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959B1 - Waste disposal device equipped with a drum for a conveyor belt that enhances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 Google Patents

Waste disposal device equipped with a drum for a conveyor belt that enhances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959B1
KR102296959B1 KR1020210053893A KR20210053893A KR102296959B1 KR 102296959 B1 KR102296959 B1 KR 102296959B1 KR 1020210053893 A KR1020210053893 A KR 1020210053893A KR 20210053893 A KR20210053893 A KR 20210053893A KR 102296959 B1 KR102296959 B1 KR 102296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base
drum shaft
conveyor belt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8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진
Original Assignee
선풍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풍산업(주) filed Critical 선풍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053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9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drum for a conveyor belt with enhanced convenience in maintenan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conveyor belt comprising a belt on which waste is placed to be moved to a hopper or discharged, and a drum including a drum shaft on which the belt is wound and which receives a rotation force of a motor through a chain. The drum comprises: a bas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dented at one end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a base plate detachably combined with one end of the b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grooves penetrated on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while keeping a disc shape; and a drum shaft assembly including a drum shaft extended from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by a predetermined length. Thus, fasteners are coupled wit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to detachably combine the drum shaft assembly with the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drum for a conveyor belt with enhanced convenience in maintenance, the drum shaft (drum shaft assembly) can be conveniently separated and replaced from the base, which can lead to an effect of enhancing convenience and economic feasibility in maintenance.

Description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강화한 컨베이어 벨트용 드럼을 구비한 폐기물 처리 장치{Waste disposal device equipped with a drum for a conveyor belt that enhances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Waste disposal device equipped with a drum for a conveyor belt that enhances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본 발명은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강화한 컨베이어 벨트용 드럼을 구비한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폐기물 처리 장치에서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의 드럼을 드럼축과 본체의 개념으로 2개 분리 구조로 설계하여 드럼축을 편리하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강화한 컨베이어 벨트용 드럼을 구비한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drum for a conveyor belt with enhanced maintenance convenience, and more particularly, a drum of a conveyor belt that transports waste from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in the concept of a drum shaft and a main body. It relates to a waste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a drum for a conveyor belt, which is designed with a drum shaft and can be replaced conveniently and easily,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폐기물 처리 장치는 슬러지와 같은 건축폐기물,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생활폐기물, 고철과 같은 산업폐기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A waste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that treats building waste such as sludge, household waste such as food waste, and industrial waste such as scrap iron.

이러한 폐기물 처리 장치는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목적과 구조를 수반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악취 및 부피를 줄이거나, 공기를 분산하여 폐기물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프레스기와 같은 압축기로 폐기물을 압축하여 체적을 줄여 재활용하기 편한 구조로 변형할 수 있다.Such a waste treatment device may have various purposes and structures depending on the type of waste. For example, drying food waste to reduce odor and volume, dispersing ai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waste, or using a press machine, etc. By compressing waste with a compressor, it can be transformed into a structure that is easy to recycle by reducing its volume.

도 1은 공지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공지의 컨베이어 벨트에 설치된 드럼을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known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rum installed on a known conveyor belt.

공지의 폐기물 처리 장치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와 기능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1에서는 가장 기초적인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폐기물 처리 장치가 호퍼(1)와 처리부(2) 및 컨베이어 벨트(10)로 이루어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The known waste treatment apparatus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nd functions as mentioned above, but in FIG. 1, the most basic structure is exemplified. Specifically,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hopper 1, a treatment unit 2, and a conveyor belt ( 10) shows the structure.

호퍼(1)는 폐기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폐기물을 혼합 또는 분쇄/건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호퍼(1)는 폐기물을 혼합은 물론 건조/분쇄 기능을 겸비할 수도 있으나 단순한 구조로서 폐기물을 혼합하는 기능만 수행하고 별도의 유닛, 즉 처리부(2)에서 폐기물을 건조/분쇄/선별을 위한 세부 구조를 구비하여 이러한 구체적인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hopper 1 provides a function of mixing or pulverizing/drying waste while secur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aste. At this time, the hopper 1 may have a function of not only mixing wastes but also drying/pulverization, but it has a simple structure and performs only a function of mixing wastes, and a separate unit, that is, for drying/pulverizing/sorting wastes in a separate unit, that is, the processing unit 2 It is also possible to carry out these specific processing tasks with a detailed structure.

컨베이어 벨트(10)는 폐기물을 벨트(11) 상에 안착시켜 호퍼(1)로 이동시키것은 물론 호퍼(1)에서 처리부(2)로 이송하거나 호퍼(1)나 처리부(2)에서 처리 작업을 마친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이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conveyor belt 10 transfers waste from the hopper 1 to the processing unit 2 or transfers the waste from the hopper 1 to the processing unit 2 by placing the waste on the belt 11 and moving it to the hopper 1 or the processing unit 2 It plays a role of discharging/moving the finished waste to the outside.

다시 말해, 컨베이어 벨트(10)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호퍼에 폐기물을 투입하거나 배출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면서 자동으로 각 유닛에서 폐기물을 이동할 수 있는 편리한 기능을 제공한다.In other words, the conveyor belt 10 provides a convenient function to automatically move the waste from each unit while reducing the hassle of manually inputting or discharging waste into the hopper by the operator.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10)는 일반적으로 폐기물이 이동해야 하는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벨트(11)와, 롤링 처리된 벨트(11)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되는 롤러(14) 및, 벨트(11)의 적어도 일 단에 설치된 드럼(15)과, 체인(13)을 매개로 드럼(15)에 연결되어 드럼(15)을 회전시키는 모터(12)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드럼(15)은 드럼축을 구비한 상태에서 이 드럼축에 체인이 연결될 수 있는 스프라켓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Such a conveyor belt 10 generally includes a belt 11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hrough which the waste must travel, a roller 14 positioned between the rolled belt 11 and rotating, and the belt 11 . It consists of a drum 15 installed at at least one end of the , and a motor 12 connected to the drum 15 via a chain 13 to rotate the drum 15 .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mount a sprocket to which a chain can be connected to the drum 15 in a state where the drum shaft is provided.

즉, 드럼(15)은 모터(12)의 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벨트를 구동하는 중추적 구성이라 할 수 있는데, 장시간 컨베이어 벨트(10)를 구동하면 그럼의 드럼축이 휘어지거나 변형이 일어나 주기적으로 드럼축을 교체하여 드럼의 수평 균형을 맞추거나 내구성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That is, the drum 15 is a central component that drives the belt while being rotated by directly receiving the power of the motor 12. When the conveyor belt 10 is driven for a long time, the drum shaft is bent or deformed. Periodically,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drum shaft to balance the drum horizontally or to ensure durability.

그런데,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공지의 드럼(15)은 드럼축이 몸체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드럼축만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도 드럼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 손실이 따랐다.However, as can be seen from FIG. 2 , the known drum 15 has a drum shaft integrally coupled with the body, so that even when only the drum shaft needs to be replaced, the hassle and economic loss of replacing the entire drum followed.

현재 폐기물 처리 장치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장착하는 것은 자동화를 위해 거의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데, 국내 선행기술을 참조하면 국내 특허 제 1427849호인 에어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처리 장치 역시 컨베이어 벨트를 적용한 상태에서 에어를 폐기물에 분사하여 효율적으로 폐기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공개되어 있다.It can be said that mounting a conveyor belt in the current waste treatment device is almost essential for automation. Referring to the domestic prior art, the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evice using air, which is a domestic patent No. 1427849, also uses a conveyor belt to apply air to waste. It has been disclosed to efficiently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waste by spraying.

그런데 이 선행기술에서는 컨베이어 벨트의 드럼이 몸체와 드럼축이 일체적으로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설명이나 도시된 사항이 없어 드럼축만을 교체하기 위한 별다른 해결수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in this prior art, there is no description or illustration of whether the drum body of the conveyor belt and the drum shaft are integrally coupled, so there is no particular solution for replacing only the drum shaft.

따라서 폐기물 처리 장치에서 폐기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에 있어서 드럼축을 몸체인 베이스와 분리 구성한 다음 효율적으로 결합시키는 구조를 제시하여 드럼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드럼축만을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드럼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Therefore, in the conveyor belt that transports waste from the waste treatment device, the drum shaft is separated from the base, which is the body, and then efficiently combined.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new and advanced drums that can provide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폐기물 처리 장치의 컨베이어 벨트에 장착된 드럼의 구조를 몸체인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서 패스너의 체결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축 어셈블리로 분리 구성하여 드럼축의 편리한 교체를 추구할 수 있는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and the structure of the drum mounted on the conveyor belt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separated into a base, which is a body, and a drum shaft assembly that is detachably coupled through fastening of fasteners on the base.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waste treatment device that can be configured to facilitate convenient replacement of the drum shaf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럼축과 베이스의 결합 구조에서 드럼축에 작용하는 외력을 적절히 분산하여 드럼축의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reinforcing the durability of the drum shaft by appropriately distributing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drum shaft 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drum shaft and the ba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럼축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드럼축이나 베이스에 변형이 쉽사리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ffer plat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preventing the drum shaft or the base from being easily deformed by the pressure acting on the drum shaft.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술한 완층 플레이트에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추가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dd a functional composition capable of reinforcing durability to the above-mentioned burlap pl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강화한 컨베이어 벨트용 드럼을 구비한 폐기물 처리 장치는, 폐기물을 호퍼로 이동하거나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폐기물이 안착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가 감긴 것으로 체인을 매개로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는 드럼축을 구비한 드럼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원통 형상으로서, 일 단에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 1 체결 홈이 함입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 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원판 형상을 취한 상태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체결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복수 개로 관통된 제 2 체결 홈을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드럼축을 구비한 드럼축 어셈블리로 이루어져, 상기 제 1,2 체결 홈에 패스너를 체결하여 상기 드럼축 어셈블리를 상기 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ast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drum for a conveyor belt with enhanced maintenance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lt on which the waste is seated and the belt wound in order to move or discharge the waste to a hopper. In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conveyor belt comprising a drum having a drum shaft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via a chain, the drum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grooves along the circumference at one end. A recessed base and a second fastening groov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base, a plurality of penetrating second fastening groov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in a state of taking the shape of a disk It consists of a drum shaft assembly having a base plate provided with a base plate and a drum shaft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and fastening fasteners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so that the drum shaft assembly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se characterized by binding.

또한, 상기 베이스의 중앙 부위에는, 결합공이 함입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베이스를 향한 면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결합 블록이 형성되어, 상기 드럼축 어셈블리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 시 상기 결합공과 결합 블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upling hole is reces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and a coupling block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base plate facing the base, so that the drum shaft assembly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ole and the coupling block are coupled when coupled to the base.

더불어, 상기 드럼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와 상기 드럼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상태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제 1,2 체결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제 3 체결 홈이 관통 형성된 완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um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base and the drum assembly, and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base plate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ffer plat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third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강화한 컨베이어 벨트용 드럼을 구비한 폐기물 처리 장치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drum for a conveyor belt with enhanced maintenance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베이스에서 편리하게 드럼축(드럼축 어셈블리)을 분리 및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강화할 수 있고,1) The drum shaft (drum shaft assembly) can be conveniently separated and replaced from the base, enhancing the convenience and economic feasibility of maintenance;

2) 드럼축 어셈블리와 베이스의 결합을 보조하는 세부 구조를 제시하여 드럼축 어셈블리가 더욱 견고하게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으며,2) By presenting a detailed structure that assists in the coupling of the drum shaft assembly and the base, the drum shaft assembly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base,

3) 보조 홈을 통해 드럼축 어셈블리에 작용하는 외력을 적절히 분산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3) Not only can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drum shaft assembly be appropriately distributed through the auxiliary groove,

4) 완충 플레이트를 통해 드럼축 어셈블리에 작용하는 압력 역시 적절히 분산 내지 흡수하여 드럼축 어셈블리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4)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rum shaft assembly through the buffer plate is also appropriately dispersed or absorbed, thereby enhancing the durability of the drum shaft assembly.

도 1은 공지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공지의 컨베이어 벨트에 설치된 드럼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드럼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베이스와 드럼축 어셈블리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결합공과 결합 블록을 추가한 드럼의 제 1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보조 홀을 추가한 드럼의 제 2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완충 플레이트를 추가한 드럼의 제 2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known waste treatment apparatus.
Figure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drum installed on a known conveyor belt.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embodiment of the dru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base and the drum shaft assembly are combined in Figure 3;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drum with a coupling hole and a coupling block added.
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drum to which auxiliary holes are adde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drum to which a buffer plate is ad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bers in each drawing refer to like elements.

도 3은 본 발명의 드럼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베이스와 드럼축 어셈블리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embodiment of the dru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base and the drum shaft assembly in Figure 3 are combined.

우선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 장치는 건축/생활 폐기물 등의 다양한 폐기물을 분쇄하거나 이물질 제거, 압축, 건조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위한 세부적 구조는 공지의 기술과 같으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고, 폐기물을 호퍼(1)에 이송하거나 호퍼(1)나 처리부(2)에서 외부로 배출/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컨베이어 벨트(10) 역시 드럼(100)을 구비한 구조라면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이 컨베이어 벨트(10)에 대한 세부 구조 역시 공지 기술과 같거나 유사하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First of all,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of pulverizing various wastes such as construction/living waste,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mpressing, and drying, and the detailed structure for these functions is the same as the known technology, so a separate description is omitted. And, the conveyor belt 10, which transfers waste to the hopper 1 or discharges / moves from the hopper 1 or the processing unit 2 to the outside, is also limited to a specific structure if the structure is provided with the drum 100 In addition,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onveyor belt 10 is also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known technology, so a separ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컨베이어 벨트에서 체인을 매개로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벨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본 발명의 드럼(100)은 도 3,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크게 베이스(200)와 드럼축 어셈블리(300)라는 분리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으로 한다.As can be seen from FIGS. 3 and 4, the dru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nected to a motor through a chain on the conveyor belt and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belt while rotating, is largely separated into a base 200 and a drum shaft assembly 300. It is based on the composition of

베이스(200)는 공지의 드럼축을 제외한 상태로 원통 구조로 이루어져 벨트(11)의 폭 방향과 길이에 상응하는 방향과 길이로 연장된 구조체이다. The base 200 is a structure extending in a direction and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and length of the belt 11 made of a cylindrical structure with the exception of the known drum shaft.

이러한 베이스(200)의 일 단 또는 일 면(원통 구조를 기준으로 상면이나 하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 1 체결 홈(210)이 함입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체결 홈(210)은 후술하겠지만 제 2 체결 홈(311)과 함께 패스너(F)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추가적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산을 구비한 패스너(F)가 결합되어 결합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grooves 210 are recessed at one end or one surface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based on the cylindrical structure) of the base 20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though the first fastening groove 210 will be described later, it provides a space for the fastener F to be inserted together with the second fastening groove 311 and additionally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threaded fastener F is coupled.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bond.

드럼축 어셈블리(30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드럼축(320)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drum shaft assembly 300 includes a base plate 310 and a drum shaft 320 .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 1 체결 홈(210)이 형성된 베이스(200)의 일 면과 같은 직경을 갖거나 아니면 이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se plate 310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may have the same diameter as one surface of the base 200 on which the first fastening groove 210 is formed, or may have a smaller diameter.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310) 역시 제 1 체결 홈(210)에 대응되는 위치와 개수로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제 2 체결 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제 2 체결 홈(311)은 제 1 체결 홈(210)이 함입 형성된 것과 달리 관통 형성되어 있는 차이를 가진다.The base plate 310 also has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grooves 311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number an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s 210 . However, the second fastening groove 311 has a difference in that the first fastening groove 210 is penetratingly formed, unlike the recessed one.

드럼축(320)은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중앙 부위, 즉 중심에서 일정 직경과 길이를 가진 상태에서 베이스(200)를 향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의미한다. The drum shaft 320 refers to a central portion of the base plate 310 , that is, an axis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toward the base 200 in a stat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length from the center.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러한 드럼축(320)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스프라켓이 장착되어 이에 도 1에 도시된 모터(12)에 연결된 체인(13)을 장착하여 모터(12)의 동력을 전달받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rum shaft 320 is equipped with a sprocke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chain 13 connected to the motor 12 shown in FIG. 1 is mounted thereto to receive the power of the motor 12. it is possible

상술한 베이스(200)와 드럼축 어셈블리(300)를 볼트, 앵커와 같은 공지의 형태를 가진 패스너(fastener)(F)를 통해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 제 1,2 체결 홈(210,311)에 패스너(F)를 체결 및 분리하는 방식으로 상호 면 접촉을 하면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base 200 and the drum shaft assembly 300 can be coupled and separated through a fastener F having a known shape such as a bolt or an anchor, and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 210, 311) can be coupled or separated while making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manner of fastening and separating the fasteners (F).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모터의 동력을 포함하여 외력이 가장 많이 집중되는 드럼축(320)이 손상/변형되어도 드럼축 어셈블리(300)만을 베이스(200)에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드럼(100) 및 더 나아가 컨베이어 벨트(10)나 폐기물 처리 장치의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경제적 비용 절감을 추구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even if the drum shaft 320, o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the most, including the power of the motor, is damaged/deformed, only the drum shaft assembly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base 200 and replaced, so that the drum 100 And furthermore, it provides a characteristic that the maintenance of the conveyor belt 10 or the waste treatment device is convenient and economic cost reduction can be pursued.

도 5는 결합공과 결합 블록을 추가한 드럼의 제 1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drum in which a coupling hole and a coupling block are added.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200)의 중앙 부위에는 결합공(220)이 함입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10)에서 베이스(200)를 향한 면의 중앙 부위에는 결합공(220)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의 결합 블록(312)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coupling hole 220 is reces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200 , and correspondingly, the coupling hole 220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rface facing the base 200 from the base plate 310 . It can be seen that the coupling block 312 of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orresponding diameter is formed.

이를 통해 드럼축 어셈블리(300)가 베이스(200)에 결합할 때 결합공(220)과 결합 블록(312)이 요철 결합한다. 이때, 결합공(220)의 내주면과 결합 블록(312)의 외주면 각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10)를 회전하면서 결합 블록(312)이 결합공(220) 내로 나사산 결합을 하면서 베이스(200)와 베이스 플레이트(310)를 긴밀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Through this, when the drum shaft assembly 300 is coupled to the base 200, the coupling hole 220 and the coupling block 312 are unevenly coupled. At this time, threads are formed on each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2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block 312 so that the coupling block 312 is screwed into the coupling hole 220 while rotating the base plate 310 while the base 200 ) and the base plate 310 can be tightly coupled.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구조, 즉 면 접촉을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베이스(200) 간의 결합 구조에 비하여 결합 면적이 증가하여 더욱 안정적인 결합력을 발휘할 뿐 아니라 제 1,2 체결 홈(210,311)에 체결된 패스너(F)에 결합 피로도가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compar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3, that is,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base plate 310 and the base 200 that are in surface contact, the coupling area is increased to exhibit a more stable coupling force as well as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coupling fatigue is concentrated on the fasteners (F) fastened to (210, 311).

도 6은 보조 홀을 추가한 드럼의 제 2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drum to which auxiliary holes are added.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측면을 제외한 2개 면 중에서 베이스(200)를 향한 면에는 보조 홈(313)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As can be seen from FIG. 6 , an auxiliary groove 313 may b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base 200 among two surfaces excluding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

이 보조 홈(313)은 일정 깊이로 함입된 구멍이라 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슬릿(313a)과 서브 홀(313b)로 이루어져 있다.This auxiliary groove 313 can be said to be a hol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specifically, it is composed of a slit 313a and a sub-hole 313b.

슬릿(313a)은 제 2 체결 홈(311)이 형성된 가상 라인, 즉 둘레 방향을 기준으로 연장되어 제 2 체결 홈(311) 사이에서 함입 형성된 함입 구멍이고, 서브 홀(313b)은 슬릿(313a)의 양 단에서 슬릿(313a)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원형 형상으로 함입 형성된 함입 구멍이라 할 수 있다.The slit 313a is an imaginary line on which the second fastening groove 311 is formed, that is, a recessed hol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recessed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grooves 311, and the sub hole 313b is the slit 313a. At both ends of the slit (313a)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width can be called a recessed hole formed in a circular shape.

이 슬릿(313a)은 패스너(F)에 집중된 외력에 따른 응력과 피로도를 슬릿(313a)의 연장 길이와 체적만큼 상대적으로 넓게 분산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바, 단순한 구멍에 비해 넓은 면적을 제공하므로 상술한 응력에 대한 분산력을 높일 수 있다.The slit 313a serves to disperse stress and fatigue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concentrated on the fastener F as wide as the extended length and volume of the slit 313a, and provides a larger area than a simple ho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ispersion force against the above-described stress.

서브 홀(313b)은 슬릿(313a)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응력의 효율적인 분산력을 추가하는 기능을 겸비한다. The sub-hole 313b has a function of not only strengthening the durability of the base plate 310 on which the slit 313a is formed, but also adding an effective stress dispersing force.

구체적으로, 슬릿(313a)의 양단이 얇고 길게 연장되면 외력에 의해 불필요하게 찢기거나 늘어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물론 드럼축 어셈블리(300)의 전반적인 내구성을 해칠 수 있는데 이 슬릿(313a)보다 큰 직경의 서브 홀(220)을 슬릿(210)의 양단에 배치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both ends of the slit 313a are thinly and long, they may be torn or stretched unnecessarily by an external force, thereby damaging the overall durability of the drum shaft assembly 300 as well as the base plate 310, which is larger than the slit 313a. By disposing the diameter sub-holes 220 at both ends of the slit 210, the above-described problem can be solved.

또한, 서브 홀(220)은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외력이 지속될 경우 이 외력에 의해 슬릿(313a)의 단부에 집중된 응력을 효율적으로 분산하여 슬릿(313a)에도 가중될 수 있는 응력 응집 현상을 해결하도록 응력을 추가로 분산할 수 있는 역할을 겸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on the base plate 310 continues, the sub-hole 220 efficiently distributes the stress concentrated at the end of the slit 313a by the external force to solve the stress aggregation phenomenon that may be added to the slit 313a. It can serve as a function of additionally dissipating stress.

더 나아가, 외력이 크지 않게 작용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릿(313a)만으로 충분히 교합력을 분산시킬 수 있지만 만일 상대적으로 폐기물의 하중이 커서 이 하중을 더한 큰 외력이 벨트를 통해 전달되면 응력이 중앙 부위 또는 양단으로 집중되어 해당 부위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해당 부위부터 파절될 우려가 따를 수 있으나, 상술한 서브 홀(313b)이 슬릿(313a)의 양단으로 집중한 응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장시간 사용해도 피로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지 않도록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external force is not large, the occlusal force can be sufficiently dispersed with only the slit 313a as described above. Concentrated at both ends, the fatigue level of the area increases, and there may be a risk of fracture from the area, but since the above-described sub-hole 313b can efficiently disperse the stress concentrated on both ends of the slit 313a, use i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basis for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base plate 310 so that fatigue is not relatively increased.

추가적으로, 서브 홀(313a)은 도입 부위인 외측 부위에서 종결 부위인 내측 부위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taper) 처리된 원뿔대와 같은 구조, 다시 말해 외광내협(外廣內狹)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sub-hole 313a has a structure such as a truncated cone that is tapered so that the diameter increases as it extends from the outer portion, which is the introduction portion, to the inner portion, which is the end portion, that is, the outer light inner narrow structure. it is possible

이러한 구조는 특히 서브 홀(313b)의 내부 부위에 집중되거나 잔류된 응력을 수용할 수 있는 물리적인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내측 부위의 직경을 외측 부위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처리한 것이다. In this structure, the diameter of the inner portion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portion in order to secure a physical area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oncentrated or residual stress in the inner portion of the sub-hole 313b.

더불어, 서브 홀(313b)의 외부 직경이 불필요하게 커져 이로써 오히려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야기하는 문제를 방지하면서도 충분한 내부 공간을 확보하여 상술한 서브 홀(313b)의 내부에 주변 부위의 응력을 효율적으로 수용한 다음 분산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diameter of the sub-hole 313b is unnecessarily large,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of rather cracking, and securing sufficient internal space to efficiently reduce the stress of the surrounding area inside the sub-hole 313b. It can be accommodated and then provide a basis for distributed processing.

도 7은 완충 플레이트를 추가한 드럼의 제 2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drum to which a buffer plate is added.

도 7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드럼(100)은 베이스(200)와 드럼축 어셈블리(300)(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310)) 사이에 완충 플레이트(400)를 추가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7, the dru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dispose the buffer plate 400 between the base 200 and the drum shaft assembly 300 (specifically, the base plate 310). possible.

완충 플레이트(40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상태에서 완충 플레이트(40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제 1,2 체결 홈(210,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제 3 체결 홈(410)이 관통 형성된 원판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buffer plate 400 is a plurality of third fastening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210 and 311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uffer plate 400 in a state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base plate 310 . The groove 410 has a disc structure formed through it.

즉, 제 1,2 체결 홈(210,311)에 결합되는 패스너(F)가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제 2 체결 홈(311)을 거쳐 제 3 체결 홈(410)을 지난 다음 최종적으로 베이스(200)의 제 1 체결 홈(210)으로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10), 완충 플레이트(400), 베이스(200)를 상호 결속시킬 수 있다.That is, the fastener F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210 and 311 passes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groove 311 of the base plate 310 and the third fastening groove 410 and finally the base 200 . It is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210 of the base plate 310 , the buffer plate 400 , and the base 200 may be mutually bound.

더불어, 이 완충 플레이트(40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때, 탄성 재질은 고무를 비롯하여 TPU, PC와 같은 탄성력을 구비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혼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완충 플레이트(400)가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베이스(200) 사이에서 일종의 패킹과 같은 완충 역할을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베이스(200)가 불필요하게 결착되거나 결합 면에서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buffer plate 400 is based on be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t this time, the elastic material may be made of rubber, TPU, engineering plastic having elastic force such as PC, or a mixture thereof, and the buffer plate 400 is a kind of packing between the base plate 310 and the base 200 . It serves to prevent unnecessary binding of the base plate 310 and the base 200 or the occurrence of a sliding phenomenon on the coupling surface by acting as a buffer.

더 나아가,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완충 플레이트(400)의 제 3 체결 홈(410)의 내주면에는 압착부(411)가 적층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 3 체결 홈(410)의 직경은 압착부(411)의 두께만큼 제 1,2 체결 홈(210,3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압착부(411)의 존재만큼 제 3 체결 홈(410)의 직경이 작아져 패스너(F)가 원활하게 결합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한다. Furthermore, referring back to FIG. 7 , it is possible for the compression part 411 to be lamin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fastening groove 410 of the buffer plate 400 .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third fastening groove 41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210 and 311 by the thickness of the compressing part 411, and the third fastening groove 410 is formed by the existence of the compressing part 411.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fastener (F) is not smoothly coupled due to the small diameter of the .

압착부(411)은 그래파이트(Graphite)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에 윤활제와 같은 공지의 오일을 패스너(F)의 결합 전에 제 3 체결 홈(410) 내로 뿌리거나 공급하면 압착부(411)에서 이 오일을 흡착하고 있다가 패스너(F)가 제 3 체결 홈(410)에 삽입되면서 제 3 체결 홈(410)에 압박을 가할 때 이 압력으로 오일을 토출하여 고체 윤활제와 같은 역할을 제공하여 패스너(F)가 제 3 체결 홈(410)에 불필요하게 결착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패스너(F)의 결합 시 발생한 압력을 일부 흡수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강화한 컨베이어 벨트용 드럼을 구비한 폐기물 처리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compression part 411 contains graphit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when a known oil such as a lubricant is sprayed or supplied into the third fastening groove 410 before the fastener F is coupled, the compression part 411 is provided. While adsorbing this oil, when the fastener (F) is inserted into the third fastening groove 410 and applying pressure to the third fastening groove 410, the oil is discharged with this pressure to serve as a solid lubricant.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fastener (F) from being unnecessarily bound to the third fastening groove (410), it also serves to absorb some of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fastener (F) is coupled.
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drum for a conveyor belt with enhanced maintenance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 호퍼 2: 처리부
10: 컨베이어 벨트 11: 벨트
12: 모터 13: 체인
14: 롤러 15: 드럼(공지의 드럼)
100: 드럼(본 발명의 드럼) 200: 베이스
210: 제 1 체결 홈 220: 결합공
300: 드럼축 어셈블리 310: 베이스 플레이트
311: 제 2 체결 홈 312: 결합 블록
313: 보조 홈 313a: 슬릿
313b: 서브 홀 320: 드럼축
400: 완충 플레이트 410: 제 3 체결 홈
411: 압착부 F: 패스너
1: Hopper 2: Processing section
10: conveyor belt 11: belt
12: motor 13: chain
14: roller 15: drum (known drum)
100: drum (drum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bass
210: first fastening groove 220: coupling hole
300: drum shaft assembly 310: base plate
311: second fastening groove 312: coupling block
313: secondary groove 313a: slit
313b: sub hole 320: drum shaft
400: buffer plate 410: third fastening groove
411: crimping portion F: fastener

Claims (8)

폐기물을 호퍼로 이동하거나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폐기물이 안착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가 감긴 것으로 체인을 매개로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는 드럼축을 구비한 드럼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원통 형상으로서, 일 단에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제 1 체결 홈이 함입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 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원판 형상을 취한 상태에서 둘레를 따라 상기 제 1 체결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복수 개로 관통된 제 2 체결 홈을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서 상기 베이스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된 드럼축을 구비한 드럼축 어셈블리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와 상기 드럼축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상태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제 1,2 체결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제 3 체결 홈이 관통 형성된 완충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제 1,2 체결 홈에 패스너를 체결하여 상기 드럼축 어셈블리를 상기 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베이스의 중앙 부위에는, 결합공이 함입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베이스를 향한 면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결합 블록이 형성되어,
상기 드럼축 어셈블리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 시 상기 결합공과 결합 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베이스를 향한 면에는,
상기 제 2 체결 홈이 형성된 둘레 방향을 기준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체결 홈 사이에 함입 형성된 슬릿과, 상기 슬릿의 양 단에서 상기 슬릿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원형 형상으로 함입된 서브 홀로 이루어진 보조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강화한 컨베이어 벨트용 드럼을 구비한 폐기물 처리 장치.
In order to move or discharge the waste to a hopper,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belt on which the waste is seated and a drum having a drum shaft that receives rotational power of a motor through a chain around which the belt is wound,
The drum is
A base having a cylindrical shape,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grooves are recessed along the circumference at one end;
A base plate detach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b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grooves penetr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s along the circumference in a state of taking a disk shape, and the base plate; A drum shaft assembly having a drum shaft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ase from the center of the
A plurality of third fastener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positioned between the base and the drum shaft assembly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in a state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base plate. Including a buffer plat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groove is formed,
The drum shaft assembl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by fastening fasteners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a coupling hole is formed by depression,
A coupling block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base plate facing the base,
When the drum shaft assembly is coupled to the base, the coupling hole and the coupling block are coupled,
On the side facing the base from the base plate,
An auxiliary groove comprising a slit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fastening groove is formed and recessed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grooves, and sub-holes recessed in a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lit at both ends of the slit. A waste treatment device having a drum for a conveyor belt with enhanced maintenance convenience, characterized in that this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홀은,
도입 부위인 외측 부위에서 종결 부위인 내측 부위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강화한 컨베이어 벨트용 드럼을 구비한 폐기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b hole is
A wast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drum for a conveyor belt with enhanced convenience in mainten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apered process is performed so that the diameter increases as it extends from the outer portion, which is the introduction portion, to the inner portion, which is the end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53893A 2021-04-26 2021-04-26 Waste disposal device equipped with a drum for a conveyor belt that enhances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KR102296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893A KR102296959B1 (en) 2021-04-26 2021-04-26 Waste disposal device equipped with a drum for a conveyor belt that enhances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893A KR102296959B1 (en) 2021-04-26 2021-04-26 Waste disposal device equipped with a drum for a conveyor belt that enhances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959B1 true KR102296959B1 (en) 2021-09-01

Family

ID=7777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893A KR102296959B1 (en) 2021-04-26 2021-04-26 Waste disposal device equipped with a drum for a conveyor belt that enhances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95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622U (en) * 1993-05-14 1994-11-29 有限会社二幸商会 Belt conveyor rollers or pulleys
US20090194389A1 (en) * 2008-02-05 2009-08-06 Kanaris Alexander D Conveyor drive roller
KR101427849B1 (en) * 2013-12-10 2014-08-07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using air and method of constructioin waste treat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622U (en) * 1993-05-14 1994-11-29 有限会社二幸商会 Belt conveyor rollers or pulleys
US20090194389A1 (en) * 2008-02-05 2009-08-06 Kanaris Alexander D Conveyor drive roller
KR101427849B1 (en) * 2013-12-10 2014-08-07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using air and method of constructioin waste trea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791B2 (en) Pivoting shoes for an impact crushing apparatus
US8066213B2 (en) Replaceable tooth mount rotor system for waste fragmenting machines
EA015853B1 (en) Inner shell intended for a gyratory crusher, and method of attaching such a shell on a crushing head
US4911564A (en) Protective bearing guard
KR102296959B1 (en) Waste disposal device equipped with a drum for a conveyor belt that enhances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U2011253666B2 (en) Pick Assembly
KR100909860B1 (en) Crusher
JPH1071494A (en) Screw press device
US7841551B2 (en) Drop-in anvils for an impact crushing apparatus
KR200482420Y1 (en) Food and trash moisture dehydration system
US7108418B2 (en) Bearing seal assembly for concrete auger mixer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090194621A1 (en) Low-profile housing for an impact crushing apparatus
KR100861407B1 (en) Prevention device aggregate screen net for rotatior type drum aggregate sorting
KR100421942B1 (en) Variable vibrating device of apparatus for screening construction wastes
US3961774A (en) Vibratory compactor
CN213943413U (en) Organic biological fungus fertilizer is with unloader that has shredding function
KR100633775B1 (en) Con crusher
KR20000058425A (en) Waste selector's screen structure
US7631827B2 (en) Floating tubular rotors for an impact crushing apparatus
KR101026225B1 (en) Crusher for recycling of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 using waste belt
JPS588338Y2 (en) Vertical impact crusher
CN217069283U (en) Atomizing disk of rotary atomizer
CN210303892U (en) Vertical vibration-damping pulverizer
CA2133119A1 (en) Waste processing machine
KR200282665Y1 (en) Variable vibrating device of apparatus for screening construction was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