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933B1 -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 Google Patents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933B1
KR102299933B1 KR1020210070182A KR20210070182A KR102299933B1 KR 102299933 B1 KR102299933 B1 KR 102299933B1 KR 1020210070182 A KR1020210070182 A KR 1020210070182A KR 20210070182 A KR20210070182 A KR 20210070182A KR 102299933 B1 KR102299933 B1 KR 102299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sample
collecting
pipe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해
Original Assignee
(주)엘케이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케이메탈 filed Critical (주)엘케이메탈
Priority to KR102021007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5/00Apparatus for obtaining or removing undisturbed cores, e.g. core barrels or core extra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표를 타격하여 지반시료 특히 암반 지반의 시료를 채취하고 채취된 지반시료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취득하기 위한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시료의 채취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채취된 지반시료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채취 효율 개선을 위한 지반시료 채취를 위한 샘플러에 이용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원통형상으로 하단부에는 초경팁(100)이 구비되어 있는 드릴 비트(10); 상기 드릴 비트(10)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이너관(20); 상기 이너관(20)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는 홈부(30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제1 접촉부(300)가 형성되어 있는 지반채취관(30);을 포함하고,
상기 지반채취관(30)의 외주면 하단 소정의 길이에는 홈부(3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과,
상기 지반채취관(30)은 길이방향으로 양분되어 반원형상이 한쌍으로 이루어 진원형상으로 된 것을 포함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과,
상기 지반채취관(30)은 외주면에 홈부(301)가 형성된 제1 접촉부(300)과 외주면에 홈부(301)이 형성되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이 교호로 형성되되 하단에는 홈부(3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과,
상기 이너관(20)의 외주면에는 홈부(20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제3 접촉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과,
상기 이너관(20)의 외주면 하단 소정의 길이에는 홈부(2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4 접촉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반시료가 채취되는 지반채취관의 외주면에 홈부를 형성하여 이너관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함으로서 인출되는 이너관과 지반채취관에서 지반채취관을 이너관으로 부터 지반시료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이너관으로 부터 지반채취관을 용이하게 분리함과 동시에 지반채취관내에 채취된 지반시료가 손상되지 아니하고 온전하게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며,
또한, 상기와 같이 지반시료 특히 암반 지반의 시료가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인출가능하게 함으로서 인출된 지반시료를 온전히 손상없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또한, 이너관이나 지반채취관의 손상없이 재사용이 가능하고 이로서 경제성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Core barrel assembly for ground core sampler}
본 발명은 지표를 타격하여 지반시료 특히 암반 지반의 시료를 채취하고 채취된 지반시료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취득하기 위한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시료의 채취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채취된 지반시료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채취 효율 개선을 위한 지반시료 채취를 위한 샘플러에 이용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 관한 것이다.
기초지반에 대한 지질조사는 기초공사의 시공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해 반드시 해야한다. 즉, 지반에 시추공을 형성하면서 토양 및 암석 등의 지반 시료를 채취하는 공정은 거의 모든 토목공사 설계에 앞서 설계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구조물이 시공될 대상 지반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층서 구조 등의 다양한 지층 자료를 얻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기존의 토양 채취관의 경우 하나의 원통형 관을 종방향으로 분할한 형태로 제조하고 이러한 토양 채취 후 토양 채취관을 분리하여 내부의 지반의 구성을 관찰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자체에 작업자의 신중함이나 노력이 과도하게 요구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경우, 특히 작은 점토나 실트 등의 경우 시료의 변형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와 같이 변형된 시료에 의한 지층 평가 데이터는 지층의 정확한 특성을 평가하기에 충분한 신뢰도를 보장할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광투성이 있는 투명한 토양 채취관을 제조하여 채취 이후의 토양 채취관을 분리하는 후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시료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입자의 크기가 작은 점토나 실트의 경우에는 고품질의 시료를 확보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모래나 자갈이 혼합된 지반에서 시료를 채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토양 채취관 등 샘플링 유닛을 압입하는 과정에서 장비가 모래, 자갈 등에 충격을 받아 장비고장, 시료교란 등의 문제가 발생할 뿐 아니라 투명한 토양 채취관의 내주면에 다수의 흠집을 유발함으로써 시료의 관찰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드릴 비트 등을 이용하여 타격을 주어 채굴하고 샘플링 유닛을 장입시키는 타공식 샘플러나 회전시켜 채굴하는 회전식 샘플러 등의 경우 장입관과 토양 채취관과의 마찰 및 충격에 의하여 토양 채취관의 외주면의 광투과도가 저하되거나 광이 산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장입관과 토양 채취관과의 독립적인 회전을 위하여 필요한 베어링 등의 구성 또한 토양 채취관의 외주면에 흠집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6-0062607호의 "토양시료 채취기"에는 종래의 타격을 전달받은 관 형상의 채취기가 개시되어 있고,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타격에 의한 토양 시료 채취기의 경우에는 순간적인 타격에 의해 토양이 압축되어 압축된 토양 시료가 채취되므로 정확한 지층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구조를 분석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공보 제10-1334041호(20131123공고)의 "토양의 OSL 연대측정을 위한 토양 샘플러 및 토양 시료 보관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토양 샘플러는 내부가 관통된 샘플러 몸체부와, 상기 샘플러 몸체부에 장착되고 끝단에 토양시료가 유입되는 홀이 경사지게 형성된 토양 시료 삽입부와, 상기 샘플러 몸체부 내부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토양시료를 내부에 수납하는 원통형의 토양 시료 수납부와, 상기 토양 시료 수납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납부를 상기 샘플러 몸체부로부터 분리시키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타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내경은 상기 수납부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토양 샘플러는 지표에서 상부를 타격하면, 토양 시료 수납부의 내부로 토양 시료가 유입되면서 토양 시료를 채취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토양 샘플러는 토양 시료 수납부에서 토양 시료를 꺼낼 때, 토질에 따라 토양 시료가 토양 시료 수납부의 내부에 고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출원 제10-2006-0062607호 한국 특허공개 제10-2016-0147141호 한국 특허등록 제10-0879479호 한국 특허등록 제10-133404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반시료 특히 토양 뿐만 아니라 암반 지반의 시료를 용이하게 분리, 배출하여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 시료 채취용 배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원통형상으로 하단부에는 초경팁(100)이 구비되어 있는 드릴 비트(10); 상기 드릴 비트(10)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이너관(20); 상기 이너관(20)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는 홈부(30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제1 접촉부(300)가 형성되어 있는 지반채취관(30);을 포함하고,
상기 지반채취관(30)의 외주면 하단 소정의 길이에는 홈부(3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과,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지반채취관(30)은 길이방향으로 양분되어 반원형상이 한쌍으로 이루어 진원형상으로 된 것을 포함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과,
삭제
상기 지반채취관(30)은 외주면에 홈부(301)가 형성된 제1 접촉부(300)과 외주면에 홈부(301)이 형성되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이 교호로 형성되되 하단에는 홈부(3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과,
상기 이너관(20)의 외주면에는 홈부(20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제3 접촉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과,
상기 이너관(20)의 외주면 하단 소정의 길이에는 홈부(2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4 접촉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시료가 채취되는 지반채취관의 외주면에 홈부를 형성하여 이너관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함으로서 인출되는 이너관과 지반채취관에서 지반채취관을 이너관으로 부터 지반시료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이너관으로 부터 지반채취관을 용이하게 분리함과 동시에 지반채취관내에 채취된 지반시료가 손상되지 아니하고 온전하게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며,
또한, 상기와 같이 지반시료 특히 암반 지반의 시료가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인출가능하게 함으로서 인출된 지반시료를 온전히 손상없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또한, 이너관이나 지반채취관의 손상없이 재사용이 가능하고 이로서 경제성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서 지반채취관의 사시도 및 확대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 있어서 지반채취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 있어서 지반채취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 있어서 지반채취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서 이너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서 이너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서 지반을 드릴 비트와 함께 천공하면서 지반채취관내로 지반시료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서 지반시료를 채취한 상태에서 드릴 비트로 부터 이너관과 지반채취관을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인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서 이너관으로 부터 지반채취관을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서 지반채취관의 사시도 및 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 있어서 지반채취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 있어서 지반채취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 있어서 지반채취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서 이너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서 이너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서 지반을 드릴 비트와 함께 천공하면서 지반채취관내로 지반시료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서 지반시료를 채취한 상태에서 드릴 비트로 부터 이너관과 지반채취관을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본 발명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서 이너관으로 부터 지반채취관을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우선, 본 발명은 지반시료를 채취하고자 하는 지면에 이너관(20)과 지반채취관(30)을 구비한 드릴 비트(10)를 이용하되 상기 드릴 비트(10)는 타격식이든 회전식이든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며 이와 같은 드릴 비트(10)를 이용하여 굴착공을 천공하면 상기 지반채취관(30) 내측으로 지반시료가 유입되게 되며 이와 같이 유입된 지반시료가 수용된 지반채취관(30)을 이너관(20)과 함께 드릴 비트(10)로 부터 인출하기 편리하도록 함과 동시에 인출된 이너관(20)과 지반채취관(30)에서 상기 지반채취관(30)을 이너관(20)으로 손쉽게 인출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으로서,
지시부호 10은 드릴 비트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릴 비트(10)는 원통형상으로 하단부에는 초경팁(10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지시부호 20은 이너관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관(20)은 상기 드릴 비트(10) 내로 유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 또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관(20)의 외주면에는 홈부(20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제3 접촉부(200)가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상기 드릴 비트(10)로 부터 인출함에 있어 드릴 비트(10) 내주면과 밀착됨에 따라 인출의 어려움과 더불어 억지 인출로 인해 하기에서 설명하는 지반채취관(30) 내에 수용된 지반시료 특히 암반 지반의 시료의 손상 또는 탈락의 위험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이너관(20)과 드릴 비트(10) 내주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드릴 비트(10)로 부터 이너관(20)의 분리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관(20)의 외주면 하단 소정의 길이에는 홈부(2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4 접촉부(210)가 형성하여 일정길이만큼은 상기 홈부(201)이 형성되어 드릴 비트(10)의 내주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지만 드릴 비트(10)와 이너관(20)의 하부에는 드릴 비트(10)의 회동에 의해 지반시료가 상기 드릴 비트(10)와 이너관(2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밀착접촉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홈부(2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4 접촉부(210)을 형성하여 지반시료의 유입을 방지토록 함과 동시에 드릴 비트(10)로 부터 이너관(20)의 분리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두가지 목적을 모두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지시부호 30은 지반채취관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반채취관(30)의 외주면에는 홈부(30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제1 접촉부(30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며,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반채취관(30)은 길이방향으로 양분되어 반원형상이 한쌍으로 이루어 진원형상으로 된 것이며,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반채취관(30)의 외주면 하단 소정의 길이에는 홈부(3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반채취관(30)은 외주면에 홈부(301)가 형성된 제1 접촉부(300)과 외주면에 홈부(301)이 형성되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이 교호로 형성되되 하단에는 홈부(3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를 구비한 상기 지반채취관(30)은 궁극적으로 이너관(20)으로 부터 분리 인출을 용이하게 하여 지반채취관(30) 내에 수용된 지반시료를 온전히 손상없이 채취,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즉, 상기 이너관(20)으로 부터 지반채취관(30)을 인출함에 있어 이너관(20) 내주면과 밀착됨에 따라 인출의 어려움과 더불어 억지 인출로 인해 지반채취관(30) 내에 수용된 지반시료 특히 암반 지반의 시료의 손상 또는 탈락의 위험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이너관(20) 내주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이너관(20)으로 부터 지반채취관(30)의 분리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반채취관(30)의 외주면 하단 소정의 길이에 홈부(3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가 형성하여 일정길이만큼은 상기 홈부(301)이 형성되어 이너관(20)의 내주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지만 이너관(20)과 지반채취관(30)의 하부로 상기 드릴 비트(10)의 회동에 의해 지반시료가 상기 이너관(20)과 지반채취관(30) 사이로 지반시료가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밀착접촉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홈부(3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을 형성하여 지반시료의 유입을 방지토록 함과 동시에 이너관(20)으로 부터 지반채취관(30)의 분리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두가지 목적을 모두 달성하기 위한 것이며,
이와 같은 궁극적인 기능 및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도 3과 같이 상기 지반채취관(30)을 길이방향으로 양분되게 반원형상을 이루도록 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반채취관(30)은 외주면에 홈부(301)가 형성된 제1 접촉부(300)과 외주면에 홈부(301)이 형성되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이 교호로 형성되되 하단에는 홈부(3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가 형성하여 이너관(20)으로 부터 지반채취관(30)을 용이하게 분리 및 인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지시부호 G는 지반 특히 암반 지반을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40)는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드릴 비트(1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2 연결부(50)를 매개로 하여 이너관(20)과 지반채취관(30)과 연결된다. 이때 제1 연결부(40)와 제2 연결부(50)는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제1 연결부(40)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제2 연결부(5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부들 간의 연결 구조를 통하여 드릴 비트(10)가 외부이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경우에도 이너관(20) 및 지반채취관(30)은 회전하지 아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외부 동력과 드릴 비트(10), 이너관(20), 지반채취관(30)이 연결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시료를 채취하고자 하는 지면에서 드릴 비트(10)를 이용하여 지반(G)를 굴착하면 지반시료가 상기 지반채취관(30) 내로 수용되며, 이와 같이 수용된 지반시료를 조사 및 기타 보관하기 위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 비트(10)로 부터 이너관(20)과 지반채취관(30)을 분리 인출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관(20)으로 부터 지반채취관(30)을 분리 인출하여 지반시료를 조사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지반시료가 채취되는 지반채취관의 외주면에 홈부를 형성하여 이너관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함으로서 인출되는 이너관과 지반채취관에서 지반채취관을 이너관으로 부터 지반시료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이너관으로 부터 지반채취관을 용이하게 분리함과 동시에 지반채취관내에 채취된 지반시료가 손상되지 아니하고 온전하게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며,
또한, 상기와 같이 지반시료 특히 암반 지반의 시료가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인출가능하게 함으로서 인출된 지반시료를 온전히 손상없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또한, 이너관이나 지반채취관의 손상없이 재사용이 가능하고 이로서 경제성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드릴 비트 20 : 이너관
30 : 지반채취관 40 : 제1 연결부
50 : 제2 연결부 100 : 초경팁
200 : 제3 접촉부 201 : 홈부
210 : 제4 접촉부 300 : 제1 접촉부
301 : 홈부 310 : 제2 접촉부
G : 지반

Claims (6)

  1. 원통형상으로 하단부에는 초경팁(100)이 구비되어 있는 드릴 비트(10);
    상기 드릴 비트(10)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이너관(20);
    상기 이너관(20)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는 홈부(30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제1 접촉부(300)가 형성되어 있는 지반채취관(30);을 포함하고,
    상기 지반채취관(30)의 외주면 하단 소정의 길이에는 홈부(3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채취관(30)은 길이방향으로 양분되어 반원형상이 한쌍으로 이루어 진원형상으로 된 것을 포함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채취관(30)은 외주면에 홈부(301)가 형성된 제1 접촉부(300)과 외주면에 홈부(301)이 형성되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이 교호로 형성되되 하단에는 홈부(3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2 접촉부(310)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관(20)의 외주면에는 홈부(20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제3 접촉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관(20)의 외주면 하단 소정의 길이에는 홈부(201)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제4 접촉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KR1020210070182A 2021-05-31 2021-05-31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KR102299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182A KR102299933B1 (ko) 2021-05-31 2021-05-31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182A KR102299933B1 (ko) 2021-05-31 2021-05-31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933B1 true KR102299933B1 (ko) 2021-09-09

Family

ID=7777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182A KR102299933B1 (ko) 2021-05-31 2021-05-31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9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6678B1 (ko) * 2023-12-20 2024-06-19 재단법인 경기환경과학연구원 토양시료 채취기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609A (ko) * 2001-08-17 2003-02-25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토양 코어 시료 채취기
JP2004061472A (ja) * 2002-06-07 2004-02-26 Ito Seisakusho:Kk コア採取方法、コアバーレル及びコアビット
KR20060062607A (ko) 2004-12-04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장애물 위치 인식시스템 및 방법
KR20070094227A (ko) * 2006-03-17 2007-09-20 박성인 지반 시추용 코어 배럴 어셈블리를 이용한 지반 시추 코어 시료 채취 방법
KR100879479B1 (ko) 2007-08-03 2009-01-20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드레인 타입장비에 부착되는 시료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시료채취방법
KR101334041B1 (ko) 2013-06-27 2013-11-2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양의 osl 연대측정을 위한 토양 샘플러 및 토양 시료 보관장치
KR101674487B1 (ko) * 2016-07-05 2016-11-09 김진표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KR20160147141A (ko) 2015-06-12 2016-12-22 주식회사 케이이알 기초지반 확인을 위한 시료채취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609A (ko) * 2001-08-17 2003-02-25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토양 코어 시료 채취기
JP2004061472A (ja) * 2002-06-07 2004-02-26 Ito Seisakusho:Kk コア採取方法、コアバーレル及びコアビット
KR20060062607A (ko) 2004-12-04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장애물 위치 인식시스템 및 방법
KR20070094227A (ko) * 2006-03-17 2007-09-20 박성인 지반 시추용 코어 배럴 어셈블리를 이용한 지반 시추 코어 시료 채취 방법
KR100879479B1 (ko) 2007-08-03 2009-01-20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드레인 타입장비에 부착되는 시료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시료채취방법
KR101334041B1 (ko) 2013-06-27 2013-11-2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양의 osl 연대측정을 위한 토양 샘플러 및 토양 시료 보관장치
KR20160147141A (ko) 2015-06-12 2016-12-22 주식회사 케이이알 기초지반 확인을 위한 시료채취기
KR101674487B1 (ko) * 2016-07-05 2016-11-09 김진표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6678B1 (ko) * 2023-12-20 2024-06-19 재단법인 경기환경과학연구원 토양시료 채취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27363A (zh) 一种螺旋与直推钻进结合的无扰动土壤采样工具和方法
MXPA01009429A (es) Motor mejorado para broca sacamuelas y metodo para obtener una muestra de material por extraccion.
CN208902444U (zh) 一种螺旋与直推钻进结合的无扰动土壤采样工具
CN108071394B (zh) 一种钻探掘进机探测装置
KR102299933B1 (ko)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NO316886B1 (no) Undergrunnsformasjon-boreapparat samt fremgangsmate for boring av en undergrunnsformasjon
CN220487494U (zh) 地质探测扩张器
KR101674487B1 (ko)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CN111289292B (zh) 一种岩土工程勘察用岩土取样装置
CN109667557A (zh) 一种用于破碎煤岩体试样的标准取芯装置及施工方法
KR101287456B1 (ko) 굴착공 내에서 굴착 비트를 인출하는 굴착 비트 인출장치
JP3283015B2 (ja) 土質サンプル採取ツール
CN206648836U (zh) 一种地质取样器
CN209586311U (zh) 一种用于破碎煤岩体试样的标准取芯装置
JP2004020531A (ja) 土壌調査方法
CN209387324U (zh) 一种地质检测取样装置
US20120261189A1 (en) Undisturbed core sampler
CN117419949B (zh) 一种地质测绘开采用地质含量钻孔取样装置
KR200355515Y1 (ko) 시추기의 다중관형 시료채취장치
KR200357159Y1 (ko) 이너튜브 분리 절개형 시료 채취장치
US2006002179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borehole samples
CN217237264U (zh) 取样系统
JPH0718650A (ja) 爆破掘削工法における切羽前方地山の地質調査方法
KR102291603B1 (ko) 토양 시추공 내의 정보 획득을 위한 시공방법
US1191333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and protecting sidewall core samples in unconsolidated form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