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717B1 -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717B1
KR102296717B1 KR1020190085816A KR20190085816A KR102296717B1 KR 102296717 B1 KR102296717 B1 KR 102296717B1 KR 1020190085816 A KR1020190085816 A KR 1020190085816A KR 20190085816 A KR20190085816 A KR 20190085816A KR 102296717 B1 KR102296717 B1 KR 102296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electronic money
coins
input
accum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478A (ko
Inventor
천태진
Original Assignee
(주)에어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포스 filed Critical (주)에어포스
Priority to KR102019008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7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동전이 투입되는 단계;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가능한 전자화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화폐의 적립율을 반영한 상기 전자화폐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적립율을 반영하여 적립되는 전자화폐 금액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립되는 상기 전자화폐의 금액은 투입된 상기 동전의 금액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RECOVERY COI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투입되는 동전의 금액을 초과하여 전자화폐로 적립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상점이나 매장에서 고객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현금으로 결제할 경우, 판매자 측은 거스름돈을 동전과 같은 잔돈으로 지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 측은 일정한 수량의 동전을 잔돈 준비금으로 확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반해, 거스름돈을 지급받은 고객은 동전이 부피 및 무게를 많이 차지하는 바, 소지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동전이 지갑이나 주머니에 넣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 사용할 정도로 효용 값어치가 크지 않고, 최근에는 현금보다 카드의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동전을 사용하지 않고 서랍이나 저금통 같은 저장 공간에 모으는 추세이다. 따라서, 동전은 유통되지 않고 사장되며, 동전이 유통되기 위하여 동전의 재생산이 필요하게 된다.
대부분의 동전들은 제조 비용이 실물 가치보다 비싼 편이며, 특히 10원 동전은 제조하는데 실물 가치보다 2배 가까운 비용이 든다. 이에 따라, 동전을 재생산할 경우 국민의 세금이 비생산적인 곳에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동전의 재생산을 막기 위하여, 최근에는, 동전의 회수를 목적으로 한 다양한 잔돈 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잔돈 관리 시스템에 대한 특허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4192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잔돈 관리 시스템은 잔돈을 온라인 상에서 적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잔돈 투입 기기에 투입된 잔돈을 계수하여 서버에 적립되거나, 물품을 구입하고 남은 거스름돈을 가맹점 기기로부터 전달받아 서버에 적립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잔돈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투입한 금액만큼만 적립되거나, 거스름돈으로 받아야하는 금액만큼만 적립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동전을 직접 잔돈 투입 기기가 있는 곳으로 가져가 적립을 수행할 만큼의 이득을 취하지는 못한다. 다시 말해, 잔돈을 적립하기 위해 투자하는 시간 및 노력 대비 잔돈을 적립하여 얻는 이익이 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잔돈 관리 시스템은 상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6-0144192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투입되는 동전의 금액을 초과하여 전자화폐로 적립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동전이 투입되는 단계;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가능한 전자화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화폐의 적립율을 반영한 상기 전자화폐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적립율을 반영하여 적립되는 전자화폐 금액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립되는 상기 전자화폐의 금액은 투입된 상기 동전의 금액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립 가능한 전자화폐를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전자화폐 종류를 표시하고, 각각의 상기 전자화폐는 서로 상이한 적립율을 제공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화폐 종류 중 선택된 상기 전자화폐 종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투입된 상기 동전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적립율이 제공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투입된 상기 동전의 금액이 기 설정된 금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적립율이 변동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투입된 상기 동전의 종류 중 투입된 금액이 기 설정된 금액을 초과하는 동전이 있을 경우, 상기 적립율이 변동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부; 상기 투입된 동전을 배출 또는 회수하는 동전 처리부; 전자화폐에 따른 적립율이 저장되는 적립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투입된 상기 동전의 종류를 판단하는 센서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투입된 상기 동전의 정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적립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적립되는 상기 전자화폐의 금액은 투입된 상기 동전의 금액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전 처리부는, 투입된 상기 동전이 적립 불가능한 동전일 경우 외부로 상기 동전을 배출하는 동전 배출부; 및 투입된 상기 동전이 적립 가능한 동전일 경우 상기 동전을 회수하는 동전 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회수부는 상기 동전의 종류에 따라 각각 상기 동전을 회수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전자화폐와 상기 전자화폐별로 상이한 각각의 상기 적립율을 표시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은, 투입된 동전의 금액을 초과하여 전자화폐로 적립될 수 있다.
또한, 상용화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전 회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동전 회수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도.
도 4는 도 1의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도 4의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도 1의 동전 회수 시스템의 손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손익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손익 구조에 따른 수익금을 나타내는 표.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전 회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동전 회수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동전 회수 시스템(1)은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것으로서, 동전 회수 장치(10)와 적립 서버(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전 회수 장치(10)는 마트, 편의점 등 다양한 장소에 구비될 수 있으나, 동전 회수 장치(10)의 설치 장소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화폐는 화폐의 일종으로서, 지폐나 동전이 아닌 전자 기기를 이용해서 충전하고 결제할 수 있는 화폐를 의미한다. 전자화폐의 종류로는 몬덱스(마스타카드), 비자캐쉬(비자카드), Edy(라쿠텐), K-Cash(금융결제원), nanaco(세븐&아이 홀딩스), taspo, WAON, Id, QUICPay, Visa Touch, 머니트리, 티머니, 캐쉬비, 레일플러스, 토스, 카카오페이, 네이버 페이 등이 있으며, 전자화폐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동전 회수 장치(10)는 동전이 투입되는 것으로서, 본체(110)와,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동전 투입부(120) 및 동전 처리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0)가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본체(1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110)의 일측에는 동전 투입부(120)와 동전 처리부(13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동전 투입부(120)를 통해 동전을 투입하면, 본체(110) 내부로 투입된 동전은 적립 가능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출 또는 회수되는 동전 처리부(130)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전 처리부(130)는 동전 배출부(131) 및 동전 회수부(132)를 포함한다. 동전 투입부(120)를 통해 투입된 동전이 적립 불가능한 동전일 경우, 동전은 동전 배출부(131)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동전 투입부(120)를 통해 투입된 동전이 적립 가능한 동전일 경우, 동전은 동전 회수부(132)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이때, 동전 회수부(132)는 동전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동전 회수부(132)가 4개로 제공되어 10원짜리 동전은 제1 회수부(132a)로 회수되고, 50원짜리 동전은 제2 회수부(132b)로 회수되며, 100원짜리 동전과 500원짜리 동전은 각각 제3 회수부(132c) 및 제4 회수부(132d)로 회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전 회수부(132)가 4개로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동전 회수부(13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5개 이상 또는 3개 이하로 제공될 수 있다.
동전 배출부(131)를 통해 동전이 배출되면, 사용자는 투입된 동전을 다시 받게 되고, 전자화폐로 적립은 불가능하게 된다.
동전 회수부(132)를 통해 동전이 회수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전자화폐 계좌로 전자화폐의 적립율을 반영하여 전자화폐를 적립할 수 있다. 이때, 적립되는 전자화폐의 금액은 투입된 동전의 금액을 초과할 수 있다. 즉, 전자화폐의 적립율은 100%를 초과하도록 설정된다. 전자화폐의 구체적인 적립율은 후술하겠다.
동전 회수 장치(10)는 통신부(140)와, 센서부(150)와, 입력부(160)와, 디스플레이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통신부(140)는 적립 서버(20)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40)는 적립 서버(2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동전 투입부(120)를 통해 투입된 동전의 정보를 적립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동전 투입부(120) 내부로 투입되는 동전의 종류를 판단한다. 일 예로, 센서부(150)는 무게 측정 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50)는 동전 투입부(120)에 투입된 동전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해당 동전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센서부(15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동전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센서부(150)는 동전 투입부(120) 내부로 투입되는 동전의 크기를 감지함으로써, 동전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50)는 동전의 적립 가능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50)는 동전 투입부(120)에 투입된 동전의 훼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50)에서 동전 투입부(120)에 투입된 동전이 훼손되거나, 동전이 아닌 다른 물질일 경우 적립 불가능한 동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체(10)의 일측에는 입력부(160)가 구비된다. 입력부(16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본체(1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부(160)는 NFC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 등의 입력 수단을 입력부(160)에 태그할 수 있고, 통신부(140)는 입력부(160)에 태깅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적립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는 적립하고자 하는 전자화폐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NFC 통신을 통해 입력부(160)에 태그될 수 있으며, 통신부(140)는 입력부(160)에 태깅된 사용자의 전자화폐 정보를 적립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체(10)의 외부 일측에는 디스플레이부(170)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투입되는 동전의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적립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전 투입부(120)에 동전이 투입되어 센서부(150)에서 해당 동전의 금액을 판단하면, 디스플레이부(170)는 투입된 동전의 금액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60)가 입력부(160)를 통해 스마트폰 등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을 입력하면, 통신부(140)는 해당 정보를 적립 서버(20)에 전송하고, 사용자 식별 수단에 따른 전자화폐 계좌 여부를 전송 받아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70)는 적립 가능한 전자화폐의 종류와 함께 해당 전자화폐의 적립율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적립할 수 있는 전자화폐가 복수개일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전자화폐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터치 형식 또는 버튼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에 복수의 전자화폐가 표시될 경우, 디스플레이부(170)는 전자화폐별로 상이한 각각의 적립율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동전 처리부(130), 통신부(140), 센서부(150), 입력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센서부(150)를 제어하여 투입된 동전의 종류를 판단하게 할 수 있으며, 센서부(150)로부터 판단된 정보를 통하여 동전 처리부(130)를 제어하여 동전을 배출 또는 회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60)에 입력된 정보를 적립 서버(2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통신부(140)가 적립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에 따른 전자화폐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동전 회수 장치(10)는 적립 서버(2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적립 서버(20)는 전자화폐에 따른 적립율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적립 서버(20)는 가맹점 기기(30)와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전 회수 장치(10)를 통해 적립된 전자화폐가 가맹점 기기(30)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전 회수 장치(10)는 동전 투입부(120)를 통해 동전이 투입될 수 있다(S410).
동전이 투입되면, 제어부(180)는 센서부(150)를 제어하여 투입된 동전이 적립 가능한 동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0). 이때, 센서부(150)는 동전의 적립 가능 여부 뿐 아니라, 동전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부(150)에서 투입된 동전이 적립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170)에는 투입된 동전의 금액이 표시될 수 있다(S430). 만약, 투입된 동전이 적립 가능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부(170)는 투입된 동전의 적립이 불가능하다고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에 투입된 동전의 적립 불가 표시와 동시에, 투입된 동전은 동전 배출부(131)를 통해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S440).
디스플레이부(170)에 투입된 동전의 금액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입력부(160)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450). 이때, 입력부(160)에는 NFC 수단이 구비되고, 이와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등을 태그함으로써 사용자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 가능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주소, 핸드폰 번호, 소유한 전자화폐 계좌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적립 가능한 전자화폐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60). 이때, 적립 가능한 전자화폐 종류는 통신부(140)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적립 서버(20)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입력부(160)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적립 가능한 전자화폐 계좌를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70)는 적립 가능한 전자화폐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70)는 하나의 전자화폐를 표시하거나, 복수의 전자화폐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전자화폐와, 전자화폐의 적립율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70)에 복수의 전자화폐가 표시될 경우, 전자화폐 각각의 적립율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전자화폐는 각각 상이한 적립율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사가 운영하는 공간에 동전 회수 장치(10)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170)에 A사, B사, C사의 전자화폐 및 이의 적립율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A사는 A사의 적립율을 B사, C사보다 높게 책정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을 A사로 유도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자화폐의 적립율을 상이하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이 다양해질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적립 가능한 전자화폐 계좌를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투입된 동전은 동전 배출부(13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복수의 전자화폐 종류가 표시될 경우, 사용자는 적립하고자 하는 전자화폐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S470). 이때, 사용자는 터치 방식 또는 버튼 방식으로 전자화폐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화폐 종류의 선택이 완료되면, 해당되는 전자화폐의 적립율을 반영하여 전자화폐가 적립될 수 있다(S480). 이때, 적립되는 전자화폐의 금액은 투입되는 동전의 금액을 초과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투입한 동전보다 더 많은 금액을 전자화폐로 적립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적립율을 반영하여 적립된 전자화폐의 금액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화폐의 적립율은 동전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전자화폐로 적립하더라도, 투입된 동전의 종류에 따라 다른 적립율을 적용하여 전자화폐로 적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원짜리는 제1 적립율로 적립되고, 50원짜리는 제2 적립율로 적립되며, 100원짜리는 제3 적립율로 적립되고, 500원짜리는 제4 적립율로 적립될 수 있다. 이때, 회수율이 가장 낮은 10원짜리 동전의 제1 적립율이 가장 높고, 상대적으로 회수율이 높은 500원짜리의 제4 적립율이 가장 낮을 수 있다. 즉, 회수율에 따라 제1 적립율, 제2 적립율, 제3 적립율, 제4 적립율의 순서대로 적립율이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수율이 낮은 동전의 회수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투입되는 동전의 총 금액에 따라 적립율이 상이할 수 있다. 투입되는 동전의 금액보다 적립되는 전자화폐 금액이 높기 때문에, 이를 악용하는 사람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화폐 적립을 위하여 지폐를 동전으로 교환한 뒤 동전 회수 장치(10)를 통해 전자화폐로 적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전 회수 장치(10)에 기 설정된 금액을 초과하여 동전이 투입될 경우, 기준 금액 이상의 동전은 전자화폐 적립율이 변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전 회수 장치(10)에 제1 설정 금액 이하로 동전이 투입되면 기준 적립율로 전자화폐 적립이 가능하고, 동전 회수 장치(10)에 제1 설정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으로 동전이 투입되면 제1 설정 금액에서 초과된 금액은 기준 적립율에 감소율이 반영되어 적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설정 금액이 만원이고, 동전 회수 장치(10)에 12000원이 투입되었을 경우, 제1 설정 금액 이하인 만원은 기준 적립율로 적립되고, 제1 설정 금액을 초과하는 2천원은 기준 적립율에 감소율이 반영되어 적립될 수 있다.
또한, 동전 회수 장치(10)는 복수의 설정 금액에 따라 전자화폐 적립율이 변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전 회수 장치(10)에 제1 설정 금액 이하로 동전이 투입되면 기준 적립율로 전자화폐 적립이 가능하고, 동전 회수 장치(10)에 제1 설정 금액을 초과하고 제2 설정 금액 이하인 동전이 투입되면 제1 설정 금액에서 초과된 금액은 기준 적립율에 제1 감소율이 반영되어 적립될 수 있다. 또한, 동전 회수 장치(10)에 제2 설정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의 동전이 투입되면, 제2 설정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은 기준 적립율에 제2 감소율이 반영되어 적립될 수 있다. 이때, 제1 감소율은 제2 감소율보다 낮을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설정 금액이 5천원이고, 제2 설정 금액이 만원일 경우, 동전 회수 장치(10)에 12000원이 투입되면, 제1 설정 금액 이하인 5천원은 기준 적립율로 적립되고, 제1 설정 금액을 초과하고 제2 설정 금액 이하인 5천원은 기준 적립율에 제1 감소율이 반영되어 적립되며, 제2 설정 금액을 초과하는 2천원은 기준 적립율에 제1 감소율보다 높은 감소율인 제2 감소율이 반영되어 적립될 수 있다.
또한, 동전의 종류마다 적립율이 상이한 것이 악용되지 않도록, 동전의 종류마다 투입된 총 금액이 기 설정된 금액을 초과할 경우 적립율이 변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원짜리의 적립율인 제1 적립율이 50원짜리의 적립률인 제2 적립율보다 높을 경우, 10원짜리가 제3 설정 금액 이상 투입되면, 제3 설정 금액 이하의 10원짜리는 제1 적립율로 적립되고, 제3 설정 금액을 초과하는 10원짜리는 50원짜리 적립율인 제2 적립율로 적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설정 금액이 천원이고, 동전 회수 장치(10)에 10원짜리가 천오백원 투입될 경우, 제3 설정 금액 이하인 천원은 제1 적립율로 적립되고, 제3 설정 금액을 초과하는 나머지 오백원은 제1 적립율 보다 낮은 제2 적립율로 적립될 수 있다.
또한, 동전 회수 장치(10)는 복수의 설정 금액에 따라 동전의 종류마다 적립율이 변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원짜리의 적립율인 제1 적립율이 50원짜리의 적립율인 제2 적립율보다 높고, 100원짜리의 적립율인 제3 적립율이 제2 적립율보다 낮을 경우, 10원짜리가 제3 설정 금액 보다 높은 제4 설정 금액을 초과하여 투입되면, 제3 설정 금액을 초과한 10원짜리는 제2 적립율로 적립되고, 제4 설정 금액을 초과한 10원짜리는 제3 적립율로 적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설정 금액이 천원이고, 제4 설정 금액이 천오백일 때, 동전 회수 장치(10)에 이천원이 투입되면, 제3 설정 금액 이하인 천원은 제1 적립율로 적립되고, 제3 적립 금액을 초과하고 제4 설정 금액 이하인 오백원은 제2 적립율로 적립되며, 제4 설정 금액을 초과하는 나머지 오백원은 제3 적립율로 적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전의 종류 중 설정 금액 이상으로 투입되는 동전이 있을 경우 해당 동전의 적립율을 감소시킴으로써, 동전 회수 장치(10)가 악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립이 완료되면, 동전 회수부(132)는 투입된 동전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회수할 수 있다(S490).
동전 회수 장치(10)의 실질적인 목적은 동전을 회수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 동전 회수 장치(10)는 동전의 회수를 유도하기 위하여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장치로서, 회수된 동전이 은행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즉, 동전 회수 장치(10)의 동전 회수부(132)에 회수된 동전이 다시 적립되지 않고, 그대로 은행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회수된 동전이 다시 적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전 회수부(132)에는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는 동전 회수부(132)로 회수되는 동전에 소정 표시를 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 잉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표시부에서 사용되는 잉크는 최종 회수지인 은행 등에서만 제거할 수 있는 특정 잉크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 사람들이 개인의 이익을 위한 목적으로 동전 회수부(132)의 동전에 묻은 잉크를 지운 후 다시 적립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한번 동전 회수부(132)로 회수된 동전은 은행에 전달되어 표식이 지워진 후 유통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는 동전 회수 장치(10)에 동전을 투입할 수 있다(S510). 동전 회수 장치(10)에 동전이 투입되면, 동전 회수 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투입된 금액을 표시할 수 있다(S520). 이때, 투입된 동전이 적립 불가능한 동전일 경우, 디스플레이부(170)는 동전의 적립 불가능을 표시하고, 투입된 동전은 동전 배출부(13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투입된 동전이 적립 가능할 경우, 사용자는 동전 회수 장치(10)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530). 이때, 사용자는 스마트 폰 등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입력부(160)에 입력함으로써 동전 회수 장치(10)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동전 회수 장치(10)는 입력 받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적립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S541). 이때, 동전 회수 장치(10)는 통신부(140)를 통해 적립 서버(20)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동전 회수 장치(10)와 적립 서버(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적립 서버(20)는 전송 받은 사용자 정보를 조회한 후, 조회된 정보를 동전 회수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S542). 이때, 적립 서버(20)는 사용자가 전자화폐 계좌를 가지고 있는지 조회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적립 서버(2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전송 받은 동전 회수 장치(10)는 전송 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할 수 있다(S550).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한 후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동전 회수 장치(10)는 적립 서버(20)로부터 전달 받은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적립 가능한 전자화폐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S560). 이때, 전자화폐 종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각각의 적립율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적립 가능한 전자화폐가 여러 종류일 경우, 각각의 전자화폐의 적립율은 모두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회수 장치(10)에 표시된 전자화폐 종류 중 적립하고자 하는 전자화폐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S570). 이때, 사용자는 전자화폐 종류와 함께 전자화폐 별로 상이한 적립율을 함께 확인한 후 선택할 수 있다.
동전 회수 장치(10)는 선택된 전자화폐의 종류를 적립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S581).
동전 회수 장치(10)로부터 선택된 전자화폐 정보를 전송 받은 적립 서버(20)는 적립율을 반영한 전자화폐 적립 정보를 다시 동전 회수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적립 서버(20)에서 동전 회수 장치(10)로 전송되는 정보는 투입된 동전 금액에 적립율이 계산된 전자화폐 금액일 수 있다.
동전 회수 장치(10)는 적립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적립율이 반영된 최종 전자화폐 적립 금액을 표시할 수 있다(S590). 이때, 최종 적립 금액은 투입된 동전의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일 수 있다.
적립이 완료된 후, 전자 회수 장치(10)에 투입된 동전은 동전 회수부(132)에 회수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동전 회수 시스템의 손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손익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손익 구조에 따른 수익금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사용자와 전자화폐 및 가맹점의 손익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겠다.
사용자는 동전 회수 장치(10)를 통해 전자화폐 회사에 원금인 x원을 지급할 수 있다. 원금을 지급 받은 전자화폐 회사는 사용자에게 원금(x원)에 추가 적립금(a)을 합하여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화폐의 적립율이 102%일 경우, 전자화폐 회사는 사용자에게 원금(x원)에 2%를 추가 적립하여 전자화폐로 지급할 수 있다.
원금에 추가 적립된 금액을 합하여 받은 사용자는 해당 금액을 이용하여 전자화폐 사용이 가능한 가맹점에서 전자화폐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금에 추가 적립금을 합한 전자화폐를 가맹점에 지급하고, 구입 물품을 받을 수 있다.
전자화폐를 통해 물품을 판매한 가맹점은 해당 전자화폐 회사에 일정 금액의 수수료(b)를 지급할 수 있다. 이때, 가맹점이 지급하는 수수료는 사용자에게 판매한 금액에 비례할 수 있다. 즉, 전자화폐 회사는 수수료(b)의 이익이 생길 수 있다.
사용자와 전자화폐 및 가맹점의 손익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전자화폐 회사에 x원을 지급하고, 전자화폐 회사로부터
Figure 112019072825187-pat00001
원을 지급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익은 지급받은 금액에서 지급한 금액을 차감한
Figure 112019072825187-pat00002
로 제공될 수 있다.
전자화폐 회사는 사용자에게
Figure 112019072825187-pat00003
원을 지급하고, 사용자로부터 x원을 지급받고, 가맹점으로부터
Figure 112019072825187-pat00004
원을 지급받을 수 있다. 즉, 전자화폐 회사의 손익은 지급받은 금액에서 지급한 금액을 차감한
Figure 112019072825187-pat00005
로 제공될 수 있다.
가맹점은 전자화폐 회사에
Figure 112019072825187-pat00006
을 지급하고, 사용자로부터
Figure 112019072825187-pat00007
원을 지급받을 수 있다. 즉, 가맹점의 손익은 지급받은 금액에서 지급한 금액을 차감한
Figure 112019072825187-pat00008
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금인 투입 금액(x)이 1000원이고, 추가 적립(a)이 0.1이며, 가맹점 수수료(b)가 1일 경우, 사용자의 수익금은 1원이고, 전자화폐 회사의 수익금은 9.01원일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조건에서 원금(x)이 10억이 될 때까지 적립이 반복될 경우, 사용자의 수익금은 100만원이 되고, 전자화폐 회사의 수익금은 901만원이 될 수 있다.
또한, 원금(x)이 1000원이고, 추가 적립(a)이 0.1이며, 가맹점 수수료(b)가 2일 경우, 사용자의 수익금은 1원이고, 전자화폐 회사의 수익금은 19.02원일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조건에서 원금(x)이 10억이 될 때까지 적립이 반복될 경우, 사용자의 수익금은 100만원이 되고, 전자화폐 회사의 수익금은 1902만원이 될 수 있다.
또한, 원금(x)이 1000원이고, 추가 적립(a)이 1이며, 가맹점 수수료(b)가 2일 경우, 사용자의 수익금은 10원이고, 전자화폐 회사의 수익금은 10.2원일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조건에서 원금(x)이 10억이 될 때까지 적립이 반복될 경우, 사용자의 수익금은 1000만원이 되고, 전자화폐 회사의 수익금은 1020만원이 될 수 있다.
또한, 원금(x)이 1000원이고, 추가 적립(a)이 0.05이며, 가맹점 수수료(b)가 2일 경우, 사용자의 수익금은 0.5원이고, 전자화폐 회사의 수익금은 19.51원일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조건에서 원금(x)이 10억이 될 때까지 적립이 반복될 경우, 사용자의 수익금은 50만원이 되고, 전자화폐 회사의 수익금은 1951만원이 될 수 있다.
종래의 동전 회수 시스템은, 사용자가 투입된 금액과 동일한 액수의 전자화폐가 적립되었다. 즉, 사용자가 동전 회수 장치가 설치된 장소를 찾아 동전을 가지고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하면서까지 동전 회수 장치를 이용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종래의 동전 회수 시스템은 상용화가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동전 회수 시스템(1)은 투입된 금액보다 많은 금액이 전자화폐로 적립됨으로써, 사용자의 이익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적립하는 전자화폐의 회사도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금액 보다 높은 이익을 얻게 됨으로써, 동전 회수 시스템의 설치를 적극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와 전자화폐 회사 모두 이익을 취하는 구조로 동전 회수 시스템이 제공됨에 따라, 동전 회수 시스템의 상용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전의 회수율 또한 증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동전 회수 시스템 10: 동전 회수 장치
20: 적립 서버 30: 가맹점 기기
110: 본체 120: 동전 투입부
130: 동전 처리부 140: 통신부
150: 센서부 160: 입력부
170: 디스플레이부 180: 제어부

Claims (9)

  1. 동전 회수 장치의 동전 투입부에 동전이 투입되는 단계;
    동전 회수 장치의 입력부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동전 회수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가능한 전자화폐를 표시하는 단계;
    적립 서버가 동전 회수 장치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화폐의 적립율을 반영한 상기 전자화폐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적립율을 반영하여 적립되는 전자화폐 금액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립되는 상기 전자화폐의 금액은 투입된 상기 동전의 금액을 초과하여 적립되고,
    투입되는 동전의 총 금액이 커질수록 상기 적립율이 작아지도록, 상기 투입되는 동전의 총 금액이 제1 설정 금액 이하로 투입되면 상기 적립율은 기준 적립율로 적립이 되고, 상기 투입되는 동전의 총 금액이 상기 제1 설정 금액 초과로 투입되면 상기 적립율은 기준 적립율에 제1 감소율이 반영되어 적립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 가능한 전자화폐를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전자화폐 종류를 표시하고, 각각의 상기 전자화폐는 서로 상이한 적립율을 제공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 서버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화폐 종류 중 선택된 상기 전자화폐 종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투입된 상기 동전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적립율이 제공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적립 가능한 전자 화폐 계좌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투입된 동전은 동전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동전의 종류마다 투입된 총 금액이 기 설정된 금액을 초과할 경우 적립율이 변동되도록, 어느 한 종류의 동전의 적립율인 제1 적립율이 다른 종류의 동전의 적립율인 제2 적립율보다 높을 경우, 상기 어느 한 종류의 동전의 총 금액이 제3 설정 금액 이상 투입되면 상기 제3 설정 금액 이하의 상기 어느 한 종류의 동전은 상기 제1 적립율로 적립되고, 상기 제3 설정 금액 초과의 상기 어느 한 종류의 동전은 상기 제2 적립율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부;
    상기 투입된 동전을 배출 또는 회수하는 동전 처리부;
    전자화폐에 따른 적립율이 저장되는 적립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투입된 상기 동전의 종류를 판단하는 센서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투입된 상기 동전의 정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적립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적립되는 상기 전자화폐의 금액은 투입된 상기 동전의 금액을 초과하고,
    투입되는 동전의 총 금액이 커질수록 상기 적립율이 작아지도록, 상기 투입되는 동전의 총 금액이 제1 설정 금액 이하로 투입되면 상기 적립율은 기준 적립율로 적립이 되고, 상기 투입되는 동전의 총 금액이 상기 제1 설정 금액 초과로 투입되면 상기 적립율은 기준 적립율에 제1 감소율이 반영되어 적립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처리부는,
    투입된 상기 동전이 적립 불가능한 동전일 경우 외부로 상기 동전을 배출하는 동전 배출부; 및
    투입된 상기 동전이 적립 가능한 동전일 경우 상기 동전을 회수하는 동전 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회수부는 상기 동전의 종류에 따라 각각 상기 동전을 회수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전자화폐와 상기 전자화폐별로 상이한 각각의 상기 적립율을 표시하는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
KR1020190085816A 2019-07-16 2019-07-16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96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816A KR102296717B1 (ko) 2019-07-16 2019-07-16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816A KR102296717B1 (ko) 2019-07-16 2019-07-16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478A KR20210009478A (ko) 2021-01-27
KR102296717B1 true KR102296717B1 (ko) 2021-09-03

Family

ID=7423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816A KR102296717B1 (ko) 2019-07-16 2019-07-16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7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334Y1 (ko) * 2004-07-14 2004-10-01 안병모 무인 동전수집장치
KR101814722B1 (ko) * 2017-05-22 2018-01-04 주식회사 우디 잔돈의 적립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581A (ko) * 2005-12-07 2007-06-12 주식회사 아이캐시 마일리지/포인트 적립에 의한 거스름돈 지급 시스템 및방법
KR20090057707A (ko) * 2007-12-03 2009-06-08 주식회사 유 벅스 무인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환전 방법과 장치
KR20160144192A (ko) 2015-06-08 2016-12-16 최재경 잔돈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잔돈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334Y1 (ko) * 2004-07-14 2004-10-01 안병모 무인 동전수집장치
KR101814722B1 (ko) * 2017-05-22 2018-01-04 주식회사 우디 잔돈의 적립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478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9713B2 (ja) 入出金指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入出金指示方法
CA2476502C (en) Methods and systems for exchanging and/or transferring various forms of value
JP5108372B2 (ja) 遊技媒体貯数管理システムおよび遊技媒体貯数管理方法
US2006003783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xchanging and or transferring various forms of value
US20050080737A1 (en) Process and system for converting change from cash sale transactions (paper currency and coins) into electronic format at the point of sale for the immediate electronic transfer and deposit of the converted change into financial accounts and the funding of financial accounts at the point of sale
WO2007067308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xchanging and/or transferring various forms of value
US200900633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foreign coins and currency
US200900633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foreign coins and currency
KR102296717B1 (ko) 동전을 전자화폐로 적립하는 동전 회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0594524C (zh) 商品贩卖数据处理装置
WO2021200081A1 (ja) チャージ装置及びチャージ方法
JP5490583B2 (ja) 貨幣処理装置
JP2007518183A5 (ko)
WO2021200976A1 (ja) 貨幣処理装置
KR101102661B1 (ko) 잔돈교환 기능을 제공하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를 통해 잔돈교환 기능 제공 방법
JP2022032609A (ja) 現金取扱いシステム
CN203012866U (zh) 手机支付互动多媒体自助服务终端机
KR101022791B1 (ko) 신용카드를 이용한 동전지급 시스템 및 그 방법
EP2902959A1 (en) Ticket vending system and ticket vending method
WO2012047078A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реализации службы доставки товаров
JP2005519401A (ja) プリペイドカードの支払設備
JP2008136606A (ja) 財務管理装置および財務管理方法
JP2007209445A (ja) 電子マネー端末装置および電子マネーチャージ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