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855B1 - 부유식 해상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상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855B1
KR102296855B1 KR1020200036822A KR20200036822A KR102296855B1 KR 102296855 B1 KR102296855 B1 KR 102296855B1 KR 1020200036822 A KR1020200036822 A KR 1020200036822A KR 20200036822 A KR20200036822 A KR 20200036822A KR 102296855 B1 KR102296855 B1 KR 102296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body
mooring line
floating
sub
m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경
박종포
김관수
박미호
김정태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200036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21/005Resilient passive elements to be placed in line with mooring or towing chains, or line connections, e.g. dampers or sp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해상에 부유된 메인 부유체; 상기 메인 부유체를 고정하기 위해 해저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앵커; 상기 메인 부유체와 하나 이상의 상기 앵커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부유체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계류선; 및 상기 메인 부유체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앵커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의 일단이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등하중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류선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등하중지지대를 이용하여 계류선에 가해지는 피로 하중을 최소화함으로써, 다양한 해상 환경 상태에서, 부유식 해상구조물이 안정된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상구조물{FLOATING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표류를 방지하기 위한 계류선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풍력발전 시스템을 해상에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해상풍력은 육상풍력에 비해 크고, 풍속의 변화가 크지 않아 발전설비에 필요한 입지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풍력발전 시스템 등과 같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이 해상에 설치할 때, 해상에 부유된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이 해상에서 표류하지 않도록 계류선을 설치한다.
종래에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계류선으로 설치하는 경우, 체인이나 와이어 등을 사용하여 계류선이 현수선(catenary)과 같이, 양끝 부분만 고정된 상태로 설치하거나, 또는, 고장력을 가지는 계류선을 이용하여 해전면과 수직으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현수선 형상을 가지도록 계류선을 설치하거나 고장력을 갖는 계류선을 이용하는 경우,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환경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계류선 내의 장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때, 계류선이 견딜 수 있는 장력에 대한 임계값을 초과하여 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계류선이 결국 끊어지는 등의 손상이 발행하여 부유식 해상구조물이 불안정한 상태가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렇게 계류선이 끊어지는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작동을 중단하고, 수선이나 교체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함에 따라 큰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4588호 (2016.08.3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5548호 (2020.01.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설치되는 계류선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계류선에 발생하는 피로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해상에 부유된 메인 부유체; 상기 메인 부유체를 고정하기 위해 해저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앵커; 상기 메인 부유체와 하나 이상의 상기 앵커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부유체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계류선; 및 상기 메인 부유체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앵커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의 일단이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등하중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기 등하중지지대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과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 설치되고, 해상에 부유된 제1 서브 부유체; 상기 제1 서브 부유체와 이격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 설치되고, 해상에 부유된 제2 서브 부유체; 및 상기 제1 서브 부유체 및 제2 서브 부유체 사이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 설치된 질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부유체는, 상기 메인 부유체와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부유체 및 제2 서브 부유체는, 각각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서 이동되도록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부유체 및 상기 제1 서브 부유체 사이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 설치된 파이프 부유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기 등하중지지대는, 제1 등하중지지대 및 제2 등하중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등하중지지대는 상기 메인 부유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등하중지지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앵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등하중지지대는 하부 방향에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이 배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등하중지지대는 상부 방향에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이 배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해상에 부유된 메인 부유체; 상기 메인 부유체를 고정하기 위해 해저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앵커; 상기 메인 부유체와 하나 이상의 상기 앵커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부유체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계류선;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 설치되고, 해상에 부유된 제1 서브 부유체; 상기 제1 서브 부유체와 이격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 설치되고, 해상에 부유된 제2 서브 부유체; 및 상기 제1 서브 부유체 및 제2 서브 부유체 사이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 설치된 질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량체는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1 서브 부유체 및 제2 서브 부유체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류선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등하중지지대를 이용하여 계류선에 가해지는 피로 하중을 최소화함으로써, 다양한 해상 환경 상태에서, 부유식 해상구조물이 안정된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계류선 자체 및 계류선과 연결된 부위에 대한 피로 하중을 최소화하여 계류선에 대한 설계 수명을 보장하여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계류선의 피로 하중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계류선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제1 등하중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제2 등하중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파이프 부유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다음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이 명료해지도록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구조물(100)은 해상에 부유된 상태로 설치되며 동작할 수 있는 장치이며, 예컨대 해상 풍력발전 장치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해상구조물일 수 있다. 이러한 부유식 해상구조물(100)은 해상에 부유된 상태로, 하나 이상의 계류선(1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유식 해상구조물(100)은, 메인 부유체(110), 제1 서브 부유체(122), 제2 서브 부유체(124), 질량체(130), 파이프 부유체(140), 계류선(150), 제1 앵커(162), 제2 앵커(164), 제1 등하중지지대(172), 제2 등하중지지대(174), 제3 등하중지지대(176) 및 제4 등하중지지대(178)를 포함한다.
메인 부유체(110)는, 부유식 해상구조물(100)의 각종 장비가 설치되며, 각종 장비를 지지한다. 그리고 메인 부유체(110)는 해상에 부유된 상태를 유지하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스파형 풍력발전 시스템의 경우, 메인 부유체(110)는, 길이가 길고 수선면적이 작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반잠수식 풍력발전 시스템의 경우, 메인 부유체(11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큰 수선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서브 부유체(122)는 메인 부유체(110)와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해상에 부유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브 부유체(124)는 제1 서브 부유체(122)와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해상에 부유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부유체(122) 및 제2 서브 부유체(124)는, 각각 메인 부유체(11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계류선(150)이 연결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계류선(150)이 제1 서브 부유체(122) 및 제2 서브 부유체(124)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서브 부유체(122) 및 제2 서브 부유체(124)의 내부에 계류선(150)이 권선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부유체(122) 및 제2 서브 부유체(124)는, 각각 계류선(15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질량체(130)는 계류선(150)에 갑작스럽게 해상의 수위 변화가 발생하는 등과 같이, 계류선(150)에 걸리는 장력을 1차적으로 부담하기 위해 계류선(15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질량체(130)는 제1 서브 부유체(122) 및 제2 서브 부유체(124)의 사이에 배치된 계류선(15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질량체(130)는 제1 서브 부유체(122) 및 제2 서브 부유체(124)의 사이에 배치된 계류선(150)에 설치됨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량체(130)의 질량에 의해 제1 서브 부유체(122) 및 제2 서브 부유체(124)의 사이에서 수중에 잠긴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질량체(130)는, 질량체(130)의 질량에 따라 수중에 잠기는 깊이가 달라질 수 있는데, 예컨대, 질량체(130)의 질량은 질량체(130)가 해저까지 잠기지 않을 정도의 질량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질량체(130)의 질량은 제1 서브 부유체(122) 및 제2 서브 부유체(124)가 갖는 부력의 합에 대응되는 질량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질량체(130)가 설치된 계류선(150)이 갑작스럽게 외력이 발생하여, 제2 서브 부유체(124)와 제2 앵커(164) 사이의 계류선(150)의 길이가 증가하는 경우, 질량체(130)가 상부로 이동하여 메인 부유체(110)가 외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파이프 부유체(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선(150)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계류선(150)을 해상에 부유시키는 역할을 한다. 파이프 부유체(140)는 메인 부유체(110)와 제1 서브 부유체(122) 사이에 배치된 계류선(150)에 설치된다.
따라서 메인 부유체(110)와 제1 서브 부유체(122) 사이에 배치된 계류선(150)이 수중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여 계류선(150)의 하중에 의해 메인 부유체(110)가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계류선(150)은 메인 부유체(110)가 해상에서 표류되지 않도록 제1 앵커(162) 및 제2 앵커(164)와 연결한다. 이를 위해 계류선(150)은 복수 개가 메인 부유체(11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계류선(150)이 메인 부유체(110)에 설치된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 개의 계류선(150)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계류선(150)이 이용될 수 있다.
제1 앵커(162) 및 제2 앵커(164)는 해저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게류선을 통해 메인 부유체(110)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앵커(162) 및 제2 앵커(164)가 이용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더 많은 개수의 앵커가 이용될 수 있다.
제1 앵커(162) 및 제2 앵커(164)는 계류선(150)의 끝단에 각각 설치되고, 계류선(15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등하중지지대(172) 및 제3 등하중지지대(176)는 메인 부유체(110)에 설치된다. 제2 등하중지지대(174) 및 제4 등하중지지대(178)는 각각 제1 앵커(162) 및 제2 앵커(164)에 설치된다. 제1 등하중지지대(172)와 제2 등하중지지대(174) 사이에 계류선(150)이 배치되고, 제3 등하중지지대(176)와 제4 등하중지지대(178) 사이에 계류선(150)이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등하중지지대(172)와 제2 등하중지지대(174) 사이에 연결된 계류선(150)에 의해 메인 부유체(110)가 제1 앵커(16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등하중지지대(176)와 제4 등하중지지대(178) 사이에 연결된 계류선(150)에 의해 메인 부유체(110)가 제2 앵커(164)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등하중지지대(17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선(150)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1 등하중지지대(172)는 제1 몸체부(172a) 및 제1 탄성부(172b)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172a)는 메인 부유체(110)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제1 탄성부(172b)를 지지한다.
제1 탄성부(172b)는 일단이 제1 몸체부(172a)에 연결되고, 타단이 계류선(150)과 연결된다. 그에 따라 계류선(150)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 탄성부(172a)는 길이 가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탄성부(172b)는 스프링일 수 있다.
그에 따라 계류선(150)에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제1 등하중지지대(172) 내에 설치된 제1 탄성부(172b)에 의해 외력이 조절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3 등하중지지대(176)도 제1 등하중지지대(172)와 같이, 메인 부유체(110)에 설치되어 계류선(150)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2 등하중지지대(17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앵커(162)의 상부에 설치되고, 계류선(150)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2 등하중지지대(17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선(150)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2 등하중지지대(174)는 제2 몸체부(174a) 및 제2 탄성부(174b)를 포함한다.
제2 몸체부(174a)는 제1 앵커(162)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제2 탄성부(174b)를 지지한다.
제2 탄성부(174b)는 일단이 제2 몸체부(174a)에 연결되고, 타단이 계류선(150)과 연결된다. 그에 따라 계류선(150)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2 탄성부(174a)는 길이 가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탄성부(174b)는 스프링일 수 있다.
그에 따라 계류선(150)에 소정의 외력이 가해질 때 제2 탄성부(174b)에 의해 계류선(15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4 등하중지지대(178)도 제2 등하중지지대(174)와 같이, 제2 앵커(164)의 상부에 설치되며, 계류선(150)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메인 부유체(110)에 계류선(150)이 설치되고, 계류선(150)이 제1 앵커(162) 및 제2 앵커(164)와 연결됨에 따라 메인 부유체(110)는 해상에서 표류하지 않고 설정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부유체(110)와 제1 앵커(162) 사이에 배치된 계류선(150)은 양단에 제1 등하중지지대(172) 및 제2 등하중지지대(174)가 설치됨에 따라 제1 등하중지지대(172) 및 제2 등하중지지대(174)에 포함된 제1 탄성부(172b) 및 제2 탄성부(174b)에 의해 계류선(150)에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계류선(15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계류선(150) 자체에 대한 피로 하중을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제1 등하중지지대(172) 및 제2 등하중지지대(174)에 의해 계류선(150)의 연결부위에 걸리는 피로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메인 부유체(110)와 제2 앵커(164) 사이에 배치된 계류선(150)은 양단에 제3 등하중지지대(176) 및 제4 등하중지지대(178)가 설치되고, 또한, 파이프 부유체(140), 제1 서브 부유체(122), 질량체(130) 제2 서브 부유체(124)가 설치된다.
그에 따라 제1 서브 부유체(122) 및 제2 서브 부유체(124) 사이에 배치된 질량체(130)에 의해 계류선(15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질량체(130)의 위치가 상하로 이동되어 계류선(15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계류선(15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렇게 계류선(150)에 걸리는 장력이 조절됨에 따라 계류선(150) 자체에 걸리는 피로 하중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계류선(150)의 양단에 제3 등하중지지대(176) 및 제4 등하중지지대(178)가 설치됨에 따라 계류선(150)의 연결부위에 걸리는 피로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부유식 해상구조물
110: 메인 부유체
122: 제1 서브 부유체 124: 제2 서브 부유체
130: 질량체 140: 파이프 부유체
150: 계류선
162: 제1 앵커 164: 제2 앵커
172: 제1 등하중지지대
172a: 제1 몸체부 172b: 제1 탄성부
174: 제2 등하중지지대
174a: 제2 몸체부 174b: 제2 탄성부
176: 제3 등하중지지대 178: 제4 등하중지지대

Claims (10)

  1. 해상에 부유된 메인 부유체;
    상기 메인 부유체를 고정하기 위해 해저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앵커;
    상기 메인 부유체와 하나 이상의 상기 앵커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부유체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계류선;
    상기 메인 부유체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앵커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의 일단이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등하중지지대;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부유체와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위치의 해상에 부유된 제1 서브 부유체;
    상기 제1 서브 부유체와 이격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 설치되고, 해상에 부유된 제2 서브 부유체;
    상기 제1 서브 부유체 및 제2 서브 부유체 사이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 설치된 질량체; 및
    상기 메인 부유체 및 상기 제1 서브 부유체 사이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이 부유되도록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의 하중에 대응되는 파이프 부유체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등하중지지대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과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부유체 및 제2 서브 부유체는, 각각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서 이동되도록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에 설치된,
    부유식 해상구조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등하중지지대는, 제1 등하중지지대 및 제2 등하중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등하중지지대는 상기 메인 부유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등하중지지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앵커에 설치된,
    부유식 해상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등하중지지대는 하부 방향에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이 배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등하중지지대는 상부 방향에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이 배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선과 연결된,
    부유식 해상구조물.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36822A 2020-03-26 2020-03-26 부유식 해상구조물 KR102296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822A KR102296855B1 (ko) 2020-03-26 2020-03-26 부유식 해상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822A KR102296855B1 (ko) 2020-03-26 2020-03-26 부유식 해상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855B1 true KR102296855B1 (ko) 2021-09-01

Family

ID=7777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822A KR102296855B1 (ko) 2020-03-26 2020-03-26 부유식 해상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8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5781A (zh) * 2021-09-18 2021-12-21 夏尔特拉(上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系泊系统
WO2023040245A1 (zh) * 2021-09-18 2023-03-23 夏尔特拉(上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系泊系统
WO2023040244A1 (zh) * 2021-09-18 2023-03-23 夏尔特拉(上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系泊系统
US11807343B2 (en) * 2020-03-24 2023-11-07 Rwe Renewables Gmbh Buoyant foundation structure for an offshore construction
WO2024155198A1 (en) * 2023-01-20 2024-07-25 Meachen Jeffrey Aquaculture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1784A (ja) * 1983-03-16 1984-09-28 Sumitomo Rubber Ind Ltd 一点係留ブイ用接続ホ−スラインの敷設構造
JP2006206006A (ja) * 2005-01-31 2006-08-10 Univ Of Ryukyus 浮体の係留方法
KR20090124350A (ko) * 2008-05-29 2009-12-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 계류장력 완충장치
KR101636543B1 (ko) * 2016-01-04 2016-07-05 운지파워텍(주) 수상태양광발전시스템의 부유구조체 계류장치
KR101654588B1 (ko) 2014-09-22 2016-09-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장치,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방법, 및 그 계류라인 장력 조절장치를 갖는 계류 시스템
KR102065548B1 (ko) 2018-11-15 2020-01-13 주식회사 포어시스 길이가변형 계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1784A (ja) * 1983-03-16 1984-09-28 Sumitomo Rubber Ind Ltd 一点係留ブイ用接続ホ−スラインの敷設構造
JP2006206006A (ja) * 2005-01-31 2006-08-10 Univ Of Ryukyus 浮体の係留方法
KR20090124350A (ko) * 2008-05-29 2009-12-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 계류장력 완충장치
KR101654588B1 (ko) 2014-09-22 2016-09-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장치,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방법, 및 그 계류라인 장력 조절장치를 갖는 계류 시스템
KR101636543B1 (ko) * 2016-01-04 2016-07-05 운지파워텍(주) 수상태양광발전시스템의 부유구조체 계류장치
KR102065548B1 (ko) 2018-11-15 2020-01-13 주식회사 포어시스 길이가변형 계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7343B2 (en) * 2020-03-24 2023-11-07 Rwe Renewables Gmbh Buoyant foundation structure for an offshore construction
CN113815781A (zh) * 2021-09-18 2021-12-21 夏尔特拉(上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系泊系统
WO2023040245A1 (zh) * 2021-09-18 2023-03-23 夏尔特拉(上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系泊系统
WO2023040244A1 (zh) * 2021-09-18 2023-03-23 夏尔特拉(上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系泊系统
WO2024155198A1 (en) * 2023-01-20 2024-07-25 Meachen Jeffrey Aquacultur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855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CN107690405B (zh) 漂浮式风力涡轮机组件及用于系泊该漂浮式风力涡轮机组件的方法
KR101926737B1 (ko) 해상 부유체 계류장치
US5054415A (en) Mooring/support system for marine structures
CN113815781A (zh) 系泊系统
WO2005009842A1 (en) Shallow water riser support
Schnepf et al. Suspended power cable configurations for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s in deep water powering an FPSO
KR102626590B1 (ko) 해상 부유체의 계류하중 완충장치
KR20180108195A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설비
KR20190125790A (ko) 수상 부유 시설물용 계류장치
KR102563565B1 (ko) 수중 부력체에 의한 2점식 계류장치
US20230219662A1 (en) System for avoiding damage to power cables to and from and within a floating offshore wind power plant
KR102144424B1 (ko) 인장계류식 풍력발전기 및 이의 설치 및 해체 방법
US4130077A (en) Single-point mooring system
KR101162441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662486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JPH10204850A (ja) 係留設備
KR20170026001A (ko) 부유식 해양플랜트
KR20160044241A (ko) 부유식 풍력발전장치의 하부구조물
KR102649078B1 (ko) 계류 시스템
KR102649081B1 (ko) 계류 시스템
KR102713691B1 (ko) 수상태양광발전구조물의 유효 계류력 유지와 이완 구간 조성 및 모니터링을 위한 복합 계류장치
KR102487582B1 (ko) 해양 구조물
WO2023040244A1 (zh) 系泊系统
KR20240042777A (ko) 해양구조물용 풍하중 저감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의 풍하중 저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