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487B1 -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 Google Patents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487B1
KR101674487B1 KR1020160085006A KR20160085006A KR101674487B1 KR 101674487 B1 KR101674487 B1 KR 101674487B1 KR 1020160085006 A KR1020160085006 A KR 1020160085006A KR 20160085006 A KR20160085006 A KR 20160085006A KR 101674487 B1 KR101674487 B1 KR 101674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ipe
housing
ground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표
Original Assignee
김진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표 filed Critical 김진표
Priority to KR1020160085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4Sampling of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2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by investiga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oil
    • E02D1/025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by investiga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oil combined with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01N2001/2866Grinding or homogenei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굴착공으로 장입되어 지반 시료를 채취하는 샘플러 내에 구비되고, 상기 지반 시료가 유입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은 장입관; 상기 장입관 내에 구비되어, 내부에 지반 시료가 유입되는 토양 채취관; 및 상기 토양 채취관의 외주면 및 저면이 밀착되도록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자가 큰 모래나 자갈이 혼합된 지반이 채취되는 경우에도 하우징의 단턱부에 의하여 토양 채취관의 하단부가 보호되고, 유입되는 토양 중 입가가 굵은 모래난 자갈 등의 1차적인 충격을 흡수할 뿐 아니라 단턱부에 형성된 돌기들이 파쇄된 자갈 등의 에지 부분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등 토양 채취관 내주면에 흠집이 형성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샘플러가 타격에 의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타공식 샘플러이거나, 회전에 의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회전식 샘플러인 경우에도 토양 채취관의 외주면과 장입관 사이의 마찰 또는 충격으로 인하여 토양 채취관의 외주면에 흠집이 발생하여 광투과도가 떨어지거나 산란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Core barrel assembly for ground core sampler}
본 발명은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시료 채취를 위한 샘플러에 이용되는 지반 시료 채취용 배럴에 관한 것이다.
기초지반에 대한 지질조사는 기초공사의 시공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해 반드시 해야한다. 즉, 지반에 시추공을 형성하면서 토양 및 암석 등의 지반 시료를 채취하는 공정은 거의 모든 토목공사 설계에 앞서 설계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구조물이 시공될 대상 지반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층서 구조 등의 다양한 지층 자료를 얻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기존의 토양 채취관의 경우 하나의 원통형 관을 종방향으로 분할한 형태로 제조하고 이러한 토양 채취 후 토양 채취관을 분리하여 내부의 지반의 구성을 관찰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자체에 작업자의 신중함이나 노력이 과도 하게 요구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경우, 특히 작은 점토나 실트 등의 경우 시료의 변형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와 같이 변형된 시료에 의한 지층 평가 데이터는 지층의 정확한 특성을 평가하기에 충분한 신뢰도를 보장할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광투성이 있는 투명한 토양 채취관을 제조하여 채취 이후의 토양 채취관을 분리하는 후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시료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입자의 크기가 작은 점토나 실트의 경우에는 고품질의 시료를 확보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모래나 자갈이 혼합된 지반에서 시료를 채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토양 채취관 등 샘플링 유닛을 압입하는 과정에서 장비가 모래, 자갈 등에 충격을 받아 장비고장, 시료교란 등의 문제가 발생할 뿐 아니라 투명한 토양 채취관의 내주면에 다수의 흠집을 유발함으로써 시료의 관찰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드릴 비트 등을 이용하여 타격을 주어 채굴하고 샘플링 유닛을 장입시키는 타공식 샘플러나 회전시켜 채굴하는 회전식 샘플러 등의 경우 장입관과 토양 채취관과의 마찰 및 충격에 의하여 토양 채취관의 외주면의 광투과도가 저하되거나 광이 산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장입관과 토양 채취관과의 독립적인 회전을 위하여 필요한 베어링 등의 구성 또한 토양 채취관의 외주면에 흠집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자가 큰 모래나 자갈이 혼합된 지반이 채취되는 경우에도 파쇄된 자갈이나 입자가 큰 모래가 토양 채취관의 내주면에 흠집을 발생시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샘플러가 타격에 의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타공식 샘플러이거나, 회전에 의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회전식 샘플러인 경우에도 토양 채취관의 외주면과 장입관 사이의 마찰 또는 충격으로 인하여 토양 채취관의 외주면에 흠집이 발생하여 광투과도가 떨어지거나 산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을 제공한다.
굴착공으로 장입되어 지반 시료를 채취하는 샘플러 내에 구비되고, 상기 지반 시료가 유입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은 장입관; 상기 장입관 내에 구비되어, 내부에 지반 시료가 유입되는 토양 채취관; 및 상기 토양 채취관의 외주면 및 저면이 밀착되도록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몸체부; 및 하우징 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토양 채취관의 하단부가 거치되는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턱부의 내주면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수직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들은 상부로 갈수록 일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턱부의 내주면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연속적인 헬리컬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단턱부 내주면과 상기 토양 채취관의 내주면은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턱부의 상단면은 중심축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양 채취관의 하단면은 상기 단턱부의 경사면에 대응하도록 중심축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장입관의 내주면 사이 하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입관은 회전 굴착식 굴착장치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되고, 상기 장입관의 하단부에는 회전하여 지반을 굴착하기 위한 블레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토양 채취관의 내주면 반경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양 채취관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양 채취관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양 채취관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그리이스(grease)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입관은 타공식 굴착장치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자가 큰 모래나 자갈이 혼합된 지반이 채취되는 경우에도 하우징의 단턱부에 의하여 토양 채취관의 하단부가 보호되고, 유입되는 토양 중 입가가 굵은 모래난 자갈 등의 1차적인 충격을 흡수할 뿐 아니라 단턱부에 형성된 돌기들이 파쇄된 자갈 등의 에지 부분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등 토양 채취관 내주면에 흠집이 형성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샘플러가 타격에 의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타공식 샘플러이거나, 회전에 의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회전식 샘플러인 경우에도 토양 채취관의 외주면과 장입관 사이의 마찰 또는 충격으로 인하여 토양 채취관의 외주면에 흠집이 발생하여 광투과도가 떨어지거나 산란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의 샘플링 유닛(장입관과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샘플링 유닛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샘플링 유닛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하우징의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하우징 및 토양 채취관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의 샘플링 유닛의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A)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단턱부에 형성된 돌기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샘플링 유닛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샘플링 유닛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이 적용 가능한 지반시료 샘플러의 예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링 유닛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의 샘플링 유닛(장입관과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샘플링 유닛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샘플링 유닛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100, 150)은 굴착공으로 장입되어 지반 시료를 채취하는 샘플러 내에 구비된다.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100, 150)은 샘플러 내에 구비되어 샘플러 내로 유입되는 지반시료를 수용하게 된다. 이 때 굴착된 굴착공 내로 유입되는 구성부를 샘플링 유닛(1)이라고 하고,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100, 150)은 샘플링 유닛(1)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주로 회전형 굴착방식을 이용하여 지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샘플러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지반 시료 채취용 배럴은 다양한 방식의 샘플러 내에 구비되어 지반 시료를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서 이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샘플링 유닛(1)은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100, 150) 이외에도 장입관(20), 연삭부(30) 및 연결부(40) 등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입관(20)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장입관(20)은 샘플링 유닛(1)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측에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1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장입관(20)은 회전 굴착식 굴착장치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되거나 타공식 굴착장치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하우징(100)과 토양 채취관(100)을 포함한다. 토양 채취관(100)은 장입관(20)의 하단을 통하여 유입되는 토양 시료들을 수용하여 채굴 깊이에 따른 지반 시료들을 그대로 포함하고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부이다. 종래의 경우 스플릿형 토양 채취관(100)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토양 채취관(100)은 광투과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토양 시료의 관찰을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절개를 하는 등의 후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토양 채취관(100)은 하우징(150) 내에 수용된다. 하우징(150)은 토양 채취관(100)을 보호하여 굴착 또는 지반 시료 채취과정에서 토양 채취관(100)에 흠집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제1 연결부(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장입관(2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2 연결부(45)를 매개로 하여 채취용 배럴(10)에 연결된다. 이 때 제1 연결부(40)와 제2 연결부(45)는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제1 연결부(40)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제2 연결부(45)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부들 간의 연결 구조를 통하여 장입관(20)이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경우에도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10)이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채취용 배럴을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하우징의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6은 하우징 및 토양 채취관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하우징(1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50)은 중공 원통형의 하우징 몸체부(151)를 포함한다. 하우징 몸체부(151)의 하단부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판형으로 연장되어 단차 지도록 형성되는 단턱부(153)를 포함한다. 단턱부(153)의 내주면에는 접촉부(155)가 형성된다. 접촉부(155)는 돌기 등이 형성되고, 토양 채취관(100) 하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토양 시료와 접촉하여 파쇄된 자갈 등의 에지 부분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등 토양 채취관 내주면에 흠집이 형성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토양 채취관(100)은 마찬가지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토양 채취관(100)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토양 채취관(100)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서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고,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또한 토양 채취관(100) 및 하우징(150) 사이에는 그리이스(grease)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이스는 상온에서 고체 또는 고체와 유사한 상태로 존재하게 되며, 토양 채취관(100)과 하우징(150) 사이에 막을 형성하여 굴착 또는 토양 채취 시에 외부 이물질이 토양 채취관(100)과 하우징(150) 사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양 채취관(100)은 하우징(150) 내측에 수용되며, 토양 채취관(100)의 하단은 단턱부(153)에 거치된다. 하우징(150)은 토양 채취관(10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토양 채취관(100)을 수용한다. 하우징(150)은 이와 같이 토양 채취관(100)의 외주면과 하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이 직접적으로 토양 채취관(1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연삭부를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장입관(20)의 하단부에는 회전하여 지반을 굴착하기 위한 연삭부(30)가 구비된다. 연삭부(30)는 중공(S1)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장입관(20)의 하단에 나사체결 방식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삭부(30)의 하단에는 블레이드(35)가 구비된다.
블레이드(35)는 연삭부(30)의 하단부로부터 하향 형성되며, 일주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날이 형성된다. 또한 블레이드(35)는 중심축 방향으로 앞서 설명한 토양 채취관(100)의 내주면 반경까지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35)는 회전함에 따라 지반을 굴착하는 작용을 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링 유닛 및 이에 포함되는 지반채취용 배럴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의 샘플링 유닛의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일부(A)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한 도 10은 단턱부에 형성된 돌기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8의 샘플링 유닛의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연결부(40)는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장입관(20)을 회전시키게 된다. 장입관(20)이 회전함에 따라 장입관(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연삭부(30)가 회전하며 지반을 굴착하게 된다.
이 때 제1 연결부(40)와 베어링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부(45)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하단에 연결되는 토양 채취관(100)과 하우징(150)을 지지한다.
장입관(20)의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하강하게 되면 토양 채취관(100)의 내측으로 지반 시료들이 유입된다. 이 때 지반 시료들은 연삭부(30)의 내측 공간을 통하여 유입되기 시작한다. 이후 지반 시료들은 접촉부(155)를 거쳐 토양 채취관(10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 때 하우징(150)의 단턱부(35) 내주면과 토양 채취관(100)의 내주면은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촉부(155)는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55)의 돌기들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부(155)의 돌기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일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들이 수직방향(D1)으로 배열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나, 수직방향으로 비스듬히(D2)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유입되는 토양 시료에 포함된 자갈 파편 등의 에지 들을 외력을 가하여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접촉부(155)의 돌기는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헬리컬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여 유입되는 토양 시료 중 접촉 부분에 대하여 중심축 방향으로 일주하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하우징(150)의 외주면과 장입관(20)의 내주면 사이 하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링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샘플링 유닛을 설명한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샘플링 유닛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단턱부(153)의 상단면은 중심축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토양 채취관(100)의 하단면은 단턱부(153)의 경사면에 형합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한다. 즉, 토양 채취관(100)의 하향면도 중심축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토양 채취관(100)과 하우징(150)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접촉부(155)의 수직방향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며, 토양 채취관(100)과 단턱부(153)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의 적용가능 범위를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이 적용 가능한 지반시료 샘플러의 예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등록특허 제 10-1181348호 “수직형 토양 시료 채취기”에 기재된 것으로서 내측관(310) 내에 스플릿 형태의 토양 채취관(30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은 이러한 토양 채취관(300)을 대체하여 시료의 직접적인 관찰이 가능하고, 동시에 토양 채취 시 토양 채취관에 흠집 등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4는 공개특허 제10-2007-0094227호 “지반 시추용 코어 배럴 어셈블리를 이용한 지반 시추 코어 시료 채취 방법”에 개시된 것으로서 헤드 어셈블리(400), 장입관(410) 및 토양 채취관(42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은 이러한 토양 채취관(420)을 대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30: 연삭부
35: 블레이드
100: 토양 채취관
150: 하우징
151: 하우징 몸체부
153: 단턱부
155: 접촉부

Claims (14)

  1. 굴착공으로 장입되어 지반 시료를 채취하는 샘플러 내에 구비되고, 상기 지반 시료가 유입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에 있어서,
    장입관;
    상기 장입관 내에 구비되어, 내부에 지반 시료가 유입되는 토양 채취관; 및
    상기 토양 채취관의 외주면 및 저면이 밀착되도록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몸체부; 및
    하우징 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토양 채취관의 하단부가 거치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턱부의 내주면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수직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들은 상부로 갈수록 일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의 내주면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연속적인 헬리컬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턱부 내주면과 상기 토양 채취관의 내주면은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의 상단면은 중심축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양 채취관의 하단면은 상기 단턱부의 경사면에 대응하도록 중심축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장입관의 내주면 사이 하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오링이 형성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관은 회전 굴착식 굴착장치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되고,
    상기 장입관의 하단부에는 회전하여 지반을 굴착하기 위한 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토양 채취관의 내주면 반경까지 연장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채취관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채취관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채취관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그리이스(grease)가 도포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관은 타공식 굴착장치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되는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KR1020160085006A 2016-07-05 2016-07-05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KR101674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006A KR101674487B1 (ko) 2016-07-05 2016-07-05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006A KR101674487B1 (ko) 2016-07-05 2016-07-05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487B1 true KR101674487B1 (ko) 2016-11-09

Family

ID=5752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006A KR101674487B1 (ko) 2016-07-05 2016-07-05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933B1 (ko) * 2021-05-31 2021-09-09 (주)엘케이메탈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9358A (ja) * 2006-03-10 2007-09-20 Kinki Chishitsu Center:Kk 気体流を使用する土質試料サンプラー及び土質試料の採取方法
JP2007284961A (ja) * 2006-04-14 2007-11-01 Mikio Umeoka 土壌採取装置、および土壌採取方法
KR100848876B1 (ko) * 2008-02-20 2008-07-29 (주) 소암컨설턴트 토양시료 채취기
JP2013014960A (ja) * 2011-07-05 2013-01-24 Kiso Jiban Consultants Kk 地盤試料採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9358A (ja) * 2006-03-10 2007-09-20 Kinki Chishitsu Center:Kk 気体流を使用する土質試料サンプラー及び土質試料の採取方法
JP2007284961A (ja) * 2006-04-14 2007-11-01 Mikio Umeoka 土壌採取装置、および土壌採取方法
KR100848876B1 (ko) * 2008-02-20 2008-07-29 (주) 소암컨설턴트 토양시료 채취기
JP2013014960A (ja) * 2011-07-05 2013-01-24 Kiso Jiban Consultants Kk 地盤試料採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933B1 (ko) * 2021-05-31 2021-09-09 (주)엘케이메탈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283B1 (ko) 비교란 시료 채취가 가능한 대구경 샘플러
US60068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coring and formation evaluation
EP06449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subsurface environments
CN208902444U (zh) 一种螺旋与直推钻进结合的无扰动土壤采样工具
CN108627363A (zh) 一种螺旋与直推钻进结合的无扰动土壤采样工具和方法
KR101674487B1 (ko)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GB23183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coring and formation evaluation
AU2021275907A1 (en) Sidewall coring tool systems and methods
CN111764833A (zh) 球阀式防塞三翼钻
CN110630199A (zh) 一种取芯机构
WO2006015281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borehole samples
KR102299933B1 (ko) 지반시료 채취용 배럴
Zhang et al. A novel reverse circulation drilling device for the underground sampling to soft coal
JP3213235U (ja) 方位コア採取装置
KR20160147141A (ko) 기초지반 확인을 위한 시료채취기
US12006820B2 (en) Sidewall coring tool systems and methods
CN219711451U (zh) 一种地质勘查钻探装置
Ivanetich et al. The use of the optical televiewer in geotechnical construction
CN102434106A (zh) 地层取芯钻头及地层取芯钻具
CN217841516U (zh) 一种低山丘陵区绿色勘查探槽施工装置
CN217237264U (zh) 取样系统
Baldwin et al. BS EN ISO 22475-1: Implications for geotechnical sampling in the UK
CN212376597U (zh) 球阀式防塞三翼钻
KR101349067B1 (ko) 굴착공 내에서 기울어진 굴착 비트를 직립하는 굴착 비트 직립장치
KR100511342B1 (ko) 연약지반 교란방지용 코어배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