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148B1 -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148B1
KR102300148B1 KR1020210063406A KR20210063406A KR102300148B1 KR 102300148 B1 KR102300148 B1 KR 102300148B1 KR 1020210063406 A KR1020210063406 A KR 1020210063406A KR 20210063406 A KR20210063406 A KR 20210063406A KR 102300148 B1 KR102300148 B1 KR 102300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arm
bar
vehicle entry
entry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대혁
Original Assignee
오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대혁 filed Critical 오대혁
Priority to KR1020210063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6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bunkers or tun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4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bunkers, hopper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1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 B65G69/182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with aspir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장 외부에서 유입될 우려가 있는 질병을 차단하는 동시에 적재 차량을 이용하여 사료를 안정적으로 농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한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농장으로 공급될 사료가 저장되는 사료 저장 탱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FEED IMPORT SYSTEM TO BLOCK EXTERNAL DISEASE INSIDE THE FARM}
본 발명은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장 외부에서 유입될 우려가 있는 질병을 차단하는 동시에 적재 차량을 이용하여 사료를 안정적으로 농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한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료공급장치는 가축 또는 애완동물에게 소정 시간 간격으로 사료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사료공급장치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에 제안되어 있다. 제안된 종래의 사료공급장치는, 원통체내부에 격판과 고정판이 이격되어 설치되고 격판 상부의 사료가 통과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격판 하부에 고정된 고정판에 관통공이 형성된 저장통과, 저장통에 저장된 사료를 일정량 이동시키도록 상부에 투입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격판과 고정판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통과, 슬라이드통 저면에 형성된 래크와 치합되어 모터 구동으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에 의해 슬라이드통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이동수단으로 이동된 슬라이드통 내부의 사료가 안정되게 배출되도록 고정판 하부에 고정된 배출판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기존의 사료공급장치는 출입하는 차량에 대해서 따로 관리할 수 있는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차량을 통해 바이러스가 유출되거나 유입되었을 때 관리체계가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에 대해 소독을 하기 위해서 별도 작업자가 수동으로 약품을 살포해야 하므로 인력 낭비에 대한 지적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65035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095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농장 외부에서 유입될 우려가 있는 질병을 차단하는 동시에 적재 차량을 이용하여 사료를 안정적으로 농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한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은, 농장으로 공급될 사료가 저장되는 사료 저장 탱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은, 농장 내에서만 운행하면서 상기 사료 저장 탱크로부터 사료를 공급받아 전달하기 위한 내부 차량; 상기 내부 차량이 진입하기 위한 터널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사료 저장 탱크가 설치되는 내부 차량 진입 터널; 농장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일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외부 차량 이동 통로; 및 농장 내로 진입하지 아니하고 상기 외부 차량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사료 저장 탱크로 접근하며, 상기 사료 저장 탱크에 사료를 공급하는 외부 차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은, 작업자가 상측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외벽을 따라 계단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은,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에서 공급 중인 사료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이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입구를 개폐하는 비산 방지부; 및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사료 저장 탱크로부터 사료의 공급이 시작되면 구동되어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내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집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산 방지부는,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입구 프레임; 일측이 상기 입구 프레임의 전단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입구 프레임을 덮어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 비닐; 상기 덮개 비닐의 타측을 따라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입구 프레임의 전단 외측면을 따라 부착 설치되어 상기 입구 프레임을 덮고 있는 상기 덮개 비닐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수 개의 체결 프레임; 및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입구와 대향하는 농장의 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입구를 개방시키고 농장의 벽면에 밀착된 상기 덮개 비닐이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체결 프레임이 부착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프레임은, 탄성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덮개 비닐의 타측 전단에 설치되되, 타단이 상기 덮개 비닐로부터 타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탄성 바아; "ㄱ"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전단 수직 절곡면이 상기 탄성 바아의 타측을 관통하고 설치되어 상기 탄성 바아를 체결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후단 수평 절곡면에 전단이 설치되어 상기 탄성 바아와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이 상기 입구 프레임의 외측면에 안착되는 체결 바아; 상기 체결 바아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 프레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1 자성체; 상기 탄성 바아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탄성 바아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설치홈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 조절 바아; 볼트 헤드가 상기 고정대의 전단 수직 절곡면에 안착되고 볼트 나사산이 상기 탄성 조절 바아의 타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볼트홈에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볼트 헤드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에 따라 상기 탄성 조절 바아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장력 조절 볼트; 및 상기 체결 바아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바아는, 전단으로 갈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입구 프레임의 외측 경사면에 대응하여 상기 입구 프레임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이 후단으로 갈수록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농장 외부에서 유입될 우려가 있는 질병을 차단하는 동시에 적재 차량을 이용하여 사료를 안정적으로 농장으로 공급함으로써, 농장 내의 가축들이 전염병 등에 의해 피해를 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의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비산 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체결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10)은, 사료 저장 탱크(100)를 포함한다.
사료 저장 탱크(100)는,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의 상부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외부 차량(500)으로부터 농장(F)으로 공급될 사료를 공급받아 저장해 두며, 내부 차량(200)이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의 내측으로 진입하면 내부 차량(200)의 적재함으로 저장되어 있는 사료를 낙하시켜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10)은, 내부 차량(200),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 외부 차량 이동 통로(400) 및 외부 차량(50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차량(200)은, 농장(F) 내에서만 운행하면서 사료 저장 탱크(100)로부터 사료를 공급받아 농장(F)에서 사육 중인 가축들에게 전달한다.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은, 내부 차량(200)이 진입하기 위한 터널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료 저장 탱크(100)가 하부 배출구(110)가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외부 차량 이동 통로(400)는, 외부 차량(500)이 농장(F)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농장(F) 외부로부터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의 일측까지 연장 형성된다.
외부 차량(500)은, 농장(F) 내로 진입하지 아니하고 외부 차량 이동 통로(400)를 따라 이동하여 사료 저장 탱크(100)로 접근하며, 사료 저장 탱크(100)에 사료를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은, 작업자가 상측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외벽을 따라 계단(6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10)은, 농장 외부에서 유입될 우려가 있는 질병을 차단하는 동시에 적재 차량을 이용하여 사료를 안정적으로 농장으로 공급함으로써, 농장 내의 가축들이 전염병 등에 의해 피해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20)은, 사료 저장 탱크(100), 내부 차량(200),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 외부 차량 이동 통로(400), 외부 차량(500), 비산 방지부(700) 및 집진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부 차량(200),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 외부 차량 이동 통로(400) 및 외부 차량(5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비산 방지부(700)는,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에서 공급 중인 사료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이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의 입구(310)를 개폐한다.
집진부(800)는,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사료 저장 탱크(100)로부터 사료의 공급이 시작되면 구동되어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의 내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20)은,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에서 공급 중인 사료로부터 발생되거나, 내부 차량(200)의 이동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분진 등을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분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호흡기 질환의 발생 또는 분진 부착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건물의 노후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비산 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산 방지부(700)는, 입구 프레임(710), 덮개 비닐(720), 다수 개의 체결 프레임(730) 및 고정 프레임(740)을 포함한다.
입구 프레임(710)은, 차량 진입 터널(300)의 입구(310)의 형태에 대응하는 "ㅁ" 형태로 제작되어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의 입구(310)를 따라 설치되며, 일측에 덮개 비닐(720)의 일측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입구 프레임(710)는, 제1 자성체(734)가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자석에 부착되는 재질(예를 들어, 철 등)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덮개 비닐(720)은, 입구 프레임(71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비닐을 절개하여 제작되며, 일측이 입구 프레임(710)의 전단 일측에 설치되며, 입구 프레임(710)을 덮어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의 개구부를 개폐한다.
체결 프레임(730)은, 덮개 비닐(720)의 타측을 따라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며, 입구 프레임(710)의 전단 외측면을 따라 부착 설치되어 입구 프레임(710)을 덮고 있는 덮개 비닐(720)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한다.
고정 프레임(740)은,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의 입구(310)와 대향하는 농장(F)의 벽면에 설치되며,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의 입구(310)를 개방시키고 농장(F)의 벽면에 밀착된 덮개 비닐(720)이 움직이지 않도록 체결 프레임(730)이 부착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프레임(740)는, 제2 자성체(737)가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자석에 부착되는 재질(예를 들어, 철 등)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비산 방지부(700)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의 입구(310)를 개폐함으로써,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분진이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체결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체결 프레임(730)은, 탄성 바아(731), 고정대(732), 체결 바아(733), 제1 자성체(734), 탄성 조절 바아(735), 장력 조절 볼트(736) 및 제2 자성체(737)를 포함한다.
탄성 바아(731)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어 덮개 비닐(720)의 타측 전단에 설치되되, 타단이 덮개 비닐(720)로부터 타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덮개 비닐(720)을 타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주며, 타측에 고정대(732)가 설치된다.
고정대(732)는, "ㄱ"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전단 수직 절곡면이 탄성 바아(731)의 타측을 관통하고 설치되어 탄성 바아(731)를 체결하고, 후단에 체결 바아(733)가 설치된다.
체결 바아(733)는, 고정대(732)의 후단 수평 절곡면에 전단이 설치되어 탄성 바아(731)와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이 입구 프레임(710)의 외측면(711)에 안착되며, 일측면에 제1 자성체(734)가 설치되고, 타측면에 제2 자성체(737)가 설치된다.
제1 자성체(734)는, 체결 바아(733)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입구 프레임(710)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탄성 조절 바아(735)는, 탄성 바아(731)의 타측면으로부터 탄성 바아(731)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설치홈(731a)의 내측에 설치되며, 장력 조절 볼트(736)가 회전함에 따라 장력 조절 볼트(736)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 바아(731)의 장력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장력 조절 볼트(736)는, 볼트 헤드가 고정대(732)의 전단 수직 절곡면에 안착되고 볼트 나사산이 탄성 조절 바아(735)의 타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볼트홈(735a)에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볼트 헤드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에 따라 탄성 조절 바아(735)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제2 자성체(737)는, 체결 바아(733)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고정 프레임(740)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바아(733)는, 전단으로 갈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입구 프레임(710)의 외측 경사면(711)에 대응하여 입구 프레임(710)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이 후단으로 갈수록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입구 프레임(710)에 간편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체결 프레임(730)은,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입구 프레임(710)에 체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탄성 바아(731)를 이용하여 덮개 비닐(720)의 타측을 잡아 당겨 덮개 비닐(720)이 항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사용으로 덮개 비닐(720)이 늘어나는 등으로 장력이 저하될 경우 발생되는 공간으로 분진이 내부 차량 진입 터널(3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
100: 사료 저장 탱크
200: 내부 차량
300: 내부 차량 진입 터널
400: 외부 차량 이동 통로
500: 외부 차량
600: 계단
700: 비산 방지부
800: 계단

Claims (3)

  1. 농장으로 공급될 사료가 저장되는 사료 저장 탱크;
    농장 내에서만 운행하면서 상기 사료 저장 탱크로부터 사료를 공급받아 전달하기 위한 내부 차량;
    상기 내부 차량이 진입하기 위한 터널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사료 저장 탱크가 설치되는 내부 차량 진입 터널;
    농장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일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외부 차량 이동 통로; 및
    농장 내로 진입하지 아니하고 상기 외부 차량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사료 저장 탱크로 접근하며, 상기 사료 저장 탱크에 사료를 공급하는 외부 차량;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은,
    작업자가 상측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외벽을 따라 계단이 설치되며,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에서 공급 중인 사료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이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입구를 개폐하는 비산 방지부; 및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사료 저장 탱크로부터 사료의 공급이 시작되면 구동되어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내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집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산 방지부는,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입구 프레임;
    일측이 상기 입구 프레임의 전단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입구 프레임을 덮어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 비닐;
    상기 덮개 비닐의 타측을 따라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입구 프레임의 전단 외측면을 따라 부착 설치되어 상기 입구 프레임을 덮고 있는 상기 덮개 비닐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수 개의 체결 프레임; 및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입구와 대향하는 농장의 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차량 진입 터널의 입구를 개방시키고 농장의 벽면에 밀착된 상기 덮개 비닐이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체결 프레임이 부착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 프레임은,
    탄성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덮개 비닐의 타측 전단에 설치되되, 타단이 상기 덮개 비닐로부터 타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탄성 바아;
    "ㄱ"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전단 수직 절곡면이 상기 탄성 바아의 타측을 관통하고 설치되어 상기 탄성 바아를 체결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후단 수평 절곡면에 전단이 설치되어 상기 탄성 바아와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이 상기 입구 프레임의 외측면에 안착되는 체결 바아;
    상기 체결 바아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 프레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제1 자성체;
    상기 탄성 바아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탄성 바아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설치홈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 조절 바아;
    볼트 헤드가 상기 고정대의 전단 수직 절곡면에 안착되고 볼트 나사산이 상기 탄성 조절 바아의 타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볼트홈에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볼트 헤드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에 따라 상기 탄성 조절 바아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장력 조절 볼트; 및
    상기 체결 바아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는,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063406A 2021-05-17 2021-05-17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 KR102300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406A KR102300148B1 (ko) 2021-05-17 2021-05-17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406A KR102300148B1 (ko) 2021-05-17 2021-05-17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148B1 true KR102300148B1 (ko) 2021-09-08

Family

ID=7778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406A KR102300148B1 (ko) 2021-05-17 2021-05-17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1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0930A (ja) * 1984-12-25 1986-07-09 Takashi Yoshimoto バラ化家畜飼料の中継備蓄装置
KR200450955Y1 (ko) 2009-10-06 2010-11-12 최영경 자동사료공급장치
KR20140042034A (ko) * 2012-09-27 2014-04-07 신일식 민원이 없고 지면으로 노출되지 않는 돈사시설과 그 돈사
KR20150065035A (ko) 2013-12-04 2015-06-12 배정우 사료공급장치
KR20180102760A (ko) * 2017-03-08 2018-09-18 (주)세성 소 축사용 자동급이기 장착 가이드식 자동주행 차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0930A (ja) * 1984-12-25 1986-07-09 Takashi Yoshimoto バラ化家畜飼料の中継備蓄装置
KR200450955Y1 (ko) 2009-10-06 2010-11-12 최영경 자동사료공급장치
KR20140042034A (ko) * 2012-09-27 2014-04-07 신일식 민원이 없고 지면으로 노출되지 않는 돈사시설과 그 돈사
KR20150065035A (ko) 2013-12-04 2015-06-12 배정우 사료공급장치
KR20180102760A (ko) * 2017-03-08 2018-09-18 (주)세성 소 축사용 자동급이기 장착 가이드식 자동주행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4402B2 (en) Configurations of inlet and outlets of air filled auxiliary tank of air seeders
US7540109B2 (en) Humane trap for small animals
CA1247940A (en) Pneumatic spreader
US5447118A (en) Water bottle assembly having gnaw protection shield
KR102300148B1 (ko) 농장 내 외부 질병 차단을 위한 사료반입 시스템
US5992349A (en) Animal feeder
US9107380B2 (en) Rack apparatus for managing laboratory animal
KR102062967B1 (ko) 롤러 밀, 흡인 조립체, 및 롤러 밀의 개장 방법
US6571509B2 (en) Rodent poison feeder
US20100018467A1 (en) Automated feeding apparatus
MX171882B (es) Dispositivo alimentador para animales con compuerta ajustable
US5771838A (en) Bird feeder with feed recapture reservoir
US20040011885A1 (en) Dispensing means
US20060162669A1 (en) Feeder apparatus
US10849311B1 (en) In and out playhouse for cats
US6761129B1 (en) Animal feeder
US2670108A (en) Grain door funnel with sliding closure
MX2022000434A (es) Portaplantas para sistema hidroponico.
US10314930B1 (en) Trash receptacle granule dispenser
CN207393091U (zh) 一种卷筒式可拆卸防蚊纱窗
US1917805A (en) Catch basin trap
AR047920A1 (es) Dispositivo de fijacion de un canal en una tolva de alimentacion de productos pulverulentos de una celula de electrolisis
JP2007116996A (ja) 送風式薬剤放散装置
US10172321B1 (en) Portable pet ramp
KR101940177B1 (ko) 포충 및 청정 기능을 갖는 에어 커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