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887B1 -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887B1
KR102300887B1 KR1020140117313A KR20140117313A KR102300887B1 KR 102300887 B1 KR102300887 B1 KR 102300887B1 KR 1020140117313 A KR1020140117313 A KR 1020140117313A KR 20140117313 A KR20140117313 A KR 20140117313A KR 102300887 B1 KR102300887 B1 KR 102300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ting
service
user terminal
grou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719A (ko
Inventor
신옥희
Original Assignee
신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옥희 filed Critical 신옥희
Publication of KR20150027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인원을 제한하여 서비스의 희소성을 높이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서비스는 콘텐츠 제공자의 자원이나 네트워크 자원이 허락하는 한 최대한 많은 이용자의 동시 접속을 허용한다.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14345호는 콘텐츠 다운로드 시스템 및 콘텐츠 서버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콘텐츠서버 시스템은 콘텐츠를 요청한 복수의 사용자단말로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온라인 서비스나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해 누구나 실시간으로 접근 가능하고, 이와 같은 접근 용이성은 오히려 콘텐츠의 희소가치를 하락시킬 수 있다.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흥미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인원을 제한하여 서비스의 희소성을 높이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간이 한정되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높이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단말과 서비스제공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비스제공서버는 서비스관리부, 대기그룹관리부, 대기자리스트관리부, 사용자정보관리부, 대기방제공부, 포인트관리부,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받는 사용자의 인원을 제한하여 서비스의 희소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간이 한정되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비스제공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서비스제공서버에서 사용자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대기자의 이탈 여부 확인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단말(100)과, 서비스제공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0)은 후술할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단말(100)에는 서비스제공서버(200)와 네트워크(N)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과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단말(10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처리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를 우선 정리한다.
이하에서 '서비스'는 온라인에서 콘텐츠 그 외 오프라인 상의 재화 등의 생성, 소비, 교환, 거래 등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하는 행위로서, 예를 들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행위가 될 수도 있고, 게임이나 채팅방 등 온라인 상에서 독립적으로 구분되는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행위가 될 수 있으며, 특정 콘텐츠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행위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콘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어떠한 형태의 데이터라도 될 수 있다.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물품이나 서비스 등의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대기그룹'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복수의 사용자단말(100)을 포함하는 그룹이다. 또한 대기그룹은 대기하고 있는 사용자단말(100)의 수에 따라 다시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대기자’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대기그룹에 포함되는 사용자단말(100)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서비스제공서버(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비스제공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서비스관리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관리부(210)는 사용자단말(100)로 제공되는 복수의 단위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단위서비스는 하나의 채팅방, 하나의 게임방, 하나의 콘텐츠(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콘텐츠 등,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웹페이지나 웹페이지의 그룹) 등을 제공하는 행위와 같이 독립적으로 구분되는 각각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또는 본 발명에서 단위서비스는 동일한 성격의 둘 이상의 채팅방의 그룹, 둘 이상의 게임방의 그룹, 둘 이상의 콘텐츠의 그룹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관리부(210)는 이와 같은 단위서비스를 각각 식별하고 단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을 각각의 단위서비스에 대해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관리부(21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리스트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단말(100)로 서비스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리스트는 서비스관리부(210)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단위서비스를 선택 가능하게 나열한 리스트이다.
서비스관리부(210)는 현재 진행되는 단위서비스가 하나 이상이면,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단말(100)로 하나 이상의 단위서비스에 대한 서비스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관리부(210)는 서비스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 중, 사용자단말(10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대기방제공부(250), 서비스제공부(270) 등은 이와 같이 서비스리스트에서 사용자단말(100)에 의해 선택된 단위서비스 또는 그에 대응하는 대기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대기그룹관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그룹관리부(220)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단말(100)들이 포함된 대기그룹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대기그룹관리부(220)는 단위서비스에 대응하는 대기그룹들을 각각 식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단위서비스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대기그룹이 대응될 수 있다.
대기그룹관리부(220)는 임의의 단위서비스와 대응하는 대기그룹이 하나 이상이면, 해당 단위서비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대기그룹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그룹관리부(220)는 대기그룹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대기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대기그룹이 사용자단말(100)에 의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후술할 대기방제공부(250)는 대기그룹 리스트에서 사용자단말(100)에 의해 선택된 대기그룹에 대응하는 대기방을 사용자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기그룹관리부(220)는 대기그룹에 속한 대기자의 수가 해당 대기그룹에 대해 설정된 최대 사용자단말(100)의 수를 초과하면, 그에 대응되는 새로운 대기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대기자리스트관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자리스트관리부(230)는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단말(100)을 해당 서비스와 대응하는 대기그룹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대기자리스트관리부(230)는 하나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동일한 하나의 대기그룹에 속한 대기자들을 하나의 대기자리스트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자리스트는 대기자들의 식별정보를 대기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작성될 수 있다. 즉, 대기자리스트관리부(230)는 특정 대기그룹에 속한 대기자들을 대기순서로 나열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대기자리스트관리부(230)는 대기그룹에 등록을 요청한 순서대로, 대기자들의 대기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대기자리스트관리부(230)는 대기순서에 대응되는 대기순번을 각각의 대기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대기자리스트관리부(230)는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100)로서 지속적으로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사용자단말(100)만을 대기자로 관리하기 위하여, 대기자들의 대기그룹에 대한 이탈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접속지향형(connection-oriented) 통신방식으로 대기방을 제공하는 경우, 대기자리스트관리부(230)는 특정 대기그룹에 속한 각각의 대기자의 사용자단말(100)과 서비스제공서버(200) 사이에 설정된 연결이 해제되는지 감시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연결이 해제된 사용자단말(100)에 대응하는 대기자는 대기자리스트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서버(200)가 비접속형 (connectionless) 통신방식으로 대기방을 대기자들에게 제공하는 경우, 대기자리스트관리부(230)는 대기그룹에 속한 대기자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 내에 지속적으로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에 한하여 대기자를 대기자리스트내에 유지할 수 있다. 반면 대기자리스트관리부(230)는 대기그룹에서 해당 사용자단말(100)에 대응하는 대기자의 응답이 미리 설정된 주기가 경과할 때까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대기자를 대기자리스트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대기자리스트관리부(230)는 이와 같이 대기 상태를 이탈한 대기자를 대기자리스트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대기자들의 대기순서나 대기순번을 정리할 수 있다. 또한 대기자리스트관리부(230)는 사용자단말(100)의 대기순서가 변경되면, 변경된 사용자단말(100)의 대기순서를 재배열하고, 재배열된 대기자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즉, 대기자리스트관리부(23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대기순서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순서에 따라 대기자리스트에서 대기자들의 식별정보의 배열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사용자정보관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정보관리부(240)는 사용자단말(100)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정보는 사용자단말(100)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성명, 성별, 이미지, 나이 등의 프로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대기방제공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방제공부(250)는 대기그룹에 속한 각각에 사용자단말(100)로 대기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대기방은 하나의 단위서비스에 대한 하나의 대기그룹에 포함된 대기자들에게 제공되는 가상의 방으로서, 하나의 대기그룹에 포함된 다수의 대기자들이 서비스를 제공받기에 앞서 대기하도록 한다.
또한 대기방제공부(250)는 대기자리스트관리부(230)로부터 전달받은 대기자리스트에 기초하여, 대기자들의 사용자정보를 대기자들의 배열순서에 따라 배열한 대기자정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방제공부(250)는 생성된 대기자정보리스트를 대기그룹에 속한 사용자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단말(100)에서는 동일한 대기방에서 대기하는 다른 대기자들의 사용자정보와 대기자들의 대기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대기방제공부(250)는 대기자리스트관리부(230)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대기자리스트 내의 대기자 식별정보 및 대기자의 배열순서에 맞추어 대기자정보리스트에 포함된 사용자정보와 사용자정보의 배열순서를 실시간으로 변경하면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기방제공부(250)는 서비스관리부(210)로부터 전달받은, 대기그룹에 서비스가 제공되는 시간, 복수의 대기그룹에 서비스가 제공되는 순서, 또는 한번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최대 대기자 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단위서비스의 제공을 기다리고 있는 복수의 대기그룹에 대해서는, 해당 단위서비스가 서로 다른 시간에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대기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해당 대기그룹에 단위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설정된 시간에 일시에 단위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의 수는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대기방제공부(25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대기자정보리스트에 포함된 임의의 대기자가 선택되면, 선택된 대기자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용자정보를 사용자정보관리부(240)로부터 전달받아, 사용자단말(10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포인트관리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트관리부(260)는 사용자단말(100) 각각에 대한 포인트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관리부(260)는 상술한 대기자리스트관리부(240)가 사용자단말(100)의 대기순서 변경요청에 따라 대기순서를 변경한 경우, 사용자단말(100)에 적립된 보유포인트가 차감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트관리부(26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사용자단말(100)의 현재 대기순서보다 앞선 순서로의 변경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단말(100)에 적립된 보유포인트가 차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관리부(26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대기순서 변경요청이 사용자단말(100)의 현재 대기순서보다 앞선 순서가 아닌 경우, 사용자단말(100)에 적립된 보유포인트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서비스제공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제공부(270)는 임의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대기그룹에 속한 사용자단말(100)로 해당 대기그룹이 종속된 단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부(270)는 서비스관리부(210)가 설정한 대기그룹에 단위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간, 복수의 대기그룹에 서비스가 제공되는 순서, 또는 한번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최대 사용자단말(100)의 수 등의 정보에 따라, 복수의 대기자 중 일부 대기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번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최대 사용자단말(100)의 수가 3으로 제한된 경우, 서비스제공부(270)는 이번 차례에 대기순번 1번부터 3번인 대기자들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부(270)에서 4번 이하의 대기순번을 갖는 대기자들은 다시 다음 서비스 제공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제공부(270)는 대기그룹에 서비스 제공시간이 도래하면, 각각의 대기그룹마다 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시간은 대기그룹에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서, 주기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부(270)는 각각에 대기그룹에 대하여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비스 제공시간이 달리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동일한 하나의 단위서비스에 대하여 복수의 대기그룹이 있는 경우, 각각의 대기자들이 속한 대기그룹으로 각각 설정된 서비스 제공시간에 단위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부(270)는 단위서비스의 최초 제공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이 지나면 해당 단위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든 사용자단말(100)에 대해 서비스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제공부(270)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채팅방서비스일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제공부(270)는 동일한 채팅방을 제공받는 복수의 사용자단말(100)이 그룹채팅을 하도록, 복수의 사용자단말(100)로 채팅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제공부(270)는 채팅방서비스에서 사용자단말(100)로부터 다른 사용자단말(100)로의 일대일 채팅방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일대일 채팅방을 제공 요청한 사용자단말(100)과 사용자단말(100)이 지정한 다른 사용자단말(100)에게만 일대일 채팅방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부(270)는 하나의 단위서비스로서 하나의 채팅방을 복수의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들이 그룹채팅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제공부(270)는 하나의 채팅방의 제공 개시 시점을 서로 다른 복수의 대기그룹에 대하여 달리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명칭이 ‘강남역’, 역삼역’, ‘선릉역’인 서로 다른 세 개의 대기방이 구성된 경우, 서비스제공부(270)는 하나의 채팅방을 ‘강남역’ 대기방을 제공받는 사용자들에게 먼저 제공하기 시작한 후, ‘강남역’ 대기방에서 대기한 후 채팅방을 제공받은 사용자들이 대화를 나누는 도중에 ‘역삼역’ 대기방을 제공받는 사용자들에게 해당 채팅방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선릉역’ 대기방을 제공받는 사용자들은 해당 채팅방이 대기자들에게 개방될 때까지 줄을 서서 대기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제공부(270)가 한번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단말(100)의 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 ‘선릉역’ 대기방을 제공받는 사용자들은 채팅방이 ‘선릉역’ 대기방에 개방되기 전에 자신의 대기순서를 보다 앞선 순서로 변경하여 보다 일찍 채팅방에 참여할 수 있다. 또는 ‘선릉역’ 대기방을 제공받는 사용자들은 자신과 함께 대기하고 있는 다른 대기자들의 사용자정보를 열람하면서, 채팅방에 함께 참여하고자 하는 대기자를 검색하여 검색된 대기자와 동일한 순번에 채팅방을 제공받기 위하여 사용자 자신의 대기순서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부(270)는 이와 같이 하나의 채팅방을 제공하면서, 사용자가 동일한 채팅방을 제공받는 다른 사용자들과 그룹채팅을 하는 도중에 좀 더 개인적인 대화를 나누고자 하는 상대방을 선택하여 일대일 대화를 요청하면, 해당 채팅방 내에서 다시 일대일 채팅방을 생성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단위서비스를 제공받고자 대기하는 각각의 사용자단말(10)이 포함되는 대기그룹은 해당 단위서비스에 종속된 복수의 대기그룹 중, 해당 사용자단말(10)이 선택한 대기그룹, 무작위로 선택된 대기그룹, 또는 사용자단말(10)의 위치에 기반하여 선택된 대기그룹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물론 이 외에 사용자단말(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대기그룹 등, 다른 방식에 의하여 선택되는 대기그룹이 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서비스제공서버에서 사용자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제공서버(200)는 단위서비스에 대응하는 대기그룹을 추출하여(S111) 사용자단말(100)로 대기그룹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S112).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100)은 제공받은 대기그룹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S113), 서비스제공서버(200)로 S113단계에서 선택한 대기그룹에 대응하는 대기자정보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S114).
이어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선택된 대기그룹에 대응하는 대기자리스트에 사용자단말(100)을 대기자로 등록할 수 있다(S115).
또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대기그룹에 연관된 대기방을 추출하고(S116), 추출한 대기방에 대한 대기자정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S117). 이때 대기자정보리스트는 대기자리스트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대기자들의 사용자정보를 배열함으로써 생성되는 리스트이다.
또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대기방에 S116단계에서 생성한 대기자정보리스트를 포함시켜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S118).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100)은 서비스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대기자정보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119).
그리고 사용자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하여 대기순서 변경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S120). 그에 따라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의 사용자로부터 대기순서 변경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21).
이때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사용자단말(100)의 현재 대기순서보다 앞선 순서로 변경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22). 그리고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의 현재 대기순서보다 앞선 대기순서로 변경된 만큼 사용자단말(100)의 보유포인트를 차감할 수 있다(S123).
이어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의 보유포인트가 차감되면, 사용자단말(100)의 현재 대기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S124).
한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변경요청이 현재 대기순서보다 앞선 순서에 대한 것이 아닌 경우(S122), 사용자단말(100)의 보유포인트 차감 없이 사용자단말(100)의 현재 대기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S124).
그에 따라 서비스제공서버(200)는 S124단계를 통해 변경된 대기순서에 따라 대기자리스트의 대기자 식별정보를 재배열할 수 있다(S125). 이때 S125단계에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대기자리스트 내의 대기자 식별정보 및 대기자의 배열순서에 맞추어 대기자정보리스트에 포함된 사용자정보 및 그 배열순서를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S126).
또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이와 같이 대기그룹에 속한 대기자들에게 대기방을 제공하는 도중에, 해당 대기그룹에 대한 서비스 제공 시간이 도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127).
이어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S127단계에서 특정 대기그룹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간이나 순서가 도래하면, 해당 차례에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미리 설정된 대기순서와 사용자단말(100)의 현재 대기순서가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128).
이때 서비스제공서버(200)는 S128단계에서 미리 제한된 대기순서와 사용자단말(100)의 현재 대기순서가 대응하면, 사용자단말(100)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129).
이때 사용자단말(100)은 서비스제공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를 표시할 수 있다(S130).
그러나 S128단계에서 사용자단말(100)의 현재 대기순서가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미리 설정된 대기순서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제공서버(200)는 해당 대기그룹에 대하여 다음번의 서비스 제공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사용자단말(100)로 대기방 제공을 지속한다.
한편 서비스제공서버(200)는 S130단계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100)에 대응하는 대기자의 식별정보는 상술한 대기자리스트에서 제외함으로써,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 나머지 대기자들의 대기순서가 앞당겨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대기자의 이탈 여부 확인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대기그룹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11). 이때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요청된 대기그룹에 사용자단말(100)을 등록시킬 수 있다(S212).
또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S212단계에서 대기그룹에 등록된 사용자단말(100)이 대기방을 이탈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13). 즉, 서비스제공서버(200)는 해당 사용자단말(100)과 서비스제공서버(200)와의 사이에 설정되어있는 연결이 해제되거나, 연결이 해제되지는 않았으나 해당 사용자단말(100)이 서비스제공서버(200)로 대기방을 이탈하는 요청을 하거나, 해당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신되도록 설정된 신호의 수신이 중단되는 등의 경우, 해당 사용자단말(100)이 대기방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제공서버(200)는 대기그룹과 사용자단말(100)의 연결이 지속되는 경우, 즉, 해당 사용자단말(100)이 해당 대기그룹을 이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사용자단말(100)에 대하여 대기그룹에 대한 서비스 제공시간이 도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S214).
이어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S214단계에서 대기그룹에 서비스 제공시간이 도래하면, 대기그룹에 포함된 사용자단말(100)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215).
반면 서비스제공서버(200)는 S213단계에서 대기그룹과 사용자단말(100)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대기그룹에 대응하는 대기자리스트에서 사용자단말(100)을 제외하고(S216), 대기자리스트에서 대기자의 배열순서를 재배열 할 수 있다(S217).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제공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서비스(채팅방 1, 채팅방 2)를 제공받기 위해 복수의 대기방(그룹 1, 그룹 2에 각각 대응하는 대기방)에서 사용자들이 대기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주기나 시간에 따라 각각의 대기그룹에게 단위서비스의 제공이 개시되는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그룹 1이 그룹 2보다 먼저 채팅방 1에 참여 가능하게 스케줄링 될 수 있다.
사용자 A, B, C와 D, E, F는 각각 그룹 1과 2에 나누어 채팅방 1의 제공이 개시될 시간의 도래에 대기할 수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채팅방 1은 우선 사용자 A, B, C에게 개방된다. 즉 대기방에 속해 있던 사용자에게 채팅방 1이 제공된다.
그룹 1에 속한 사용자 A, B, C 중 기 설정된 대기순서 내에 포함되는 사용자 A, B만이 우선 채팅방 1에 참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 A, B는 채팅방 1에 미리 참여하고 있던 다른 사용자들과 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참여한 다른 사용자는 채팅방 1이 그룹 1에 개방되는 시간보다 앞선 시간에 채팅방 1에 참여한 사용자들이다.
한편 해당 시간이 경과하면 채팅방 1은 이어서 그룹 2에 속하는 대기자들 중 적어도 일부에게 제공되며, 그에 따라 그룹 2에 속하는 대기자들은 미리 채팅방 1에 참여한 사용자 A, B와 대화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들은 채팅방이나 대기방에서 언제든지 이탈할 수 있고, 현재 속한 그룹 외의 다른 그룹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서비스에 대해서 사용자들이 줄을 서서 소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자신의 차례가 될 때까지 서비스를 열람하지 못하거나 서비스에 대해 정해진 액션을 수행할 수 없이 대기하게 되고,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을 고양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상의 줄서기를 통해 선착순으로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를 온라인 상에서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으로 한정판 상품을 판매하면서 상품에 대한 판매 페이지를 선착순으로 접근 가능하게 하거나, 특정인의 온라인 상담에 대해 수요자들을 줄을 서서 대기한 후 상담 가능하게 하거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한번에 제한된 인원만 소비 가능하도록 하여 서비스에 대한 나머지 수요자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등,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양한 마케팅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10 : 서비스 제공시스템 100 : 사용자단말
200 : 서비스제공서버 210 : 서비스관리부
220 : 대기그룹관리부 230 : 대기자리스트관리부
240 : 사용자정보관리부 250 : 대기방제공부
260 : 포인트관리부 270 : 서비스제공부

Claims (15)

  1.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단말과 통신하여, 각각의 사용자단말이 요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특정 단위서비스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사용자단말을, 상기 단위서비스에 종속되는 복수의 대기그룹 중 선택된 제 1 대기그룹에 대하여, 상기 제 1 대기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단말을 대기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열한 리스트인 상기 제 1 대기그룹의 대기자리스트에 대기자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사용자단말이 대기자로 등록된 제1대기그룹에 대응하는 대기방을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대기그룹에 대한 서비스 제공 시간 또는 순서가 도래하면, 상기 제1대기그룹에 등록된 복수의 대기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로 상기 단위서비스의 제공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방을 상기 제 1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대기그룹의 대기자리스트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상기 대기순서에 따라 나열하여 작성된 대기자정보리스트를 상기 제 1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서비스의 제공을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대기그룹에 대한 서비스 제공 시간 또는 순서가 도래하였을 때, 상기 제1사용자단말이 미리 설정된 대기순서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단위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대기그룹에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을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서비스에는 상기 제1대기그룹을 포함한 복수의 대기그룹이 종속되고, 상기 단위서비스에 종속된 각각의 대기그룹에 대해서 서로 다른 서비스 제공 시간 또는 순서가 미리 설정되는, 서비스제공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방을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대기자리스트에 대한 상기 제1사용자단말의 대기순서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단말의 대기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방을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의 상기 대기방에 대한 이탈 여부를 지속하여 감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사용자단말이 상기 대기방을 이탈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을 상기 제1대기그룹의 대기자리스트에서 삭제하고 대기순서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방법.
  9.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단말과 통신하여, 각각의 사용자단말이 요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단말로 제공될 복수의 단위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관리부;
    각각의 단위서비스에 종속되는 대기그룹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대기그룹관리부;
    각각의 대기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단말들을 대기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작성되는 대기자리스트를 관리하는 대기자리스트관리부;
    각각의 대기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단말들로, 각각의 사용자단말이 속한 대기그룹에 대응하는 대기방을 제공하는 대기방제공부; 그리고
    임의의 단위서비스에 종속되는 하나 이상의 대기그룹에 대해 순차적으로 도래하도록 미리 설정되는 서비스 제공 시간 또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의 대기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단말에 대한 상기 단위서비스의 제공을 개시하는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방제공부는,
    각각의 대기그룹의 대기자리스트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대기순서에 따라 나열하여 작성된 대기자정보리스트를 각각의 대기그룹의 대기자리스트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현재에 서비스 제공 시간 또는 순서가 도래한 대기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단말 중, 미리 설정된 대기순서에 내에 포함되는 사용자단말에 대해서만 상기 단위서비스의 제공을 개시하는, 서비스제공서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자리스트관리부는,
    임의의 사용자단말을 위하여, 상기 단위서비스에 종속되는 복수의 대기그룹 중 하나의 대기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임의의 사용자단말을 선택된 대기그룹의 대기자리스트에 등록하는, 서비스제공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자리스트관리부는,
    각각의 대기그룹의 대기자리스트에 포함된 사용자단말의 상기 대기방에 대한 이탈 여부를 지속하여 감시하고, 이탈이 감지된 사용자단말을 해당 사용자단말이 속하는 대기자리스트에서 삭제하고 대기자리스트를 정렬하는, 서비스제공서버.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자리스트관리부는,
    임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대기순서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에 따라 사용자단말이 속하는 대기그룹의 대기자리스트에서 해당 사용자단말의 대기순서를 변경하는, 서비스제공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임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대기순서 변경 요청이 수신되어, 상기 대기자리스트관리부가 해당 사용자단말의 대기순서를 변경한 경우, 해당 사용자단말에 대해 적립된 포인트를 차감하는 포인트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서버.



KR1020140117313A 2013-09-03 2014-09-03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300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461 2013-09-03
KR20130105461 2013-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719A KR20150027719A (ko) 2015-03-12
KR102300887B1 true KR102300887B1 (ko) 2021-09-10

Family

ID=5302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313A KR102300887B1 (ko) 2013-09-03 2014-09-03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8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3185A (ja) * 2000-11-24 2002-06-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500B1 (ko) * 2004-11-15 2011-10-31 주식회사 케이티 푸쉬서버를 이용한 정보 전송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3185A (ja) * 2000-11-24 2002-06-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719A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58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wireless network access
US10999634B2 (en) Medi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server, client, and storage medium
CN105530175B (zh) 一种消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103267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information in a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RU258932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правки сообщ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ю или пользователям группы через микроблог
US958905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ocial matching
KR101062809B1 (ko) 인스턴트 메시징을 통한 비지니스 엔터프라이즈 광고 방법
WO2017181613A1 (zh) 搜索响应方法、装置及系统
US9137086B1 (en) Social media session access
CN104038909B (zh) 一种信息交互方法和设备
KR20140096485A (ko) 메신저 채팅창을 통한 콘텐츠 다중 전송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25722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sharable browsing experience
WO2011008145A1 (en) Providing content by using a social network
WO2013097740A1 (zh) 一种联系人动态信息的提示方法和装置
CN106487655B (zh) 一种消息交互方法、装置及处理服务器
CN104092596A (zh) 一种音乐用户群组的管理方法、装置及系统
KR20170101416A (ko)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관련 펀딩 정보 및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9894114B2 (en) Adjusting the display of social media updates to varying degrees of richness based o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importance of the update
US8554613B2 (en) Providing coupons based on user selected preference options
KR20140042647A (ko) 채팅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40088856A1 (en) Location metadata based on people visiting the locations
KR102300887B1 (ko)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WO201514229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similarity between network user profile data and facilitating co-location of network users
CN115695926A (zh) 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CN105681262A (zh) 一种交互消息分配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