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670B1 - 무선랜 시스템 및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 및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670B1
KR102254670B1 KR1020200108260A KR20200108260A KR102254670B1 KR 102254670 B1 KR102254670 B1 KR 102254670B1 KR 1020200108260 A KR1020200108260 A KR 1020200108260A KR 20200108260 A KR20200108260 A KR 20200108260A KR 102254670 B1 KR102254670 B1 KR 102254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
beacon signal
directional
directional beam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하
나승현
이호선
Original Assignee
(주)밀리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밀리웨이브 filed Critical (주)밀리웨이브
Priority to KR1020200108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1Joint weighting using training sequences or error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은, AP(access point)가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AP가 상기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동안, STA(station)가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비콘 신호를 리스닝(listening)하는 단계; 및 상기 STA에서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AP와 상기 STA가 상기 수신된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AP의 지향성 빔과 상기 STA의 지향성 빔으로 연결(association)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 및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Wireless lan system and method for beamforming training therein}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 및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1ad 등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AP(access point)와 STA(station)는 빔포밍 안테나를 구비하고, 지향성 빔을 통한 트래픽 채널을 확립하기 위해 빔포밍 트레이닝을 수행한다. 이러한 빔포밍 트레이닝은, AP가 지향성(directional) 빔의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비콘 신호를 송신하고 STA가 전방향(omni-directional) 빔으로 비콘 신호를 리스닝(listening)하여, 최적의 지향성 빔을 찾는 이른바 SLS(Sector Level Sweep) 과정을 포함한다. 빔포밍 트레이닝 과정은 MCS(Modulation Code Scheme) 인덱스 중 MCS 0, 즉 제어 채널을 통해 수행되고, 트래픽은 MCS 1~12, 즉 트래픽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도 1은 기존의 빔포밍 트레이닝을 통해 AP에서 STA로 트래픽이 전송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다만 이것은 반드시 종래 기술은 아니고 본 발명의 배경에 관한 것이다.
AP(10)는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비콘 신호를 송신하고(110단계), 그 동안 STA(20)는 전방향 빔으로 비콘 신호를 리스닝한다(120단계).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다가 비콘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130단계), STA(20)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AP(10)의 지향성 빔에 상응하는 지향성 빔으로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140단계), AP(10)가 지향성 빔으로 응답 신호를 수신함으로써(145단계), AP(10)와 STA(20)는 연결(association)을 수행한다. AP(10)는 트래픽을 전송할 준비가 되면 지향성 빔으로 RTS(Request to Send) 신호를 송신하고(150단계), STA(20)는 전방향 빔으로 RTS 신호를 수신한다(155단계). STA(20)는 트래픽을 수신할 준비가 되면 지향성 빔으로 CTS(Clear to Send) 신호를 송신하고(160단계), AP(10)는 지향성 빔으로 CTS 신호를 수신한다(165단계). 그러면 AP(10)는 지향성 빔으로 트래픽을 송신하고(170단계), STA(20)는 지향성 빔으로 트래픽을 수신한다(175단계).
도 2는 기존의 빔포밍 트레이닝에서 발생하는 제어 채널과 트래픽 채널 간의 커버리지 불일치를 보여준다.
기존의 빔포밍 트레이닝에 의하면, AP(10)가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AP(10)와 STA(20) 간의 트래픽 송수신은 지향성 빔을 통해 이루어지는 반면, STA(20)가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고 수신하는 것은 전방향 빔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지향성 빔과 전방향 빔은 커버리지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데, 지향성 빔은 지향 방향에서 전방향 빔보다 커버리지가 더 크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AP(10)의 지향성 빔의 커버리지는 Rdirectional이고, STA(20)의 전방향 빔의 커버리지는 Romni이다. AP(10)가 송신하는 비콘 신호와 트래픽은 지향성 빔을 통해 AP(10)로부터 Rdirectional까지 전달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STA(20)는 전방향 빔으로 비콘 신호를 수신해야 하므로, AP(10)와 STA(20) 간의 거리가 Romni 이내이어야 STA(20)이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AP(10)와 STA(20) 간의 통신 가능 거리(또는 배치 거리)가 Romni 이내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AP와 STA 간의 통신 가능 거리(또는 배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선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은, AP(access point)가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AP가 상기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동안, STA(station)가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비콘 신호를 리스닝(listening)하는 단계; 및 상기 STA에서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AP와 상기 STA가 상기 수신된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AP의 지향성 빔과 상기 STA의 지향성 빔으로 연결(association)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스닝하는 단계는, (a)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스닝하는 단계는, 상기 (b)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빔 방향의 변경 주기를 변경하여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방향의 변경 주기를 변경하는 것은, 상기 변경 주기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빔 방향의 변경 주기를 변경하는 것은, 상기 변경 주기를 2배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빔포밍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무선랜 시스템은,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AP(access point); 및 상기 AP가 상기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동안,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비콘 신호를 리스닝(listening)하는 STA(station)를 포함하고, 상기 STA에서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AP와 상기 STA는 상기 수신된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AP의 지향성 빔과 상기 STA의 지향성 빔으로 연결(association)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TA는, (a)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고, (b) 상기 (a) 과정의 수행 결과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비콘 신호를 리스닝할 수 있다.
상기 STA는, 상기 (b) 과정의 수행 결과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빔 방향의 변경 주기를 변경하여 상기 (a) 과정 및 상기 (b)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랜 시스템에서 AP와 STA 간의 통신 가능 거리(또는 배치 거리)를 지향성 빔의 커버리지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빔포밍 트레이닝을 통해 AP에서 STA로 트래픽이 전송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기존의 빔포밍 트레이닝에서 발생하는 제어 채널과 트래픽 채널 간의 커버리지 불일치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AP(30)와 STA(40) 및 이들이 가지는 지향성 빔들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을 통해 AP(30)에서 STA(40)로 트래픽이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STA(40)의 220단계와 230단계의 보다 구체적인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어 채널과 트래픽 채널의 커버리지가 일치되고 AP(30)와 STA(40) 간의 통신 거리(또는 배치 거리)가 도 2에 비하여 증가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된 기존의 빔포밍 트레이닝에서, STA가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고 수신할 때 전방향 빔을 사용하는 것은, STA가 이동성 단말인 것을 전제로 그 위치가 계속 바뀌기 때문에 AP와 STA가 수시로 빔포밍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신속하게 최적의 빔을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비콘 신호를 전방향 빔으로 리스닝할 경우, 이론적으로 AP가 지향성 빔을 한번 스윕하는 동안 내에 STA는 정상적으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기존의 빔포밍 트레이닝과 본 발명의 빔포밍 트레이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본 발명은 STA가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고 수신할 때 전방향 빔 대신 지향성 빔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면 STA가 정상적으로 비콘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전방향 빔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약간 길어질 수도 있지만, 이것이 별 문제가 되지 않는 많은 상황이 존재한다. 이를테면, STA는 고정형 단말이 될 수도 있는데(예를 들어 무선 백홀망의 경우), 이 경우 AP와 STA가 빔포밍 트레이닝을 통해 서로 최적의 지향성 빔을 한번 찾으면, 장비의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거나 STA를 다른 곳에 재설치하지 않는한 다시 빔포밍 트레이닝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빔포밍 트레이닝에 걸리는 시간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처럼 STA가 지향성 빔을 사용하여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고 수신하면, AP와 STA 간의 제어 채널의 커버리지는 (전방향 빔 대신) 지향성 빔의 커버리지가 되므로, AP와 STA 간의 통신 가능 거리(또는 배치 거리)가 증가된다. 이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 후 다시 언급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AP(30)와 STA(40) 및 이들이 가지는 지향성 빔들의 예를 나타낸다. AP(30)는 시계 방향을 따라 4개의 지향성 빔(D11, D12, D13, 14)를 가지며, STA(40)는 시계 방향을 따라 4개의 지향성 빔(D21, D22, D23, D24)를 가진다. 다만 지향성 빔의 개수는 예를 든 것으로, 4개보다 적거나 많을 수 있고, AP(30)의 지향성 빔의 개수와 STA(40)의 지향성 빔의 개수는 다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을 통해 AP(30)에서 STA(40)로 트래픽이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AP(30)는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비콘 신호를 송신한다(210단계). 이를테면, AP(30)는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시계 방향을 따라, 즉 D11, D12, D13, D14, D11, D12, ... 의 순서로 계속 변경하면서 비콘 신호를 송신한다.
210단계를 통해 AP(30)가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동안, STA(40)는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비콘 신호를 리스닝한다(220단계).
220단계를 통해 STA(40)가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다가, 비콘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230단계), STA(40)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STA(40)의 지향성 빔으로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240단계), AP(30)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AP(30)의 지향성 빔으로 응답 신호를 수신함으로써(245단계), AP(30)와 STA(40)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AP(30)의 지향성 빔과 STA(40)의 지향성 빔으로 연결(association)을 수행한다.
도 5는 STA(40)의 220단계와 230단계의 보다 구체적인 과정을 나타낸다.
우선, STA(40)는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비콘 신호를 리스닝한다(310단계). 이를테면, STA(40)는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시계 방향을 따라, 즉 D21, D22, D23, D24의 순서로 변경하면서 비콘 신호를 리스닝한다. 310단계를 통해 STA(40)가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다가, 비콘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320단계), 240단계로 진행하여 STA(40)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STA(40)의 지향성 빔으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310단계를 통해 D21, D22, D23, D24의 순서로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였지만, 정상적으로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가령, AP(30)와 STA(40) 간의 최적의 지향성 빔의 조합이 (D12, D23)라 가정할 때, AP(30)가 D11, D12, D13, D14의 순서로 빔을 스윕하는 동안 STA(40)가 D21, D22, D23, D24의 순서로 빔을 스윕하였다면, 동시에 지향성 빔의 조합이 (D12, D23)가 되지 않으므로, STA(40)에서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
이처럼 310단계를 통해 정상적으로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STA(40)는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비콘 신호를 리스닝한다(330단계). 이를테면, STA(40)는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반시계 방향을 따라, 즉 D24, D23, D22, D21의 순서로 변경하면서 비콘 신호를 리스닝한다. 330단계를 통해 STA(40)가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다가, 비콘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340단계), 240단계로 진행하여 STA(40)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STA(40)의 지향성 빔으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가령, AP(30)가 D11, D12, D13, D14의 순서로 빔을 스윕하는 동안 STA(40)가 D24, D23, D22, D21의 순서로 빔을 스윕하게 되면, 동시에 지향성 빔의 조합이 최적의 지향성 빔의 조합인 (D12, D23)인 경우가 발생하므로, AP(30)는 D12로 비콘 신호를 송신하고 STA(40)는 D23로 비콘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330단계까지 거쳐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으로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STA(40)는 빔 방향의 변경 주기를 변경하고(350단계), 변경된 빔 방향의 변경 주기로 310단계 내지 340단계를 반복한다. 예컨대, 반복 시에 빔 방향의 변경 주기는 앞선 스윕 과정에서의 변경 주기의 2배로 증가될 수 있다. 예컨대 STA(40)가 330단계를 통해 D24, D23, D22, D21의 순서로 빔을 스윕하였음에도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빔 방향의 변경 주기를 2배로 변경하여 310단계에서 D21, D22, D23, D24의 순서로 빔을 스윕한다. 이 경우 AP(30)가 D11, D12, D13, D14, D11, D12, D13, D14의 순서로 빔을 8번 스윕하는 동안, STA(40)는 D21, D22, D23, D24의 순서로 빔을 4번 스윕하게 된다. 그러면 AP(30)와 STA(40)의 빔의 조합이 더욱 다양해져 최적의 지향성 빔의 조합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아지게 된다. 빔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전형적으로는 310단계 내지 340단계의 1회 또는 2회 반복 안에 최적의 지향성 빔의 조합이 발생하여 비콘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240단계와 245단계를 통해 AP(30)와 STA(40)이 연결(association)된 후, AP(30)는 트래픽을 전송할 준비가 되면 지향성 빔으로 RTS(Request to Send) 신호를 송신하고(250단계), STA(40)는 지향성 빔으로 RTS 신호를 수신한다(255단계). STA(40)는 트래픽을 수신할 준비가 되면 지향성 빔으로 CTS(Clear to Send) 신호를 송신하고(260단계), AP(30)는 지향성 빔으로 CTS 신호를 수신한다(265단계). 그러면 AP(30)는 지향성 빔으로 트래픽을 송신하고(270단계), STA(40)는 지향성 빔으로 트래픽을 수신한다(275단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어 채널과 트래픽 채널의 커버리지가 일치되고 AP(30)와 STA(40) 간의 통신 거리(또는 배치 거리)가 도 2에 비하여 증가된 모습을 보여준다. AP(30)가 지향성 빔을 사용하여 비콘 신호를 송신할 뿐만 아니라, STA(40)도 지향성 빔을 사용하여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고 수신하므로, AP(30)와 STA(40) 간의 제어 채널의 커버리지는 지향성 빔의 커버리지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AP(30)와 STA(40)는 지향성 빔의 커버리지는 Rdirectional만큼 떨어져 있어도 비콘 신호의 송수신 등 빔포밍 트레이닝이 가능하다. 따라서 AP(30)와 STA(40)의 통신 가능 거리는 Rdirectional로 증가되고, STA(40)는 AP(30)로부터 Rdirectional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집적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
    AP(access point)가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AP가 상기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동안, STA(station)가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비콘 신호를 리스닝(listening)하는 단계; 및
    상기 STA에서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AP와 상기 STA가 상기 수신된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AP의 지향성 빔과 상기 STA의 지향성 빔으로 연결(association)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닝하는 단계는,
    (a)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빔 방향의 변경 주기를 변경하여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방향의 변경 주기를 변경하는 것은, 상기 변경 주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빔 방향의 변경 주기를 변경하는 것은, 상기 변경 주기를 2배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
  6. 빔포밍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있어서,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AP(access point); 및
    상기 AP가 상기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동안,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비콘 신호를 리스닝(listening)하는 STA(station)를 포함하고,
    상기 STA에서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AP와 상기 STA는 상기 수신된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AP의 지향성 빔과 상기 STA의 지향성 빔으로 연결(association)을 수행하고,
    상기 STA는, (a)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고, (b) 상기 (a) 과정의 수행 결과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지향성 빔의 빔 방향을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상기 비콘 신호를 리스닝하되,
    상기 STA는, 상기 (b) 과정의 수행 결과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빔 방향의 변경 주기를 변경하여 상기 (a) 과정 및 상기 (b)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빔 방향의 변경 주기를 변경하는 것은, 상기 변경 주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 방향의 변경 주기를 변경하는 것은, 상기 변경 주기를 2배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
KR1020200108260A 2020-08-27 2020-08-27 무선랜 시스템 및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 KR102254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260A KR102254670B1 (ko) 2020-08-27 2020-08-27 무선랜 시스템 및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260A KR102254670B1 (ko) 2020-08-27 2020-08-27 무선랜 시스템 및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670B1 true KR102254670B1 (ko) 2021-05-21

Family

ID=7615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260A KR102254670B1 (ko) 2020-08-27 2020-08-27 무선랜 시스템 및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6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3405A (ja) * 2017-08-09 2019-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53273A (ko) * 2016-10-27 2019-05-17 소니 주식회사 빔포밍 트레이닝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US20190326968A1 (en) * 2016-12-30 2019-10-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Beam training method, communication device, chip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200015778A (ko) * 2017-07-07 2020-02-1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273A (ko) * 2016-10-27 2019-05-17 소니 주식회사 빔포밍 트레이닝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US20190326968A1 (en) * 2016-12-30 2019-10-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Beam training method, communication device, chip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200015778A (ko) * 2017-07-07 2020-02-1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 및 장치
JP2019033405A (ja) * 2017-08-09 2019-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060B1 (ko) 고속 적응 빔 트랙킹을 하는 ㎜Wave WPAN 통신 시스템
US20080117865A1 (en) Communic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ing multiple antennae
KR20120123526A (ko) 무선 시스템에서 시간의 할당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US11418247B2 (en) High spatial reuse for mmWave Wi-Fi
KR2020008000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향을 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1041859A1 (en) Deep learning aided fingerprint based beam alignment
US8081110B2 (en) Association in contention access period
JP202052018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ブロードキャスト・ビーム重み付け値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848220B2 (en)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beamspace coefficients
CN110771061A (zh) 用于具有固定位置的无线站的波束成形的系统和方法
KR102254670B1 (ko) 무선랜 시스템 및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트레이닝 방법
CN108736939B (zh) 波束训练的方法和设备
US11683852B2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using line of sight feedback
CN107395260B (zh) 基于人造噪声的分布式安全波束成型方法及装置
US11411310B2 (en) Determination of electrical phase rela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11756421B (zh) 一种波束空间覆盖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20217627A1 (en) Gateway selection method
CN112020077B (zh) 通信方法及装置
US11153003B2 (en) Cell-specific signal generation
KR102237278B1 (ko) 이동 통신 링크로 형성되는 무선랜의 빔 포밍을 통한 무선 접속 시스템 및 방법
JP7344363B2 (ja) フェーズドアレイで到達角度を測定する方法
Ulukan et al. Using switched beam smart antennas in wireless ad hoc networks with angular MAC protocol
CN114867104B (zh) 基于多波束的定位方法及装置
WO2022156551A1 (zh) 一种波束方向的调节方法及相关设备
CN109698714B (zh) 一种阵列波束检测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