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114B1 -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 - Google Patents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114B1
KR102299114B1 KR1020200119447A KR20200119447A KR102299114B1 KR 102299114 B1 KR102299114 B1 KR 102299114B1 KR 1020200119447 A KR1020200119447 A KR 1020200119447A KR 20200119447 A KR20200119447 A KR 20200119447A KR 102299114 B1 KR102299114 B1 KR 102299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nergy
service module
open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태
황동곤
진정탁
Original Assignee
(주)우원엠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원엠앤이 filed Critical (주)우원엠앤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실시간으로 감시 및 제어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시스템의 원활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의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을 최적화하여 운영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건물의 용도, 규모, 설비에 적합한 서비스 모듈을 선정하고 각 서비스 모듈마다 필요한 최소한의 디바이스만을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비용 고성능의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 {OPEN ENERGY SOLUTION FOR BUILDING ENERGY SAVING}
본 발명은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실시간으로 감시 및 제어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시스템의 원활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의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에 관한 것이다.
현 건물관리 체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운영·관리단계에서 건물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전문조직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백화점, 쇼핑몰, 초고층건물과 같은 대규모 건물의 경우엔 전문적인 관리팀에 의해서 운영되지만 중소규모 건물의 경우는 비숙련 관리자에 의해 단순 기동/정지 운영만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최첨단 에너지관리 솔루션이 포함된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을 도입한다 할지라도 실제로 정보를 분석하고 의사결정을 내려 실행에 옮기는 건물 에너지 전문가가 없으므로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의 기능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아웃소싱에 의한 낮은 수준의 시설관리는 관례적인 관리와 에너지 및 운영비용 절감에 대한 낮은 의지, 의사결정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대부분의 건물성능은 설계단계에서 결정되고 시공을 시작하게 되면 운영 및 관리단계에서 변경하기 쉽지 않다. 설계단계에서의 건물시스템 결정은 건물의 전생애에 걸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시각으로 신중하게 검토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건설산업 구조에서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는 매우 애매한 자리에 위치해 있다. 건물운영에 대한 경험이 없는 설계자들이 운영관계자의 의견 없이 설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설계종료이후에는 운영 및 관리단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다시 설계에 반영하는 피드백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건설산업 구조로 인하여 운영·관리단계의 노하우나 불편사항들이 다음 설계에 반영되지 않아 반복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건물에너지관리 시스템의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을 실제로 사용하는 수요자들의 의견이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의 설계에 배제됨으로써 각 건물의 용도, 규모, 설비 등 특성을 반영하지 않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고, 구축 이후엔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의 활용성을 극대화 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시설 관리자가 계약되는 시점에도 문제가 있다. 현재의 건설산업 구조에서 시설관리자는 건물의 시공이후 최저가 입찰에 의해서 계약되고, 정해진 계약기간동안 건물관리를 수행하고 재계약을 통해 계약을 연장하거나, 다른 관리자로 변경되는 관리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의 기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기회가 없으며, 건물전반에 대한 이해도 또한 낮을 수밖에 없다. 건물의 설계의도를 이해하여 운영에 반영하기 보다는 정해진 반복적인 규칙에 따를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종래에는,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의 설계 시 건축기계설비 기술사가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의 업체를 통해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를 설계하고 되고 시공 시에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를 구축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만을 통해서만 유지관리가 가능하다. 이는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선택한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의 소프트웨어 업체가 건물의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의 공급 독점을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및 기능 추가 등을 할 때, 소프트웨어 업체에서 제시하는 비용을 지불해야만 건축주가 원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을 통해 건물에너지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개방적인 운영체제를 사용해야 한다. 모든 건물과 시스템은 사용연수에 따라 노후화가 진행될 수밖에 없고 부분적인 개보수와 성능개선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폐쇄적인 운영체제의 경우 부분적인 변경이 어렵기 때문에 건물의 사용에 따른 변경에 대응하기 어렵고 시스템의 활용성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가 전주기적인 건물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개방형 운영체계의 구축이 필수적인 요건이라 할 수 있다.
개방형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BEMS)의 운영체제와 디바이스간의 정보이동에 관한 내용을 정한 디바이스 규약을 준수하면 제조사에 관계없이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와 서비스 모듈 간의 정보이동에 관한 사항을 정리한 서비스 모듈을 준수하여 서비스 모듈을 제작하면 누구나 건물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을 최적화하여 운영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건물의 용도, 규모, 설비에 적합한 서비스 모듈을 선정하고 각 서비스 모듈마다 필요한 최소한의 디바이스만을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저비용 고성능의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개방형 BEMS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건축주 단말로부터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건축주와 협의한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 사항 및 건축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 사항, 건축물 정보 및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의 사양에 해당하는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를 선정하는 건축물의 계획 단계;와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규약을 만족하는 상기 서비스 모듈 및 상기 디바이스 각각이 선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건축물 설계 단계;와 상기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선정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 각각과 실제로 시공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 각각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공 단계;와 상기 서비스 모듈보다 기능에 따라 에너지 사용량이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와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 모듈로 정상적으로 정보가 수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건물 에너지를 관리하는 운영 및 관리 단계;와 사용자가 제공한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 사항 및 건축물 정보에 적합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의 목록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듈 리스트 제공 단계;와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부가기능을 선택하는 부가기능 선택 단계;와 상기 서비스 모듈 리스트 제공단계를 통해 제공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 중 부가기능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부가기능의 호환여부를 표시하는 부가기능 호환여부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축물 설계 단계는 상기 건축물의 계획 단계에서 선정된 서비스 모듈이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모듈 규약을 만족하는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건축물의 시설 중 에너지 관리 필요한 각각의 설비에 서비스 모듈이 선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설계 시점의 서비스 모듈 검토 단계; 상기 건축물의 계획 단계에서 선정된 디바이스가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디바이스 규약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모듈의 기능을 실행하는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설계 시점의 디바이스 검토 단계; 및 설계도서 상에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중복 설치되어 있거나 누락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디바이스가 점검이 용이한 곳에 위치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설계 시점의 설계도서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공 단계는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모듈 규약을 만족하는 서비스 모듈이 설치되었는지 여부와 상기 건축물의 계획 단계에서 선정된 서비스 모듈이 시공 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공 시점의 서비스 모듈 검토 단계;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디바이스 규약을 만족하는 디바이스가 설치되었는지 여부와 상기 건축물의 계획 단계에서 선정된 디바이스가 시공 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공 시점의 디바이스 검토 단계; 및 설계도서에서 계획한 디바이스의 위치 및 실제 디바이스의 위치가 일치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시공 시점의 설치 검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 및 관리 단계는 상기 서비스 모듈의 기능에 맞게 설비의 에너지 사용량이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운영 및 관리 시점의 서비스 모듈 검토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 모듈로 정보가 수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정상 동작 신호를 송신하여 특정 시간 이내에 정상 동작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운영 및 관리 시점의 서비스 모듈 검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축주 단말로부터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건축주와 협의한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 사항 및 건축물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 사항, 건축물 정보 및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의 사양에 해당하는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를 선정하는 계획 단계 검토부;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규약을 만족하는 상기 서비스 모듈 및 상기 디바이스 각각이 선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설계 단계 검토부;와 상기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선정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 각각과 실제로 시공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 각각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공 단계 검토부;와 상기 서비스 모듈보다 기능에 따라 에너지 사용량이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와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 모듈로 정상적으로 정보가 수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건물 에너지를 관리하는 운영 및 관리 단계 검토부;를 포함하되, 상기 계획 단계 검토부는 상기 정보 수신부에 수신된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사항과 건축물 정보에 적합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 목록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듈 리스트 제공부;와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부가기능을 선택받는 부가기능 선택부와; 상기 서비스 모듈 리스트 제공부에 표시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 목록 중 부가기능 선택부에서 선택된 부가기능의 호환여부가 표시되는 부가기능 호환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획 단계 검토부(420)는 상기 건축물의 계획 단계에서 선정된 서비스 모듈이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모듈 규약을 만족하는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건축물의 시설 중 에너지 관리 필요한 각각의 설비에 서비스 모듈이 선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의 계획 단계에서 선정된 디바이스가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디바이스 규약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모듈의 기능을 실행하는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획 단계 검토부는 설계도서 상에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중복 설치되어 있거나 누락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디바이스가 점검이 용이한 곳에 위치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공 단계 검토부는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모듈 규약을 만족하는 서비스 모듈이 설치되었는지 여부와 상기 건축물의 계획 단계에서 선정된 서비스 모듈이 시공 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디바이스 규약을 만족하는 디바이스가 설치되었는지 여부와 상기 건축물의 계획 단계에서 선정된 디바이스가 시공 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설계도서에서 계획한 디바이스의 위치 및 실제 디바이스의 위치가 일치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 및 관리 단계 검토부는 상기 서비스 모듈의 기능에 맞게 설비의 에너지 사용량이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운영 및 관리 시점의 서비스 모듈 검토부; 및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 모듈로 정보가 수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정상 동작 신호를 송신하여 특정 시간 이내에 정상 동작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가기능 선택부는 열원, 공조, 전기 설비의 시설물을 운전하는 시설물 운전기능 선택부와, 열원, 공조, 전기 설비 시설물의 고장을 감시하는 시설물 유지보수 선택부와, 설비 시스템의 성능을 진단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시설물 성능진단 선택부와, 설비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성능개선 및 운전방안을 제시하는 최적화 기능 선택부와, 에너지 절감량 및 경제적 효과를 정량화 시키는 경제성 분석기능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을 최적화하여 운영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건물의 용도, 규모, 설비에 적합한 서비스 모듈을 선정하고 각 서비스 모듈마다 필요한 최소한의 디바이스만을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비용 고성능의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설계도서”는 청부 공사 계약에 있어서 발주자로부터 제시된 도면 및 그 시공 기준을 정한 시방 서류로서, 설계 도면, 표준 명세서, 특기 명세서, 현장 설명서 및 현장 설명에 대한 질문 회답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서비스 모듈 규약”은 서비스 모듈과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의 운영 체제 사이에 원활한 정보 교환을 위해 준수해야 하는 사항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디바이스 규약”은 디바이스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 사이에 원활한 정보 교환을 위해 준수해야 하는 사항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서비스 모듈”은 건축물에 있는 시설의 에너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디바이스”는 건축물 각각에 위치하여 정보를 수집한 후 서비스 모듈에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은 건축주 단말(100), 건축사 단말(200), 기계 설비 기술사 단말(300), BEMS 플랫폼(400) 및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을 포함한다.
건축주 단말(100)은 계획 단계에서 건축물에 대한 에너지 코디네이터 요청 메시지를 BEMS 플랫폼(400)에 제공하고, 건축 설계 요청 메시지를 건축사 단말(200)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건축주 단말(100)이 건축물에 대한 에너지 코디네이터 요청 메시지를 BEMS 플랫폼(400)에 제공함으로써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을 이용한 건축물의 에너지 코디네이터를 의뢰한다.
그 후, 건축주 단말(100)은 설계 단계에서 기계 설비 기술사를 선정함으로써 해당 기계 설계 기술사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하고, 시공 단계에서 시공사를 선정함으로써 해당 시공사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건축주 단말(100)은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 시설 관리 업체를 선정함으로써 시설 관리 업체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을 통해 건물 에너지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건축사 단말(200)은 건축물의 설계 및 공사 감리를 할 수 있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건축사 단말(200)은 건축주 단말(100)로부터 건축 설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건축 설계 요청 메시지에 따라 건축물의 설계를 진행한다.
기계 설비 기술사 단말(300)은 BEMS 플랫폼(400)으로부터 디바이스 설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디바이스 설계 요청 메시지에 따라 디바이스를 설계한다.
이때, BEMS 플랫폼(400)은 건축주에 의해 선정된 디바이스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서 요구하는 디바이스 규약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하여 디바이스 설계 요청 메시지를 기계 설비 기술사 단말(300)에 제공한다.
BEMS 플랫폼(400)은 건축주를 대신하여 효율적인 건물 에너지 관리는 서버이다.
이러한 BEMS 플랫폼(400)은 건축물 설계 단계, 시공 단계, 운영 및 관리 단계 각각에서 건축물의 건축 예정 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선정한다.
BEMS 플랫폼(400)은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건축주와 협의한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 사항 및 건축물 정보(예를 들어, 용도, 규모, 설비 등)를 수신한다. 그 후, BEMS 플랫폼(400)은 계획 단계에서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 사항, 건축물 정보 및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의 사양에 해당하는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를 선정한다.
먼저, BEMS 플랫폼(400)은 계획 단계에서 선정한 서비스 모듈의 기능 구현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디바이스가 설계도서에 반영되어 있는지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건축주에 의해 결정된 건축물 목표 에너지 수치 및 미리 결정된 에너지 수치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설계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건축주에 의해 선정된 서비스 모듈이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모듈 규약에 따라 동작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설계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에너지 관리가 필요한 설비 각각이 서비스 모듈로 선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설계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또한, BEMS 플랫폼(400)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규약을 만족하는 상기 서비스 모듈 및 상기 디바이스 각각이 선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건축주에 의해 선정된 디바이스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서 요구하는 디바이스 규약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하여 만족하는 경우 디바이스 설계 요청 메시지를 기계 설비 기술사 단말(300)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선정된 디바이스의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모듈의 기능을 실행하는 필요한 디바이스로 선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디바이스 항목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하여 디바이스 설계 요청 메시지를 기계 설비 기술사 단말(300)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BEMS 플랫폼(400)은 설계 시점에서 건물 에너지의 운영 및 관리를 고려하여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서 건물의 용도, 규모, 설비에 적합한 서비스 모듈을 선정한 후 각 서비스 모듈마다 필요한 최소한의 디바이스만을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BEMS 플랫폼(400)은 설계도서 상에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중복 설치되어 있거나 누락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디바이스가 점검이 용이한 곳에 위치하는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설계도서 상의 디바이스 각각의 기능을 비교하여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중복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설계도서 항목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설계도서를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선정된 디바이스 및 설계도서 상의 디바이스를 비교하여 누락된 디바이스가 있는지 판단하여 설계도서 항목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설계도서를 검토한다.
또 다른 일 실시에에서, BEMS 플랫폼(400)은 설계도서 상의 디바이스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접근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점검이 가능한 곳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설계도서 항목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설계도서를 검토한다.
또한, BEMS 플랫폼(400)은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선정된 서비스 모듈과 실제로 시공된 서비스 모듈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시공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모듈 규약을 만족하는 서비스 모듈이 설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서비스 모듈 항목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시공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선정된 서비스 모듈 및 건축물 시공 단계에서 시공된 서비스 모듈을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서비스 모듈 항목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시공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또한, BEMS 플랫폼(400)은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선정된 디바이스와 실제로 시공된 디바이스 각각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시공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서 요구하는 디바이스 규약을 만족하는 디바이스가 설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시공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설계 단계에서 선정된 디바이스 및 시공 단계에서 시공된 디바이스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시공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한다.
또한, BEMS 플랫폼(400)은 시공 시점의 설치 사항을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된 서비스 모듈이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시공 시점의 설치 사항을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설계도서 상에서 계획된 위치에 디바이스가 설계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시공 시점의 설치 사항을 검토한다.
그런 다음, BEMS 플랫폼(400)은 건축물의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으로부터 건축물 설비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건축물 설비 관리 정보를 처리하여 전자 보고서를 생성하여 건축주 단말(100)에 제공한다.
BEMS 플랫폼(400)은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 서비스 모듈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현재 서비스 모듈 중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 모듈보다 기능이 우수한 모듈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영 및 관리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서비스 모듈의 기능에 맞게 설비 에너지의 사용량이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영 및 관리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또한, BEMS 플랫폼(400)은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 디바이스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의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 모듈로 정보가 수집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 디바이스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의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작동이 이상이 없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 디바이스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은 BEMS 플랫폼(400)의 건축 설계 요청 메시지에 따라 건축사가 건축물의 설계를 하였기 때문에, 건물 에너지 사용량을 최적화하여 운영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BEMS 플랫폼(400)은 정보 수신부(410), 계획 단계 검토부(420), 설계 단계 검토부(430), 시공 단계 검토부(440) 및 운영 및 관리 단계 검토부(450)를 포함한다.
정보 수신부(410)는 건축주 단말로부터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건축주와 협의한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 사항 및 건축물 정보를 수신한다.
계획 단계 검토부(420)는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 사항, 건축물 정보 및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의 사양에 해당하는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를 선정한다.
여기서, 상기 계획 단계 검토부(420)는 정보 수신부(410)에 수신된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사항과 건축물 정보에 적합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 모듈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듈 리스트 제공부(421)와,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부가기능을 선택받는 부가기능 선택부(422)와, 상기 서비스 모듈 리스트 제공부에 표시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 목록 중 부가기능 선택부(422)에서 선택된 부가기능의 호환여부가 표시되는 호환표시부(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령, 상기 부기기능 선택부(422)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이 설치되는 건축물의 에너지 소모를 관리하는 기능으로, 열원, 공조, 전기 설비 등 시설물 운전을 관리 및 제어하는 시설물 운전기능 선택부와, 열원, 공조, 전기 설비 등 시설물의 동작을 감시하고 고장여부를 관리하는 시설물 유지보수 선택부와, 설비시스템의 성능을 점검하고 고효율로 동작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공하는 시설물 성능진단 선택부와,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시키는 시설물 개보수 기능 선택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건축물의 성능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감량과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정량화하여 제공하는 경제성 분석기능 선택부와, 설비시스템의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한 성능 개선 및 운전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성능화적화 기능 선택부와, 건축물의 에너지 사용량 절감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커미셔닝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은 건축물 소유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필요한 부가기능을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어, BEMS 솔루션을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건축물의 에너지 관련 요구사항과 건축물 정보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부가기능의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모듈 리스트 제공부(421)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에 부가기능 호환여부를 표시하여, 건축물에 적합한 부가기능을 사전에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가기능 선택부(422)에서 선택된 부가기능은, 부가기능마다 개별적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새로 업데이트된 버전에서 BEMS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동작한 이전버전을 다운받아 복구시킬 수 있다.
한편, 부가기능 선택부(422)에서 선택된 부가기능은 개별적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하기 전에 새로 업데이트 된 내용이 현재 건축물에 설치된 시스템에 호환되는지 사전에 검토할 수 있다.
설계 단계 검토부(430)는 계획 단계에서 선정한 서비스 모듈의 기능 구현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디바이스가 설계도서에 반영되어 있는지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서, 설계 단계 검토부(430)는 건축주에 의해 결정된 건축물 목표 에너지 수치 및 미리 결정된 에너지 수치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설계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설계 단계 검토부(430)는 건축주에 의해 선정된 서비스 모듈이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모듈 규약에 따라 동작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설계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설계 단계 검토부(430)는 에너지 관리가 필요한 설비 각각이 서비스 모듈로 선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설계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또한, 설계 단계 검토부(430)는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규약을 만족하는 상기 서비스 모듈 및 상기 디바이스 각각이 선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하여 디바이스 설계 요청 메시지를 기계 설비 기술사 단말(3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설계 단계 검토부(430)는 건축주에 의해 선정된 디바이스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서 요구하는 디바이스 규약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하여 디바이스 설계 요청 메시지를 기계 설비 기술사 단말(300)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설계 단계 검토부(430)는 선정된 디바이스의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모듈의 기능을 실행하는 필요한 디바이스로 선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디바이스 항목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하여 디바이스 설계 요청 메시지를 기계 설비 기술사 단말(300)에 제공한다.
또한, 설계 단계 검토부(430)는 설계도서 상에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중복 설치되어 있거나 누락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디바이스가 점검이 용이한 곳에 위치하는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설계 단계 검토부(430)는 설계도서 상의 디바이스 각각의 기능을 비교하여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중복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설계도서 항목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설계도서를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설계 단계 검토부(430)는 선정된 디바이스 및 설계도서 상의 디바이스를 비교하여 누락된 디바이스가 있는지 판단하여 설계도서 항목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설계도서를 검토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설계 단계 검토부(430)는 설계도서 상의 디바이스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접근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점검이 가능한 곳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설계도서 항목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설계도서를 검토한다.
시공 단계 검토부(440)는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선정된 서비스 모듈과 실제로 시공된 서비스 모듈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시공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공 단계 검토부(440)는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모듈 규약을 만족하는 서비스 모듈이 설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서비스 모듈 항목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시공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시공 단계 검토부(440)는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선정된 서비스 모듈 및 건축물 시공 단계에서 시공된 서비스 모듈을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서비스 모듈 항목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시공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또한, 시공 단계 검토부(440)는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선정된 디바이스와 실제로 시공된 디바이스 각각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시공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공 단계 검토부(440)는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서 요구하는 디바이스 규약을 만족하는 디바이스가 설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시공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시공 단계 검토부(440)는 설계 단계에서 선정된 디바이스 및 시공 단계에서 시공된 디바이스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시공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한다.
또한, 시공 단계 검토부(440)는 시공 시점의 설치 사항을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공 단계 검토부(440)는 설계 단계에서 결정된 서비스 모듈이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설치 항목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시공 단계 검토부(440)는 설계도서 상에서 계획된 위치에 디바이스가 설계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설치 항목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운영 및 관리 단계 검토부(450)는 건축물의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으로부터 건축물 설비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건축물 설비 관리 정보를 처리하여 전자 보고서를 생성하여 건축주 단말(100)에 제공한다.
운영 및 관리 단계 검토부(450)는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 서비스 모듈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운영 및 관리 단계 검토부(450)는 현재 서비스 모듈 중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 모듈보다 기능이 우수한 모듈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영 및 관리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운영 및 관리 단계 검토부(450)는 서비스 모듈의 기능에 맞게 설비 에너지의 사용량이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영 및 관리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또한, 운영 및 관리 단계 검토부(450)는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 디바이스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운영 및 관리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서, 운영 및 관리 단계 검토부(450)는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의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 모듈로 정보가 수집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 디바이스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운영 및 관리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운영 및 관리 단계 검토부(450)는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의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작동이 이상이 없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 디바이스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운영 및 관리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BEMS 플랫폼(400)은 건축주 단말로부터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건축주와 협의한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 사항 및 건축물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310).
BEMS 플랫폼(400)은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 사항, 건축물 정보 및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의 사양에 해당하는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를 선정한다(단계 S320).
BEMS 플랫폼(400)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규약을 만족하는 상기 서비스 모듈 및 상기 디바이스 각각이 선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30).
BEMS 플랫폼(400)은 상기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선정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 각각과 실제로 시공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 각각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40).
BEMS 플랫폼(400)은 서비스 모듈보다 기능에 따라 에너지 사용량이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와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 모듈로 정상적으로 정보가 수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건물 에너지를 관리한다(단계 S35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BEMS 플랫폼(400)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서 요구하는 규약을 만족하는 상기 서비스 모듈(520_1, 520_2 ~ 520_N) 및 상기 디바이스(510_1, 510_2, ~ 510_N) 각각이 선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건축주에 의해 선정된 디바이스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서 요구하는 디바이스 규약(501)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디바이스(510_1, 510_2, ~ 510_N)를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선정된 디바이스의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모듈(520_1, 520_2 ~ 520_N)의 기능을 실행하는 필요한 디바이스(510_1, 510_2, ~ 510_N)로 선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디바이스 항목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한다.
또한, BEMS 플랫폼(400)은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선정된 서비스 모듈과 실제로 시공된 서비스 모듈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시공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모듈 규약(502)을 만족하는 서비스 모듈(520_1, 520_2 ~ 520_N)이 설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서비스 모듈 항목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시공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선정된 서비스 모듈 및 건축물 시공 단계에서 시공된 서비스 모듈을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서비스 모듈 항목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시공 시점의 서비스 모듈을 검토한다.
또한, BEMS 플랫폼(400)은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선정된 디바이스와 실제로 시공된 디바이스 각각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시공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서 요구하는 디바이스 규약(501)을 만족하는 디바이스(510_1, 510_2, ~ 510_N)가 설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시공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설계 단계에서 선정된 디바이스 및 시공 단계에서 시공된 디바이스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시공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한다.
또한, BEMS 플랫폼(400)은 시공 시점의 설치 사항을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된 서비스 모듈이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시공 시점의 설치 사항을 검토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BEMS 플랫폼(400)은 설계도서 상에서 계획된 위치에 디바이스가 설계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시공 시점의 설치 사항을 검토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건축주 단말 200: 건축사 단말
300: 기계 설비 기술사 단말
400: BEMS 플랫폼
410: 정보 수신부 420: 계획 단계 검토부
430: 설계 단계 검토부 440: 시공 단계 검토부
450: 운영 및 관리 단계 검토부
500: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

Claims (6)

  1.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BEMS 플랫폼에 있어서,
    건축주 단말(100)로부터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건축주와 협의한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 사항 및 건축물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410);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 사항, 건축물 정보 및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의 사양에 해당하는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를 선정하는 계획 단계 검토부(420);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규약을 만족하는 상기 서비스 모듈 및 상기 디바이스 각각이 선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설계 단계 검토부(430);와
    상기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계획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의 위치가 실제로 시공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공 단계 검토부(440);와
    상기 서비스 모듈보다 기능에 따라 에너지 사용량이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와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서비스 모듈로 정상적으로 정보가 수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건물 에너지를 관리하는 운영 및 관리 단계 검토부(450);를 포함하되,
    상기 계획 단계 검토부(420)는 상기 정보 수신부(410)에 수신된 건축물 에너지 관련 요구사항과 건축물 정보에 적합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 목록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듈 리스트 제공부(421);와,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부가기능을 선택받는 부가기능 선택부(422);와, 상기 서비스 모듈 리스트 제공부에 표시된 서비스 모듈 및 디바이스 목록 중 부가기능 선택부(422)에서 선택된 부가기능의 호환여부가 표시되는 부가기능 호환표시부(423);와, 건축물의 성능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감량과 경제적 효과를 정량화하여 제공하는 경제성 분석기능 선택부와, 건축물의 에너지 사용량 절감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커미셔닝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운영 및 관리 단계 검토부(450)는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 모듈보다 기능이 우수한 모듈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 디바이스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운영 및 관리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하며,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 모듈로 정보가 수집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 디바이스에 대한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운영 및 관리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BEMS 플랫폼은 운영 및 관리 단계 검토부(450)에서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으로부터 건축물 설비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건축물 설비 관리 정보를 처리하여 전자 보고서를 생성하여 건축주 단말(100)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EMS 플랫폼은 건축주에 의해 선정된 디바이스가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500)에서 요구하는 디바이스 규약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설계 시점의 디바이스를 검토하여 디바이스 설계 요청 메시지를 기계 설비 기술사 단말(3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획 단계 검토부(420)는 상기 건축물의 계획 단계에서 선정된 서비스 모듈이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모듈 규약을 만족하는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건축물의 시설 중 에너지 관리 필요한 각각의 설비에 서비스 모듈이 선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
  4. 제 1 항에 있어서,
    건축물의 계획 단계에서 선정된 디바이스가 상기 개방형 에너지 관리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디바이스 규약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모듈의 기능을 실행하는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획 단계 검토부(420)는 설계도서 상에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중복 설치되어 있거나 누락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디바이스가 점검이 용이한 곳에 위치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
  6. 삭제
KR1020200119447A 2020-07-24 2020-09-16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 KR102299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2302 2020-07-24
KR1020200092302 2020-07-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114B1 true KR102299114B1 (ko) 2021-09-08

Family

ID=7778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447A KR102299114B1 (ko) 2020-07-24 2020-09-16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1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397A (ko) 2022-02-24 2023-09-01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테크 데이터 센터를 위한 에너지 솔루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111B1 (ko) * 2016-11-29 2018-05-2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주방식별 BPS 기반 전자매뉴얼 모듈을 포함하는 관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그리고 범용 건설사업 관리 시스템(G-PgMiS)
KR102043245B1 (ko) * 2017-11-28 2019-1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개방형 운영관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사용한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111B1 (ko) * 2016-11-29 2018-05-2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주방식별 BPS 기반 전자매뉴얼 모듈을 포함하는 관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그리고 범용 건설사업 관리 시스템(G-PgMiS)
KR102043245B1 (ko) * 2017-11-28 2019-1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개방형 운영관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사용한 운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397A (ko) 2022-02-24 2023-09-01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테크 데이터 센터를 위한 에너지 솔루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33904A1 (en) Deploying machine learning models at cognitive devices for resources management for enterprises
CA2883358C (en) Automated demand response gateway
JP4806059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方法
US9429927B2 (en) Smart building manager
US8626354B2 (en) Approach for normalizing automated demand response events in energy management control systems
KR101872557B1 (ko) 에너지 소비 관리
US9153001B2 (en) Approach for managing distribution of automated demand response events in a multi-site enterprise
US88382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entral controller that can communicate across heterogenous networks for reaching various energy load control devices
US8630744B2 (en)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automated demand response in a multi-site enterprise
CN102687463B (zh) 网络系统和控制网络系统的方法
Katipamula et al. Small-and medium-sized commercial building monitoring and controls needs: A scoping study
CN110114766B (zh) 对分配电能的现有电网进行构造的方法
KR102299114B1 (ko)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개방형 에너지솔루션
Stluka et al. Architectures and algorithms for building automation—An industry view
WO2018203423A1 (ja) 電力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Mohagheghi et al. Dynamic demand response solution for industrial customers
US201403650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 Implemented Energy Management
KR102299143B1 (ko) 개방형 bems 플랫폼을 이용한 관제점 설계 서비스 제공 방법
Holmberg et al. Facility smart grid interface and a demand response conceptual model
US11888676B2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control framework
Bristow et al. Recovery planning for resilience in integrated disaster risk management
CN111178823B (zh) 居住相关事务的取消方法和装置
JP2015171269A (ja) ルールを用いた自動デマンドレスポンス実行装置および実行システム
JP2005267391A (ja) 温室効果ガス排出を伴う企業活動の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意思決定支援方法、及び意思決定支援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Minoli et al. The Emerging “Energy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