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977B1 - 발 냄새 제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발 냄새 제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977B1
KR102295977B1 KR1020190155004A KR20190155004A KR102295977B1 KR 102295977 B1 KR102295977 B1 KR 102295977B1 KR 1020190155004 A KR1020190155004 A KR 1020190155004A KR 20190155004 A KR20190155004 A KR 20190155004A KR 102295977 B1 KR102295977 B1 KR 102295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ventilation
smell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132A (ko
Inventor
김도연
Original Assignee
김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연 filed Critical 김도연
Priority to KR1020190155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97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사용자의 발 냄새를 측정하여 냄새 강도에 따라 탈취 액체 분사량 및 통풍 시간을 제어하는 발 냄새 제거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 냄새 제거 장치는 상부에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구비한 함체형 본체; 본체에 사용자가 올라섰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사용자 검출부;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통하여 공기를 통풍시키는 통풍부; 사용자의 발 측으로 탈취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측정하는 냄새 센서부; 및 사용자 검출부, 통풍부, 분사부 및 냄새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냄새 센서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냄새의 강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기초하여 분사부를 제어하여 분사되는 탈취 액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 냄새 제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FOOT SMELL ELIMINATING DEVICE AND METHOD}
발 냄새 제거를 위한 기술로서 특히, 사용자의 발 냄새를 측정하여 냄새 강도에 따라 탈취 액체 분사량 및 통풍 시간을 제어하는 발 냄새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액상 또는 겔 상태의 소독액들이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액상 또는 겔 상태의 소독액은 양말을 착용한 발에 사용하기 어려운 제약이 있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발 냄새 제거용 스프레이 또는 에어로졸 등은 소지하기에 부피가 커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8180호는 발의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발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해당 발명은 단순히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것에 불과하여 발냄새를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발 냄새가 포함된 공기를 여과 없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냄새가 실내로 전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사용자의 발 냄새를 측정하여 냄새 강도에 따라 탈취 액체 분사량 및 통풍 시간을 제어하는 발 냄새 제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발 냄새 제거 장치는 상부에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구비한 함체형 본체; 본체에 사용자가 올라섰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사용자 검출부;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통하여 공기를 통풍시키는 통풍부; 사용자의 발 측으로 탈취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측정하는 냄새 센서부; 및 사용자 검출부, 통풍부, 분사부 및 냄새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냄새 센서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냄새의 강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기초하여 분사부를 제어하여 분사되는 탈취 액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통풍부는 통기공을 통하여 공기를 본체 내부로 빨아드려 본체의 측면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통하여 내보내며, 냄새 센서부는 통풍부를 통하여 본체 내부로 들어온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측정할 수 있다.
발 냄새 제거 장치는 하나 이상의 탈취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탈취필터는 통풍부 및 하나 이상의 배출공 사이에 구비되며, 통풍부를 통하여 본체 내부로 들어온 공기는 하나 이상의 탈취필터를 통하여 배출공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 검출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본체에 올라선 것이 검출된 경우, 통풍부를 제어하여 공기를 통풍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기초하여 통풍부가 작동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발 냄새 제거 장치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LED가 발광하는 색상 또는 발광하는 LED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발 냄새 제거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기초하여 냄새의 강도를 수치화하며,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수치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검출부는 광센서, 자외선 센서, 모션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발 냄새 제거 장치는 사용자의 발 측으로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사용자 검출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본체에 올라선 것이 검출된 경우, 자외선 살균부를 제어하여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자외선 살균부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UV-LED; Ultra Violet-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발 냄새 제거 장치는 통풍과 탈취 액체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발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발 냄새 제거 장치는 사용자의 발 냄새를 측정하여 통풍량과 탈취 액체의 분사량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발 상태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시간 및 탈취 액체의 사용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발 냄새 제거 장치는 통풍된 공기를 탈취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함으로써 발 냄새 제거 장치로 흡수된 냄새가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 냄새 제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발 냄새 제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발 냄새 제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 냄새 제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 냄새 제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 냄새 제거 장치(100)는 상부에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구비한 함체형 본체로 구성되며, 본체는 본체에 사용자가 올라섰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사용자 검출부(110),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통하여 공기를 통풍시키는 통풍부(120), 사용자의 발 측으로 탈취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130),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측정하는 냄새 센서부(140) 및 사용자 검출부(110), 통풍부(120), 분사부(130) 및 냄새 센서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사용자 검출부(110)는 광센서, 자외선 센서, 모션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통풍부(120)는 하나 이상의 모터 및 하나 이상의 팬(fan)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분사부(130)는 탈취 액체를 담는 카트리지 용기, 탈취 액체를 펌핑하는 워터 펌프 및 펌핑되는 탈취 액체를 분사시키는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냄새 센서부(140)는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 센서, 폴리머 센서, 광음향 분광 센서,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 마이크로 캔틸레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냄새 센서부(14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냄새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냄새 센서부(140)는 냄새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냄새 센서부(140)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기초로 냄새의 강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50)는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기초하여 분사부(130)를 제어하여 분사되는 탈취 액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따라 냄새의 강도가 다를 수 있으며, 냄새의 강도에 따라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액체의 양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냄새 센서부(140)를 통하여 측정된 냄새 강도에 비례하여 탈취 액체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통풍부(120)는 통기공을 통하여 공기를 본체 내부로 빨아드려 본체의 측면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통하여 내보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통풍부(120)는 발 냄새 제거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통풍부(120)는 발 냄새 제거 장치(100)의 상부에 구비된 통풍구로부터 공기를 빨아드릴 수 있으며, 빨아들인 공기는 소정의 공기 배관을 통하여 배출공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발 냄새 제거 장치(100)는 측면 또는 하부에 통풍공을 구비할 수 있으며, 통풍부(120)는 발 냄새 제거 장치(100)의 측면 또는 하부의 통풍공의 공기를 빨아드려 발 냄새 제거 장치(100)의 상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의 발에 공기를 직접 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냄새 센서부(140)는 통풍부(120)를 통하여 본체 내부로 들어온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냄새 센서부(140)는 발 냄새 제거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냄새 센서부(140)는 통풍부(120) 후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통풍부에서 빨아 들인 공기를 통하여 냄새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발 냄새 제거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탈취필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취필터(160)는 발 냄새 제거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탈취필터(160)는 통풍부(120) 및 하나 이상의 배출공 사이에 형성된 공기 배출 경로(예를 들어, 도 2의 화살표)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탈취필터(160)는 냄새 센서부(140)의 후단에 구비되어 냄새 센서부를 지나온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탈취필터(160)는 흡착제를 이용한 물리적 방식, 광촉매 또는 오존을 이용한 화학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통풍부(120)를 통하여 본체 내부로 들어온 공기는 하나 이상의 탈취필터(160)를 통하여 배출공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 냄새 제거 장치(100)는 통풍을 통하여 사용자의 발에 있는 수분 및 냄새를 빨아드려 냄새를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발 냄새 제거 장치(100)는 빨아드린 공기를 탈취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배출함으로써, 통풍으로 인하여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사용자 검출부(110)를 통하여 사용자가 본체에 올라선 것이 검출된 경우, 통풍부(120)를 제어하여 공기를 통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발 냄새 제거 장치(100)에 올라선 경우에 한하여 통풍부(120)를 동작 시켜 공기를 통풍시킬 수 있으며, 소정 시간 후 통풍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발 냄새 제거 장치(100)에 올라선 경우에 한하여 통풍부(120)를 동작 시켜 공기를 통풍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검출부(110)를 통하여 사용자가 본체에서 내려선 것이 검출되는 경우에 통풍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기초하여 통풍부(120)가 작동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 냄새 제거 장치(100)는 사용자의 발 상태에 따라 통풍부(120)를 다르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50)는 냄새 센서부(140)를 통하여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기초하여 냄새가 강할수록 통풍 시간이 더 많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냄새 강도에 기초하여 통풍부(120)의 동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발 냄새 제거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LED는 둘 이상의 색상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LED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LED가 발광하는 색상 또는 발광하는 LED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냄새의 강도를 소정의 구간으로 나누어 결정할 수 있으며, 소정 구간마다 다른 색상을 매칭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냄새 센서부(140)를 통하여 검출된 냄새의 강도가 해당하는 구간을 결정 후, 해당 구간에 매칭되는 색상이 발광될 수 있도록 LED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발 냄새 제거 장치(100)는 본체 상부에 디스플레이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170)는 하나 이상의 LED(17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통풍부를 제어하여 통풍공(101)을 통하 공기를 빨아드리며, 냄새 센서부를 통하여 냄새의 강도를 측정하여 LED(173)의 색상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냄새의 강도를 소정의 구간으로 나누어 결정할 수 있으며, 소정 구간마다 발광하는 LED의 개수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냄새 센서부(140)를 통하여 검출된 냄새의 강도가 해당하는 구간을 결정 후, 해당 구간에 매칭되는 개수의 LED가 발광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발 냄새 제거 장치(100)는 본체 상부에 디스플레이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170)는 하나 이상의 LED(17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통풍부를 제어하여 통풍공(101)을 통하 공기를 빨아드리며, 냄새 센서부를 통하여 냄새의 강도를 측정하여 발광하는 LED(173)의 개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발 냄새 제거 장치(10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LCD는 소정의 숫자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기초하여 냄새의 강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냄새의 강도를 소정의 구간으로 나누어 결정할 수 있으며, 소정 구간마다 수치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냄새 센서부(140)를 통하여 검출된 냄새의 강도가 해당하는 구간을 결정 후, 해당 구간에 매칭되는 수치가 출력될 수 있도록 LCD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발 냄새 제거 장치(100)는 본체 상부에 디스플레이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170)는 LCD(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통풍부를 제어하여 통풍공(101)을 통하 공기를 빨아드리며, 냄새 센서부를 통하여 냄새의 강도를 측정하여 냄새의 강도를 나타내는 수치를 LCD(171)를 제어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발 냄새 제거 장치(100)는 사용자의 발 측으로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살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50)는 사용자 검출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본체에 올라선 것이 검출된 경우, 자외선 살균부를 제어하여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살균부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UV-LED; Ultra Violet-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 냄새 제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 냄새 제거 장치는 본체에 올라서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410). 이를 위하여, 발 냄새 제거 장치는 광센서, 자외선 센서, 모션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발 냄새 제거 장치는 사용자가 본체에 올라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풍을 시작할 수 있다(420). 발 냄새 제거 장치는 상부에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구비한 함체형 본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발 냄새 제거 장치는 통기공을 통하여 공기를 본체 내부로 빨아드려 본체의 측면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통하여 내보낼 수 있다.
일 예로, 발 냄새 제거 장치는 사용자가 본체에 올라선 것이 검출된 경우, 내부의 통풍부를 동작시켜 공기를 통풍시킬 수 있으며, 소정 시간 후 통풍부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발 냄새 제거 장치는 사용자 검출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본체에서 내려선 것이 검출되는 경우에 통풍부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발 냄새 제거 장치는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기초하여 통풍부가 작동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발 냄새 제거 장치는 통풍공을 통하여 본체 내부로 들어온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측정할 수 있다(430). 이후, 발 냄새 제거 장치는 사용자의 발 측으로 탈취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440). 일 예로, 발 냄새 제거 장치는 내부의 냄새 센서부를 이용하여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기초하여 분사되는 탈취 액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따라 냄새의 강도가 다를 수 있으며, 냄새의 강도에 따라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액체의 양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발 냄새 제거 장치는 냄새 센서부를 통하여 측정된 냄새 강도에 비례하여 탈취 액체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영역, 개념 등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영역, 개념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소정 영역 또는 개념을 다른 영역 또는 개념과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예에서 제1 부분으로 언급된 부분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부분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100: 발 냄새 제거 장치
101: 통풍공
110: 사용자 검출부
120: 통풍부
130: 분사부
140: 냄새 센서부
150: 제어부
160: 탈취필터
170: 디스플레이부
171: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173: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Claims (10)

  1. 상부에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구비한 함체형 본체;
    상기 본체에 사용자가 올라섰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사용자 검출부;
    상기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통하여 공기를 통풍시키는 통풍부;
    사용자의 발 측으로 탈취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
    사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측정하는 냄새 센서부;
    하나 이상의 탈취필터; 및
    상기 사용자 검출부, 통풍부, 분사부 및 냄새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풍부는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공기를 상기 본체의 내부로 빨아들여 상기 본체의 측면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통하여 내보내며,
    상기 냄새 센서부는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로 들어온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측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탈취필터는 상기 통풍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공 사이에 형성된 공기 배출 경로 상에 구비되며,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로 들어온 공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탈취필터를 통과함에 따라 여과되어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냄새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비례하게 탈취 액체의 양이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비례한 시간동안 작동되도록 상기 통풍부를 제어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냄새 제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검출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본체에 올라선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통풍부를 제어하여 공기를 통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냄새 제거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LED가 발광하는 색상 또는 발광하는 LED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발 냄새 제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냄새의 강도에 기초하여 냄새의 강도를 수치화하며,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수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냄새 제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검출부는
    광센서, 자외선 센서, 모션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냄새 제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 측으로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살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검출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에 올라선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자외선 살균부를 제어하여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냄새 제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살균부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UV-LED; Ultra Violet-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냄새 제거 장치.
KR1020190155004A 2019-11-28 2019-11-28 발 냄새 제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95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004A KR102295977B1 (ko) 2019-11-28 2019-11-28 발 냄새 제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004A KR102295977B1 (ko) 2019-11-28 2019-11-28 발 냄새 제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132A KR20210066132A (ko) 2021-06-07
KR102295977B1 true KR102295977B1 (ko) 2021-08-30

Family

ID=7637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004A KR102295977B1 (ko) 2019-11-28 2019-11-28 발 냄새 제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9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837Y1 (ko) * 2006-12-18 2007-10-09 김병철 발 살균탈취기
KR101866138B1 (ko) 2017-08-11 2018-06-08 주식회사 지스페이스 발건조기
KR102017987B1 (ko) * 2018-03-13 2019-09-03 오재현 Iot 발 건강 관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876B1 (ko) * 2004-06-07 2006-08-25 이경복 발냄새 제거용 발판
KR20050074382A (ko) * 2005-05-07 2005-07-18 박찬우 탈취 기능을 가진 발판
KR20130108881A (ko) * 2012-03-26 2013-10-07 이화식 발 냄새를 제거하는 발 받침대
KR101596917B1 (ko) * 2014-03-27 2016-02-23 대신전자주식회사 살균기능을 갖는 발 건조기
KR102297550B1 (ko) * 2018-12-04 2021-09-03 전민숙 능동적 탈취 및 건조 살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보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837Y1 (ko) * 2006-12-18 2007-10-09 김병철 발 살균탈취기
KR101866138B1 (ko) 2017-08-11 2018-06-08 주식회사 지스페이스 발건조기
KR102017987B1 (ko) * 2018-03-13 2019-09-03 오재현 Iot 발 건강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132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5290B2 (en) Respiratory assistance apparatus
KR101222637B1 (ko)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KR200490091Y1 (ko) 신발 소독기
KR102241673B1 (ko) 실내공기 소독장치
KR20150053137A (ko) 가습 음이온과 가열 멸균 기능을 이용한 공간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
KR102295977B1 (ko) 발 냄새 제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205991575U (zh) 一种水洗式空气净化新风装置
KR102464405B1 (ko)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CA2886905C (en) Biological safety cabinet with a falling-film evaporator
KR100648298B1 (ko) 은나노 분무 신발 소독장치
CN208090810U (zh) 智能空气净化装置
US20230371760A1 (en) Air-flow apparatus
KR20130103977A (ko) 숙뜸 연기 여과장치
KR20030086915A (ko)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
KR102300859B1 (ko) 발냄새 제거 장치
KR200398316Y1 (ko) 다기능 세정 장치
KR200372919Y1 (ko) 자외선살균램프가 구성된 화장실용 공기청정기
KR102387962B1 (ko) 자동 인체 에어샤워 장치
KR102387961B1 (ko) 자동 인체 에어샤워 장치를 이용한 인체 에어샤워 방법
KR100981758B1 (ko) 신발용 살균 건조장치
KR20110048761A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KR102566005B1 (ko) 쇼핑카트용 살균장치
CN219185362U (zh) 一种用于核酸采集时的手部消毒装置及操作台
KR20230056380A (ko) 변기용 탈착식 탈취장치
CN209108167U (zh) 一种便携式多功能医疗器械消毒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