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521B1 - 기계식 채소류 정식기 후방 이식장치 - Google Patents

기계식 채소류 정식기 후방 이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521B1
KR102300521B1 KR1020190084852A KR20190084852A KR102300521B1 KR 102300521 B1 KR102300521 B1 KR 102300521B1 KR 1020190084852 A KR1020190084852 A KR 1020190084852A KR 20190084852 A KR20190084852 A KR 20190084852A KR 102300521 B1 KR102300521 B1 KR 102300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seedling
stopper
forming machine
groov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578A (ko
Inventor
김태한
김현태
최경문
이준현
Original Assignee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4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5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8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3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controlled by scanning a record carrier
    • B26D5/34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controlled by scanning a record carrier scanning being effected by a photosensitive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정식기의 특성상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를 정식기 하부에 구비된 구동바퀴의 동력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동바퀴의 상부에 구비되는 본체(110); 및 상기 본체의 중심 하부에는 밭에 모종을 심을 홈을 형성하는 정식홈 성형기(310);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렬로 절단된 모판을 배출구 쪽으로 이송하는 모판이송컨베이어부(330); 및 모판감지포토센서(350)에서 모판이 감지되면 모 한 주씩 심기위하여 상기 이송된 모판을 절단하는 모판 절단부; 및 절단된 상기 모판을 상기 정식홈 성형기에서 성형한 모종홈으로 모종을 안내하기 전에 모와 함께 절단된 모판을 일시적으로 홀딩하는 모이동관(420), 상기 모이동과 하부에 탄성으로 열리도록 구비되는 모이동관 마개(430), 마개누름봉(410)과 상기 마개누름봉(410)을 회전시켜 열림과 닫힘 상태를 만들어주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마개동력전달벨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일회용 비닐로 형성된 모판을 사용하지 않고, 생분해성 모판을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장치를 구성하고, 가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계식 채소류 정식기 후방 이식장치{Rear Planter mechanism with Biodegradable Plant Pot}
본 발명은 자동모 이식기술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동력으로 모 이식기를 이동하며, 자동으로 모를 이식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 이전의 선행기술로는 중괴경 작물 정식기의 배종 장치와 유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중괴경 작물을 정식하는 장치로서 비닐하우스나 온실과 같은 실내재배 또는 노지재배시 비닐멀칭된 이랑에 중괴경 작물의 종자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10∼20㎝범위의 식부깊이와 20∼40㎝ 범위의 주간거리로 정식한 후 식부호퍼가 타공(구멍뚫기)한 주위를 진압하여 발아가 잘되도록 하는 일련의 감자 정식 작업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기계화하는데 사용되는 기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체는 2개의 전륜과 주행륜으로 지지되어 지면과 괴경작물이 정식되는 이랑의 높이에 비해 여유를 갖도록 30∼60㎝ 정도의 높이와 좌우 20°이내의 경사각을 유지하면서 전후진 운전 및 주행속도를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원격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정식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본체 샤시와 본체 샤시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두 개의 전륜과 본체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두 개의 후륜을 구비하고, 본체 샤시의 지지대에 설치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전원으로 구동하는 두 개 이상의 전동모터를 구비하고, 본체 샤시에 설치되어 종자나 약제를 담는 호퍼 및 상기 호퍼에 담긴 종자나 약제를 낙하시키는 조출수단을 구비한 정식기에 있어서, 상기 정식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전동모터를 제어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전륜 또는 후륜이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거나 전륜 및 후륜이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술로, 송신기를 통하여 원격으로 정식기를 제어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운전할 수 있으므로 정식에 들어가는 노력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씨앗을 정식한 땅을 밟지 않고 정식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정식기를 회전시킬 때와 같이 정식이 필요치 않은 구간에서는 송신기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씨앗이나 약제의 조출을 차단하는 기술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플러그 육모트레이에 키운 모를 두둑 위에 1줄씩 자동으로 심는 보행형 배추정식기에 관한 것으로, 모 이송장치, 모 취출장치, 식부장치, 주간조절장치 및 복토진압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242746 공개특허공보 10-2012-0015130 등록특허공보 10-0702719
본 발명은 소형의 보행형 정식기의 개발에 관한 기술로 모를 일일이 뽑아 이식하는 방법은 그 구성이 복잡하여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가격이 비싸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모판을 절단하여 모판과 모를 함께 이식하는 방법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한다.
또한, 정식기의 특성상 전방과 후방에서 여러 장치가 동작하여야 하므로, 모터와 같은 여러 개의 동력발생수단을 이용하거나, 복잡한 동력전달 구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부분을 하부에 구비된 구동바퀴의 동력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 열로 구비된 모판에 심겨진 모를, 상기 1열로 구비된 모판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절단하여 모판과 함께 모를 심는 정식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정식기 후방의 이식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을 하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구동모터와 동력전달부를 구비하여 4개의 구동바퀴(210)로 구동되는 정식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의 상부에 구비되는 본체(110); 및
상기 본체의 중심 하부에는 밭에 모종을 심을 홈을 형성하는 정식홈 성형기(310);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렬로 절단된 모판을 배출구 쪽으로 이송하는 모판이송컨베이어부(330); 및
상기 모판이송컨베이어부에서 이송된 상기 모판을 상기 모판이송컨베이어부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모판을 감지하는 모판감지포토센서(350); 및
상기 모판감지포토센서(350)에서 모판이 감지되면 모 한 주씩 심기위하여 상기 이송된 모판을 절단하는 모판 절단부; 및
절단된 상기 모판을 상기 정식홈 성형기에서 성형한 모종홈으로 모종을 안내하는 모종이송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종 이송관은 도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자 형태로 구성되어 모판을 절단하는 즉시 하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모와 모종 홈의 위치를 떨어지는 순간 일치시켜야 하는 동기화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를 이용함으로써 위치 동기화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낙하 전에 모와 함께 절단된 모판을 일시적으로 홀딩하는 모이동관(420) 및 모이동관 마개(430) 및 마개누름봉(410)과 상기 마개누름봉(410)을 회전시켜 열림과 닫힘 상태를 만들어주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마개동력전달벨트로 구성되는 후방 이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마개동력전달벨트는 상기 회전축과 정식홈 성형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식홈 성형기(310)는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벨트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축과 정식홈 성형기 구동벨트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정식홈 성형기 회전부(315)의 끝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식홈 성형기 회전부에는 회전을 위한 정식홈 성형기 회전축(316)이 연결되고, 상기 정식홈 성형기 회전축과 상기 정식홈 성형기 회전부 사이에는 전자클러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식기를 이용한 주간 거리 조절방법은 상기 전자클러치를 연결하는 시간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를 이용한 주간 거리 조절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터는 상기 정식기의 좌우 일측 또는 좌우양측에 설치된 인체감지센서에 의하여 작업자를 좌측 또는 우측에서 감지한 경우에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터는 정식기의 전방 및/ 또는 후방에 구비된 인체감지센서에 감지 신호가 있는 경우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식기를 이용한 생분해성 모판을 이용한 정식방법을 제공한다.
정식기에 1 열로 구성된 생분해성 모판을 공급하는 모판 공급단계(S1); 및
상기 모판을 감지하여 모판이송컨베이어부가 동작하는 모판이송단계(S2); 및
상기 모판이송단계에서 이송된 모가 심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정식기의 하부에 구비된 정식홈 성형기에서 모종홈을 형성하는 모종홈성형단계(S3); 및
상기 모판이 상기 모판감지포토센서에서 감지되면 모판을 절단하는 모판절단단계(S4); 및
상기 절단된 모판이 모종이송관을 통하여 상기 모종홈에 떨어지는 정식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모판을 이용한 정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일회용 비닐로 형성된 모판을 사용하지 않고, 생분해성 모판을 사용하고, 상기 생분해성 모판에 모가 성장하기 좋은 성분들을 포함시킴으로써 모가 자라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작물을 더 크고, 건강하게 키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모판을 절단하여 1개씩 생분해성 모판과 함께 모를 심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서 기존에 모를 심기위하여 2인이 작업하였던 작업환경을 변화시키고, 모를 심을 때 모만을 모판에서 분리하여 작업하던 방법을 모판을 잘라 작업할 수 있는 새로운 작업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생분해성 모판을 사용하여 정식기를 간단하게 제공함으로써 장치의 가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정식에서 정식기의 움직임과 모종의 낙하 위치를 일치시켜야 하는 어려움을 바퀴의 동력을 이용하는 동력전달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동력전달 구조를 간단히 함과 동시에 동력전달구조를 간단히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식기의 측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정식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칼날 절단기를 부착한 모판 절단기의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정식홈 형성기
도 5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 구조의 사시도와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 구조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후방이식장치와 동력전달 구조
도 8은 본 발명의 정식기를 이용한 정식방법 순서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식기는 모터와 동력전달부를 구비하여 4개의 구동바퀴(210)로 구동되며, 상기 구동바퀴와 모터 및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본체(110)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의 중심 하부에는 도4에 기재된 정식홈 성형기(310)와 수직이동 실린더(315)가 구비되어 모종을 밭에 심기위한 홈을 형성한다. 상기 수직이동 실린더는 전기 모터식 및 회전 링크식으로 구성가능하다. 상기 모터 역시 인휠모터 또는 감속모터의 사용이 가능하며 4륜구동 또는 2륜구동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보는 바와 같이 일렬로 절단된 모판을 배출구 쪽으로 이송하는 모판이송컨베이어부(330), 모판을 감지하는 모판감지포토센서(350), 상기 모판감지포토센서(350)에서 모판이 감지되면 모 한 주씩 심기위하여 모판을 절단하는 모판 절단부 및 절단된 모판을 상기 정식홈 성형기에서 성형한 모종홈으로 모종을 안내하는 모종이송관이 상기 본체의 상부와 전방부에 구비된다. 상기 모판이송컨베이어부는 모판이 있는지 감지하여 모판이 없는 경우 구동되지않고, 모판이 없음을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모판의 감지는 접촉식 또는 포토다이오 등을 이용하여 비접촉식이 가능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일렬로 제공되는 생분해성 모판을 모판의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구비된 모판절단부에서 전단과 동시에 모종이송관을 통하여 정식홈 성형기로 성형된 구멍에 모를 안착시킨다. 이때 동작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정식기의 이동속도에 동기화되어 정식홈을 성형하고 여기에 맞추어 모가 절단되어 상기 홈에 심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구동벨트를 통하여 구동축 및 구동바퀴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전달된 동력은 상기 구동축과 정식홈 성형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정식홈 성형기 구동벨트를 통하여 정식홈 성형기 회전부가 회전되며 상기 정식홈 성형기 회전부의 끝단에 구비된 정식홈 성형기에 의하여 파좀 홈이 성형된다. 이때 상기 정식홈 성형기 회전부와 상기 정식홈 성형기 회전축 간에 전자클러치를 구비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정식홈이 형성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모의 종류에 따라 달리 심어야 하는 모의 주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주간 조절기능은 상기 전자클러치에 전기가 들어가는 동안 클러치가 구동되어 동력전달이 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 클러치에 공급되는 신호는 PWM(PULSE WITH MODULATION)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제어기를 상기 전자클러치에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에 엔코더를 구비하여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인식하여, 회전속도에 동기화되어 설정된 주간 간격으로 모종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자클러치를 구동한다.
또한, 상기 모종 이송관은 도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자 형태로 구성되어 모판을 절단하는 즉시 하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모와 모종 홈의 위치를 떨어지는 순간 일치시켜야 하는 동기화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를 이용함으로써 위치 동기화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즉, 낙하 전에 모와 함께 절단된 모판을 일시적으로 홀딩하는 모이동관(420), 상기 모이동관의 하부에 탄성에 의하여 열린 상태로 결합되는 모이동관 마개(430) 및 상기 모이동관 마개를 눌러 닫히게 하는 마개누름봉(410)과 상기 마개누름봉(4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마개누름봉을 회전시켜 열림과 닫힘 상태를 만들어주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마개동력전달벨트로 구성되는 정식기를 제공한다. 상기 마개동력전달벨트는 상기 회전축과 정식홈 성형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판은 모가 1 열로 배열된 모판을 사용하며, 모판의 재질은 물과 접촉하여 분해되는 생분해성 모판을 사용하며, 모는 상기 모판에 씨를 뿌려 싹을 틔운 모를 사용한다.
도3을 참조하여 상기 모판 절단부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절단칼날(341), 상기 절단칼날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풀리(343), 상기 회전풀리를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풀리와 동력전달벨트로 연결되는 회전모터(342) 및 상기 회전칼날과 회전풀리 및 회전모터를 움직여 모판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 이송가이드 및 절단부이송모터(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모판 감지포토센서에서 모판이 감지되면, 상기 회전모터가 회전하여 상기 절단칼날이 회전하고, 상기 절단부이송모터가 동작하여 상기 회전하는 절단칼날을 모판 쪽으로 이송하여 모판을 1개씩 절단하게 된다. 이렇게 절단된 모판과 상기 모판에 심겨진 모는 모종이송관으로 떨어지고, 상기 모종이송관을 통과하여 상기 모종홈에 떨어져 심겨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분해성 모판의 제조 시에 모의 성장에 필요한 비료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모판의 제조 후에 모판의 안쪽에 모의 성장에 필요한 비료성분을 녹말풀과 섞어 코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판의 절단을 쉽게하기 위하여 모판과 모판의 연결부에 구멍 또는 홈을 형성하여 절단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작용효과를 위하여 하기의 수단을 제공한다.
구동모터와 동력전달부를 구비하여 4개의 구동바퀴(210)로 구동되는 정식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의 상부에 구비되는 본체(110); 및 상기 본체의 중심 하부에는 밭에 모종을 심을 홈을 형성하는 정식홈 성형기(310);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렬로 절단된 모판을 배출구 쪽으로 이송하는 모판이송컨베이어부(330); 및 상기 모판이송컨베이어부에서 이송된 상기 모판을 상기 모판이송컨베이어부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모판을 감지하는 모판감지포토센서(350); 및 상기 모판감지포토센서(350)에서 모판이 감지되면 모 한 주씩 심기위하여 상기 이송된 모판을 절단하는 모판 절단부; 및
절단된 상기 모판을 상기 정식홈 성형기에서 성형한 모종홈으로 모종을 안내하기 전에 모와 함께 절단된 모판을 일시적으로 홀딩하는 모이동관(420), 상기 모이동과 하부에 탄성으로 열리도록 구비되는 모이동관 마개(430), 마개누름봉(410)과 상기 마개누름봉(410)을 회전시켜 열림과 닫힘 상태를 만들어주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마개동력전달벨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개동력전달벨트는 상기 회전축과 정식홈 성형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식홈 성형기 회전부에는 회전을 위한 정식홈 성형기 회전축(316)이 연결되고, 상기 정식홈 성형기 회전축과 상기 정식홈 성형기 회전부 사이에는 전자클러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식홈 성형기(310)는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벨트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축과 정식홈 성형기 구동벨트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정식홈 성형기 회전부(315)의 끝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식기를 이용한 주간 거리 조절방법은 상기 전자클러치를 연결하는 시간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를 이용한 주간 거리 조절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터는 상기 정식기의 좌우 일측 또는 좌우양측에 설치된 인체감지센서에 의하여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작업자를 감지한 경우에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터는 정식기의 전방 및/ 또는 후방에 구비된 인체감지센서에 감지 신호가 있는 경우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식기를 제공한다.
또한, 비료 또는 흙을 모종과 함께 공급하기 위한 비교공급 호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급되는 비료 또는 흙을 물과 혼합하여 죽 형태로 공급함으로써, 모를 심은 후에 별도의 수분공급을 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생분해성 모판이 더욱 빨리 분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죽 형태의 비료와 흙은 상기 모가 심겨진 주변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시 비료이송파이프의 위치를 상기 모종이송관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모종이 심긴 후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 펌프 및 노즐 등을 상기 본체의 내부에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식기를 이용한 모의 정식 방법을 제공한다.
정식기에 1 열로 구성된 모판을 공급하는 모판 공급단계(S1); 및
상기 모판을 감지하여 모판이송컨베이어부가 동작하는 모판이송단계(S2); 및
상기 모판이송단계에서 이송된 모가 심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정식기의 하부에 구비된 정식홈 성형기에서 모종홈을 형성하는 모종홈성형단계(S3); 및
상기 모판이 상기 모판감지포토센서에서 감지되면 모판을 절단하는 모판절단단계(S4); 및
상기 절단된 모판이 모종이송관을 통하여 상기 모종홈에 떨어지는 정식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모판을 이용한 정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구동바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배터리 및 구동기어, 구동축 및 이를 제어 및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 등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한 기술이고, 모종의 이송컨베이어의 자세한 구성 등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100 : 정식기
110 : 본체
120 : 손잡이
130 : 컨트롤러
200 : 구동모터
201 : 구동축
210 : 구동바퀴
211 : 구동벨트
212 : 정식홈 성형기 구동벨트
220 : 멀칭비닐용 바퀴
230 : 멀칭비닐 고정부
300 : 정식부
310 : 정식홈 성형기
315 : 정식홈 성형기 회전부
316 : 정식홈 성형기 회전축
317 : 전자클러치
320 : 모종이송관
330 : 모판이송컨베이어부
340 : 모판절단부
341 : 절단칼날, 톱니형 칼날
342 : 회전모터
343 : 회전풀리
344 : 동력전달벨트
345 : 절단부 이송가이드
400 : 회전축
410 : 마개누름봉
420 : 모이동관
430 : 모이동관 마개
440 : 마개동력전달벨트

Claims (3)

  1. 구동모터와 동력전달부를 구비하여 4개의 구동바퀴(210)로 구동되는 정식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의 상부에 구비되는 본체(110); 및 상기 본체의 중심 하부에는 밭에 모종을 심을 홈을 형성하는 정식홈 성형기(310);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일렬로 절단된 모판을 배출구 쪽으로 이송하는 모판이송컨베이어부(330); 및 상기 모판이송컨베이어부에서 이송된 상기 모판을 상기 모판이송컨베이어부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모판을 감지하는 모판감지포토센서(350); 및 상기 모판감지포토센서(350)에서 모판이 감지되면 모 한 주씩 심기위하여 상기 이송된 모판을 절단하는 모판 절단부; 및
    절단된 상기 모판을 상기 정식홈 성형기에서 성형한 모종홈으로 모종을 안내하기 전에 모와 함께 절단된 모판을 일시적으로 홀딩하는 모이동관(420), 상기 모이동과 하부에 탄성으로 열리도록 구비되는 모이동관 마개(430), 마개누름봉(410)과 상기 마개누름봉(410)을 회전시켜 열림과 닫힘 상태를 만들어주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마개동력전달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마개동력전달벨트는 상기 회전축과 정식홈 성형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정식홈 성형기 회전부에는 회전을 위한 정식홈 성형기 회전축(316)이 연결되고, 상기 정식홈 성형기 회전축과 상기 정식홈 성형기 회전부 사이에는 전자클러치가 구비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정식홈이 형성되는 간격을 조절하여 모의 종류에 따라 달리 심어야 하는 모의 주간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전자클러치를 이용한 주간 조절기능은 상기 전자클러치에 전기가 들어가는 동안 클러치가 구동되어 동력전달이 끊어지며, 상기 전자 클러치에 공급되는 신호는 PWM(PULSE WIDTH MODULATION)방식을 사용하며, 별도의 제어기를 상기 전자클러치에 구비하고, 구동축에 엔코더를 구비하여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인식하여, 회전속도에 동기화되어 설정된 주간 간격으로 모종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자클러치를 구동하는 정식기를 이용한, 생분해성 모판을 이용한 정식방법에 있어서,
    비료 또는 흙을 모종과 함께 공급하기 위한 비교공급 호퍼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공급되는 비료 또는 흙을 물과 혼합하여 죽 형태로 공급함으로써, 모를 심은 후에 별도의 수분공급을 할 필요가 없고, 상기 생분해성 모판이 더욱 빨리 분해될 수 있으며, 상기 죽 형태의 비료와 흙은 모가 심겨진 주변에 공급될 수 있도록 비료이송파이프의 위치를 모종이송관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정식기에 1 열로 구성된 모판을 공급하는 모판 공급단계(S1); 및
    상기 모판을 감지하여 모판이송컨베이어부가 동작하는 모판이송단계(S2); 및
    상기 모판이송단계에서 이송된 모가 심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정식기의 하부에 구비된 정식홈 성형기에서 모종홈을 형성하는 모종홈성형단계(S3); 및
    상기 모판이 상기 모판감지포토센서에서 감지되면 모판을 절단하는 모판절단단계(S4); 및
    상기 절단된 모판이 모종이송관을 통하여 상기 모종홈에 떨어지는 정식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모판을 이용한 정식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90084852A 2019-07-15 2019-07-15 기계식 채소류 정식기 후방 이식장치 KR102300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852A KR102300521B1 (ko) 2019-07-15 2019-07-15 기계식 채소류 정식기 후방 이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852A KR102300521B1 (ko) 2019-07-15 2019-07-15 기계식 채소류 정식기 후방 이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578A KR20210008578A (ko) 2021-01-25
KR102300521B1 true KR102300521B1 (ko) 2021-09-09

Family

ID=74237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852A KR102300521B1 (ko) 2019-07-15 2019-07-15 기계식 채소류 정식기 후방 이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5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3247A (ja) * 2009-10-16 2011-04-28 Matsuyama Plow Mfg Co Ltd 農作業機
JP5935486B2 (ja) * 2012-04-25 2016-06-15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CN105706597B (zh) * 2016-04-19 2017-10-13 黑龙江八一农垦大学 单排纸钵苗移栽机分苗机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105U (ja) * 1993-01-25 1994-08-09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の苗送り装置
KR100242746B1 (ko) 1997-12-05 2000-02-01 황해웅 중괴경 작물 파종기의 배종 장치와 유압 시스템
KR100702719B1 (ko) 2005-06-10 2007-04-0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보행형 배추정식기
KR20120015130A (ko) 2010-08-11 2012-02-21 이도순 원격 송수신 장치를 이용한 파종기
KR102041505B1 (ko) * 2017-12-13 2019-11-06 주식회사 드림트리 작물 이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3247A (ja) * 2009-10-16 2011-04-28 Matsuyama Plow Mfg Co Ltd 農作業機
JP5935486B2 (ja) * 2012-04-25 2016-06-15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CN105706597B (zh) * 2016-04-19 2017-10-13 黑龙江八一农垦大学 单排纸钵苗移栽机分苗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578A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1782B2 (en) Row unit for an agricultural planting implement
KR102041505B1 (ko) 작물 이식 장치
CA2869484C (en) An apparatus for transplanting plants
CN102656969A (zh) 小麦少耕深松精密耕作机
CN105451537A (zh) 用于种植和处理农业植物种苗的设备
CN112119688A (zh) 一种分层精准施肥播种机及其控制方法
EP3050421A1 (en) Apparatus for planting seedlings of an agricultural plant
CN211128926U (zh) 一种大棚种植用可调节播种深度的手推式播种装置
CN108781639A (zh) 一种定向播种机的轮式投送结构
KR102300489B1 (ko) 기계식 생분해성 포트 전방 식부장치
KR102300521B1 (ko) 기계식 채소류 정식기 후방 이식장치
CN211267637U (zh) 一种前耕后播型玉米播种机
KR102265053B1 (ko) 정식기
KR102300496B1 (ko) 정식기용 모판 절단기를 이용한 모판 절단방법
CN215121839U (zh) 家庭园林用智能种植养护多功能一体机
CN203167554U (zh) 播种机
KR101425908B1 (ko) 고설재배용 베드의 배토용 쇄토장치
CN202857291U (zh) 一种油菜专用移栽机
KR20210008579A (ko) 정식기
KR102265051B1 (ko) 정식기
CN113692819A (zh) 高效率监控土豆播种机
CN110366889A (zh) 一种犁地式玉米播种机及其控制方法
KR102300530B1 (ko) 정식기
JP6720782B2 (ja) 混植苗の作成方法
CN111587620B (zh) 一种免覆膜的玉米旋耕精密播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