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034B1 -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034B1
KR102299034B1 KR1020200043853A KR20200043853A KR102299034B1 KR 102299034 B1 KR102299034 B1 KR 102299034B1 KR 1020200043853 A KR1020200043853 A KR 1020200043853A KR 20200043853 A KR20200043853 A KR 20200043853A KR 102299034 B1 KR102299034 B1 KR 102299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space
designated
parking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용
Original Assignee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신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신상용 filed Critical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3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06K2209/15
    • G06K2209/2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방법은 로컬 주차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 중에서 일부를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하는 단계; 수신된 예약 요청에 기초하여 카메라를 통해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됨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이 아님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PARKING SITE GUID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OF}
본 개시는 지정 주차공간에 지정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는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출원에서의 청구범위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기재하였다는 이유로 선행 기술로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늘어난 자동차 숫자에 비해 주차 여력은 턱없이 부족하여, 목적지에 주차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경우라도 비어있는 가용 주차공간의 확인과 안내가 부재하여 사용자는 주차 문제를 겪는 경우가 많다. 그리하여, 사용자에게 주차장 내의 가용 주차공간을 안내하는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예컨대, 한국 등록 특허 제10-177708호는 보안 통제가 가능한 주차유도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주차를 유도하고, 주차차량의 번호를 확인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행 특허의 주차 유도 시스템은 주차구역으로의 차량 유도, 주차를 영상 및 음성으로 안내하며, 차량의 공차, 만차에 따른 영상 표시를 할 수 있는 주차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는 주차장 내에서 주차공간을 안내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만 집중하여 사용자가 주차공간을 미리 예약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못하고, 단 하나의 주차장에 구축되는 주차 유도 시스템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목적지 주변에의 복수의 주차장에서의 가용 주차공간의 안내 및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각 주차장에서 차량을 예약된 주차 공간에 유도할 수 있는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사용자의 주차장 이용의 편의를 위하여 예약용 주차공간뿐만 아니라 전기차용 주차공간, 장애인 주차공간 등과 같이 특별한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유도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등록번호 10-177708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복수의 주차장에서의 주차 공간 예약 및 각 주차장에서 예약된 주차 공간 유도 관제를 가능케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관제 시스템은 로컬 주차장의 운영 주체로 하여금 복수의 주차공간 중에서 일부를 전기차와 같은 특정 차량을 위한 지정 주차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하여 융통성 있는 주차장 운영을 가능케하고자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관제 시스템은 로컬 주차장의 운영 주체로 하여금 복수의 주차공간 중에서 일부를 예약용 주차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하여 융통성 있는 주차장 운영을 가능케하고자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관제 시스템은 로컬 주차장에서 지정 주차공간에 지정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이 주차되는 경우를 방지하여 실효성 높은 예약 서비스가 운영될 수 있는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방법은 로컬 주차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 중에서 일부를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하는 단계; 수신된 예약 요청에 기초하여 카메라를 통해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됨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이 아님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주차공간은 전기차량을 위한 전기차용 지정 주차공간이며,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차량모델, 차량번호, 차량번호 인식판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모델, 차량번호, 차량번호 인식판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전기차량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 주차공간은 예약차량을 위한 지정 주차공간이며,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차량번호와 예약차량의 차량번호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예약요청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요청에 대응하여 예약을 요청한 사용자의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예약용 주차공간을 운용하는 로컬 주차장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로컬 주차장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로컬 주차장의 실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정보가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실시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예약요청을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한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예약용 주차공간을 운용하는 로컬 주차장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는, 목적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 주차장의 예약용 주차공간의 실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로컬 주차장 중에서 실시간 정보를 확인할 로컬 주차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컬 주차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 중에서 일부를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주차공간을 예약용 지정 주차공간 또는 전기차용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차량번호와 예약차량의 차량번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 주차공간이 상기 전기차용 지정 주차공간인 경우,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차량모델, 차량번호, 차량번호 인식판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모델, 차량번호, 차량번호 인식판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전기차량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음성이 포함되도록, TTS(text to speech)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된 음성 메시지 형식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컬 주차장은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 및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한 주차유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로컬 주차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 중에서 일부를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하는 기능; 수신된 예약 요청에 기초하여 카메라를 통해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모니터링 하는 기능;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됨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인지 확인하는 기능;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이 아님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로컬 주차장으로 하여금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하여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간단한 요약 및 효과에 관한 설명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에서 의도한 기술적 사항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기술적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실시예와 기술적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차 시스템에 포함된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서 주차공간 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 과정이 설명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 포함된 로컬 주차장을 모니터링 하는 화면의 일 예시이다.
도 5는 지정 주차공간에 지정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 화면의 일 예시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서 주차공간 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 과정이 설명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주차공간 예약을 요청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서 지정 주차공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서 주차공간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정보를 인식하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 포함된 엔티티(entity)에서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100)(이하, 주차 시스템으로 지칭함)은 사용자 장치(110), 클라우드 네트워크(120), 데이터베이스(130) 및 복수의 주차장(140)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100)의 엔티티(entity)로서 사용자 장치(110), 데이터베이스(130) 및 복수의 로컬 주차장(140)은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통신 연결되고,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정보, 데이터 및 메시지가 송수신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 연결이란, 주차 시스템(100) 내에 포함된 사용자 장치(110), 클라우드 네트워크(120), 데이터베이스(130) 및 로컬 주차장(140)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통신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방식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10)는 주차공간을 예약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10)를 이용하여 주차 시스템(100)에 주차공간 예약을 요청하고 주차공간 예약 현황에 대한 알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는 다양한 타입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10)는 휴대전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랩탑과 같은 휴대용 장치, 또는 데스크탑, 서버와 같은 휴대용이 아닌 다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는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에는 사용자가 주차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주차공간을 예약하고 알림을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주차 시스템(100)은 사용자 장치(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일부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각종 편리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이용하여 주차장을 예약하고 알림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주차 시스템(100)은 사용자 장치(110)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주차 시스템(100)이 사용자에게 복수의 주차장에 대한 주차공간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고 각 주차장에서의 예약 주차공간 안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컴퓨팅 자원이 가상화 기술로 통합된 서비스 환경을 지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는, 주차 시스템(100)이 주차공간 예약 및 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단수로 명명하더라도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130)는 주차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주차장에 관한 정보 및 주차공간을 예약한 사용자, 차량의 차량번호 및 주차 예정 시간, 연락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로컬 주차장(140)의 각각에 대한 전체 주차공간의 수, 요금체계와 같은 기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로컬 주차장(140) 각각의 현재 지정 주차공간의 수 및 위치, 각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예약 현황 등과 같은 실시간 주차 정보가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30)는 로컬 주차장(140)의 각각에 대한 시간대별 가용 주차공간의 수에 대한 데이터 셋을 빅데이터로서 구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컬 주차장(140)은 사용자에게 주차 시스템(100)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주차 시스템(100)에 가입된 가맹 주차장일 수 있다. 로컬 주차장(140) 각각은 주차 시스템(100)에 주차장에 대한 기본 정보 및 실시간 주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주차장(140) 각각은 실시간 주차 정보를 파악하고 정확한 주차공간 정보(재차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진입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주차장(140) 각각에서 주차공간 중 일부를 지정 주차공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로컬 주차장(140) 각각은 지정 주차공간에 지정차량(예: 전기차 또는 예약차량)이 주차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예약용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컬 주차장(140) 각각은 지정 주차공간에서의 알람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음성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주차 시스템(100)에 포함된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주차공간 정보 확인부(210), 주차공간 예약부(220), 주차공간 이미지 인식부(230) 및 주차공간 이미지 관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주차공간 정보 확인부(210), 주차공간 예약부(220), 주차공간 이미지 인식부(230) 및 주차공간 이미지 관제부(240)와 같은 구성들은 하나의 서버 내에 구성되거나, 복수의 서버에 분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들은 복수의 서버에 각각에 모두 포함될 수 있으므로,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상기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들이 수행하는 동작들은 예를 들어 서버의 가용자원에 따라 분산되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공간 정보 확인부(210)는 주차 시스템(100)에 가맹된 로컬 주차장(140) 각각에 대한 기본 정보 및 실시간 주차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본 정보는 로컬 주차장(140)의 각각의 위치, 주차장의 종류(지하주차장, 노상주차장, 엘리베이터 기계식 주차장 등), 전체 주차공간의 수, 예약용 주차공간의 수 및 위치, 요금체계 및 할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주차 정보는 현재 예약용 주차공간의 수(잔여 주차공간 수), 예약 현황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실시간 주차 정보는 일정 주기에 따라 로컬 주차장(140)의 각각으로부터 수신되어 갱신될 수 있다. 또한, 기본정보는 주차 시스템(100)(또는, 주차공간 정보 확인부(210))의 요청에 따라 로컬 주차장(140) 각각이 제공한 실시간 주차 정보를 수신하여 갱신될 수 있다. 주차공간 정보 확인부(210)는 주차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주차공간 예약 서비스, 예약용 주차공간 모니터링, 예약용 주차공간 알림 서비스 등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로컬 주차장(140)의 각각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로컬 주차장(140)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주차공간들 중에서 예약이 가능한 주차공간을 지정된 예약용 주차공간을 식별할 수 있다.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로컬 주차장(140)의 운영자 또는 임의의 기준에 의하여 로컬 주차장(140)에 포함된 복수의 주차공간들 중에서 일부를 예약용 주차공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 주차장(140)의 운영자는 주차공간의 일부를 예약용 주차공간으로 지정하고 이러한 지정정보를 주차공간 예약부(220)(또는, 주차 시스템(100))로 송신할 수 있고, 지정정보를 수신한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지정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로컬 주차장(140)에 예약용 주차공간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예를 들어 시간, 주차공간 점유율 등에 기초하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로컬 주차장(140)에 포함된 복수의 주차공간 중에서 일부를 예약용 주차공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사용자가 예약용 주차공간 중에서 예약하고자 선택한 주차공간(또는 주차장)에 대하여 (임시) 예약, 예약 확정, 또는 예약 취소를 식별할 수 있다.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예약하고자 선택한 하나의 주차공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사용자 장치(110)에 대응하는 차량(이하, 예약 차량으로 지칭함)에 대하여 선택한 주차공간에 대한 예약을 식별할 수 있다.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사용자 장치(110)에 대응하는 차량의 차량 정보(예: 차량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직접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사용자 장치(110)의 식별자(예: 전화번호 또는 이에 상응하는 식별ID 등)에 대응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주차 시스템(100)에 등록한 정보(예: 가입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차량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주차 공간을 예약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차량 정보를 해당 주차공간을 가진 로컬 주차장(14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로컬 주차장(140)은 예약 차량과 예약된 주차공간을 매칭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예약 차량의 위치가 예약 주차장으로부터 기준 거리내에 진입하였을 때, 예약 주차장의 실시간 주차공간 정보에 따라 예약을 확정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예약 차량의 위치를 일정 주기에 따라 확인할 수 있다.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예약 차량의 위치가 예약 주차장으로부터 기준 거리내에 진입하였을 때, 예약 주차장의 실시간 주차공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주차공간 정보 확인부(210)는 예약 주차장의 예약 차량의 위치가 예약 주차장으로부터 기준 거리내에 진입하였을 때의 실시간 주차공간 정보를 확인하여 주차공간 예약부(220)에 제공하거나, 예약 주차장에 실시간 주차공간 정보를 요청하여 실시간 주차공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실시간 주차공간 정보를 확인하여 가용 주차공간이 있는 경우, 예약의 확정을 식별할 수 있다.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예약이 확정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110) 및/또는 예약 주차장에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예약 주차장은 예약 차량이 입차할 것이 추정되므로, 가용 주차공간 중 하나를 해당 예약 차량이 주차할 공간으로 할당할 수 있다. 다만,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실시간 주차공간 정보를 확인하여 가용 주차공간이 없는 경우, 예약의 취소를 식별할 수 있다.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예약 취소가 식별되면 예약이 취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110) 및/또는 예약 주차장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예약의 취소가 식별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110)에 예약 주차장을 제외한 후보 주차장에 대한 정보를 다시 송신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른 주차장에 대한 예약을 가능케할 수 있다.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예약의 확정이 식별된 후, 예약 차량이 기준 시간 내에 해당 로컬 주차장(140)에 입차 하였는지에 따라 예약을 취소할 수 있다.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기준 시간 내에 로컬 주차장(140)으로부터 예약 차량의 입차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하지 못한 경우, 또는 기준 시간에 로컬 주차장(140)에 예약 차량의 입차 여부를 확인하여 예약 차량이 기준 시간 내에 로컬 주차장(140)에 입차한게 아니라고 결정할 수 있다.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예약 취소가 식별되면 예약이 취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110) 및/또는 로컬 주차장(14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예약이 확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로컬 주차장(140)에 주차를 하지 않아 발생하는 주차 시스템(100) 및 로컬 주차장(140)의 운영주체 측이 입을 수 있는 불측의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공간 이미지 인식부(230)는 로컬 주차장(140)에서 획득되는 예약용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약용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인식한다는 것은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었는 지를 확인하고, 주차된 차량을 식별(예를 들어, 차량번호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주차공간 이미지 인식부(230)는 로컬 주차장(140)으로부터 획득된 예약용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인식하기위해, 전처리 과정, 딥러닝, 및 후처리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처리 과정이란 예약용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에 대하여 대조, 개선, 히스토그램, 동등화, 및 정규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딥러닝 과정은, 예약용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로부터 의미있는 컨텍스트(예를 들어, 차량번호, 차량종류 등)를 식별하기 위하여, 컨텍스트 별로 모델을 분류하고, 분류된 모델을 이용한 딥러닝을 통한 컨텍스트를 식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공간 이미지 인식부(230)는 예약용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모델을 이용하여 차량번호판을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번호로부터 문자를 인식하여 차량번호를 식별할 수 있다. 인식된 차량번호는 예측 디코딩 및 타당성 체크 등의 후처리를 통해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이미지 관제부(240)는 주차공간 이미지 인식부(230)로부터 식별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예약용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과 예약 차량을 비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주차공간 이미지 관제부(240)는 비교결과에 따라, 예약용 주차공간에 예약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해당 주차공간에 대한 모니터링을 해지하고, 예약용 주차공간에 예약 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이 주차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알림을 통하여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해당 주차공간에서 차량을 빼주길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공간 이미지 관제부(240)는 예약용 주차공간에 예약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주차공간 예약부(220)에 이를 알려 예약용 주차공간에 모니터링을 중지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주차공간 이미지 관제부(240)는 예약용 주차공간에 예약 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이 주차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로컬 주차장(140)에 설치된 알림장치에 이를 알려, 알림장치가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예약용 주차공간에 주차했다는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알림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음성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100)은 클라우드 네트워크(120)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들이 수행하는 동작에 의하여, 로컬 주차장(140)에 포함된 복수의 주차공간 중에서 예약용 주차공간을 지정하고,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예약용 주차공간 중 하나를 예약 주차공간으로서 지정하고, 예약 주차공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차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주차공간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고, 로컬 주차장(140)으로 하여금, 안정적으로 주차공간 예약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로컬 주차장(140)을 운영하는 측면에서, 예약용 주차공간을 변경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어 주차공간 예약 서비스의 유동적인 제공을 가능케한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100)이 주차공간 예약 및 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 과정을 도 3 내지 10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실시예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동작 및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이 지정 주차공간 지정 및 주차공간 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단계 S301에서 주차 시스템(100)은 로컬 주차장(140)의 복수의 주차공간 중 일부를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100)에 포함된 로컬 주차장(140)을 모니터링 하는 화면의 일 예시이다. 도 4의 모니터링 화면(400)을 참조하면, 로컬 주차장은 주차공간들을 구역별로 구분한 주차구역(411, 412)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구역(411, 412)은 각각 구역에 포함된 주차공간들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구성된 주차유도장치(421, 422)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유도장치(421, 422) 각각은 구역에 포함된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는지 여부, 및 주차된 차량의 차량정보(예: 차량종류, 차량번호, 차량번호판의 색상 등)를 인식할 수 있도록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 화면(400)은 우측 메뉴(430)에서 해당 로컬 주차장의 주차현황, 주차면 타입별 현황, 주차 시간별 현황, 주차면 상태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 시스템(100)의 운영주체 또는 로컬 주차장(140)의 운영주체는 모니터링 화면(400)을 이용하여 주차구역(411, 412) 중에서 일부를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할 수 있다. 지정 주차공간이란, 해당 주차공간에 지정된 특정 차량만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약용으로 지정된 지정 주차공간은, 주차를 예약한 차량만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기차용으로 지정된 지정 주차공간은, 전기차만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의 의미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면, 장애인용으로 지정된 주차공간으로 장애인 차량만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주차 시스템(100)의 운영주체 또는 로컬 주차장(140)의 운영주체는 주차유도장치(421)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제1 주차구역(411)을 로컬 주차장(140)의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주차 시스템(100)의 운영주체 또는 로컬 주차장(140)의 운영주체는 모니터링 화면(400)을 이용하여 주차구역(411, 412)에 포함된 주차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주차구역(412) 중 일부의 주차공간(4121)이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로컬 주차장(140)의 주차구역(411, 412) 또는 각 주차구역에 포함된 주차공간 중 일부가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되는 동작은, 각각의 운영주체의 개입없이도, 주차 시스템(100)의 클라우드 네트워크(120) 또는 로컬 주차장(140)에서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네트워크(120)의 주차공간 정보 확인부(210)가 기결정된 기준 또는 임의의 명령에 의해 지정 주차공간을 지정할 수 있다. 기결정된 기준이란, 시간, 주차공간 점유율 또는 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조건식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권한을 가진 자가 클라우드 네트워크(120) 또는 로컬 주차장(140)에 접속가능하게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지정 주차공간을 지정할 수 있다. 지정 주차공간의 지정은 클라우드 네트워크(120) 측에서 이뤄지든, 로컬 주차장(140) 측에서 이뤄지든 상호 정보교환을 통하여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또는 주차공간 정보 확인부(210)) 또는 로컬 주차장(140) 모두가 인지하고 있을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로컬 주차장(140)은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단계 S302로 이어질 수 있다.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모니터링은 지정 주차공간에 임의의 차량이 주차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된 제1 주차구역(411)에서 제1 주차공간(4111)이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되었다면, 제1 주차구역(411)에 설치된 주차유도장치(421)가 제1 주차공간(4111)에 임의의 차량이 주차하는 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모니터링은 실시간 모니터링과 주기적 모니터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모니터링이란, 주차유도장치(421)에 포함된 카메라 장치가 촬영하는 이미지에서 특정 영역(예를 들어, 해당 제1 주차공간(4111)에 대한 영역)을 ROI(region of interest)로 지정하고, 해당 제1 주차공간(4111)에 임의의 차량이 주차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주기적 모니터링이란, 주차유도장치(421)에 포함된 카메라 장치가 기결정된 주기에 따라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스틸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지정 주차공간에 차량의 점유여부를 판단하여 새롭게 임의의 차량이 주차했는지 또는 출차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주기적으로 촬영된 스틸 이미지를 비교하는 동작은 로컬 주차장(140)에 포함된 서버 또는 클라우드 네트워크(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주기적 모니터링이 클라우드 네트워크(120)에서 수행되는 경우, 로컬 주차장(140)에서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로 스틸 이미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동작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303에서, 지정 주차공간에 임의의 차량이 주차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로컬 주차장(140)은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로,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로컬 주차장(140)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주차된 차량이 지정 차량인지 확인하는 단계 S304로 이어질 수 있다.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로컬 주차장(140)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추출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된 차량이 지정 차량인지 확인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종류, 차량번호, 차량번호판의 색상, 장애인 차량 등록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주차된 차량이 지정 차량인지 여부의 확인결과를 로컬 주차장(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지정 주차공간이 전기차용으로 지정된 경우,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로컬 주차장(140)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로부터 주차된 차량의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판의 색상을 추출하여, 주차된 차량이 전기차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지정 주차공간이 예약용으로 지정된 경우,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로컬 주차장(140)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로부터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여, 주차된 차량이 예약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다른 예시에서, 지정 주차공간이 장애인용으로 지정된 경우,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로컬 주차장(140)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로부터 주차된 차량에 부차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표지'의 존부를 확인하여 주차된 차량이 장애인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로, 로컬 주차장(140)은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로부터 수신한 확인결과가 주차된 차량이 지정 차량이 아님을 나타내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S305로 이어질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주차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허락되지 않은 주차공간에 주차하였음을 알려 다른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옮길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 주차장(140)에 설치된 주차유도장치의 알림 장치에 따라 알림 메시지의 형식이 달라질 수 있다. 주차유도장치의 알림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면,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식의 알림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주차유도장치의 알림 장치가 음성 출력 장치라면, 미리 녹음된 음성 메시지 또는 TTS(text to speech)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된 음성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잘못 주차한 차량의 차량번호가 “12가4567”로 인식되는 경우 TTS를 이용하여 “12가4567 차주분께서는 예약된 주차공간에 주차하셨으므로 다른 곳에 주차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라는 음성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로컬 주차장(140)은 주차유도장치를 이용하여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해당 주차공간에 대응하는 주차유도장치에 따라 출력 형식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유도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경우,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식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음성 출력 장치를 구비한 경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렇듯, 지정 주차공간에 주차한 다른 운전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지정 주차공간에 다른 차량이 잘못 주차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이 지정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으로 확인된다면, 주차 시스템(100)은 로컬 주차장들을 관제하는 모니터링 화면(예를 들어 도 5의 500)에서 지정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객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정 주차공간의 특정 주차공간을 굵은 테두리로 표시함으로써 지정 주차공간에 지정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모니터링 화면(500)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 주차공간(예: 예약용 주차공간)에 지정차량(예: 예약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 화면(500)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시지 화면(500)은 지정 주차공간(2-A02-1)에 다른 차량(차량번호 A보 XXXX)에 대한 정보(510)와 주차유도장치가 획득한 이미지(520) 및, 알림 메시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서 주차공간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 과정이 설명된 흐름도이다. 도 6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시스템이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예약 및 예약된 주차공간에 대한 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들의 동작 및 상호 간의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단계 S601에서 주차 시스템(100)은 로컬 주차장(140)의 복수의 주차공간 중 일부를 지정 주차공간(또는 예약용 주차공간)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도 3의 단계 S301에서 설명된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로,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10)를 통해 주차공간 예약을 요청하는 S602 단계로 이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10)에 설치된 주차공간 예약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WEB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를 접속하여 주차공간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주차공간의 예약은 목적지, 실시간 교통정보, 또는 도착 예정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요청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주차공간 예약을 요청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10)에 표시된 예약 화면(710)에서 사용자가 목적지 정보(711)를 입력하여 목적지 주변에서 주차공간의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목적지 정보(711)는 사용자 장치(110)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 획득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주차공간 예약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후보 예약 주차공간을 확인하는 S603 단계로 이어질 수 있다.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또는 주차공간 예약부(220))는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 근처의 예약용 주차공간이 지정된 로컬 주차장을 확인할 수 있다.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확인된 로컬 주차장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 장치(110)에서 예약 로컬 주차장을 결정하는 S604 단계로 이어질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는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로부터 수신된 로컬 주차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주차공간을 예약할 수 예약 화면(710)을 표시할 수 있다. 예약 화면(710)은 예약용 주차공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로컬 주차장(720)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로컬 주차장(720)에 관한 표시는 일정 기준에 따른 주차요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주차장(720)에 관한 표시는 승용(소형)차의 1시간 기준 요금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로컬 주차장(721)의 1시간 기준 요금은 4.0 천원이고, 제2 로컬 주차장(722)의 1시간 기준 요금은 2.0 천원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로컬 주차장(720)에 관한 표시는 전체 예약용 주차공간과 가용한 예약용 주차공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다른 예시에서, 로컬 주차장(720)에 관한 표시는 로컬 주차장의 현재 남아있는 주차공간과, 예약용 주차공간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는 남아있는 주차공간의 수를 확인하도록 하여, 주차공간 예약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10)에 표시된 예약 화면(710)에서 로컬 주차장(720)들을 확인하고 그 중 하나를 예약할 수 있다. 도 7의 (b)는 사용자가 예약 화면(710)에서 하나의 로컬 주차장을 선택하면 해당 로컬 주차장에 대한 주차공간을 예약할 것인지 확인하는 예약 확인 화면(730)을 나타낸다. 예약 확인 화면(730)은 해당 로컬 주차장의 위치와, 전체 주차면(주차공간)의 수,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의 수, 및 예약을 결정할 수 있는 예약하기 버튼(73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10)에 표시된 예약 화면(710) 및 예약 확인 화면(730)을 통해 예약을 결정한 로컬 주차장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로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주차공간을 예약하기 위하여, 목적지 정보와 목적지 근처에 예약용 주차공간을 운용하는 로컬 주차장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근처에서 예약용 주차공간을 운용하는 로컬 주차장을 확인한 뒤, 해당 로컬 주차장의 주차가능한 예약용 주차공간의 실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실시간 정보를 사용자 장치(110)에 전송하고, 사용자 장치(110)는 수신한 실시간 정보에 기초한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0)는 해당 G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야기되는 로컬 주차장에 대한 선택을 나타내는 정보를 클라우드 네트워크(120)에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예약이 결정된 로컬 주차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예약 로컬 주차장에 예약차량의 주차가 예약되었음을 등록하는 단계 S605로 이어질 수 있다. 예약 로컬 주차장에 예약차량이 등록된다는 것은, 해당 예약 로컬 주차장과 예약차량의 차량정보가 매칭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약차량의 차량정보는 차량번호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차량종류, 색상 등의 추가 차량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차량번호를 사용자 장치(110)에서 로그인된 회원정보에 저장된 차량번호를 탐색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차량번호는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직접 입력받은 정보가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그 다음 단계로, 로컬 주차장(140)은 로컬 주차장(140)에 등록된 예약차량이 지정 주차공간에 주차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S606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단계 S606은 도 3에서 도시된 단계 S30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이후 이뤄지는 동작들은 도 3에서 단계 S302 이후의 동작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10)를 통해 주차공간 예약을 요청하는 S602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10)를 통해 예약하고자 하는 로컬 주차장뿐만 아니라, 로컬 주차장내 포함된 지정 주차공간(예약 주차공간)을 특정하여 예약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예약된 로컬 주차장의 복수의 예약용 주차공간 중에서 하나의 주차공간을 예약을 요청한 사용자와 매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장치(110)에서는 사용자가 지정 주차공간을 특정하여 예약할 수 있게하는 GUI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해당 로컬 주차장(140)과 특정되어 예약된 주차공간에 대해서, 매칭된 사용자의 차량만이 주차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서 지정 주차공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주차 시스템(100)(또는 클라우드 네트워크(120))은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주차유도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단계 S801에서 시작할 수 있다. 로컬 주차장(140)에서 획득된 이미지는 이미지 분석을 위하여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차 시스템(100)은 로컬 주차장(140)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 S802로 이어질 수 있다. 이미지 분석 결과는 차량번호, 차량종류, 차량번호판의 색상, 및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표지'의 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주차 시스템(100)(또는, 주차공간 이미지 인식부(230))은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에서 번호판 영역을 ROI로서 분리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100)은 분리된 번호판 영역에서 OCR 엔진(예: Tesseract OCR Engine)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차량번호 인식의 기본적인 과정을 예시할 뿐이며, 이미지처리 라이브러리 OpenCV를 활용한 특징점 검출, 매칭, 추적, 필터, 삼차원 투영변환 등 이미지 처리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된 검출인식 알고리즘이 부가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주차 시스템(100)은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에서 차량의 전면 윈도우 영역을 ROI로서 분리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100)은 분리된 전면 윈도우 영역에 검출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표지'의 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차 시스템(100)은 이미지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지어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이 지정차량(예: 예약차량, 전기차, 또는 장애인 차량)이 맞는지 확인하는 단계 S803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확인한 결과, 지정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이 지정차량이 맞는 것으로 확인된다면, 지정차량의 주차완료를 확인하는 단계S804로 이어질 수 있다. 지정 주차완료가 확인되면 주차 시스템(100)은 이를 로컬 주차장(140)에 알릴 수 있으며, 로컬 주차장(140)은 해당 주차공간에 대한 모니터링을 중단할 수 있다.
확인한 결과, 지정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이 지정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으로 확인된다면, 주차 시스템(100)은 이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로컬 주차장(140)에 제공하는 단계 S805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네트워크(120)는 로컬 주차장(140)에서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지정 주차공간에 잘못 주차하였음을 알릴 수 있도록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로컬 주차장(140)에 송신할 수 있다.
로컬 주차장(140)에 설치된 주차유도장치의 알림 장치에 따라 알림 메시지의 형식이 달라질 수 있다. 주차유도장치의 알림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면,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식의 알림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주차유도장치의 알림 장치가 음성 출력 장치라면, 미리 녹음된 음성 메시지 또는 TTS(text to speech)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된 음성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잘못 주차한 차량의 차량번호가 “12가4567”로 인식되는 경우 TTS를 이용하여 “12가4567 차주분께서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예약된 주차공간에 주차하셨으므로 다른 곳에 주차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라는 음성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로컬 주차장(140)은 주차유도장치를 이용하여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해당 주차공간에 대응하는 주차유도장치에 따라 출력 형식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유도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경우,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식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음성 출력 장치를 구비한 경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렇듯, 예약된 주차공간에 주차한 다른 운전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예약된 주차공간에 다른 차량이 잘못 주차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예약된 사용자가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이 지정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으로 확인된다면, 주차 시스템(100)은 단계 S805에서 로컬 주차장들을 관제하는 모니터링 화면(예를 들어 도 4의 400)에서 지정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객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정 주차공간을 굵은 테두리로 표시함으로써 지정 주차공간에 지정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모니터링 화면(400)에 지정 주차공간에 지정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 화면(예: 도 5의 500)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서 주차공간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정보를 인식하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에서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한 구성은 이미지 수집부(910), 주차공간 이미지 인식부(920), 및 주차공간 이미지 관제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차공간 이미지 인식부(920) 및 주차공간 이미지 관제부(930)는 각각 앞서 설명된 주차공간 이미지 인식부(230) 및 주차 공간 이미지 관제부(2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일 수 있다. 주차공간 이미지 인식부(920)는 이미지 분석부(921), 딥러닝 서버(922), 모델 DB(9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수집부(9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주차장(140)으로부터 예약용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전달되면, 전달된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노이즈 제거, 선명화 등과 같은 보정을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수집부(910)의 전처리 과정은 공지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미지 수집부(910)에서 전처리된 이미지는 주차공간 이미지 인식부(920)에 포함된 이미지 분석부(921) 및 딥러닝 서버(922)에 각각 전달될 수 있다. 딥러닝 서버(922)는 이미지 수집부(910)에서 전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딥러닝(Deep Learning) 모델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딥러닝 모델은 모델 DB(923)에 저장될 수 있다. 이미지 분석부(921)는 모델 DB로부터 적합한 딥러닝 모델을 선택하여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분석결과(924), 예를 들어, 차량번호, 차량종류, 차량색상, 전기차 여부,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차표지 '의 존부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분석결과(924)는 주차공간 이미지 관제부(930)로 전송되어,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이 예약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미지 수집부(910)가 획득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어느 로컬 주차장(140)의 어느 구역에 대응하는 카메라인지를 나타내는 카메라 식별자(ID)를 메타데이터로서 각 구성들에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 메타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주차공간 이미지 관제부(930)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은 위와 같은 딥러닝을 통한 차량정보 분석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방대한 로컬 주차장들과 각각에 포함된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게되어, 주차공간 예약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 포함된 엔티티(entity)에서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1000)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1000)은 예컨대, 신호 포함 매체(1002)를 이용하여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1000)의 신호 포함 매체(1002)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1006), 기록 가능 매체(1008) 및/또는 통신 매체(101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포함 매체(1002)에 포함된 명령어(instructions)(1004)는, 예컨대, 도 1에 예시된, 사용자 장치(110), 클라우드 네트워크(120), 데이터베이스(130) 및 로컬 주차장(140) 각각에 포함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명령어(1004)는 실행되면,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주차공간 예약 및 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개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에서 청구된 대상은 앞서 기술한 특정 구현예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어떤 구현예에서는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신호 베어링 매체, 저장 매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D-ROM, 컴퓨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 매체는,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플랫폼 또는 기타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때 앞서 설명한 구현예에 따라 해당 프로세서의 실행을 야기시킬 수 있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또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 및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을 하드웨어로 구현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것인지는, 일반적으로 비용 대비 효율의 트레이드오프를 나타내는 설계상 선택 문제이다. 본 개시에서는 프로세스, 시스템, 기타 다른 기술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수단(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이 있으며, 선호되는 수단은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context)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현자가 속도 및 정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결정한다면, 구현자는 주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수단을 선택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가장 중요하다면, 구현자는 주로 소프트웨어 구현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구현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어떤 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를 통해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을 포함하게 되며, 당업자라면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 내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개별적으로 혹은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기재된 대상의 몇몇 부분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집적의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부 양상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펌웨어 또는 이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조합으로써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위한 코드의 작성 및/또는 회로의 설계는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대상의 매커니즘들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으로 분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본 개시의 대상의 예시는 분배를 실제로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베어링 매체의 특정 유형과 무관하게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타의 수정 또는 등가물로의 치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주차공간 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포함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로컬 주차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 중에서 일부를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하는 단계;
    수신된 예약 요청에 기초하여 카메라를 통해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됨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이 아님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주차장은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하여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지정 주차공간은 예약차량을 위한 지정 주차공간이며,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차량번호와 예약차량의 차량번호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예약요청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요청에 대응하여 예약을 요청한 사용자의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예약용 주차공간을 운용하는 로컬 주차장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로컬 주차장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로컬 주차장의 실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정보가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실시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예약요청을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한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며,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예약용 주차공간을 운용하는 로컬 주차장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는, 목적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 주차장의 예약용 주차공간의 실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로컬 주차장 중에서 실시간 정보를 확인할 로컬 주차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 포함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주차공간은 전기차량을 위한 전기차용 지정 주차공간이며,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서 상기 차량의 차량모델, 차량번호, 차량번호 인식판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모델, 차량번호, 차량번호 인식판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전기차량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 포함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이 있어서,
    상기 로컬 주차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 중에서 일부를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주차공간을 예약용 지정 주차공간 또는 전기차용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차량번호와 예약차량의 차량번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 주차공간이 상기 전기차용 지정 주차공간인 경우,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서 상기 차량의 차량모델, 차량번호, 차량번호 인식판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모델, 차량번호, 차량번호 인식판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전기차량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 포함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음성이 포함되도록, TTS(text to speech)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된 음성 메시지 형식인 것인,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 포함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주차장은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 및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한 주차유도장치를 포함하는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에 포함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
  10. 주차공간 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로컬 주차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공간 중에서 일부를 지정 주차공간으로 지정하는 기능;
    수신된 예약 요청에 기초하여 카메라를 통해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모니터링 하는 기능;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됨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인지 확인하는 기능;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이 아님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로컬 주차장으로 하여금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하여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지정 주차공간은 예약차량을 위한 지정 주차공간이며,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지정차량인지 확인하는 기능은:
    상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기능; 및
    상기 추출된 차량번호와 예약차량의 차량번호를 비교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예약요청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예약요청에 대응하여 예약을 요청한 사용자의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예약용 주차공간을 운용하는 로컬 주차장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로컬 주차장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로컬 주차장의 실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 및
    상기 실시간 정보가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실시간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예약요청을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실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한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며,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예약용 주차공간을 운용하는 로컬 주차장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신호는, 목적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 주차장의 예약용 주차공간의 실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은,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로컬 주차장 중에서 실시간 정보를 확인할 로컬 주차장을 결정하는 기능을 더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음성이 포함되도록, TTS(text to speech)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된 음성 메시지 형식인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주차장은 상기 지정 주차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 및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한 주차유도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20200043853A 2020-04-10 2020-04-10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299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853A KR102299034B1 (ko) 2020-04-10 2020-04-10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853A KR102299034B1 (ko) 2020-04-10 2020-04-10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034B1 true KR102299034B1 (ko) 2021-09-08

Family

ID=7778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853A KR102299034B1 (ko) 2020-04-10 2020-04-10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0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7708B1 (ko) 1995-12-29 1999-04-15 구자홍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KR20100129453A (ko) * 2009-06-01 2010-12-09 이정준 차량별 상세유도안내가 가능한 주차유도시스템
KR20110011893A (ko) * 2009-07-29 2011-02-09 (주)에코맥스 지정주차공간의 주차관리 및 이동 유도장치
KR20150098018A (ko) * 2014-02-19 2015-08-27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주차 유도 및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7708B1 (ko) 1995-12-29 1999-04-15 구자홍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KR20100129453A (ko) * 2009-06-01 2010-12-09 이정준 차량별 상세유도안내가 가능한 주차유도시스템
KR20110011893A (ko) * 2009-07-29 2011-02-09 (주)에코맥스 지정주차공간의 주차관리 및 이동 유도장치
KR20150098018A (ko) * 2014-02-19 2015-08-27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주차 유도 및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8870B1 (en) Environmental condition identification assistance for autonomous vehicles
US20180286239A1 (en) Image data integrator for addressing congestion
US20150063646A1 (en) On-street parking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a vehicle via a camera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CN110472599B (zh) 对象数量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KR102289181B1 (ko) 영상 기반 주차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Hakim et al. Implementation of an image processing based smart parking system using Haar-Cascade method
US20180131767A1 (en) Autonomous vehicle management
US11657623B2 (en)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medium in order to execute method
JP2017163374A (ja) 交通状況解析装置、交通状況解析方法、及び、交通状況解析プログラム
US202002429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pedestrian behavior
KR20200113513A (ko) 승강기 예약 시스템, 승강기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US10922826B1 (en) Digital twin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Ampuni et al. Smart Parking System With Automatic Cashier Machine Utilize the IoT Technology
US11105649B2 (en) Providing navigational assistance to target location in vehicle parking facility
JP2019067012A (ja) 車両制御装置、車両、及び自動配車方法
KR102299034B1 (ko) 주차공간 유도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N109920255B (zh) 车辆通道的管理方法和管理系统
KR101611799B1 (ko) 차량 서비스 방법
Koushika et al. An efficient car parking slot identification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KR20200043828A (ko) 주차 구역 지정 기반의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Osabe et al.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leveraging image analysis technology based on machine learning
KR102320495B1 (ko) 주차장 자동결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5527389A (zh) 停车场车位管理方法、系统、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KR102591427B1 (ko) 장애인용 대중교통 탑승 지원 장치 및 방법
WO2016114378A1 (ja) 情報収集システム、情報収集装置、情報収集端末、情報収集方法及び情報収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