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243B1 -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243B1
KR102296243B1 KR1020200012996A KR20200012996A KR102296243B1 KR 102296243 B1 KR102296243 B1 KR 102296243B1 KR 1020200012996 A KR1020200012996 A KR 1020200012996A KR 20200012996 A KR20200012996 A KR 20200012996A KR 102296243 B1 KR102296243 B1 KR 102296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ion part
electronic product
ben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9308A (ko
Inventor
홍성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Priority to KR1020200012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2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9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Landscapes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촉부(100)와 연결부(200)가 프레스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조립 공정이 간소화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재료비를 절감하며, 부품간의 접촉 저항이 감소되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스트로크 변화율이 적은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은, 상방향으로 플런져(110)가 돌출 형성되어 전자제품의 접촉단자와 접하는 접촉부(100); 상기 접촉부(100)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탄성 복원되는 구조를 갖으며, 전자제품의 PCB보드와 연결되는 연결부(2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Electromagnetic contactor f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 테블릿, 면도기, 스마트워치 등의 모바일 전자제품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 단자의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충전단자, 오디오 기기의 데크와 스피커를 연결하는 접점, PCB(Printed Circuit Board)의 연결접점 부위 및 스위치 등에는 전기적 접촉을 위해 접촉핀이 적용되며, 접촉핀은 전기적 접촉 특성을 높일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충전장치의 접촉핀은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전시 배터리 후면에 형성된 단자판이 상술한 판 스프링과 접접되면 충전전압이 공급되어 배터리가 충전되었다.
또한 오디오 기기의 데크와 스피커를 연결할 경우에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데크와 스피커를 연결하였으며, PCB의 연결 접점 부위에도 와이어를 사용하여 연결시켰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터리 충전장치의 판 스프링으로 된 충전단자는 오래 사용되면 판 스프링의 탄력이 줄어들어 충전시 배터리 후면의 단자판과의 접촉이 불량해지기 때문에 충전작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오디오 기기의 데크와 스피커를 연결할 경우 또는 PCB의 연결접점을 외이어를 사용하여 연결할 경우에는 와이어의 부피로 인하여 제품 구성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제품을 콤팩트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등록번호 제20-0239833호에 개시된 바 있는 스프링 커넥터핀이 있으나, 종래의 스프링 커텍터핀은 캡과 스프링이 분리되어 있어 접촉저항이 크고, 반복 작동시 캡과 하우징(300) 사이의 마찰에 의한 이물질이 발생되며,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촉부(100)와 연결부(200)가 프레스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조립 공정이 간소화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재료비를 절감하며, 부품간의 접촉 저항이 감소되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스트로크 변화율이 적은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은, 상방향으로 플런져(110)가 돌출 형성되어 전자제품의 접촉단자와 접하는 접촉부(100); 상기 접촉부(100)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탄성 복원되는 구조를 갖으며, 전자제품의 PCB보드와 연결되는 연결부(200); 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접촉부(100)와 수평을 이루며, 상기 접촉부(100)의 둘레를 따라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제1연결부(210); 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제2연결부(220)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연결부(22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연결부(220)는, 상기 제2연결부(220)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1수직지지대(221); 상기 제1수직지지대(221)에서 가로 방향으로 수평 절곡 형성된 수평지지대(222); 상기 수평지지대(222)의 타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2수직지지대(223); 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지지대(222)의 가운데에는 일단과 타단의 수평 방향으로 엇갈리게 연결되는 보강부(222a)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제2연결부(22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전자제품의 PCB에 연결되는 제3연결부(23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연결부(230)는 세로 방향으로 수평 절곡 형성된 제1탄성부(231); 상기 제1탄성부(231)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된 제2탄성부(232); 상기 제2탄성부(232)에서 상기 제1탄성부(231)와 마주보게 세로 방향으로 수평 절곡 형성된 제3탄성부(233); 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100)와 상기 연결부(200)가 내부에 수용하며, 전자제품의 PCB에 고정되고, 상단에 상기 플런져(11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관통홀(310)이 형성된 하우징(300); 을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접촉부(100)와 상기 연결부(200)가 프레스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종래와 같이 복수의 부품이 아니 단일 형태로 형성됨으로, 조립 공정이 간소화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재료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부품간의 접촉 부위가 적기 때문에 부품간의 접촉 저항이 감소되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스트로크의 변화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의 압축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은, 접촉부(100)와 연결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부(1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각형의 납작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원통형 형성의 플런져(11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플런져(110)는 전자제품의 접촉단자와 접하는 부분으로, 접촉단자와 접촉시 하방향으로 가압된다.
또한, 상기 플런져(110)는 상단 테두리가 라운드 처리되어 부드럽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접촉부(100)와 동일한 재질이며 상기 접촉부(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접촉부(100)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탄성 복원되는 구조를 갖으며, 전자제품의 PCB보드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00)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플런져(110)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상기 연결부(200)는 제1연결부(210), 제2연결부(220) 및 제3연결부(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부(210)는 상기 접촉부(100)와 수평을 이루는 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100)의 둘레를 따라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210)는 상기 접촉부(100)의 가로변과 세로변을 감싸게 배치된다.
여기서 2개의 상기 제1연결부(210)는 대칭되게 배치되므로 서로 다른 상기 접촉부(100)의 가로변과 세로변을 감싸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210)는 상기 접촉부(100)와 수평을 이루면서 상기 접촉부(100)의 가로변과 세로변을 감싸도록 'ㄱ'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플런져(110)의 가압시 상기 플런져(110)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여 수평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최소화고, 이로 인해 상기 플런져(110)와 접촉단자의 접촉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제2연결부(220)는 상기 제1연결부(210)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제1수직지지대(221), 수평지지대(222) 및 제2수직지지대(2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직지지대(221)는 상기 제2연결부(220)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대(222)는 상기 제1수직지지대(221)에서 가로 방향으로 수평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지지대(223)는 상기 수평지지대(222)의 타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수직지지대(221)는 상기 수평지지대(222)에서 상기 플런져(110)의 반대 방향인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지지대(223)는 상기 수평지지대(222)에서 상기 플런져(110) 방향인 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220)는 상기 제1연결부(210)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대(222)의 일단과 타단에 상기 제1수직지지대(221)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223)가 상호 엇갈리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210)와 함께 상기 플런져(110)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플런져(110)가 기울어지는 것을 최소화 하고, 이로 인해 상기 플런져(110)와 접촉단자의 접촉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대(222)의 가운데에는 일단과 타단의 수평 방향으로 엇갈리게 연결되는 보강부(2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22a)는 상기 제2연결부(220)의 탄성 강도를 증가시켜 상기 제2연결부(220)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3연결부(230)는 상기 제2연결부(22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전자제품의 PCB에 연결되며, 탄성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연결부(230)는 상기 제3연결부(230)는 세로 방향으로 수평 절곡 형성된 제1탄성부(231)와, 상기 제1탄성부(231)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된 제2탄성부(232) 및 상기 제2탄성부(232)에서 상기 제1탄성부(231)와 마주보게 세로 방향으로 수평 절곡 형성된 제3탄성부(23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3연결부(230)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3연결부(230)는 상기 제2연결부(22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ㄷ'자 형상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접촉부(100)에 상하 방향으로 압축 및 팽창되는 탄성력을 부가하며, 상기 플런져(110)가 접촉단자와 접촉시 압축되어 상기 플런져(110)와 상기 접촉단자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고, 미접촉시 상기 플런져(110)가 원래 위치로 신속히 복원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은, 상기 접촉부(100)와 상기 연결부(200)가 프레스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종래와 같이 복수의 부품이 아니 단일 형태로 형성됨으로, 조립 공정이 간소화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재료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부품간의 접촉 부위가 적기 때문에 부품간의 접촉 저항이 감소되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스트로크의 변화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접촉부(100)와 상기 연결부(200)는 하우징(300)에 수용되어 전자제품에 실장된다.
상기 하우징(30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접촉부(100)와 상기 연결부(200)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0)의 상단에는 상기 플런져(11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관통홀(310)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00)에 복수의 상기 접촉부(100)와 상기 연결부(200)가 내장되는 경우, 상기 관통홀(310)도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300)은 전자제품의 PCB에 고정되어 상기 접촉부(100)와 상기 연결부(200)를 보호하고, 상기 접촉부(10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여 상기 연결부(20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접촉부
110 : 플런져
200 : 연결부
210 : 제1연결부
220 : 제2연결부
221 : 제1수직지지대
222 : 수평지지대
222a : 보강부
223 : 제2수직지지대
230 : 제3연결부
231 : 제1탄성부
232 : 제2탄성부
233 : 제3탄성부
300 : 하우징
310 : 관통홀

Claims (6)

  1. 상방향으로 플런져(110)가 돌출 형성되어 전자제품의 접촉단자와 접하는 접촉부(100);
    상기 접촉부(100)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탄성 복원되는 구조를 갖으며, 전자제품의 PCB보드와 연결되는 연결부(200);
    상기 접촉부(100)와 상기 연결부(200)가 내부에 수용하며, 전자제품의 PCB에 고정되고, 상단에 상기 플런져(11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관통홀(310)이 형성된 하우징(300); 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접촉부(100)와 수평을 이루며, 상기 접촉부(100)의 둘레를 따라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제1연결부(210);
    상기 제1연결부(210)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연결부(220);
    상기 제2연결부(22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전자제품의 PCB에 연결되는 제3연결부(230);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220)는,
    상기 제2연결부(220)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1수직지지대(221);
    상기 제1수직지지대(221)에서 가로 방향으로 수평 절곡 형성된 수평지지대(222)
    상기 수평지지대(222)의 타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2수직지지대(223); 를 포함하며,
    상기 제3연결부(230)는 세로 방향으로 수평 절곡 형성된 제1탄성부(231);
    상기 제1탄성부(231)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된 제2탄성부(232);
    상기 제2탄성부(232)에서 상기 제1탄성부(231)와 마주보게 세로 방향으로 수평 절곡 형성된 제3탄성부(233);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지지대(222)의 가운데에는 일단과 타단의 수평 방향으로 엇갈리게 연결되는 보강부(22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12996A 2020-02-04 2020-02-04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 KR102296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996A KR102296243B1 (ko) 2020-02-04 2020-02-04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996A KR102296243B1 (ko) 2020-02-04 2020-02-04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308A KR20210099308A (ko) 2021-08-12
KR102296243B1 true KR102296243B1 (ko) 2021-09-01

Family

ID=7731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996A KR102296243B1 (ko) 2020-02-04 2020-02-04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2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959B1 (ko) * 2009-07-03 2010-06-03 박진우 스프링 커넥터 핀
JP2013055035A (ja) * 2011-08-09 2013-03-21 Yokowo Co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0806A (ko) * 2016-02-26 2017-09-0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접점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959B1 (ko) * 2009-07-03 2010-06-03 박진우 스프링 커넥터 핀
JP2013055035A (ja) * 2011-08-09 2013-03-21 Yokowo Co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308A (ko)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863B1 (ko) 동축 커넥터
US7481686B2 (en) Connector
KR100715069B1 (ko) 푸시온 스위치, 그것을 장착한 전자기기 및 그 장착 방법
US7033226B1 (en) Audio receptacle connector
US7164091B2 (en) Circuit board associated electrical switch
US740208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shell
US20040077225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ovable pin
KR20150056032A (ko)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CN1319090C (zh) 按钮式开关
US5540593A (en) Coil type contactor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US7473134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296243B1 (ko) 전자제품용 전기 접촉핀
KR101812421B1 (ko) 전자부품 접속용 커넥터
US10177472B2 (en) Spring contact having separate resilient arm and supporting portion
KR20200109654A (ko) 휴대전화용 접속단자
KR101770753B1 (ko) C 클립
KR101443526B1 (ko)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US20090140759A1 (en) IC socket having contact devices with low impedance
CN215834448U (zh) 一种智能终端按键
US7964814B2 (en) Push-push switch with movable terminal
JP2002075502A (ja) 電気接続方法、電気接続用コネクタ、及び電子部品ホルダ
KR101443524B1 (ko)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CN219610278U (zh) 一种减小键盘开关弹片音的金属弹片结构及键盘开关
US20080037235A1 (en) Electrical connector
CN212968151U (zh) 射频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