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738B1 - 바디-아이 샤워장치 - Google Patents

바디-아이 샤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738B1
KR102297738B1 KR1020210032005A KR20210032005A KR102297738B1 KR 102297738 B1 KR102297738 B1 KR 102297738B1 KR 1020210032005 A KR1020210032005 A KR 1020210032005A KR 20210032005 A KR20210032005 A KR 20210032005A KR 102297738 B1 KR102297738 B1 KR 102297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eye
water supply
fil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락주
Original Assignee
양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락주 filed Critical 양락주
Priority to KR1020210032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는, 급수원에서 공급된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의 유로에 설치되어, 유동하는 물을 여과시키는 필터와,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세척수가 다수의 토출 측으로 분배되는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에서 분배된 세척수가 일정 압력으로 분사되는 복수 개의 아이노즐과,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샤워노즐과, 상기 아이노즐 또는 샤워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사용된 뒤 배수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디-아이 샤워장치 {body-eye shower apparatus}
본 발명은 바디-아이 샤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클린룸 내에서 작업 중에 유해물질이 작업자의 눈, 안면, 기타 신체 부위에 묻었을 때, 해당부위를 신속하고 청결하게 세척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증진시키는 클린룸용 바디-아이 샤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린룸은, 청정실 또는 무균실이라고도 하며, 공장이나 연구소 등에 설치하는 먼지나 세균이 전혀 없는 작업장을 뜻한다.
클린룸에는, 반도체, 전자 또는 우주 산업 등에 필요한 부품처럼 오염에 민감한 기재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온도·습도를 엄격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갖추어져 있다. 즉, 이음새가 없는 플라스틱 벽과 천장, 둥글린 모서리, 외부 조명과 외부 배선 등이 클린룸의 특징이다. 또한 클린룸 내부로는 끊임없이 청정한 공기가 유입되며, 클린룸 내부의 공기는 매일 정화된다.
한편, 클린룸 내의 고도로 청정화된 공기가 오염되는 가장 큰 이유는 클린룸을 출입하는 사람에 의하여 유입되는 먼지나 균 때문이다. 그러므로, 클린룸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은 실내에 들어가기 전에 청정화된 고속의 공기(약 25m/sec)로 의복 등 표면에 부착된 입자를 제거하여야 한다.
또한, 클린룸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은 머리까지 덮는 특수복을 입으며, 들어갈 때는 인공 분사기류나 공기 샤워(Air Shower)나 패스 박스(Pass Box)를 통과하여 먼지를 제거하여야 한다. 또한, 클린룸 내의 공간과 공간 사이의 공기의 유통이 차단되어야 하고, 각 공간은 공기의 역류 등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Damper)에 의하여 고도의 청정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클린룸 출입자에 의하여 유입되는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Cleaning)장치는 클린룸에 진입하기 이전 단계에서 필요하기 때문에, 클린룸의 내부가 아닌 클린룸의 입구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클린룸 내에서 사용되는 화학 물질이나 약품 등의 경우, 인체에 매우 유해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클린룸 내에서 작업을 수행하던 중 유해물질이 작업자의 신체에 묻었을 경우, 이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작업자의 1차적인 안전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와 같은 경우 클리닝 장치가 클린룸 외부에만 설치되어 있어서, 유해물질에 오염된 작업자가 클린룸 외부까지 이동하여 세척을 하여야 할 경우, 유해물질을 조기에 신속하게 제거하지 못함으로써 심각한 신체 손상이 야기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작업자가 유해물질에 오염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자연재해 또는 정전 등의 비상시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비상 상황에서 유해물질에 오염된 작업자가 클린룸의 입구를 찾고 클리닝 장치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기는 용이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과정에서 작업자의 신체에 유해물질이 묻었을 경우, 클린룸의 외부까지 이동하지 않고 클린룸의 일 측에 신속하게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리닝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클리닝 장치가 특별한 구성이나 장비 없이, 단순히 상수원을 공급하여 물로 세척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유해물질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세척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클리닝 장치를 통하여 일부 유해물질을 세척한 상태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신체가 신속하고 청결하게 세척되지 못함으로써 잔존하는 유해물질에 의하여 2차적인 신체 손상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유해물질이 안면 특히 눈 부위에 묻었을 경우, 상기 클리닝 장치의 작동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 손상이 더욱 심각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샤워장치의 경우, 샤워 헤드, 각종 버튼, 배관 등에 스케일(scale)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수중에 포함된 마그네슘(Mg), 칼슘(Ca) 등에 의해서, 스케일이 발생한다.
또한, 스케일 및 부식에 의해 배관, 버튼 등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특히, 수질 오염 등의 원인으로, 오링(O-ring) 등의 실링 기능이 상실되어, 누수가 발생한다.
한국실용신안출원 20-2001-00284547호(2001.09.15)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유해물질을 다루는 작업장 내에서 작업자의 신체가 유해물질에 의하여 오염되었을 때, 보다 신속하고 청결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디-아이 샤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유해물질이 묻었을 때, 간단한 조작만으로 유해물질이 세척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묻은 유해물질이 구석구석 청결하게 세척될 수 있는 바디-아이 샤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중 특히 안면 부위나 눈 부위에 유해물질이 묻었을 경우,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디-아이 샤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중 특히 안면 부위나 눈 부위에 유해물질이 묻었을 경우, 보다 광범위한 면적이 효율적으로 세척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더욱 보장할 수 있는 바디-아이 샤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간단한 배관 구조를 통하여 제작과정이 간단하고, 제조비가 절감될 수 있는 바디-아이 샤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연속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바디-아이 샤워장치에 대해서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동작 신뢰성이 보장되는 바디-아이 샤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샤워장치로 유입된 물에서 마그네슘(Mg), 칼슘(Ca) 등과 같은 스케일 유발물질을 제거하여, 샤워노즐, 아이노즐, 각종 버튼, 밸브, 배관 등에서 발생하는 스케일(scale)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바디-아이 샤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샤워장치로 유입된 물을 음용 가능한 수준으로 정화시킨 뒤, 샤워노즐 또는 아이노즐로 공급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샤워노즐 또는 아이노즐로 토출된 물을 음용할 수도 있는 바디-아이 샤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샤워장치로 유입된 물의 오염원을 제거하여, 샤워장치를 유동하는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수질오염에 따른 오링(O-ring)의 부식을 방지하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바디-아이 샤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는, 급수원에서 공급된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의 유로에 설치되어, 유동하는 물을 여과시키는 필터와,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다수의 토출 측으로 분배되는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에서 분배된 세척수가 일정 압력으로 분사되는 복수 개의 아이노즐과,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샤워노즐, 및 상기 아이노즐 또는 샤워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사용된 뒤 배수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수부의 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측으로 유동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는 메인 급수관과, 상기 메인 급수관에서 분지되고, 상기 샤워노즐과 연결된 바디샤워측 급수관과, 상기 메인 급수관에서 분지되고, 상기 아이노즐과 연결된 아이샤워측 급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메인 급수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바디샤워측 급수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아이샤워측 급수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이온교환수지, 카본필터, PE 코어필터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급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워노즐은, 신속한 세척을 위하여 상측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상부 샤워노즐과, 용이한 세척을 위하여 플렉서블(flexible)한 부분이 제공되는 벽걸이 샤워노즐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워노즐은, 고정 설치되는 고정식 샤워노즐과,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를 세척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샤워노즐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부에는, 세척수의 공급이 수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개폐밸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노즐 및 샤워노즐은 동시에 세척수가 분사되거나 또는 별도로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부의 동작 중에, 상기 급수부의 동작을 강제로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정지스위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노즐 및 샤워노즐에서의 세척수 분사 여부를 알리기 위한 알림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부를 일정 주기로 동작시키는 타이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원의 이상 시에도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UPS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수압 또는 유량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에 의하여, 작업자의 신체에 묻은 유해 물질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렉서블(flexible)한 부분이 제공되는 벽걸이 샤워노즐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세척하고자 하는 부위에 원하는 각도와 세기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보다 청결하고 철저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 아이노즐을 설치하여 눈뿐만 아니라 안면부 전체의 세척까지 신속하고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이샤워부에 분배관을 두어, 상기의 두 개 이상의 아이노즐에 균일한 적정 압력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아이노즐이 상기 분배관의 구심 방향으로 집중되도록 아이노즐을 배치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집중적인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이샤워부에 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아이샤워부에서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아이샤워부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비상시에도 용이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이머를 설치하여 일정 시간마다 바디-아이 샤워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급수의 변질 내지는 부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UPS를 설치하여 정전이나 자연재해 등 비상시에도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더욱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급수부에 압력조절부를 설치됨으로써 적정 수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배수부에 드레인플레이트와 배출공과 드레인호퍼를 더 설치하여 배관구조가 간편화되고 그 제작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샤워장치로 유입된 물에서 마그네슘(Mg), 칼슘(Ca) 등과 같은 스케일 유발물질을 제거하여, 샤워노즐, 아이노즐, 각종 버튼, 밸브, 배관 등에서 발생하는 스케일(scale)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샤워장치로 유입된 물을 음용 가능한 수준으로 정화시킨 뒤, 샤워노즐 또는 아이노즐로 공급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샤워노즐 또는 아이노즐로 토출된 물을 음용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샤워장치로 유입된 물의 오염원을 제거하여, 샤워장치를 유동하는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수질오염에 따른 오링(O-ring)의 부식을 방지하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구성을 보여주는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샤워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샤워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제어부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구동부 회로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PLC 회로도,
도 10은, 바디샤워측 급수관에 필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아이샤워측 급수관에 필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주요 구성인 필터의 정면도,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주요 구성인 필터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소 산화물 제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100)는 크게 바디샤워부(101)와 아이샤워부(102)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바디샤워부(101)는, 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바디샤워 케이스(104)와, 상기 바디샤워 케이스(104)의 하측에 제공되어 기기의 이동을 안내하고 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하측지지부(141)와, 상기 바디샤워 케이스(104)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100)가 사용중임을 알리는 알림부(136)와, 상기 바디샤워 케이스(104)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샤워부(10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온/오프 스위치(137)와, 상기 바디샤워 케이스(104)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샤워(100)의 작동을 긴급하게 정지시켜야 할 경우 사용되는 비상정지스위치(138)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알림부(136)에는 신호음을 통하여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100)가 사용중임을 알리는 버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명등 또는 램프 등의 시각 장치를 통하여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100)가 사용중임을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디샤워 케이스(104)의 내부에는, 상기 바디샤워부(101) 작동 시 사용자에게 세척수가 분사되어 사용자의 전신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샤워노즐(도 3의 109 참조)과,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를 구석구석 세척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flexible)한 부분이 제공되는 벽걸이 샤워노즐(110)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바디샤워 케이스(104)의 내부에는, 상기 바디샤워부(101)로의 급수의 공급 전체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바디샤워 메인 밸브레버(126)와, 상기 상부 샤워노즐(109)로의 급수의 공급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상부 샤워노즐 밸브레버(127)와, 상기 벽걸이 샤워노즐(110)로의 급수의 공급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벽걸이 샤워노즐 밸브레버(128)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샤워 케이스(104)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세척이 필요한 부위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더욱 청결하고 철저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거울(144)이 더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내부에서도 상기 바디샤워부(101)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제 2 온/오프 스위치(139)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샤워 케이스(104)의 내부에는, 다수의 배출공(147)이 형성된 드레인플레이트(145)와,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45)의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45)의 배출공(147)을 통과한 세척수가 집수되는 드레인호퍼(146)가 더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샤워부(102)는, 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아이샤워 케이스(105)와, 상기 아이샤워 케이스(105)의 외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135)와, 상기 아이샤워 케이스(105)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아이샤워 케이스(105)의 내부에 형성되는 급수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노즐측 급수관(115)과, 상기 노즐측 급수관(115)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측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배하는 분배관(112)과, 상기 아이샤워 케이스(105)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배관(112)으로부터 분배된 세척수가 분사되는 두 개 이상의 아이노즐(111)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아이노즐(111)에서 분사되는 물이 사용된 뒤 집수되는 와셔보울(113)과, 상기 와셔보울(113)에 집수된 물이 통과되어 배수되는 관로로서, 상기 와셔보울(113)의 하부에 형성되는 아이샤워측 배수구(114)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노즐측 급수관(115)은, 상기 분배관(112)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노즐측 급수관(115)은, 본 도면에서는 두 개인 것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상기 노즐측 급수관(115)의 수압이 각 아이노즐(111)에 세척수를 균등히 공급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한 경우에는 하나로도 충분하나, 반면 수압이 약할 경우에는 세 개 이상을 설치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가능하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각 아이노즐(111)로의 균등한 급수 배분을 위한 대칭 구조를 이루며, 제조의 용이성을 위하여 두 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분배관(112)은 상기 노즐측 급수관(115)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아이노즐(111)에 이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본 도면에는 원형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사용자가 주로 세척을 원하는 위치, 작업장 및 작업환경의 특성, 적치 장소의 위치 및 특성에 따라 비대칭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여러 가지 구조가 가능할 것이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이샤워부(102)의 주된 목적이 작업자의 안면부 및 눈을 세척하는 것이며, 또한 제조의 용이성 및 제작비용 등을 고려할 때, 본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아이노즐(111)은 상기 분배관(112)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신속하고 청결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세척이 상기 분배관(112)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두 개 이상의 아이노즐(111)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세척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도면에는, 상기 아이노즐(111)이 여덟 개가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제한적인 요소가 아니며,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적치 위치 및 작업장 개개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개수와 형태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얼굴이 원형 내지는 타원형의 좌우 대칭형이 것을 고려하여 상기 아이노즐(111)의 배치도 좌우 대칭형 구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특징으로서, 상기 센서(135)는 상기 아이샤워부(102)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아이샤워부(102)에서 일정 거리 내로 접근시 상기 아이샤워부(102)가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비상시에 더욱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즉, 유해 물질이 사용자의 안면부 특히 눈 주위에 묻었을 때, 사용자가 앞이 명확히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상기 아이샤워부(102)를 작동시켜서 유해물질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 상기 아이샤워부(102)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상기 아이샤워부(102)가 작동되어 급수가 이루어지고,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서, 상기 센서(135)의 고장 시를 대비하여, 기기의 전면에 아이샤워 밸브레버(125)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아이샤워 밸브레버(125)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센서(135)가 고장 등의 이유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상기 아이샤워 밸브레버(125)를 개방함으로써, 센서(135)의 작동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아이샤워부(102)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바디샤워부(101)의 수동 조작을 위하여, 상기 바디샤워 케이스(104)의 일면에 바디샤워 메인 밸브레버(126), 상부 샤워노즐 밸브레버(127) 및 벽걸이 샤워노즐 밸브레버(128) 등을 더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구조의 동작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되는 구조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동작 내지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바디샤워부(101)는 제 1 온/오프 스위치(137) 또는 제 2 온/오프 스위치(139)에 의하여 작동된다. 상세히, 바디-아이 샤워장치(100)를 이용하여 유해물질에 오염된 자신의 신체를 세척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작업장 내에 설치된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내부로 들어오면서 상기 제 1 온/오프 스위치(137)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온/오프 스위치(137)에서 발생 되는 소정의 신호에 의해서 상기 바디샤워부(101)가 작동된다. 그러면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내부 배관 구조에 의해서 상부 샤워노즐(109)을 통하여 세척수가 분사되고, 이 세척수에 의하여 사용자는 전신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아이샤워부(102)의 사용 등을 위하여 이미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내부로 들어온 사용자가, 전신 세척의 필요 등으로 인하여 바디샤워부(101)를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디샤워부(101)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다시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외부로 나가 제 1 온/오프 스위치(137)를 작동시키는 번거로움을 덜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된 제 2 온/오프 스위치(139)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바디샤워부(10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온/오프 스위치(139)는 상기 제 1 온/오프 스위치(137)와 그 설치 위치만을 달리할 뿐 수행하는 역할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다른 동작모드로서, 상기 상부 샤워노즐(109)에 의하여 세척하여도 사용자 신체 구석구석에 대한 철저한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벽걸이 샤워노즐 밸브레버(128)를 수동으로 개방하여 벽걸이 샤워노즐(110)을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직접 원하는 부위를 세척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부 샤워노즐(109)은 상기 바디샤워 케이스(104)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항상 위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서만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의 욕실에 설치된 샤워기 형상의 벽걸이 샤워노즐(110)과, 상기 벽걸이 샤워노즐(110)의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벽걸이 샤워노즐 밸브레버(128)를 상기 바디샤워 케이스(104)에 더 설치하고, 사용자가 상기 벽걸이 샤워노즐(110)을 사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신체 부위를 원하는 세기와 각도로 세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청결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동작모드로서, 상기 온/오프 스위치(137)(139)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기기의 일 면에 설치된 바디샤워 메인 밸브레버(126)와 상부 샤워노즐 밸브레버(127)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레버(126)(127)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동작 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스위치(137)(139)가 고장 나서 정상적으로 동작 되지 아니할 때에는 상기 레버(126)(127)를 수동으로 개방함으로써, 상기 스위치(137)(139)의 작동 여부에 관계없이 수동으로 상기 바디샤워부(101)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기의 동작 신뢰성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샤워노즐(109) 또는 상기 벽걸이 샤워노즐(110)에서 분사되어 작업자의 신체에 묻은 유해물질을 세척한 후의 세척수는, 드레인플레이트(145)에 형성된 배출공(147)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45) 하방으로 낙수되고, 낙수된 세척수는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45) 하방의 드레인호퍼(146)에 집수되어, 메인 배수구(도 3의 148 참조)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일련의 세척과정이 완료된다.
한편, 아이샤워부(102)는 센서(135)에 의하여 작동된다. 상세히, 작업자가 안면부 특히 눈 부위의 세척을 위하여 상기 아이샤워부(102)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작업자는 상기 센서(135)에 의해서 감지되고, 상기 센서(135)에서 발생 되는 소정의 신호에 의해서 상기 아이샤워부(102)의 작동이 자동으로 개시된다. 상기 아이샤워부(102)의 작동이 자동으로 개시되면, 세척수는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내부 배관 구조에 의해서 아이노즐(111)을 통하여 자동으로 분사되고,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서 사용자의 안면부, 눈, 기타 사용자가 세척을 원하는 부위가 세척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별도로 아이샤워부(102)를 조작할 필요 없이 아이샤워부(102)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눈, 안면 등에 묻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아이샤워에 접근하기만 하면 상기 센서(135)에 의해서 자동으로 작업자의 접근이 감지됨으로써, 편리하게 아이샤워부(102)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동작모드로서, 센서(135)가 고장 나는 등 아이샤워부(102)를 수동모드로 작동시켜야 할 경우, 사용자는 아이샤워 밸브레버(125)를 조작함으로써 수동으로 아이샤워부(102)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상기 아이샤워 밸브레버(125)는 상기 기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의 온/오프가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서 수동으로 조작되도록 하고, 수동조작과 동시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기기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바디샤워 케이스(104) 및 아이샤워 케이스(105)의 내부에 제공되는 배관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구성을 보여주는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에는, 급수원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메인 급수관(106)과, 상기 메인 급수관(106)에서 분지되는 바디샤워측 급수관(107) 및 아이샤워측 급수관(108)이 포함된다.
먼저, 바디샤워부(101)의 배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바디샤워부(101)는, 상기 메인 급수관(106)에서 분지되어 세척수를 공급받는 바디샤워측 급수관(107)과, 상기 바디샤워측 급수관(107)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바디샤워 제 1 개폐밸브(129) 및 바디샤워 제 2 개폐밸브(130)와, 상기 밸브(129)(130)를 통과한 세척수의 공급을 다시 한 번 제어하는 바디샤워 상부측 개폐밸브(131) 및 바디샤워 벽걸이측 개폐밸브(132)와, 상기 배관 구조를 통하여 공급된 세척수가 사용자에게 분사되는 상부 샤워노즐(109) 및 벽걸이 샤워노즐(110)이 포함된다.
또한 유해물질을 세척한 세척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드레인플레이트(145)와,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45)의 배출공(147)을 통과한 세척수가 집수 되는 드레인호퍼(146)와, 상기 드레인호퍼(146)에 집수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메인 배수구(148)가 포함된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바디샤워부(101)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디샤워부(101)가 작동되는 경우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묻은 유해물질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 제 1 온/오프 스위치(137) 또는 제 2 온/오프 스위치(139)를 작동시킨다. 상세히, 바디-아이 샤워장치(100)를 이용하여 유해물질에 오염된 자신의 신체를 세척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작업장 내에 설치된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내부로 들어오면서 상기 제 1 온/오프 스위치(137)를 작동시킨다. 한편, 이미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내부에 들어와 있는 사용자는 상기 제 2 온/오프 스위치(139)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스위치(137)(139)의 작동에 의하여, 바디샤워 제 1 개폐밸브(129)가 개방된다.
둘째, 지정된 시간이 경과 하면 (후술할) 타이머가 작동되어 바디샤워 제 1 개폐밸브(129)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지정된 시간이 경과 된 뒤에 상기 바디샤워 제 1 개폐밸브(129)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은, 배관의 내부에 물이 정체되어 부패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셋째, 상기 스위치(137)(139)나 타이머가 고장 등에 의하여 작동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바디샤워 메인 밸브레버(126)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바디샤워 제 2 개폐밸브(130)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의 세 가지 경우와 같이, 상기 밸브(129)(130) 중 어느 하나라도 개방되면, 개방된 밸브(129)(130)를 통하여 상기 바디샤워측 급수관(107)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밸브(129)(130)를 통과한 세척수는, 바디샤워 상부측 개폐밸브(131)를 통과한 뒤 상부 샤워노즐(109)을 통하여 분사되거나, 또는 바디샤워 벽걸이측 개폐밸브(132)를 통과한 뒤 벽걸이 샤워노즐(110)을 통하여 분사된다. 그리고, 유해물질을 세척한 후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45)의 배출공(147)을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된 세척수는 드레인호퍼(146)에 집수되고, 상기 드레인호퍼(146)에 집수된 세척수는 메인 배수구(148)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100)가 사용되는 상황은 작업자가 유해물질에 오염된 비상상황일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벽걸이 샤워노즐(110)을 이용하여 자신의 신체를 세척하기보다는 상부 샤워노즐(109)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세척하는 것이 먼저일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바디샤워부(101) 동작의 기본모드로는, 상기 상부 샤워노즐(109)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평상시에 상기 바디샤워 상부측 개폐밸브(131)는 개방되어 있고, 바디샤워 벽걸이측 개폐밸브(132)는 폐쇄되어 있는 것이 기본모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본모드인 경우, 상기 스위치(137)(139) 또는 타이머 또는 상기 바디샤워 메인 밸브레버(126)의 작동에 의하여 바디샤워 제 1 개폐밸브(129) 또는 바디샤워 제 2 개폐밸브(130)가 개방되면, 상기 밸브(129)(130)를 통과한 세척수는, 바디샤워 상부측 개폐밸브(131)를 통과한 뒤 상부 샤워노즐(109)을 통하여 분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부 샤워노즐(109)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1차적인 세척이 이루어진 후, 사용자가 벽걸이 샤워노즐(110)을 이용하여 더욱 청결한 세척을 원할 경우 벽걸이 샤워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상부 샤워노즐 밸브레버(127)와 벽걸이 샤워노즐 밸브레버(128)를 조작하여, 상기 바디샤워 상부측 개폐밸브(131)와 바디샤워 벽걸이측 개폐밸브(132)의 개폐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바디샤워부(101)의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이샤워부(102)의 배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아이샤워부(102)는, 세척수를 공급받는 아이샤워측 급수관(108)과, 상기 아이샤워측 급수관(108)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아이샤워 제 1 개폐밸브(121) 및 아이샤워 제 2 개폐밸브(122)와, 상기 아이샤워측 급수관(108)에서 아이샤워 제 1 개폐밸브(121) 쪽으로 분지되는 바이패스관(118)과, 상기 밸브(121)(122)를 통과한 세척수가 상기 아이노즐(111)에서 분사되기 위하여 형성된 배관구조인 노즐측 배관(119), 제 2 압력조절부(124), 노즐측 급수관(115)과, 분배관(112) 및 아이노즐(111)이 포함된다.
또한 유해물질을 세척한 세척수가 집수되는 와셔보울(113)과, 상기 와셔보울(113)에 집수된 물이 통과하는 관로로서 상기 와셔보울(113)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114)와, 상기 배수구(114)를 통과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관(120)이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이샤워부(102) 배관의 동작 내지 작용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면 이는 센서(131)에 의하여 감지되고, 감지된 신호에 의해서 아이샤워의 제어부가 동작됨으로써 제 1 개폐밸브(121)가 개방된다. 또는,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타이머가 작동하여 제 1 개폐밸브(121)가 개방된다.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아이샤워 밸브레버(125)를 개방하면 제 2 개폐밸브(122)가 개방된다.
상기 밸브(121)(122) 중 어느 하나라도 개방되면, 개방된 밸브(121)(122)를 통하여, 아이샤워측 급수관(108)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노즐측 배관(119)까지 전달되고, 상기 노즐측 배관(119)을 통과한 세척수는 수압조절을 위해 설치된 제 2 압력조절부(124)를 지나 노즐측 급수관(115)으로 전달된다. 상기 노즐측 급수관(115)으로 전달된 세척수는 분배관(112)에서 각 아이노즐(111)로 분배되어 세척부위에 분사되게 된다. 그리고, 유해물질을 세척한 후 와셔보울(113)에 집수된 세척수는 배수구(114)를 통과하여 배수관(120)을 지나 드레인호퍼(146)로 배출되고, 상기 드레인호퍼(146)에 집수된 세척수는 메인 배수구(148)를 통하여 배출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측면도로서, 본 도면에 의하여 바디샤워부의 구성 및 그 연결상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급수부는, 공급된 세척수의 압력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제 1 압력조절부(123)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압력조절부(123)는 공급되는 수압의 급격한 변화 또는 세척수 공급의 순간적 중단 등에 대비하여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적정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필요수압 이상이어서 압력을 강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감압밸브의 기능이, 수압이 필요수압 이하이어서 압력을 상승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가압밸브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바디샤워부(101)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제 1 온/오프 스위치(137) 또는 제 2 온/오프 스위치(139) 또는 타이머가 작동되면, 상기 바디샤워부(101)의 바디샤워 제 1 개폐밸브(129)가 개방된다.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바디샤워 메인 밸브레버(126)가 작동되면, 바디샤워 제 2 개폐밸브(130)가 개방된다.
상기 밸브(129)(130) 개방 시, 제 1 압력조절부(123)에서 적절한 압력으로 조절되어 상기 밸브를 통과한 세척수는, 바디샤워 상부측 개폐밸브(131)를 지나 상부 샤워노즐(109)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분사되거나, 또는 바디샤워 벽걸이측 개폐밸브(132)를 지나 벽걸이 샤워노즐(110)을 통해 사용자에게 분사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정면도로서, 본 도면에 의하여 아이샤워부의 구성 및 그 연결상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아이샤워부(102)의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의 구성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아이샤워부(102)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아이샤워 제 1 개폐밸브(121)는 사용자가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하여 센서가 작동될 때, 또는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타이머가 작동될 때 개방된다. 또한, 아이샤워 제 2 개폐밸브(122)는, 상기 센서 또는 타이머의 고장 등에 의하여 상기 아이샤워부(102)를 수동으로 작동시켜야 할 경우, 아이샤워 밸브레버(125)의 조작에 의하여 개방된다.
상기 밸브(121)(122) 개방 시, 메인 급수관(106)으로부터 아이샤워측 급수관(108)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밸브(121)(122)와 노즐측 배관(119)을 지나 제 2 압력조절부(124)에서 적정 수압으로 다시 한 번 조절되어 노즐측 급수관(115)을 통과한다. 상기와 같이 노즐측 급수관(115)를 통과한 세척수는 분배관(112)에서 각 아이노즐(111)로 분배되어 사용자가 세척을 원하는 부위에 분사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압력조절부(124)는, 한 쌍의 노즐측 급수관(115)의 양 배관으로 유입되는 수압이 적절하게 분배되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압력조절부(124)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형태로 제공되어,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설치 시에 설치자가 이를 한 번 조작함으로써 상기 아이노즐(111)에 공급되는 수압이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아이노즐(111)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 후 와셔보울(113)에 집수되며, 상기 세척수는 배수구(114)를 통과하여 배수관(120)을 통해 드레인호퍼(146)로 배수되고, 상기 드레인호퍼(146)에 집수된 세척수는 메인 배수구(14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도면은 아이샤워부(102)의 아이노즐(111)이 8개일 때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도면에 의하여 아이샤워부(102)의 구성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샤워부(102)의 아이노즐(111)은 두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8개의 아이노즐(111)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세척수가 와셔보울(113)의 구심방향으로 분사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분배관(112)에 연결되어, 상기 분배관(112)의 구심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아이노즐(111)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보다 집중적이고 효율적인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세척 부위, 예를 들면 안면부 또는 눈 주위, 나아가서는 기타 사용자가 세척을 원하는 신체 부위나 유해물질에 오염된 장비까지도 신속하게 세척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제어부 회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구동부 회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제어부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기기에 사용되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161)와, 상기 전원공급장치(161)를 통하여 공급된 전압을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 1 변압기(162) 및 제 2 변압기(163)와, 상기 변압기(162)(163) 또는 기기의 내부에서 갑작스럽게 발생 되는 과전류에 의한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퓨즈(164) 및 제 2 퓨즈(165)와, 상기 전원공급장치(161)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파워램프(170)와, 상기 전원공급장치(16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PLC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PLC 회로부 전원(172)과, 일정 시간마다 바디-아이 샤워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타이머(171)와,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동작 중 사용자의 용이한 세척을 위하여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100) 내부에 조명을 제공하는 내부전등(173)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공급장치(161)는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전압 변동, 주파수 변동, 순간 정전, 과도 전압 등으로 인한 전원 이상을 방지하고 항상 안정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갑작스런 정전이 발생 되었을 때라도 기기의 내부로는 충전된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세척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러한 비상 시에도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구동부는, 상기 타이머(171)의 작동에 의하여 개폐되는 타이머 스위치(185), 센서(도 9의 192 참조)에 의하여 개폐되는 아이샤워 제 1 스위치(181), 상기 타이머 스위치(185)의 작동에 의하여 개폐되는 아이샤워 제 2 스위치(182) 및 상기 스위치(181)(182)에 의하여 작동되는 아이샤워 개폐밸브(186)가 포함된다.
또한, 제 1 온/오프 스위치(137) 또는 제 2 온/오프 스위치(139)의 작동에 의하여 개폐되는 바디샤워 제 1 스위치(183), 상기 타이머 스위치(185)의 작동에 의하여 개폐되는 바디샤워 제 2 스위치(184) 및 상기 스위치(183)(184)에 의하여 작동되는 바디샤워 개폐밸브(187)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타이머(171)와 상기 타이머 스위치(185)의 사이에는 릴레이가 개입되어 있어서, 상기 타이머(171)에서 발생 되는 신호가 상기 타이머 스위치(185)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타이머 스위치(185)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아이샤워 제 2 스위치(182) 및 바디샤워 제 2 스위치(184)가 동작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182)(184)의 온/오프 동작에 의하여 상기 아이샤워 개폐밸브(186) 또는 바디샤워 개폐밸브(187)가 개폐 동작 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개폐밸브(186)(187)의 대표적인 실시예로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들 수 있으며, 도 8의 구동부 회로도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예시한 것이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밸브로서, 유체나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일반적으로 수동 밸브의 대체 용도, 또는 원격 제어가 요구되는 곳에서 사용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기적 스위치의 변화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전기적 스위치의 종류에는 자동온도, 압력, 시간 스위치 또는 수동 스위치 등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회로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치(191)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192)가 포함된다.
상세히,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란, 종래에 사용하던 제어반 내의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 등의 릴레이 제어반 기능을 LSI,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로 대체시켜, 기본적인 시퀀스 제어 기능에 수치 연산 기능을 추가하여 프로그램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메모리에 있는 프로그램의 시작과 끝을 순환(SCAN)하면서 로직을 수행하는 자율성이 높은 제어 장치이다. 미국 전기 공업회 규격(NEMA:NATIONAL ELECTRIC MANUFACTURING ASSOCIATION)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입출력 모듈을 통하여 로직, 시퀀싱, 타이밍, 카운팅, 연산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를 사용하고 여러 종류의 기계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디지털 동작의 전자 장치”로 정의하고 있다. PLC의 역할은 시퀀스제어, PID제어, 아날로그제어, 위치제어 등이다. 대부분의 PLC는 접접의 AND, OR연산과 타이머(Timer)/카운터(Counter) 연산 등의 기본 연산 기능과 서브루틴, 쉬프트(Shift), 마스터 컨트롤(Master Control), 데이타 연산 등 응용 연산 기능을 지닌다.
한편, 상기 스위치(191)는 제 1 온/오프 스위치(137) 또는 제 2 온/오프 스위치(139)가 작동됨에 의하여 소정의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센서(192)는 사용자가 아이샤워부(102)로 접근할 때 이를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접근센서로 사용 가능한 센서로는, 첫 번째로 도면에서 예시하고 있는 것처럼 적외선 센서를 들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한쪽에서는 강한 적외선을 발사하는 LED가 있고, 또 다른 한쪽에는 그 적외선을 받는 적외센서인 포토TR이 있어서, 평소에는 센서가 빛을 받아 ON되어 있지만 그 사이에 어떤 물체가 있으면 센서가 적외선이 막히므로 OFF되어 물체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이 외에도 온도의 상승에 따른 저항의 변화로 접근을 감지하는 온도센서, 물체에 초음파를 발사하여 되돌아 오는 초음파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센서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제어부와 구동부와 PLC 회로부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7의 제어부에서는, 외부전원장치로부터 상기 전원공급장치(161)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은 제 1 변압기(162)와 제 1 퓨즈(164), 그리고 제 2 변압기(163)를 통과하면서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에 적정한 전압으로 변압 된 후, 도 8의 구동부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161)에서 공급된 전력은 분지되어 PLC 회로부 전원(172)에 공급되며, 상기 PLC 회로부 전원(172)에 공급된 전력은 도 9의 PLC 회로부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161)에서 공급된 전원은 분지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파워램프(170)와, 일정 시간마다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소정 시간의 경과 여부를 체크하는 타이머(171)와, 상기 바디-아이 샤워장치(100)의 작동 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여 용이한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내부전등(173)을 작동시킨다.
한편, 도 8의 구동부에서는, 상기 타이머(171)는 지정된 시간이 되면 타이머 스위치(185)에 릴레이 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아이샤워 제 2 스위치(182) 및 바디샤워 제 2 스위치(184)가 릴레이 된다. 그러면, 아이샤워 개폐밸브(186) 및 바디샤워 개폐밸브(187)가 개방되어 세척수가 바디-아이 샤워장치(100)로 공급된다.
한편, 도 9의 PLC 회로부에서는, 상기 스위치(191)가 작동되면 바디샤워 제 1 스위치(183)에 릴레이 되고, 이에 의하여 바디샤워 개폐밸브(187)가 개방되어 세척수가 바디샤워부(101)로 공급된다. 또는, 상기 센서(192)가 사용자를 감지하면 아이샤워 제 1 스위치(181)에 릴레이 되고, 이에 의하여 아이샤워 개폐밸브(186)가 개방되어 세척수가 아이샤워부(102)로 공급된다.
도 10은, 바디샤워측 급수관에 필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아이샤워측 급수관에 필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주요 구성인 필터의 정면도,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주요 구성인 필터의 종단면도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샤워장치의 경우, 샤워노즐, 아이노즐, 각종 버튼, 밸브, 배관 등에 스케일(scale)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수중에 포함된 마그네슘(Mg), 칼슘(Ca) 등에 의해서, 스케일이 발생한다.
또한, 스케일 및 부식에 의해 배관, 버튼 등에서 누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일 예로, 수질 오염 등의 원인으로, 오링(O-ring) 등의 실링 기능이 상실되어,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은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필터(210)를 구비한다.
상기 필터(210)는, 급수원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메인 급수관(106)과 세척수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상부 샤워노즐(109) 또는 벽걸이 샤워노즐(110)을 연결하는 물의 유동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210)는, 급수원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메인 급수관(106)과 세척수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아이노즐(111)을 연결하는 물의 유동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의 유동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필터(210)의 선단에는, 감압밸브(22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물은 감압밸브(220)를 먼저 통과한 뒤 필터(210)로 유입된다.
상기 감압밸브(220)는 상기 필터(210)로 유동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여, 필터(210)에 높은 수압의 물이 유입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만약, 필터(210)에 너무 높은 압력의 물이 유입되면, 필터(210)가 손상될 수 있고, 필터(210)의 여과기능 상실될 수도 있다.
도 4a는 메인 급수관에 필터와 감압밸브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다시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210)와 감압밸브(220)는 급수원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메인 급수관(106)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급수관(106)을 유동하면서, 감압밸브(220)와 필터(2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물은 정수로 정화된 후, 상기 메인 급수관(106)에서 분지되는 바디샤워측 급수관(107)과 아이샤워측 급수관(108)으로 각각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샤워노즐(109), 벽걸이 샤워노즐(110), 아이노즐(111) 등을 통해서, 출수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부 샤워노즐(109), 벽걸이 샤워노즐(110), 아이노즐(111) 등을 통해서, 출수된 정수를 통해서 샤워를 진행할 수 있다.
도 4b는 바디샤워측 급수관에 필터와 감압밸브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210)와 감압밸브(220)는 상기 메인 급수관(106)에서 분지되는 바디샤워측 급수관(107)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급수관(106)을 통해 바디샤워측 급수관(107)으로 유입된 물은, 바디샤워측 급수관(107)을 유동하면서 감압밸브(220)와 필터(2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정수로 정화된 후, 상부 샤워노즐(109), 벽걸이 샤워노즐(110) 등을 통해서, 출수될 수 있다.
도 5는 아이샤워측 급수관에 필터와 감압밸브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바디-아이 샤워장치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210)와 감압밸브(220)는 상기 메인 급수관(106)에서 분지되는 아이샤워측 급수관(108)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급수관(106)을 통해 아이샤워측 급수관(108)으로 유입된 물은, 아이샤워측 급수관(108)을 유동하면서 감압밸브(220)와 필터(2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정수로 정화된 후, 아이노즐(111)을 통해서, 출수될 수 있다.
또한,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210)와 감압밸브(220)는 상기 메인 급수관(106)에서 분지되는 바디샤워측 급수관(107)과 아이샤워측 급수관(108)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급수관(106)을 통해 바디샤워측 급수관(107)으로 유입된 물은, 바디샤워측 급수관(107)을 유동하면서 감압밸브(220)와 필터(2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정수로 정화된 후, 상부 샤워노즐(109), 벽걸이 샤워노즐(110) 등을 통해서, 출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급수관(106)을 통해 아이샤워측 급수관(108)으로 유입된 물은, 아이샤워측 급수관(108)을 유동하면서 감압밸브(220)와 필터(2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정수로 정화된 후, 아이노즐(111)을 통해서, 출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210)와 감압밸브(220)가 상기 메인 급수관(106)에서 분지된 바디샤워측 급수관(107)에 설치될 경우, 상기 감압밸브(220)의 입수측은 메인 급수관(106)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감압밸브(220)의 출수측은 바디샤워측 급수관(107)과 연결된다.
그리고, 바디샤워측 급수관(107)에는 필터(210)가 설치된다. 상기 바디샤워측 급수관(107)은 제1 바디샤워측 급수관(107a)과, 제2 바디샤워측 급수관(107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샤워측 급수관(107a)은 일측이 상기 감압밸브(220)의 출수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필터(210)의 입수측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바디샤워측 급수관(107b)은 일측이 상기 필터(210)의 출수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 샤워노즐(109) 또는 벽걸이 샤워노즐(110) 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샤워측 급수관(107a)과, 제2 바디샤워측 급수관(107b)은 유연한(flexibl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샤워측 급수관(107a)과, 제2 바디샤워측 급수관(107b)은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바디샤워측 급수관(107a)과, 제2 바디샤워측 급수관(107b)는 'ㄱ'자, 'ㄴ'자', ㄷ'자, 'S'자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210)는 상기 갑압밸브(220) 대비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샤워측 급수관(107a)의 입구와, 제2 바디샤워측 급수관(107b)의 출구는 상기 필터(210) 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급수관(106)은 상기 필터(210) 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급수관(106)의 입구측은 상기 메인 급수관(106)의 출구측 보대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210)와 감압밸브(220)가 상기 메인 급수관(106)에서 분지되는 아이샤워측 급수관(108)에 설치될 경우, 상기 감압밸브(220)의 입수측은 메인 급수관(106)과 연결된 제1 아이샤워측 급수관(108a)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1 아이샤워측 급수관(108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감압밸브(220)를 통과한 물은, 제2 아이샤워측 급수관(108b)을 통해서, 필터(210) 측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필터(21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물은, 제3 아이샤워측 급수관(108c)을 통해서, 아이노즐(111) 측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1 아이샤워측 급수관(108a)과, 제2 아이샤워측 급수관(108b)과, 제3 아이샤워측 급수관(108c)은 유연한(flexibl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아이샤워측 급수관(108a)과, 제2 아이샤워측 급수관(108b)과, 제3 아이샤워측 급수관(108c)은 적어도 일부가 절곡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아이샤워측 급수관(108a)과, 제2 아이샤워측 급수관(108b)과, 제3 아이샤워측 급수관(108c)은 'ㄱ'자, 'ㄴ'자', ㄷ'자, 'S'자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210)는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측이 개방된 필터 하우징(212)과, 상기 필터 하우징(212)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는 필터 커버(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211)의 상측에는 물이 유입하는 입수부(211a)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하우징(212)의 하측에는 물이 배출되는 출수부(21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하우징(212)과 필터 커버(211)에 의해 정의된 필터(210)의 내부공간에는 각종 여과부재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210)의 내부공간에는 이온교환수지(215)가 수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필터(210)의 내부공간에는 PE 코어필터(214)가 수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필터(210)의 내부공간에는 카본필터(213)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210)의 내부공간에는, 카본필터(213), PE 코어필터(214), 이온교환수지(215) 중 선택된 적어도 2개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카본필터(213)는 활성탄과 바인더 등을 원료에 포함하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본필터(213)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PE 코어필터(214)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E 코어필터(214)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PE 코어필터(214)는 외측 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홈부와 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E 코어필터(214)는, PE 재질을 포함하고, 스펀지 등과 같은 다공성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PE 코어필터(214)는, 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본필터(213)와 PE 코어필터(214)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카본필터(213)와 PE 코어필터(214)의 상면에는, 물의 유입이 차단되게 상부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커버의 상측에는 이온교환수지(215)가 충진되고, 상기 PE 코어필터(214)의 외측에도 이온교환수지(215)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필터(213)와 PE 코어필터(214)의 하면은 상기 필터 하우징(212)의 내측 바닥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커버(211)의 입수부(211a)로 유입된 물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하면서, 이온교환수지(215)에 의해 1차 여과되고, 상기 PE 코어필터(214)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유동하면서, 2차 여과되며, PE 코어필터(214)의 내측에 배치된 카본필터(213)를 통과하면서 3차 여과된 후, 상기 카본필터(213)의 하측에 형성된 필터 하우징(212)의 출수부(212a)를 통해서, 배출된다.
도 12b를 참조하면, 필터 하우징(212)의 내측 중심에는 블럭 형태의 카본필터(213)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카본필터(213)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PE 코어필터(214)가 배치된다. 그리고, 필터커버(211)와 필터 하우징(212)의 내측 잔여 공간에 이온교환수지(215)가 충진된다.
일 예로, 상기 이온교환수지(215)는 양이온 또는 음이온 흡착 기능을 갖고, 입자의 형태로 필터 하우징(212)의 내측에 충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수부(211a)를 통해서, 물이 유입되면, 상기 이온교환수지(215)를 통과하면서, 1차로 여과된다. 이때, 수중의 스케일 유발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특히, 마그네슘(Mg), 칼슘(Ca)등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PE 코어필터(214)를 거치면서, 2차로 여과된다. 이때, 수중의 부유물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카본필터(213)를 거치면서, 3차로 여과된다. 이때, 수중의 중금속, 유기물 등이 제거되고, 냄새 또한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3차로 여과된 물은 출수부(212a)를 통해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물이 유동하는 경로에, 필터(210)가 설치되면, 샤워장치로 유입된 물에서 마그네슘(Mg), 칼슘(Ca) 등과 같은 스케일 유발물질을 제거하여, 샤워노즐, 아이노즐, 각종 버튼, 밸브, 배관 등에서 발생하는 스케일(scale)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샤워장치로 유입된 물을 음용 가능한 수준으로 정화시킨 뒤, 샤워노즐 또는 아이노즐로 공급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샤워노즐 또는 아이노즐로 토출된 물을 음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샤워장치로 유입된 물의 오염원을 제거하여, 샤워장치를 유동하는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수질오염에 따른 오링(O-ring)의 부식을 방지하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급수원에서 공급된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의 유로에 설치되어, 유동하는 물을 여과시키는 필터;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다수의 토출 측으로 분배되는 분배관;
    상기 분배관에서 분배된 세척수가 일정 압력으로 분사되는 복수 개의 아이노즐;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샤워노즐; 및
    상기 아이노즐 또는 샤워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사용된 뒤 배수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는:
    상면에 입수부가 형성되고, 하단이 개방되는 필터커버;
    바닥면에 물이 배출되는 출수부가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어 상기 필터 커버의 하단과 결합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면이 상기 필터 하우징의 바닥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출수부를 커버하는 원통형의 카본필터;
    상기 카본필터의 외측 표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하면이 상기 필터 하우징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PE코어 필터;
    상기 카본필터와 PE코어필터의 상면에 물의 유입이 차단되게 형성되는 상부커버;
    상기 필터 커버와 필터 하우징 내부의 잔여공간에 충진되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하면서 1차 여과되고, 상기 PE 코어필터를 통과하면서 2차 여과되며, 상기 카본필터를 통과하면서 3차 여과된 후 상기 출수부로 토출되는 바디-아이 샤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의 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측으로 유동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를 더 포함하는 바디-아이 샤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는 메인 급수관;
    상기 메인 급수관에서 분지되고, 상기 샤워노즐과 연결된 바디샤워측 급수관;
    상기 메인 급수관에서 분지되고, 상기 아이노즐과 연결된 아이샤워측 급수관을 포함하는 바디-아이 샤워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메인 급수관에 설치되는 바디-아이 샤워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바디샤워측 급수관에 설치되는 바디-아이 샤워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아이샤워측 급수관에 설치되는 바디-아이 샤워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급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센서가 포함되는 바디-아이 샤워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노즐은, 신속한 세척을 위하여 상측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상부 샤워노즐과, 용이한 세척을 위하여 플렉서블(flexible)한 부분이 제공되는 벽걸이 샤워노즐이 포함되는 바디-아이 샤워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노즐 및 샤워노즐은 동시에 세척수가 분사되거나 또는 별도로 세척수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아이 샤워장치.




KR1020210032005A 2021-03-11 2021-03-11 바디-아이 샤워장치 KR102297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005A KR102297738B1 (ko) 2021-03-11 2021-03-11 바디-아이 샤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005A KR102297738B1 (ko) 2021-03-11 2021-03-11 바디-아이 샤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738B1 true KR102297738B1 (ko) 2021-09-02

Family

ID=7779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005A KR102297738B1 (ko) 2021-03-11 2021-03-11 바디-아이 샤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023U (ko) * 2022-04-14 2023-10-24 주식회사 록키시스템 비상 샤워부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979B1 (ko) * 2006-03-16 2007-05-23 성진세미텍주식회사 바디-아이샤워
KR100793984B1 (ko) * 2007-06-01 2008-01-16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기능성 복합수 샤워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979B1 (ko) * 2006-03-16 2007-05-23 성진세미텍주식회사 바디-아이샤워
KR100793984B1 (ko) * 2007-06-01 2008-01-16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기능성 복합수 샤워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023U (ko) * 2022-04-14 2023-10-24 주식회사 록키시스템 비상 샤워부스
KR200497729Y1 (ko) * 2022-04-14 2024-02-08 주식회사 록키시스템 비상 샤워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9347A (en) Automated flushing module
KR102297738B1 (ko) 바디-아이 샤워장치
KR20050002870A (ko) 애완동물의 검사, 세정, 소독과 기생충 제거, 및수동마사지를 위한 스테이션
KR200392190Y1 (ko) 에어샤워장치
KR101501697B1 (ko) 복합 공기정화시스템
JP2004301423A (ja) 自動再生型換気装置
KR100720979B1 (ko) 바디-아이샤워
JP3886120B2 (ja) 排気浄化装置
JP2012529337A (ja) 浄水器のスチーム殺菌システム
KR100729562B1 (ko) 아이샤워
KR101667951B1 (ko) 다목적 공기정화장치
JP2019076846A (ja) ストレーナ
JP2002155555A (ja) 給水装置
KR101548045B1 (ko) 액체 저류 장치의 여과장치
KR200424660Y1 (ko) 에어샤워장치
JP3502708B2 (ja) 湯水浄化式追焚装置
KR102247854B1 (ko) 옥내 수도관용 녹물 및 이물질 제거 필터
JP3047060U (ja) 強制シャワー装置
US20060249462A1 (en) Equipment for the sterilization of water in bathroom facilities and the like
RU2819763C1 (ru) Программно-аппарат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автоматизации процесса водоподготовки
KR200343301Y1 (ko) 세정식 공기정화장치의 수조세척 및 처리수 교환장치
KR20130000268A (ko) 안구 세척장치
KR20130127832A (ko) 시간 변화에 따라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2-bed type 여과필터
KR20160111844A (ko) 이중 필터링 구조를 갖는 다목적 공기정화장치
JP2002011307A (ja) ストレーナの洗浄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