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401B1 - 빔포밍 트레이닝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빔포밍 트레이닝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0401B1 KR102300401B1 KR1020197012249A KR20197012249A KR102300401B1 KR 102300401 B1 KR102300401 B1 KR 102300401B1 KR 1020197012249 A KR1020197012249 A KR 1020197012249A KR 20197012249 A KR20197012249 A KR 20197012249A KR 102300401 B1 KR102300401 B1 KR 1023004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device
- transmit
- directional
- beams
- beamform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 예컨대, 스테이션과의 RF-기반 통신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는 RF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회로부, 및 빔포밍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빔포밍 회로부를 포함한다. 빔포밍 회로부는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그리고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의 세트와는 상이한 제1 지향성 수신 빔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리스닝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은 서로와의 RF-기반 통신을 위하여 구성되는, 이동국(mobile station) 및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같은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추가로, 대응하는 통신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60 GHz 주파수 범위에서의 통신 시스템들은 주파수와 함께 증가하는 강력한 자유 공간 경로 손실(free space path loss)을 겪는다. 예를 들어, 60 GHz 통신 시스템은 5 GHz 에서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과 비교하여 대략적으로 22 dB 더 높은 감쇠(attenuation)를 가진다. 증가된 경로 손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60 GHz 또는 임의의 mm파(mmWave) 통신 시스템은 빔포밍(beamforming)을 채용하고, 즉,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를 향하는 지향성 빔(directive beam)들을 형성할 수 있는 조향가능한 페이즈드-어레이 안테나(phased-array antenna)(PAA)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빔들은 전형적으로 높은 지향성(directivity)을 가지고, 공간적으로 매우 좁다. 주요 방향에서의 지향성은 PAA 당 안테나 엘리먼트(antenna element)들의 수와 함께 증가한다. 대조적으로, 반-전력 빔 폭(half-power beam width)(HPBW)은 패턴의 공간적 폭이 증가하는 안테나들의 수와 함께 감소한다는 것을 정의한다. 따라서, PAA 당 안테나들이 더 많을수록, 지향성이 더 높고, HPBW가 더 작다. 통신들을 위한 PAA 지향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빔 정렬(beam alignment)은 일반적으로 mm파 통신 시스템들 및 RF 통신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을 위하여 결정적이고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연관(association)을 위한 빔포밍 트레이닝(beamforming training)은 i)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 예컨대, 연관시키기를 원할 수도 있는 스테이션(station)(STA)들에 대한, 통신 디바이스들 중의 하나에서의,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AP)에서의 임의의 지식의 결여, 및 ii) STA들이 리스닝(listen)할 수 있는 "양호한" 섹터들에 대한 STA들에서의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식으로 인해 도전적인 문제이다. 후자는 STA들이 일반적으로 준-전방향 모드(quasi-omnidirectional mode)에서 리스닝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제1 문제를 대처하기 위하여, IEEE 802.11ad 및 802.11ay 표준들은, STA들이 비콘 간격(beacon interval)들 동안에 최상으로 수신된 그 어드레스 및 AP 송신 빔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향성 빔들을 AP로 우발적으로 전송하는 슬롯(slot)들을 무작위적으로 선택하는 특정 연관 빔포밍 간격(association beamforming interval)을 설계하였다.
AP들이 전방향으로 리스닝하여, 특히, 밀집된 시나리오들에서, 다수의 STA들로부터의 프레임들이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접근법에서의 문제들은 충돌 확률(collision probability)이고, STA들에서의 지향성 이득(directivity gain)이 AP에서 보다 상당히 더 낮을 수 있거나, STA들이 AP들로부터 멀 수 있고, 이 경우에, STA들에 의해 송신된 빔들이 AP들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커버리지(coverage) 문제들이 있다.
연관 국면(association phase)에서 더 높은 안테나 이득을 산출하여, 따라서, AP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고 장거리(long-range) 연관 및 데이터 송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러한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필요성이 있다. 또한, 연관 국면 동안에 STA들(제1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충돌 확률을 감소시키는 것이 희망된다.
본원에서 제공된 "배경" 설명은 개시내용의 맥락을 일반적으로 제시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다. 이 배경 섹션에서 설명되는 한도까지의, 현재 거명된 발명자(들)의 작업 뿐만 아니라, 출원 시에 종래 기술로서 달리 자격부여하지 않을 수도 있는 설명의 양태들은 본 개시내용에 대하여 종래 기술로서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도 인정되지 않는다.
더 높은 안테나 이득을 산출하고, 장거리 연관 및 데이터 송신을 가능하게 하고, 및/또는 연관 국면에서의 충돌 확률을 감소시키는 통신 디바이스들 및 대응하는 통신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양태에 따르면,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의 RF-기반 통신을 위한 (제1) 통신 디바이스,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 RF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회로부, 및
- 빔포밍을 수행하고, 그리고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beamforming training phase)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beacon transmission phase)에서,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그리고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의 세트와는 상이한 제1 지향성 수신 빔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리스닝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빔포밍 회로부를 포함한다.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의 RF-기반 통신을 위한 (제2) 통신 디바이스, 예컨대, 스테이션이 제공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 RF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회로부, 및
-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빔포밍 회로부를 포함하고, 한편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상이한 제1 지향성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추후에 리스닝하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선택된 제1 지향성 수신 빔으로 리스닝하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시간 슬롯들에서 오직 송신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은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또는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로부터 유도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또 추가의 양태들에 따르면, 대응하는 통신 방법들, 컴퓨터로 하여금, 컴퓨터 프로그래밍이 컴퓨터 상에서 수행될 때,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들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들이 수행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그 안에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레코딩 매체가 제공된다.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서 정의된다. 개시된 방법들, 개시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개시된 컴퓨터-판독가능 레코딩 매체는 청구된 디바이스들과 유사한 및/또는 동일한, 그리고 독립항들에서 정의된 및/또는 본원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추가의 실시예들을 가진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개시내용의 양태들 중의 하나는 적어도 제2 통신 디바이스(AP)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양자의 통신 디바이스들(AP 및 STA) 상에서 지향성 빔들을 적용하는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association beamforming training)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연관 국면 동안의 링크 버짓(link budget)에서의 증가를 산출하고, 링크 버짓에서의 증가는 연관 범위, 즉, 장거리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을 확장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제1 통신 디바이스들은 그 제2 통신 디바이스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BSS)를 탐지(discover)할 수 있고 이에 합류(join)할 수 있다. 또한, 상반성(reciprocity)이 가정될 수 있을 경우에,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 동안에 채널 액세스를 수정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것은 그 내재적인 공간적 빔 분리를 활용함으로써 제1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충돌 확률을 감소시킨다.
또한, 프로토콜 및 시그널링 해결책은 트레이닝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동시에, 개선된 커버리지 및 감소된 충돌 확률을 허용하기 위하여 개시된다. 개시된 접근법으로, 지향성 연관 국면에서 AP에 의해 사용된 수신 빔들은 동일한 것으로 한정되지도 않고, 그것들은 선행하는 비콘 트레이닝 간격에서 사용된 송신 빔들과 동일한 순서인 것으로 한정되지도 않는다. 또한, 개시된 해결책들의 실시예들은 AP가 연관 간격 동안에 가변적인 빔 폭들로 리스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해, 빔 폭들은 비콘 간격의 송신 섹터 스윕(transmit sector sweep)들에서 이전에 이용되었던 좁은(narrow) 빔들 중의 하나 이상을 커버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오버헤드(overhead) 및 트레이닝 시간에서의 감소들은 따라서, 최신 방법들과 비교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WLAN 시스템들의 용어가 이용되고, 즉,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예로서의 스테이션(STA), 및 제2 통신 디바이스의 예로서의 단일 중앙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개인용 기본 서비스 세트 제어 포인트(PCP)(일반적으로 본원에서 AP로서 지칭되고; WLAN 용어는 때때로 약어 PCP/AP를 이용함)가 있고, 여기서, 제1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들은 또한, 송신기 및 수신기로 칭해질 수도 있다. 양자의 통신 디바이스들은 60 GHz(mm파)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의도한다. 그러나, 이 발명은 mm파 LTE와 같은 빔포밍을 채용하는 임의의 다른 RF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상기한 단락들은 일반적인 소개를 통해 제공되었고,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추가의 장점들과 함께, 동반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최상으로 이해될 것이다.
개시내용 및 그 부수적인 장점들의 다수의 더욱 완전한 인식은,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고려될 때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동일한 사항이 더욱 양호하게 이해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획득될 것이고, 여기서:
도 1은 제1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는 IEEE 802.11ad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송신 간격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3은 기존의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4는 비콘 송신 간격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5는 단일 STA와의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의 제1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6은 2 개의 STA들과의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의 제2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7은 상반성을 채용하는 2 개의 STA들과의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의 제3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8은 비콘 간격 제어 필드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9는 비콘 프레임 본체 구조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0은 간단한 연관 빔포밍 제어 필드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1은 진보된 연관 빔포밍 제어 필드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2는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비콘 송신 국면의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3은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의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4는 SSW 필드의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5는 PPDU 및 프레임 구조 및 대응하는 AWV 구성들의 제1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6은 PPDU 및 프레임 구조 및 대응하는 AWV 구성들의 제2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7은 비콘 송신 국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8은 비콘 송신 국면 및 빔포밍 송신 국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9는 확장된 스케줄링 엘리먼트의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20은 확장된 스케줄링 엘리먼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그리고
도 21은 EDMG 확장된 스케줄 엘리먼트의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은 제1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는 IEEE 802.11ad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송신 간격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3은 기존의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4는 비콘 송신 간격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5는 단일 STA와의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의 제1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6은 2 개의 STA들과의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의 제2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7은 상반성을 채용하는 2 개의 STA들과의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의 제3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8은 비콘 간격 제어 필드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9는 비콘 프레임 본체 구조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0은 간단한 연관 빔포밍 제어 필드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1은 진보된 연관 빔포밍 제어 필드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2는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비콘 송신 국면의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3은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의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4는 SSW 필드의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5는 PPDU 및 프레임 구조 및 대응하는 AWV 구성들의 제1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6은 PPDU 및 프레임 구조 및 대응하는 AWV 구성들의 제2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7은 비콘 송신 국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8은 비콘 송신 국면 및 빔포밍 송신 국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9는 확장된 스케줄링 엘리먼트의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20은 확장된 스케줄링 엘리먼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그리고
도 21은 EDMG 확장된 스케줄 엘리먼트의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유사한 참조 번호들이 몇몇 도면들의 전반에 걸쳐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들을 지시하는 도면들을 지금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들 및 방법을 예시하고, 도 12 내지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을 예시한다.
도 1은 제1 통신 디바이스들(1, 3)(스테이션들(STA1, STA2)) 및 제2 통신 디바이스(2)(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제1 통신 디바이스들(1, 3)의 각각은 RF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회로부(때때로 안테나 유닛으로 또한 칭해짐)(10, 30), 및 빔포밍을 수행하고 그 안테나 회로부(10, 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빔포밍 회로부(때때로 빔포밍 유닛으로 또한 칭해짐)(11, 31)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통신 디바이스들(2)은 RF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회로부(20), 및 빔포밍을 수행하고 그 안테나 회로부(2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빔포밍 회로부(21)를 포함한다. 그 동작의 더 많은 세부사항들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위의 이 공식은 주파수 및 링크 거리 의 함수로서의 dB인 자유 공간 경로 손실을 부여한다. 분명히, 60 GHz 통신 시스템은 5 GHz 에서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과 비교하여 대략적으로 22 dB 더 높은 감쇠를 가진다.
증가된 경로 손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60 GHz 또는 임의의 mm파 통신 시스템은 빔포밍을 채용하고, 즉,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는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를 향하는 지향성 빔들을 형성할 수 있는 안테나 회로부, 예컨대, 조향가능한 페이즈드-어레이 안테나(PAA)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빔들은 전형적으로 높은 지향성을 가지고, 공간적으로 매우 좁다. 주요 방향에서의 지향성은 PAA 당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수와 함께 증가한다. 대조적으로, 반-전력 빔 폭(HPBW)은 패턴의 공간적 폭이 증가하는 안테나들의 수와 함께 감소한다는 것을 정의한다. 따라서, PAA 당 안테나들이 더 많을수록, 지향성이 더 높고, HPBW가 더 작다. 통신들을 위한 PAA 지향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빔 정렬은 mm파 통신 시스템들을 위하여 결정적이고 매우 중요하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에서는, WLAN 시스템의 용어가 이용될 것이고, 즉, 스테이션(STA) 및 단일 중앙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개인용 기본 서비스 세트 제어 포인트(PCP)가 있고, 즉,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은 용어 AP는 AP 또는 PCP(WLAN 용어에서 때때로 PCT/AP로서 또한 참조됨)의 어느 하나를 참조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양자는 60 GHz(mm파)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의도한다. 그러나, 이 개시내용은 이 주파수 대역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mm파 LTE와 같은, 빔포밍을 채용하는 임의의 다른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이 개시내용은 특히, 그 동안에 STA들이 AP를 탐지하고 AP에 연관시키는 연관 국면(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또는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으로 또한 칭해짐)을 다룬다. 이 국면은 특히, 초기 빔 정렬이 수행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전적이다.
도 2는 IEEE 802.11ad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송신 간격의 도면을 도시한다. 비콘 간격(beacon interval)(BI)이 계속적으로 반복되고, 비콘 헤더 간격(beacon header interval)(BHI)은 연관에 대한 모든 국면들을 보유한다. 실제적인 데이터 전송은 데이터 송신 간격(data transmission interval)(DTI)에서 발생한다. DTI를 BHI와 비교하여 길게 유지하는 것이 희망되므로, BHI에서의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association beamforming training)(A-BFT) 국면 및 공지 송신 간격(announcement transmission interval)(ATI)은 가끔 턴 오프(turn off)될 수 있고, 이것은 BTI 동안에 전송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들에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비콘 송신 간격(beacon transmission interval)(BTI) 동안의 IEEE 802.11ad에 따르면, AP는 상이한 공간적 방향들에서 그 주요 지향성을 가지는 다양한 지향성 빔들 상에서 식별 데이터를 송신한다. STA는 예컨대, (준) 전방향(이하, "준-전(quasi-omni)"으로 또한 칭해짐) 또는 넓은(wide) 빔 안테나로 매체를 리스닝하고, 즉, 지향성 패턴이 적용되지 않는다. 일단 STA가 AP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것은 이 메시지에 대하여 적용되었던 섹터 ID를 기억한다. 또한, 그것은 BTI에 후속하여 후행하는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A-BFT) 국면 동안에 반대 방향(STA -> AP)에서 송신하기 위한 시간 슬롯을 (예컨대, 무작위적으로) 선택한다. A-BFT에서, STA는 다양한 지향성 빔들로 데이터를 AP로 송신하고, AP는 (준) 전방향 안테나로 리스닝한다. STA 송신 데이터는 이전의 BTI의 최상의 섹터 ID를 보유한다. STA가 송신하는 것을 정지시키고 AP가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을 때, AP는 최상의 품질(예컨대, 최고 SNR)로 수신되었던 STA 섹터를 포함하는 수신을 확인한다. 이 메시지는 이전의 A-BFT 국면에서 표시된 최상의 섹터 ID에 대응하는 빔을 통해 송신된다. 실제적인 연관 절차는 다음의 공지 송신 간격(ATI)에서 발생한다. ATI에서는, BTI 및 A-BFT의 최상의 섹터 ID들에 의해 표시된 최상의 빔들이 채용된다.
A-BFT에서, 몇몇 STA들은 채널 액세스를 위하여 경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A-BFT는 기존의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의 도면을 도시하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슬롯들로 분할된다. 여기서, A-BFT는 STA들이 응답할 수 있는 4 개의 슬롯들로 예시적으로 분할된다. AP와 연관시키는 것을 바라는 STA들은 단일 슬롯을 무작위적으로 선택한다. 이것은 충돌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충돌이 발생할 경우에, AP는 수신 확인인 SSW 피드백 프레임을 검출할 수 있고, AP는 SSW 피드백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회피한다. SSW 피드백이 전송될 경우에, SSW 피드백은 STA의 최상의 송신 섹터 ID에 대한 정보를 보유한다. SSW 피드백을 수신하지 않는 STA들은 심지어 당면한 BI에서 있을 수 있는 추가의 A-BFT 슬롯을 무작위적으로 선택한다. 단일 A-BFT 슬롯 내의 상이한 안테나 섹터들의 실제적인 스윕(sweep)은 SSW 프레임들에서 행해진다. 각각의 SSW 프레임은 동일한 SSW 프레임 내에서 표시된 섹터 ID 라벨을 가지는 별개의 안테나 섹터로 송신된다.
위에서 설명된 동작은 지향-대-지향(directive-to-directive)(D2D) 모드와 비교하여 더 적은 안테나 이득을 허용하는 지향-대-전(directive-to-omni)(D2O) 모드에서 연관이 발생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 때문에,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연관 국면에서 더 높은 안테나 이득을 산출하는 D2D를 채용하는 연관 국면이 채용되어, 따라서, AP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고 장거리 연관 및 데이터 송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중 지향성 빔포밍은 연관 국면 동안에 STA들 사이의 충돌 확률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는 연관 국면 동안의 공간적 재이용을 허용한다.
도 4는 이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른 몇몇 비콘 송신 간격들(BTI)의 도면을 도시하고, 즉, STA는 STA가 트레이닝하도록 의도하는 N 개의 상이한 수신 패턴들을 가진다는 것을 가정하여, AP TX 및 STA RX 트레이닝 절차(비콘 송신 국면으로 또한 칭해짐)를 도시한다. BTI에서 송신되는 각각의 DMG(directional multi-gigabit)(방향성 멀티-기가비트) 비콘 프레임은 DMG 비콘 내에서 시그널링되는 전용 방향 또는 섹터(즉, 본원에서 "제3 지향성 송신 빔"으로서 또한 지칭된 전용 송신 빔)를 이용한다. 따라서, DMG 비콘을 수신하는 STA는 AP가 이 특정한 비콘을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하였던 TX 섹터 ID를 취출(retrieve)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BTI에서의 동작의 제1 단계는 AP 측에서 미변경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고, 즉, AP는 다양한 지향성 빔들(40)("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을 통해 식별 데이터를 송신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알려진 동작과 대조적으로, STA는 다양한 지향성 수신 빔들(50)("제3 지향성 수신 빔들")로 리스닝한다. STA는 이 때 프레임 구조에 정렬되지 않기 때문에, STA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 간격(BI)의 지속기간에 대하여 그 지향성 수신 빔(50)을 적용할 수도 있다. BI 동안에, 수신 패턴은 미변경될 것이다. IEEE 802.11ad 표준은 1000 ms에 이르는 BI의 최대 지속기간을 정의하고, 전형적인 값들은 100 ms의 범위에 있다. STA는 채널을 계속적으로 리스닝하고, 이에 의해, 그 지향성 수신 패턴들을 연속적으로 적용한다. 모든 지향성 수신 패턴들이 적용된 후에, AP가 검출되었거나(경우 A), AP가 검출되지 않은 것(경우 B)의 어느 하나이다.
경우 A에서, STA는 이중 지향성 A-BFT(double directive A-BFT)(DD-A-BFT) 국면에서 통신하도록 의도하고, STA는 (예컨대, TXAP로서 또한 지칭된 "제2 송신 빔 정보"로서의) 최상의 AP 송신 섹터 및 (예컨대, RXSTA로서 또한 지칭된 "제2 수신 빔 정보"로서의) 최상의 STA 수신 섹터를 저장한다. 최상의 섹터는 예를 들어, SNR, SINR, 또는 링크 용량을 평가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STA는 특정 조건들 하에서: 예컨대, (i) 섹터들 TXAP 및 RXSTA를 갖는 수신된 SNR이 문턱(threshold) 미만일 경우에, 또는 (ii) 이전의 BTI에서의 데이터 수신이 준-전 패턴으로 성공적이지 않았을 경우에, 또는 (iii) 준-전 패턴을 갖는 규칙적인 A-BFT에서의 FailedRSSAttempts의 수(성공적이지 않은 연관 시도들의 수)가 문턱을 초과할 경우에, 또는 (iv) 너무 많은 충돌들이 규칙적인 A-BFT에서 발생하여, 연관 국면에서의 공간적 재이용을 위한 필요성을 트리거링할 경우에, DD-A-BFT 내에서 통신하는 것을 오직 고려해야 한다. SNR이 이 문턱을 초과할 경우에, STA는 규칙적인 A-BFT를 고려할 것이다. dB인 문턱 값은 다음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은 가장 강인한 변조 코딩 방식(modulation coding scheme)(MCS)이고 빔포밍 트레이닝에서 적용되는, dB인 제어 PHY MCS의 타겟 SNR을 나타낸다. 또한, 은 각각 TX 또는 RX 모드의 어느 하나에서 STA 또는 AP의 어느 하나의 dB인 빔 지향성을 나타낸다.
경우 B에서는 AP가 검출되지 않았고, STA는 다양한 지향성 빔들로 계속적으로 또는 더 이후의 시점에 리스팅 절차를 반복할 수도 있다.
AP는 이 트레이닝 국면 동안에 특수한 동작들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수정들은 주로 STA 측 상에서 있다. 그러므로, 이 접근법은 IEEE 802.11ad 및/또는 IEEE 802.11ay BTI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임의의 BTI를 재이용할 수 있다. 전용 이중 지향성 또는 장거리 BTI가 요구되지 않는다. 공간적 재이용이 STA의 주요 목적일 경우에, STA는 IEEE 802.11ad에 따라 행해지는 것과 같은 단일 BTI 국면 동안에 전방향 패턴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전제조건은 링크 버짓이 경로 손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충분하다는 것이다.
제2 국면(연관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으로 또한 칭해짐)에서, STA TX 및 AP RX 절차는 다양한 DD-A-BFT 슬롯들에서 발생한다. 단일 DD-A-BFT 슬롯 동안에, STA는 상이한 송신 섹터들, 각각의 SSW 프레임에 대하여 하나를 이용한다. AP는 전체 DD-A-BFT 슬롯 동안에 그 수신기 패턴을 미변경된 상태로 유지하고, 즉, 하나의 DD-A-BFT 슬롯 내에서 STA에 의해 송신된 각각의 SSW 프레임은 각각 동일한 수신 빔 또는 RX 섹터로 AP에 의해 수신될 것이다. 각각의 DD-A-BFT 슬롯은 상이한 AP 수신기 패턴들을 이용한다. 알려진 절차들과 대조적으로, STA는 모든 가능한 빔 조합들을 커버하기 위하여 모든 DD-A-BFT 슬롯들에서 SSW 프레임들을 송신한다.
상반성의 경우에, 채널, 적용된 빔들, 및 안테나들은 통신 방향에 대하여 독립적이고 불변이고, 즉, TX 및 RX 빔들은 동일한 성질들을 가지고, 주 로브 지향성(main lobe directivity) 및 HPBW의 관점에서 유사하고; 사이드 로브 감쇠가 충분히 크기만 하면, 사이드 로브(side lobe)들의 위치는 중요하지 않다. 채널 상반성은 구현 성질인 빔 및/또는 안테나 상반성을 가지기 위한 전제조건이다. 이러한 이유로, 빔 및/또는 안테나 상반성은 STA 및/또는 AP 측 상의 어느 하나에서 있을 수 있거나, 그것은 전혀 이용가능하지 않고, 즉, 이 성질은 디바이스 특정적이다. 표기를 간단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용어 상반성은 다음에서 이용된다. 단일 안테나 시스템들의 경우에, 상반성은 채널 및 빔 상반성을 포함한다. 멀티-채널 시스템들의 경우에, 안테나 상반성은 추가적인 전제조건이다.
먼저, 상반성이 AP에서도, 또는 STA 측에서도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가 고려될 것이다. 도 5는 단일 STA와의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의 제1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DD-A-BFT 슬롯들의 각각에서, AP는 지향성 빔(60, 62)("제1 지향성 수신 빔")으로 각각 리스닝한다. 각각의 DD-A-BFT 슬롯은 상이한 빔(60, 62)을 가질 수도 있다(더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DD-A-BFT 슬롯들에서 동일한 수신 빔을 이용하는 것이 유익할 수도 있음).
STA는 DD-A-BFT의 제1 A-BFT 슬롯으로부터 시작하여, 하나 이상의 A-BFT 슬롯들 내에서 몇몇 SSW 프레임들을 송신하고 있다. 각각의 DD-A-BFT 슬롯에서, STA는 M 개의 상이한 송신 패턴들을 통해 스위핑(sweep)할 수 있고, 즉, 상이한 지향성 빔들(70)("제1 지향성 송신 빔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SSW 프레임은 BTI 국면(도 4 참조)에서 결정된 최상의 수신된 AP 송신 섹터(TXAP, "제2 송신 빔 정보") 및 STA의 현재의 송신 섹터에 대한 정보를 보유한다. SSW 피드백("응답")을 수신하기 위하여, STA는 BTI 국면에서 더 이전에 결정된 RXSTA("제2 수신 빔 정보")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그 최상의 RX 빔(71)을 이용한다.
슬롯들의 수 N 및 슬롯 당 SSW 프레임들의 수 M은 비콘 간격 제어 필드(이하에서 참조)에서 시그널링될 수도 있고, AP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STA가 M 개 미만의 송신 섹터들을 지원할 경우에, STA는 모든 그 송신 패턴들을 완료한 후에 현재의 슬롯 내에서 송신을 정지시킬 것이고, 필요할 경우에, 다음 DD-A-BFT 슬롯에서 계속할 것이다. STA가 M 개 초과의 송신 섹터들을 지원할 경우에, STA는 슬롯 내에서 오직 M 개의 선택된 섹터들을 송신할 것이다. 선택 절차는 STA 특정적이고, 이용가능한 섹터들 사이의 각도 보간(angular interpolation)을 포함할 수도 있다.
SSW 피드백의 측면에서, 다음의 규칙들은 바람직하게는 실시예에서 적용된다:
1. AP가 STA에 의해 전송된 SSW 프레임을 디코딩할 수 있었을 경우에, AP는 바람직하게는 SSW 프레임 내에 포함된 TX 섹터 정보 데이터(TXSTA, "제1 송신 빔 정보")와 함께, 그리고 TXAP("제2 송신 빔 정보")에 의해 표시된 지향성 송신 빔(61)을 이용하여, SSW 피드백("응답")을 송신한다.
2. SSW 피드백은 디코딩가능한 SSW 프레임이 없었을 경우에, 또는 몇몇 STA들이 동시에 수신(충돌)되었을 경우에 전송되지 않는다. 충돌은 적어도 2 개의 STA들로부터 동시에 수신된 SSW 프레임으로서 정의된다. DD-A-BFT 슬롯 내의 하나를 초과하는 STA들로부터의 하나를 초과하는 유효한 SSW 프레임 수신은 충돌인 것으로 고려되는 것이 아니라, 피드백 혼잡(feedback congestion)로서 고려된다. 일부 표준들은 STA들이 상이한 SSW 프레임들을 액세스하더라도, 2 개의 STA들이 동일한 A-BFT 슬롯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충돌을 정의하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3. 하나를 초과하는 상이한 STA들로부터의 하나를 초과하는 SSW 프레임들이 DD-A-BFT 슬롯 동안에 수신(피드백 혼잡)되었을 경우에, SSW 피드백은 가장 강력한 STA로 어드레싱된다. 계류 중인 SSW 피드백들은 동일한 DD-A-BFT 내의 미래의 DD-A-BFT 슬롯들에서 어드레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SSW 피드백을 가장 강력한 STA에 전송하는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 DD-A-BFT 국면의 종료 시에, 모든 계류 중인 SSW 피드백들은 무시될 것이다.
4. STA가 SSW 피드백을 수신하였을 경우에, STA는 현재의 BTI 내의 추가의 DD-A-BFT 슬롯들에서 송신하는 것을 정지시킨다. 이것은 DD-A-BFT 슬롯들이 추가의 스테이션들이 연관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5. STA가 피드백을 수신하지 않았을 경우에, STA는 추가의 DD-A-BFT 슬롯에서의 송신을 스케줄링하지만, 동일한 DD-A-BFT 국면의 모든 SSW 피드백 국면들 동안에 채널을 리스닝하는 것을 유지한다. 이것은 STA가 피드백 혼잡의 경우에 더 이후의 시점에 SSW 피드백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도 5에서는, AP가 제N DD-A-BFT 슬롯에서의 유효한 SSW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이 가정된다. 그러므로, 제N DD-A-BFT 슬롯의 종료 시에 전송된 오직 하나의 SSW 피드백이 있다.
알려진 동작들과 대조적으로, STA들이 그 섹터 스윕을 행하기 위한 단일 A-BFT 슬롯을 무작위적으로 선택할 경우(STA가 그 섹터 스윕을 완료시킬 수 없을 경우에, STA는 다음 슬롯에서 계속될 수도 있음), STA들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DD-A-BFT 슬롯의 시작부로부터 송신한다. 충돌의 가능성은 AP가 전방향 패턴 대신에, 지향성 수신 빔들을 이용한다는 사실에 의해 감소된다. 충돌은 하나의 DD-A-BFT 슬롯의 하나의 SSW 프레임 간격 내에서, 2 개 이상의 STA들로부터의 신호들이 유사한 전력으로 수신되었을 경우에 발생한다. AP가 지향성 수신 패턴들을 적용하기 때문에, 충돌 확률은 준-전 수신과 비교하여 더 낮다.
위의 규칙 3은 AP가 하나를 초과하는 STA로부터 하나를 초과하는 유효한 SSW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경우에 적용된다. 2 개의 프레임들이 동시에 수신되지 않았으므로, 그것은 충돌이 아니다. 이 때, AP는 해결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피드백 혼잡을 초래하는, (IEEE 802.11ad 사양에서와 같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는 2 개의 SSW 피드백들을 전송해야 한다. 그러므로, AP는 (예를 들어, SNR, SINR, 또는 용량의 측면에서) 가장 강력하게 수신한 STA로 송신하고, AP는 약한 STA를 어드레싱하기 위하여 당면한 SSW 피드백 기회들 중의 하나를 이용한다. 대안적으로, 다수의 STA들로의 동시 피드백을 허용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들이 상상될 수 있다. 이 경우에, SSW 피드백은 동일한 DD-A-BFT 슬롯 내에서 수신되었던 STA들의 전부 또는 세트로 동시에 전송될 수도 있다.
도 6은 동시에 연관시키는 2 개의 STA들과의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의 제2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STA1 및 STA2는 각각 제1 및 제2 DD-A-BFT 슬롯에서 연관시킬 수 있었다. SSW 피드백이 수신되었을 경우에, 양자의 AP 및 STA들은 후속 통신들을 위하여 이용하기 위한 최상의 TX 및 RX 섹터 ID의 지식을 가진다. 오직 TX 섹터 정보는 각각 SSW 프레임들 및 SSW 피드백 동안에 AP와 STA 사이에서 교환되도록 요구되는 것에 주목한다.
도 6에서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섹터 스윕에서, STA1은 제1 지향성 송신 빔들(70)을 이용하고, STA2는 제1 지향성 송신 빔들(80)을 이용하고, AP는 제1 지향성 수신 빔(60)을 이용하여 리스닝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지향성 송신 빔들(70 및 80)에서, 개개의 STA를 위한 비콘 송신 간격에서 AP에 의해 이용된 최상의 제3 송신 빔에 대한 정보(즉, TXAP(STA1) 및 TXAP(STA2), "제2 송신 빔 정보")가 포함된다.
제1 스윕 동안, AP가 오직 STA1로부터 유효한 SSW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경우에, AP는 STA1로부터의 제2 송신 빔 정보 TXAP(STA1)에 의해 표시된 제2 지향성 송신 빔(61)을 이용하여 STA1로 어드레싱되는 SSW 피드백("응답")을 전송한다. 동시에, STA1 및 STA2는 제2 수신 빔 정보 RXSTA1 및 RXSTA2에 의해 표시된 개개의 제2 지향성 수신 빔(71, 81)으로 리스닝한다. SSW 피드백은 예컨대, MAC 어드레스, AID(association identifier)(연관 식별자), 또는 사전-AID(pre-AID)와 같은 대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함으로써, STA1로 어드레싱되기 때문에, STA1은 이 정보가 61로 송신된 SSW 피드백 내에 포함되므로, 후속 통신을 위하여 이용하기 위한 그 최상의 섹터(즉, 그 최상의 지향성 송신 빔)를 이제 안다. STA1은 후속 슬롯들에서 SSW 프레임들을 송신하는 것을 이제 정지시킬 수 있다.
추후에, 제2 섹터 스윕에서, STA2는 제1 지향성 송신 빔들(80)을 이용하고, AP는 제1 지향성 수신 빔(62)을 이용하여 리스닝한다. AP가 STA2로부터 유효한 SSW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경우에, AP는 STA2로 어드레싱되는 SSW 피드백("응답")을 전송하고, STA2로부터의 제2 송신 빔 정보 TXAP(STA2)에 의해 표시된 제2 지향성 송신 빔(63)을 이용한다. 동시에, STA2는 제2 수신 빔 정보 RXSTA2에 의해 표시된 개개의 제2 지향성 수신 빔(81)으로 리스닝한다. SSW 피드백은 예컨대, 대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함으로써, STA2로 어드레싱되기 때문에, STA2는 이 정보가 SSW 피드백(63) 내에 포함되므로, 후속 통신을 위하여 이용하기 위한 그 최상의 섹터(즉, 그 최상의 지향성 송신 빔)를 이제 안다. STA2는 후속 슬롯들에서 SSW 프레임들을 송신하는 것을 이제 정지시킬 수 있다.
도 7은 상반성을 채용하는 2 개의 STA들과의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의 제3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STA는 그 최상의 TX 빔, 다시 말해서, 최상의 RX 빔에 대한 정보, 즉, TXSTA = RXSTA(등호(equal sign)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해독되어야 함)를 이미 가진다. 이 경우에, STA는 TXSTA = RXSTA를 이용하여 각각의 DD-A-BFT 슬롯 내에서 무작위적으로 오직 하나의 SSW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것은 동일한 BI에서의 연관을 위하여 경합하는 다른 STA들을 위한 DD-A-BFT 슬롯들을 비우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2 개의 STA들을 위한 기본적인 절차(충돌 또는 피드백 혼잡이 가정되지 않음)를 도시한다. 파선표시된 SSW 프레임들은 송신되는 것이 아니라 가상적인 플레이스홀더(virtual placeholder)들(SSW 프레임 송신 기회들)인 프레임들을 표시한다.
또한, 그것이 AP가 특정한 수신된 패턴을 이용할 때에 STA에 의해 알려질 경우, 그리고 AP가 상반성을 특징으로 할 경우, AP는 AP가 희망된 수신 빔으로 수신하는 각각의 DD-A-BFT 슬롯에서 오직 하나의 SSW 프레임을 송신한다. STA가 최상의 TXAP 섹터를 알고 있기 때문에, STA는 최상의 RXAP 섹터(TXAP = RXAP)를 또한 인지한다. TX 및 RX 빔들의 스윕 시퀀스(sweep sequence)가 동일할 경우에, STA는 AP가 DD-A-BFT에서 적절한 수신 패턴을 언제 적용하는지를 예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AP가 DD-A-BFT에서 이용하려고 하는 Rx 섹터들은 DMG 비콘 내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일 STA는 BI 동안에 모든 DD-A-BFT 슬롯들 내에서 임의적으로 심지어 오직 하나의 SSW 슬롯을 점유할 수 있다. 그러나, 더 많은 강인함을 위하여, 단일 STA는 AP에서 더 많은(예컨대, 이웃하는) RX 섹터들을 트레이닝하기 위하여 몇몇 SSW 슬롯들을 점유할 수 있고/있거나 단일 STA는 그 자신의 TX 섹터들(예컨대, 최고 SNR이 BTI에서의 AP SSW 동안에 수신되었던 RX 섹터들의 이웃들인 TX 섹터들)의 더 많은 것을 트레이닝하기 위하여 슬롯 내에서 더 많은 SSW 프레임들을 이용할 수 있다.
AP가 상반성을 특징으로 하지만, STA는 그러하지 않을 경우에, STA는 AP가 적절한 수신 섹터, 즉, RXAP = TXAP를 적용하는 그 단일 슬롯에서 오직 송신한다. 이것은 AP가 전용 수신 섹터를 어느 슬롯에 적용하는지를 인지할 것을 STA에 요구한다.
모든 4 개의 변형들 - 상반성 없음, STA 상반성, AP 상반성, AP 및 STA 상반성 - 이 독립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모든 연관시키는 STA들이 동일한 성질들 또는 액세스 규칙들을 가진다는 요건은 없다.
현재의 IEEE 802.11ad 사양에서, AP는 150 m의 최대 범위에 대응하는, 1 μs의 왕복-시간 지연(round-trip-time delay)을 오직 지원한다. 예컨대, IEEE 802.11 표준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커버리지 클래스 필드(Coverage Class field)"를 이용하여 이 값을 1 μs의 배수들로 변경하는 것이 제안된다. 그 때, 이 필드는 mm파 통신을 위하여 적용가능하지 않다.
모든 가변적인 파라미터들은 DMG 비콘 프레임 본체의 일부인, 도 8에서 도시된 비콘 간격 제어 필드(Beacon Interval Control field)에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BFT 길이 필드는 A-BFT 슬롯들의 수(1 내지 8까지)를 표시하고; FSS는 하나의 A-BFT 슬롯 내에서의 SSW 프레임 슬롯들의 수(1 내지 16까지)를 표시하고; 다음 A-BFT 필드는 그 동안에 A-BFT가 존재하지 않는 BI의 수를 표시하고; N BIs A-BFT 필드는 AP가 A-BFT를 할당하는 간격을 비콘 간격들의 수로 표시한다. 모든 다른 필드들은 IEEE 802.11 표준에서 설명된다.
DD-A-BFT을 위하여, 요구된 최소 변경은 당면한 A-BFT가 DD-A-BFT일 경우의 표시이다. DD-A-BFT를 표시하기 위하여 예약된 비트들(도 8에서의 B44 내지 B47)의 단일 비트를 이용하는 것이 제안된다.
DD-A-BFT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추가의 옵션은 도 9에서 도시된 DMG 비콘 프레임 본체에서 추가의 제어 필드를 추가하는 것이다. DMG 비콘 프레임 본체는 몇몇 부분적으로 임의적인 시그널링 필드들을 보유할 수 있고, 그러므로, 그 길이는 가변적이다. 따라서, DD-A-BFT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몇몇 옵션들이 아마도 구현될 수 있다:
● 도 10에서 도시된 구조를 갖는 간단한 DD-A-BFT 제어 필드의 도입.
● DD-A-BFT 길이 필드는 DD-A-BFT 슬롯들의 수(1 내지 8까지)를 표시한다.
● FSS 필드는 하나의 DD-A-BFT 슬롯 내의 SSW 프레임 슬롯들의 수(1 내지 16까지)를 표시한다.
● 다음 DD-A-BFT 필드는 그 동안에 DD-A-BFT가 존재하지 않는 BI의 수를 표시한다.
● DD-A-BFT 카운트 필드는 DMG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가 DD-A-BFT를 위한 RX DMG 안테나들을 최후에 스위칭한 이후의 DD-A-BFT들의 수를 표시한다. 0의 값은 다가오는 DD-A-BFT에서 이용된 DMG 안테나가 최후의 DD-A-BFT에서 이용된 DMG 안테나와는 상이하다는 것을 표시한다.
● Ant 필드에서의 N-DD-A-BFT는 DMG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가 각각의 DMG 안테나로부터 얼마나 많은 A-BFT들을 수신하는지를 표시한다.
● 테스트되어야 할 빔들의 수가 DD-A-BFT 길이 필드에서 시그널링된 바와 같은 DD-A-BFT 슬롯들의 수보다 더 클 경우에, AP가 모든 수신 섹터들을 트레이닝하기 위하여 몇몇 DD-A-BFT 국면들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진보된 DD-A-BFT 제어 필드(도 11 참조)의 도입. 이것은 '프래그먼트화된(fragmented) DD-A-BFT 비트'에 의해 표시된다. 요구된 DD-A-BFT 슬롯들의 수는 'DD-A-BFT 스팬(span)'에 의해 표시된다.
총 N 개의 비-중첩하는 수신 패턴들이 있다는 것이 가정될 경우에, 각각의 수신 패턴은 예를 들어, 자유 공간 경로 손실 공식에 따라 √N 폴드 링크 거리(fold link distance)로 귀착되는 링크 버짓의 대략적으로 10 log10N dB의 이득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N 개의 상이한 비-중첩하는 수신 패턴들이 가정될 경우에, 동시에 합류하는 STA들의 충돌 확률은 STA들이 동일하게 공간적으로 분산되는 것으로 가정될 경우에, N배만큼 감소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을 예시한다.
STA들이 L 개의 RX 빔들(L은 가능한 빔들의 수임)로 섹터 스윕(sector sweep)(SSW) 슬롯들의 각각을 통해 수신 빔들을 스위핑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것은 지향성 빔들의 모든 TX/RX 조합들이 테스트되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매우 큰 오버헤드일 수 있다. 예컨대, AP가 개시자 송신 섹터 스윕(initiator transmit sector sweep)(I-TXSS) 국면 동안에 수신하였던 모든 빔들로 방향성으로 리스닝할 경우에, 큰 수의 슬롯들이 필요하다(현재, 안테나 어레이 당 L = 64 스윕들의 최대치가 정의됨).
따라서, 제2 양태에 따르면,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리스닝하기 위하여 AP에 의해 사용된 제1 수신 빔들의 세트는 수(오직 서브세트가 필요할 수도 있음) 및/또는 폭들(더 큰 빔 폭들이 수신 시에 AP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음) 및/또는 각도 섹터들(각도 섹터들은 비콘 송신 국면에서의 송신을 위하여 이전에 이용된 섹터들의 조합일 수 있음)에 있어서, 비콘 송신 국면에서 송신하기 위하여 AP에 의해 사용된 제3 송신 빔들의 세트와는 상이하다.
제2 양태에 따라 제시된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DD-A-BFT와 유사한 A_BFT 슬롯들 동안에 수행될 수 있거나, 그것은 스케줄링된 연관 빔포밍 서비스 주기들에서 대안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 개시내용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더 많은 신축성 및 강인함을 허용하기 위하여 양자의 DD-A-BFT 및 스케줄링된 간격들에서 빔포밍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것을 암시한다.
도 12는 제2 양태에 따른 비콘 송신 국면의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해결책들과 유사하게, AP는 지향성 빔들(140)("제3 지향성 송신 빔들")로 비콘 프레임들(102)을 전송한다. 이전에 설명된 것에 추가하여, 각각의 비콘 프레임(102)은 트레이닝 유닛(training unit)(TRN)들을 첨부한 PPDU(physical protocol data unit))(물리적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내에 내장되고, 즉, 도 12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비콘 PPDU(100)는 프리앰블(preamble) 및 헤더(header) 필드들(PH)(101), 비콘 프레임(102), 및 하나 이상의(일반적으로, ) 트레이닝 유닛들(103)을 포함한다. STA들(오직 하나가 도 12에서 도시됨)은 TRN 필드들을 포함하는 송신 빔들(150)의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수신 빔들(150)("제3 수신 빔들") 상에서의 링크 품질을 (예컨대, 수신된 전력을 평가함으로써) 추정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STA들은 후속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그 상에서 송신할 수 있는 최상의 넓은 빔을 추정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실시예에 대하여 예컨대,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AP는 빔포밍 송신 국면에서 이전에 스위핑되었던 좁은 빔들(140)의 몇몇에 대응하는 넓은 빔들(160)("제1 수신 빔들")을 섹터들의 일부에 대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더 정밀하게, AP가 연관 국면 동안에 그 상에서 수신하는 각각의 각도 섹터는 빔포밍 국면에서 좁은 빔들(140)에 의해 커버된 각도 섹터들 중의 하나 또는 결합(union)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것으로부터 이익을 얻기 위하여, STA들이 송신을 위하여 AP에 의해 비콘 송신 국면에서 이용된 좁은 송신 빔들(140)과, 리스닝을 위하여 AP에 의해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이용된 넓은 수신 빔들(160) 사이의 대응관계(correspondence)에 대한 일부 정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몇몇 옵션들이 가능하다:
하나의 옵션에 따르면, 좁은 송신 빔들(140)과 넓은 수신 빔들(160) 사이의 대응관계에 대한 정보가 비콘(100) 내에 포함된다. 더 명확하게, 프레임이 현재 전송되는 지향성 송신 빔(140)(예컨대, )에 대응하는 섹터 인덱스에 추가하여, 각각의 비콘 프레임(102)은 지향성 송신 빔(140)이 대응하는 넓은 수신 빔(160)(예컨대, 일 경우에, )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향성 연관이 상이한 빔 폭들이 이용될 수 있는 다수의 서브-스테이지(sub-stage)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경우에, 각각의 비콘 프레임(102)은 좁은 송신 빔(140)이 대응하는 모든 넓은 수신 빔들(160)(예컨대, 일 경우에, )을 포함할 수도 있다.
STA는 비콘(100)이 그 상에서 전송되었던 지향성 송신 빔(140)을 위하여 가장 적절한(예컨대, 가장 강력한 전력을 수신하는) 제3 수신 빔(150)을 추정한다. 좁은 송신 빔(140)이 대응관계 정보에 의해 주어진 바와 같은 오직 하나의 넓은 섹터(160)에 대응할 경우에,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STA는 AP가 이 넓은 섹터로(즉, 넓은 제1 수신 빔(160)으로) "리스닝"하는 시간 슬롯에서, 제1 송신 빔(170)으로 전송할 것이다.
이 넓고-좁은 빔(wide-narrow beam) 대응관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경우에 대하여, 2 개의 옵션들이 바람직하다: i) 그 대응관계 정보는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 간격들 동안에 예약되는 RXSS 비트들을 재이용함으로써, (섹터 스윕) SSW 필드 내에 있을 수 있거나, ii) 그 대응관계 정보는 예컨대, 확장된 스케줄에서, 비콘 프레임의 정보 엘리먼트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비콘들(100)의 각각 동안에 이용되는 제3 송신 빔들(140)에 대하여, 하나의 옵션에 따르면, 동일한 지향성 송신 빔(140)은 PPDU 및 프레임 구조 및 대응하는 AWV 구성들의 제1 실시예의 도면을 예시하는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PPDU의 나머지에 대하여 이용되었던 것과 같은 TRN들 동안에 이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STA는 수신된 전력을 최대화하는 최상의 제3 송신 빔 및 제3 수신 빔(150) 을 발견하고, 인 AP 수신에 할당된 시간 간격에서, 과 동일한 각도 섹터를 커버하는 송신 빔으로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전송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AP는 넓은 빔으로 트레이닝 간격들에서 비콘 송신 국면 동안에 전송할 수도 있고, 넓은 빔으로, AP는 예컨대, 이 되도록 한 으로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수신할 것이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옵션은 AP가 AWV를 지향성 으로부터 넓은 으로 변경하는 것을 허용하는 반면, 넓은 패턴 은 TRN 시퀀스들의 송신을 위하여 오직 이용된다. 이것은 STA들이, AP에 의해 최상으로 수신되도록 하기 위하여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이용할 수도 있는 제1 송신 빔들(170)을 더 양호하게 추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것은 PPDU 및 프레임 구조 및 대응하는 AWV 구성들의 제2 실시예의 도면을 예시하는 도 16에서 도시된다.
또 다른 옵션에 따르면, AP는 좁은 빔들(142)과 서로 얽혀진 비콘들 상에서 넓은 빔들(141)을 송신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고, 그 다음으로, STA들이 AP의 거동으로부터 좁고-넓은 대응관계에 대한 정보를 추론하게 할 수도 있다. 이것은 비콘 송신 국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을 예시하는 도 17에서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AP는 (즉, 좁은 제3 지향성 송신 빔들(142)에 의한) 특정 수의 좁은 스윕들 후에, 제1 넓은 수신 빔(160)(도 13 참조)으로서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대략" 이용될 넓은 송신 빔(141)으로 하나의 프레임(101)을 전송한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STA들은 넓은 빔들에 의한 송신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들 동안에 수신 빔 트레이닝을 오직 수행할 필요가 있어서, 트레이닝 시퀀스들이 모든 비콘들, 특히, 좁은 빔들로 전송된 것들에 첨부될 필요가 없으므로, 트레이닝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트레이닝을 위하여 이용되고 실선 라인들로 표기되는, 각각 TRN 필드들, 강제적인 TRN 필드들과 대조적인 (임의적인) 제3 수신 빔들(152), 및 제3 수신 빔들(151)에 대하여 파선 라인들에 의해 도 17에서 표시된다. 또한, 이 제3 넓은 송신 빔들(141)은 이전에 트레이닝된 좁은 제3 송신 빔들(142)에 대응하는 여분의 트레이닝 필드들을 가질 수도 있고, 그러므로, STA들이 추가적인 시그널링 필드들 없이 좁고-넓은 대응관계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이 옵션에 대하여, 비콘 엘리먼트는 비콘 엘리먼트는 스케줄링 정보, 즉, 넓은 빔 인덱스들이 이용될 순서로 넓은 빔 인덱스들을 여전히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의 옵션은 비콘 송신 국면 및 빔포밍 송신 국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을 예시하는 도 18에서 도시된 묵시적 시그널링을 고려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비콘은 추가의 스테이지 또는 연관 국면(즉,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보유한다. 길이에 대한 이 정보는 절대적인 방식으로, 즉, 연관을 위하여 AP에 의해 정의된 슬롯들의 수 M 으로, 또는 이전의 트레이닝(즉, 비콘 송신 국면)에서 전송된 비콘들의 수 N 에 대하여, 예컨대, 정수 c=N/M로서 주어질 수 있다. 각각이 특정한 좁은 빔(143)으로 송신된 N 개의 비콘 프레임들, 즉, N 개의 좁은 제3 송신 빔들이 있을 경우에, AP는 M 을 N 의 정수 분율(즉, c 가 인 정수인 )로 설정하고, AP는 c 개의 좁은 빔들(161, 162)을 조합하는 넓은 제1 수신 빔(160)으로 리스닝한다. 이에 의해, 빔 스윕의 순서는 비콘 송신 국면에 대하여 미변경된 상태로 유지된다. 예시를 위하여, 각각 비콘 송신 국면 및 연관 국면(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 대하여 및 뿐만 아니라, 빔 인덱스들 및 인 것이 가정될 수도 있다. 묵시적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AP는 제1 슬롯에 대하여, 비콘 송신 국면의 빔 및 을 포함하는 넓은 빔을 이용할 것인 반면, 제2 슬롯에서, AP는 빔 및 을 조합하는 넓은 빔을 이용한다. N 및 M 은 비콘으로부터 STA에 의해 알려지기 때문에, 데이터 c 는 용이하게 연산될 수 있다. 또한, STA는 그것이 최상의 품질을 갖는 비콘을 수신할 경우에, 비콘 송신 국면에서 실제적인 n 을 결정할 수 있고, c 를 알게 됨으로써, STA는 m 의 값을 연산할 수 있고,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언제 송신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의 특수한 경우에, 빔들 및 그 시퀀스는 비콘 송신 국면 및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동일하다.
A-BFT 슬롯들 동안에 가변적인 빔 폭과의 지향성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을 허용하기 위한 추가의 옵션은 승수(multiplier)의 개념에 기초한다. 이 개념은 증가된 수의 A-BFT 슬롯들이 개량된 DMG(enhanced DMG)(EDMG) 스테이션들에 의해 이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추가적인 슬롯들의 수는 승수 필드에서의 값과 승산된 A-BFT 길이 필드에서 표시된 값이고, 양자는 EDMG 비콘에서 정의된다. 또한, 오직 EDMG STA들이 이 슬롯들을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지속기간 필드는, DMG STA들이 더 이후의 시간에, A-BFT의 시작부를 "보도록" 수정될 수 있고, 즉, 개량된 A-BFT 슬롯들 후에, DMG STA들은 완전히 활용하지 않는 수정된 연관 국면 동안에 액세스를 시도하지 않는다. 방향성 연관을 위하여, 오직 추가적인 A-BFT 슬롯들이 이용될 수도 있고, 여기서, 승수의 값은 빔 폭의 값을 "묵시적으로" 정의할 수 있고, 예컨대, 2의 승수 값에 대하여, 각도 섹터의 폭은 승수 1에 대한 각도 섹터의 폭의 절반이다.
이 경우에, 지향성 빔 Di으로 전송된 비콘 내에서, 현재 예약되는, SSW 필드의 RXSS 길이 필드의 일부는 AP가 개개의 프레임이 송신되는 지향성 빔 Di에 대응하는 각도 섹터에 대하여 이용하는 A-BFT 슬롯의 인덱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 인덱스는 제한된 수의 비트들을 오직 요구하기 때문에, RXSS 필드 내의 추가적인 필드는 바로 후행하는 A-BFT가 지향성이고 후행하는 비트들은 지향성 A-BFT 슬롯 표시를 위하여 이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개시된 넓은 빔들의 시그널링 및/또는 송신 섹터 스윕들 내에서의 넓은 빔들의 통합은 완전히 신축적인 지향성 연관 국면을 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AP는 링크 조건들에 따라, 어느 섹터들이 지향성 연관을 위한 더 크거나 더 미세한 분해능을 요구하는지를 선택할 수도 있고, 트레이닝 국면들을 이 조건들에 적응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충돌들이 하나의 섹터 내에서 검출되었을 경우에, 또는 하나의 섹터 내에서, 신호들이 검출되었지만 적절하게 디코딩될 수 없었을 경우에, 지향성 연관은 더 좁은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반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신 빔들에 대한 정보는 이 섹터들에 대응하는 좁은 빔들에 오직 부착될 수도 있다.
개시된 지향성 연관 국면은 하나 이상의 서브-스테이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서브-스테이지에서, STA들은 그것들이 비콘 송신 국면 동안에 트레이닝하였던 최상의 것들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지향성 빔들을 전송하는 반면, AP는, 이전의 I-TXSS 국면에서 이용된 좁은 송신 빔들과 패턴에 있어서 상이할 수도 있지만, 그러나, 공지된 스케줄링에 대응하는 빔들로 방향성으로 수신한다. 도 13에서 도시된 예에서, AP는 넓은 송신 빔들(160) 을 이용하고, 여기서, 각각의 넓은 빔(150)은 빔포밍 송신 국면(도 12 참조)에서 이용된 제3 수신 섹터들 및 의 조합에 의해 커버된 각도 섹터들의 조합과 유사한 각도 섹터를 커버한다.
임의적인 피드백 스테이지는 이 주기 내부에서 유익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넓은 빔 폭 수신의 각각의 스테이지 후에, AP는 피드백 메시지(104)를, AP가 STA들이 연관을 재시도하고 다른 것들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였던 STA들로 다시 전송한다. 피드백 스테이지 후에, 트레이닝은 제3 수신 빔들(160)이 이전의 서브-스테이지에서보다 더 좁은 추가적인 서브-스테이지로 재개할 수도 있거나, 더 많은 시간 슬롯들이 허용된다. 강제적인 피드백 스테이지는 AP가 연관이 성공적이었다는 수신확인(acknowledgment)(103)을 디코딩하였던 그 프레임들을 모든 STA들로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최후의 이러한 서브-스테이지 이후에 존재해야 한다. 임의적인 피드백이 허용된다면, 비콘은 확장된 스케줄로서, 비콘이 이용하는 빔들의 시퀀스를 포함해야 하고, 피드백 스테이지가 존재한다는 것을 표시해야 한다.
(임의적인 또는 강제적인) 피드백 스테이지에서 피드백을 하나의 특정한 STA로 송신하기 위하여, 제2 송신 빔(163)은 AP에 의해 이용되고, 제2 송신 빔(163)은 비콘 송신 국면에서 최상의 제3 송신 빔으로서 STA에 의해 선택된 제3 송신 빔(140)에 임의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AP는 하나의 넓은 섹터 내에서 다수의 피드백들을 다수의 STA들로 집성(aggregate)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AP는 개개의 STA들에 의해 수신된 최상의 제3 송신 빔들에 대응하는 각도 섹터들을 커버하는 넓은 빔으로 피드백을 송신할 것이다. 또 다른 옵션은, 다수의 STA들이 넓은 빔으로 연관 슬롯 동안에 수신되었을 경우에, AP가 이 STA들의 각각에 의해 보고된 좁은 제3 송신 빔으로, 피드백을 이 STA들의 각각으로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시간 슬롯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이다. 피드백 스테이지들 동안에, STA들은 비콘 송신 국면에서 개개의 STA에 의해 선택된 최상의 제3 수신 빔에 대응할 수도 있는 제2 수신 빔(171, 181)을 이용하여 리스닝한다.
간단한 시그널링 옵션은 확장된 스케줄에서 표시하게 하는 것이고, 그 할당들에서, STA들은 피드백 정보를 예상해야 하는 반면, 각각의 서브-스테이지에 대응하는 넓고-좁은 표시는 비콘 엘리먼트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이한 가능성은 몇몇 서비스 주기들이 스케줄링될 수 있다는 것이, 즉,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각각의 서브-스테이지는 하나의 별도의 트레이닝 주기에 대응한다.
임의적인 피드백은 AP가 다양한 안테나들로 순차적으로 리스닝할 경우에 또한 유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STA가 다수의 안테나들로부터의 신호를 청취(hear)하고, 따라서, STA가 이전의 안테나로부터 임의의 피드백/수신확인을 수신하지 않았다면, 상이한 안테나의 최상의 섹터 상에서의 송신을 재시도할 수도 있는 경우들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STA 거동에 대해 수정들이 행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거리 또는 차단 시나리오들에서, STA들은 전방향성으로 비콘들을 청취할 수 없을 수도 있고, 그러므로, 수신 빔 트레이닝을 허용하기 위하여 TRN들이 특정 프레임들에 부착되는 것을 파악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는, 이 STA들이 하나 이상의 비콘 간격들 상에서 일부 넓은 수신 빔들로 리스닝할 수도 있고, 아마도 빔 폭을 감소시킬 수도 있고, 예컨대, 일단 신호들이 섹터에서 검출되면, 빔들은 패킷 검출을 허용하기 위하여 좁혀질 수 있고, 빔들의 최상의 추정이 연관 국면에서의 송신을 위하여 이용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TRN 필드들 동안에 추가로 좁혀질 수 있다. 이러한 장거리의 경우들에 대하여, 업링크에서의 낮은 링크 버짓을 보상하기 위하여, 연관 동안에, 몇몇 시간 슬롯들이 무작위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STA들은 송신 섹터 동안에 추정된 수신 섹터 내에서 좁은 빔들을 스위핑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 대하여, STA들은 AP가 오직 이중 지향성 송신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하고 하나의 측(예컨대, RTS/CTS)에서 전방향성 송신을 일반적으로 요구하는 다양한 절차들을 적응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장거리 플래그를 피드백할 수도 있다. 동일한 수신 빔들에 대한 다수의 할당들이 할당될 때마다, STA들은 수신을 위하여 최상으로 고려되었던 섹터로부터의 몇몇 좁은 빔들로 송신할 수도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케줄링 엘리먼트에 대해 수정들이 행해질 수도 있다. 스케줄링 엘리먼트는 비콘 프레임들 내에 있을 수 있고, 따라서, 비콘 간격 동안에 전송될 수 있거나, 스케줄링 엘리먼트는 공지 프레임들 내에 있을 수 있고, 따라서, 연관 시간 간격들 동안에 전송될 수 있다. 제2 옵션은 AP가 규칙적인 A-BFT 또는 지향성 DD-A-BFT의 성과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스케줄링된 지향성 연관 국면에서 이용되어야 할 수신 빔들에 대해 판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후자의 옵션의 장점은 AP에서의 더 큰 신축성이고, 이것은 예컨대, 오직 몇몇 문제 있는 섹터들이 예컨대, 충돌들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테스트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각각의 비콘 프레임 내의 또는 각각의 공지 프레임 내의 스케줄링 엘리먼트는 위에서 설명된 지향성 연관의 모든 서브-스테이지들에 대한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2 개의 유형들의 할당이 존재할 수도 있다: STA들이 채널을 액세스하도록 허용되는 동안에, AP가 지향성으로 리스닝하는 할당 간격들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유형, 및 AP가 STA들을 청취하였으면, STA들이 AP로부터 수신확인을 수신하기 위하여 리스닝 모드에 있는 할당 간격들의 제2 유형. 전자의 유형들의 할당들의 각각은 특정 할당에서 이용되는 넓은 빔의 인덱스를 특정하는 빔포밍 제어 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것은 예컨대, 현재의 빔포밍 제어 필드 내의 예약된 비트들을 재이용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이 필드는 STA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는 SSW 프레임들의 수를 표시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필드 내부의 값이 0을 초과할 때마다, STA들은 AP에 의해 수신되어야 할 기회들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최상의 수신 넓은 빔 섹터 내부에서 스위핑할 수도 있다. 이 정보는 예컨대, RXSS 길이 필드를 재이용함으로써 빔포밍 제어 필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할당 간격들을 정의하는 할당 유형은 위에서 언급된 레거시(legacy) 및 새로운 요건들을 동시에 준수하도록 새롭게 정의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지만, 그러나, 이것은 현재의 할당 필드(때때로, AID 필드로 또한 칭해짐) 구조 정의에서의 할당 유형에 대한 예약된 비트들이 존재하므로,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스케줄링 엘리먼트의 예는 도 19에서 도시된다. 여기서, 각각의 할당 필드는 대응하는 할당 식별자(AID)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할당 필드들은 AID 1, AID2 등으로서 표시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비콘 프레임들 또는 공지 프레임들의 각각은 개개의 빔들이 수신되었던 지향성 제3 수신 빔에 관련되는 할당 간격들을 표시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오직 포함하고, 즉, 비콘 프레임이 지향성 빔 으로 송신되었을 경우에, 스케줄링 엘리먼트는 이 되도록 넓은 빔 의 인덱스를 특정하는 빔포밍 제어 정보에 의한 할당 및 피드백/수신확인을 위한 할당을 포함할 것이다. 임의적으로, AP가 보다 더 좁지만 보다 더 넓은 빔으로 리스닝하는 간격들에 대한 할당 필드들이 특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콘 송신 국면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된 후에, AP가 대략적 빔(coarse beam)들 로 리스닝하는 지향성 연관 빔포밍 트레이닝 간격(directive association beamforming training interval)(D-ABFT)이 허용되고, 여기서, 각각의 은 비콘 송신 국면 내에서 스위핑된 지향성 섹터들의 일부에 대응한다. 이에 의해, 은 비콘에 의해 특정된 바와 같은 A-BFT 슬롯들의 수를 표현한다. 제1 넓은 수신 빔들의 연속은 제3 좁은 송신 빔들과 동일한 순서를 따르므로, A-BFT 슬롯 당 하나의 대략적 빔이 있고, 대략적 빔(제1 넓은 수신 빔)은 비콘 송신 국면 동안에 스위핑된 모든 좁은 제3 송신 빔들의 중첩(superposition)으로서 넓은 각도 도메인을 커버한다. 지향성 A-BFT의 존재는 비콘들에서 표시될 수 있고, EDMG STA들에 의해 오직 액세스될 수도 있다. A-BFT의 메커니즘들은 STA들이 넓은 빔들 중의 하나 이상을 액세스하도록 허용된다는 의미에서, 그러나, AP에서 채용된 수신 빔들이 STA의 최상의 수신된 빔에 대응하는 슬롯들에 대하여 오직 준수된다. DD-A-BFT 후에, 충돌들이 섹터들의 일부에서 검출되었을 경우에, AP는 ATI 내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스케줄링 엘리먼트를 전송할 수도 있고, 여기서, 할당 간격들은 즉, 넓은 빔들 또는 아마도 넓은 빔 내의 더 좁은 빔들의 표시들로 문제 있는 섹터들에 대하여 배정된다.
도 20은 확장된 스케줄링 엘리먼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여기서, 할당들은 AP가 하나를 초과하는 지향성 빔으로 동시에 수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것과 같이 정의된다. 수신을 위하여 이용되는 하나의 넓은 빔이 BTI 빔 스윕 동안에(즉, 비콘 송신 국면에서) 이용되었던 몇몇 더 좁은 빔들의 중첩에 의해 근사화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면, 어느 가변적인 빔 폭으로, AP가 연관 국면(즉,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동안에 리스닝하는지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용이한 방법이 존재한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할당 시간을 가지는 다수의 좁은 빔 수신을 갖는 할당들을 스케줄링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각각의 할당 필드는 따라서, 지향성 빔 D 및 그 이용 시간 vTSF를 표시한다. 여기서, TSF는 타이밍 동기화 함수를 나타내고, vTSF는 SP(서비스 주기, 즉, 데이터 송신의 주기)가 시작되는 시간에서의 TSF의 하부 4 개의 옥테트(octet)들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할당 1은 (예컨대, 도 18에서의 빔(161)일 수도 있는) 제1 지향성 빔 이 시작될 때의 시간 vTSF 1 을 표시한다. 할당 2 필드는 할당 1과 동일한 시작 시간 vTSF 1 , 그러나, 상이한 지향성 빔 을 가지기 때문에, 이것은 및 에 의해 정의된 2 개의 섹터들로 구성된 섹터를 커버하는 넓은 빔 으로 시작 시간 vTSF 1 에서 수신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진다.
할당들은 일반적으로 STA들이 AP와 연관되고, 그러므로, 연관 ID를 이미 수신한 후에 정의된다. 이 연관 ID들은 그 다음으로, 어느 STA들이 특정 할당 내에서 송신할 것인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2 개의 값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1 값은 브로드캐스트를 표시한다(즉, 출발지 연관 ID = 브로드캐스트 ID일 경우에, 모든 STA들은 특정 할당에서 송신할 수도 있고, 목적지 연관 ID = 브로드캐스트 ID일 경우에, 모든 STA들은 수신 모드에 있음). 제2 값은 AP를 표시한다(즉, 출발지 연관 ID = AP 연관 ID일 경우에, AP는 개개의 연관에서 송신하는 것임). 이 때문에, 도 20에서 도시된 "할당들"은 이 2 개의 값들을 표현하는 2 개의 추가의 엔트리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DTI 동안의 지향성 연관의 특정한 경우에 대하여, 이러한 연관 ID들은 아직 이용가능하지 않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연관 ID의 이용을 허용하는 것은 이 특정한 할당 내에서 송신할 수도 있는 레거시 STA들을 혼동시킬 것이고, 따라서, 연관을 방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실시예에서, 특정 브로드캐스트 연관 ID가 정의되고 예약되며, 이것은 이 유형의 트레이닝에 참여할 수 있는 EDMG STA들 또는 DMG STA들에 의해 오직 이해될 수 있다.
공간적 할당들의 수, 즉, AP가 특정한 RX 빔으로 리스닝하는 시간 블록들의 수는 예컨대, SSW 프레임들의 수(즉, 이용가능한 SSW 송신 기회들의 수)를 표시하는 NBlks 필드를 재이용함으로써, 할당 프레임 내에서 정의될 수 있다. STA가 할당 동안에 송신할 수도 있는 공간 시간 슬롯들의 최대 수(N_STS), 즉, STA가 스위핑할 수도 있는 송신 빔들의 수는 DMG 확장된 스케줄 엘리먼트의 BF 제어 필드에서, 또는 이 할당의 EDMG 확장된 스케줄 엘리먼트에서 정의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제1 경우에는, RXSS 길이가 재이용될 수도 있어서, 기본적으로, STA들은 이것은 N_STS로서 재해독하고, 이 필드에서의 예약된 비트들은 N_STS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제2 경우에는, EDMG 확장된 스케줄 엘리먼트의 몇몇 예약된 비트들이 N_STS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21은 EDMG 확장된 스케줄 엘리먼트의 예시적인 수정을 도시한다. 할당 키(Allocation Key)는 NBlk의 수, 즉, 이용가능한 SSW 프레임들의 수를 포함하고, N_STS는 얼마나 많은 SSW 프레임들이 이용될 수도 있는지를 표시한다. 2 개의 비트들은 STA가 송신할 수 있는 공간 시간 슬롯들의 최대 수를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지정된다. 이 필드의 선형 또는 지수 해독의 어느 하나는 다음의 표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빔들 또는 의 이득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도 19 및 도 20에서 도시된 할당 필드들에서의) 추가적인 필드, 또는 빔들 또는 의 이득에 종속되는 함수가 제공될 수도 있고, 이것들은 STA들이 링크 버짓이 AP가 RX 빔 또는 으로 리스닝하는 빔포밍된 SP를 STA들이 액세스하기에 충분한지를 연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을 이용함으로써, 몇몇 장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mm파 시스템들을 위한 장거리 AP 탐지; 연관 국면에서의 링크 버짓에서의 대략적으로 10 log10M dB의 증가; 상반성의 경우에 개선된 채널 액세스; 및 연관 국면에서의 공간적 재이용, 즉, 공간적 빔 성질들은 연관 국면을 위하여 활용됨.
또한, 제2 양태에 따르면,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리스닝하기 위하여 AP에 의해 사용된 제1 수신 빔들의 세트는 수(오직 서브세트가 필요할 수도 있음) 및/또는 폭들(더 큰 빔 폭들이 수신 시에 AP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음) 및/또는 각도 섹터들(각도 섹터들은 비콘 송신 국면에서의 송신을 위하여 이전에 이용된 섹터들의 조합일 수 있음)에 있어서, 비콘 송신 국면에서 송신하기 위하여 AP에 의해 사용된 제3 송신 빔들의 세트와는 상이하다.
제2 양태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비콘 송신 국면 및 연관 국면 동안에 가변적인 빔 폭들을 갖는 빔들을 이용하는 것은 지향성 연관 해결책들의 장점들, 특히, 낮은 충돌 및 장거리를 유지하면서, 연관 시간 및/또는 총 빔 트레이닝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양태에 대하여 설명된 방법 및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특정 시나리오들(예컨대, 충돌들이 일부 각도 섹터들에서 우세하게 발생함)에 적응되는 더 신축성 있는 연관 국면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논의는 본 개시내용의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개시하고 설명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은 그 사상 또는 필수적인 특성들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들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개시내용은 개시내용 뿐만 아니라 다른 청구항들의 범위의 제한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서의 교시내용들의 임의의 용이하게 구별가능한 변형들을 포함하는 개시내용은, 혁신적인 발명 요지가 공중에게 헌정되지 않도록, 상기한 청구항 용어의 범위를 부분적으로 정의한다.
청구항들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다른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고, 부정 관사 "a" 또는 "an"은 배제하지 않는다. 단일 엘리먼트 또는 다른 유닛은 청구항들에서 인용된 몇몇 항목들의 기능들을 이행할 수도 있다. 특정 수단(measure)들이 상호 상이한 종속항들에서 인용된다는 단순한 사실은 이 수단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없다는 것을 표시하지는 않는다.
개시내용의 실시예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제어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서 설명되었던 한도까지는, 광학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과 같은,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반송하는 비-일시적 머신-판독가능 매체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를 표현하기 위하여 또한 고려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인터넷 또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한 것과 같이 다른 형태들로 또한 분산될 수도 있다.
개시된 디바이스들, 장치, 및 시스템들의 엘리먼트들은 대응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 예를 들어, 적절하게 된 회로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회로는 기존의 회로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전자 컴포넌트들,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들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들, 단독형 집적 회로들, 애플리케이션 특정 단독형 제품들, 및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의 구조적 집합체이다. 또한, 회로는 소프트웨어 코드에 따라 프로그래밍되거나 구성되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들,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들,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회로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위에서 설명된 하드웨어를 포함하지만, 회로는 순수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개시된 발명 요지의 추가의 실시예들의 리스트가 뒤따른다:
1.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1)와의 RF-기반 통신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2)로서,
- RF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회로부, 및
-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하고,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beamforming training phase)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beacon transmission phase)에서,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의 세트와는 상이한 제1 지향성 수신 빔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리스닝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빔포밍 회로부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 임의의 선행하는 실시예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상이한 제1 지향성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리스닝(listen)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지향성 빔들 중의 하나 이상은 더 큰 빔 폭을 가지고/가지거나 상이한 각도 섹터들을 커버하고/하거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이용된 상기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의 오직 서브세트인, 통신 디바이스.
3. 실시예 2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빔 폭 및/또는 상기 각도 섹터들 및/또는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이용된 상기 제1 지향성 수신 빔들의 수를 적응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4. 임의의 선행하는 실시예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어느 시간 슬롯에서 어느 제1 지향성 수신 빔이,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리스닝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것인지를 표시하고/하거나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시간 슬롯에서 송신하고 있는지 및/또는 어느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시간 슬롯에서 송신하도록 허용되는지를 표시하는, 통신 디바이스.
5. 임의의 선행하는 실시예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대응관계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대응관계 정보는 특정한 시간 슬롯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제3 송신 빔과, 특정한 시간 슬롯에서 리스닝하기 위하여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제1 수신 빔 사이의 대응관계를 표시하는, 통신 디바이스.
6. 임의의 선행하는 실시예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된 좁고 넓은 제3 송신 빔들의 시퀀스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선택된 제1 송신 빔으로 어느 시간 슬롯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신 디바이스.
7. 임의의 선행하는 실시예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데이터 유닛들 - 데이터 유닛은 비콘 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트레이닝 유닛들을 포함함 - 로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데이터 유닛의 비콘 프레임은 상기 데이터 유닛의 하나 이상의 트레이닝 유닛들보다 더 좁은 제3 송신 빔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통신 디바이스.
8.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의 RF-기반 통신을 위한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방법은 빔포밍을 수행하고,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그리고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의 세트와는 상이한 제1 지향성 수신 빔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리스닝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9.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2)와의 RF-기반 통신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1)로서,
- RF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회로부, 및
-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빔포밍 회로부를 포함하고, 한편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상이한 제1 지향성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추후에 리스닝하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선택된 제1 지향성 수신 빔으로 리스닝하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시간 슬롯들에서 오직 송신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은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또는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로부터 유도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통신 디바이스.
10. 실시예 9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a)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제3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안 시간 슬롯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이한 제3 지향성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리스닝하는 단계 -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는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상이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함 - , 및
b) 후속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이용될 상기 제1 지향성 송신 빔들을 결정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3 지향성 수신 빔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1. 실시예 9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a)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제3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안 시간 슬롯의 적어도 일부에서 준-전방향성(quasi-omnidirectional) 수신 빔을 이용하여 리스닝하는 단계 -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는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상이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함 - , 및
b)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을 선택하는 단계 - 이 단계는 언제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선택된 제3 지향성 송신 빔에 대응하거나 선택된 제3 지향성 송신 빔을 커버하는 제1 지향성 수신 빔으로 리스닝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이루어짐 - 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2. 실시예 9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어느 시간 슬롯에서 어느 제1 지향성 수신 빔이,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리스닝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것인지를 표시하고/하거나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시간 슬롯에서 송신하고 있는지 및/또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시간 슬롯에서 송신하도록 허용되는지를 표시하는, 통신 디바이스.
13. 실시예 9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대응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대응관계 정보는 특정한 시간 슬롯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제3 송신 빔과, 특정한 시간 슬롯에서 리스닝하기 위하여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제1 수신 빔 사이의 대응관계를 표시하는, 통신 디바이스.
14. 실시예 12 및/또는 13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비콘 프레임의 SSW 필드 또는 빔포밍 제어 필드 또는 정보 필드로부터 상기 스케줄링 정보 및/또는 상기 대응관계 정보를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5. 실시예 9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상이한 제3 송신 빔들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단일의 제1 수신 빔에 의해 커버되는 2 개 이상의 제3 송신 빔들은 상기 제1 수신 빔에 대응하는 제3 송신 빔을 선행하거나 후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16. 실시예 9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상이한 제3 송신 빔들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미리 결정된 수의 추후에 이용되는 제3 송신 빔들은 제1 수신 빔에 의해 커버될 것이고/이거나 제1 수신 빔들의 상기 시퀀스는 제3 송신 빔들의 상기 시퀀스에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
17. 실시예 9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경우에, 제2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제2 수신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 후에, 또는 특수하게 할당된 피드백 간격들에서 리스닝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8. 실시예 17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제2 송신 빔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제2 지향성 송신 빔에 의해 응답을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1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에서 상기 제2 송신 빔 정보를 포함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9.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의 RF-기반 통신을 위한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방법은,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리고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고, 한편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상이한 제1 지향성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추후에 리스닝하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선택된 제1 지향성 수신 빔으로 리스닝하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시간 슬롯들에서 오직 송신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은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또는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로부터 유도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통신 방법.
20.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레코딩 매체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실시예 8 또는 19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레코딩 매체.
21.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실시예 8 또는 19에 따른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A1.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2)와의 RF-기반 통신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1)로서,
- RF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회로부(10), 및
- 빔포밍을 수행하도록, 그리고 하나 이상의 선택된 지향성 빔들을 이용하여 RF 신호들을 송신하고/하거나 수신하기 위하여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빔포밍 회로부(11)를 포함하고, 빔포밍 회로부(11)는,
i) 적어도 하나의 제1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 다른 통신 디바이스(2)는 제1 지향성 수신 빔을 이용하여 리스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는 제2 송신 빔 정보를 포함함 -,
ii) 단계 i)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경우에, 제2 송신 빔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제2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2)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미리 결정된 제2 지향성 수신 빔을 이용하여 추후에 리스닝하고, 그리고
iii) 응답이 단계 ii)에서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단계들 i) 및 ii)를 반복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함으로써 빔포밍 트레이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2. 실시예 A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11)는 다수의 상이한 제1 지향성 송신 빔들로 단계 i)에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3. 실시예 A2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11)는 이전의 트레이닝 국면 또는 비콘 송신 국면에서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시그널링된 바와 같은 미리 결정된 수의 제1 지향성 빔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4. 실시예 A2 또는 A3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11)는 단계 ii)에서 수신된 응답으로부터, 제2 통신 디바이스(2)에 의해 수신되었던 데이터가 통신 디바이스(1)에 의해 송신되도록 한 제1 지향성 송신 빔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제1 송신 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5. 선행하는 실시예들 A 중의 임의의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11)는 단일의 제1 지향성 송신 빔으로 단계 i)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6. 실시예 A5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11)는 단계 i)의 후속 반복들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단일의 제1 지향성 송신 빔들로 단계 i)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7. 실시예 A5 또는 A6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11)는 제1 지향성 송신 빔 및 제2 지향성 수신 빔과 동일한 빔을 이용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8. 선행하는 실시예들 A 중의 임의의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11)는 응답이 통신 디바이스(1)의 제1 식별자를 포함할 경우에, 응답이 수신된 것으로 단계 ii)에서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9. 선행하는 실시예들 A 중의 임의의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11)는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a) 다른 통신 디바이스(2)가 상이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을 이용하여 추후에 다른 통신 디바이스(2)의 제2 식별자를 송신하는 동안에, 제3 수신 빔을 이용하여 리스닝하는 단계, 및
b) 일단 제2 식별자가 수신되었으면, 제2 식별자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된 제3 지향성 송신 빔을 제2 송신 빔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제2 지향성 송신 빔으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10. 실시예 A9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11)는,
- 각각 계속적으로, 다른 통신 디바이스(2)가 상이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을 추후에 이용하는 동안에, 상이한 제3 지향성 수신 빔들을 계속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단계 a)에서 리스닝하고, 그리고
- 단계 b)에서, 제2 식별자가 수신되도록 한 제3 지향성 수신 빔을 제2 지향성 수신 빔으로서 설정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11.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2)와의 RF-기반 통신을 위한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방법은,
i) 적어도 하나의 제1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 다른 통신 디바이스(2)는 제1 지향성 수신 빔을 이용하여 리스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는 제2 송신 빔 정보를 포함함 -,
ii) 단계 i)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경우에, 제2 송신 빔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제2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2)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미리 결정된 제2 지향성 수신 빔을 이용하여 추후에 리스닝함으로써, 그리고
iii) 응답이 단계 ii)에서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단계들 i) 및 ii)를 반복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선택된 지향성 빔들을 이용하여 RF 신호들을 송신하고/하거나 수신하기 위하여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는, 통신 방법.
A12.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1)와의 RF-기반 통신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2)로서,
- RF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회로부(20), 및
- 빔포밍을 수행하도록, 그리고 하나 이상의 선택된 지향성 빔들을 이용하여 RF 신호들을 송신하고/하거나 수신하기 위하여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빔포밍 회로부(21)를 포함하고, 빔포밍 회로부(21)는,
i) 적어도 하나의 제1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다른 통신 디바이스(1)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 상기 데이터는 제2 송신 빔 정보를 포함함 - 제1 지향성 수신 빔을 이용하여 리스닝하고,
ii) 단계 i)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경우에, 제2 송신 빔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제2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응답을 추후에 송신하고 - 다른 통신 디바이스(1)는 미리 결정된 제2 지향성 수신 빔을 이용하여 리스닝하도록 구성됨 -, 그리고
iii) 단계 i)에서 상이한 제1 미리 결정된 지향성 수신 빔들을 이용함으로써 단계들 i) 및 ii)를 반복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함으로써 빔포밍 트레이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13. 실시예 A12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21)는 응답에서, 통신 디바이스(2)에 의해 수신되었던 어느 데이터가 다른 통신 디바이스(1)에 의해 송신되었는지에 의해 제1 지향성 송신 빔을 표시하는 제1 송신 빔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14. 실시예 A12 또는 A13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21)는 응답에서, 데이터가 그로부터 수신되었던 다른 통신 디바이스(1)의 제1 식별자를 포함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15. 실시예 A14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21)는 응답에서, 데이터가 가장 높은 품질 또는 SNR로 그로부터 수신되었던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제1 식별자를 포함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6. 실시예들 A12 내지 A15 중의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21)는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문턱을 초과하는 품질 또는 SNR로 단계 i)에서 수신되었을 경우에만 응답을 송신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17. 실시예들 A12 내지 A15 중의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21)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1)가 제3 수신 빔을 이용하여 리스닝하도록 구성되는 동안에, 상이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을 이용하여 추후에 제2 통신 디바이스(2)의 제2 식별자를 송신함으로써, 빔포밍 트레이닝 이전에, 비콘 송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18. 실시예들 A12 내지 A15 중의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빔포밍 회로부(21)는 데이터가 그로부터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던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 및 그 개개의 제1 송신 빔 정보의 순서화된 리스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빔포밍 회로부(21)는 순서화된 리스트로부터 이 데이터를 제거하면서, 응답에서, 순서화된 리스트의 하나의 식별자 및 제1 송신 빔 정보를 포함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A19.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1)와의 RF-기반 통신을 위한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방법은,
i) 적어도 하나의 제1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다른 통신 디바이스(1)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 상기 데이터는 제2 송신 빔 정보를 포함함 - 를 제1 지향성 수신 빔을 이용하여 리스닝하는 단계,
ii) 단계 i)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경우에, 제2 송신 빔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제2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응답을 추후에 송신하는 단계 - 다른 통신 디바이스(1)는 미리 결정된 제2 지향성 수신 빔을 이용하여 리스닝하도록 구성됨 -, 그리고
iii) 단계 i)에서 상이한 제1 미리 결정된 지향성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단계들 i) 및 ii)를 반복하는 단계
에 의해 하나 이상의 선택된 지향성 빔들을 이용하여 RF 신호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는, 통신 방법.
A20.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레코딩 매체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실시예 A11 또는 A19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레코딩 매체.
A21. 컴퓨터로 하여금,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수행될 때, 실시예 A11 또는 A19에 따른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Claims (20)
-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의 RF-기반 통신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로서,
- RF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회로부, 및
-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하고,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beamforming training phase)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beacon transmission phase)에서,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스케줄링 정보 -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어느 시간 슬롯에서 어느 제1 지향성 수신 빔이,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리스닝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것인지를 표시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제1 지향성 수신 빔으로 리스닝하는 시간 블록들의 수를 표시함 - 를 송신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의 세트와는 상이한 제1 지향성 수신 빔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리스닝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빔포밍 회로부
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상이한 제1 지향성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리스닝(listen)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지향성 수신 빔들 중의 하나 이상은 상기 제3 지향성 송신 빔들보다 더 큰 빔 폭을 가지고/가지거나 상이한 각도 섹터들을 커버하고/하거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이용된 상기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의 오직 서브세트인, 통신 디바이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빔 폭 및/또는 상기 각도 섹터들 및/또는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이용된 상기 제1 지향성 수신 빔들의 수를 적응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시간 슬롯에서 송신하고 있는지 및/또는 어느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시간 슬롯에서 송신하도록 허용되는지를 표시하는, 통신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대응관계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대응관계 정보는 특정한 시간 슬롯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제3 송신 빔과, 특정한 시간 슬롯에서 리스닝하기 위하여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제1 수신 빔 사이의 대응관계를 표시하는, 통신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된 제3 송신 빔들의 시퀀스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선택된 제1 송신 빔으로 어느 시간 슬롯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신 디바이스. - 삭제
-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의 RF-기반 통신을 위한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방법은,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하여,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스케줄링 정보 -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어느 시간 슬롯에서 어느 제1 지향성 수신 빔이,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리스닝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것인지를 표시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제1 지향성 수신 빔으로 리스닝하는 시간 블록들의 수를 표시함 - 를 송신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의 세트와는 상이한 제1 지향성 수신 빔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리스닝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의 RF-기반 통신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로서,
- RF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회로부, 및
- 빔포밍을 수행하고,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 -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어느 시간 슬롯에서 어느 제1 지향성 수신 빔이,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리스닝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것인지를 표시하고,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제1 지향성 수신 빔으로 리스닝하는 시간 블록들의 수를 표시함 - 에 기초하여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데이터가 송신될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빔포밍 회로부를 포함하고, 한편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상이한 제1 지향성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추후에 리스닝하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선택된 제1 지향성 수신 빔으로 리스닝하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시간 슬롯들에서 오직 송신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은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또는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로부터 유도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통신 디바이스. - 제9항에 있어서,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a)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제3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안 시간 슬롯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이한 제3 지향성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리스닝하는 단계 -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는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상이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함 - , 및
b) 후속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이용될 상기 제1 지향성 송신 빔들을 결정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3 지향성 수신 빔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a)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제3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안 시간 슬롯의 적어도 일부에서 준-전방향성(quasi-omnidirectional) 수신 빔을 이용하여 리스닝하는 단계 -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는 후속 시간 슬롯들에서 상이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함 - , 및
b)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3 지향성 송신 빔들을 선택하는 단계 - 이 단계는 언제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선택된 제3 지향성 송신 빔에 대응하거나 선택된 제3 지향성 송신 빔을 커버하는 제1 지향성 수신 빔으로 리스닝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이루어짐 - 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시간 슬롯에서 송신하고 있는지 및/또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시간 슬롯에서 송신하도록 허용되는지를 표시하는, 통신 디바이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대응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대응관계 정보는 특정한 시간 슬롯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제3 송신 빔과, 특정한 시간 슬롯에서 리스닝하기 위하여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제1 수신 빔 사이의 대응관계를 표시하는, 통신 디바이스.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상이한 제3 송신 빔들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단일의 제1 수신 빔에 의해 커버되는 2 개 이상의 제3 송신 빔들은 상기 제1 수신 빔에 대응하는 제3 송신 빔을 선행하거나 후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비콘 송신 국면에서 상이한 제3 송신 빔들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미리 결정된 수의 추후에 이용되는 제3 송신 빔들은 제1 수신 빔에 의해 커버될 것이고/이거나 제1 수신 빔들의 상기 시퀀스는 제3 송신 빔들의 상기 시퀀스에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경우에, 제2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제2 수신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 후에, 또는 특수하게 할당된 피드백 간격들에서 리스닝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회로부는 제2 송신 빔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제2 지향성 송신 빔에 의해 응답을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1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에서 상기 제2 송신 빔 정보를 포함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의 RF-기반 통신을 위한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방법은,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하여,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 -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어느 시간 슬롯에서 어느 제1 지향성 수신 빔이,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리스닝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것인지를 표시하고,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제1 지향성 수신 빔으로 리스닝하는 시간 블록들의 수를 표시함 - 에 기초하여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데이터가 송신될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지향성 송신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하고, 한편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상이한 제1 지향성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추후에 리스닝하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선택된 제1 지향성 수신 빔으로 리스닝하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시간 슬롯들에서 오직 송신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은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또는 상기 빔포밍 트레이닝 국면 이전의 비콘 송신 국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된 제3 지향성 송신 빔들로부터 유도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통신 방법. -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레코딩 매체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8항 또는 제19항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레코딩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6195985 | 2016-10-27 | ||
EP16195985.3 | 2016-10-27 | ||
EP17151352 | 2017-01-13 | ||
EP17151352.6 | 2017-01-13 | ||
EP17169587 | 2017-05-04 | ||
EP17169587.7 | 2017-05-04 | ||
PCT/EP2017/077659 WO2018078126A1 (en) | 2016-10-27 | 2017-10-27 |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with beamforming train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3273A KR20190053273A (ko) | 2019-05-17 |
KR102300401B1 true KR102300401B1 (ko) | 2021-09-10 |
Family
ID=6019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12249A KR102300401B1 (ko) | 2016-10-27 | 2017-10-27 | 빔포밍 트레이닝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11496203B2 (ko) |
EP (1) | EP3533149A1 (ko) |
JP (2) | JP7107309B2 (ko) |
KR (1) | KR102300401B1 (ko) |
CN (1) | CN109906563B (ko) |
WO (1) | WO201807812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2017354452C1 (en) | 2016-11-02 | 2022-07-21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
JP7039181B2 (ja) | 2016-11-02 | 2022-03-22 |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 non-PCP/AP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
KR102400089B1 (ko) * | 2017-06-09 | 2022-05-2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장치 및 동작 방법 |
KR102439787B1 (ko) * | 2018-01-18 | 2022-09-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안테나의 위상을 스윕하기 위한 전자 장치 |
CN110545167B (zh) | 2018-06-21 | 2020-11-10 | 华为技术有限公司 | 信息传输的方法及装置 |
CN110912594B (zh) * | 2018-09-17 | 2022-12-06 | 华为技术有限公司 | 波束训练方法及装置 |
EP3664571B1 (en) * | 2018-12-06 | 2023-09-20 | Peraso Technologies Inc. | Directional scan and connection mechanism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
CN111586666B (zh) * | 2019-02-15 | 2021-09-14 | 华为技术有限公司 | 设备发现方法、装置及系统 |
EP4007340A4 (en) * | 2019-07-26 | 2022-08-17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RADIO COMMUNICATIONS SYSTEM, RADIO COMMUNICATIONS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S METHOD |
WO2021104680A1 (en) * | 2019-11-26 | 2021-06-03 | Nokia Technologies Oy | Network assisted discovery for wireless communication |
US11843434B2 (en) * | 2020-03-26 | 2023-12-12 | Drexel University | Millimeter wave coarse beamforming using outband sub-6GHz reconfigurable antennas |
KR102254670B1 (ko) * | 2020-08-27 | 2021-05-21 | (주)밀리웨이브 | 무선랜 시스템 및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 |
WO2022087291A1 (en) * | 2020-10-23 | 2022-04-28 | Intel Corporation | Uplink transmission with beam switching using gap symbols |
US11476909B2 (en) * | 2020-11-23 | 2022-10-18 |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 Automatic antenna beam alignment |
CN113727388B (zh) * | 2021-11-01 | 2022-01-18 | 广东省新一代通信与网络创新研究院 | 一种基于定向监听的信道使用方法及系统 |
US20230379725A1 (en) * | 2022-05-17 | 2023-11-23 | Qualcomm Incorporated | 60 ghz beam management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382171A1 (en) * | 2013-02-07 | 2015-12-31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Long-range device discovery with directional transmissions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76398B2 (en) | 2004-09-10 | 2008-05-20 |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 Implementing a smart antenna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US8184572B1 (en) * | 2007-12-19 | 2012-05-22 | Rockwell Collins, Inc. | Real time control and management of a TDMA radio |
US8280445B2 (en) | 2008-02-13 | 2012-10-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training of beamforming vectors by selective use of beam level training |
US9100068B2 (en) | 2008-03-17 | 2015-08-04 | Qualcomm, Incorporated | Multi-resolution beamforming in MIMO systems |
US8614643B2 (en) * | 2009-08-06 | 2013-12-24 | Truepath Holdings Llc | System and methods for antenna optimization for wireless broadband communication |
US8743838B2 (en) | 2009-09-15 | 2014-06-03 | Intel Corporation |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station and method for scheduling association beamforming training with collision avoidance |
US8625565B2 (en) * | 2009-10-06 | 2014-01-07 | Intel Corporation |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station and method for multiple-access beamforming in a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network |
US8625510B2 (en) * | 2010-03-25 | 2014-01-07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Method and system for using resources allocated to a wireless network in a coexisting wireless network |
US9232472B2 (en) | 2010-12-23 | 2016-01-05 | Stmicroelectronics, Inc. | Multiple MAC addresses in a device |
US20130044695A1 (en) | 2011-08-17 | 2013-02-21 | Broadcom Corporation | Fast link establishment for wireless stations operating in millimeter-wave band |
KR101820733B1 (ko) * | 2011-08-24 | 2018-01-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빔 선택 장치 및 방법 |
WO2013058612A1 (en) * | 2011-10-19 | 2013-04-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plink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9071489B2 (en) * | 2011-12-07 | 2015-06-30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eambl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
US9225401B2 (en) | 2012-05-22 | 2015-12-29 | Mediatek Singapore Pte. Ltd. | Method and apparatus of beam training for MIMO operation and multiple antenna beamforming operation |
US8989163B2 (en) | 2012-06-06 | 2015-03-24 | Intel Corporation |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uring an association beamforming training (A-BFT) period |
TWI611708B (zh) | 2012-08-28 | 2018-01-11 | Idac控股公司 | 從主波束的通信鏈路交遞的方法及裝置 |
US9692459B2 (en) | 2012-11-28 | 2017-06-27 | Intel Corporation | Using multiple frequency bands with beamforming assistance in a wireless network |
KR102043021B1 (ko) | 2013-04-15 | 2019-11-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
WO2015089303A1 (en) | 2013-12-12 | 2015-06-18 | Intel Corporation |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cell association and beamforming training with a mmwave capable small cell |
EP3087681A4 (en) | 2013-12-27 | 2017-08-16 | Intel IP Corporatio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ly responding to wireless transmissions |
WO2015132827A1 (ja) | 2014-03-05 | 2015-09-11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
US9368870B2 (en) | 2014-03-17 | 2016-06-14 | Ubiquiti Networks, Inc. | Methods of operating an access point using a plurality of directional beams |
US20150341105A1 (en) | 2014-05-23 | 2015-11-26 | Mediatek Inc. | Methods for efficient beam training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network control device utilizing the same |
US9786985B2 (en) | 2014-08-27 | 2017-10-10 | Intel IP Corporatio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beamforming training |
US10056958B2 (en) * | 2014-10-27 | 2018-08-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user beamforming in mmWave wireless LAN systems |
WO2016068521A1 (en) * | 2014-10-27 | 2016-05-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user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CN105790806B (zh) | 2014-12-19 | 2020-08-07 | 株式会社Ntt都科摩 | 混合波束赋形技术中的公共信号传输方法及装置 |
US10411780B2 (en) | 2014-12-31 | 2019-09-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ast association in millimeter wav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s |
CN104639289B (zh) | 2015-01-28 | 2018-01-30 | 西安电子科技大学 | 一种wlan中空闲节点辅助的定向接入控制方法 |
CN104698430B (zh) * | 2015-03-27 | 2017-06-06 | 北京邮电大学 | 一种用于提高精度的基于虚拟天线阵列的角度估计方法 |
TW201728207A (zh) * | 2015-11-10 | 2017-08-01 | Idac控股公司 | 波束成形系統下行控制頻道設計及傳訊 |
KR20220062422A (ko) * | 2016-03-03 | 2022-05-16 | 아이디에이씨 홀딩스, 인크. | 빔 포밍 기반의 시스템에서의 빔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TW201739226A (zh) * | 2016-03-10 | 2017-11-01 | 內數位專利控股公司 | 在無線區域網路中波束成形訓練系統及方法 |
CN111343643B (zh) * | 2016-12-30 | 2021-09-2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接入切换方法、网络侧设备及移动终端 |
-
2017
- 2017-10-27 US US16/343,416 patent/US11496203B2/en active Active
- 2017-10-27 CN CN201780066934.7A patent/CN109906563B/zh active Active
- 2017-10-27 WO PCT/EP2017/077659 patent/WO2018078126A1/en unknown
- 2017-10-27 KR KR1020197012249A patent/KR1023004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0-27 EP EP17791676.4A patent/EP3533149A1/en active Pending
- 2017-10-27 JP JP2019522934A patent/JP7107309B2/ja active Active
-
2022
- 2022-04-11 JP JP2022065209A patent/JP2022095862A/ja active Pending
- 2022-10-18 US US17/967,942 patent/US20230050361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382171A1 (en) * | 2013-02-07 | 2015-12-31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Long-range device discovery with directional transmissio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533149A1 (en) | 2019-09-04 |
US20190319693A1 (en) | 2019-10-17 |
JP7107309B2 (ja) | 2022-07-27 |
CN109906563A (zh) | 2019-06-18 |
CN109906563B (zh) | 2022-05-13 |
WO2018078126A1 (en) | 2018-05-03 |
JP2019537363A (ja) | 2019-12-19 |
JP2022095862A (ja) | 2022-06-28 |
KR20190053273A (ko) | 2019-05-17 |
US20230050361A1 (en) | 2023-02-16 |
US11496203B2 (en) | 2022-1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0401B1 (ko) | 빔포밍 트레이닝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 |
JP6900426B2 (ja) | ビームフォーミング通信システムのデータ送受信方法及び装置 | |
JP5598771B2 (ja) | セグメント化ビーム形成 | |
JP7166172B2 (ja) |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ビームフォーミングトレーニ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US9241331B2 (en) | Method and system for optimal beamforming in wireless networks | |
JP5473174B2 (ja) | マルチアンテナ通信デバイスにおける高効率且つ高柔軟性の送信用ビームフォーミングセクタスイープ | |
US11387876B2 (en) |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with beamforming training | |
KR101536136B1 (ko) | 무선 시스템에서 시간의 할당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 |
JP4474468B2 (ja) | 集中化されていない媒体アクセス制御を有するネットワーク用の受信機および送信機 | |
EP3308568B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 |
US11134515B2 (en) | Contention-based random access with receive beamforming in wireless networks | |
CN109121206B (zh) | 通信方法及通信节点 | |
CN112567869B (zh) | 毫米波wlan网络中的分配和方向信息分发 | |
CN108141272B (zh) | 基站装置、无线终端装置和无线通信方法 | |
JP7157396B2 (ja) | Tdd spチャネルアクセスwlan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未割り当てスロットの通知 | |
CN110832937B (zh) | 已调度数据传输时段的空间重用 | |
EP4026254A1 (en) | Methods, computer program and radio network node for null-steering beamform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