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999B1 -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위치조절기 - Google Patents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위치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999B1
KR101886999B1 KR1020180048371A KR20180048371A KR101886999B1 KR 101886999 B1 KR101886999 B1 KR 101886999B1 KR 1020180048371 A KR1020180048371 A KR 1020180048371A KR 20180048371 A KR20180048371 A KR 20180048371A KR 101886999 B1 KR101886999 B1 KR 101886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ocular lens
head
blade
perfusio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8500A (ko
Inventor
유 아용
Original Assignee
아이 하스피틀, 웬조우 메디칼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610413577.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935327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10419559.7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919724B/zh
Application filed by 아이 하스피틀, 웬조우 메디칼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아이 하스피틀, 웬조우 메디칼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180048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64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for manual insertion during surgery, e.g. forceps-lik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75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with a lubricated inner surface, e.g. the lubricant being coated on the inner surface or being injected through a 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2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형의 점탄제가 없는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삽입술 및 그 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수 설계된 기계를 사용하여 수술 중에 관류액만을 사용하여도 전방을 유지할 수 있는 목적에 도달함으로써 점탄제의 영향을 철저히 벗어나게 한 것이다. 점탄제를 사용하지 않아 전통적인 방법처럼 점탄제를 주입하고 점탄제를 제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술시간을 현저히 절감시켜 1~3분내에 절개부위의 제작으로부터 절개부위의 워터 타이트까지의 모든 수술과정을 완성할 수 있어 점탄제와 관련한 수술 후 높은 눈압, 수정체 혼탁 등 현상을 방지하는 바, 상기 수술방법은 인공수정체 수술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수술의 임상적인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위치조절기{A PHAKIC INTRAOCULAR LENS POSITION ADJUSTOR}
본 발명은 안과 인공수정체수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신형의 점탄제(viscoelastics)가 없는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삽입술 및 그 기계에 관한 것이다.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삽입술은 고도의 근시를 치료하는 주요한 수술방법인 바, 여기서 ICL은 현재 주되는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이며 세계적으로 해마다 15만개를 삽입하고 한국 국내에서도 해마다 약 3만개를 삽입한다. 비록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삽입기술이 임상적으로 크나큰 성과를 거두었으나 수술조작단계에 하나의 문제점, 즉, 수술중에서 전방을 유지하기 위해 점탄제가 필요하여 인공수정체와 자연수정체사이의 점탄제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함으로써 아래와 같은 두가지 합병증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1. 수술후 초기의 높은 눈압반응, 이는 수술후 2시간내에 즉시 상승하게 되는데 제때에 발견하지 못하거나 처리하지 않게 되면 눈압이 급격히 상승하여 눈의 아픔을 초래하고 시력을 하락시키며 실명할 수도 있다. 2. 남은 점탄제는 수정체의 영양대사에 영향을 주거나 점탄제의 독성반응으로 인하여 수술 후 초기에 수정체가 혼탁해지거나 백내장을 일으켜 시력을 하락시킴으로써 다시 수술하여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를 적출하고 백내장을 제거할 수밖에 없게 한다.
안전하고 신뢰 가능한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수술방법을 찾고자 안과작업자들은 예의 노력하였다. 현재의 진전으로 볼 때 아래와 같은 두가지 책략이 있다. 1. 점탄제의 기능과 질량을 개선. 그러나 수술과정에서 점탄제를 사용하여 전방을 유지하는 고리를 개변하지 못하였으므로 인공수정체와 자연수정체사이에 남은 점탄제는 여전히 수술후의 높은 눈압반응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2. 전방에 주입하는 점탄제의 양을 가능한 줄임. 그러나 점탄제의 양이 적어 전방의 유지가 불안정하여 인공수정체를 삽입할 때 자연수정체를 손상시킬 수 있고 수정체를 혼탁하게 할 수 있으며 심지어 백내장을 일으켜 시력에 영향 줄 수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1122(공개일: 2007.09.07) 특허문헌 2: 미국등록특허공보 제5800406호(공고일: 1998.09.01.)
선행 기술의 부족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신형의 점탄제가 없는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삽입술 및 그 기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삽입술에서 점탄제를 사용하여 전방을 유지하는 정형화된 사고를 돌파하고 특수 설계된 기계를 사용하여 수술 중에 관류액만을 사용하여도 전방을 유지할 수 있는 목적에 도달함으로써 점탄제의 영향을 철저히 벗어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기술적 해결수단은,
1. 수술할 눈을 소독하고 가제수건을 덮으며 눈꺼플 오프닝 장치를 안착하고 결막을 세척하는 단계와;
2. 로더에 인공수정체를 장착하는 단계와;
3. 시계방향에 따라 6시와 12시 방향의 각막의 테두리에서 홍채방향으로 관류 메인테이너 각막 천자 나이프에 의해 0.6x0.5mm 사이즈의 관류 절개부위를 제작하고 위치조절기 각막 천자 나이프에 의해 0.2x0.5mm 사이즈의 위치조절 절개부위를 제작하는 단계와;
4. 관류 절개부위를 통하여 특별 제작한 전방 관류 메인테이너를 장착하여 전방에 대해 관류를 실시함으로써 전방을 유지하는 단계와;
5. 관자놀이 측에 2.8x1.5mm 사이즈의 각막 메인 절개부위를 제작하는 단계와;
6. 각막 메인 절개부위를 통하여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단계와;
7. 위치조절 절개부위를 통하여 위치조절기를 장착하여 인공수정체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와;
8. 워터 나이트 절개부위 처리를 진행하여 전방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형의 점탄제가 없는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삽입술이다.
상기 전방 관류 메인테이너는 수액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액기 커넥터에는 상단이 밀폐된 도관이 설치되고 상기 도관은 금속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도관은 수액기 커넥터와 연결된 스트레이트 튜브 및 위로 겹쳐져 스트레이트 튜브와 협각을 이루는 분기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 파이프의 전단은 관류 헤드이며 상기 관류 헤드의 측벽에는 두개의 대칭되게 설치된 관류 홀이 설치되고 상기 대칭되게 설치된 관류 홀사이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축선과 분기 파이프의 축선은 서로 수직되게 분포된다.
상기 스트레이트 튜브의 길이는 12mm이고 분기 파이프의 길이는 10mm이며 상기 스트레이트 튜브와 분기 파이프사이의 협각은 130°이다.
상기 관류 헤드의 최상부는 원호형이고 상기 원호형 관류 헤드의 최상부 내는 구면의 캐비티이며 상기 관류 헤드 내의 구면의 캐비티의 구의 중심은 통공의 최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통공직경은 0.34mm이다.
상기 도관직경은 0.5mm이다.
상기 관류 메인테이너 각막 천자 나이프는 제1 칼자루, 제1 칼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칼자루의 전단에는 제1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칼몸은 제1 연결부에 장착된다.
상기 제1 칼몸의 헤드부에는 제1 칼날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칼날과 제1 칼몸사이에는 110°의 협각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칼날의 전단은 제1 칼끝이고 상기 제1 칼끝은 정각이 60°인 정삼각형이며 상기 제1 칼끝의 길이는 0.68mm, 폭은 0.79mm이다.
상기 제1 칼날의 길이는 10mm이고 제1 칼몸의 길이는 17mm이다.
상기 제1 칼자루에는 핸드 마찰력을 증가하기 위한 마테 레이어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조절기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전단에는 위치조절후크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절후크는 핸들과 연결된 본체 및 본체상의 조절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헤드와 본체 사이에는 협각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헤드의 최상부는 반구형이며 상기 반구형의 조절 헤드 최상부의 하반구면에는 마테면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 헤드의 하측은 함몰된 원호형이고 상기 조절 헤드의 원호의 곡률반경은 5cm이며 상기 조절 헤드의 원호의 호도는 π/12이다.
상기 반구형의 조절 헤드 최상부의 직경은 0.2mm이고 상기 마테면의 길이는 0.3mm이다.
상기 본체의 길이는 17mm이고 직경은 0.8mm이며 상기 조절 헤드의 길이는 12mm이다.
상기 조절 헤드와 본체사이에는 110°의 협각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조절기 각막 천자 나이프는 제2 칼자루, 제2 칼몸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칼자루의 전단에는 제2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칼몸은 제2 연결부에 장착된다.
상기 제2 칼몸의 헤드부에는 제2 칼날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칼날과 제2 칼몸사이에는 110°의 협각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칼날의 전단은 제2 칼끝이고 상기 제2 칼끝은 정각이 15°인 직각삼각형이며 상기 제2 칼끝의 길이는 0.77mm, 폭은 0.2mm이다.
상기 제2 칼날의 길이는 10mm이고 제2 칼몸의 길이는 17mm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신형의 점탄제가 없는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삽입술 및 그 기계를 제공하는 바, 특수 설계된 기계를 사용하여 수술 중에 관류액만을 사용하여도 전방을 유지할 수 있는 목적에 도달함으로써 점탄제의 영향을 철저히 벗어나게 한 것이다. 점탄제를 사용하지 않아 전통적인 방법처럼 점탄제를 주입하고 점탄제를 제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술시간을 현저히 절감시켜 1~3분내에 절개부위의 제작으로부터 절개부위의 워터 타이트까지의 모든 수술과정을 완성할 수 있어 점탄제와 관련한 수술 후 높은 눈압, 수정체 혼탁 등 현상을 방지하는 바, 상기 수술방법은 인공수정체 수술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수술의 임상적인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 관류 메인테이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 관류 메인테이너 도관의 구조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막 천자 나이프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각막 천자 나이프 칼끝의 구조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 관류 메인테이너 도관의 구조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위치조절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위치조절기조절 헤드의 구조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각막 천자 나이프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각막 천자 나이프 칼끝의 구조 확대도이다.
이하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와 결부하여 본 발명에 대해 진일보로 설명하고자 하는 바, 신형의 점탄제가 없는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삽입술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수술할 눈을 소독하고 가제수건을 덮으며 눈꺼플 오프닝 장치를 안착하고 결막을 세척;
(2) 로더에 인공수정체를 장착;
(3) 시계방향에 따라 6시와 12시 방향의 각막의 테두리에서 홍채방향으로 관류 메인테이너 각막 천자 나이프에 의해 0.6x0.5mm 사이즈의 관류 절개부위를 제작하고 위치조절기 각막 천자 나이프에 의해 0.2x0.5mm 사이즈의 위치조절 절개부위를 제작;
(4) 관류 절개부위를 통하여 특별 제작한 전방 관류 메인테이너를 장착하여 전방에 대해 관류를 실시함으로써 전방을 유지;
(5) 관자놀이 측에 2.8x1.5mm 사이즈의 각막 메인 절개부위를 제작;
(6) 각막 메인 절개부위를 통하여 인공수정체를 삽입;
(7) 위치조절 절개부위를 통하여 위치조절기를 장착하여 인공수정체 위치를 조절;
(8) 워터 나이트 절개부위 처리를 진행하여 전방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완성.
Benfam1은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삽입술에서 점탄제를 사용하여 전방을 유지하는 정형화된 사고를 돌파하고 특수 설계된 기계를 사용하여 수술 중에 관류액만을 사용하여도 전방을 유지할 수 있는 목적에 도달함으로써 점탄제의 영향을 철저히 벗어나도록 한다. 초기에는 본 발명을 사용하여 35건의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진행하였는데 모두 순리롭게 수술을 완성하였다. 관찰을 통하여 선명한 개선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수술전, 수술 후 2시간, 1일, 1주일에서의 눈압은 각각 14.22±2.59(7.7~19.1), 16.59±3.79(13.6~25.2), 13.00±2.90(11.7~20.6), 14.11±1.93(12.9~17.7)mmHg이고 수술 후 2시간내에 의학적으로 간섭해야 할 눈압상승현상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수술 후 1일에도 눈압은 정상적인 범위에 있었다. 본 발명의 별도의 이점은, 점탄제를 사용하지 않아 전통적인 방법처럼 점탄제를 주입하고 점탄제를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술시간을 현저히 절감시켜 1~3분내에 절개부위의 제작으로부터 절개부위의 워터 타이트까지의 모든 수술과정을 완성할 수 있어다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는 이러한 수술방식이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삽입술 환자에게 있어서 유효적이고 실행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상기 전방 관류 메인테이너는 수액기 커넥터(11)를 포함하고 상기 수액기 커넥터(11)에는 상단이 밀폐된 도관(12)이 설치되고 상기 도관(12)은 금속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도관(12)은 수액기 커넥터(11)와 연결된 스트레이트 튜브(121) 및 위로 겹쳐져 스트레이트 튜브(121)와 협각을 이루는 분기 파이프(122)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 파이프(122)의 전단은 관류 헤드(123)이며 상기 관류 헤드(123)의 측벽에는 두개의 대칭되게 설치된 관류 홀(124)이 설치되고 상기 대칭되게 설치된 관류 홀(124)사이에는 통공(125)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25)의 축선과 분기 파이프(122)의 축선은 서로 수직되게 분포된다. 본 발명은 전방 관류 메인테이너의 관류 헤드의 측벽에 대칭되는 두개의 관류 홀을 설치함으로써 평행 관류를 실시할 경우 전방내에 와류를 발생하여 눈 조직에 대한 충격을 절감시키고 미세한 절개부위를 통하여 전방에 들어가 관류를 진행하여 평온한 전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방에 점탄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점탄제와 관련한 조작단계와 시간, 잠재하는 합병증 위험 및 관련 비용의 발생을 방지한다. 수류가 반구형 구면의 캐비티내로 들어간 후 서로 역류하는 힘을 상쇄시켜 다시 통공으로부터 유출되어 수류의 충격을 경감시킴으로써 평행 관류를 실시할 경우 전방내에 와류를 발생하여 눈 조직(1)에 대한 충격을 절감시키고 원호형 관류 헤드(123)의 최상부내는 캐비티이므로 관류된 수류는 우선 관류 헤드(123)의 최상부의 캐비티내로 들어간 후 다시 역류하여 대칭되게 설치되는 두개의 관류 홀(124)을 통하여 유출됨으로써 이 또한 충격을 경감시켰다.
상기 스트레이트 튜브(121)의 길이는 12mm이고 분기 파이프(122)의 길이는 10mm이며 상기 스트레이트 튜브(121)와 분기 파이프(122)사이의 협각은 130°이다. 상기 관류 헤드(123) 최상부는 원호형이고 상기 원호형 관류 헤드(123) 최상부내는 구면의 캐비티이며 상기 관류 헤드(123)내의 구면의 캐비티의 구의 중심은 통공(125)의 최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통공(125)의 직경은 0.34mm이다.
상기 도관(12)의 직경은 0.5mm이다.
상기 관류 메인테이너 각막 천자 나이프는 제1 칼자루(13), 제1 칼몸(14)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칼자루(13)의 전단에는 제1 연결부(131)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칼몸(14)은 제1 연결부(131)에 장착된다. 상기 제1 칼몸(14)의 헤드부에는 제1 칼날(141)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칼날(141)과 제1 칼몸(14)사이에는 110°의 협각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칼날(141)의 전단은 제1 칼끝(142)이고 상기 제1 칼끝(142)은 정각이 60°인 정삼각형이며 상기 제1 칼끝(142)의 길이는 0.68mm, 폭은 0.79mm이다. 상기 제1 칼날(141)의 길이는 10mm이고 제1 칼몸(14)의 길이는 17mm이다. 상기 제1 칼자루(13)에는 핸드 마찰력을 증가하기 위한 마테 레이어(132)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직경이 작은 칼날을 사용함으로써 전방 관류기계와 매칭되는 작은 절개부위를 제작할 수 있어 칼날이 전방에 들어가는 길이를 줄임과 동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또 절개부위의 누수를 절감시키며 평온한 전방을 유지시킨다. 수술자의 경험에 대한 의존성이 작다. 동시에 상단 칼날의 길이가 짧아 관련된 과실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기는 핸들(21)을 포함하는데 상기 핸들(21) 의 전단에는 위치조절후크(22)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절후크(22)는 핸들(21)과 연결된 본체 및 본체상의 조절 헤드(221)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헤드(221)와 본체사이에는 협각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헤드(221)의 최상부는 반구형이며 상기 반구형의 조절 헤드(221) 최상부의 하반구면에는 마테면(222)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조절 헤드(221)의 최상부의 밑부분에 대해 마테처리를 진행함으로써 기계가 절개부위를 출입하는데 편리하도록 하고 위치조절시의 접촉력에 도움을 줌으로써 위치조절이 편리하도록 하는 바, 본 발명은 작은 직경을 사용하고 상단 밑부분을 마테처리하며 0.2mm의 미세한 절개부위를 통하여 전방에 들어가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조작과정에서 전방의 평온을 유지하고 편리하게 위치를 조절하여 전통적인 위치조절기계의 절개부위가 크고 위치조절이 어려운 단점을 방지하였다.
상기 조절 헤드(221)의 하측은 함몰된 원호형이고 상기 조절 헤드(221)의 원호의 곡률반경은 5cm이며 상기 조절 헤드(221)의 원호의 호도는 π/12이다.
상기 반구형의 조절 헤드(221) 최상부의 직경은 0.2mm이고 상기 마테면(222)의 길이는 0.3mm이다.
상기 본체의 길이는17mm이고 직경은 0.8mm이며 상기 조절 헤드(221)의 길이는 12mm이다.
상기 조절 헤드(221)와 본체사이에는 110°의 협각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조절기 각막 천자 나이프는 제2 칼자루(23), 제2 칼몸(24)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칼자루(23)의 전단에는 제2 연결부(231)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칼몸(24)은 제2 연결부(231)에 장착된다. 상기 제2 칼몸(24)의 헤드부에는 제2 칼날(241)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칼날(241)과 제2 칼몸(24)사이에는 110°의 협각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칼날(241)의 전단은 제2 칼끝(242)이고 상기 제2 칼끝(242)은 정각이 15°인 직각삼각형이며 상기 제2 칼끝(242)의 길이는 0.77mm, 폭은 0.2mm이다. 상기 제2 칼날(241)의 길이는 10mm이고 제2 칼몸(24)의 길이는 17mm이다. 직경이 작은 칼날을 사용함으로써 전방 관류기계와 매칭되는 작은 절개부위를 제작할 수 있어 칼날(41)이 전방에 들어가는 길이를 줄임과 동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또 절개부위의 누수를 절감시키며 평온한 전방을 유지시킨다.
이상 설명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식인 바,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응당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원리를 떠나지 않은 전제하에서 약간의 개선과 윤색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개선과 윤색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로 간주해야 한다.
11: 수액기 커넥터 12: 도관
13: 제1 칼자루 14: 제1 칼몸
121: 스트레이트 튜브 122: 분기 파이프
123: 관류 헤드 124: 관류 홀
125: 통공 131: 제1 연결부
132: 마테 레이어 141: 제1 칼날
142: 제1 칼끝 21: 핸들
22: 위치조절후크 23: 제2 칼자루
24: 제2 칼몸 221: 조절 헤드
222: 마테면 231: 제2 연결부
241: 제2 칼날 242: 제2 칼끝

Claims (4)

  1. 핸들(21)을 포함하는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위치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핸들(21)의 전단에는 위치조절후크(22)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조절후크(22)는 핸들(21)과 연결된 본체 및 본체상의 조절 헤드(221)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헤드(221)와 본체사이에는 협각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헤드(221)의 최상부는 반구형이며 상기 반구형의 조절 헤드(221) 최상부의 하반구면에는 마테면(222)이 설치되고, 상기 조절 헤드(221)의 하측은 함몰된 원호형이고 상기 조절 헤드(221)의 원호의 곡률반경은 5cm이며 상기 조절 헤드(221)의 원호의 호도는 π/12이고,
    상기 반구형의 조절 헤드(221) 최상부의 직경은 0.2mm이고, 상기 마테면(222)의 길이는 0.3mm이며,
    상기 본체의 길이는 17mm이고 직경은 0.8mm이고, 상기 조절 헤드(221)의 길이는 12mm이며,
    상기 조절 헤드(221)와 본체 사이에는 110°의 협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위치조절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48371A 2016-06-14 2018-04-26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위치조절기 KR101886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4195597 2016-06-14
CN201610413577.4A CN105935327A (zh) 2016-06-14 2016-06-14 一种有晶状体眼人工晶状体调位器械
CN2016104135774 2016-06-14
CN201610419559.7A CN105919724B (zh) 2016-06-14 2016-06-14 一种前房灌注器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637A Division KR101879504B1 (ko) 2016-06-14 2016-09-28 전방 관류 메인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500A KR20180048500A (ko) 2018-05-10
KR101886999B1 true KR101886999B1 (ko) 2018-08-08

Family

ID=582619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637A KR101879504B1 (ko) 2016-06-14 2016-09-28 전방 관류 메인테이너
KR1020180048371A KR101886999B1 (ko) 2016-06-14 2018-04-26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위치조절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637A KR101879504B1 (ko) 2016-06-14 2016-09-28 전방 관류 메인테이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58463B2 (ko)
KR (2) KR101879504B1 (ko)
AU (1) AU2016234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1139A (zh) * 2018-12-19 2019-03-19 苏州碧利医疗科技有限公司 人工晶体植入用调位钩
CN112842685A (zh) * 2021-01-22 2021-05-28 重庆市红十字会医院.(江北区人民医院) 一种白内障超声乳化和折叠人工晶体植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0406A (en) 1995-11-22 1998-09-01 Kritzinger; Michael S. Corneal irrigation cannula
WO2002058607A2 (en) 2001-01-25 2002-08-01 Ferrone Philip J Infusion cannula
JP2015534857A (ja) * 2012-11-13 2015-12-07 アルコン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使い捨て嚢切開鉗子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1130A (en) * 1980-06-27 1982-05-25 Lewicky Andrew O Securing device to the cornea to prevent anterior chamber prolapse
RU2083192C1 (ru) * 1994-06-14 1997-07-1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крытого типа "МНТК -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рригации и аспирации
US5755700A (en) 1995-07-27 1998-05-26 Michiel S. Kritzinger Corneal irrigation cannula and method of using
US6695821B1 (en) * 1998-06-17 2004-02-24 Raymond N. Sjaarda Surgical infusion tool with flow diffuser
JP2000033097A (ja) * 1998-07-16 2000-02-02 Akira Shibata 外径1.6mmの灌流スリーブ
US6135984A (en) * 1999-01-06 2000-10-24 Dishler; Jon G. Cannula for use in corrective laser eye surgery
JP3848482B2 (ja) * 1999-02-24 2006-11-2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手術用スリーブ及びこれを備える眼科手術装置
AU2002340459A1 (en) * 2001-11-09 2003-05-19 Kenneth D. Anthone Method and instrument for cataract surgery
US7037296B2 (en) 2002-04-04 2006-05-02 Advanced Medical Optics, Inc. Curved multi-purpose phacoemulsification needle
JP2006014963A (ja) * 2004-07-01 2006-01-19 Hoya Healthcare Corp 眼内レンズ挿入器具
KR101134830B1 (ko) 2004-11-30 2012-04-13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인공수정체 삽입기용 2 단계의 플런저
JP5255312B2 (ja) * 2008-03-31 2013-08-07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挿入器具
PT2854708T (pt) * 2012-06-04 2017-01-17 Alcon Pharmaceuticals Ltd Dispositivo de inserção de lentes oculares e método de libertação de uma lente ocular a partir de um cartucho
WO2015144995A1 (fr) * 2014-03-28 2015-10-01 Tran Van Tao Procédé et dispositif de lavage de seudoexfoliation (pex) par une canule d'irrigation solution saline équilibrée (bss) combinés avec une opération de la cataracte pour baisser la tension oculaire
CN204521166U (zh) 2015-03-20 2015-08-05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带冲洗头的角膜瓣掀开器
US20160374854A1 (en) * 2015-06-26 2016-12-29 Art, Ltd. Surgical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0406A (en) 1995-11-22 1998-09-01 Kritzinger; Michael S. Corneal irrigation cannula
WO2002058607A2 (en) 2001-01-25 2002-08-01 Ferrone Philip J Infusion cannula
JP2015534857A (ja) * 2012-11-13 2015-12-07 アルコン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使い捨て嚢切開鉗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54495A1 (en) 2017-12-14
KR101879504B1 (ko) 2018-07-17
KR20180048500A (ko) 2018-05-10
KR20170141096A (ko) 2017-12-22
AU2016234979B1 (en) 2017-03-16
US10258463B2 (en)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16643A1 (en) Ophthalmic surgical device with adjustable filament and method of use
US11666482B2 (en) Personalization of excimer laser fibers
US9744075B2 (en) Instru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 controlled capsulorhexis for cataract surgery
US20190290487A1 (en) Restoration of Accommodation by Lens Refilling
CA2878090C (en) Rounded-end device for preventing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US6290705B1 (en) Irrigating forceps
KR101886999B1 (ko) 유수정체용 인공수정체 위치조절기
Inoue Corneal triple procedure
CN210228471U (zh) 带灌注的icl调位钩
KR102299696B1 (ko) 관류액이 공급되는 안과 수술용 절개 기구
RU2451500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ролиферативной диабетической ретинопатии
RU2158569C2 (ru) Способ глубокой субтеноновой анестезии
Ranjan R-MSICS
EP0507894A1 (en) Inflatable balloon for treatment of retinal detachments
Nagy Femtolaser Cataract Surgery
Malik et al. Modified Blumenthal’s
Vasavada August consultation# 7
Ravindra SICS in Pediatric Cataracts
Lu et al. Three-PorT Bimanual SleeveleSS microPhacoemulSificaTion uSing The “TilT and TumBle” Technique
Dick Many surgeons are still apprehensive to convert ß their surgical technique for fear of increased complications, including endothelial cell loss, intraocular pressure, and endophthalmitis. The density of the nucleus affects endothelial cell loss because of the number of small, hard frag
Bylsma Cataract surgical problem: Reply# 1
Rangarajan et al. Review of liter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