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750B1 - Method for active noise control of welding machi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active noise control of wel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750B1
KR102298750B1 KR1020200140526A KR20200140526A KR102298750B1 KR 102298750 B1 KR102298750 B1 KR 102298750B1 KR 1020200140526 A KR1020200140526 A KR 1020200140526A KR 20200140526 A KR20200140526 A KR 20200140526A KR 102298750 B1 KR102298750 B1 KR 102298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cer
noise
unit provided
interference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5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2302A (en
KR102298750B9 (en
Inventor
김연섭
유용길
Original Assignee
(주) 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번영 filed Critical (주) 번영
Priority to KR102020014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750B1/en
Publication of KR20210052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3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750B1/en
Publication of KR10229875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750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2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input signal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6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controlling of the joining proc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6Feedback

Abstract

본 발명은 (a) 제1 융착기가 작동시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제1 융착기가 작동시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융착기를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c) 제2 융착기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제3 융착기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제2 융착기 및 제3 융착기의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융착기, 제2 융착기 및 제3 융착기 간의 작동정보를 공유하며, 상기 (e) 제2 융착기 및 제3 융착기의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단계는 수학적 모델링을 통하여 제2 융착기에 구비된 제2 소음발생부 및 제3 융착기에 구비된 제3 소음발생부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간섭 소음을 예측하고, 수학적 모델링은 제1 내지 제3 융착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했을 때, 발생하는 정상적인 간섭 소음을 빅데이터로 수집한 평균값인 기준값, 제1 내지 제3 융착기가 사용된 시간, 제1 내지 제3 융착기의 수명 및 교체주기를 기반으로 정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splicer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b) performing active noise control on the first splicer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splicer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c) the first 2 Determining whether the splicer operates, (d) determining whether the third splicer operates, and (e)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plicer, wired and wireless The oper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plicers is shared using communication, and the step (e) predicting and reflecting interference noise of the second and third splicers is performed by the second splicer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Predicting interference noise expected to be generated by the second noise generating unit provided in the second noise generating unit and the third noise generating unit provided in the third fusion splicer, and mathematical modeling, the normal interference that occurs when the first to third fusion splicers operate normally Multiple 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a splic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stablished based on the reference value, which is the average value of noise collected as big data, the time the first to third splicers have been used, the lifespan of the first to third splicers, and the replacement cycle. to provide.

Description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Method for active noise control of welding machine}Method for active noise control of welding machine

본 발명은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융착기에서 발생하는 간섭 소음을 능동소음제어 기술을 통해 상쇄시키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a splic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a splicer for canceling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by a plurality of splicing machines through active noise control technology.

융착기는 플라스틱 필름 등을 가열하여 둘 이상의 물체를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장치로서, 산업 전반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융착기는 복합기계로서, 많은 구성요소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 동작하기 때문에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라도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면, 진동 또는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A splicer is a device that heats two or more objects by heating a plastic film and the like, and is widely used throughout the industry. Since the splicer is a complex machine, it operates by the organic combination of many components, so if any one of the components fails to play a proper role, vibration or noise is generat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융착기를 도시한다. 도 1의 (a)는 1명의 작업자(21)가 1대의 제1 융착기(11)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하는데, 이와 같이 작업자(21)가 능동소음제어(ANC) 영역에서 1대의 제1 융착기(11)를 제어하는 경우, 융착기(11)의 진동 및 소음을 제어하기 용이하다.1 shows a we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a) shows that one operator 21 controls one first splicer 11, in this way, the operator 21 operates one first splicer in the active noise control (ANC) area ( 11), it is easy to control the vibration and noise of the fusing machine 11 .

그러나, 도 1의 (b)와 같이 2명의 작업자(21, 22)가 2대의 융착기(10)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상황이 달라진다. 제1 융착기(11) 및 제2 융착기(12)가 동일한 공간 내에 있을 경우, 제1 융착기(11) 및 제2 융착기(12)에서 발생하는 간섭 소음이 발생하여 서로 충돌함에 따라 작업자(21, 22)는 능동소음제어를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생긴다.However, when two workers 21 and 22 control the two splicing machines 10 as shown in FIG. 1 (b), the situation is different. When the first splicer 11 and the second splicer 12 are in the same space,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from the first splicer 11 and the second splicer 12 is generated and collides with each other by the workers 21 and 22 )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active noise.

따라서, 다수의 융착기를 사용할 경우에도 진동 또는 소음에 의해 서로 간에 간섭 소음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연구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even when a plurality of splicing machines are used, research and development is required to prevent interference noise between each other due to vibration or noise.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 10- 2019-0095713호(2019.08.16.)(Patent Document 1) Patent Publication No. 10- 2019-0095713 (2019.08.16.)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 10- 2008-0805890호(2008.02.14.)(Patent Document 2) Patent Publication No. 10- 2008-0805890 (2008.02.14.)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공간 내에 위치한 다수의 융착기에서 발생하는 간섭 소음을 능동소음제어 기술을 통해 상쇄시키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a splicer that cancels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by a plurality of splicers located in the same space through an active noise control technolog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a) 제1 융착기가 작동시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제1 융착기가 작동시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융착기를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c) 제2 융착기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제3 융착기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 융착기 및 상기 제3 융착기의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융착기, 상기 제2 융착기 및 상기 제3 융착기 간의 작동정보를 공유하며, 상기 (e) 제2 융착기 및 제3 융착기의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단계는 수학적 모델링을 통하여 상기 제2 융착기에 구비된 제2 소음발생부 및 상기 제3 융착기에 구비된 제3 소음발생부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간섭 소음을 예측하고, 상기 수학적 모델링은 상기 제1 내지 제3 융착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했을 때, 발생하는 정상적인 간섭 소음을 빅데이터로 수집한 평균값인 기준값, 상기 제1 내지 제3 융착기가 사용된 시간, 상기 제1 내지 제3 융착기의 수명 및 교체주기를 기반으로 정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을 제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a)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fusing machine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b) performing active noise control on the first splicer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splicer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c)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fusing machine is operating; (d) determining whether the third fusing machine operates; and (e)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plicer, and sharing oper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splicer,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plicer us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nd (e)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second and third splicers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the second noise generator provided in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noise provided in the third splicer Predicting the interference noise expected to be generated by the generator, and the mathematical modeling is a reference value that is an average value collected as big data of normal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when the first to third fusion splicers operate normally, the first to third It provides a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a splic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stablished based on the time the three splicers have been used, the lifespan of the first to third splicers, and the replacement cy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제1 융착기가 작동시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b)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a2) 상기 제1 융착기가 작동시간 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a) comprises: (a1) performing the step (b)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fusing machine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and (a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fusing machine is not within the operating time, it may include the step of terminat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제1 융착기에 구비된 제1 소음발생부가 간섭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계; (b2) 상기 제1 융착기에 구비된 제1 센서부가 상기 제1 소음발생부의 간섭 소음을 측정하는 단계; (b3)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제 1 융착기에 구비된 제1 입력부, 상기 제2 융착기에 구비된 제2 입력부 및 상기 제3 융착기에 구비된 제3 입력부로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b4) 상기 제1 융착기에 구비된 제1 제어부가 상기 입력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소음상쇄부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b5) 상기 제1 소음상쇄부가 상기 제1 소음발생부의 간섭 소음의 반향파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b) comprises: (b1) generating an interference noise by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fusion splicer; (b2) measuring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by the first sensor unit provided in the first welding machine; (b3) inputting input information into a first input unit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a second input unit provided in the second splicer, and a third input unit provided in the third splicer by at least one worker; (b4) operating the first noise canceling unit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by the first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first fusing machine; and (b5)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y the first noise canceling unit, an echo wave of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3 입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통해서도 상기 제1 융착기, 상기 제2 융착기 및 상기 제3 융착기 간의 작동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input units may share oper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splicer,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plicer through an input signal input by the at least one operator.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b5) 단계 이후, 상기 제1 융착기에 구비된 제1 피드백부, 상기 제2 융착기에 구비된 제2 피드백부 및 상기 제3 융착기에 구비된 제3 피드백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에 의한 위치 소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측정하여 상기 제1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위치 소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치 소음을 반영한 반향파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1 소음상쇄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b), after the step (b5), a first feedback unit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a second feedback unit provided in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plic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easuring whether a third feedback unit provided in the at least one operator whether there is a position noise by the operator and transmitting it to the first control unit, the first control unit when the position noise is present, the The first noise cancel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generate an echo wave reflecting the positional noi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제2 융착기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d)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c2) 상기 제2 융착기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a)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c) comprises: (c1) performing the step (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plicer operates; and (c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plicer does not operate, returning to step (a).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제 3 융착기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소음발생부에서 생성되는 간섭 소음 및 상기 제3 소음발생부에서 생성되는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단계; 및 (d2) 상기 제 3 융착기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융착기의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한 후 상기 (a)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d), (d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fusion splicer operates, the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by the second noise generating unit and the third noise generating unit are generated. predicting and reflecting interference noise; and (d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splicer does not operate,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second splicer, and then returning to step (a).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융착기, 상기 제2 융착기 및 상기 제3 융착기는 구동조건 및 재료에 의해 초기 능동소음제어 파라미터가 변경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active noise control paramet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and materials of the first splicer,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plic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조건은 회전수, 왕복 주기 및 스핀들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ondi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rotations, the reciprocating cycle, and the type of the spind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아크릴, 플라스틱 및 알루미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crylic, plastic, and aluminum.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a) 제1 융착기가 작동시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제1 융착기가 작동시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융착기를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c) 제2 융착기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제3 융착기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 융착기 및 상기 제3 융착기의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융착기, 상기 제2 융착기 및 상기 제3 융착기 간의 시작시점정보를 공유하며, 상기 시작시점정보는 상기 제1 융착기에 구비된 제1 센서부, 상기 제2 융착기에 구비된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융착기에 구비된 제3 센서부로 입력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고, 상기 (e) 제2 융착기 및 제3 융착기의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단계는 수학적 모델링을 통하여 상기 제2 융착기에 구비된 제2 소음발생부 및 상기 제3 융착기에 구비된 제3 소음발생부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간섭 소음을 예측하고, 상기 수학적 모델링은 상기 제1 내지 제3 융착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했을 때, 발생하는 정상적인 간섭 소음을 빅데이터로 수집한 평균값인 기준값, 상기 제1 내지 제3 융착기가 사용된 시간, 상기 제1 내지 제3 융착기의 수명 및 교체주기를 기반으로 정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a)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fusing machine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b) performing active noise control on the first splicer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splicer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c)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fusing machine is operating; (d) determining whether the third fusing machine operates; and (e)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plicer, and the start time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splicer,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plicer us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tart time information is inputted to the first sensor unit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the second sensor unit provided in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ensor unit provided in the third splicer, and , (e)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second and third splicers is a second noise generator provided in the second splicer and a third noise generated in the third splicer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Prediction of interference noise expected to occur in the unit, and the mathematical modeling is a reference value that is an average value collected as big data of normal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when the first to third fusion splicers operate normally, the first to third It provides a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a splic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stablished based on the time the splicer has been used, the lifespan of the first to third splicers, and the replacement cycl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동일한 공간 내에 위치한 다수의 융착기에서 발생하는 간섭 소음을 능동소음제어 기술을 통해 상쇄시킴에 따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by canceling the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by a plurality of splicing machines located in the same space through the active noise control technology.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간섭 소음을 최소화시킴에 따라 융착기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제품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life of the product 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splicer by minimizing the interference nois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a), (b)는 종래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다수로 설치된 융착기 및 융착기에서 발생하는 간섭소음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에서 다수의 융착기 간에 작동정보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에서 다수의 융착기 간에 센서정보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에서 다수의 융착기 간에 시작시점정보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에서 구동조건 및 재료에 따른 진동수 및 진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a), (b) is a view showing the prior art.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plicer installed in multiple numbers and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by the splicer in order to explain the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the splic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operation information is made between a plurality of splicing machines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active noise of a splic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the splic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sensor information is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splicing machines in a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active noise of a splic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start time information is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splicing machines in a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active noise of a splic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and amplitude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 and material in the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다수로 설치된 융착기의 구성요소 및 융착기에서 발생하는 간섭소음을 나타낸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mponents of the splicer installed in multiple numbers and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from the splicer in order to explain the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the splic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components for describing the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the spli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본 발명은 작업자(20)가 다수의 융착기를 사용할 경우 다수의 융착기 간에 생성되는 간섭 소음을 제어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명의 작업자가 3대의 융착기를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간섭 소음을 제어하는 것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 이외에 1명의 작업자가 다수의 융착기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간섭 소음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controlling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between a plurality of splicing machines when the operator 20 uses a plurality of splicing machine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 when three workers use three splicing machines, control of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while one operator uses a plurality of splicing machines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 2 .

도 2를 참조하면, 제1 융착기(100)는 제1 입력부(110), 제1 소음발생부(120), 제1 센서부(130), 제1 제어부(140), 제1 소음상쇄부(150) 및 제1 피드백부(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first fusion machine 100 includes a first input unit 110 , a first noise generating unit 120 , a first sensor unit 130 , a first control unit 140 , and a first noise canceling unit ( 150 ) and a first feedback unit 160 .

제1 입력부(110)는 제1 작업자(21)가 스위치 등을 통하여 입력정보 신호 또는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기기로서, 제1 입력부(110)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put unit 110 is a device to which the first operator 21 inputs an input information signal or an input signal through a switch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n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all operations of the first input unit 110 .

제1 소음발생부(120)는 제1 융착기(100)의 내부에서 동작하면서 소음을 발생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음발생부(120)가 동작하여 발생되는 소음은 간섭 소음으로 주변에 위치한 제2 융착기(200) 및 제3 융착기(30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간섭 소음은 제1 융착기(100)의 외부로 통과하여 작업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120 may include components that generate noise while operating inside the first fusing machine 100 . The nois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12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fusing machine 200 and the third fusing machine 300 located in the vicinity as interference noise. In addition, the interference noise may pas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plicer 100 and be transmitted to the operator.

제1 센서부(130)는 제1 융착기(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1 소음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측정한다. 이를 위한 제1 센서부(130)는 제1 소음발생부(12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ensor unit 130 is located inside the first splicer 100 and measures the noise generated by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120 . For this purpose, the first sensor unit 130 is preferably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120 .

제1 제어부(140)는 능동소음제어(ANC: active noise control)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센서부(130), 제1 소음상쇄부(150) 및 제1 피드백부(160)를 제어한다.The first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first sensor unit 130 , the first noise canceling unit 150 , and the first feedback unit 160 to perform active noise control (ANC).

제1 소음상쇄부(150)는 제1 제어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융착기(100)의 외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소음상쇄부(150)는 제1 소음발생부(120)에서 발생하는 간섭 소음을 상쇄시키는 반향파를 만들어내는 컨트롤 스피커(control speaker)일 수 있다.The first noise canceling unit 1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 and may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welding machine 100 . The first noise canceling unit 150 may be a control speaker that generates an echo that cancels the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by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120 .

제1 소음상쇄부(150)는 능동소음제어(ANC) 기술의 일환으로 노이즈 캔슬링(noise canceling), 능동 소음 감소(active noise reduction, ANR) 등과 같은 유사한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Similar technologies such as noise canceling and active noise reduction (ANR) may be applied to the first noise canceling unit 150 as part of an active noise control (ANC) technology.

제1 피드백부(160)는 제1 제어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위치 소음 여부를 제1 제어부(140)로 피드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피드백부(160)는 간섭 소음과 반향파가 작업자에게 전달됨에 따라 생성되는 작업자의 위치 소음을 감지할 경우, 작업자의 위치 소음이 존재함을 알리는 신호를 제1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제1 피드백부(160)는 작업자의 위치 소음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작업자의 위치 소음이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를 제1 제어부(140)로 전송한다.The first feedback unit 1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to feed back a position noise of the operator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 Specifically, when the first feedback unit 160 detects the position noise of the operator generated as the interference noise and the echo wave are transmitted to the operator, the first feedback unit 160 sends a signal indicating the presence of the position noise of the operator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 can be transmitted However, when the first feedback unit 160 does not detect the position noise of the operator, it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position noise of the operator does not exist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

또한, 제1 피드백부(160)는 제1 소음상쇄부(150)가 동작하여 반향파를 생성함에 따라 간섭 소음을 상쇄시킨 후 그에 따른 결과를 제1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반향파에 의해 간섭 소음이 완전히 상쇄되었을 경우, 제1 피드백부(160)는 간섭 소음이 제거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제1 제어부(140)로 전달하고, 그에 따른 제1 제어부(140)는 목적한 바를 달성하였으므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Also, the first feedback unit 160 may cancel the interference noise as the first noise canceller 150 operates to generate a reverberant wave, and then transmits the result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 For example, when the interference noise is completely canceled by the echo wave, the first feedback unit 160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terference noise has been remov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 and the first control unit 140 accordingly has achieved its intended purpose, so no action is taken.

반면, 제1 소음상쇄부(150)가 반향파를 생성하여 간섭 소음을 향하여 송출하였음에도 간섭 소음이 완전히 상쇄되지 않았을 경우, 제1 피드백부(160)는 간섭 소음이 완전히 상쇄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신호를 제1 제어부(140)로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noise canceling unit 150 generates an echo wave and transmits it toward the interference noise, when the interference noise is not completely canceled, the first feedback unit 160 provid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terference noise is not completely cancele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

도 2를 참조하면, 제2 융착기(200)는 제2 입력부(210), 제2 소음발생부(220), 제2 센서부(230), 제2 제어부(240), 제2 소음상쇄부(250) 및 제2 피드백부(260)를 포함한다. 제2 융착기(200)는 제2 작업자(22)가 사용하는 것으로서, 제1 융착기(100)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제1 융착기(100)를 참고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second fusing machine 200 includes a second input unit 210 , a second noise generating unit 220 , a second sensor unit 230 , a second control unit 240 , and a second noise canceling unit ( 250 ) and a second feedback unit 260 . The second splicer 200 is used by the second worker 22 , and includes the same components as the first splicer 100 , so for a detailed description, refer to the first splicer 100 described above.

도 2를 참조하면, 제3 융착기(300)는 제3 입력부(310), 제3 소음발생부(320), 제3 센서부(330), 제3 제어부(340), 제3 소음상쇄부(350) 및 제3 피드백부(360)를 포함한다. 제3 융착기(300)는 제3 작업자(23)가 사용하는 것으로서, 제1 융착기(100) 및 제2 융착기(2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제1 융착기(100)를 참고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third fusing machine 300 includes a third input unit 310 , a third noise generating unit 320 , a third sensor unit 330 , a third control unit 340 , and a third noise canceling unit ( 350 ) and a third feedback unit 360 . The third splicer 300 is used by the third worker 23, and since the components of the first splicer 100 and the second splicer 200 are the same, for a detailed description, refer to the first splicer 100 described above. let it do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에서 다수의 융착기 간에 작동정보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operation information is made between a plurality of splicing machines in the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the splic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융착기(100), 제2 융착기(200) 및 제3 융착기(300) 간의 작동정보를 공유한다.The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the splic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ares oper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splicer 100, the second splicer 200, and the third splicer 300 us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한편, 작동정보를 공유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제1 내지 3 입력부(110, 210, 310)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21, 22, 23)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통해서도 제1 융착기(100), 제2 융착기(200) 및 제3 융착기(300) 간의 작동정보를 공유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method of sharing operation information, the first to third input units 110 , 210 , and 310 are provided through the input signal inputted by at least one operator 21 , 22 , 23 , the first fusion splicer 100 , It is possible to share oper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splicer 200 and the third splicer 300 .

도 3을 참조하면, 제1 융착기(100), 제2 융착기(200) 및 제3 융착기(300)는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3 , the first splicer 100 , the second splicer 200 , and the third splicer 300 may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융착기(100)와 제2 융착기(200) 사이에는 제1 융착기(100)의 작동정보 및 제2 융착기(200)의 작동정보가 양방향으로 공유될 수 있다.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welding machine 100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welding machine 200 may be shared between the first welding machine 100 and the second welding machine 200 in both directions.

또한, 제2 융착기(200)와 제3 융착기(300) 사이에는 제2 융착기(200)의 작동정보 및 제3 융착기(300)의 작동정보가 양방향으로 공유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second splicer 200 and the third splicer 300,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splicer 200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splicer 300 may be shared in both directions.

아울러, 제1 융착기(100)와 제3 융착기(300) 사이에는 제1 융착기(100)의 작동정보 및 제3 융착기(300)의 작동정보가 양방향으로 공유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splicer 100 and the third splicer 300,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splicer 100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splicer 300 may be shared in both directions.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the splic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은 (a) 제1 융착기(100)가 작동시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0), (b) 제1 융착기(100)가 동작시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융착기(100)를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하는 단계(S200), (c) 제2 융착기(200)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 (d) 제3 융착기(300)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 및 (e) 제2 융착기(200) 및 제3 융착기(300)의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ultiple 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the splic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splicer 100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S100), (b) the first splicer 100 is Steps (S200) of performing active noise control on the first splicer 100 depending on whether it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S200), (c)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splicer 200 operates (S300), (d) first Step 3 (S4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splicer 300 operates, and (e)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second splicer 200 and the third splicer 300 .

상기 (a) 단계는, (a1) 제1 융착기(100)가 작동시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b)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a2) 제1 융착기(100)가 작동시간 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step (a), (a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splicer 100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performing the step (b) and (a2) determining that the first splicer 100 is not within the operating time If so, it includes the step of terminating.

여기서, 작동시간은 제1 융착기(100)가 작동하는 기설정된 작동시간을 의미한다.Here, the operating time means a preset operating time during which the first fusing machine 100 operates.

상기 (b) 단계는, (b1) 제1 융착기(100)에 구비된 제1 소음발생부(120)가 간섭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계, (b2) 제1 융착기(100)에 구비된 제1 센서부(130)가 제1 소음발생부(120)의 간섭 소음을 측정하는 단계, (b3)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20)에 의해 제 1 융착기(100)에 구비된 제1 입력부(110), 제2 융착기(200)에 구비된 제2 입력부(210) 및 제3 융착기(300)에 구비된 제3 입력부(310)로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b4) 제1 융착기(100)에 구비된 제1 제어부(140)가 입력정보에 따라 제1 융착기(100)에 구비된 제 1 소음상쇄부(150)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b5) 제1 소음상쇄부(150)가 제1 소음발생부(120)의 간섭 소음의 반향파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tep (b) is, (b1) a step in which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120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100 generates an interference noise, (b2) a first sensor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100 The step of the unit 130 measuring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120, (b3) the first input unit 110 provided in the first welding machine 100 by at least one operator 20, the first 2 Step of inputting input information to the second input unit 210 provided in the splicer 200 and the third input unit 310 provided in the third splicer 300, (b4)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100 The step of the first control unit 140 operating the first noise canceling unit 150 provided in the first fusing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and (b5) the first noise canceling unit 150 is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echo wave of the interference noise of (120).

상기 (b) 단계는, 상기 (b5) 단계 이후, 제1 융착기(100)에 구비된 제1 피드백부(160), 제2 융착기(200)에 구비된 제2 피드백부(260) 및 제3 융착기(300)에 구비된 제3 피드백부(360)가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20)에 의한 위치 소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측정하여 제1 제어부(140)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the step (b), after the step (b5), the first feedback unit 160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100 , the second feedback unit 260 provided in the second splicer 200 , and the third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measuring, by the third feedback unit 360 provided in the splicer 300 , whether there is positional noise by at least one operator 20 , and transmitting it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

이때, 제1 제어부(140)는 작업자(20)의 위치 소음이 존재하는 경우, 위치 소음을 반영한 반향파를 생성하도록 제1 소음상쇄부(150)를 제어한다.At this time, when the position noise of the operator 20 is present, the first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first noise canceling unit 150 to generate an echo wave reflecting the position noise.

상기 (c) 단계는, (c1) 제2 융착기(200)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d)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c2) 제2 융착기(200)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a)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step (c), (c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plicer 200 operates, performing the step (d) and (c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plicer 200 does not operate, and returning to step (a).

상기 (d) 단계는, (d1) 제 3 융착기(300)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융착기(200)에 구비된 제2 소음발생부(220)에서 생성되는 간섭 소음 및 제3 융착기(300)에 구비된 제3 소음발생부(320)에서 생성되는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단계 및 (d2) 제3 융착기(300)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융착기(200)의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한 후 상기 (a)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step (d), (d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splicer 300 operates, the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by the second noise generator 220 provided in the second splicer 200 and the third splicer ( The step of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by the third noise generating unit 320 provided in 300) and (d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welding machine 300 does not operate, the interference of the second welding machine 200 and returning to step (a) after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noise.

상기 (d1) 단계에서는, 제2 소음발생부(220) 및 제3 소음발생부(320)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간섭 소음을 미리 예측하여 간섭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는 반향파를 생성하기 위한 보정단계이다. 이때, 간섭 소음을 미리 예측하는 것은 수학적 모델링을 정립하여 적용함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In the step (d1), the second noise generating unit 220 and the third noise generating unit 320 predict the expected interference noise in advance to generate a reverberant wave capable of canceling the interference noise. am. In this case, predicting the interference noise in advance can be implemented by establishing and applying mathematical modeling.

구체적으로 정상 상태의 제1 융착기(100), 제2 융착기(200) 및 제3 융착기(300)가 동작했을 때, 발생하는 정상적인 간섭 소음을 빅데이터로 수집한 후 그 평균값을 기준값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normal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when the first splicer 100, the second splicer 200, and the third splicer 300 in a normal state is operated is collected as big data and the average value thereof is used as a reference value.

다음, 제1 융착기(100), 제2 융착기(200) 및 제3 융착기(300)가 사용된 시간, 제1 융착기(100), 제2 융착기(200) 및 제3 융착기(300)의 수명 및 구성요소의 교체주기 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수학적 모델링에 적용하여 간섭 소음을 예측한다.Next, the first fusion machine 100, the second fusion machine 200 and the third fusion machine 300 were used, the life of the first fusion machine 100, the second fusion machine 200 and the third fusion machine 300, and Interference noise is predicted by grasping the replacement period of components and applying it to mathematical modeling based on this.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에서 다수의 융착기 간에 센서정보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sensor information is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splicing machines in a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active noise of a splic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융착기(100), 제2 융착기(200) 및 제3 융착기(300) 간의 센서정보를 공유한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active noise of a splic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ares sensor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splicer 100, the second splicer 200, and the third splicer 300 us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도 5을 참조하면, 제1 융착기(100), 제2 융착기(200) 및 제3 융착기(300)는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5 , the first splicer 100 , the second splicer 200 , and the third splicer 300 may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융착기(100)와 제2 융착기(200) 사이에는 제1 융착기(100)의 센서정보 및 제2 융착기(200)의 센서정보가 양방향으로 공유될 수 있다.Between the first splicer 100 and the second splicer 200, sensor information of the first splicer 100 and sensor information of the second splicer 200 may be shared in both directions.

또한, 제2 융착기(200)와 제3 융착기(300) 사이에는 제2 융착기(200)의 센서정보 및 제3 융착기(300)의 센서정보가 양방향으로 공유될 수 있다.Also, between the second splicer 200 and the third splicer 300 , sensor information of the second splicer 200 and sensor information of the third splicer 300 may be shared in both directions.

아울러, 제1 융착기(100)와 제3 융착기(300) 사이에는 제1 융착기(100)의 센서정보 및 제3 융착기(300)의 센서정보가 양방향으로 공유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splicer 100 and the third splicer 300, 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first splicer 100 and 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third splicer 300 may be shared in both directions.

상기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은 제1 실시예에서 작동정보가 센서정보로 대체되어 도 4에 도시된 순서대로 동작한다.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active noise of a splic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peration information is replaced with sensor information in the first embodiment and operates in the order shown in FIG. 4 .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에서 다수의 융착기 간에 시작시점정보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start time information is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splicing machines in a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active noise of a splic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은 (a) 제1 융착기(100)가 작동시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제1 융착기(100)가 작동시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융착기(100)를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c) 제2 융착기(200)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제3 융착기(300)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제2 융착기(200) 및 제3 융착기(300)의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active noise of a splic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splicer 100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b) the first splicer 100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Performing active noise control on the first splicer 100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c)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splicer 200 operates, (d) whether the third splicer 300 operates and (e)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second splicer 200 and the third splicer 300 .

또한,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융착기(100), 제2 융착기(200) 및 제3 융착기(300) 간의 시작시점정보를 공유한다. 여기서, 시작시점정보는 센서값이 변하는 타이밍을 기준으로 한 제1 융착기(100), 제2 융착기(200) 및 제3 융착기(300)의 시작시점을 의미한다.In addition, start time information is shared between the first splicer 100 , the second splicer 200 , and the third splicer 300 us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Here, the start time information means the start time of the first fusion splicer 100 , the second fusion splicer 200 , and the third fusion splicer 300 based on the timing at which the sensor value changes.

구체적으로 시작시점정보는 제1 융착기(100)의 제1 센서부(130), 제2 융착기(200)의 제2 센서부(230) 및 제3 융착기(300)의 제3 센서부(330)로 입력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starting time information is the first sensor unit 130 of the first splicer 100 , the second sensor unit 230 of the second splicer 200 , and the third sensor unit 330 of the third splicer 300 . It is based on the time of input.

도 6을 참조하면, 제1 융착기(100), 제2 융착기(200) 및 제3 융착기(300)는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splicer 100 , the second splicer 200 , and the third splicer 300 may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융착기(100)와 제2 융착기(200) 사이에는 제1 융착기(100)의 시작시점정보 및 제2 융착기(200)의 시작시점정보가 양방향으로 공유될 수 있다.Between the first splicer 100 and the second splicer 200, the start time information of the first splicer 100 and the start time information of the second splicer 200 may be shared in both directions.

또한, 제2 융착기(200)와 제3 융착기(300) 사이에는 제2 융착기(200)의 시작시점정보 및 제3 융착기(300)의 시작시점정보가 양방향으로 공유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second splicer 200 and the third splicer 300, the start time information of the second splicer 200 and the start time information of the third splicer 300 may be shared in both directions.

아울러, 제1 융착기(100)와 제3 융착기(300) 사이에는 제1 융착기(100)의 시작시점정보 및 제3 융착기(300)의 시작시점정보가 양방향으로 공유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splicer 100 and the third splicer 300, the start time information of the first splicer 100 and the start time information of the third splicer 300 may be shared in both directions.

상기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은 제1 실시예에서 작동정보가 시작시점정보로 대체되어 도 4에 도시된 순서대로 동작한다.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active noise of a splic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peration information is replaced with start time information in the first embodiment and operates in the order shown in FIG. 4 .

도 7은 본 발명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에서 구동조건 및 재료에 따른 진동수 및 진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7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and amplitude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 and material in the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제1 융착기(100), 제2 융착기(200) 및 제3 융착기(300)는 구동조건 및 재료에 의해 초기 능동소음제어 파라미터가 변경된다. 여기서, 구동조건은 회전수(RPM), 왕복 주기 및 스핀들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itial active noise control parameters of the first welding machine 100 , the second welding machine 200 , and the third welding machine 300 are changed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and materials. Here, the driving condi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otation speed (RPM), a reciprocating cycle, and a type of spindle.

또한, 재료는 아크릴, 플라스틱 및 알루미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crylic, plastic, and aluminum.

도 7은 구동조건 및 재료에 따른 진동수(X축) 및 진폭(Y축)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재료가 서로 다르고 회전수가 동일할 경우, 2000회전수(RPM) 기준으로 아크릴에 비해 알루미늄이 200Hz 저주파 성분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7 shows the frequency (X-axis) and amplitude (Y-axis)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 and material. Referring to FIG. 7 , when the materials are different and the rotation speed is the same, it can be seen that the 200 Hz low-frequency component of aluminum is larger than that of the acryl based on the 2000 RPM (RPM).

또한, 재료가 동일하고 회전수가 다를 경우, 아크릴과 알루미늄 모두 500Hz 이하의 저주파 성분이 많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material is the same and the rotation speed is different, the low frequency component of 500 Hz or less is greatly reduced for both acryl and aluminum.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한 구동조건 및 재료를 제1, 2, 3 입력부(110, 210, 310)를 적절히 이용하여 간섭 소음을 최소화시키도록 제1, 2, 3 융착기(100, 200, 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or us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put units 110, 210, and 310 to appropriately use the first, second, and third fusing machines 100, 200, and 300 to minimize interference noise. can make it work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융착기
11: 제1 융착기
12: 제2 융착기
20: 작업자
21: 제1 작업자
22: 제2 작업자
23: 제3 작업자
100: 제1 융착기
110: 제1 입력부
120: 제1 소음발생부
130: 제1 센서부
140: 제1 제어부
150: 제1 소음상쇄부
160: 제1 피드백부
200: 제2 융착기
210: 제2 입력부
220: 제2 소음발생부
230: 제2 센서부
240: 제2 제어부
250: 제2 소음상쇄부
260: 제2 피드백부
300: 제3 융착기
310: 제3 입력부
320: 제3 소음발생부
330: 제3 센서부
340: 제3 제어부
350: 제3 소음상쇄부
360: 제3 피드백부
10: welding machine
11: first fusion machine
12: second fusion machine
20: worker
21: first worker
22: second worker
23: third worker
100: first fusion machine
110: first input unit
120: first noise generating unit
130: first sensor unit
140: first control unit
150: first noise canceling unit
160: first feedback unit
200: second fusion machine
210: second input unit
220: second noise generating unit
230: second sensor unit
240: second control unit
250: second noise canceling unit
260: second feedback unit
300: third fusion machine
310: third input unit
320: third noise generating unit
330: third sensor unit
340: third control unit
350: third noise canceling unit
360: third feedback unit

Claims (11)

(a) 제1 융착기가 작동시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제1 융착기가 작동시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융착기를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c) 제2 융착기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제3 융착기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 융착기 및 상기 제3 융착기의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융착기, 상기 제2 융착기 및 상기 제3 융착기 간의 작동정보를 공유하며,
상기 (e) 제2 융착기 및 제3 융착기의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단계는 수학적 모델링을 통하여 상기 제2 융착기에 구비된 제2 소음발생부 및 상기 제3 융착기에 구비된 제3 소음발생부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간섭 소음을 예측하고, 상기 수학적 모델링은 상기 제1 내지 제3 융착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했을 때, 발생하는 정상적인 간섭 소음을 빅데이터로 수집한 평균값인 기준값, 상기 제1 내지 제3 융착기가 사용된 시간, 상기 제1 내지 제3 융착기의 수명 및 교체주기를 기반으로 정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
(a)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fusing machine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b) performing active noise control on the first splicer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splicer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c)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fusing machine is operating;
(d) determining whether the third fusing machine operates; and
(e)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plicer,
sharing oper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fusion splicer, the second fusion splicer, and the third fusion splicer us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step of (e)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plicer, the second noise generator provided in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noise generator provided in the third splicer are performed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predicts the interference noise expected to occur, and the mathematical modeling is a reference value that is an average value collected as big data of normal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when the first to third fusion splicers operate normally, and the first to third fusion splicers Multiple 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a splic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stablished based on the time used, the lifespan and replacement cycle of the first to third splice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제1 융착기가 작동시간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b)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a2) 상기 제1 융착기가 작동시간 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a) is,
(a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fusing machine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performing the step (b); and
(a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splicer is not within the operating time, terminating the multiple 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the splic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제1 융착기에 구비된 제1 소음발생부가 간섭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계;
(b2) 상기 제1 융착기에 구비된 제1 센서부가 상기 제1 융착기에 구비된 제1 소음발생부의 간섭 소음을 측정하는 단계;
(b3)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제 1 융착기에 구비된 제1 입력부, 상기 제2 융착기에 구비된 제2 입력부 및 상기 제3 융착기에 구비된 제3 입력부로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b4) 상기 제1 융착기에 구비된 제1 제어부가 상기 입력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융착기에 구비된 제 1 소음상쇄부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b5) 상기 제1 융착기에 구비된 제1 소음상쇄부가 상기 제1 융착기에 구비된 제1 소음발생부의 간섭 소음의 반향파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tep (b) is,
(b1) generating an interference noise by a first noise generat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splicing machine;
(b2) measuring, by the first sensor unit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b3) inputting input information into a first input unit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a second input unit provided in the second splicer, and a third input unit provided in the third splicer by at least one worker;
(b4) operating, by the first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a first noise cancel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and
(b5) the first noise cancel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generates and transmits an echo wave of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first noise generat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wherein the multi-active noise of the splicer comprises the steps of: control metho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3 입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통해서도 상기 제1 융착기, 상기 제2 융착기 및 상기 제3 융착기 간의 작동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Multiple active noise control of a splic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o third input units share oper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splicer,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plicer through an input signal input by the at least one operator Way.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b5) 단계 이후, 상기 제1 융착기에 구비된 제1 피드백부, 상기 제2 융착기에 구비된 제2 피드백부 및 상기 제3 융착기에 구비된 제3 피드백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에 의한 위치 소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측정하여 상기 제1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위치 소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치 소음을 반영한 반향파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1 소음상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Step (b) is,
After the step (b5), the first feedback unit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the second feedback unit provided in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feedback unit provided in the third splicer are positioned by the at least one operato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easuring whether noise is present and transmitting it to the first control unit,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noise canceling unit to generate a reflection wave reflecting the positional noise when the positional noise is pres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제2 융착기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d)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c2) 상기 제2 융착기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a)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c) is,
(c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plicer operates, performing the step (d); and
(c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plicer does not operate, returning to step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제 3 융착기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소음발생부에서 생성되는 간섭 소음 및 상기 제3 소음발생부에서 생성되는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단계; 및
(d2) 상기 제 3 융착기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융착기의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한 후 상기 (a)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tep (d) is,
(d1)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by the second noise generating unit and the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by the third noise generat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fusing machine is operating; and
(d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splicer does not operate,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second splicer, and then returning to step (a).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융착기, 상기 제2 융착기 및 상기 제3 융착기는 구동조건 및 재료에 의해 초기 능동소음제어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the splic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itial active noise control parameter is changed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and materials for the first splicer,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plice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조건은 회전수, 왕복 주기 및 스핀들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riving condition is a multi-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a fus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rotations, the reciprocating cycle, and the type of the spindl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아크릴, 플라스틱 및 알루미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aterial comprises at least one of acrylic, plastic and aluminum.
(a) 제1 융착기가 작동시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제1 융착기가 작동시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융착기를 능동소음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c) 제2 융착기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제3 융착기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 융착기 및 상기 제3 융착기의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융착기, 상기 제2 융착기 및 상기 제3 융착기 간의 시작시점정보를 공유하며,
상기 시작시점정보는 상기 제1 융착기에 구비된 제1 센서부, 상기 제2 융착기에 구비된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3 융착기에 구비된 제3 센서부로 입력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고,
상기 (e) 제2 융착기 및 제3 융착기의 간섭 소음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단계는 수학적 모델링을 통하여 상기 제2 융착기에 구비된 제2 소음발생부 및 상기 제3 융착기에 구비된 제3 소음발생부에서 발생이 예상되는 간섭 소음을 예측하고, 상기 수학적 모델링은 상기 제1 내지 제3 융착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했을 때, 발생하는 정상적인 간섭 소음을 빅데이터로 수집한 평균값인 기준값, 상기 제1 내지 제3 융착기가 사용된 시간, 상기 제1 내지 제3 융착기의 수명 및 교체주기를 기반으로 정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기의 다중 능동소음제어 방법.
(a)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fusing machine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b) performing active noise control on the first splicer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splicer is within the operating time;
(c)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fusing machine is operating;
(d) determining whether the third fusing machine operates; and
(e)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plicer,
Sharing start time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fusion splicer, the second fusion splicer, and the third fusion splicer us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he start time information is based on the time of input to the first sensor unit provided in the first splicer, the second sensor unit provided in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ensor unit provided in the third splicer,
In the step of (e) predicting an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splicer, the second noise generator provided in the second splicer and the third noise generator provided in the third splicer are performed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predicts the interference noise expected to occur, and the mathematical modeling is a reference value that is an average value collected as big data of normal interference noise generated when the first to third fusion splicers operate normally, and the first to third fusion splicers Multiple active noise control method of a splic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stablished based on the time used, the lifespan and replacement cycle of the first to third splicers.
KR1020200140526A 2019-10-30 2020-10-27 Method for active noise control of welding machine KR1022987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526A KR102298750B1 (en) 2019-10-30 2020-10-27 Method for active noise control of wel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916 2019-10-30
KR1020200140526A KR102298750B1 (en) 2019-10-30 2020-10-27 Method for active noise control of welding machi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916 Division 2019-10-30 2019-10-30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302A KR20210052302A (en) 2021-05-10
KR102298750B1 true KR102298750B1 (en) 2021-09-07
KR102298750B9 KR102298750B9 (en) 2022-07-29

Family

ID=7591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526A KR102298750B1 (en) 2019-10-30 2020-10-27 Method for active noise control of wel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75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076B1 (en) 2013-09-17 2014-03-12 온시스텍 주식회사 Real Time Floor Noise Canceling System
KR101583144B1 (en) 2014-07-14 2016-01-0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Noise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864B1 (en) * 2009-12-08 2012-03-28 김현주 Noise reducing apparatus
KR101194765B1 (en) * 2010-06-04 2012-10-25 홍찬선 Noise Reduction Apparatus Using Offsetting of Frequency and Method thereof
KR101270358B1 (en) * 2011-04-20 2013-05-31 김현주 Apparatus for controlling room noise
KR20130005456U (en) * 2012-03-08 2013-09-23 한국브렌슨 주식회사 Vibration welding machine for vehicle spoiler
KR20130131582A (en) * 2012-05-24 2013-12-04 자바정보기술 주식회사 Active noise control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076B1 (en) 2013-09-17 2014-03-12 온시스텍 주식회사 Real Time Floor Noise Canceling System
KR101583144B1 (en) 2014-07-14 2016-01-0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Noise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302A (en) 2021-05-10
KR102298750B9 (en)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97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predictive and preventive maintenance
CN106814715A (en) The unit control apparatus and production system of prediction manufacture mechanical breakdown
JP74460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long distance remote welding
JP2014176933A (en) Robo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818087B2 (en)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a movable machine element of a machine
JP2009167673A (en) Work device
JP7178900B2 (en) ROBOT WORK PLANNING METHOD AND WORK PLANNING DEVICE
KR20130047544A (en)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two robots having respective working spaces including at least one common region
KR102298750B1 (en) Method for active noise control of welding machine
JPWO2016084171A1 (en) Numerical controller
JP5816723B1 (en) Mechanic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remote control device and main control device
JP7156421B2 (en) WELDING SYSTEM, WELDING QUALITY EVALUATION METHOD, AND WELDING PRODUCTION METHOD
JP5030628B2 (en) Interference check system
KR101253900B1 (en) Method and nc part program for controlling a laser cutting system
EP2112459B1 (en) Form measuring apparatus
WO2013136412A1 (en) Command generation device and command generation method
CN111434946B (en) Active vibration-stabilizing coupling
JPWO2020194752A1 (en)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numerical control method
JP2021117855A (en) Vibration test device
KR20030020138A (en) Mobile automated pipeline welding carriage controller with functions of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conditions and oscillation motion and self-diagnosis
JP2021020290A (en) Prediction device
WO2019089748A1 (en) Hardware-based reporting module and system for utilizing re-usable and re-configurable reporter modules in welding-type setups
KR20150041333A (en) Robot Teaching Pendant with function of process monitoring
JP6170325B2 (en) Construction machinery
WO2024075672A1 (en) Automatic operation construc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