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893B1 -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 및 그 날염섬유를 이용한 보온성 경량레쉬가드 - Google Patents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 및 그 날염섬유를 이용한 보온성 경량레쉬가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0893B1 KR102300893B1 KR1020200003781A KR20200003781A KR102300893B1 KR 102300893 B1 KR102300893 B1 KR 102300893B1 KR 1020200003781 A KR1020200003781 A KR 1020200003781A KR 20200003781 A KR20200003781 A KR 20200003781A KR 102300893 B1 KR102300893 B1 KR 1023008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rinting
- fiber
- pet
- par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82—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 D06P3/8204—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fibres of different chemical nature
- D06P3/8276—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fibres of different chemical nature mixtures of fibres containing ester group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29—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steam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16—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dispersed, e.g. acetate, dyestuff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 D06P5/2066—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 D06P5/2077—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after dy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혼방 복합섬유를 날염하는 방법과 그 날염된 복합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온성 경량레쉬가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혼방 복합섬유를 준비하고, 상기 섬유를 양면환편기를 사용하여 더블레이어 조직으로 환편된 환편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환편물을 저온성분산염료를 사용하여 날염하는 단계; 및
상기 날염이 완료된 날염원단을 번아웃시키는 번아웃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과, 그 날염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날염원단을 이용한 보온성 레쉬가드가 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혼방 복합섬유를 준비하고, 상기 섬유를 양면환편기를 사용하여 더블레이어 조직으로 환편된 환편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환편물을 저온성분산염료를 사용하여 날염하는 단계; 및
상기 날염이 완료된 날염원단을 번아웃시키는 번아웃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과, 그 날염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날염원단을 이용한 보온성 레쉬가드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혼방 복합섬유를 날염하는 방법과 그 날염된 복합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온성 경량레쉬가드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섬유는 4.5~9.0g/d 정도의 강도와 25~60% 정도의 신도를 가지는 섬유로서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나일론 섬유와 대등한 정도의 기계적 특성을 가질 뿐 아니라 내약품성도 뛰어난 우수한 섬유소재이다. 섬유의 비중이 0.90~0.93 정도로서 일반적인 섬유소재의 비중이 최소한 1.1~1.2 이상인 점을 감안하면 모든 섬유 중에서 가장 비중이 낮아 동일한 조건의 직물을 가정할 때 최소 20% 이상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물의 비중인 1.0보다 작기 때문에 물에 뜨는 섬유소재로도 알려져 있다. 폴리프로필렌섬유는 다른 섬유에 비해 비중이 작기 때문에 직물로 제조 시 가볍고 정전기 발생이 없으며 때가 잘 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서식이 어려워 위생적이다. 그리고, 낮은 열전도율 때문에 보온성이 뛰어나다. 강산, 강알칼리 등 약품에 특히 강하며 벌레나 좀의 피해도 없다. 내약품성이 우수해 염소에 접촉해도 변색되지 않는 특성을 발휘한다.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경우 비유전율이 3.2인 반면, 폴리프로필렌섬유의 비유전율은 2.2로 낮아 정전기 발생이 낮기 때문에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소재이다.
섬유의 수분율도 0.05% 이하의 낮은 값을 보이는데 이러한 극도로 낮은 수분율은 과거 일반 의류용의 전개에 있어서는 단점으로 작용했으나 스포츠, 레져용 의류소재에서는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속건성이 고도로 요구되고 있어 오히려 장점으로 활용되고 있다. 수분을 섬유 조직을 통해 재빨리 증발시키고 공기는 섬유 조직 내에 그대로 함유하는 위킹(Wicking)성이 뛰어난 특성을 발휘한다. 적당한 소재와의 복합화와 후가공 방법의 응용으로 흡한속건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수분을 거의 흡수하지 않으므로 세균 발생 요인 자체가 없어 자체적으로 항균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화섬을 꺼리는 용도 분야인 아기 기저귀의 겉 커버, 물통, 여성생리대 등으로 용도전개가 진행되고 있으며, 미국 FDA에서도 인증한 인체 무해 섬유이다.
그리고, 섬유 구성 분자구조가 C와 H만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리사이클링시 폴리머의 성능 저하가 없으며 소각시 유해 독성 가스를 발행시키지 않는다는 점 등 다양한 친환경적 요소를 갖추고 있어 환경문제를 중요시하는 선진국 시장에서는 이미 친환경 섬유소재로서 그 용도를 확대하고 있다. 제법에 있어서의 에너지 소비량이 가장 적고, 또 재생을 실시하는 경우에 융점이 낮고, 쉽게 재용해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섬유소재의 특성은 최근 경량소재를 요구하는 스포츠나 레져용 의류가 급격히 신장되고 활성화됨으로써 그 용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관련 업체에서도 이 소재를 이용한 제품을 개발하려는 시도들을 하고 있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비극성 구조와 2/3 이상의 높은 결정영역을 갖는 분자구조의 치밀함으로 인한 후염색의 어려움 때문에, 방사시 안료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원착(또는 선염)방식의 섬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원착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경우 섬유 생산과 동시에 색상이 정해짐에 따라 로트 관리에 어려움이 많고 관리 비용이 많이 필요하다. 또한 색상에 따른 비용 차이가 있고, 단색 직편물 또는 패턴물만 생산이 가능하다. 이는 실제로 유용한 착색을 제공하나, 공장의 개시 및 색 변화는 공장이 일정하게 가동될 때까지 상응하는 대량의 폐기물과 관련하여 긴 유도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단지 대량 배취의 제조가 경제적인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 패션 기준 색 요건을 위한 비교적 작은 배취는 경제적으로 또는 단시간 프레임으로 제조할 수 없다. 또한 밝은 빛깔을 달성하기가 쉽지 않다. 안료에 따라서 열분해가 일어나 변색의 위험이 있으며, 각 색상별의 마스터 배치를 만들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다양한 색상을 나타내는데 제약을 받고 있다. 따라서 압출 후의 부족한 염색성은 직물 분야에서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더 넓은 사용에 방해가 되어 왔다. 의류 섬유, 특히 스포츠 및 레져 의류 분야로서 사용하기 위한 고유의 바람직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좀처럼 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는 폴리프로필렌을 개질하여 염착가능한 기능기를 도입하거나, 폴리프로필렌을 용융물 상태의 폴리에스테르와 혼합하여 방사하여 혼용섬유상태로 만들어 폴리에스테르 등을 염색가능하게 하여 사용한다거나, 기타 전처리과정을 거쳐서 사용하고 있다. 폴리머 개질에 의한 방법은 그래프트 공중합시 발생하는 라디칼에 의한 물성저하나 그래프트 공중합시 극성 단량체의 길이를 일정하게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섬유품질의 균일성에 문제가 생긴다. 물리적 컴파운딩방법은 소수성인 PP 칩에 친수성기를 갖는 EVA (Ethylene-co-Vinylacetate)를 첨가하여 컴파운딩하는 방법으로 방사성 및 염색성이 우수하나 작업성에 문제가 있다. 방사선 조사 후 화학제 처리에 의한 작용기 도입방법은 공기 중에서 PP섬유에 전자선, 감마선, 플라즈마를 조사하고 여기에 화학제를 처리하여 염착좌석을 도입하는 방법으로 완전 상용화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과정이 복잡하고 비경제적이다. 전처리 과정의 경우도 현재는 환원세정공정 등이 별도로 추가되어 비환경친화적인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혼합방사된 폴리프로필렌섬유를 사용하여 단지 개질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염폴리플필렌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PP)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활용하여 경편물 또는 환편물로 편직된 보온/항균 기능을 가진 혼합 복합섬유에 적합한 날염공정을 확립한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공되는 날염방법에 의해 날염된 복합섬유를 이용하여 가공된 보온성 경량레쉬가드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단독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PP) 섬유(PP)/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혼방 복합섬유를 혼방하여 제직된 경편물 또는 환편물을 준비하고 이를 날염하기 위한 공정을 확립하여 제공하고, 그로 인해 제공되는 경편물 또는 환편물을 이용하여 보온성 기능이 부여된 경량레쉬가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가염폴리프로필렌섬유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은 가염형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형폴리프로필렌 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를 준비하고, 상기 섬유를 양면환편기를 사용하여 더블레이어 조직으로 환편된 환편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환편물을 저온성분산염료를 사용하여 날염하는 단계; 및 상기 날염이 완료된 날염원단을 번아웃시키는 번아웃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날염하는 단계는 (a) 환편물을 전처리한 후, 저온성분산염료 0.1~5중량%, 호료조제 1~3중량%, NF-300 또는 AR-901의 카치온계바인더 0.1~3중량% 및 잔량의 용제를 포함하는 날염호로 로터리프린팅(Rotary Printing)하여 날염하는 단계;와, (b) 상기 날염 후, 건조기에서 120~130℃ 온도에서 90±5초간 건조하는 단계;와, (c) 상기 건조가 완료된 복합섬유를 140℃의 온도조건에서 10분간 스팀증열하는 단계;와, (d) 상기 스팀증열 후, 90±5℃의 온도조건에서 5~20분간 수세한 후, 탈수하는 단계;와, (e) 상기 탈수 후, 120℃ 이하의 온도조건에서 90±5초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번아웃 단계는 (가) 상기 날염단계가 완료된 환편물을 100~110℃에서 정련 후, 탈수하여 텐더에서 100~120℃의 온도범위에서 세팅한 다음, 날염기에서 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저온고압분산염료 20~30중량부를 혼합한 염료를 사용하여 인날하는 단계;와, (나) 상기 인날단계 후 건조기에서 120~130℃에서 건조하는 단계;와, (다) 건조 후, 140℃에서 8~10분간 증열하는 단계;와, (라) 증열단계 후, 환원제와 가성소다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온도 60℃ 조건으로 수세한 다음 탈수하는 단계;와, (마) 탈수 후, 건조기에서 100℃의 온도에서 30분간 건조한 다음, 140℃ 이하의 온도범위에서 5분간 폭을 조정하는 텐터공정을 거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날염하는 단계중 상기 (a)단계의 호료조제는 레진(Resin)계 증점제 또는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계 증점제 1~3중량부, 금속이온봉쇄제 0.1~1중량부, 사과산 0.1~1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조제를 사용하고,
상기 (d)단계에서 수세는 용제 1~2중량부, 소디움하이드록사이드 0.1~3중량부, 가성소다 0.1~0.5중량부, R/C제 0.1~0.5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세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염하는 단계는 (a) 환편물을 전처리한 후, 저온성분산염료 0.1~5중량%, 호료조제 1~3중량%, NF-300 또는 AR-901의 카치온계바인더 0.1~3중량% 및 잔량의 용제를 포함하는 날염호로 로터리프린팅(Rotary Printing)하여 날염하는 단계;와, (b) 상기 날염 후, 건조기에서 120~130℃ 온도에서 90±5초간 건조하는 단계;와, (c) 상기 건조가 완료된 복합섬유를 140℃의 온도조건에서 10분간 스팀증열하는 단계;와, (d) 상기 스팀증열 후, 90±5℃의 온도조건에서 5~20분간 수세한 후, 탈수하는 단계;와, (e) 상기 탈수 후, 120℃ 이하의 온도조건에서 90±5초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번아웃 단계는 (가) 상기 날염단계가 완료된 환편물을 100~110℃에서 정련 후, 탈수하여 텐더에서 100~120℃의 온도범위에서 세팅한 다음, 날염기에서 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저온고압분산염료 20~30중량부를 혼합한 염료를 사용하여 인날하는 단계;와, (나) 상기 인날단계 후 건조기에서 120~130℃에서 건조하는 단계;와, (다) 건조 후, 140℃에서 8~10분간 증열하는 단계;와, (라) 증열단계 후, 환원제와 가성소다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온도 60℃ 조건으로 수세한 다음 탈수하는 단계;와, (마) 탈수 후, 건조기에서 100℃의 온도에서 30분간 건조한 다음, 140℃ 이하의 온도범위에서 5분간 폭을 조정하는 텐터공정을 거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날염하는 단계중 상기 (a)단계의 호료조제는 레진(Resin)계 증점제 또는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계 증점제 1~3중량부, 금속이온봉쇄제 0.1~1중량부, 사과산 0.1~1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조제를 사용하고,
상기 (d)단계에서 수세는 용제 1~2중량부, 소디움하이드록사이드 0.1~3중량부, 가성소다 0.1~0.5중량부, R/C제 0.1~0.5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세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가염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MI(melt index)값이 34인 폴리프로필렌 폴리머(Polypropylene Polymer)에 10wt% 형광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20wt% 카치온 다이어블 폴리머 마스터 배치 또는 30wt% Al2O3 수용성 PET 마스터 배치를 1~2중량% 도징(Dosing)을 실시하여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하여 된 SDY 50d/36f의 세섬원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염형폴리프로필렌 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는 PP DTY 50d/36f 89중량%, Span 20D 11중량%; PP DTY 50d/36f 33중량%, PP 50d/36f(Tuck) 22중량%, 항균 PET 50d/36f 33중량%, Span 20D 12중량%; PP DTY 50d/36f 33중량%, PP 50d/36f(Tuck) 22중량%, PET 50d/36f 33중량%, Span 20D 12중량%; PP DTY 50d/36f 33중량%, PP 50d/36f(Tuck) 22중량%, PET 50d/36f 33중량%, Span 20D 12중량%; PP DTY 75d/36f 28중량%, PET 50d/36f(Tuck) 32중량%, PET 75d/36f 32중량%, Span 20D 8중량%; PP DTY 75d/36f 35중량%, PET 50d/36f(Tuck) 22중량%, PET 50d/36f 34중량%, Span 20D 9중량%; PP DTY 75d/36f 35중량%, PET 50d/36f(Tuck) 22중량%, 강연 PET 75d/36f (34)중량%, Span 20D 9중량%; PP DTY 75d/36f 35중량%, PET 50/36(Tuck) 22중량%, 항균 PET(ATB) 75d/72f 34중량%, Span 20D 9중량%의 중량비율로 구성된 복합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시되는 날염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날염섬유를 이용한 보온성 경량레쉬가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날염섬유의 일면에 실리콘 100중량부에 대항 경화제 10~15중량부를 혼합한 실리콘 수지를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이형지(release paper)에 코팅한 다음, 170~210℃에서 15초간 1차 숙성하고, 그 상면에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2차 실리콘 코팅을 한 다음 180~190℃의 온도조건에서 15초간 2차 숙성시킨 다음, 부착시켜 롤러프레스를 이용하여 열압착하여 실리콘을 코팅하고, 코팅된 날염섬유와 이형지를 분리한 다음 170~210℃의 온도에서 숙성하여 완성되는 실리콘을 코팅한 날염섬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PP/PET(NYLON)과 같은 합성섬유의 날염 공정의 경우, PP의 저온 날염 공정에 의한 PET(NYLON)의 고온 날염 공정의 어려움이 있지만, 이러한 온도 차이를 극복하고 날염이 가능하도록 함과 또한 다양한 디자인 구현과 제품의 다양한 용도전개가 가능한 이점 등이 있습니다.
또한, PP소재를 적용함으로써 경량성, 흡한속건, 보온성 등의 장점을 갖추고 있으면서, 어느 정도 부력을 가지게 됨으로 인해 안전성을 확보한 패셔너블한 수중 스포츠웨어인 레쉬가드에 적용 가능한 뿐만 아니라, 기타 다양한 스포츠웨어로도 응용확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날염된 복합섬유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된 날염용 제작동판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날염에서 호료 배합시 중요한 증점제 2종을 TGA, GC-MS, FT-IR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된 날염용 제작동판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날염에서 호료 배합시 중요한 증점제 2종을 TGA, GC-MS, FT-IR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 및 그 날염섬유를 이용한 보온성 경량레쉬가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부력조끼와 레쉬가드의 안전성 및 보온성 기능을 모두 가지는 수중스포츠 의류제품에 사용되는 섬유의 날염방법과 그 날염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날염섬유를 이용한 보온성 레쉬가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염폴리프로필렌섬유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은 가염형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형폴리프로필렌 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를 준비하고, 상기 섬유를 양면환편기를 사용하여 더블레이어 조직으로 환편된 환편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환편물을 저온성분산염료를 사용하여 날염하는 단계; 및
상기 날염이 완료된 날염원단을 번아웃시키는 번아웃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때, 상기 날염하는 단계는 Rotary Printing(날염) → Dry(건조) → Steaming(스팀증열) → Washing(수세) → Dry(건조)의 공정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환편물을 전처리한 후, 저온성분산염료 0.1~5중량%, 호료조제 1~3중량%, 바인더 0.1~3중량% 및 잔량의 용제를 포함하는 날염호로 로터리프린팅(Rotary Printing)하여 날염하는 단계;
(b) 상기 날염 후, 건조기에서 120~130℃ 온도에서 90±5초간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건조가 완료된 복합섬유를 140℃의 온도조건에서 10분간 스팀증열하는 단계;
(d) 상기 스팀증열 후, 90±5℃의 온도조건에서 5~20분간 수세한 후, 탈수하는 단계;
(e) 상기 탈수 후, 120℃ 이하의 온도조건에서 90±5초간 건조하는 단계
이 때, 상기 로터리 프린팅은 바람직한 예로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염디자인을 기획하고, 그 기획된 디자인에 따른 동판을 제작하여 날염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날염이 완료된 후, 건조시 그 온도범위는 120℃ 이하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00~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좋다. 만일, 120℃를 초과한 온도에서 건조할 경우에는 경화될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고, 120℃ 미만의 온도에서는 건조 속도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날염 후 건조는 열풍건조방식을 채택하여 수행되는 것이 좋으며, 건조시간은 90±5초간 건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시간의 임계치를 벗어날 경우에는 원단이 딱딱하거나, 혹은 색채 발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건조가 완료된 후, 스팀증열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한 온도는 1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14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만일, 140℃를 초과할 경우에는 PP/PET복합소재가 열에 취약하기 때문에 PP가 녹아 스티프(Stiff)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120℃ 미만에서 수행될 경우에는 칼라 결뢰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팀증열 후, 수세액을 조제하여 수세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한 수세온도와 수세하는 시간은 90±5℃의 온도조건에서 20~30분간 수세하는 것이다. 상기 수세가 완료된 후에 탈수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탈수 후, 건조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이때 바람직하게 120℃ 이하의 온도조건,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의 온도조건에서 90±5초간 건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건조가 완료된 복합섬유는 140℃ 이하의 온도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140℃의 온도범위에서 5분간 폭을 조정하는 텐터공정을 거치게 된다. 만일, 상기 온도범위가 140℃를 초과할 경우에는 PP가 녹아 스티프(Stiff)해지는 문제가 있고, 130℃ 미만일 경우에는 염착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날염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날염호는 바람직하게 염료 0.1~3중량%, 호료조제 1~3중량%, 바인더 0.1~3.0중량% 및 잔량의 용제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카치온계 바인더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NF-300, AR-90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바인더는 염료를 염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염료의 염착을 기대하기 어렵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원단이 스티프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인더의 사용량은 0.1~0.5중량%를 포함하도록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날염호를 구성하는 상기 호료조제는 바람직하게 증점제 1~3중량부, 금속이온봉쇄제 0.1~1중량부, 사과산 0.1~1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조제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증점제는 레진(Resin)계 증점제 또는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계 증점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 사용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점도가 묽어 날염작업의 어려움이 있고 3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색호의 점성이 너무 높기 때문에 작업에서 원단에 디자인을 구현할 때 원단에 제대로 된 디자인이 구현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호료내부의 혹시 잔류하고 있을 수 있는 금속성분과 결합하는 것으로 그 혼합량이 0.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호료내부의 금속 성분과 제대로 결합을 못하여 원단 디자인할 때 금속봉에 결합이 되어 날염 디자인을 방해하여 핀홀이나, 금속봉에 결합된 금속성분에 의해 제대로 된 디자인을 구현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호료내의 금속 이온과는 잘 결합하여 호료내의 금속성분이 없어지지만 호료의 점도를 높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호료조제는 그 사용량이 1~3중량%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만일, 그 사용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발색에 호료에 의해서 섬유원단과 결합하여 색을 구현하는데, 색의 구현이 쉽지 않으며, 문제가 있고, 3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원단 디자인 작업 이후에 호료를 제거해야하여 수세하는데 제거하는 수세작업이 어려움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염료는 저온분산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날염호를 구성하는 상기 용제는 통상의 기술자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용제를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 구아검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아검을 용제로 사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세 후, 탈수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수세제로는 바람직하게 용제 0.5~3중량부, 소디움하이드록사이드 0.1~2중량부, 가성소다 0.1~3 중량부, R/C제 0.1~3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세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세제는 잔유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R/C제는 염료 및 증점제, 검, 구아닌 등 호료가 염착되지 않고 원단 표면에 남아있는 염료 등에 의해 색상 등이 이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상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날염공정을 적용하여 PP/PET 혼방 복합섬유를 날염하여 보았으며, 준비된 복합섬유는 하기와 같은 중량비율로 포함되도록 제직된 PP/PET복합 섬유를 준비하였다.
#1: PP DTY 50d/36f 89중량%, Span 20D 11중량%;
#2: PP DTY 50/36 33중량%, PP 50/36(Tuck) 22중량%, 항균 PET 50/36 33중량%, Span 20D 12중량%;
#3: PP DTY 50/36 33중량%, PP 50/36(Tuck) 22중량%, PET 50/36 33중량%, Span 20D 12중량%;
#4: PP DTY 50/36 33중량%, PP 50/36(Tuck) 22중량%, PET 50/36 33중량%, Span 20D 12중량%;
#5: PP DTY 75/36 28중량%, PET 50/36(Tuck) 32중량%, PET 75/36 32중량%, Span 20D 8중량%;
#6: PP DTY 75/36 35중량%, PET 50/36(Tuck) 22중량%, PET 50/36 34중량%, Span 20D 9%;
#7: PP DTY 75/36 35중량%, PET 50/36(Tuck) 22중량%, 강연 PET 75/36 34중량%, Span 20D 9중량%;
#8: PP DTY 75/36 35중량%, PET 50/36(Tuck) 22중량%, 항균 PET(ATB) 75/72 34중량% + Span 20D 9중량%
상기 준비된 복합섬유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획디자인과, 그 디자인에 따른 제작 동판을 준비하여, 로터리 프린팅 공정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염료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비율로 염료를 준비하였고, 날염호를 조제함에 있어, 증점제(MV-200; ㈜한송인더스트리) 8.0중량부와 금속이온봉쇄제 1.0중량부와 사과산 0.3중량부를 혼합한 호료조제 10중량%와, 카치온계 바인더(NF-300; ㈜한송인더스트리) 2.0중량%, 염료 0.1~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도록 혼합한 날염호를 준비하였다.
No. | 품번 | 디자인별 Color | Color Recipe |
1 | R-1787 | ① Navy | N/Blue RSE 3.0% + Black TRF 0.5% + Red BLSF 0.5% |
② Orange | Orange ARW 2.0% + Yellow 10G 0.3% | ||
③ Blue | T/Blue SGh 1.8% + Yellow 10G 0.05% | ||
2 | R-1816 | ① Navy | N/Blue RSE 3.0% + Black TRF 0.5% + Red BLSF 0.5% |
② R/Pink | Pink B 1.5% + Yellow 10G 0.15% | ||
③ Blue | T/Blue SGh 1.8% + Yellow 10G 0.05% | ||
④ Pink | Pink B 0.5% | ||
⑤ Yellow | Yellow TA 1.0% + Yellow 10G 0.3% | ||
3 | R-1797 | ① Dark Blue | Blue TGSF 2.5% + T/Blue SGh 0.8% |
② Blue | T/Blue SGh 1.8% + Yellow 10G 0.05% | ||
③ Yellow | Yellow TA 1.0% + Yellow 10G 0.3% | ||
4 | R-1817 | ① Dark Grey | Black TRF 0.8% + AF 0.2% + Red BLSF 0.1% |
② Grey | Black TRF 0.3% + AF 0.08% + Red BLSF 0.04% | ||
③ White Grey | Black TRF 0.15% + AF 0.04% + Red BLSF 0.02% | ||
5 | R-1819 | ① Black | Black S 12% + NF-300 3.0 |
② Grey | Black TRF 1.0% + AF 0.2% + Red BLSF 0.15% | ||
6 | R-1818 | ① Black | Black S 12% + NF-300 3.0 |
② Red | Red SGS 1.5% + Yellow 10G 0.2% | ||
7 | R-1788 | ① Black | Black S 12% + NF-300 3.0 |
② Grey | Black TRF 1.0% + AF 0.2% + Red BLSF 0.15% | ||
③ White Grey | Black TRF 0.15% + AF 0.1% + Red BLSF 0.03% | ||
8 | R-1789 | ① Black | Black S 12% + NF-300 3.0 |
② Grey | Black TRF 1.0% + AF 0.2% + Red BLSF 0.15% | ||
9 | R-1786 | ① Black | Black S 12% + NF-300 3.0 |
상기 표 1에서 표시되고 있는 “%”의 경우 O.W.f(on the weight of fiber)로 섬유 중량 비율 대비 중량%이다. 상기 준비된 PP/PET 혼방 복합섬유(#1~8)를 처리한 후, 준비된 날염호로 각각 품번에 따라 도 2에 준비된 제작동판으로 로터리 프린팅(Rotary Printing)하여 날염하고, 날염한 후 건조기에서 120℃에서 90초간 건조한 다음, 건조가 완료된 복합섬유를 140℃에서 15분간 스티밍(Steaming)하여 스팀증열하였다. 상기 스팀증열 후, 90℃의 온도에서 20분간 수세처리하고, 탈수한 후, 건조기에 120℃의 온도에서 90초간 건조하였다. 건조가 완료된 후, 140℃의 온도에서 5분간 폭을 조정하는 텐터공정을 수행하였다.
이때, 상기 수세처리에 사용된 수세제는 소디움하이드로설파이트 0.1~3중량부, 가성소다 0.1~0.5중량부, R/C제 0.1~0.5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혼합한 수세제를 사용하였다.
<PP/PET 복합소재 날염 적용을 위한 Lab. Test>
1. 소재를 고려한 날염호 처방
PP/PET 소재의 경우 기존 PET 날염과 달리, 증열 온도를 170~180℃로 올릴 경우 PP소재가 녹아 뻣뻣해지는 문제가 있음.
날염공정에서 증열의 경우 발색 뿐 아니라, 염착이 되도록 하는 공정으로 충분히 하지 않을 경우 견뢰도 또한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견뢰도가 좋지 않은 Red Color로 아래 표 2와 같은 처방으로 날염호를 제조하여, Lab.에서 날염 테스트를 진행하여 보았다.
NO | 호제 처방 |
1 | Red BS 2% + 호료 MV-200 8% + 금속이온봉쇄제 1% + 사과산 0.3% |
2 | Red BLSF 2% + 호료 MV-200 8% + 금속이온봉쇄제 1% + 사과산 0.3% |
이 때, 증열 조건은 140℃에서 15min간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또한, 호제 처방을 확립하기 위해, 세탁, 일광, 마찰, 땀, 물 견뢰도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상기 표 2의 No.2의 Red BLSF를 적용한 호제 처방의 날염호로 테스트한 소재가 좀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 변퇴색 | 오염도 | |||||||
Acetate | Cotton | Nylon | PET | Acrylic | Wool | ||||
세탁 | 1 | 3 | 4 | 4 | 2-3 | 4 | 4-5 | 4 | |
2 | 4 | 4 | 4-5 | 3 | 4 | 4-5 | 4-5 | ||
물 | 1 | 4-5 | 3 | 2-3 | 2-3 | 3-4 | 3-4 | 3-4 | |
2 | 4-5 | 3-4 | 4 | 3 | 4 | 4-5 | 4 | ||
땀 | 알칼리 | 1 | 4-5 | 2 | 2-3 | 1-2 | 3 | 3 | 2-3 |
2 | 4-5 | 4 | 4 | 3 | 4 | 4-5 | 4 | ||
산성 | 1 | 4-5 | 2 | 2 | 1-2 | 2-3 | 3 | 2-3 | |
2 | 4-5 | 3-4 | 4 | 3 | 4 | 4-5 | 4 | ||
구 분 | 마찰 | 일광 | |||||||
건 | 습 | ||||||||
1 | 2 | 1 | 3 | ||||||
2 | 4 | 2-3 | 3-4 |
상기에서 언급하였듯이 PP복합소재의 경우 PET와 달리 증열 공정에서 충분한 온도를 부여할 수 없기에 온도 외 증열 시간에 관한 조건 확립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일반적인 PET소재가 170~180℃에서 5~6분간 증열고정을 거치는 것을 고려하여, Red BSLF(표 2의 No.2)를 적용한 날염호제로 5~20분 사이 다양한 증열시간 조건을 Lab. Test를 진행하였다. 시험에는 본 발명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Lab. 날염Test(스크린날염방식), 건조기(열풍방식), 증열기를 적용하여 시험하였으며, 증열을 마친 소재는 표면에 염착되지 않은 잔류 염료가 없도록 충분히 수세한 후 건조하였다.
본 날염테스트 공정순서 및 조건은 날염 --> 건조(140℃) -->증열(140℃, 5~20min) --> 수세 --> 건조(110℃)의 순서로 시험하였다. 증열 시간별 날염된 소재로 최적 조건 확립을 위해, 발색 및 견뢰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때 발색은 CCM측정을 통한 K/S값 측정을, 견뢰도는 상기 호제와 동일 조건에서 작업을 진행한 후 세탁, 일광, 마찰, 땀, 물 견뢰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아래의 표 4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4 및 표 5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증열 시간이 오래될수록 발색 및 견뢰도가 우수해 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PP복합소재의 경우 PET와 달리 140℃에서 최소 15~20min 정도의 시간으로 충분히 증열하여야 발색 및 견뢰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Lab. Test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에서는 15~20min의 증열 공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구 분 | L | a | b | C | h | |
CCM | 5min | 52.80 | 58.08 | 13.60 | 59.65 | 13.18 |
10min | 52.87 | 58.14 | 13.94 | 59.79 | 13.48 | |
15min | 50.67 | 58.92 | 16.88 | 61.29 | 15.99 | |
20min | 50.65 | 59.45 | 17.07 | 61.85 | 16.02 | |
K/S 그래프 |
구 분 | 변퇴색 | 오염도 | |||||||
Acetate | Cotton | Nylon | PET | Acrylic | Wool | ||||
세탁 | 5min | 4 | 3-4 | 4-5 | 2-3 | 3-4 | 4-5 | 4 | |
10min | 4 | 3-4 | 4-5 | 2-3 | 4 | 4-5 | 4-5 | ||
15min | 4 | 4 | 4-5 | 2-3 | 4 | 4-5 | 4-5 | ||
20min | 4 | 4 | 4-5 | 2-3 | 4 | 4-5 | 4 | ||
물 | 5min | 4-5 | 3 | 4 | 3 | 3-4 | 4 | 3-4 | |
10min | 4-5 | 3-4 | 4 | 3 | 4 | 4-5 | 3-4 | ||
15min | 4-5 | 3-4 | 4-5 | 3 | 4 | 4 | 3-4 | ||
20min | 4-5 | 3-4 | 4 | 3 | 4 | 4 | 4 | ||
땀 | 알칼리 | 5min | 4-5 | 3 | 3-4 | 2-3 | 34 | 4 | 3-4 |
10min | 4-5 | 3-4 | 4 | 3 | 4 | 4-5 | 3-4 | ||
15min | 4-5 | 3-4 | 4 | 2-3 | 4 | 4 | 4 | ||
20min | 4-5 | 3-4 | 4 | 2-3 | 4 | 4 | 4 | ||
산성 | 5min | 4-5 | 3-4 | 3-4 | 2-3 | 3-4 | 4 | 3-4 | |
10min | 4-5 | 3-4 | 4 | 3 | 4 | 4-5 | 3-4 | ||
15min | 4-5 | 3-4 | 4 | 2-3 | 3-4 | 4 | 4 | ||
20min | 4-5 | 3-4 | 4 | 3 | 4 | 4 | 4 | ||
구 분 | 마찰 | 일광 | |||||||
건 | 습 | ||||||||
5min | 3-4 | 2-3 | 3 | ||||||
10min | 3-4 | 2-3 | 3-4 | ||||||
15min | 3-4 | 2-3 | 3-4 | ||||||
20min | 3-4 | 2 | 3-4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번아웃단계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가) 상기 날염단계가 완료된 환편물을 100~110℃에서 정련 후, 탈수하여 텐더에서 100~120℃의 온도범위에서 세팅한 다음, 날염기에서 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저온고압분산염료 20~30중량부를 혼합한 염료를 사용하여 인날하는 단계;
(나) 상기 인날단계 후 건조기에서 120~130℃에서 건조하는 단계;
(다) 건조 후, 140℃에서 8~10분간 증열하는 단계;
(라) 증열단계 후, 환원제와 가성소다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온도 60℃조건으로 수세한 다음 탈수하는 단계;
(마) 탈수 후, 건조기에서 100℃의 온도에서 30분간 건조한 다음, 140℃ 이하의 온도범위에서 5분간 폭을 조정하는 텐터공정을 거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a)단계의 호료조제는 증점제 1~3중량부, 금속이온봉쇄제 0.1~1중량부, 사과산 0.1~1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조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a)단계의 상기 바인더는 카치온계 바인더로는 NF-300, AR-901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증점제는 레진(Resin)계 증점제 또는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계 증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d)단계에서 수세는 용제 1~2중량부, 소디움하이드록사이드 0.1~3중량부, 가성소다 0.1~0.5중량부, R/C제 0.1~0.5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세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염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MI값이 34인 폴리프로필렌 폴리머(Polypropylene Polymer)에 10wt% 형광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20wt% 카치온 다이어블 폴리머 마스터 배치 또는 30wt% Al2O3 수용성 PET 마스터 배치를 1~2중량% 도징(Dosing)을 실시하여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하여 된 SDY 50d/36f의 세섬원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염형폴리프로필렌 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는 PP DTY 50d/36f 89중량%, Span 20D 11중량%; PP DTY 50d/36f 33중량%, PP 50d/36f(Tuck) 22중량%, 항균 PET 50d/36f 33중량%, Span 20D 12중량%; PP DTY 50d/36f 33중량%, PP 50d/36f(Tuck) 22중량%, PET 50d/36f 33중량%, Span 20D 12중량%; PP DTY 50d/36f 33중량%, PP 50d/36f(Tuck) 22중량%, PET 50d/36f 33중량%, Span 20D 12중량%; PP DTY 75d/36f 28중량%, PET 50d/36f(Tuck) 32중량%, PET 75d/36f 32중량%, Span 20D 8중량%; PP DTY 75d/36f 35중량%, PET 50d/36f(Tuck) 22중량%, PET 50d/36f 34중량%, Span 20D 9중량%; PP DTY 75d/36f 35중량%, PET 50d/36f(Tuck) 22중량%, 강연 PET 75d/36f (34)중량%, Span 20D 9중량%; PP DTY 75d/36f 35중량%, PET 50/36(Tuck) 22중량%, 항균 PET(ATB) 75d/72f 34중량%, Span 20D 9중량%의 중량비율로 구성된 복합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개시되는 완성된 본 발명의 날염원단을 사용하여 보온성 경량레쉬가드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날염섬유의 일면에 실리콘 100중량부에 대항 경화제 10~15중량부를 혼합한 실리콘 수지를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이형지(release paper)에 코팅한 다음, 170~210℃에서 15초간 1차 숙성하고, 그 상면에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2차 실리콘 코팅을 한 다음 180~190℃의 온도조건에서 15초간 2차 숙성시킨 다음, 날염원단을 부착시켜 롤러프레스를 이용하여 열압착하여 실리콘을 코팅하고, 코팅된 원단과 이형지를 분리한 다음 170~210℃의 온도에서 숙성하여 완성되는 실리콘을 코팅한 원단을 사용하는 보온성 레쉬가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완성하기 위하여 실시한 다양한 실험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험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되는 실험형태로 그 실험내용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변형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을 완성하기 위하여, 발명자들은 염료의 분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압고온분산염료군(오영산업) : Yellow GFS, Red BS, Blue 2BLN; 저온분산염료군(한송인더스트리) : Yellow HA-WF, Red HAR, Blue HA를 선정하여 염액이 여과지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 및 잔여물 상태를 분석하여 분산성을 테스트하여 보았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으며, 분산성 등급은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6은 분산성 테스트 결과이고, 표 7은 분산성 등급판정결과표이다.
구분 | 저온(s) | 고온(s) |
RED BS | 21 | 600↑ |
RED HA-R 200% | 16 | 42 |
YELLOW GFS | 32 | 600↑ |
YELLOW HA-WF 100% | 20 | 16 |
BLUE 2BLN | 600↑ | 600↑ |
BLUE HA-G 200% | 27 | 315↑ |
구분 | 여과에 걸린 시간( 초:s ) | 여과지 잔여분 | |
등급 | 5 | 0s ~ 24s | 우수한 분산성(Excellent dispersibility) |
4 | 25s ~ 49s | ||
3 | 50s ~ 74s | ||
2 | 75s ~ 120s | ||
1 | 120s이상 | 불량한 분산성(Poor dispersibility) |
상기 표 6의 결과, 저온분산염료군이 온도에 관계없이 분산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 표 8은 분산성 테스 필터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완성하기 위하여, 상용성, 호환성을 고려한 최적 호료 배합을 위해 날염에서 호료 배합시 중용한 증점제 2종을 TGA, GC-MS, FT-I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의 도시된 그래프를 참고하여 판단하여 본 결과, 레진(Resin)계 증점제와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계 증점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PP복합소재의 날염공정 적용을 위하여 예비 실험을 하여 보았으며, 그 실험방법 및 결과를 하기 표 9 내지 표 12에 나타내었다.
표 8은 날염공정 조건을 예시한 것이고, 표 9는 그 날염조건에 따라 날염된 원단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표 10은 선 날염된 원단을 번아웃 공정을 예시한 것이고, 표 11은 번아웃 전과 후의 원단을 비교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순서 | 적용공정 | 내용 |
1 | 날염 | 저온염료군 사용 목수를 최대로 함(155목이상) |
2 | 건조 | 120~130℃건조온도 |
3 | 증열 | 140℃×10min |
4 | 수세 | 환원제 1%, 가성소다 1% 60℃ 수세 |
PP/PET 소재의 예비 날염 Test 진행을 통한 결과에 따라, 상기 설계된 공정으로 Color별 날염 Test를 통해 애로사항 점검을 진행하였다.
이 때 사용한 염료는 상기 분석한 6종 염료이며, Test조건 또한 상기 설계한 조건으로 진행하였다.
날염된 샘플의 경우 표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저온공정에서 적용된 만큼 저온성 분산염료로 날염된 샘플의 색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순서 | 적용공정 | 내용 |
1 | Burn-out | Span Burn-out |
2 | 건조 | 120~130℃건조온도 |
3 | 증열 | 140℃×8~10min |
4 | 수세 | 환원제 1%, 가성소다 1% 60℃ 수세 |
5 | Tenter | 130℃이하 |
또한 다양한 디자인 적용을 위해, 상시 날염공정을 적용하여 원단샘플 6개를 선정하고, 그 6개의 원단을 날염하고 난 후, Burn-out공정을 적용하여 보고, 번아웃 전과 후의 원단을 비교하여 보았으며, 그 결과는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다.
Burn-out공정의 경우 상기 날염공정과 동일하게, 모든 공정이 100~130℃ 사이에서 이루어지도록 관리하였다.
두 차례에 거쳐 시험하여 보았으며, 1차 Test시 Tenter공정에서의 온도관리 실패로 원단이 뻣뻣해지는 결과를 보였고, 이에 2차 Test시 130℃ 이하의 온도에서 Tenter공정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Burn-out 전과 동일한 Touch감의 소재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 및 그 날염섬유를 이용한 보온성 경량레쉬가드는 가염PP 또는 가염PP/PET(NYLON)과 같은 합성섬유의 날염 공정의 경우, PP의 저온 날염 공정에 의한 PET(NYLON)의 고온 날염 공정의 어려움이 있지만, 이러한 온도 차이를 극복하고 날염이 가능하도록 함과 또한 다양한 디자인 구현과 제품의 다양한 용도전개가 가능한 이점 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PP소재를 적용함으로써 경량성, 흡한속건, 보온성 등의 장점을 갖추고 있으면서, 어느 정도 부력을 가지게 됨으로 인해 안전성을 확보한 패셔너블한 수중 스포츠웨어인 레쉬가드에 적용 가능한 뿐만 아니라, 기타 다양한 스포츠웨어로도 응용확대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1)
- 삭제
- 가염형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형폴리프로필렌 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를 준비하고, 상기 섬유를 양면환편기를 사용하여 더블레이어 조직으로 환편된 환편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환편물을 저온성분산염료를 사용하여 날염하는 단계; 및 상기 날염이 완료된 날염원단을 번아웃시키는 번아웃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날염하는 단계는 (a) 환편물을 전처리한 후, 저온성분산염료 0.1~5중량%, 호료조제 1~3중량%, NF-300 또는 AR-901의 카치온계바인더 0.1~3중량% 및 잔량의 용제를 포함하는 날염호로 로터리프린팅(Rotary Printing)하여 날염하는 단계;와, (b) 상기 날염 후, 건조기에서 120~130℃ 온도에서 90±5초간 건조하는 단계;와, (c) 상기 건조가 완료된 복합섬유를 140℃의 온도조건에서 10분간 스팀증열하는 단계;와, (d) 상기 스팀증열 후, 90±5℃의 온도조건에서 5~20분간 수세한 후, 탈수하는 단계;와, (e) 상기 탈수 후, 120℃ 이하의 온도조건에서 90±5초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번아웃 단계는 (가) 상기 날염단계가 완료된 환편물을 100~110℃에서 정련 후, 탈수하여 텐더에서 100~120℃의 온도범위에서 세팅한 다음, 날염기에서 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저온고압분산염료 20~30중량부를 혼합한 염료를 사용하여 인날하는 단계;와, (나) 상기 인날단계 후 건조기에서 120~130℃에서 건조하는 단계;와, (다) 건조 후, 140℃에서 8~10분간 증열하는 단계;와, (라) 증열단계 후, 환원제와 가성소다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온도 60℃ 조건으로 수세한 다음 탈수하는 단계;와, (마) 탈수 후, 건조기에서 100℃의 온도에서 30분간 건조한 다음, 140℃ 이하의 온도범위에서 5분간 폭을 조정하는 텐터공정을 거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날염하는 단계중 상기 (a)단계의 호료조제는 레진(Resin)계 증점제 또는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계 증점제 1~3중량부, 금속이온봉쇄제 0.1~1중량부, 사과산 0.1~1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조제를 사용하고,
상기 (d)단계에서 수세는 용제 1~2중량부, 소디움하이드록사이드 0.1~3중량부, 가성소다 0.1~0.5중량부, R/C제 0.1~0.5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세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염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MI(melt index)값이 34인 폴리프로필렌 폴리머(Polypropylene Polymer)에 10wt% 형광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20wt% 카치온 다이어블 폴리머 마스터 배치 또는 30wt% Al2O3 수용성 PET 마스터 배치를 1~2중량% 도징(Dosing)을 실시하여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하여 된 SDY 50d/36f의 세섬원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염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는 PP DTY 50d/36f 89중량%, Span 20D 11중량%; PP DTY 50d/36f 33중량%, PP 50d/36f(Tuck) 22중량%, 항균 PET 50d/36f 33중량%, Span 20D 12중량%; PP DTY 50d/36f 33중량%, PP 50d/36f(Tuck) 22중량%, PET 50d/36f 33중량%, Span 20D 12중량%; PP DTY 50d/36f 33중량%, PP 50d/36f(Tuck) 22중량%, PET 50d/36f 33중량%, Span 20D 12중량%; PP DTY 75d/36f 28중량%, PET 50d/36f(Tuck) 32중량%, PET 75d/36f 32중량%, Span 20D 8중량%; PP DTY 75d/36f 35중량%, PET 50d/36f(Tuck) 22중량%, PET 50d/36f 34중량%, Span 20D 9중량%; PP DTY 75d/36f 35중량%, PET 50d/36f(Tuck) 22중량%, 강연 PET 75d/36f (34)중량%, Span 20D 9중량%; PP DTY 75d/36f 35중량%, PET 50/36(Tuck) 22중량%, 항균 PET(ATB) 75d/72f 34중량%, Span 20D 9중량%의 중량비율로 구성된 복합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
- 제 2항, 제8항 또는 제 9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날염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날염섬유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날염섬유의 일면에 실리콘 100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10~15중량부를 혼합한 실리콘 수지를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이형지(release paper)에 코팅한 다음, 170~210℃에서 15초간 1차 숙성하고, 그 상면에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2차 실리콘 코팅을 한 다음 180~190℃의 온도조건에서 15초간 2차 숙성시킨 다음, 부착시켜 롤러프레스를 이용하여 열압착하여 실리콘을 코팅하고, 코팅된 날염섬유와 이형지를 분리한 다음 170~210℃의 온도에서 숙성하여 완성되는 실리콘을 코팅한 날염섬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경량레쉬가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04072 | 2019-01-11 | ||
KR1020190004072 | 2019-01-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8227A KR20200088227A (ko) | 2020-07-22 |
KR102300893B1 true KR102300893B1 (ko) | 2021-09-14 |
Family
ID=7189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3781A KR102300893B1 (ko) | 2019-01-11 | 2020-01-10 |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 및 그 날염섬유를 이용한 보온성 경량레쉬가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089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521847A (ja) * | 2012-07-19 | 2014-08-28 | チョンサ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互いに異なる液状シリコンゴムコーティング液を利用した合成皮革の製造方法 |
KR101907595B1 (ko) * | 2017-12-26 | 2018-10-15 | 주식회사 무창섬유 | 폴리프로필렌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5019B1 (ko) | 2009-07-27 | 2009-11-03 | (주)현대특수나염 | 날염 및 착색 번아웃 동시 가공용 날염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날염 및 착색 번아웃 동시 가공 방법 |
KR101230098B1 (ko) | 2011-04-26 | 2013-02-05 | 박재홍 | 폴리프로필렌 섬유소재의 날염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섬유소재 |
KR20140082080A (ko) * | 2012-12-21 | 2014-07-02 | 주식회사 나노시스 | 염료를 이용한 혼방 편물의 착색번아웃 방법 |
JP6609242B2 (ja) | 2014-03-31 | 2019-11-20 | 日本化薬株式会社 | インク組成物及び捺染方法 |
-
2020
- 2020-01-10 KR KR1020200003781A patent/KR1023008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521847A (ja) * | 2012-07-19 | 2014-08-28 | チョンサ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互いに異なる液状シリコンゴムコーティング液を利用した合成皮革の製造方法 |
KR101907595B1 (ko) * | 2017-12-26 | 2018-10-15 | 주식회사 무창섬유 | 폴리프로필렌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8227A (ko) | 2020-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an | A novel green treatment for textiles: plasma treatment as a sustainable technology | |
Holme | Coloration of technical textiles | |
Joshi et al. | Dyeing and finishing of lyocell union fabrics: an industrial study | |
Othman et al. | Printing techniques of silk fabric | |
TWI619773B (zh) | Acid dye composition and dyeing method using same | |
KR102300893B1 (ko) |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 및 그 날염섬유를 이용한 보온성 경량레쉬가드 | |
KR101907595B1 (ko) | 폴리프로필렌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 | |
KR102573320B1 (ko) | 재활용 면을 이용한 생분해성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 |
KR101760482B1 (ko) | 폴리프로필렌 원단의 번아웃 방법 | |
KR101230098B1 (ko) | 폴리프로필렌 섬유소재의 날염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섬유소재 | |
JP2000096439A (ja) | 合成系繊維材料の抜蝕剤および抜蝕加工方法 | |
JP5385758B2 (ja) | 高堅牢度織編物 | |
KR100828158B1 (ko) | 문양 직물 및 그 문양의 부각방법 | |
CA3042500C (en) | Textile materials containing dyed polyphenylene sulfide fiber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 |
Aitova et al. | The intensification of the processes of printing and dyeing of natural protein fiber using redox systems | |
Bigambo et al. | Investigation into the removal of pigment, sulphur and vat colourants from cotton textiles and implications for waste cellulosic recycling | |
KR102360127B1 (ko) | 원착 폴리에스테르 해도형 복합사를 이용한 부직포 인공피혁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08133552A (ja) | 全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の染色方法及びその染色方法により染色されてなる全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染色物 | |
JP2007016346A (ja) | アラミド繊維製布帛の捺染方法 | |
KR101593468B1 (ko) | 실크원단의 번-아웃 스크린날염 가공법으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입체 실크 직물 | |
JP3692475B2 (ja) | 繊維製品の斑染め染色方法 | |
Othman et al. | Various Printing Techniques of Viscose/polyester Fabric to Enhancing its Performance Properties | |
Nandhini et al. | Acid and Reactive dyes for Sericin treated polyester fabric | |
KR20170064461A (ko) | 폴리에스터 스판 원단의 번아웃 방법 | |
KR100359469B1 (ko) | 폴리올레핀 부직포의 날염처리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