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497B1 - 염수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염수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497B1
KR102300497B1 KR1020190039160A KR20190039160A KR102300497B1 KR 102300497 B1 KR102300497 B1 KR 102300497B1 KR 1020190039160 A KR1020190039160 A KR 1020190039160A KR 20190039160 A KR20190039160 A KR 20190039160A KR 102300497 B1 KR102300497 B1 KR 102300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ne
unit
space
fram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272A (ko
Inventor
임홍균
Original Assignee
임홍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홍균 filed Critical 임홍균
Priority to KR1020190039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49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4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 B01D19/0047Atomizing, spraying, trick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수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염수가 제조되는 공간을 갖는 염수제조부, 절임탱크와 연결되어 사용한 염수가 회수될 수 있고 회수된 염수를 상기 염수제조부로 공급하는 보조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보조탱크에서 공급되는 염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여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염수제조장치{Salt water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절임 후 버려지는 염수를 여과하여 새로운 염수화 혼합하는 염수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추 따위의 야채를 소금에 절이는 이유는 야채 내에 있는 유해한 미생물, 세균 따위가 번식하지 못하도록 막기 위해서이다. 소정의 염도를 유지하는 소금 또는 염수를 배추에 뿌리면 세포막 내부보다는 세포 밖의 농도(염도)가 더 높아져서, 세포 내부에 있는 물이 빠져나와 염수의 염도가 낮아진다.
가정에서는 이러한 배추 절임에 사용된 염수는 재사용하지 않고 버리지만, 김치를 대량으로 제조하는 공장 등에서 염도가 낮아진 염수를 버리게 되면 제조원가 상승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염수를 버리는데 있어 정화 과정이 필요하여 염수 폐처리에 따른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였다.
이에 사용한 염수를 정화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7-0063102호 (2017.06.08.) 등록특허 제10-0668278호 (2007.01.08.)
본 발명은 사용한 염수를 여과하여 새롭게 제조되는 염수와 혼합하는 염수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염수제조장치는, 염수가 제조되는 공간을 갖는 염수제조부, 절임탱크와 연결되어 사용한 염수가 회수될 수 있고 회수된 염수를 상기 염수제조부로 공급하는 보조탱크 및 상기 보조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보조탱크에서 공급되는 염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여과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탱크는, 상기 염수제조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탱크의 상부에는 회수된 염수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배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는, 바닥과 측면을 가지며, 상기 바닥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이웃한 상기 제2 프레임의 간격은 상기 제1 프레임의 간격보다 조밀하며, 이웃한 제1 프레임과 이웃한 제2 프레임 사이에 필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는, 바닥과 측면은 가지며, 상기 바닥은 메쉬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수제조장치는, 상기 여과부에서 제거된 상기 슬러지를 상기 염수제조부의 외부로 이송하는 슬러지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수제조장치는, 상기 염수제조부에 배치되어 있는 거품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품제거부는, 상기 염수제조부의 제조탱크에 배치되어 있는 공급관 및 및 상기 공급관에서 제조탱크의 내부로 향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절임탱크에서 회수한 염수를 염수 제조에 사용하므로 소금과 물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염수 제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절임탱크의 염수를 여과하여 다시 사용하므로 염수를 정화하여 버리는데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염수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를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2의 여과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1의 보조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임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염수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를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여과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염수제조장치(1)는, 염수제조부(10), 보조탱크(20) 및 여과부(30)를 포함하며 절임탱크(도시하지 않음)에서 사용한 염수를 여과하여 새롭게 제조되는 염수와 혼합한다.
염수제조부(10)는 제조공간(111)이 교반공간과 염수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는 본체부(11), 제조공간(111)에 위치하여 교반공간과 염수공간으로 구획하는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제조공간(111)은 본체부(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염수공간은 저장탱크(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제조된 염수는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절임탱크(도시하지 않음)로 공급될 수 있다. 염수제조부(10)는 염수 제조 시 절임물에 따라 염도를 달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염수제조부(10)의 세부적인 구성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하여 공지된 염수 제조장치(특허등록 제10-0893532호)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탱크(20)는, 본체부(11)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11)의 상면 일측에는 보조탱크(20)를 지지하기 위한 가로바(12)들이 배치되어 있다. 보조탱크(20)의 내부에는 체류공간(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보조탱크(20)의 일측 상부에는 절임탱크(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된 순환배관(23)이 연결되어 있다. 절임탱크에서 사용된 염수는 순환배관(23)을 통해 체류공간(21)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보조탱크(20)의 타측 상부에는 체류공간(21)의 염수가 배출되는 배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부(24)는 보조탱크(20)의 타측 상부 일부분에 제거되어 형성된다. 이에 배출부(24)가 형성된 보조탱크(20)의 타측 상부측은 함몰되어 있다.
배출부(24)에는 염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는 보조탱크(20)의 타측 상부에서 본체부(11)의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는 염수가 보조탱크(20)의 외부 둘레를 따라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조탱크(20)의 체류공간(21)으로 유입된 염수를 살균처리하기 위한 살균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여과부(30)는 보조탱크(20)의 타측과 본체부(11)의 타측 사이에 위치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배출부(24)에서 배출되는 염수 중에 포함된 슬러지 따위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여과부(30)는 바닥(32)과 측면(31)을 포함한다.
바닥(32)은 제1 프레임(321)과 제2 프레임(322)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321)은 제1 방향(X)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제2 프레임(322)은 제1 방향(X)과 수직한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에 제1 프레임(321)과 제2 프레임(322)은 수직하게 교차하며, 제2 프레임(322)의 양단은 측면(31)과 연결되어 있다. 제1 프레임(321)은 제2 프레임(322)을 지지한다. 이웃한 제2 프레임(322)의 간격(G2)은 이웃한 제1 프레임(321)의 간격(G1)보다 조밀하다. 이웃한 제1 프레임(321)과 이웃한 제2 프레임(322)의 사이에 필터홀(323)이 형성된다.
배출부(24)를 통해 배출된 염수와 슬러지는 여과부(30)로 유입되며 유체인 염수는 필터홀(323)을 통과하여 본체부(11)의 교반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필터홀(323)의 지름보다 큰 슬러지는 필터홀(323)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게 된다. 슬러지는 바닥(32)의 타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이에 슬러지가 제거된 염수만 교반공간으로 유입된다.
측면(31)은 바닥(32) 양측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측면(31)은 바닥(32)을 따라 배치되어 필터홀(323)을 통과하지 슬러지가 교반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한편, 염수가 바닥(32)에서 필터홀(323)을 통해 교반공간으로 직접 떨어져 유입되므로 교반공간에 거품이 발생한다. 이에 바닥(32)의 하면 아래에는 필터홀(323)을 통해 떨어지는 염수가 자연스럽게 교반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바닥(32)은 도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벨트는 메쉬로 이루어져 있으며 염수는 통과하고 슬러지는 걸릴 수 있다. 벨트는 배출부(24)에서 본체부(11)의 타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벨트에 걸린 슬러지는 벨트의 회전으로 본체부(11)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염수제조장치(1)는, 슬러지 컨베이어(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러지 컨베이어(40)는 벨트를 포함한다.
슬러지 컨베이어(40)는 본체부(11)의 타측과 여과부(30) 타측 사이에 배치되어 가로바(12)에 지지되어 있다. 슬러지 컨베이어(40)의 벨트 위로 여과부(30)에서 걸러진 슬러지가 유입될 수 있다. 슬러지는 슬러지 컨베이어(40)를 통해 본체부(1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슬러지 컨베이어(40)의 벨트에는 염수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홀(도시하지 않음)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을 통과한 염수는 교반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염수제조장치(1)는, 거품제거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품제거부(50)는, 염수 제조 시 제조공간(111)에 발생하는 거품 따위를 제거한다. 거품제거부(50)는 공급관(51) 및 노즐(52)을 포함한다.
공급관(51)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본체부(11)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공급관(51)은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공급관(51)의 일측은 유체 공급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으며, 유체는 공급관(51)을 유동할 수 있다.
노즐(52)은 공급관(51)에 배열되어 제조공간(111)의 염수를 향하고 있다. 공급관(51)을 유동하는 유체는 노즐(52)을 통해 제조공간(111)으로 분사될 수 있다. 분사되는 유체는 제조공간(111)에서 형성된 거품을 향해 분사되어 거품을 제거한다.
거품제거부(50)를 유동하는 유체는 염분이 없는 물일 수 있다. 그러나 염분을 포함하는 염수일 수도 있다. 아울러 공급관(51)은 압축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노즐(52)에서 거품을 향해 공기가 분사되어 거품을 제거할 수 있다.
절임탱크에서 회수한 염수를 염수 제조에 사용하므로 소금과 물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염수 제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염수제조장치의 체류공간(21)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배관(23)과 연결된 제1 공간(221), 배출부(24)와 연결된 제2 공간(22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공간(221)과 제2 공간(222)은 격벽(22)으로 구획된다. 격벽(22)의 하면은 체류공간(21)의 바닥과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공간(221)에는 살균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제1 공간(221)으로 유입된 염수는 살균장치를 통해 살균되어 격벽(22)과 바닥 사이 공간을 통해 제2 공간(222)으로 유입되어 배출부(24)를 통해 여과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살균장치가 제1 공간(221)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염수의 살균 효율은 더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염수가 순환배관(23)에서 제1 공간(221)으로 유입되는 과정에 제1 공간(221)에 거품이 발생할 수 있다. 격벽(22)에 의해 거품이 제2 공간(222)으로 유입되지 않아 제조공간(111)으로 유입되는 거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아울러, 본체부(11)를 덮고 있는 덮개(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덮개는 릴 구동부 및 릴에 권취된 덮개망을 포함한다. 릴 구동부는 제조공간(111)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내부 둘레에 고정되어 있다. 덮개망은 제조공간(111)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릴 구동부에 감기고, 풀릴 수 있다. 풀린 덮개망은 제조공간(111)의 상부측을 전체적으로 덮을수 있다.
덮개망은 본체부(11)의 제조공간(111) 공간으로 이물질 따위가 위입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다만, 덮개망은 여과부(30)에서 떨어지는 염수는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들의 지름은 여과부(30)의 필터홀(323) 지름 보다 작다. 예컨대, 구멍들의 지름은 대략 0.5mm 내지 1.5mm 일 수 있다. 구멍의 지름이 0.5mm 미만인 경우 염수 중에 포함된 소금이 제거될 수 있으며, 구멍의 지름이 1.5mm를 초과할 경우 이물질 여과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덮개망은 염수는 통과하고 여과부(30)에서 여과하지 못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덮개망은 여과부(30) 이외 본체부(11)의 개방된 상면의 주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 따위가 제조공간(111)으로 유입되는 것을 필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망이 릴 구동부에 감기고 풀릴때 덮개망의 가장자리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조공간(111)의 둘레에는 덮개망의 가장자리가 삽입된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홈은 본체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홈은 레일 따위가 제조공간(111)의 둘레에 부착되어 형성되거나, 제조공간(111)의 둘레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염수제조장치 10: 염수제조부
11: 본체부 111: 제조공간
12: 가로바 20: 보조탱크
21: 체류공간 22: 격벽
221: 제1 공간 222: 제2 공간
23: 순환배관 24: 배출부
30: 여과부 31: 측면
32: 바닥 321: 제1 프레임
322: 제2 프레임 323: 필터홀
40: 슬러지 컨베이어 50: 거품제거부
51: 공급관 52: 노즐

Claims (8)

  1. 내부에 제조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제조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조공간을 교반공간과 염수공간으로 구획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염수제조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 일측에 위치하고 절임탱크에서 사용한 염수를 회수하여 체류시키고 상기 본체부의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염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이드가 배치된 배출부를 통해 체류시킨 상기 염수를 상기 교반공간으로 공급하는 보조탱크,
    상기 보조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탱크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되 상기 보조탱크의 내부 바닥과 이격되어 구획된 공간을 연결하고 있는 격벽,
    바닥과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염수제조부의 위에서 상기 배출부와 경사지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염수제조부로 공급되는 상기 염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여과부,
    상기 바닥의 하면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부에서 떨어지는 염수가 자연스럽게 상기 교반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 플레이트,
    릴 구동부와 상기 릴 구동부에 감기고 풀릴 수 있으며 상기 여과부에서 떨어지는 상기 염수가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여과부의 필터홀 지름보다 작은 0.5mm 내지 1.5mm 지름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릴 구동부에서 풀리어 상기 본체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망으로 이루어진 덮개,
    상기 본체부의 타측과 상기 여과부의 타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부에서 걸러진 슬러지가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상기 슬러지를 상기 염수제조부의 외부로 이송하는 슬러지 컨베이어 및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어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그 내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에 유체 공급부가 연결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배열되어 상기 제조공간의 염수를 향하고 있으며 상기 유체를 상기 제조공간으로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을 포함하는 거품제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제1 방향(X)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제1 방향(X)과 수직한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수직하게 교차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의 양단은 상기 측면과 연결되어 있고, 이웃한 상기 제2 프레임의 간격(G2)은 이웃한 제1 프레임의 간격(G1)보다 조밀하며, 이웃한 상기 제1 프레임과 이웃한 상기 제2 프레임의 사이에 필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된 염수는 상기 필터홀을 통해 상기 교반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망이 상기 릴 구동부에 감기고 풀릴 때 상기 덮개망의 가장자리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조공간의 둘레에는 상기 덮개망의 가장자리가 삽입된 슬라이드홈이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염수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39160A 2019-04-03 2019-04-03 염수제조장치 KR102300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160A KR102300497B1 (ko) 2019-04-03 2019-04-03 염수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160A KR102300497B1 (ko) 2019-04-03 2019-04-03 염수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272A KR20200117272A (ko) 2020-10-14
KR102300497B1 true KR102300497B1 (ko) 2021-09-10

Family

ID=7284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160A KR102300497B1 (ko) 2019-04-03 2019-04-03 염수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4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9087A (ja) * 1999-02-18 2000-09-05 Mizushoo Kk 有機廃棄物の減量堆肥化装置
KR101389307B1 (ko) * 2013-08-29 2014-04-28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김치 절임 공정의 절임수 재이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900B1 (ko) * 2004-05-19 2006-05-03 주식회사 젠트로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KR100668278B1 (ko) 2004-05-31 2007-01-15 (주)라이스코리아 절임용 폐염수 재활용 장치
KR20170063102A (ko) 2015-11-30 2017-06-08 한국식품연구원 배추절임 염수를 재사용하기 위한 정화방법 및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9087A (ja) * 1999-02-18 2000-09-05 Mizushoo Kk 有機廃棄物の減量堆肥化装置
KR101389307B1 (ko) * 2013-08-29 2014-04-28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김치 절임 공정의 절임수 재이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272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6573A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농산물 세척 및 살균장치
JP2004305919A (ja) 空気浄化装置
KR20080039351A (ko) 모듈식 수처리 유닛
KR101546880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68485A (ko) 중력 공급식 디스크 필터상의 생물학적 성장 억제 방법
KR101551856B1 (ko)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KR100714227B1 (ko) 여과 정수 장치
KR101782735B1 (ko) 에너지 절감용 순환 여과식 어류 양식시스템
KR102120093B1 (ko) 염도 및 온도 자동조정장치 일체형 염장수 순환, 여과시스템
KR100705546B1 (ko) 침지형 중공사막 분리막 모듈
KR102300497B1 (ko) 염수제조장치
KR101546879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용 정화장치
CN107318751B (zh) 一种循环水养殖系统
KR20120108585A (ko) 해수 정수장치
JP3148135U (ja) 水生動物養殖装置
KR101300655B1 (ko) 염수 또는 세척수 살균 정화장치
JPH08239A (ja) 食品殺菌装置
KR200431050Y1 (ko) 수족관용 폐수 정화장치
JPH0515885A (ja) 水槽のオゾンによる浄化方法とその装置
KR20180023494A (ko) 폭기조 및 이를 구비한 오폐수 처리장치
KR102262715B1 (ko) 물놀이시설용 복합 여과 장치
KR20160042333A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KR101813528B1 (ko) 하폐수용 스크린장치
KR100392296B1 (ko) 물탱크용 정화장치
KR100801493B1 (ko) 수족관용 폐수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