보어(bore)에 의해 추가로 향상된다.

Description

안경을 지지하기 위한 템플 바 캠{TEMPLE BAR CAM FOR EYEGLASSES SUPPORT}
본 출원은 2018년 11월 27일 출원되어 현재 계류 중인, 발명의 명칭 "안경을 지지하기 위한 템플 바 캠"인 미국 임시 특허 출원 번호 62/771,891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안경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안경을 제자리에 유지시키기 위한 캠(cam)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안경 착용시 코에 대한 가중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유용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력 보조 장치는 고대부터 사용되어왔다. 기원 후 2세기에 프톨레마이오스는 반사와 굴절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광학에 관한 논문을 작성했지만, 이는 더 이상 원래 형태로 남아있지 않다. 고전 지식의 상실에도 불구하고, 광학 과학의 일부 발전이 중세 유럽에서 이루어졌다. 아랍어 작문의 번역은 최신 기술을 더욱 향상시켰으며, 중세 후기 무렵의 유럽에서는 안경을 사용할 수 있었다. 약 18세기 경, 안경은 오늘날의 형태, 특히 착용자의 얼굴에서 안경을 지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귀 위에서 연장하는 템플 바를 갖는 형태를 취하기 시작했다.
현대의 안경은 재료 과학의 발전으로 경량의 프레임과 렌즈를 갖는 혜택을 얻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경은 여전히 코에 최소 수 온스(ounce)의 무게를 주며, 정기적인 안경 착용자는 때때로 안경 착용으로 인한 코의 불편감, 발적, 또는 압흔에 대해 불평한다. 따라서, 안경이 착용자의 코와 접촉하는 것과 관련된 불편 함 없이 종래의 안경의 사용을 제공하는 장치가 여전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쌍으로 사용될 때 안경의 노즈 패드가 착용자의 코 위에 유지되도록 안경을 지지하는 템플 바 캠(temple bar cam)을 개시한다. 하나의 템플 바 캠이 안경의 각 템플 바에 배치된다. 안경이 착용자의 얼굴에 위치되면, 템플 바 캠은 사용자의 관자놀이 안쪽으로 회전하여 안경의 아랫방향으로의 이동을 중단시키고 안경을 사용자의 코 바로 위에서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템플 바 캠은 착용자의 편안함을 위해 의료용 실리콘과 같은 연성, 탄성이며 무독성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템플 바 캠의 절두체 형태 및 템플 바 캠 형태의 변형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각각의 템플 바 캠을 통해 연장하는 보어에 의해서 착용자의 편안함이 추가로 향상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템플 바 캠은 동일하게 구성되고 베이스에 대향하는 상단 및 상단과 베이스를 연결하는 측면을 갖는 몸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템플 바 캠의 상단, 베이스 및 측면은 원추형 절두체 형태를 형성한다. 그러나 다수의 다른 형태가 이용가능하고 원뿔형 절두체 형태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템플 바 캠은 의료용 실리콘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며, 템플 바 캠의 정면에서 베이스까지의 길이에 걸친 2개의 보어가 더 형성된다.
제 1 보어는 템플 바 수용부이고 측면에 인접한 몸체 내에 형성된다. 템플 바 수용부는 쉽게 변형가능하며 안경의 템플 바를 수용하도록 변형된다. 그렇게 변형되면, 몸체의 변형되지 않은 부분은 변형된 템플 바 수용부에 대해 캠 로브(cam lobe)를 형성한다. 캠 로브는 안경 사용자의 관자놀이와 접촉할 때 템플 바 수용부에 대해 변형가능하게 회전한다. 이러한 변형은 안경 사용자의 관자놀이와 접촉할 때 관자놀이 및 템플 바 수용부에 의해서 템플 바 캠에 압력이 가해질 때까지 계속된다. 이러한 변형은 관자놀이 및 템플 바에 의해서 템플 바 캠에 가해진 압력이 안경의 중량을 견디고 코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충분할 때까지 계속된다.
제 2 보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원추형 보어이고 실질적으로 몸체의 중심을 따라 위치된다. 이러한 원추형 보어는 캠 로브의 변형을 보조하며 사용 중에 보어는 템플 바 캠의 길이에 걸쳐 비교적 균일한 변형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템플 바 캠의 몸체의 형태와 유사한 원추형 절두체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 자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은, 그 구조 및 동작 모두에 대해 첨부된 설명과 함께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것이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부분을 지칭한다:
도 1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된 안경과 함께 사용되는 템플 바 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는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템플 바 캠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안경의 코 패드가 사용자의 코에 놓이는 것을 방지하는 템플 바 캠을 도시하고;
도 4는 템플 바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의 템플 바 캠의 포지셔닝을 도시하고;
도 5a는 안경이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기 전에 안경의 템플 바에 부착된 템플 바 캠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안경이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었을 때 안경의 템플 바에 부착된 템플 바 캠의 단면도이고;
도 5c는 안경이 사용자의 얼굴에 완전히 자리잡은 후 안경의 템플 바에 부착된 템플 바 캠의 단면도이고;
도 6은 템플 바 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7은 템플 바 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저면도이고;
도 8은 템플 바 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우측면도이고;
도 9는 템플 바 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템플 바 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배면도이고;
도 11은 템플 바 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부 정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템플 바 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부 배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템플 바 수용부를 위한 돌출부를 가진 원통형 캠 로브를 갖는 템플 바 캠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안경의 템플 바에 부착된 도 13의 템플 바 캠을 도시하고;
도 15는 후크형 캠 로브를 가진 템플 바 캠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안경의 템플 바에 부착된 도 15의 템플 바 캠을 도시하고;
도 17은 C-형 캠 로브를 갖는 템플 바 캠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안경의 템플 바에 부착된 도 17의 템플 바 캠을 도시하고;
도 19는 L-형 단면을 갖는 템플 바 캠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안경의 템플 바에 부착된 도 19의 템플 바 캠을 도시하고;
도 21은 아포스트로피 형태를 갖는 템플 바 캠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안경의 템플 바에 부착된 도 21의 템플 바 캠을 도시하고;
도 23은 신발 형태 단면을 갖는 템플 바 캠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24는 안경의 템플 바에 부착된 도 23의 템플 바 캠을 도시하고;
도 25는 안경의 템플 바를 수용하기 위한 연속 보어를 가지고 템플 바 캠이 사용자의 얼굴에 배치될 때 변형하고 원통형 소형 카메라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 카메라 수용부로서 형성되는 제 1 변형가능한 보어가 함께 형성되는 템플 바 캠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6은 안경의 템플 바에 부착된 도 25의 템플 바 캠을 도시하고 연속 보어 내에 위치되는 삽입가능한 소형 카메라를 나타내고;
도 27은 템플 바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템플 바 수용부, 템플 바 캠이 사용자의 얼굴에 배치될 때 변형하는 제 1 변형가능한 보어, 및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시야가 증가된 원통형 소형 카메라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 카메라 수용부로서 형성된 제 2 보어를 갖는 템플 바 캠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28은 안경의 템플 바에 부착된 도 27의 템플 바 캠을 도시하고 제 2 연속 보어 내에 위치되는 삽입가능한 소형 카메라를 나타낸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템플 바 캠(100)이 사용중인 것으로 도시되었다. 안경 착용자("사용자")(102)는 안경(110)을 착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안경(110)이 템플 바 캠(100)의 동작을 나타내도록 제시되었지만, 대표적인 커패시티로 도시되었으며, 템플 바 캠은 선글라스, 3D 안경, 안전용 안경, 색 보정 안경, 스펙터클 및 그 외의 유사한 기구와 같은 다른 유사하게 구성된 안경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안경(110)은 전형적으로 사용자(102)의 코(104)에 대해 안경(110)의 중량의 상당 부분을 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102)의 코에 놓일 수 있는 코 패드(112)를 포함한다. 그러나 좌측 템플 바(114) 및 우측 템플 바(116) 각각이 부착된 템플 바 캠(100)을 가진다. 각각의 템플 바 캠(100)은 사용자(102)의 얼굴 측면에 놓이고, 안경(110)을 유지하여 코(104)에 무게가 가해지지 않게 한다. 안경이 2개의 템플 바를 포함하기 때문에, 2개의 템플 바 캠(100)이 각 템플 바에 하나씩 동시에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템플 바 캠(100)은 실리콘 고무로 제조되고, 이는 템플 바 캠(100)의 형태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 중에 변형될 수 있고 사용 후에 자신의 원래의 형태으로 복귀하도록 높은 탄성 정도를 허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실리콘 고무는 의료용 실리콘으로, 사용자의 피부가 템플 바 캠(100)과 접촉할 때 사용자(102)의 불편 또는 반응 없이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템플 바 캠(100)이 사용중인 것으로 도시되었다. 템플 바 캠(100)은 안경(110)의 좌측 템플 바(114)에 부착된다(도 1에 도시 됨). 대체로, 템플 바 캠(100)은 안경(110)의 템플 바(114)를 수용하도록 변형가능하게 확장되는 템플 바 수용부(124)를 구비한 변형가능한 몸체이다. 좌측 템플 바(114)가 템플 바 수용부(124)를 통과함에 따라, 몸체는 템플 바 수용부(124)에 인접한 로브(142 및 144)(도 4에 도시됨)를 형성하도록 변형된다. 우측 템플 바(116)상의 템플 바 캠(100)은 사용자(102) 얼굴의 우측을 따라 유사하게 기능하므로, 개별적으로 도시되지 않았다. 그렇게 변형되면, 몸체의 나머지 부분은 템플 바 수용부(124)에 대한 캠 로브(120)의 형태를 취한다. 안경(110)이 사용자의 얼굴 상에서 코(104)보다 약간 위에 배치될 때, 안경(110)이 사용자의 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코를 향해 낮아짐에 따라 템플 바 캠(100)은 회전 방향(118)으로 변형된다. 사용자의 코를 향한 안경(110)의 회전 또는 하강은 템플 바 캠(100)의 캠 로브(120)가 사용자의 얼굴 측면과 접촉하게 하여, 안경(110)이 템플 바 캠(100)에 의해서 사용자의 관자놀이 상에 고정될 때까지 캠 로브(120)가 회전 방향(118)으로 압축하게 한다. 템플 바 캠(100)의 원추형 보어(122)는 템플 바 캠(100)이 좌측 템플 바(114)와 사용자(102)의 얼굴 사이에 편안하게 놓이도록 템플 바 캠(100)이 충분히 변형될 수 있게 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좌측 템플 바(114) 및 사용자(102)의 얼굴에 의해 템플 바 캠(100) 상에 배치된 압력에 의해 유지되어, 템플 바 캠(100)은 방향 화살표(13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제자리에 유지되고 그 결과 사용자(102)의 코(104) 위에 안경(110)을 유지시킨다. 이는 각각의 노드 패드(112)와 사용자(102)의 코(104) 사이에 작은 간격(132)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코 패드(112)는 사용자(102)의 코(104)에 압력을 가하지 않으며, 코에 자극, 발적 또는 압입을 유발하지도 않는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안경(110)을 착용하면 템플 바 캠(100)은 방향 화살표(140)에 의해 나타내어진 운동을 거치고, 여기서 캠 로브(120)는 좌측 템플 바(114)와 사용자의 얼굴 측면 사이에서 당겨진다. 그 결과, 안경(110)은 이들이 차지할 위치 위에서 제자리에 유지된다. 또한 템플 바가 템플 바 수용부(124)를 통과할 때 생성된 템플 바 캠(100)의 부분들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로브(142 및 144)가도 4에 도시되었다.
이제 도 5a를 참조하면, 여기에 좌측 템플 바(114)로 도시된 템플 바가 템플 바 수용부(124)를 통과할 때, 템플 바 캠(100)은 템플 바(114)가 통과하는 측면 상에 꼬리를 갖는 원의 외형을 갖는 단면 형태를 취(assume)한다. 이 꼬리는 도 4에 도시된 로브(142 및 144)에 대응한다. 템플 바 캠(100)의 나머지 원형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안경(110)의 하향 운동을 정지시키도록 동작하는 캠 로브(120)를 정의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안경(110)이 사용자(102)의 얼굴에 배치되고 안경(110)이 자신의 안정 위치로 낮아지기 시작하면, 사용자(102)의 관자놀이와 템플 바의 캠 로브(120) 사이의 접촉은 템플 로브(120)가 얼굴을 향해 안쪽으로 변형가능하게 회전하게 한다. 안쪽으로의 회전 운동은 템플 바 캠(100)의 탄성에 의해 촉진되는데, 이는 템플 바(114)가 하향 운동을 계속할 때 이것의 형태가 다소 변형될 수 있게 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플 바 캠(100)의 형태의 변형은 템플 바(114)가 궁극적으로 사용자(102)의 얼굴에 대향하는 캠 로브(120)의 측면에 위치되게 한다. 캠 로브(120)의 형태는 사용자(102)에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템플 바 캠(100)의 탄성과 원추형 보어(122)의 존재의 조합에 의해 원래의 원형으로부터 변형된다. 이 시점에서, 캠 로브(120)의 회전 운동 및 변형이 중단되고, 템플 바(114)는 더 이상 하향 운동을 계속하지 않고 코에 접촉하지 않은채로 템플 바 캠(100)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템플 바 캠(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원추형 절두체 형태를 가지고, 여기서 상부 베이스 또는 "상단"(150)(도 8에 도시됨)은 하부 베이스 또는 "베이스"(152)보다 지름이 더 작으며(도 7에 도시됨), 템플 바 상에 있지 않은 경우 원형 단면이다. 이러한 원뿔형 절두체 형태는 템플 바 캠(100)의 전체 길이를 따라 템플 바 캠(100)과 사용자(102)의 관자놀이 사이의 접촉을 보장한다. 원추형 보어(122) 및 템플 바 수용부(124)는 상단(150)으로부터 베이스(152)로 연장하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템플 바 캠(100)이 제조되는 사출 성형 공정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은 원추형 절두체 형태의 초기 제조 후에 템플 바 캠(100)으로 절단된다.
원추형 보어(122) 및 템플 바 수용부(124) 이외에,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구(154)는 측면(156)으로부터 템플 바 수용부(124)까지 연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구(154)는 직사각형 형태를 갖지만, 다른 형태가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개구(154)의 존재는 탄성적이고 템플 바 위에 위치할 수 있는 2 개의 밴드(154A 및 154B)(도 11에 도시됨)를 형성한다. 개구는 템플 바를 템플 바 캠(100)의 템플 바 수용부(124) 내로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의 템플 바 캠(100)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베이스(152) 및 원추형 보어(122) 및 템플 바 수용부(124)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 보어(122)는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템플 바 캠(100)의 상단(150)(도 8에 도시됨)에서는 좁은 단부를 가지고 및 템플 바 캠(100)의 베이스(152)에서는 넓은 단부를 갖는 절두 형태이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152)로부터 상단(150)으로 측면(156)의 테이퍼링을 나타내는, 도 6의 템플 바 캠(100)의 우측면도가 도시되었다. 원추형 보어(122)는 이 관점에서 보이지 않지만 파선으로 도시되어 이것에 의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템플 바 수용부(124)가 자신의 지름을 전체적으로 유지하는 동안 템플 바 캠(100)의 베이스(152)로부터 상단(150)까지 테이퍼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템플 바 캠(100)을 사용하기 위해, 안경(110)(도 1에 도시됨)의 템플 바는 템플 바 수용부(124)를 통해 배치되고, 안경(110)이 착용될 때 베이스(152)가 사용자(102)의 얼굴의 전방을 향하도록(도 1에 도시됨) 베이스(152)에서 들어가고 상단(150)을 통해 나간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직사각형 개구(154)를 도시하는 도 6의 템플 바 캠(100)의 정면도가 도시되었다. (도 7에 도시된) 원추형 보어(122) 및 템플 바 수용부(124)와 달리, 개구(154)는 베이스로부터 상단(150)까지 연장하지 않으며; 오히려 이는 실질적으로 베이스(152)와 상단(150) 사이에 중심에 위치된다. 이는 템플 바가 템플 바 수용부(124)를 통과할 때 직사각형 개구(154) 위아래의 측면(156)(도 7에 도시됨)의 부분들이 바깥쪽으로 밀릴 때 로브(142) 및 로브(144)(도 4에 도시됨)의 형성을 발생시킨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도 6의 템플 바 캠(100)의 배면도가 도시되었다. 직사각형 개구(154)는 (도 7에 도시된) 템플 바 수용부(124)에만 도달하기 때문에 파선으로 도시되고, 따라서 템플 바 캠(100)의 반대편으로부터 보이지 않는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도 6의 템플 바 캠(100)의 상부 정면 사시도가 도시되었다. 여기서, 템플 바 캠(100)의 절두체 형태가 명확하게 보이는 반면, 파선 개시는 원추형 보어(122)의 절두체 형태를 나타낸다. 다른 한편으로, 템플 바 수용부(124)의 형태는 원통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템플 바 수용부(124)는 단면 원의 중심과 측면(156)의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 사이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비스듬한 실린더이다. 상단(150)은 도 11에서 볼 수 있으며, 이는 대략 유사한 크기의 원추형 보어(122) 및 템플 바 수용부(124)의 상부 개구를 나타낸다.
이제 도 12를 참조하면, 도 6의 템플 바 캠(100)의 하부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었다. 베이스(152), 원추형 보어(122) 및 템플 바 수용부(124)의 하부 개구를 볼 수 있다. 원추형 보어(122)의 하부 개구는 전자의 절두체 형태로 인해 템플 바 수용부(124)의 하부 개구보다 현저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제 도 13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템플 바 캠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며, 이는 템플 바 캠의 형태가 얼마나 쉽고 얼마나 많이 변형하는가에 있어서 다양한 정도로 달라지게 한다. 변형 특성 및 형태 자체는 템플 바 캠이 사용자의 얼굴에 대해 서로 다르게 놓이게 한다. 따라서 특정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보다 특정 실시예를 선호할 수 있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면, 템플 바 캠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참조번호(200)으로 지정된다. 템플 바 캠(200)은 그 중심을 통해 원통형 보어(222)를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캠 로브(220)를 갖는다. 타원형 단면을 갖는 템플 바 수용부(224)는 캠 로브(220)의 실린더 형태으로부터 돌출부를 생성한다. 템플 바 캠(200)의 상단 표면(250)은 하부 표면(도시되지 않음)과 외형상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원통형 보어(222) 및 템플 바 수용부(224) 모두가 상단 표면(250)으로부터 바닥 표면까지 연장한다. 템플 바 캠(200)의 측면(256) 상의 개구(254)는 돌출부 위에 위치되고 템플 바 수용부(224)의 내부로 연장한다.
이제 도 14를 참조하면, 템플 바 캠(200)은 템플 바 수용부(224)를 통해 안경(110)의 템플 바를 배치함으로써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안경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캠 로브(220)(도 13에 도시됨)는 안쪽으로 회전하고 사용자 얼굴의 측면 내로 눌러서 안경이 사용자의 코에 놓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의 무게가 오로지 사용자 얼굴의 측면 상의 템플 바 캠 및 귀 위에서 연장하는 템플 바에 의해서만 지지되기 때문에, 안경(110)은 노즈 패드(도 1에 도시된 112) 없이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안경과 사용자 얼굴의 정면 부분 사이의 어떠한 접촉도 피하며, 특히 사용자의 코와의 접촉을 방지한다.
이제 도 15를 참조하면, 템플 바 캠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300으로 지정된다. 템플 바 캠(300)의 캠 로브(320)는 이를 통과하는 구멍을 갖지 않지만, 캠 로브(320)의 후크 또는 부리 형태는 오목한 표면을 제공하며 이는 원추형 보어(122)가 템플 바 캠(100)(도 2에 도시됨)에 제공하고 원통형 보어(222)가 템플 바 캠(200)(도 13에 도시됨)에 제공하는 것과 유사한 유연성을 제공한다. 템플 바 수용부(324)는 캠 로브(320)의 부리 형태으로부터의 돌출부에 위치되고, 다른 실시예와 같이, 템플 바 캠(300)의 상단 표면(350)으로부터 바닥 표면(도시되지 않음)까지 연장하는 구멍이다. 템플 바 캠(300)은 또한 측면(356)을 갖는다.
이제 도 16을 참조하면, 템플 바 캠(300)은 템플 바 수용부(324)를 통해 안경(110)의 템플 바를 배치함으로써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안경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캠 로브(320)는 안쪽으로 회전하고 사용자 얼굴의 측면 내로 눌러서 안경이 사용자의 코에 놓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도 17을 참조하면, 템플 바 캠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400으로 지정된다. 템플 바 캠(400)에서, 캠 로브(420)는 C-형태로 템플 바 수용부(424)로부터 연장한다. 상단 표면(450) 및 실질적으로 유사한 바닥 표면은 측면(456)에 의해 둘러싸인 C-형 단면을 반영한다.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템플 바 수용부(424)는 템플 바 캠(400)을 전체를 통해 상단 표면(450)으로부터 바닥 표면(표시되지 않음)까지 연장한다. C-형 캠 로브(420)의 오목한 내부는 사용시에 템플 바 캠(400)의 변형을 위해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제 도 18을 참조하면, 템플 바 캠(400)은 템플 바 수용부(424)를 통해 안경(110)의 템플 바를 배치함으로써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안경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캠 로브(420)는 안쪽으로 회전하고 사용자 얼굴의 측면 내로 눌러서 안경이 사용자의 코에 놓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도 19를 참조하면, 템플 바 캠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500으로 지정된다.
템플 바 캠(500)은 L-형이다. 문자 "L"은 수직선 부분, 또는 "줄기"와 줄기에 직교하고 줄기의 바닥 종점에서 시작하여 우측으로 연장하는 수평선 부분, 또는 "다리"로 만들어진다. 다리는 거의 항상 줄기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템플 바 캠(500)의 상응하는 부분들도 마찬가지이다. 도 19에서, 템플 바 캠(500)은 "L"이 90도 회전된 것처럼 줄기를 수평으로 도시한다. 줄기의 종점, 다리의 종점 및 줄기와 다리의 교차점은 모두 둥글다. 다리는 교차점과 끝점 사이에 오목한 면을 가진다.
보어(522)는 줄기의 끝점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템플 바 수용부(524)는 다리의 끝접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보어(522) 및 템플 바 수용부(524)는 모두 템플 바 캠(500)의 상단 표면(550)으로부터 바닥 표면까지 연장한다. 측면(556)은 L-형태의 주변 둘레에서 연장한다.
템플 바 캠(500)에서, 보어(522)는 템플 바 수용부(524)와 같은 형태이며, 이는 보어(522) 및 템플 바 수용부(524)의 역할이 반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다소의 유연성을 허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사용자는 템플 바 수용부(524)가 아닌 보어(522)를 통해 템플 바를 배치하기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템플 바 캠(500)의 사용시에 사용자에게 다른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 20을 참조하면, 템플 바 캠(500)은 템플 바 수용부(524)를 통해 안경(110)의 템플 바를 배치함으로써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템플 바는 보어(522)를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안경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캠 로브는 안쪽으로 회전하고 사용자 얼굴의 측면 내로 눌러서 안경이 사용자의 코에 놓이는 것을 방지한다. 캠 로브로서 기능하는 템플 바(500)의 부분은 템플 바가 템플 바 수용부(524)를 통과하는지 또는 보어(522)를 통과하는지에 따라 다르다. 템플 바가 템플 바 수용부(524)를 통과할 때, 다리는 캠 로브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템플 바가 보어(522)를 통과할 때, 스템은 캠 로브로서 기능한다.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안경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캠 로브는 안쪽으로 회전하고 사용자 얼굴의 측면 내로 눌러서 안경이 사용자의 코에 놓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도 21을 참조하면, 템플 바 캠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600으로 지정된다. 템플 바 캠(600)은 길고 약간 만곡된 캠 로브(620)를 갖는다. 템플 바 수용부(624)는 템플 바 캠(600)의 상단 표면(650)으로부터 바닥 표면까지 연장한다. 측면 표면(656)은 상단 표면(650)과 바닥 표면(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템플 바 캠(600)의 주변을 둘러싼다.
이제 도 22를 참조하면, 템플 바 캠(600)은 템플 바 수용부(624)를 통해 안경(110)의 템플 바를 배치함으로써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안경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캠 로브(620)는 안쪽으로 회전하고 사용자 얼굴의 측면 내로 눌러서 안경이 사용자의 코에 놓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도 23을 참조하면, 템플 바 캠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700으로 지정된다. 템플 바 캠(700)은 신발 형태의 몸체를 형성하는 캠 로브(720) 내의 2개의 보어(722A 및 722B), 그리고 신발 형태의 칼라 내의 템플 바 수용부(724)를 갖는 신발 형태 단면을 가진다. 보어(722A 및 722B) 및 템플 바 수용부(724)는 템플 바 캠(700)의 상단 표면(750)으로부터 바닥 표면까지 연장한다. 측면(756)은 신발 형태의 주변을 둘러싼다.
이제 도 24를 참조하면, 템플 바 캠(700)은 템플 바 수용부(724)를 통해 안경(110)의 템플 바를 배치함으로써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안경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캠 로브(720)는 안쪽으로 회전하고 사용자 얼굴의 측면 내로 눌러서 안경이 사용자의 코에 놓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도 25를 참조하면, 템플 바 캠(800)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는 안경(110)의 템플 바(114)를 수용하기 위한 단일 연속 보어(824)를 갖도록 형성된다. 템플 바 캠(800)은 템플 바 캠(800)이 사용자의 얼굴에 대하여 배치될 때 변형하도록 제 1 변형가능한 보어(822)를 가지고 형성되며 원통형 소형 카메라(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는 크기의 카메라 수용부로서 형성된다.
도 26은 안경(110)의 템플 바(114)에 부착된 도 25의 템플 바 캠(800)을 도시하고 연속 보어(822) 내에 위치된 렌즈(882)를 갖는 삽입가능한 소형 카메라(880)를 나타낸다.
이제 도 27을 참조하면, 템플 바(114)를 수용하기 위해 개구(254)에 의해 분리된 한 쌍의 템플 바 수용부(924)를 갖는 템플 바 캠(900)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었다. 템플 바 캠(900)은 템플 바 캠(900)이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에 대 향하여 배치될 때 변형하도록 구성된 제 1 변형가능한 보어(922)를 포함한다. 제 2 보어(926)는 렌즈(882)를 갖는 원통형 소형 카메라(880)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의 카메라 수용부로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소형 카메라(880)는 카메라(880)의 렌즈(882)가 안경(110)의 프레임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880) 시야를 허용하는 증가된 시야를 갖도록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멀리 위치된다. 이는 템플 바 캠(900)으로부터 전방으로 깨끗하고 장애가 없는 시야를 제공한다.
이제 도 28을 참조하면, 안경(110)의 템플 바(114)에 부착된 도 27의 템플 바 캠(900)이 도시되고 제 2 연속 보어(926) 내에 위치된 삽입가능한 소형 카메라(880)를 나타낸다. 사용시에, 연속 보어(922)는 템플 바 캠(900)이 안쪽으로 회전하고 사용자의 얼굴에 놓일 때 변형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템플 바 캠은 본 발명을 예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템플 바 캠은 적용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 재료는 특정 디자인에서 요구되는 듀로미터 및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플라스틱, 금속, 또는 목재 또는 코르크와 같은 천연 제품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다른 재료들 단독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템플 바 캠은 구체적인 치수 또는 관련 기하학적 구조를 참조하지 않고 설명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템플 바 캠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위로 확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현재 간주되는 것이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0)

  1. 안경 지지부로서,
    안경의 템플 바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템플 바 수용부를 가지고 형성된 템플 바 캠(temple bar cam)을 포함하고, 상기 템플 바 캠은 안경의 템플 바가 상기 템플 바 수용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안경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면 안경의 아랫방향 운동을 제한하도록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하기 위해 상기 템플 바 수용부 둘레에서 길이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템플 바 캠은 의료용 실리콘을 포함하고,
    상기 템플 바 캠은 원추형 절두체 형태를 포함하고,
    원추형 보어(bore)를 더 포함하고,
    측면 및 상기 템플 바 수용부에 근접하고 상기 측면으로부터 템플 바 수용부까지 연장하는 측면 상의 직사각형 개구를 더 포함하는, 안경 지지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 바 캠은 템플 바가 템플 바 캠을 통과할 때 상기 원추형 절두체 형태의 제 1 변형을 취하는, 안경 지지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 바 캠은 템플 바가 아랫방향 운동을 제한할 때 상기 원추형 절두체 형태의 제 2 변형을 취하는, 안경 지지부.
  8. 템플 바 캠으로서,
    원추형 절두체 형태, 상단, 베이스 및 측면을 갖는 캠;
    상단으로부터 베이스까지 연장하는 원추형 보어 - 상기 원추형 보어는 상단 및 베이스를 따라 중심에 있고 원추형 절두체 형태를 가짐 - ; 및
    상단으로부터 베이스까지 연장하고 측면에 근접하는 템플 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추형 보어는 템플 바 수용부와 캠의 대향하는 측 사이에 압력이 형성될 때 캠의 형태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템플 바 수용부는 안경 템플 바를 수용하도록 고려되어, 템플 바가 안경 착용자의 얼굴에 안착될 때 캠이 회전함으로써 안경 코 패드가 안경 착용자의 코에 놓이는 것을 방지하며,
    직사각형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사각형 개구는 템플 바 수용부로부터 템플 바 수용부에 근접한 측면의 일부까지 연장하는, 템플 바 캠.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실리콘 고무를 포함하는, 템플 바 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는 의료용 실리콘을 포함하는, 템플 바 캠.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154655A 2018-11-27 2019-11-27 안경을 지탱하는 템플 바 캠 KR102301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71891P 2018-11-27 2018-11-27
US62/771,891 2018-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091A KR20200063091A (ko) 2020-06-04
KR102301090B1 true KR102301090B1 (ko) 2021-09-09

Family

ID=7077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655A KR102301090B1 (ko) 2018-11-27 2019-11-27 안경을 지탱하는 템플 바 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166774A1 (ko)
JP (1) JP2020101795A (ko)
KR (1) KR102301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2050A (en) * 2021-10-20 2023-04-26 Gamlin Herbert Spectacles supporting headban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822B2 (ja) * 1995-12-12 2001-06-18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ボールタップ及び手洗い吐水用蛇腹管の抜止構造
JP2018136372A (ja) * 2017-02-20 2018-08-30 英太郎 寺川 眼鏡装着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982A (ko) * 1992-11-05 1994-06-22 김태원 코 받침이 없는 안경
JP3177822U (ja) * 2012-06-08 2012-08-16 栄子 平川 眼鏡支持補助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822B2 (ja) * 1995-12-12 2001-06-18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ボールタップ及び手洗い吐水用蛇腹管の抜止構造
JP2018136372A (ja) * 2017-02-20 2018-08-30 英太郎 寺川 眼鏡装着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091A (ko) 2020-06-04
JP2020101795A (ja) 2020-07-02
US20200166774A1 (en)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9245B2 (en) Earpiece-less eyeglass apparatus and strap attachment mechanism
KR880002450B1 (ko) 안경다리의 귀걸이부
KR102301090B1 (ko) 안경을 지탱하는 템플 바 캠
CA2360806C (en) Makeup eyeglasses
US4850689A (en) Near vision contact le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it
KR20110008448A (ko) 머리띠형 안경
EP0424166A2 (en) Attachable eyeglasses
CN211577585U (zh) 一种眼科护理眼部防护镜
KR101942089B1 (ko) 범용 보조안경
JP3236897U (ja) レンズ交換可能なメガネ
JPH04261513A (ja) 眼鏡のつるの挾持装置
JP3587456B2 (ja) 角膜補正レンズ
KR200468956Y1 (ko) 코 받침으로 인한 피로를 덜 수 있는 안경 받침구
CN209496209U (zh) 用于眼镜支撑的太阳穴杆凸轮
CN111427168A (zh) 用于眼镜支撑的太阳穴杆凸轮
KR20160022025A (ko) 안경용 받침수단
KR200475958Y1 (ko) 플라스틱 안경테
KR200290663Y1 (ko) 착용이 편안한 외다리 안경테
CN213457569U (zh) 一种眼镜腿
WO2023067299A1 (en) Spectacles supporting headband
CN216248641U (zh) 框架眼镜
CN201156116Y (zh) 近视散光矫正眼镜
KR200310430Y1 (ko) 높이 조절 안경
CN213934449U (zh) 一种具有可拆卸式鼻托的眼镜
CN207946613U (zh) 一种质轻防压迫的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