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333B1 - 유입 변압기 - Google Patents

유입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333B1
KR102300333B1 KR1020200048150A KR20200048150A KR102300333B1 KR 102300333 B1 KR102300333 B1 KR 102300333B1 KR 1020200048150 A KR1020200048150 A KR 1020200048150A KR 20200048150 A KR20200048150 A KR 20200048150A KR 102300333 B1 KR102300333 B1 KR 102300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heat dissipation
housing
dissipation un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석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산일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일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산일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01F27/12Oil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01F2038/125Ignition, e.g. for IC engines with oi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former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전력 변환설비가 장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절연유가 채워지며, 상기 수용공간이 사각형 구조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일체로 돌출되어 내부에 절연유가 출입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유입 변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입 변압기{Oil Immersed Transformer}
본 발명은 유입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절연유가 저장되어 변압 과정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할 수 있는 유입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교류의 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변화시키는 장치로서, 트랜스라고도 하며 대게 전압을 필요한 값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기본 구조는 철심의 양쪽에 코일을 감아서 1차 권선과 2차 권선으로 구분하고, 철심은 자속의 통로로 사용되며, 1차권선에 교류전원을 접속하면 전류가 흐르고 철심에는 교번자속(交番磁束)이 발생한다. 이 자속은 2차권선과 쇄교(鎖交)하고 또한 교류전류의 주파수에 따라서 교번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2차권선에 전압이 발생하며, 1차 및 2차 권선된 코일에 따라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철심에 감겨진 코일의 권선 부분을 절연유로 가득 채워 절연한 변압기를 유입 변압기라 하며, 절연유를 내부에 저장한 하우징은 하우징 외부에 방열판이 구비되면서 절연유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절연유는 하우징 내부에 습기나 먼지가 들어가서 절연내력(絶緣耐力)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철심이나 권선에서 발생한 열을 절연유의 대류나 복사를 통해 방열시키기 위해서 채워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입 변압기는 방열판 만으로 방열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절연유를 하우징 외부로 순환시키거나 또는 냉각수를 공급하여 방열하는 구조를 적용하고 있지만, 하우징 외부에 추가적으로 부가되는 방열구조가 복잡하거나, 방열구조에 따른 추가 공간 확보가 필요한 구조적인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하우징 외부에 방열핀을 부착하는 구조는 방열핀의 냉각에 의해 간접적으로 하우징 내부의 절연유를 냉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새로운 형태의 고성능 방열 구조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외부에 추가적인 방열 구조를 부가하지 않으면서도 방열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방열 구조에 따른 추가 공간 확보가 필요치 않은 유입 변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전력 변환설비가 장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절연유가 채워지며, 상기 수용공간이 사각형 구조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일체로 돌출되어 내부에 절연유가 출입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유입 변압기를 제공한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수용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제1영역과 대향하는 제2영역과,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과 이웃한 측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3영역과, 상기 수용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제3영역과 대향하는 제4영역과, 상기 제1영역 내지 제4영역 중 어느 두 영역이 서로 이웃하는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5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1영역 내지 제5영역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복수개의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양 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5영역을 연결하는 튜브가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경사지도록 배치된 튜브가 상기 제1영역에서 경사지지 않은 튜브에 대하여 3~30° 범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이 상기 제5영역과 수평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3영역과 제4영역의 튜브가 상기 제5영역의 튜브와 나란히 동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각각의 상기 튜브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전열면적을 증대시키는 방열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대응하도록 일체로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수용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제1영역과 대향하는 제2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일 측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3영역과, 상기 수용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제3영역과 대향하는 제4영역과, 상기 제1영역 내지 제4영역 중 어느 두 영역이 서로 이웃하는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5영역 및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의 양 측 단부에 나란히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5영역과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5영역과 연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와 연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입 변압기에 따르면, 하우징과 방열부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어 종래 하우징 외부에 별도로 방열핀을 부착하는 구조에 비하여 고성능의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종래에는 하우징의 각 측면에만 방열핀이 구비되는 구조였는데, 이에 부가적으로 제5영역을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방열 성능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입 변압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입 변압기의 상부에서 하우징과 방열부만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입 변압기의 방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입 변압기의 방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입 변압기의 상부에서 하우징과 방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유입 변압기의 방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입 변압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입 변압기의 상부에서 하우징과 방열부만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유입 변압기(100)는 전력 계통에 구성되어 발전소로부터 전압을 인가 받아 승압 또는 감압을 통해 수용가까지 전력을 송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유압 변압기는 안정적인 운용을 위하여 외부 요인에 의해 흔들림이 없도록 단단하게 설치 고정되고, 이러한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입 변압기(100)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미도시)로 이루어진 트랜스코일(미도시)과 트랜스코일의 상호 유도작용의 원활함을 위한 계자철심과 같은 전력 변환설비(미도시)와, 전력 변환설비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과 일체로 외부에 돌출되어 하우징(110) 내부에 저장된 절연유(Oil)를 방열시키는 방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11) 내부에 전력 변환설비가 설치된다. 하우징(110)의 외부에는 전력 변환설비와 연결된 고압 또는 저압 부싱(11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10)과 전력 변환설비 사이에는 수용공간(111)의 형상에 대응하면서 하우징(1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 프레임 또는 패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측면에 대응하여 방열부(120)가 배치되고, 상면과 하면에 대응하여 방열부(120) 상하부를 커버하는 커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수용공간(111)은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용공간(11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10)은 방열부(12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방열부(12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또한 방열부(120)를 조립 또는 결합하여 하우징(110) 구조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방열부(120)를 대략 사각형의 형태로 결합하여 하우징(110)을 구현하는 구조를 일 예로써 나타내며, 하우징(110)과 방열부(120)를 하나의 구조물로 성형하는 구조 역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입 변압기(100)는 하우징(110) 내부에 형성된 사각 형상의 수용공간(111)을 중심으로 상부에 제1영역(121), 하부에 제2영역(122), 좌측에 제3영역(123), 우측에 제4영역(124) 및 각 영역들이 이웃하는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는 제5영역(125)을 포함한다. 즉, 하우징(110)은 수용공간(111)을 중심으로 제1영역(121)과 제2영역(122)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제3영역(123)과 제4영역(124)이 좌우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제5영역(125)은 서로 이웃하는 영역들 사이에서 대각선 방향에 각각 배치된다. 수용공간(111)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5영역(125)은 각 모서리가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5영역(125)이 4개 구비된 구조를 일 예로 설명한다.
방열부(120)는 제1영역(121) 내지 제5영역(125) 상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튜브(126)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튜브들(126)은 유입 변압기(100)의 설치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돌출될 수 있다. 이는 각 튜브들(126)이 하우징(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주변 공기의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방열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복수개의 튜브들(126)이 서로 나란히 연결 배치된 방열부(120)가 수용공간(111)의 네 측면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서로 동일한 형상의 단위 크기로 이루어진 방열부(120)를 유입 변압기(100)의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서 절단하여 네 측면으로 배치 및 결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1영역(121)과 제2영역(122)은 각각 제3영역(123)과 제4영역(124)에 직각으로 배치되는데, 제1영역(121) 내지 제4영역(124) 중 서로 이웃하는 제5영역(125)에서 튜브(126)가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각 튜브들(126)은 수용공간(111)의 각 측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반면에, 각 영역들이 서로 이웃하면서 수용공간(111)의 각 측면에 대응하지 않는 제5영역(125)은 예컨대, 제1영역(121)과 제3영역(123)의 수평"?항?* 따라서 중첩되는 영역일 수 있다.
물론, 제5영역(125)은 각각 제3영역(123)과 제4영역(124)의 양 단부에서 더 연장된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3영역(123)과 제4영역(124)의 튜브들(126)은 제5영역(125)의 튜브들과 나란히 동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영역(121)의 양 측 단부에 배치된 튜브와 제2영역(122)의 양 측 단부에 배치된 튜브는 각각 제5영역(125)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경사진 튜브들은 제5영역(125)의 단부에 배치된 튜브와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이때 경사진 튜브를 통해서 하우징(11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영역과 제2영역이 더 연장된 영역에 제5영역이 배치되고, 이와 대응하여 제3영역과 제4영역의 양 단부에 경사진 튜브가 배치되면서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경사진 튜브와 인접한 제5영역의 튜브 사이에는 하우징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튜브들(126) 상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전열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열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 내부에서 수용공간(111)에 채워진 절연유(Oil)는 제1영역(121) 내지 제5영역(125)의 튜브들(126)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방열부(120)가 외부에서 주변 공기의 대류에 의해 자연 냉각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유(Oil)의 방열 성능이 증대될 수 있다. 물론 각 영역들이 인접한 제5영역(125)의 튜브 내부에 절연유(Oil)가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하우징 외부 표면에 방열핀 구조가 결합된 것에 비하여 방열 성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입 변압기의 방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전기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입 변압기(100)는 방열부(120)의 제1영역(121) 우측 단부에 배치된 경사진 튜브(1216)와 제5영역(125)의 상측 단부에 배치된 튜브(1256)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는 방열부(120)의 각 영역이 이웃한 부분에서 모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진 튜브(1216)의 단부에는 제5영역(125)의 튜브(1256) 단부가 용접될 수 있고, 경사진 튜브(1216)는 제5영역(125)이 결합되면서 제2영역(122, 도 2 참조) 우측 단부에 배치된 경사진 튜브와 함께 제4영역(124)을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튜브들에 비하여 높은 강성이 요구될 수 있다. 예컨대, 경사진 튜브(1216)는 제5영역(125)의 튜브(1256) 단부와 결합영역(WA)에서 용접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방열부(120)의 제1영역(121) 우측 단부에 배치된 경사진 튜브(1216)와 제5영역(125)의 상측 단부에 배치된 튜브(1256')가 결합되되, 경사진 튜브(1216)의 일부가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방열부(120)의 각 영역이 이웃한 부분에서 모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진 튜브(1216')의 단부에는 제5영역(125)의 튜브(1256) 단부가 용접될 수 있고, 경사진 튜브(1216)의 일부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면서 하우징(110)의 강성을 보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경사진 튜브(1216') 중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부분의 길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경사진 튜브(1216')는 제1영역(121)에서 경사지지 않은 튜브(126)와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지 배치 각도에서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때 경사진 튜브(1216')의 경사 각도는 경사지지 않은 제1영역(121)의 다른 튜브(126)로부터 약 3~30°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경사진 튜브(1216')를 구비함으로써 제1영역(121)과 제5영역(125)의 결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제1영역(121)과 제5영역(125) 사이의 결합영역(WA)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영역(121)과 제5영역(125) 사이의 결합 강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제1영역(121)과 제5영역(125) 사이의 결합영역(WA)이 변형 또는 파손에 의해 누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수반된다.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경사진 튜브(1216')는 제5영역(125)의 상측 단부에 배치된 튜브(1256)로 유입되는 절연유의 흐름을 고려하고, 결합영역(WA)의 강성을 고려하여 일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5영역(125)의 상측 단부에 배치된 튜브(1256)로 유입되는 절연유의 유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부 절곡된 형상으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방열부(120)의 제1영역(121) 우측 단부에 배치된 경사진 튜브(1216'')와 제5영역(125)의 상측 단부에 배치된 튜브(1256)가 결합되되, 경사진 튜브(1216'')의 일부가 하우징(110) 내부에서 서로 면 접촉하도록 절곡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방열부(120)의 각 영역이 이웃한 부분에서 모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경사진 튜브(1216'')가 서로 면 접촉하도록 절곡되는 경우, 튜브의 일부 두께가 증가하면서 주변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물론, 면 접촉하도록 절곡된 면(CA)은 면 접촉하지 않는 물결 패턴, 계단 패턴 등의 형상으로 더 절곡되어 전열 면적을 증대시키거나 강성 보강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입 변압기의 방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입 변압기(200)는 방열부(220)의 제1영역(221) 우측 단부에 배치된 튜브(2216)와 제5영역(225)의 상측 단부에 배치된 튜브(2256)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다. 즉, 결합영역(WA)에 경사진 튜브가 없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는 방열부(220)의 각 영역이 이웃한 부분에서 모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영역(221)의 우측 단부에 배치된 튜브(2216)는 제5영역(225)의 상측 단부에 배치된 튜브(2256)가 결합영역에서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영역(221)의 우측 단부에 배치된 튜브(2216)는 제5영역(225)의 상측 단부에 배치된 튜브(2256)와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111)에 인접하는 제1영역(221)과 제4영역(224) 사이에는 튜브에 절연유가 공급되는 과정에 크게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서 보강 패턴(230)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 패턴(230)은 수용공간(111)으로부터 제4영역(224) 또는 제5영역(225) 방향으로 절연유(Oil)가 공급될 수 있도록 보강 패턴(230)을 관통하는 통공(미도시)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통공은 절연유의 이동 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보강 패턴(230)의 상부 영역이나 하부 영역에 밀도가 높고, 보강 패턴(230)의 중심 영역은 통공이 없거나 밀도가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영역(221) 내지 제4영역(224)의 튜브(226)는 모두 같은 크기로 돌출되고, 제5영역(225)에서 돌출된 튜브는 나머지 영역에서 돌출된 튜브에 비하여 그 돌출된 정도가 짧을 수 있다. 또한 제5영역(225)에서 돌출된 튜브(2256)는 제3영역 또는 제4영역으로부터 각각 제1영역 또는 제2영역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튜브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는 제5영역(225)에서 방열 성능이 크게 줄어들지 않는 범위에서 제5영역(225)의 튜브(2256) 길이를 줄임으로써 제5영역(225)의 증가로 인해 설치 공간이 확대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제5영역(225)의 간섭으로 인해 하우징(210) 전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입 변압기의 상부에서 하우징과 방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유입 변압기의 방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전기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입 변압기(300)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미도시)로 이루어진 트랜스코일(미도시)과 트랜스코일의 상호 유도작용의 원활함을 위한 계자철심과 같은 전력 변환설비(미도시)와, 전력 변환설비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과 일체로 외부에 돌출되어 하우징(110) 내부에 저장된 절연유(Oil)를 방열시키는 방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는 전기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방열부(320)의 구조에 있어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방열부(320)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110)의 구조에 있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방열부(320)는 제1영역(321)과, 제2영역(322)과, 제3영역(323)과, 제4영역(324)과, 제5영역(325) 및 고정부(3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321) 내지 제5영역(325)은 전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튜브(326)가 돌출되고 내부에 절연유가 출입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영역(321)은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 대응하도록 일체로 배치되고, 제2영역(322)은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을 중심으로 제1영역(321)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3영역(323)은 제1영역(321)의 일 측에 이웃한 측면과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제4영역(324)은 수용공간(111)을 중심으로 제3영역(323)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5영역(325)은 제1영역(321) 내지 제4영역(324) 중 어느 두 영역이 서로 이웃하는 대각선 방향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고정부(327)는 제1영역(321)과 제2영역(322)의 각 양 측 단부에 나란히 이격 배치되어 제5영역(325)과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부(327)는 제1영역(321) 또는 제2영역(322)이 배치된 하우징(110)의 측면에 배치되어 제3영역(323) 및 제4영역(324)의 양 단부에 배치된 제5영역(325)을 고정시킨다. 고정부(327)는 각각의 제5영역(325)과 연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5영역(325)은 제3영역(323)과 제4영역(324)의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영역(321)과 제2영역(322)의 가상의 연장선 상에서 제3영역(323)과 제4영역(324)이 중첩되는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물론 고정부(327)는 제1영역(321)과 제2영역(322)을 고정하도록 배치되고, 제3영역(323)과 제4영역(324)이 각각 하우징(110) 상에서 독립적으로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방열부(320)는 제1영역(321) 내지 제5영역(325) 및 고정부(327)가 하우징(110) 내부와 연통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방열부(320) 내부에 절연유가 출입하면서 방열을 유도할 수 있다.
물론 방열부(320)는 하우징(110)의 각 측면을 둘러 싸도록 배치되고, 하우징(110)의 상부와 하부를 커버로 결합함으로써 조립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방열부(320)는 고정부(327)가 제1영역(321)과 제2영역(322)에서 돌출되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제5영역(325)까지 튜브(326)를 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방열 성능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27)는 하우징(110) 또는 제1영역(321)과 제2영역(322)의 양 측 단부에 용접이나 체결 구조로 고정되기 때문에 제3영역(323) 내지 제5영역(325)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200, 300 : 유입 변압기
110, 210 : 하우징
120, 220, 320 : 방열부

Claims (10)

  1. 내부에 전력 변환설비가 장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절연유가 채워지며, 상기 수용공간이 사각형 구조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일체로 돌출되어 내부에 절연유가 출입하는 방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수용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제1영역과 대향하는 제2영역과,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과 이웃한 측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3영역과,
    상기 수용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제3영역과 대향하는 제4영역과,
    상기 제1영역 내지 제4영역 중 어느 두 영역이 서로 이웃하는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5영역을 포함하는 유입 변압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1영역 내지 제5영역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복수개의 튜브를 포함하는 유입 변압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양 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5영역을 연결하는 튜브가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유입 변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경사지도록 배치된 튜브가 상기 제1영역에서 경사지지 않은 튜브에 대하여 3~30° 범위로 배치되는 유입 변압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이 상기 제5영역과 수평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유입 변압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3영역과 제4영역의 튜브가 상기 제5영역의 튜브와 나란히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유입 변압기.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각각의 상기 튜브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전열면적을 증대시키는 방열패턴을 포함하는 유입 변압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의 양 측 단부에 나란히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5영역과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유입 변압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5영역과 연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와 연통하는 유입 변압기.
KR1020200048150A 2020-04-21 2020-04-21 유입 변압기 KR102300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150A KR102300333B1 (ko) 2020-04-21 2020-04-21 유입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150A KR102300333B1 (ko) 2020-04-21 2020-04-21 유입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333B1 true KR102300333B1 (ko) 2021-09-09

Family

ID=7777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150A KR102300333B1 (ko) 2020-04-21 2020-04-21 유입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3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235A (ko) * 2008-04-29 2009-11-03 허민행 지상변압기 케이스
KR20130117736A (ko) * 2013-07-29 2013-10-28 (주)건영통상 모듈형 방열핀 구조의 변압기 케이스
KR20180011399A (ko) * 2016-07-21 2018-02-01 주식회사 신주플랜트 냉각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235A (ko) * 2008-04-29 2009-11-03 허민행 지상변압기 케이스
KR20130117736A (ko) * 2013-07-29 2013-10-28 (주)건영통상 모듈형 방열핀 구조의 변압기 케이스
KR20180011399A (ko) * 2016-07-21 2018-02-01 주식회사 신주플랜트 냉각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7235C1 (ru) Блок катушки для бесконтактной передач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ощности.
KR101538093B1 (ko) 유입변압기
JP2013236051A (ja) 放熱ボビンを有する磁性部材
US10804709B2 (en) Coil unit, and power transmitting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coil unit
JP2016139699A (ja) コイル装置
JP2015170674A (ja) リアクトル
JP2015116040A (ja) 電力変換装置
KR102300333B1 (ko) 유입 변압기
JP7180267B2 (ja) コイルユニット
KR20220010446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66144B1 (ko) 변압기
KR102323608B1 (ko) 유입 변압기
US20210375523A1 (en) Reactor and multi-phase interleave-type dc-dc converter
WO2019181152A1 (ja) 静止誘導器
KR100664509B1 (ko) 외철형 변압기 및 그 제작 방법
KR102657867B1 (ko) 초고압 변압기용 방열기
KR20070095716A (ko) 변압기
KR102552586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H0722257A (ja) 静止誘導電器
JP6856148B2 (ja) コイル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送電装置、受電装置並びに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JP7485461B2 (ja) モールド形静止誘導機器
KR102037433B1 (ko) 내구성이 향상된 변압기
JP3936623B2 (ja) 油入電気機器の冷却装置
KR20220059461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6729444B2 (ja) コイル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