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853B1 -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 - Google Patents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853B1
KR102297853B1 KR1020210013353A KR20210013353A KR102297853B1 KR 102297853 B1 KR102297853 B1 KR 102297853B1 KR 1020210013353 A KR1020210013353 A KR 1020210013353A KR 20210013353 A KR20210013353 A KR 20210013353A KR 102297853 B1 KR102297853 B1 KR 102297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soil
tip device
grout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강선
정의중
Original Assignee
주강선
정의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강선, 정의중 filed Critical 주강선
Priority to KR102021001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4Placing by using fluid j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콘크리트의 몰탈 그라우팅을 형성하는 몰탈 파일 형성시에 하향식으로 굴삭하면서 동시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인접한 토사를 절삭하여 절삭토를 1차연질화 시키면서 소정의 깊이로 굴삭후에 상향식으로 다시 절삭수를 분사하여 절삭하면서 절삭토를 2차연질화시키고 몰탈 파일을 절삭된 공간에 주입하여 몰탈 파일을 형성하게 되어 부상토의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부상토의 발생으로 인한 처리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되어 저럼한 비용으로 몰탈 파일 형성이 가능하게 되고 고압수와 에어를 동시에 사용하여 천공하므로 천공속도도 향상되는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Mortar pile formation method that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floating soil}
본 발명은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콘크리트의 몰탈 그라우팅을 형성하는 몰탈 파일 형성시에 하향식으로 굴삭하면서 동시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인접한 토사를 절삭하여 절삭토를 1차연질화 시키면서 소정의 깊이로 굴삭후에 상향식으로 다시 절삭수를 분사하여 절삭하면서 절삭토를 2차연질화시키고 몰탈 파일을 절삭된 공간에 주입하여 몰탈 파일을 형성하게 되어 부상토의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부상토의 발생으로 인한 처리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되어 저럼한 비용으로 몰탈 파일 형성이 가능하게 되고 고압수와 에어를 동시에 사용하여 천공하므로 천공속도도 향상되는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 및 지하철 공사장의 토목공사에는 토사가 흘러내리거나 무너지지 않도록 콘크리트 옹벽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콘크리트 옹벽은 지반 및 암반층에 구멍을 굴착하고 굴착된 구멍에 콘크리트를 충진시키는 그라우팅에 의한 몰탈 파일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고형화시킴으로써, 지하에 단단한 지지 기반을 형성한 상태로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반 및 암반층에 구멍을 굴착하는 것은 에어 햄머를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에어 햄머를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방법은 삼중관의 하측으로 선단장치가 결합되게 되고, 선단장치의 하측으로는 에어 햄머가 결합되어. 지반 및 암반층의 구멍 천공 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지하에 단단한 지지 기반을 형성시키는 몰탈 파일 형성 공법은, 상기 선단장치의 하단에 에어 햄머를 이용하여 원하는 굴삭 깊이까지 천공후 상기 에어 햄머를 제거한 후에 천공된 깊이까지 선단장치를 삽입시키고 상부로 올라가면서 선단장치의 상부에서 절삭수를 분사하여 원하는 직경까지 절삭하면서 상방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선단장치의 하부에서 절삭된 공간에 몰탈을 주입하여 몰탈 파일을 형성시키는 상향식 몰탈 파일 형성 공법이 사용되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상향식 몰탈 파일 형성 공법은, 먼저 원하는 깊이까지 지반을 천공시켜야 하며, 이와 같이 천공된 지반의 하부까지 선단장치를 삽입시키고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몰탈 파일을 형성시키므로 많은 장비를 사용하고 많은 인력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고가로 되며 아울러 공기도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절삭수에 의하여 절삭된 흙이 하부에 충진되는 그라우팅용 몰탈과 함께 혼합되어 폐기물로 처리되는 많은 양의 부상토가 발생되게 되므로 이러한 부상토의 처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파제나 유사한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해상에서 몰탈 파일을 성형하고자 할 경우에는, 역시 종래의 공법에 의하여 부상토가 많은 양이 발생되게 되므로, 이러한 부상토는 해양에 설치된 양식장이나 어장에 많은 악영향을 주게 되므로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부상토의 처리에 준설선과 같은 고가의 장비를 장시간 사용하여야 하므로 해양에서 몰탈 파일 성형시에는 더욱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97169호 등록특허공보 제10-108134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의 몰탈 그라우팅을 형성하는 몰탈 파일 형성시에 하향식으로 굴삭하면서 동시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인접한 토사를 절삭하여 절삭토를 1차연질화 시키면서 소정의 깊이로 굴삭후에 상향식으로 다시 절삭수를 분사하여 절삭하면서 절삭토를 2차연질화시키고 몰탈 파일을 절삭된 공간에 주입하여 몰탈 파일을 형성하게 되어 부상토의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부상토의 발생으로 인한 처리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되어 저럼한 비용으로 몰탈 파일 형성이 가능하게 되고 고압수와 에어를 동시에 사용하여 천공하므로 천공속도도 향상되는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외표면에는 물이 분사되는 노즐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몰탈이 이동되는 제1 몰탈 유로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몰탈 유로의 측면에는 에어 햄머의 작동을 위한 가압 에어가 이동되는 제1 에어 유로가 상기 노즐부의 사이 위치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노즐 바디부와, 상기 노즐 바디부의 일측에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제1 몰탈 유로에 연통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몰탈 유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몰탈 유로의 둘레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따라 관통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에 물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워터 유로가 형성되는 상부관과, 상기 상부관의 외표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1 에어 유로에 가압 에어를 공급하는 제2 에어 유로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상부관의 외부에 삽입되며 삽입된 일단은 상기 노즐 바디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에는 삼중관이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과, 상기 노즐 바디부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 몰탈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몰탈이 이동되는 제3 몰탈 유로가 형성된 연결 바디와, 상기 연결 바디의 외측에 삽입되며, 연결 바디와의 사이에 상기 노즐 바디부를 통해 공급된 가압에어가 이동되는 제3 에어 유로가 형성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일단이 연결되며 측면에는 상기 연결 바디를 통해 공급된 몰탈이 배출되는 몰탈 배출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연결관의 제3 에어 유로와 연통되어 가압 에어가 에어 햄머로 공급되는 제4 에어 유로가 형성되며 타단은 에어 햄머에 연결되는 하부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 유로와 상기 제2 에어 유로와 상기 제3 에어 유로 및 상기 제4 에어 유로는 서로간에 연통되어, 상기 삼중관으로부터 공급된 가압 에어는 상기 에어 햄머로 공급되는 선단 장치가 마련되는 단계와; 상기 선단장치의 상부 연결관이 삼중관이 연결되는 단계와; 이와 같이 삼중관이 연결된 선단장치로 소정 깊이의 굴삭공을 천공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선단장치가 그라우팅이 필요한 깊이에 도달되면 굴삭을 계속진행함과 동시에 선단장치의 노즐 바디부의 노즐부에서 고압의 절삭수를 분사시키면서 천공부의 주변의 흙을 절삭시키면서 절삭토의 1차 연질화를 수행하면서 공기압력과 물분사가 동시에 병행되면서 소정 깊이에 굴삭공이 천공되는 단계와; 소정 깊이로 굴삭공이 천공되면 에어 햄머를 분리시키고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선단장치의 노즐 바디부의 노즐부에서 고압의 절삭수를 분사시키면서 절삭토의 2차 연질화를 병행하면서 하부 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된 몰탈 배출부를 통해 몰탈이 배출되면서 그라우팅용 몰탈 파일이 형성되는 단계와; 이와 같이 상승되면서 그라우팅이 필요한 깊이까지에 도달되면 몰탈의 배출과 고압의 절삭수를 분사가 중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은, 그라우팅이 필요한 지반의 천공굴착시에 미리 절삭수를 분사하면서 천공을 동시에 진행하게 되어 예비적으로 그라우팅의 지반을 연약하게 하고 필요 깊이까지 굴착하면 상방향으로 진행시에 다시 예비 연약화된 지반에 다시 절삭수를 분사하여 소정폭으로 그라우팅공간을 확보하면서 강력한 토출력을 가진 펌프로 슬럼프 0~2 정도의 고점도 몰탈그라우트를 지중으로 토출시켜서 몰탈그라우트가 주변연약지반을 강도 최소 120㎏/㎠ 이상을 갖게 함과 동시에 하향식 절토시에는 절삭된 토사에는 몰탈이 혼합되지 않으므로 심층의 토사를 상부로 이동시켜도 토사의 생명력을 보충시킬 수가 있게 되면서 오염된 부상토가 발생되지 않으며, 상향식의 몰탈 파일의 성형시에는 슬럼프 0~2 정도의 고점도 몰탈그라우트를 충진시키므로 몰탈이 고점도를 가지므로 쉽게 절삭수와 섞이지를 않으므로 부상토의 발생이 되지 않게 되므로 최소로 되어 부상토의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몰탈 파일 형성 비용이 절감되고 부상토의 발생이 현저하게 절감되어 저럼한 비용으로 몰탈 파일 형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a, 1b, 1c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선단장치의 결합 사시도,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의 공정도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의 진행 과정이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의 실행시 사용되는 몰탈 체크밸브 어댑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장치(100)가 마련되는 단계(S1)와, 준비된 상기 선단장치(100)의 상부 연결관(30)이 삼중관(11)이 연결되는 단계(S2)와, 상기 삼중관(11)이 연결된 선단장치(100)로 소정 깊이의 굴삭공을 천공을 시작하는 단계(S3)와, 상기 선단장치(100)가 그라우팅이 필요한 깊이(h)에 도달되면 굴삭을 계속진행함과 동시에 선단장치(100)의 노즐 바디부(10)의 노즐부(12)에서 고압의 절삭수를 분사시키면서 천공부의 주변의 흙을 절삭시켜 절삭토의 1차 연질화를 병행하면서 소정 깊이에 굴삭공이 천공되는 단계(S4)와, 소정 깊이로 굴삭공이 천공되면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선단장치(100)의 노즐 바디부(10)의 노즐부(12)에서 고압의 절삭수를 분사시켜 절삭토의 2차 연질화를 병행하면서 하부 바디부(60)의 측면에 형성된 몰탈 배출부(61)를 통해 몰탈이 배출되면서 그라우팅용 몰탈 파일이 형성되는 단계(S5)와, 이와 같이 상승되면서 그라우팅이 필요한 깊이(h)까지에 도달되면 몰탈의 배출과 고압의 절삭수를 분사가 중지되는 단계(S6)와, 상기 선단장치(100)를 인출하는 단계(S7)를 포함한다.
상기 선단장치(100)는, 본 출원인이 등록특허 10-2097169 로 등록된 '선단 장치'라는 특허에 기재된 장치이다.
상기 선단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선단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표면에는 물이 분사되는 노즐부(12)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몰탈이 이동되는 제1 몰탈 유로(14)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몰탈 유로(14)의 측면에는 에어 햄머(13)의 작동을 위한 가압 에어가 이동되는 제1 에어 유로(16)가 상기 노즐부(12)의 사이 위치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노즐 바디부(10)와, 상기 노즐 바디부(10)의 일측에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제1 몰탈 유로(14)에 연통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몰탈 유로(23)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몰탈 유로(23)의 둘레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길이 방향으로 따라 관통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12)에 물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워터 유로(21)가 형성되는 상부관(20)과, 상기 상부관(20)의 외표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1 에어 유로(16)에 가압 에어를 공급하는 제2 에어 유로(31)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상부관(20)의 외부에 삽입되며 삽입된 일단은 상기 노즐 바디부(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에는 삼중관(11)이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30)과, 상기 노즐 바디부(10)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 몰탈 유로(14)에 연결되어 상기 몰탈이 이동되는 제3 몰탈 유로(41)가 형성된 연결 바디(40)와, 상기 연결 바디(40)의 외측에 삽입되며, 연결 바디(40)와의 사이에 상기 노즐 바디부(10)를 통해 공급된 가압에어가 이동되는 제3 에어 유로(51)가 형성되는 연결관(50)과, 상기 연결관(50)에 일단이 연결되며 측면에는 상기 연결 바디(40)를 통해 공급된 몰탈이 배출되는 몰탈 배출부(6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연결관(50)의 제3 에어 유로와 연통되어 가압 에어가 에어 햄머로 공급되는 제4 에어 유로(63)가 형성되며 타단은 에어 햄머(13)에 연결되는 하부 바디부(6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상기 선단장치(100)는, 상기 제1 에어 유로(16)와 상기 제2 에어 유로(31)와 상기 제3 에어 유로(51) 및 상기 제4 에어 유로(63)는 서로간에 연통되어, 상기 삼중관(11)으로부터 공급된 가압 에어는 상기 에어 햄머로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선단 장치(100)가 마련되는 단계(S1)가 있고, 이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단장치(100)의 상부 연결관(30)이 삼중관(11)이 연결되는 단계(S2)가 있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삼중관(11)이 연결된 선단장치(100)로 소정 깊이의 굴삭공을 지반(G)에 천공을 시작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또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단장치(100)가 그라우팅이 필요한 연약지반(G1)이 위치되는 그라우팅이 필요한 깊이(h)에 도달되면 굴삭을 계속진행함과 동시에 선단장치(100)의 노즐 바디부(10)의 노즐부(12)에서 고압의 절삭수를 분사시키면서 절삭토의 1차 연질화를 병행하여 천공부의 주변의 흙을 절삭시키게 되어 물분사와 고압공기압이 동시에 가해지면서 소정 깊이에 굴삭공이 천공되는 단계(S4)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굴착을 원하는 깊이가 30m 이고, 그라우팅이 필요한 깊이(h)가 지표면에서 10m 라고 하면, 그라우팅이 필요한 깊이(h)인 9 m 부터 고압의 절삭수가 분사되게 되어 절삭토의 1차 연질화를 병행하며, 상기 절삭수의 분사압력은, 토사의 종류나 점착정도에 따라 상이하나 종래의 상향식의 분사압력의 1/2 ~ 4/5의 압력으로 분사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400 ㎏/㎠ 으로 1차 절삭을 위하여 분사되게 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S4 단계에서는, 상기 고압의 절삭수를 분사시키면서 천공부의 주변의 흙을 절삭시키면서 소정 깊이에 굴삭공이 천공되더라도, 지표면상으로 부상되는 절삭된 흙은 심층의 연약지반의 오염되지 않은 광물질과 영양분이 많이 포함된 토사이고 지표면에 있는 지상의 흙과 서로 혼합되더라도 이는 오염되지 않은 영양분이 많은 심토의 흙으로 교체하는 것이므로 유용한 성분의 흙으로서 토양의 오염이 없게 되는 것이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절삭토의 1차 연질화를 병행하여 천공부의 주변의 흙을 절삭시키면서 하향식으로 천공하면서 심층의 연약지반의 흙과 절삭수가 혼합된 1차 연질화부(G2)가 형성되면서 그라우팅이 필요한 하단부가 시작되는 소정 깊이(H)로 물분사와 고압공기압이 동시에 가해지면서 굴삭공이 천공된다.
소정 깊이(H)로 굴삭공이 천공되면,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햄머를 선단장치(100)의 미단에서 분리시키고, 선단장치(100)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선단장치(100)의 노즐 바디부(10)의 노즐부(12)에서 고압의 절삭수를 분사시키면서 절삭토의 2차 연질화(G2)를 병행하게 됨과 동시에 하부 바디부(60)의 측면에 형성된 몰탈 배출부(61)를 통해 몰탈(M)이 배출되면서 그라우팅용 몰탈 파일이 형성되는 단계(S5)가 수행된다.
이러한 S5 단계에서는, 상기 절삭수의 분사압력은, 토사의 종류나 점착정도에 따라 상이하나 종래의 상향식의 분사압력의 1/2 ~ 4/5의 압력으로 분사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400 ㎏/㎠ 으로 절삭을 위하여 분사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S5 단계에서는, 사용되는 몰탈의 점도가 슬럼프 0~2 정도의 고점도 몰탈이므로 상부에서 분사되는 절삭수와 혼합이 어렵고 바로 하강되게 되므로, 절삭수와의 혼합이 없이 그라우팅용으로만 사용되게 되므로 부상토의 발생이 현저하게 저감되게 되고, 2차 연질화가 된 토양은 몰탈(M)이 채워지면서 심층부의 측면에 스며들거나 약간의 연질화가 된 토양이 상부로 부상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선단장치(100)가 상승되면서 그라우팅이 필요한 깊이(h)인 10m 까지에 도달되면 몰탈의 배출과 고압의 절삭수를 분사가 중지되는 단계(S6)에 이르게 되고, 이어서 상기 선단장치(100)를 굴삭공에서 지표면으로 인출하는 단계(S7)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굴삭과 그라우팅을 수행하는 천공장치(도시되지 않음)의 최대 깊이인 30m 에서 그라우팅을 수행하는 예가 기술되었으나, 예를 들어, 보다 깊이가 깊은 50m 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3중관(11)의 교환이 필요하게 되고, 상향식 가동으로 몰탈 주입과정을 수행할 경우에는, 몰탈이 공급되는 상기 제1 몰탈 유로(14) 내지 몰탈 배출부(61)까지의 경로에서의 몰탈의 역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탈 체크밸브 어댑터(7)가 설치되어, 몰탈의 역류가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몰탈 체크밸브 어댑터(7)는, 선단장치(100)의 상부관(20)의 제2 몰탈 유로(23)와 삼중관(11)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 플렌지부(71)와 고깔형태의 밸브본체(72)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본체(72)상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분할선(72a)이 형성되어, 몰탈의 주입시에는 몰탈의 압력으로 분할선(72a)이 분리되면서 몰탈이 통과되나, 몰탈의 역류시에는 분할선(72a)이 서로 접하는 상태로 되어 하방에서 받는 몰탈의 역류압력을 감당하고 몰탈의 역류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은, 그라우팅이 필요한 지반의 천공굴착시에 미리 절삭수를 분사하면서 천공을 동시에 진행하게 되어 예비적으로 그라우팅의 지반을 연약하게 하고 필요 깊이까지 굴착하면 상방향으로 진행시에 다시 예비 연약화된 지반에 다시 절삭수를 분사하여 소정폭으로 그라우팅공간을 확보하면서 강력한 토출력을 가진 펌프로 슬럼프 0~2 정도의 고점도 몰탈그라우트를 지중으로 토출시켜서 몰탈그라우트가 주변연약지반을 강도 최소 120㎏/㎠ 이상을 갖게 함과 동시에 하향식 절토시에는 절삭된 토사에는 몰탈이 혼합되지 않으므로 심층의 토사를 상부로 이동시켜도 토사의 생명력을 보충시킬 수가 있게 되면서 오염된 부상토가 발생되지 않으며, 상향식의 몰탈 파일의 성형시에는 슬럼프 0~2 정도의 고점도 몰탈그라우트를 충진시키므로 몰탈이 고점도를 가지므로 쉽게 절삭수와 섞이지를 않으므로 부상토의 발생이 되지 않게 되므로 최소로 되어 부상토의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부상토의 발생으로 인한 부상토의 처리 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되고 부상토의 발생이 현저하게 절감되어 저럼한 비용으로 몰탈 파일 형성시키는 공법이 실형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한 그라우팅을 실시하는 산업현장에서는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h ..... 깊이 10 ..... 노즐 바디부
11 ..... 삼중관 12 ..... 노즐부
30 ..... 연결관 60 ..... 하부 바디부
61 ..... 몰탈 배출부 100 ..... 선단장치

Claims (4)

  1.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에 있어서,
    상기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은, 선단장치(100)가 마련되는 단계(S1)와,
    준비된 상기 선단장치(100)의 상부 연결관(30)이 삼중관(11)이 연결되는 단계(S2)와,
    상기 삼중관(11)이 연결된 선단장치(100)로 소정 깊이의 굴삭공을 천공을 시작하는 단계(S3)와, 상기 선단장치(100)가 그라우팅이 필요한 깊이(h)에 도달되면 굴삭을 계속진행함과 동시에 선단장치(100)의 노즐 바디부(10)의 노즐부(12)에서 고압의 절삭수를 분사시키면서 천공부의 주변의 흙을 절삭시켜 절삭토의 1차 연질화를 수행하면서 그라우팅의 하단부의 소정 깊이에 물분사와 고압공기압이 동시에 가해지면서 굴삭공이 천공되는 단계(S4)와,
    소정 깊이로 굴삭공이 천공되면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선단장치(100)의 노즐 바디부(10)의 노즐부(12)에서 고압의 절삭수를 분사시켜 절삭토의 2차 연질화를 병행하면서 하부 바디부(60)의 측면에 형성된 몰탈 배출부(61)를 통해 몰탈이 배출되면서 그라우팅용 몰탈 파일이 형성되는 단계(S5)와,
    상승되면서 그라우팅이 필요한 깊이(h)까지에 도달되면 몰탈의 배출과 고압의 절삭수를 분사가 중지되는 단계(S6)와,
    상기 선단장치(100)를 인출하는 단계(S7)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장치(100)의 상부관(20)의 제2 몰탈 유로(23)와 삼중관(11)의 사이에는 몰탈 체크밸브 어댑터(7)가 설치되고,
    상기 몰탈 체크밸브 어댑터(7)는, 상부 플렌지부(71)와 고깔형태의 밸브본체(72)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본체(72)상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분할선(7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13353A 2021-01-29 2021-01-29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 KR102297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353A KR102297853B1 (ko) 2021-01-29 2021-01-29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353A KR102297853B1 (ko) 2021-01-29 2021-01-29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853B1 true KR102297853B1 (ko) 2021-09-02

Family

ID=7779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353A KR102297853B1 (ko) 2021-01-29 2021-01-29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78B1 (ko) 2022-04-05 2023-08-25 주강선 부상토 발생이 대폭적으로 저감되는 화학적 몰탈 파일 형성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083B1 (ko) * 2005-05-09 2006-04-24 원용문 에어해머가 장착된 굴착장치를 이용한 해상 지반 개량공법
KR101081343B1 (ko) 2008-09-10 2011-11-09 덴버코리아이엔씨주식회사 콤팩션 그라우팅 공법
KR20180129248A (ko) * 2017-05-26 2018-12-05 김운학 프리보링용 3중관용 굴착헤드 구조체
KR102097169B1 (ko) 2019-03-04 2020-04-03 주강선 선단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083B1 (ko) * 2005-05-09 2006-04-24 원용문 에어해머가 장착된 굴착장치를 이용한 해상 지반 개량공법
KR101081343B1 (ko) 2008-09-10 2011-11-09 덴버코리아이엔씨주식회사 콤팩션 그라우팅 공법
KR20180129248A (ko) * 2017-05-26 2018-12-05 김운학 프리보링용 3중관용 굴착헤드 구조체
KR102097169B1 (ko) 2019-03-04 2020-04-03 주강선 선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78B1 (ko) 2022-04-05 2023-08-25 주강선 부상토 발생이 대폭적으로 저감되는 화학적 몰탈 파일 형성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707B1 (ko)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과 그라우팅 기둥을 이용한 주열식 토류벽 차수 시공방법
CN205172598U (zh) 管幕旋喷桩支护结构
CN107338789B (zh) 一种潜孔冲击式三重管高压旋喷桩的施工方法
CN201395793Y (zh) 长螺旋高压喷射注浆搅拌成桩装置
KR20180129248A (ko) 프리보링용 3중관용 굴착헤드 구조체
CN111472346A (zh) 灌注桩桩身周围土体加固施工方法
CN111236387B (zh) 新建污水管与既有污水管接驳施工方法
KR102297853B1 (ko) 부상토 발생 저감이 가능한 몰탈 파일 형성 공법
KR101095390B1 (ko) 시멘트 그라우팅에 의한 지반 개량 강화 공법
KR101095388B1 (ko) 시멘트 그라우팅에 의한 지반 개량 강화장치
CN213233469U (zh) 三轴潜孔冲击高压喷射注浆设备
KR101095393B1 (ko) 시멘트 그라우팅에 의한 지반 개량 강화 공법
CN105714832B (zh) 一种深基坑大尺寸预制围护结构及施工方法
CN105350544B (zh) 用于含有块石区域的止水帷幕及其施工方法
CN112012746A (zh) 厚层富水破碎带条件下铁路隧道深大竖井施工方法
CN106677190A (zh) 一种水下卵石层基坑帷幕注浆施工方法
CN104631479B (zh) 换土搅拌的止水帷幕的施工方法
CN103074887B (zh) 钻喷一体化地基处理方法及专用钻具组件
CN114352189B (zh) 旋喷桩施工方法
JP5284168B2 (ja) 土留部材建込用掘削部材および土留部材建込工法
KR100418366B1 (ko) 터널형성용 터널구조물 시공방법 및 터널구조물 구조
JP4633273B2 (ja) 土留工法とその装置
KR101736117B1 (ko) 지반 굴착 및 개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차수벽 시공방법
JP2016079745A (ja) 削孔方法及び場所打ち杭の構築方法
KR102517030B1 (ko) 몰탈 주입식 말뚝 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