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572B1 - Movable Bonfire Apparatus - Google Patents

Movable Bonfir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572B1
KR102297572B1 KR1020200017499A KR20200017499A KR102297572B1 KR 102297572 B1 KR102297572 B1 KR 102297572B1 KR 1020200017499 A KR1020200017499 A KR 1020200017499A KR 20200017499 A KR20200017499 A KR 20200017499A KR 102297572 B1 KR102297572 B1 KR 102297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ttom plate
guide rod
support
bon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4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3135A (en
Inventor
이병노
김미영
이승해
이승규
Original Assignee
이병노
김미영
이승해
이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노, 김미영, 이승해, 이승규 filed Critical 이병노
Priority to KR1020200017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572B1/en
Publication of KR2021010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1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5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6Stov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3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 F24B1/207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mov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7Ash-sif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이 간편하고 열원으로 각종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며 모닥불을 지필 수 있는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에 관한 것으로, 중심에 복수의 통공(12)이 형성된 바닥판(11)이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11)의 좌우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장공(19)이 각각 형성된 좌측거치판(17)과 우측거치판(18)이 각각 확장 구성되며, 상기 바닥판(11)의 전단과 후단에 전면판(13)과 후면판(14)이 상부로 각각 돌출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11)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좌측판(15)과 우측판(16)이 상부로 각각 돌출 구성된 본체(10); 상기 바닥판(11)과 좌측판(15) 사이의 모서리에 공간부가 형성된 제1수납체(21)가 구성되고, 제1수납체(21)에 수납되는 상단이 개방된 제1구이통(20); 상기 바닥판(11)과 우측판(16) 사이의 모서리에 공간부가 형성된 제2수납체(24)가 구성되고, 제2수납체(24)에 수납되는 상단이 개방된 제2구이통(23); 상기 바닥판(11) 저면에 고정 결합된 가이드레일(31)에 삽입 및 인출되되, 삽입 및 인출되는 위치에 따라 바닥판(11)의 통공(12)을 통해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고, 통공(12)을 통해 낙하하는 재를 받는 받침대(30); 상기 좌측판(15)과 우측판(16)의 각 외측면에 각각 복수로 제1가이드봉(41)이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되, 제1가이드봉(41) 측면에 제1지지대(42)의 승강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43)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봉(41)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제1지지대(42)가 구성되며,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42)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 결합된 꼬치거치대(40);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제2가이드봉(51)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봉(51)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제2지지대(52)가 구성된 제1테이블거치대(50);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제3가이드봉(54)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3가이드봉(54)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제3지지대(55)가 구성된 제2테이블거치대(53);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방향 전환이 자유로운 캐스터가 복수로 결합되는 바퀴(60); 상기 좌측거치판(17)과 우측거치판(18) 단부에 견인공(72)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견인공(72)에 걸 수 있는 견인고리(71)가 구비된 견인부재(70), 및 상기 본체(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어 본체(10)의 바닥판(11)에서 피운 모닥불의 화력으로 내부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 물탱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모닥불을 피워 캠프파이어의 효과를 즐길 수 있고, 모닥불을 이용하여 각종 식재료를 요리할 수 있으며, 장작을 싣거나 그릇이나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고, 물을 가열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모닥불의 화기를 조절할 수 있고, 모닥불의 재를 받아 낼 수 있어 주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를 쉽게 분해할 수 있어 세척이 간편하고, 바퀴가 구성되어 이동이 자유로우며, 화재의 위험이 적어 사용자에게 편의성, 안전성 및 실용성을 제공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onfire brazier that is easy to move, can cook various foods with a heat source, and can light a bonfir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17 and 18, each having long holes 19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11, respectively, are expanded and configured, a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ottom plate 11 have a front plate ( 13) and the rear plate 14 are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respectively, and the left plate 15 and the right plate 16 are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11, respectively. (10); A first accommodating body 21 having a space formed at a corner between the bottom plate 11 and the left plate 15 is configured, and a first grilling container 20 with an open upper end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body 21 . ; A second accommodating body 24 having a space formed at a corner between the bottom plate 11 and the right plate 16 is configured, and a second roasting container 23 with an open upper end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body 24 . ; It is inserted and drawn out into the guide rail 31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and the inflow of air is controll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 of the bottom plate 11 according to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position, and the through hole ( 12) receiving the ash falling through the pedestal 30; A plurality of first guide rods 41 are vertically fixedly coupled to each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left plate 15 and the right plate 16, respectively, the first guide rod 41 on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er 42. A stopper 43 for limiting the lifting position is provided, a first support 42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rod 41 to ascend and descend is configured, and grooves 4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end, and the Skewers 40 fixed horizontally to the top of the first support 42; A first table holder having a second guide rod 51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t regular intervals from left and right, and a second support rod 52 inserted or drawn out into the second guide rod 51 . (50); A second table holder having a third guide rod 54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t regular intervals from left and right, and a third support rod 55 inserted or drawn out into the third guide rod 54 . (53); a wheel 60 to which a plurality of casters freely changing direction ar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traction member 70 provided with a traction ring 71 that can be hung on the traction hole 72, wherein a traction hole 72 is formed at the ends of the left pedestal plate 17 and the right cradle 18, respectively; and a water tank 80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main body 10 to heat the water filled therein with the thermal power of a campfire lit on the bottom plate 11 of the main body 10 . In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enjoy the effect of a campfire by lighting a campfire, you can cook various ingredients using the campfire, you can load firewood or put a bowl or food ingredient, and you can use it by heating water, The fire can be controlled, the ash from the bonfire can be taken out, so the surroundings can be kept clean. convenience, safety and practicality.

Description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Movable Bonfire Apparatus}Movable Bonfire Apparatus

본 발명은 모닥불 화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이 간편하고 열원으로 각종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며 모닥불을 지필 수 있는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pfire braz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ampfire brazier that is easy to move, can cook various foods with a heat source, and can light a campfire.

일반적으로 모닥불은 장작이나 잎나무 또는 검불 따위를 모아 놓고 피우는 불이다. 더욱이 모닥불은 바람을 막기 위하여 돌이나 벽돌 등을 바닥에 삥 둘러 쌓아놓고 피우기도 한다. 이러한 모닥불은 바닥을 태우게 되므로 흔적을 남기게 되어 미관을 해칠 수 있다.In general, a bonfire is a fire made by gathering firewood, leaf wood, or sword fire. In addition, to block the wind, bonfires are often made with stones or bricks piled up on the floor. Since these bonfires burn the floor, they can leave traces and spoil the aesthetics.

이를 위하여 바닥 위에 설치하는 화로를 사용한다. 화로는 작은 모닥불을 피울 수 있어 각종 요리를 하거나 추위로부터 따뜻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화로는 모양에 따라 역 피라미드형과 사각형 등이 있고, 설치와 해체가 간단하고 수납공간도 덜 차지하는 역 피라미드형이 주로 많이 사용된다.For this purpose, a brazier installed on the floor is used. A brazier can make a small bonfire so that you can cook various dishes or keep warm from the col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razier, there are inverted pyramid type and square type, and the inverted pyramid type is mainly used because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assemble and takes up less storage space.

종래에 모닥불을 피울 수 있는 화로는 고정식으로 한 번 설치하면 이동을 할 수 없거나 또는 이동에 제약이 따르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화로에 각종 음식을 요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거치대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화로를 이용하여 노출된 모닥불을 연출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In the related art, most of the braziers that can make a bonfire are fixed, and once installed, they cannot be moved or have restrictions on movemen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cradle must be used in order to cook various foods in the brazier.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produce an exposed bonfire using a brazier.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복수개의 바디 패널(12)이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디패널(12)이 펼쳐진 언폴딩 상태에서 내부에 연료 투입 공간부를 구성하는 용기를 구성하며 상기 언폴딩 상태에서는 하부에 연통홀(16)이 형성되는 화로 바디(10); 상기 화로 바디(1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화로 바디(10)의 펼쳐진 상태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트 레그(20); 상기 바디 패널(12)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펼쳐진 언폴딩 상태에서 상기 화로 바디(10)의 상기 연통홀(16)을 막아주도록 배치되며 내부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되어 점화 기구의 화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점화공(32)이 구비된 바텀 패널(30)을 포함하는 점화효율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화로대가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ody panels 12 are connected through a hinge part to be foldable, and a fuel input space is formed inside in an unfolded state in which the body panel 12 is unfolded based on the hinge part. a brazier body 10 constituting the constituting container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16 formed in the lower portion in the unfolded state; A plurality of support legs (20)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urnace body (10) to support the unfolded state of the furnace body (10); The body panel 12 is arranged to block the communication hole 16 of the brazier body 10 in an unfolded unfolding state around the hinge part, and is communica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side, so that the flame of the ignition mechanism passes. Disclosed is a brazier with improved ignition efficiency and safety, including a bottom panel 30 having a plurality of ignition holes 32 to enable the igni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8715호(2016.06.10.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28715 (2016.06.10.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이 가능한 화로대에 캠프파이어와 같은 모닥불을 지필 수 있고, 화로대 내부 또는 외부에서 각종 식재료를 굽거나 요리할 수 있으며, 물을 끓일 수 있도록 한 것이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light a campfire such as a campfire on a movable brazier, to bake or cook various ingredients inside or outside the brazier, and to boil water. is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모닥불을 피우기 위한 장작을 실을 수 있고, 식재료의 요리와 섭취를 위하여 그릇이나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화로대 전후 및 좌우로 확장된 거치수단을 구비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unting means extended to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of the brazier so that firewood for lighting a bonfire can be loaded, and a bowl or food material can be placed for cooking and ingestion of the ingredients.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심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바닥판이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장공이 각각 형성된 좌측거치판과 우측거치판이 각각 확장 구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전단과 후단에 전면판과 후면판이 상부로 각각 돌출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좌측판과 우측판이 상부로 각각 돌출 구성된 본체; 상기 바닥판과 좌측판 사이의 모서리에 공간부가 형성된 제1수납체가 구성되고, 제1수납체에 수납되는 상단이 개방된 제1구이통; 상기 바닥판과 우측판 사이의 모서리에 공간부가 형성된 제2수납체가 구성되고, 제2수납체에 수납되는 상단이 개방된 제2구이통; 상기 바닥판 저면에 고정 결합된 가이드레일에 삽입 및 인출되되, 삽입 및 인출되는 위치에 따라 바닥판의 통공을 통해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고, 통공을 통해 낙하하는 재를 받는 받침대;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의 각 외측면에 각각 복수로 제1가이드봉이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되, 제1가이드봉 측면에 제1지지대의 승강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봉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제1지지대가 구성되며,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 결합된 꼬치거치대; 상기 본체의 저면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제2가이드봉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봉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제2지지대가 구성된 제1테이블거치대; 상기 본체의 저면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제3가이드봉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3가이드봉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제3지지대가 구성된 제2테이블거치대; 상기 본체의 저면에 방향 전환이 자유로운 캐스터가 복수로 결합되는 바퀴; 상기 좌측거치판과 우측거치판 단부에 견인공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견인공에 걸 수 있는 견인고리가 구비된 견인부재, 및 상기 본체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어 본체의 바닥판에서 피운 모닥불의 화력으로 내부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 물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ottom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e center, and a left and right side plate having long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respectively, are expanded and configured, the bottom plate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are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respectively, the left and right plates are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a first grilling container having a first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at a corner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left plate, and having an open upper end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a second roasting container having a second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at a corner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right plate, and having an open upper end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a pedestal that is inserted and pulled out to the guide rail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and controls the inflow of air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position, and receives the ash fall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 plurality of first guide rods are vertically fixedly coupled to each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and a stopper for limiting the lifting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guide rod, and the first guide rod is mounted on the first guide rod. The first support is inserted and lifted, the first support is configured, the groove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end, the skewer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horizontally; a first table holder in which a second guide rod is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side to side, and a second support member inserted or drawn out into the second guide rod; a second table holder having a third guide rod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left and right, and a third support rod inserted or drawn out into the third guide rod; a wheel to which a plurality of casters freely change of direction ar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raction holes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plates, respectively, and a traction member provided with a traction ring that can be hung on the traction hole, and a bonfir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main body and ignit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main body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portable bonfire brazier comprising a water tank that heats the water filled with a furnac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물탱크는 내부에 물을 채우기 위한 마개가 구비된 급수관과, 내부에 채워진 물을 배출하기 위한 개폐밸브가 구비된 출수관과, 내부에 채워진 물이 가열되는 동안 생성되는 고압의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배출관과,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나타내는 표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has a water supply pipe provided with a stopper for filling the inside, an outlet pipe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for discharging the water filled therein, and generated while the water filled therein is heated. It may include a steam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high-pressure steam, and a display window indicating the level of water filled therei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물탱크에 저수된 물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계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ermometer that display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출수관에 공급호스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upply hose may be coupled to the water outlet pip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물탱크는 본체로부터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물탱크에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may be installed detachably from the main body, and the water tank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출수관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outlet pipe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 tank.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토퍼는 핸들을 회전시켜 나사 결합에 의하여 제1가이드봉을 통해 제1지지대의 표면을 가압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may press or release th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through the first guide rod by screwing by rotating the hand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토퍼는 제1가이드봉의 표면에 케이스가 결합되고, 케이스 내부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된 노브가 설치되되, 상기 제1지지대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된 고정돌기에 의해 제1지지대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has a case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guide rod, and a knob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engaging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first support surface are provided. The first support may be fixedly supported by the fixing protrusion inserted in the .

본 발명에 따르면, 모닥불을 피워 캠프파이어의 효과를 즐길 수 있고, 모닥불을 이용하여 각종 식재료를 요리할 수 있으며, 장작을 싣거나 그릇이나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고, 물을 가열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모닥불의 화기를 조절할 수 있고, 모닥불의 재를 받아 낼 수 있어 주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를 쉽게 분해할 수 있어 세척이 간편하고, 바퀴가 구성되어 이동이 자유로우며, 화재의 위험이 적어 사용자에게 편의성, 안전성 및 실용성을 제공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joy the effect of a campfire by lighting a bonfire, to cook various ingredients using the bonfire, to load firewood or to place dishes or ingredients, and to use by heating water, You can control the fire of the bonfire, you can take out the ash of the bonfire to keep the surroundings clean, and each component can be easily disassembled for easy cleaning.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convenience, safety, and practicality to user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에서 꼬치거치대 위에 꼬치를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에서 착탈식 물탱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에서 스토퍼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에서 스토퍼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vable bonfire braz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able bonfire braz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kewer is mounted on a skewer in a portable bonfire braz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removable water tank is coupled to the portable bonfire braz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opper in the portable bonfire braz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stopper in the portable bonfire braz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portable bonfire braz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의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1)의 본체(10)는 평판 형상으로 중심에 복수의 통공(12)이 형성된 바닥판(11)이 구성된다. 바닥판(11)은 대략 6mm이상의 금속판인 것이 좋다. 바닥판(11)의 좌측으로 좌측거치판(17)이 확장되어 구성된다. 좌측거치판(17)에는 가로로 복수의 장공(19)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바닥판(11)의 우측으로 우측거치판(18)이 확장되어 구성된다. 우측거치판(18)에도 가로로 복수의 장공(19)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좌측거치판(17)와 우측거치판(18) 단부에 견인공(72)이 각각 형성된다. 견인공(72)에는 견인고리(71)가 구비된 견인부재(70)를 이용하여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견인부재(70)는 일측에 견인고리(71)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손잡이가 구성된다. 따라서 견인공(72)에 견인부재(70)의 견인고리(71)를 끼워 본체(10)를 끌고 다닐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견인공(72)에 와이어나 끈으로 이루어진 견인부재가 항시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1 and 2, the main body 10 of the movable bonfire brazi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at plate shape and a bottom plate 11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he bottom plate 11 is preferably a metal plate of about 6 mm or more. The left side plate 17 is extended to the left side of the bottom plate 11 and is configured. A plurality of long holes 19 are horizontal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eft side plate 17 . The right side plate 18 is extended to the right side of the bottom plate 11 and is configured. A plurality of long holes 19 are also formed in the right side plate 18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traction holes 72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left side plate 17 and the right side plate 18, respectively. The traction hole 72 uses a traction member 70 provided with a traction ring 71 to move the main body 10 . The traction member 70 is configured with a traction ring 71 on one side, and a handle on the other side.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drag the main body 10 by inserting the traction ring 71 of the traction member 70 in the traction hole 72 . In addition, a traction member made of a wire or string may be always coupled to the traction hole 72 .

그리고 바닥판(11)의 전단에는 전면판(13)이 절곡되어 상부로 돌출 구성되고, 바닥판(11)의 후단에는 후면판(14)이 절곡되어 상부로 돌출 구성된다. 또한, 바닥판(11)과 좌측거치판(17) 사이에는 좌측판(15)이 상부로 돌출 구성되고, 바닥판(11)과 우측거치판(18) 사이에는 우측판(16)이 상부로 돌출 구성된다. 따라서 바닥판(11)에는 전면판(13) 및 후면판(14)과 좌측판(15) 및 우측판(16)이 상부로 돌출 구성되어 바닥판(11)으로부터 일정 체적의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전면판(13) 및 후면판(14)과 좌측판(15) 및 우측판(16)은 바닥판(11) 위에 모닥불을 피웠을 때에 바람막이 역할과 바닥판(11)으로부터 모닥불이 밖으로 떨어지거나 번지지 않도록 한다.And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11 is bent to the front plate 13 is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the rear end of the bottom plate 11 is bent and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s, the rear plate 14. In addition, the left plate 15 is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between the bottom plate 11 and the left pedestal plate 17 , and the right plate 16 is positioned upward between the bottom plate 11 and the right pedestal 18 . It consists of protrusions. Therefore, in the bottom plate 11, the front plate 13 and the rear plate 14, and the left plate 15 and the right plate 16 are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to form a space of a certain volume from the bottom plate 11. . And the front plate 13 and the rear plate 14 and the left plate 15 and the right plate 16 act as a windshield when a bonfire is made on the bottom plate 11 and the bonfire falls out from the bottom plate 11 or Make sure it doesn't spread.

제1수납체(21)는 바닥판(11)과 좌측판(15) 사이의 모서리에 공간부가 형성된 것이다. 제1수납체(21)에는 제1구이통(20)이 수납된다. 제1구이통(20)은 상단이 개방된 것으로, 제1구이통(20)에는 고구마나 감자 또는 옥수수 등을 담아 구울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제1구이통(20)에는 찌개나 라면 등을 요리할 수 있는 냄비와 같은 기능도 한다. 제1구이통(20) 전면에는 제1구이통(20)을 제1수납체(21)에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22)가 장착되는 것이 좋다.The first housing 21 has a space formed at a corner between the bottom plate 11 and the left plate 15 . The first accommodating body 21 accommodates the first roasting tube 20 . The first roasting tube 20 has an open top, and the first roasting tube 20 i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sweet potatoes, potatoes, corn, and the like can be placed and baked. Moreover, the first grilling tube 20 also functions as a pot for cooking stew or ramen. It is preferable that a handle 22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roasting tube 20 so that the first roasting tube 20 can be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first housing 21 .

또한, 제2수납체(24)는 바닥판(11)과 우측판(16) 사이의 모서리에 공간부가 형성된 것이다. 제2수납체(24)에는 제2구이통(23)이 수납된다. 제2구이통(23)은 상단이 개방된 것으로, 제2구이통(23)에는 고구마, 감자, 옥수수, 밤이나 은행 등을 담아 구울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제2구이통(23)에는 찌개나 라면 등을 요리할 수 있는 냄비와 같은 기능도 한다. 제2구이통(23) 전면에는 제2구이통(23)을 제2수납체(24)에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22)가 장착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second housing 24 has a space formed at a corner between the bottom plate 11 and the right plate 16 . A second roasting tube 23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24 . The second roasting tube 23 has an open top, and the second roasting tube 23 provides a space for baking sweet potatoes, potatoes, corn, chestnuts, ginkgo, and the like. Moreover, the second roasting tube 23 also functions as a pot for cooking soup or ramen. It is preferable that a handle 22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roasting tube 23 so that the second roasting tube 23 can be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second housing 24 .

제1구이통(20)과 제1수납체(21) 및 제2구이통과 제2수납체(24) 사이에는 삽입과 인출의 편의를 위하여 레일과 레일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rails and rail grooves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roasting tube 20 and the first housing 21 and the second roasting tube and the second housing 24 for the convenience of insertion and extraction.

바닥판(11) 저면에는 받침대(30)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31)이 구성된다. 받침대(30)는 상단이 개방된 것으로,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바닥판(11)의 통공(12)을 통해 낙하는 재를 받아낸다. 또한, 받침대(30)의 삽입과 인출로 바닥판(11)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12)을 개방하거나 밀폐시켜 바닥판(11)의 통공(12)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받침대(30)의 전면에는 가이드레일(31)로 삽입과 인출을 위한 손잡이(32)가 장착되는 것이 좋다.A guide rail 31 is configur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to insert or withdraw the pedestal 30 . The pedestal 30 has an open top, and a space portion is formed on the inside to receive the ash fall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2 of the bottom plate 11 . In addition, by opening or closing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12 formed in the bottom plate 11 by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pedestal 30 ,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through-holes 12 of the bottom plate 11 can be adjusted. It is preferable that a handle 32 for insertion and extraction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edestal 30 as a guide rail 31 .

좌측판(15)과 우측판(16)의 각 외측면에는 각각 복수의 제1가이드봉(41)이 수직으로 고정 결합된다. 제1지지대(42)는 제1가이드봉(41)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것으로, 제1지지대(42) 상단에는 수평으로 꼬치거치대(40)가 결합된다. 꼬치거치대(40) 상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홈(44)이 형성된다. 홈(44)에는 각종 식재료를 꿴 꼬치(61)의 양측을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제1가이드봉(41)과 제1지지대(42)는 각각 다각기둥 형상인 것이 좋지만, 원통형이어도 좋다.A plurality of first guide rods 41 are vertically fixedly coupled to each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left plate 15 and the right plate 16 . The first support 42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rod 41 to elevate, and the skewer 40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42 . At the upper end of the skewer 40, grooves 4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groove 44, it is possible to raise both sides of the skewer 61 with various ingredients. Each of the first guide rod 41 and the first support 42 preferably has a polygonal prism shape, but may also have a cylindrical shape.

또한, 도 5에서, 제1가이드봉(41) 각 측면에는 제1지지대(42)의 승강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43)가 구비된다. 스토퍼(43)는 손잡이가 달린 볼트 형상으로 제1가이드봉(41) 측면에 형성된 고정공에 스토퍼(43)가 나사 결합되어 스토퍼(43)의 회전으로 제1가이드봉(41) 내부를 출입하는 제1지지대(42) 측면을 가압하거나 해제하여 제1지지대(42)의 높낮이를 조절한다.In addition, in FIG. 5 , a stopper 43 is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first guide rod 41 to limit the elevation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42 . The stopper 43 is a bolt shape with a handle, and the stopper 43 is screwed into a fixing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guide rod 41 to enter and exit the first guide rod 41 by rotation of the stopper 43 .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42 is adjusted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 42 .

또한, 도 6에서, 스토퍼(43)는 제1가이드봉(41)의 표면에 결합된 케이스(46) 내부에 스프링(48)으로 탄성 지지되는 고정돌기(49)가 돌출 형성된 노브(47)가 설치된다. 이때, 제1지지대(42) 표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42a)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걸림홈(42a)은 고정돌기(49)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지지대(42)를 들어 올리면, 고정돌기(49)가 제1지지대(42)의 걸림홈(42a)으로부터 미끄러지도록 경사진 형상이고, 제1지지대(42)를 누르면, 고정돌기(49)가 걸림홈(42a)에 걸려 고정되는 대략 직각의 형상이다. 이러한 구조로부터 꼬치거치대(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1가이드봉(41)에 삽입된 제1지지대(42)의 높이를 조절해야 한다. 따라서 꼬치거치대(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꼬치거치대(40)를 잡고 들어 올리면, 걸림홈(42a)의 내측 하부의 경사진 부분을 따라 스프링(48)의 탄성이 작용하는 고정돌기(49)는 미끄러지게 되어 꼬치거치대(40)를 상승시킬 수 있지만, 꼬치거치대(40)를 잡고 내리면, 걸림홈(42a)의 내측 상부의 각진 부분에 의하여 고정돌기(49)의 상단이 간섭을 일으켜 내릴 수 없게 된다. 이때, 꼬치거치대(40)를 내리기 위해서는 노브(47)를 잡고 당기면 고정돌기(49)가 걸림홈(42a)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제1지지대(42)는 제1가이드봉(41) 내측으로 삽입되어 꼬치거치대(40)의 높이를 내릴 수 있다. 더욱이 꼬치거치대(40)는 좌측판(15)과 우측판(16)의 일측에 각각 한 쌍으로 결합된 구조로, 스토퍼(43)는 각 꼬치거치대(40)의 어느 한 제1가이드봉(41)과 제1지지대(42)에 구성되어도 좋다.In addition, in FIG. 6 , the stopper 43 includes a knob 47 having a fixing protrusion 49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48 inside the case 46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guide rod 41 protrudes. is installed At this time, locking grooves 42a should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42 at regular intervals. The locking groove (42a) has an inclined shape so that when the first support 42 is lifted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49 is inserted, the fixing projection 49 slides from the locking groove 42a of the first support (42). And, when the first support (42) is pressed, the fixing protrusion (49) has a substantially right-angled shape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49)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42a).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kewer 40 from this structure,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42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rod 41 must be adjusted. Therefore, when the skewer 40 is held and lift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kewer 40, the fixing protrusion 49 on which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48 acts along the inclined portion of the lower inner side of the locking groove 42a. can slide and raise the skewer 40, but when you hold the skewer 40 and lower i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49 interferes with the angled portion of the upper inner side of the locking groove 42a. there will be no At this time, in order to lower the skewer holder 40, hold the knob 47 and pull it to separate the fixing protrusion 49 from the locking groove 42a, so the first support 42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rod 41 and the skewer The height of the cradle 40 can be lowered. Furthermore, the skewer 40 has a structu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left plate 15 and the right plate 16 as a pair, respectively, and the stopper 43 is one of the first guide rods 41 of each skewer 40 . ) and the first support 42 may be configured.

또한, 본체(10)의 저면에는 제1테이블거치대(50)와 제2테이블거치대(53)가 설치된다. 제1테이블거치대(50)는 본체(10)의 전방으로 출입되도록 설치되고, 제2테이블거치대(53)는 본체(10)의 후방으로 출입되도록 설치된다. 제1테이블거치대(50)로서 본체(10)의 저면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제2가이드봉(51)이 고정 결합된다. 제2가이드봉(51)에는 제2지지대(52)가 삽입되어 출입된다. 즉, 제2지지대(52)는 대략 디귿자 형상으로 양측에 돌출된 부분이 제2가이드봉(51)에 삽입되어 출입된다. 제2지지대(52) 위에는 테이블이나 철망(56) 등이 설치된다. 또한, 제2테이블거치대(53)로서 본체(10)의 저면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제3가이드봉(54)이 고정 결합된다. 제3가이드봉(54)에는 제3지지대(55)가 삽입되어 출입된다. 즉, 제3지지대(55)는 대략 디귿자 형상으로 양측에 돌출된 부분이 제3가이드봉(54)에 삽입되어 출입된다. 제3지지대(55) 위에는 테이블이나 철망(56) 등이 설치된다. 제2가이드봉(51) 및 제2지지대(52)와 제3가이드봉(54) 및 제3지지대(55)는 각각 다각기둥 형상인 것이 좋지만, 원통형이어도 좋다.In addition, a first table holder 50 and a second table holder 53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The first table holder 50 is installed to enter and exit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 and the second table holder 53 is installed to enter and exit from the rear of the body 10 . As the first table holder 50 , the second guide rod 51 is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t a predetermined left and right intervals. A second support 52 is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second guide rod 51 . That is, the second support 52 is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second guide rod 51, the portion protruding on both sides in a substantially digut-shape. A table or wire mesh 56 is installed on the second support 52 . In addition, as the second table holder 53 , the third guide rod 54 is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A third support 55 is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third guide rod 54 . That is, the third support 55 is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third guide rod 54, the portion protruding on both sides in a substantially digwut-shape. A table or a wire mesh 56 is installed on the third support 55 . The second guide rod 51 and the second support 52, and the third guide rod 54 and the third support 55 may each have a polygonal prism shape, but may be cylindrical.

바퀴(60)는 본체(10)의 저면에 복수로 결합되어 본체(1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퀴(60)는 좌측거치판(17)과 우측거치판(18)의 각 모서리 아래에 설치되어 본체(10)의 운용 및 이동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바퀴(60)는 방향 전환이 자유로운 캐스터가 적용되는 것이 좋다.A plurality of wheels 60 ar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so that the body 10 can be easily moved. The wheel 60 is preferably installed under each corner of the left mounting plate 17 and the right supporting plate 18 to promote convenience and safety of operation and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 In addition, the wheel 60 is preferably a caster freely change of direction is applied.

도 7에서, 물탱크(80)는 본체(10)의 내측, 예컨대, 좌측판(15) 및 우측판(16)의 사이와 후면판(14)의 전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바닥판(11)에서 피운 모닥불의 화력으로 내부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 것이다. 또한, 물탱크(80)는 외측, 즉, 후면판(14)의 배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FIG. 7 , the water tank 8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 for example, between the left plate 15 and the right plate 16 and on the front of the rear plate 14 , so that the bottom plate of the main body 10 . The water filled inside is heated with the power of the bonfire lit in (11). In addition, the water tank 80 may be installed outside, that is,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late 14 .

물탱크(8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일정 용량의 물을 저수할 수 있다. 따라서 물탱크(80)에는 내부에 물을 채우기 위한 급수관(81)이 구성되고, 급수관(81)에는 개폐할 수 있는 마개(82)가 구비된다. 또한, 본체(10)의 우측판(16)을 관통하여 물탱크(80)와 출수관(83)이 연결된다. 출수관(83)은 물탱크(80)에 저수된 물을 배출하는 것으로 개폐밸브(8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좋다. 더욱이 개폐밸브(84)로 수도꼭지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출수관(83)에는 공급호스(88)를 연결하여 일정 거리까지 가열된 물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The water tank 80 may have a space formed therein to store water of a predetermined capacity. Therefore, a water supply pipe 81 for fill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80 is configured, and the water supply pipe 81 is provided with a stopper 82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ddition, the water tank 80 and the water outlet pipe 83 are connected through the right plate 16 of the main body 10 . The water outlet pipe 83 discharge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80 , and it is preferable that an opening/closing valve 84 is provided. Furthermore, a faucet may be applied as the on/off valve 84 . In addition, the supply hose 88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pipe 83 to supply heated water up to a predetermined distance.

물탱크(80)의 표면에는 내부에 채워진 물이 가열되는 동안 생성되는 고압의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배출관(85)이 구비된다. 증기배출관(85)에는 마개(82)가 결합되어 증기가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증기배출관(85)을 막고 있다가 물탱크(80) 내에 일정의 증기압이 발생하면 개방되어 증기가 배출되도록 한다.A steam discharge pipe 85 for discharging high-pressure steam generated while the water filled therein is heated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80 . When a stopper 82 is coupled to the steam discharge pipe 85 and steam is not discharged, the steam discharge pipe 85 is blocked, and when a certain vapor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water tank 80, it is opened so that the steam is discharged.

또한, 물탱크(80)에는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표시창(86)이 설치되고, 물탱크(80) 내부에 저수된 물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계(87)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display window 86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80 so that the level of water filled therein can be easily known from the outside, and a thermometer 87 indicating the temperature of water stored inside the water tank 80 may be installed. .

한편, 도 8에서, 물탱크(80)는 본체(10)에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물탱크(80)에는 손잡이(89)가 설치되고, 물탱크(80)의 일측에 출수관(8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좌측판(15)과 제1수납체(21), 그리고 우측판(16)과 제2수납체(24) 사이에 각각 가이드돌기(25)가 돌출 형성되어 물탱크(80)의 좌측과 우측을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in FIG. 8 , the water tank 8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ody 10 . In this case, a handle 89 is installed on the water tank 80 , and a water outlet pipe 83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 tank 80 . In addition, guide projections 25 are formed to protrude between the left plate 15 and the first housing 21 of the main body 10, and between the right plate 16 and the second housing 24, respectively, so that the water tank ( 80) by inse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y can be fixed or separated.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campfire braz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in this way will be described.

먼저,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1)는 사용 때의 안전을 위하여 편평한 곳에 설치하고, 주변에 모닥불에 의하여 화재 발생이 없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바닥판(11) 위에 모닥불을 피울 수 있도록 장작이나 검불 또는 숯 등을 올린다. 이때, 좌측거치판(17)이나 우측거치판(18)에는 모닥불의 열원이 되는 장작이나 검불 또는 숯 등을 적재할 수 있어 본체(10)를 옮길 때에 장작 등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First, it is recommended to install the portable bonfire brazier 1 on a flat place for safety during use, and install it in a place where there is no fire caused by bonfires around it. On the bottom plate 11, firewood, sword fire, or charcoal is placed to make a bonfire. At this time, the left side mounting plate 17 or the right side mounting plate 18 can be loaded with firewood, sword fire, charcoal, etc., which are the heat sources of the bonfire, so that when the main body 10 is moved, the firewood can also be moved.

바닥판(11) 위에 모닥불이 피워지면, 바닥판(11) 저면의 받침대(30)를 출입시켜 바닥판(11)에 형성된 통공(12)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모닥불의 화기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모닥불에서 발생되는 재는 통공(12)을 통해서 받침대(30)에서 수집된다.When a bonfire is lit on the bottom plate 11, the pedestal 30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11 is moved in and out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through hole 12 formed in the bottom plate 11, so that the fire of the bonfire can be controlled. . In addition, the ash generated from the bonfire is collected in the pedestal 30 through the through hole 12 .

모닥불을 피운 상태에서 제1구이통(20)과 제2구이통(23) 내부에 고구마, 감자, 옥수수, 밤이나 은행 등을 넣고 구울 수 있다. 이때, 제1구이통(20)과 제2구이통(23)은 직화가 아니므로 별도의 호일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1구이통(20)과 제2구이통(23)이 스테인리스 재질이 적용된 경우에는 제1구이통(20)과 제2구이통(23)에 라면이나 찌개 등을 끓여도 된다.In a state in which a bonfire is lit, sweet potatoes, potatoes, corn, chestnuts or ginkgos, etc. can be put into the first roasting tube 20 and the second roasting tube 23 and baked.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roasting tube 20 and the second roasting tube 23 are not directly heated, there is no need to use a separate foil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first roasting tube 20 and the second roasting tube 23 are made of stainless steel, you may boil ramen or stew in the first roasting tube 20 and the second roasting tube 23 .

그리고 본체(10) 저면에 설치된 제1테이블거치대(50)와 제2테이블거치대(53)를 인출하여 테이블을 올려놓거나 철망(56) 등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테이블이나 철망 위에 고기나 야채 등의 식재료를 올려놓거나 접시나 컵 등의 그릇을 올려놓을 수 있다.Then, the first table holder 50 and the second table holder 53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re pulled out to put a table or wire mesh 56 thereon. In addition, you can place food items such as meat or vegetables on a table or wire mesh, or you can place dishes such as plates or cups on it.

더욱이 좌측판(15)과 우측판(16) 외측에 설치된 꼬치거치대(40)에 식재료를 끼운 꼬치를 올려놓을 수 있다. 꼬치거치대(40)는 제1가이드봉(41)을 제1지지대(42)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승강한 후 스토퍼(43)의 조작으로 고정시켜 식재료에 가해지는 화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꼬치거치대(40) 위에 철판이나 철망(56) 등을 올려놓고 각종 식재료를 요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Furthermore, a skewer with food ingredients can be placed on the skewer holder 40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left plate 15 and the right plate 16 . The skewer 40 can adjust the fire applied to the food material by raising and lowering the first guide rod 41 from the first support 42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n fixing it by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43 . 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o cook various ingredients by placing an iron plate or wire mesh 56 on the skewer 40 .

또한,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물탱크(80)의 급수관(81)으로 물을 넣고 끓인 후에 출수관(83)에 설치된 개폐밸브(84)를 개폐시켜 가열된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가열된 물을 이용하여 컵라면을 끓이거나 커피나 차 등의 음료에 부어 섭취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물탱크(80)에서 가열된 물로 일정 시간동안 보온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fter water is put into the water supply pipe 81 of the water tank 80 installed inside the body 10 and boiled, the opening/closing valve 84 installed in the water outlet pipe 83 is opened and closed to use the heated water. At this time, it may be consumed by boiling cup noodles using heated water or pouring it into beverages such as coffee or tea. Alternatively, the water heated in the water tank 80 may be kept war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1)에 모닥불을 피운 상태에서 견인부재(70)를 이용하여 바퀴(60)를 끌 수 있어 화로대의 자유로운 위치선정과 더불어 모닥불을 피워 이야기나 오락을 즐길 수 있고, 각종의 식재료를 요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ith a bonfire on the portable bonfire brazier (1), the wheels (60) can be pulled using the traction member (70), so you can freely select the location of the brazier and light a bonfire to enjoy stories and entertainment, and various kinds of foo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ok.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claims. Anyone who has it will know it easily.

1: 화로대 10: 본체 11: 바닥판 12: 통공 13: 전면판 14: 후면판 15: 좌측판 16: 우측판 17: 좌측거치판 18: 우측거치판 19: 장공 20: 제1구이통 21: 제1수납체 22: 손잡이 23: 제2구이통 24: 제2수납체 25: 가이드돌기 30: 받침대 31: 가이드레일 32: 손잡이 40: 꼬치거치대 41: 제1가이드봉 42: 제1지지대 42a: 걸림홈 43: 스토퍼 44: 홈 45: 핸들 46: 케이스 47: 노브 48: 스프링 49: 고정돌기 50: 제1테이블거치대 51: 제2가이드봉 52: 제2지지대 53: 제2테이블거치대 54: 제3가이드봉 55: 제3지지대 56: 철망 60: 바퀴 61: 꼬치 70: 견인부재 71: 견인고리 72: 견인공 80: 물탱크 81: 급수관 82: 마개 83: 출수관 84: 개폐밸브 85: 증기배출관 86: 표시창 87: 온도계 88: 공급호스 89: 손잡이1: Brazier 10: Body 11: Bottom plate 12: Through hole 13: Front plate 14: Rear plate 15: Left plate 16: Right plate 17: Left plate 18: Right plate 19: Long hole 20: First grill 21: First housing 22: handle 23: second roasting bin 24: second housing 25: guide projection 30: pedestal 31: guide rail 32: handle 40: skewer holder 41: first guide rod 42: first support 42a: caught Groove 43: stopper 44: groove 45: handle 46: case 47: knob 48: spring 49: fixing protrusion 50: first table holder 51: second guide rod 52: second support 53: second table holder 54: third Guide rod 55: Third support 56: Wire mesh 60: Wheel 61: Skewer 70: Traction member 71: Traction hook 72: Traction hole 80: Water tank 81: Water supply pipe 82: Stopper 83: Water outlet pipe 84: On/off valve 85: Steam discharge pipe 86: display window 87: thermometer 88: supply hose 89: handle

Claims (8)

중심에 복수의 통공(12)이 형성된 바닥판(11)이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11)의 좌우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장공(19)이 각각 형성된 좌측거치판(17)과 우측거치판(18)이 각각 확장 구성되며, 상기 바닥판(11)의 전단과 후단에 전면판(13)과 후면판(14)이 상부로 각각 돌출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11)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좌측판(15)과 우측판(16)이 상부로 각각 돌출 구성된 본체(10);
상기 바닥판(11)과 좌측판(15) 사이의 모서리에 공간부가 형성된 제1수납체(21)가 구성되고, 제1수납체(21)에 수납되는 상단이 개방된 제1구이통(20);
상기 바닥판(11)과 우측판(16) 사이의 모서리에 공간부가 형성된 제2수납체(24)가 구성되고, 제2수납체(24)에 수납되는 상단이 개방된 제2구이통(23);
상기 바닥판(11) 저면에 고정 결합된 가이드레일(31)에 삽입 및 인출되되, 삽입 및 인출되는 위치에 따라 바닥판(11)의 통공(12)을 통해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고, 통공(12)을 통해 낙하하는 재를 받는 받침대(30);
상기 좌측판(15)과 우측판(16)의 각 외측면에 각각 복수로 제1가이드봉(41)이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되, 제1가이드봉(41) 측면에 제1지지대(42)의 승강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43)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봉(41)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제1지지대(42)가 구성되며,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42)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 결합된 꼬치거치대(40);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제2가이드봉(51)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봉(51)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제2지지대(52)가 구성된 제1테이블거치대(50);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제3가이드봉(54)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3가이드봉(54)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제3지지대(55)가 구성된 제2테이블거치대(53);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방향 전환이 자유로운 캐스터가 복수로 결합되는 바퀴(60);
상기 좌측거치판(17)과 우측거치판(18) 단부에 견인공(72)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견인공(72)에 걸 수 있는 견인고리(71)가 구비된 견인부재(70), 및
내부에 물을 채우기 위한 마개(82)가 구비된 급수관(81)과, 내부에 채워진 물을 배출하기 위한 개폐밸브(84)가 구비되고 공급호스(88)가 결합된 출수관(83)과, 내부에 채워진 물이 가열되는 동안 생성되는 고압의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배출관(85)과,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나타내는 표시창(86)과, 내부에 저수된 물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계(87)와, 상단에 착탈식으로 거치하기 위하여 결합된 손잡이(89)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어 본체(10)의 바닥판(11)에서 피운 모닥불의 화력으로 내부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 물탱크(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
A bottom plate 11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formed in the center is constituted, and a left pedestal plate 17 and a right pedestal plate 18 having long holes 19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11, respectively. ) are each expanded, a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ottom plate 11 have a front plate 13 and a rear plate 14 that protrude upward, respectively, and are constan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11 . a main body 10 in which the left plate 15 and the right plate 16 protrude upward at a distance;
A first accommodating body 21 having a space formed at a corner between the bottom plate 11 and the left plate 15 is configured, and a first grilling container 20 with an open upper end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body 21 . ;
A second accommodating body 24 having a space formed at a corner between the bottom plate 11 and the right plate 16 is configured, and a second roasting container 23 with an open upper end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body 24 . ;
It is inserted and drawn out into the guide rail 31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 and the inflow of air is controll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 of the bottom plate 11 according to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position, and the through hole ( 12) receiving the ash falling through the pedestal 30;
A plurality of first guide rods 41 are vertically fixedly coupled to each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left plate 15 and the right plate 16, respectively, the first guide rod 41 on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er 42. A stopper 43 for limiting the lifting position is provided, a first support 42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rod 41 to ascend and descend is constituted, and grooves 4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t the upper end, and the Skewers 40 fixed horizontally to the top of the first support 42;
A first table holder having a second guide rod 51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left to right, and a second support rod 52 inserted or drawn out into the second guide rod 51 . (50);
A second table holder having a third guide rod 54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t regular intervals from left and right, and a third support rod 55 inserted or drawn out into the third guide rod 54 . (53);
a wheel 60 to which a plurality of casters freely changing direction ar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traction member 70 provided with a traction ring 71 that can be hung on the traction hole 72, wherein a traction hole 72 is formed at the ends of the left pedestal plate 17 and the right cradle 18, respectively; and
A water supply pipe 81 provided with a stopper 82 for filling the water therein, an on/off valve 84 for discharging the water filled therein, and a water outlet pipe 83 coupled with a supply hose 88; A steam discharge pipe 85 for discharging high-pressure steam generated while the water filled therein is heated, a display window 86 indicating the water level filled therein, and a thermometer 87 indica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therein; , including a handle 89 coupled to the top to be detachably mounted, but installed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body 10 and filled with the heat of a bonfire from the bottom plate 11 of the body 10 a water tank 80 for heating; Including a portable bonfire brazi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3)는 핸들(45)을 회전시켜 나사 결합에 의하여 제1가이드봉(41)을 통해 제1지지대(42)의 표면을 가압하거나 해제시키는,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
The movable bonfire brazi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43) rotates the handle (45) to press or release th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42) through the first guide rod (41) by screwing.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3)는 제1가이드봉(41)의 표면에 케이스(46)가 결합되고, 케이스(46) 내부에 스프링(48)으로 탄성 지지되는 고정돌기(49)가 구비된 노브(47)가 설치되되, 상기 제1지지대(42)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홈(42a)에 삽입된 고정돌기(49)에 의해 제1지지대(42)가 고정 지지되는, 이동식 모닥불 화로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43) is a case (46)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guide rod (41), the fixing protrusion (49)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48) inside the case (46) The provided knob 47 is installed, and the first support 42 is fixed and supported by the fixing protrusions 49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s 42a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42. bonfire brazier.
KR1020200017499A 2020-02-13 2020-02-13 Movable Bonfire Apparatus KR1022975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499A KR102297572B1 (en) 2020-02-13 2020-02-13 Movable Bonfir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499A KR102297572B1 (en) 2020-02-13 2020-02-13 Movable Bonfir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135A KR20210103135A (en) 2021-08-23
KR102297572B1 true KR102297572B1 (en) 2021-09-02

Family

ID=7749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499A KR102297572B1 (en) 2020-02-13 2020-02-13 Movable Bonfir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57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175B1 (en) * 2013-07-18 2013-12-05 전성배 Brazier for camping
KR200480272Y1 (en) 2015-07-16 2016-05-04 이원두 Down stream type grill device
US20160255999A1 (en) * 2015-03-04 2016-09-08 Crystal Spring Colony Farms Ltd. Cooking Grill Using Pellet Fu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6009A (en) * 1995-02-03 1996-08-13 Ishikawa Motors:Kk Spit support device
KR101628715B1 (en) 2014-03-13 2016-06-10 김광림 Brazier with improved ignition efficiency and safe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175B1 (en) * 2013-07-18 2013-12-05 전성배 Brazier for camping
US20160255999A1 (en) * 2015-03-04 2016-09-08 Crystal Spring Colony Farms Ltd. Cooking Grill Using Pellet Fuel
KR200480272Y1 (en) 2015-07-16 2016-05-04 이원두 Down stream type gril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135A (en)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4430B1 (en) Outdoor cooking apparatus
US5711209A (en) Barbecue stove
EP2683280B1 (en) Barbeque apparatus
US8316837B2 (en) Portable combination gas and charcoal barbecue grill
US20120237647A1 (en) Multi-functional platform food preparation device
US20140261012A1 (en) Cooking grill having rack supporting individual grilling modules
US20080135038A1 (en) Safe Grill With Double Vertical Combustion Chambers
KR20120005098U (en) A stove with roaster
KR102236131B1 (en) Portable Barbeque Apparatus
US5307789A (en) Multi-purpose gas heated cooking apparatus
KR102297572B1 (en) Movable Bonfire Apparatus
US7325482B1 (en) Outdoor cooking apparatus
KR101646205B1 (en) A roaster combined with oven
KR200466341Y1 (en) direct-fired Roaster for a gas stove and a charcoal fire
KR20180016806A (en) A grill for roasted meat
KR200486112Y1 (en) Barbecue grill
JP7441974B2 (en) Portable flame griller
KR200425826Y1 (en) roasting plates used as cooking brazier
KR20140021939A (en) Roaster
CN111528707A (en) Multifunctional barbecue oven
US11805942B1 (en) Multi-fuel cooker
US11612271B2 (en) Multifunction assemblable barbecue grill
CN212546673U (en) Multifunctional barbecue oven
EP3493725B1 (en) Modular grill with integrated brazier-oven
KR20230166426A (en) Wood burning stove for cooking and he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