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696B1 -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 Google Patents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696B1
KR102299696B1 KR1020190054748A KR20190054748A KR102299696B1 KR 102299696 B1 KR102299696 B1 KR 102299696B1 KR 1020190054748 A KR1020190054748 A KR 1020190054748A KR 20190054748 A KR20190054748 A KR 20190054748A KR 102299696 B1 KR102299696 B1 KR 102299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sate
supply pipe
hole
connection cap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800A (ko
Inventor
정영택
Original Assignee
정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택 filed Critical 정영택
Priority to KR1020190054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69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 A61F9/00754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for cutting or perforating the anterior lens capsule, e.g. capsulot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7Auxiliary appliance with irrigat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2Eyes

Abstract

본 발명은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개시된 발명은 내부에 중공부에 형성되고 일측 끝단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소정 길이의 슬라이드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공을 통해 설치가 되며 관통공이 구비된 하측의 작동부는 상기 중공부에 위치되고 상측 파지부는 슬라이드공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드공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작동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 이동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과,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어 상기 작동부와 함께 이동되는 가동구에 관통 고정되며 상기 가동구를 기준으로 일측은 직선부로 구성되어 상기 구멍을 출입하게 되고 타측은 신축부로 구성되면서 관류액 공급장치로 연결되는 관류액 공급관과, 일측은 상기 관류액 공급관의 직선부 선단이 끼워져 결합되며 타측은 주삿바늘이 구비되어 상기 직선부에서 배출되는 관류액이 주삿바늘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연결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Incision device for ophthalmic surgery supplied with perfusion fluid}
본 발명은 백내장 수술 과정에서 관류액의 공급과 수정체 전낭을 절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내장은 광의 통과를 차단하고 불투명 정도가 약간 내지는 완전히 변하며 눈의 수정체(crystalline lens) 또는 덮개(수정체 전낭) 안에서 발생되는 불투명 증상(clouding)이다.
노화 관련 백내장은 발생 초기에 수정체의 파워(power)가 증가되어 근시(근시안)가 되고 수정체가 점차 노랗게 되면서 혼탁하게 되어 청색의 인식이 줄어들게 되며 백내장은 통상 서서히 진행되어 시력이 감소하게 되고 치료하지 않을 경우 잠재적으로는 실명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보통 양쪽 눈에 모두 영향을 끼치지만 거의 대부분 다른 쪽 눈보다 한쪽 눈에 먼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백내장의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노인성 백내장은 초기에 수정체가 불투명해지고 그 후 수정체가 팽창되며 마지막으로 수축되어, 투명도가 완전히 손상되는데, 노인들에게 발생하는 타입의 백내장이다.
그리고 모르가니 백내장은 수정체 전낭이 파열되고 균열이 생길 경우, 심각한 염증을 야기할 수 있는 유백색 유체를 형성하는 액화성 백내장 피질이 형성되는 백내장으로서, 백내장이 진행되면서 발생하게 된다. 만일 치료하지 않고 계속 진행될 경우, 수정체팽대 녹내장(phacomorphic glaucoma)이 야기될 수도 있으며, 약한 수정체소대(zonules)를 수반하는 매우 진행된 백내장으로 인해 앞 또는 뒤로 수정체탈구(dislocation)가 되기 쉽다.
그리고 외상(trauma)으로 야기된 백내장은 위에서 언급한 경우와는 달리 외상으로 인해 건강한 사람의 눈에 발생 되는 타입으로 눈에 대한 사고 상해로부터 야기된 흉부 압박상(Blunt trauma) 또는 흉부 관통상(penetrating trauma)에 의해 수정체 불투명화가 야기될 수 있으며, 망막 수술, 가령, 주변부 포도막염 유리체절제술로 인해 수술 후 백내장이 수술 뒤 6 내지 9개월 내에 발생할 수 있고, 드물게는 망막 수술 동안 수술도구에 의해 건강한 수정체에 접촉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 접촉 후, 수 분 내에 수정체 불투명 증상 및 백내장이 형성된다.
그리고 선천성 백내장은 출산 전 또는 출산 직후에 유아에게 발생하는 백내장이다.
이와 같은 백내장을 제거하기 위한 수술은 백내장 발생 중 임의의 단계에서도 시술될 수 있다. 백내장을 제거하기 전에 백내장이 완전히 진행될 때까지 기다릴 이유도 없지만, 모든 수술은 어느 정도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백내장을 제거하기 전에 어느 정도의 시력 변화가 있을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가장 효과적이면서 보편적인 치료법은 불투명한 수정체 전낭 내에 절개부위를 형성하여(피막절개술) 외과수 술로 백내장을 제거하는 것이다.
백내장을 제거하기 위해 3가지 타입의 눈 수술로써 수정체 낭외적출술(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ECCE) 및 수정체 낭내적출술(in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ICCE) 또는 초음파 유화술이 사용될 수 있다.
수정체 낭외적출술은 수정체를 제거하지만, 적출 전에 수정체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종종 초음파(수정체 유화술)가 사용된다.
수정체 낭내적출술은 수정체와 수정체 전낭 전체를 제거하는 것을 말하며, 최근에는 거의 시술되지 않는다.
수정체 낭외적출술 또는 낭내적출술에서 백내장이 있는 수정체가 제거되고 인공 수정체(수정체 임플란트)로 교체되며, 이 인공 수정체는 눈 안에 영구히 위치된다.
초음파 유화술은 각막에 미세한(2.2~2.8mm) 절개공을 통해 또는 별도로 형성된 절개공을 통해 수정체 전낭을 5.0~6.0mm 정도 제거한 후, 초음파 기구를 안내에 삽입하여 수정체를 잘게 분쇄한 다음 물과 고형물을 희석시켜 제거하는 것을 말하며 최근 대부분 이 방법을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인공 수정체는 삽입기의 카트리지 내에 위치되고, 각막에 형성되는 절개부위를 통해 각막내로 삽입되며, 삽입기는 인공 수정체를 접어서 작은 구멍을 통해 절개부위로 밀어 넣은 후 의사가 인공 수정체를 최종 위치에 배열되도록 조작함에 따라 인공 수정체는 서서히 펼쳐진다.
백내장 수술은 통상, 수정체전낭절개술(anterior capsulorhexis)로 지칭되는 수정체 전면에 있는 전낭(anterior capsule)의 중앙에 완전한 원형 절개선을 형성하여 전낭의 원형 절개부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후, 수력분층술, 초음파 유화술을 통해 수정체 핵을 조각내어 제거하고, 초음파 흡인장치를 이용하여 피질과 혼탁을 제거한 다음 인공 수정체 삽입기를 사용하여 인공 수정체를 삽입하고, 배치 장치 또는 그 외의 다른 장치들을 사용하여 위치를 조절한다.
인공 수정체 삽입기는 평평한 인공 수정체를 각막 절개부위를 통해 전낭 개구(capsular opening) 내에 삽입하여 전낭 백 내의 최종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인공 수정체 삽입기는 카트리지를 통해 평평한 인공 수정체를 밀어 넣어 수정체가 접히도록 하고 절개부위 내에 위치된 카트리지의 관형 안내부를 통과하게 되며, 인공 수정체가 카트리지의 관형 안내부로부터 나올 때 인공 수정체는 서서히 펼쳐지고 원래의 평평한 형태로 복원된다.
인공 수정체 삽입기는 재사용 가능한 기기이며, 인공 수정체를 밀어 넣는 수단은 리드 스크루(lead screw) 또는 플런저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리드 스크루 접근술은 인공 수정체를 인정하고 부드럽게 전달하기는 하지만, 속도가 매우 느린 반면에 플런저 접근술은 주사기로부터 약물을 주사하는 것과 같이 의사가 자신의 엄지손가락으로 신속하게 인공 수정체를 전방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한편, 각막내피세포는 장벽기능, 펌프기능이 있어 각막의 수화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각막의 투명성을 유지하며, 매우 민감하여 삼투압 변화, pH변화, 전해질의 유무 등에 따라 쉽게 손상된다.
따라서, 백내장의 시술 과정에서는 전방의 양압을 유지시키면서 각막내피세포를 보호할 수 있도록 관류액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관류액은 30분 미만으로 사용된다 하더라도 수술 후 방수액으로 대체되는데 4~8.5 시간까지 걸리며, 그동안 각막 내피세포를 충분히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류액의 중요성은 크다.
그리고 백내장 수술시 전방의 깊이를 가능한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각막내피, 홍채 및 수정체 후낭 등 안 주변 조직들과 마찰로 인한 손상을 적게 줄 수 있다.
관류액은 백내장 수술을 하는 동안에 산, 염기 변화로부터 각막내피세포를 보호하고, 적당한 긴장성과 전해질 농도를 유지하며, 에너지 공급원이 되는 등 각막내피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관류액 대신으로는 점탄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점탄 물질은 점액탄성물질을 말한다.
점탄 물질은 탄성, 점성, 표면장력, 응집성을 가지며, 전낭절개 과정에서 전방을 깊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위해 사용되거나, 수정체핵유화술 과정에서 초음파가 각막내피세포와 다른 조직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피질제거 과정에서 각막내피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인공 수정체를 낭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인공 수정체가 안내 조직에 접착되지 않도록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수술 후 점탄 물질이 안내조직에 접착되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는 경우, 안압이 상승되어 후유증이 생길 수 있고, 백내장이 심한 경우에는 내피세포독성이 있는 형광 또는 염색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물질이 점탄 물질과 함께 안내조직에 남아 있게 되면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관류액으로 눈에 형성되어 있는 물과 가장 흡사한 평형염액(Balanced salt solution)이 사용될 수 있으며, 평형염액은 100mL 중 염화나트륨 640mg, 염화칼륨 75mg, 염화마그네슘 30mg, 초산나트륨 390mg, 구연산나트륨 170mg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평형염액은 안조직을 정화하고, 안조직의 수분을 유지시켜주며, 안과 수술 시 수정체와 각막내피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고, 세포내 및 세포간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칼슘 및 마그네슘을 공급한다.
또한, 수술 시 시야 확보가 용이하여 수술 부위의 확인이 쉽고 수정체낭의 결이 잘 느껴질 수 있어 고도의 스킬을 요하는 전낭 절개시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백내장 시술 중에 이러한 관류액을 공급함에 있어서 별도의 관류액 공급 도구를 이용하여 공급함에 따라 수술장비가 많아지고, 수술과정이 복잡해지며, 수술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면서 회복에 필요한 시간도 늦어져 수술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6823호(2010.02.09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백내장 수술시 수정체 전낭을 절개하기 위한 기구를 통해 관류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수술시간의 단축과 수술을 안정성과 효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부에 형성되고, 일측 끝단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소정 길이의 슬라이드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공을 통해 설치가 되며, 관통공이 구비된 하측의 작동부는 상기 중공부에 위치되고, 상측 파지부는 슬라이드공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드공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작동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 이동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과,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어 상기 작동부와 함께 이동되는 가동구에 관통 고정되며, 상기 가동구를 기준으로 일측은 직선부로 구성되어 상기 구멍을 출입하게 되고, 타측은 신축부로 구성되면서 관류액 공급장치로 연결되는 관류액 공급관과,
일측은 상기 관류액 공급관의 직선부 선단이 끼워져 결합되며, 타측은 주삿바늘이 구비되어 상기 직선부에서 배출되는 관류액이 주삿바늘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연결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관류액 공급관의 신축부는 주름관 또는 코일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주삿바늘의 배출구는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경사면의 끝단은 어느 한쪽으로 구부러져 첨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캡의 내측둘레에는 실리콘링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캡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기 관류액 공급관의 직선부와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관류액 공급관의 직선부 외측둘레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캡의 내측둘레에는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캡의 외측둘레에는 십자형 날개가 구비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관류액 공급관의 직선부는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연결캡은 주삿바늘을 향하는 안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이루면서 서로 억지끼움되어 기밀이 유지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본 발명에 따른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가진다.
즉, 백내장 수술과정에서 절개 기구를 이용하여 수정체 전낭을 절개함에 있어서, 별도의 관류액 공급 도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상기 절개 기구를 통해 각막의 절개된 부위로 관류액을 공급함으로써, 각막내피세포를 보호하고 전방의 시야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그러한 절개 기구를 이용하여 수정체 전낭의 절개를 연속적으로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할 수 있어 수술의 과정의 단축과 수술의 안정성 확보 및 수술 후 회복시간 단축을 통해 수술의 효용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의 관류액 공급관에 연결캡이 결합되는 과정을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의 관류액 공급관에 결합되는 연결캡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는 중공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몸체의 상면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과, 관류액 공급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몸체의 중공부에 설치되면서 슬라이더의 작동을 통해 앞쪽 일부가 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관류액 공급관과, 그러한 관류액 공급관의 앞쪽에 탈착되며, 선단에 주삿바늘이 구비되는 연결캡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100)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중공부(110)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관류액 공급관(200)이 수용되며, 몸체(100)의 일측 끝단에는 중공부(110)와 연통 되도록 구멍(120)이 형성되면서 중공부(110)에 수용된 관류액 공급관(200)의 일부가 그러한 구멍(120)을 통해 출입 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타측에는 인출공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출공으로 중공부(110)에 설치되는 관류액 공급관(200)의 다른 일부가 인출되어 관류액 공급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몸체(100)의 어느 한 면, 바람직하게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슬라이드공(130)이 형성되며, 이러한 슬라이드공(130)은 중공부(110)와 연통되고, 슬라이드공(130)에는 후술되는 슬라이더(140)가 설치되면서 슬라이더(140)는 슬라이드공(130)을 따라 이동된다.
몸체(100)는 원통형, 사각형 등의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중공부(110)에 위치하는 관류액 공급관(200)을 점검하거나 교체할 때 편리하도록 몸체(100)가 양분되어 서로 결합 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소정 길이를 가지는 몸체(100)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되어 서로 분리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분리된 한 쌍은 체결수단 등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몸체(100)가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 절단되어 서로 분리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분리된 한 쌍이 체결수단 등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슬라이더(140)는,
전술한 슬라이드공(130)을 통해 설치되어 슬라이드공(130)을 따라 이동되며, 슬라이더(140)는 파지부(141)와 그러한 파지부(141)의 저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작동부(142)로 구성되고, 파지부(141)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돌기나 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작동부(142)에는 후술되는 관류액 공급관(2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143)이 형성된다.
여기서, 파지부(141)와 작동부(142)는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일체형태 또는 서로 조립되는 조립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150)은,
전술한 몸체(100)의 중공부(110)에서 슬라이더(140)의 작동부(142)를 기준으로 구멍(120)을 향하는 앞쪽에 위치하게 되며, 외력을 통해 슬라이더(140)가 슬라이드공(130)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될 때 작동부(142)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며, 슬라이더(14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되었던 압축 코일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140)는 후진하게 되어 원상태로 복귀된다.
관류액 공급관(200)은,
어느 한쪽이 관류액 공급장치와 연결되어 관류액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관류액을 이동되며, 관류액 공급관(200)의 다른 한쪽에는 관류액을 특정 부위에 정확히 공급시킬 수 있도록 주삿바늘(310)이 구비되는 연결캡(300)이 연결된다.
관류액 공급관(200)을 통한 관류액의 공급 제어는 관류액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을 통해 제어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로 전술한 몸체(100)에 작동 스위치가 구비되고, 관류액 공급관(200)에는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조절수단을 구비되어 전술한 작동 스위치를 통해 조절수단이 조절되면서 관류액 공급관(200)을 통과하는 관류액이 제어될 수도 있다.
관류액 공급관(200)은 일 실시 예로 한쪽은 경질의 재질로 구성되고, 다른 한쪽은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한쪽은 직선을 형상을 유지하며, 다른 한쪽은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슬라이더(140)의 작동에 따라 관류액 공급관(200)의 한쪽이 몸체(100)의 한쪽에 형성된 구멍(12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데, 이때 인출된 관류액 공급관(200) 한쪽에는 후술되는 연결캡(300)이 연결되어야 함에 따라 관류액 공급관(200)의 한쪽은 직선의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며, 슬라이더(140)의 작동에 따라 관류액 공급관(200)의 한쪽이 이동될 때 다른 한쪽은 관류액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장되는 형태가 되어야 하고, 슬라이더(140)의 복귀에 따라 관류액 공급관(200)의 한쪽이 원상태가 될 때, 연장되었던 관류액 공급관(200)의 다른 한쪽 또한 원상태로 복원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관류액 공급관(2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관류액 공급관(200)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관로를 가지는 관의 형태로 구성되며, 가운데 가동구(220)를 중심으로 한쪽에는 경질의 직선부(210)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연질의 신축부(230)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직선부(210)와 신축부(230)는 서로 연결된 하나의 관로이므로 직선부(210)와 신축부(230)의 연결부위는 가동구(220)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된다.
직선부(210)는 경질이면서 합성수지의 재질이나 금속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신축부(230)는 주름관의 형태 또는 코일관의 형태가 될 수 있고, 일자형이면서 재질의 특성에 의해 신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직선부(210)와 신축부(230)는 동일한 직경 또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직선부(210)는 후술되는 연결캡(300)과의 결합을 위하여 신축부(230)에 비하여 큰 직경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관류액 공급관(200)의 직선부(210) 선단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후술될 연결캡(300)이 결합되며, 직선부(210)와 연결캡(300)은 기밀이 유지되면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연결캡(300)은,
전술한 관류액 공급관(200)의 직선부(210)가 몸체(100)의 구멍(12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연결되어 직선부(210)에서 배출되는 관류액을 주삿바늘(310)을 통해 원하는 지점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해준다.
연결캡(300)은 일측에 끼움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타측에는 주삿바늘(310)이 설치되며, 이때 끼움공간과 주삿바늘(310)은 서로 연통됨에 따라 연결캡(300)의 끼움공간으로 끼워진 관류액 공급관(200)의 직선부(210)에서 관류액이 배출되면 그러한 관류액은 주삿바늘(310)의 내부 통로를 따라 이동되어 선단의 배출구(311)를 통해 배출된다.
연결캡(300)의 일측 끼움공간에는 전술한 관류액 공급관(200)의 직선부(210) 끝단이 끼워져 결합되는데, 이러한 끼움공간은 주삿바늘(310)을 향하는 안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이 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전술한 관류액 공급관(200)의 직선부(210) 또한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서로 기밀이 유지되면서 억지끼움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캡(300)의 끼움공간과 관류액 공급관(200)의 직선부(210) 간 기밀 유지를 위한 실시 예로는 끼움공간의 내측둘레에 하나 이상의 고무링 또는 실리콘링 등의 기밀유지수단이 일부 함몰되게 환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끼움공간으로 관류액 공급관(200)의 직선부(210)가 끼워지면 직선부(210)의 외측둘레가 기밀유지수단과 밀착됨에 따라 연결캡(300)과 직선부(210) 간의 기밀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연결캡(300)의 끼움공간과 관류액 공급관(200)의 직선부(210) 간 기밀 유지를 위한 다른 실시 예로는 연결캡(300)의 끼움공간 내측둘레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관류액 공급관(200)의 직선부(210) 외측둘레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직선부(210)가 연결캡(300)의 끼움공간에 끼워질 때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연결캡(300)의 외측둘레에는 날개(320)가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날개(320)는 한 쌍이 서로 마주하여 일자형으로 이루면서 형성되거나 마주하는 두쌍이 십자형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날개(320)는 직선부(210)에 연결캡(300)을 견고하게 끼우거나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하여 연결캡(300)을 회전시킬 때 사용될 수 있으며, 직선부(210)와 연결캡(300)이 나사결합되는 형태일 때로 연결캡(300)의 회전을 도와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연결캡(300)의 주삿바늘(310)은 수정체 전낭을 원형으로 절개시 사용되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어 연결캡(300)의 끼움공간으로 끼워지는 직선부(210)에서 관류액이 배출되면 그러한 관류액은 주삿바늘(310)의 통로를 거쳐 선단 배출구(311)를 통해 배출되어 각막 내부 전방으로 공급된다.
주삿바늘(310)은 선단의 배출구(311)가 경사면을 이루게 되고, 그러한 경사면의 끝단은 어느 한쪽으로 구부러져 날카로운 첨예부(312)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첨예부(312)는 경사면과 대향되는 반대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즉, 도 4 의 (a)와 같이 첨예부(312)는 경사면과 대향되는 반대쪽으로 구부러짐에 있어 대략 직각을 형태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도 4 의 (b)와 같이 첨예부(312)는 경사면과 대향되는 반대쪽으로 구부러짐에 있어 2단의 형태로 연속 구부러질 수도 있고, 또 다른 예로 도 4 의 (c)와 같이 첨예부(312)는 경사면과 대향되는 반대쪽으로 대략 직각을 유지하며 1차 구부러진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2차 연속 구부러져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첨예부(312)가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되면 주삿바늘(310)을 이용하여 전낭을 절개함에 있어, 사용자의 숙련도나 선호하는 방향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절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캡(300)과 주삿바늘(310)은 직선 또는 곡선 또는 각도를 가진 구부러짐이 형용될 수 있다.
한편, 백내장 수술과정은 각막에 절개창을 형성하고, 그러한 절개창을 통해 관류액 공급 기구로 관류액을 공급하여 전낭을 확보한 다음 절개창을 통해 절개 기구를 집어넣어 수정체 전낭을 절개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관류액 공급 기구 또는 점탄물질을 사용할 필요 없이 절개창을 통해 절개 기구를 집어넣어 관류액을 공급한 상태에서 절개 기구를 그대로 이용하여 수정체 전낭을 절개할 수 있어 수술의 과정과 시간이 단축되고 안정성이 확보되며 수술이 편리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 기구의 구성 및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몸체(100)의 내부 중공부(110)에는 관류액 공급관(200)이 위치하게 되며, 이때 관류액 공급관(200)의 연장 가능한 신축부(230)는 관류액 공급장치와 연결되면서 압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관류액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관류액 공급관(200)의 직선부(210)는 평상시에 몸체(100)의 구멍을 통해 노출되지 않고 중공부(110) 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관류액 공급관(200)의 가동구(220)는 중공부(110)에 위치하는 작동부(142) 앞쪽에 위치되어 작동부(142)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며, 이때 작동부(142)에는 관통공(143)이 형성됨에 따라 신축부(230)는 이러한 관통공(143)을 통해 관통되어 작동부(142)의 뒤쪽에 위치된다.
따라서, 절개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슬라이더(140)가 압축 코일 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후진 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작동부(142)와 함께 가동구(220) 또한 후진 된 상태가 되면서 관류액 공급관(200)의 직선부(210)는 몸체(100)의 구멍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중공부(110) 안에 위치하게 되어 직선부(210)는 불필요한 오염이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절개 기구를 사용할 때에는 슬라이더(140)의 파지부(141)를 앞쪽으로 밀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작동부(142)가 가동구(220)를 전진시켜 관류액 공급관(200)의 직선부(210)는 몸체(100)의 구멍(12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이때 가동구(220)의 이동에 따라 관류액 공급관(200)의 신축부(230)는 늘어나는 상태가 된다.
이후, 몸체(100)의 구멍(120)을 통해 노출된 직선부(210)의 선단에 연결캡(300)을 끼워넣어 서로 연결 시켜주게 되면 슬라이더(14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어 압축 코일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가 후진 되더라도 연결캡(300)이 몸체(100)의 구멍(120) 주변에 걸리게 됨에 따라 직선부(210)는 구멍(120)을 통해 노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압축 코일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140)가 후진하려는 힘보다 직선부(210)와 연결캡(300)의 결합력이 더 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슬라이더(140)의 후진에 의해 직선부(210)에서 연결캡(300)이 불필요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절개 기구를 사용이 끝나고 직선부(210)로부터 연결캡(300)을 제거하게 되면 압축 코일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부(142)와 가동구(220)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몸체(100)의 구멍(120)을 통해 노출된 직선부(210)는 다시 몸체의 중공부(110) 내부로 이동되고 늘어나 있던 신축부(230) 또한 원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몸체(100)의 구멍(120)을 통해 노출된 직선부(210)에 연결캡(300)을 연결하여 절개 기구를 사용할 준비가 되면 각막에 절개창을 통해 연결캡(300)의 주삿바늘(310)을 집어넣은 다음 관류액 공급장치를 작동시켜 관류액이 관류액 공급관(200)을 통해 주삿바늘(310)을 거쳐 각막의 전방 내부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관류액 공급장치의 작동을 중지한 다음 전방의 내부에 위치한 주삿바늘(310)의 첨예부(312)를 그대로 이용하여 수정체 전낭을 원형으로 절개할 수 있으므로 절개 기구를 통해 관류액 공급과 전낭의 절개를 연속적으로 시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몸체 110 : 중공부
120 : 구멍 130 : 슬라이드공
140 : 슬라이더 141 : 파지부
142 : 작동부 143 : 관통공
150 : 압축 코일 스프링 200 : 관류액 공급관
210 : 직선부 220 : 가동구
230 : 신축부 300 : 연결캡
310 : 주삿바늘 311 : 배출구
312 : 첨예부 320 : 날개

Claims (7)

  1. 내부에 중공부에 형성되고, 일측 끝단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소정 길이의 슬라이드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슬라이드공을 통해 설치가 되며, 관통공이 구비된 하측의 작동부는 상기 중공부에 위치되고, 상측 파지부는 슬라이드공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드공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작동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 이동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어 상기 작동부와 함께 이동되는 가동구에 관통 고정되며, 상기 가동구를 기준으로 일측은 직선부로 구성되어 상기 구멍을 출입하게 되고, 타측은 신축부로 구성되면서 관류액 공급장치로 연결되는 관류액 공급관;
    일측은 상기 관류액 공급관의 직선부 선단이 끼워져 결합되며, 타측은 주삿바늘이 구비되어 상기 직선부에서 배출되는 관류액이 주삿바늘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연결캡;
    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액 공급관의 신축부는 주름관 또는 코일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삿바늘의 배출구는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경사면의 끝단은 어느 한쪽으로 구부러져 첨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의 내측둘레에는 실리콘링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캡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기 관류액 공급관의 직선부와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액 공급관의 직선부 외측둘레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캡의 내측둘레에는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의 외측둘레에는 십자형 날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액 공급관의 직선부는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연결캡은 주삿바늘을 향하는 안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이루면서 서로 억지끼움되어 기밀이 유지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KR1020190054748A 2019-05-10 2019-05-10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KR102299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748A KR102299696B1 (ko) 2019-05-10 2019-05-10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748A KR102299696B1 (ko) 2019-05-10 2019-05-10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800A KR20200129800A (ko) 2020-11-18
KR102299696B1 true KR102299696B1 (ko) 2021-09-09

Family

ID=7369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748A KR102299696B1 (ko) 2019-05-10 2019-05-10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6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1060A1 (en) 2009-03-18 2010-09-23 Roizman Keith Surgical device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513B1 (ko) * 1986-11-15 1989-07-13 박상철 백내장의 전낭절개 기구
KR101056823B1 (ko) 2008-07-30 2011-08-16 성공제 수정체낭 절개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1060A1 (en) 2009-03-18 2010-09-23 Roizman Keith Surgical devices and methods
WO2010107760A2 (en) 2009-03-18 2010-09-23 Iontherapeutics, Inc. Surgical device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800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46553B2 (en) Small gauge mechanical tissue cutter/aspirator probe for glaucoma surgery
CA2739331C (en) Probe tip and infusion sleeve for use with ophthalmological surgery
Blumenthal et al. Anterior chamber maintainer for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and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US20090287143A1 (en) Small Gauge Mechanical Tissue Cutter/Aspirator Probe For Glaucoma Surgery
US6629980B1 (en) Instru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n intraocular incision
US20040116950A1 (en) Instru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n intraocular incision
US10603211B2 (en) Phacoemulsification needle with improved safety and manufacturability
JP2022545421A (ja) 眼科用ブレード及び器具並びにその使用方法
KR102299696B1 (ko)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KR101886999B1 (ko)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위치조절기
US2013027478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cular surgery
KR102391641B1 (ko)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인공수정체 삽입 기구
CN209933163U (zh) 一种新型眼科白内障手术专用撕囊针
CN109330768B (zh) 一种白内障手术用前囊切开引导装置
RU242980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рагментации-эксплантации интраокулярных линз
RU2676601C2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непрерывного капсулорексиса и кольц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Agarwal et al. Bi-Manual Phaco
US20210178053A1 (en) Probe tip and infusion sleeve for use in ophthalmological surgery
CN107536670A (zh) 一种白内障术中前房压力稳定阀门
Koplin et al. Glossary of Terms
Bellucci August consultation# 8
RU2571529C1 (ru) Способ микроинвазивной факоэмульсификации
CN115068204A (zh) 房水引流针及其使用方法
Scharioth August consultation# 9
Chang Pars Plana Vitreous Tap in Crowded Ey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