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768B1 -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및 스테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및 스테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768B1
KR102295768B1 KR1020190027978A KR20190027978A KR102295768B1 KR 102295768 B1 KR102295768 B1 KR 102295768B1 KR 1020190027978 A KR1020190027978 A KR 1020190027978A KR 20190027978 A KR20190027978 A KR 20190027978A KR 102295768 B1 KR102295768 B1 KR 102295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t
sta
full
duplex commun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600A (ko
Inventor
추승호
강진원
심상민
김대홍
Original Assignee
센스콤 세미컨덕터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스콤 세미컨덕터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센스콤 세미컨덕터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10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3Signal structure ensuring backward compatibility with legacy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은 TWT(Target Wake Time) 응답 스테이션이 적어도 하나의 TWT 요청 스테이션에 TWT 스케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이 TWT SP(service period)에서 기준 프레임을 통해 RU(resource unit)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TWT 요청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이 상기 RU를 통해 기준 프레임 기준으로 결정되는 특정 시간 구간에 상기 TWT 요청 스테이션으로부터 업 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이 상기 특정 시간 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TWT 요청 스테이션에 다운 링크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업 링크 프레임과 상기 다운 링크 프레임은 동일 채널로 전송된다.

Description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및 스테이션 장치{FULL-DUPLEX COMMUNICATION METHOD DURING TWT SERVICE PERIOD IN HIGH EFFICIENT WIRELESS LAN NETWORK AND STATION APPARATUS}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고효율 무선랜의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동일채널 전이중 통신(In-Band Full-duplex)을 수행하는 기법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1 무선 네트워크 표준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스테이션(Station, STA)의 두 가지 종류의 장치들로 구성된다.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안에서 하나의 랜(근거리 지역망, Local Area Network, LAN) 환경을 구성하는 단위를 베이직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라고 한다.
현재까지의 IEEE 802.11 표준은 많은 사용자가 밀집된 환경에서의 통신 안정성을 보장하지 못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EEE 802.11 워킹그룹 내에서 High-Efficiency Wireless LAN Study Group (HEW SG)과 IEEE Task Group ax (TGax)가 결성되었다. 해당 워킹 그룹에서 IEEE 802.11ax라 명명된 차세대 WLAN 표준을 2019년 상용화를 목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EEE 802.11ax 표준은 많은 AP와 STA이 밀집된 환경에서 시스템 쓰루풋(throughput)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IEEE 802.11ax 표준은 IoT 디바이스와 같은 STA을 고려하여 에너지 절약을 위한 동작을 고려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29672호
전이중통신(Full Duplex, FD)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같은 채널에서 동시에 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무선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자기간섭제거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기술이 발전하면서 노드가 자신의 전송신호 간섭을 제거하여 전이중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IEEE 802.11ax 환경에서 지원하는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AP와 STA 사이의 전이중 통신을 제공하고자 한다.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은 TWT(Target Wake Time) 응답 스테이션이 적어도 하나의 TWT 요청 스테이션에 TWT 스케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이 TWT SP(service period)에서 기준 프레임을 통해 RU(resource unit)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TWT 요청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이 상기 RU를 통해 기준 프레임 기준으로 결정되는 특정 시간 구간에 상기 TWT 요청 스테이션으로부터 업 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이 상기 특정 시간 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TWT 요청 스테이션에 다운 링크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업 링크 프레임과 상기 다운 링크 프레임은 동일 채널로 전송된다.
다른 측면에서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은 TWT(Target Wake Time) 요청 스테이션이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TWT 요청 스테이션이 웨이크 업한 후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으로부터 TWT SP(service period)를 위한 타깃 채널 내의 RU(resource unit)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TWT 요청 스테이션이 상기 TWT SP 동안 상기 RU를 통해 상기 기준 프레임 기준으로 결정되는 특정 시간 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으로부터 다운 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정 시간 구간은 상기 TWT 요청 스테이션이 TWT 응답 스테이션에 업 링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구간이고, 상기 업 링크 프레임과 상기 다운 링크 프레임은 동일 채널로 전송된다.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 장치는 무선랜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부터 TWT(Target Wake Time) SP(service period)를 위한 RU(resource unit)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 프레임(reference frame)을 수신하고, 특정 시간 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 링크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특정 시간 구간에 업 링크 프레임을 송신하는 통신 장치 및 TWT에서 슬립 모드 진입 후에 특정 시간에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을 결정하고, 상기 기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특정 시간 구간 또는 상기 일부 구간을 결정하여, 상기 일부 구간에 전송되는 상기 다운 링크 프레임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프레임은 상기 웨이크 업 모드에서 수신되고, 상기 특정 시간 구간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상기 업 링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구간이고, 상기 업 링크 프레임과 상기 다운 링크 프레임은 동일 채널로 전송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현재 IEEE 802.11 표준(802.11b/g/n/ac/ax)과 호환성(backward compatible)을 유지하면서, IEEE 802.11ax의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전이중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IEEE 802.11ax의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동일채널에서 동시에 전달되는 업 링크 신호와 다운 링크 신호 사이의 간섭을 배제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도 1은 무선랜(WLAN)에서의 베이직 서비스 세트를 도시한 예이다.
도 2는 무선랜 통신에서 사용하는 자원에 대한 예이다.
도 3은 802.11ax에서 정의한 PHY PPDU 패킷 포맷에 대한 예이다.
도 4는 802.11ax에서 AP와 STA의 통신 과정에 대한 예이다.
도 5는 TWT 동작에 대한 예이다.
도 6은 무선랜에서 전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예이다.
도 7은 무선랜에서 전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다른 예이다.
도 8은 전이중 통신을 위한 패킷에 대한 예이다.
도 9는 전이중 통신을 위해 할당되는 자원에 대한 예이다.
도 10은 전이중 통신을 위한 자원할당의 예이다.
도 11은 기준 프레임에 대한 예이다.
도 12는 TWT에서 전이중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예이다.
도 13은 TWT 정보 요소에 대한 예이다.
도 14는 HE 가능 요소에 대한 예이다.
도 15는 TWT에서 전이중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다른 예이다.
도 16은 TWT에서 전이중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의 예이다.
도 17은 AP와 STA에 대한 블록도의 예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무선랜(WLAN)에 적용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차세대 무선랜 방식(IEEE 802.11ax) 등에 적용 가능하다. 현재 제정중인 IEEE 802.11ax는 종래 IEEE 802.11a/b/g/n/ac와 호환성을 유지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도 IEEE 802.11ax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또 종래 IEEE 802.11a/b/g/n/ac와도 호환성을 유지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동일 채널 전이중 통신(In-Band Full-duplex)을 위한 기술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기본적으로 IEEE 802.11ax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 설명하는 기술이 반드시 IEEE 802.11ax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IEEE 802.11ax 이후에 등장할 무선랜 표준에도 적용가능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하여 정의한다.
무선랜(WLAN) 또는 차세대 무선랜은 기본적으로 IEEE 802.11ax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종래 무선랜은 IEEE 802.11ax전의 표준에 따른 무선랜을 의미한다.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일정한 커버리지에 무선 채널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하 AP라고 명명한다.
논 AP 스테이션(non-AP station, STA)은 AP로부터 일정한 무선 채널을 공급받는 장치이다. 이하 STA라고 명명한다.
스테이션은 AP 또는 STA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거나, AP 및 STA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AP가 STA에 전송하는 신호를 다운 링크 신호라고 한다. 다운 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운 링크 신호에 포함된 프레임을 다운 링크 프레임이라고 한다.
STA이 AP에 전송하는 신호를 업 링크 신호라고 한다. 업 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업 링크 신호에 포함된 프레임을 업 링크 프레임이라고 한다.
TWT(Target Wake Time)는 무선랜 통신에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다. TWT를 요청하는 장치를 TWT 요청 스테이션(TWT requesting STA)이라고 명명한다. TWT 요청에 응답하는 장치를 TWT 응답 스테이션(TWT responding STA)라고 명명한다.
전이중 통신은 기본적으로 동일 채널을 사용한 동시 송수신 방식(In-Band Full-duplex)을 의미한다.
IEEE 802.11ax은 고효율 무선랜(High Efficiency WLAN, HE WLAN)이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IEEE 802.11ax의 PHY에서 새롭게 정의한 PPDU(Physical Protocol Data Unit)가 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PHY PPDU 예는 다음과 같다. HE SU PPDU(High Efficiency Single User Physical Protocol Data Unit), HE MU PPDU(High Efficiency Multi User Physical Protocol Data Unit), HE ER SU PPDU(High Efficiency extended range Single User Physical Protocol Data Unit) 및 HE TB PPDU(High Efficiency Trigger Based Physical Protocol Data Unit)가 있다.
먼저 무선랜과 IEEE 802.11ax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무선랜(WLAN)에서의 베이직 서비스 세트(BSS)를 도시한 예이다. BSS는 하나의 AP와 적어도 하나의 STA로 구성된다. 도 1은 하나의 AP(110)와 복수의 STA(120)으로 구성된 WLAN BSS(100)를 예로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하나의 BSS는 복수의 STA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복수의 STA(120) 중 어느 하나의 STA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받아 AP(110)와 통신한다. AP(110)가 자원 할당에 대한 정보를 STA에 전달한다.
도 2는 무선랜 통신에서 사용하는 자원에 대한 예이다. 도 2에서 하나의 사각 블록은 하나의 STA에 할당된 자원을 의미한다.
도 2(A)는 IEEE 802.11ac에서 사용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에 대한 예이다. 종래 무선랜은 프레임 교환이 시분할 다중접속(TDMA) 방식이다. STA는 WLAN 동작 대역폭(WLAN operation bandwidth)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공유한다. OFDM은 다중 사용자(Multi-user)에 대한 자원 지원을 한다. 다만 어느 하나의 사용자(STA)는 특정 시간 구간에서 특정 채널을 점유한다.
도 2(B)는 IEEE 802.11ax에서 사용되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에 대한 예이다. IEEE 802.11ax는 무선 주파수 대역 채널(20, 40, 80 및 160 MHz 폭)을 미리 정의된 개수의 부반송파가 있는 보다 작은 서브채널로 정의한다. IEEE 802.11ax는 가장 작은 서브 채널인 RU(Resource Unit)를 제공한다. RU는 자원 할당을 위한 최소 단위이다. OFDMA는 동일한 시간 구간에 주파수 직교 분할을 이용한 다중 사용자 전송을 제공한다. 어느 하나의 사용자(STA)는 특정 시간 구간에서 하나의 RU를 사용할 수 있다. AP는 특정 구간에 하나 또는 복수의 STA에 RU를 서로 다르게 할당할 수 있다. 또는 AP는 특정 RU에서 공간 스트림(spatial stream)을 구분하여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STA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OFDMA는 다중 사용자에 대하여 OFDM보다 동적인 자원할당을 제공한다.
도 3은 802.11ax에서 정의한 PHY PPDU 패킷 포맷에 대한 예이다. 도 3에서 도시한 PPDU는 다음과 같다. HE SU PPDU, HE MU PPDU, HE ER SU PPDU 및 HE TB PPDU이다. 각각의 포맷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3에 도시한 포맷을 구성하는 각 필드의 내용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각 필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 TB PPDU에 대해서는 도 8에서 후술한다.
Figure 112019025112106-pat00001
도 4는 802.11ax에서 AP와 STA의 통신 과정에 대한 예이다. 도 4는 하나의 AP와 n개의 STA이 존재하는 BSS에서의 통신 과정에 대한 예이다. 시간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도 4는 다중 사용자(Multi user, MU)를 예로 설명한다.
AP는 시간 T = t0에 STA 1 및 STA n에 MU(Multi user)-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에 대하여 STA 1 및 STA n은 시간 T = t1에 각각 응답으로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전송한다. AP가 CTS 응답을 받으면 이후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MU-RTS/CTS 교환은 WLAN 데이터 전송을 위한 사전 동작에 해당한다. 이 과정은 선택적인 동작으로 DL MU PPDU 전에 반드시 수행해야하는 동작은 아닐 수 있다.
AP는 OFDMA를 위해 통신을 요청하는 STA에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된 프레임을 전송한다. AP는 시간 T = t2에 STA 1 및 STA n에 DL(Down Link) MU PPDU를 전송한다. DL MU PPDU는 트리거 프레임(Trigger frame)을 포함할 수 있다. DL MU PPDU는 TRS(triggered response scheduling) 제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STA 1 및 STA n은 시간 T = t3에 ACK와 함께 응답 프레임으로 HE TB PPDU를 AP에 전송한다. STA은 각각 자신에게 할당된 RU를 사용하여 HE TB PPDU를 전송한다.
AP는 HE TB PPDU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BlockAck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BlockAck 전송은 선택적인 과정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과정을 반복하면서, AP와 다수의 STA가 통신하게 된다.
에너지 절약 모드(power saving mode, PS 또는 PS mode)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 IEEE 802.11 워킹 그룹은 802.11ah부터 에너지 절약 모드(power saving mode)를 위한 TWT 동작을 개발하였다. BSS에 다수의 STA가 있는 경우, STA들은 전송 시도와 실패로 인하여 불필요한 에너지를 소모할 수 있다. TWT는 효율적인 네트워크 사용을 위하여 AP가 다수의 STA에 대하여 동작 구간을 스케줄하는 것이다. AP는 일정한 룰에 따라 어느 하나의 STA 또는 STA 그룹에 대한 동작 구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TWT 동작에 따른 STA 동작 구간을 TWT 서비스 구간(service period, SP)이라고 한다. 802.11ax에서 논의되는 TWT에 대하여 설명한다. 802.11ax에서 TWT는 두 가지 타입이 있다. 하나는 AP와 STA 사이에 개별 TWT 합의(Individual TWT agreement)이고, 다른 하나는 TWT 합의 없는 브로드캐스트 TWT(Broadcast TWT)이다.
TWT는 STA의 요청으로 시작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 IoT 디바이스와 같은 STA가 에너지 절약을 위한 TWT를 요청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AP가 STA에 TWT 동작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5는 TWT 동작에 대한 예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STA 1이 TWT 요청 스테이션이고, AP가 TWT 응답 스테이션이라고 가정한다. 도 5(A)는 Individual TWT agreement에 대한 예이다. 하나의 AP와 하나의 STA 1 사이의 동작에 대한 예이다. STA 1과 AP는 Individual TWT agreement를 수행한다. 합의 과정에서 AP와 STA 1은 TWT SP에 대한 정보를 교환한다. 즉, AP와 STA 1은 합의 과정에서 최초 슬립 시간 또는 웨이크업 시작 시간 중 어느 하나를 공유할 수 있다. PS 모드 종류에 따라 AP와 STA 1은 청취 모드(listen mode) 시작 시간을 공유할 수도 있다. 이후 STA 1은 슬립 시간 이후 AP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고, 데이터를 교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WT SP가 종료되면 STA 1은 다시 슬립 모드에 진입한다. 다음 TWT SP 구간은 Individual TWT agreement 과정에서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다음 TWT SP 구간은 이전 TWT SP 구간에서의 정보 교환을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도 5(B)는 Broadcast TWT에 대한 예이다. 하나의 AP와 두 개의 STA(STA 1 및 STA 2) 사이의 동작에 대한 예이다. Broadcast TWT는 TWT 스케줄링 AP가 STA으로부터의 요청 없이 시작할 수 있다. STA는 사전에 청취 간격(listen interval)과 같은 TWT 파라미터에 대하여 AP와 협의할 수 있다. Broadcast TWT에 진입하면, STA는 AP로부터의 비콘 신호를 대기한다. AP는 Broadcast TWT가 진행될 전체 서비스 시간(service period, SP)을 STA들에 비콘으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STA는 브로드캐스트 TWT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를 포함하는 비콘을 수신한다. STA 1이 브로드캐스트 TWT IE에서 자신에 대한 정보를 발견하면, 일정 시간에 웨이크 업(wake up)하여 트리거 프레임을 기다린다. AP는 TWT IE을 통해 STA 1에 트리거 프레임의 시작 시간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STA 1은 지정된 트리거 프레임의 시작 시간 전에 웨이크 업한다. STA은 비콘 신호가 없거나, 수신한 비콘 신호에 자신에 대한 웨이크 업 정보가 없다면 계속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STA 2는 처음 비콘 신호에서 자신의 정보가 없어서 계속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TWT IE는 TWT SP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WT IE는 웨이크업 시간, 슬립 시간 또는 슬립 시간 사이의 간격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TA는 사전에 스케줄된 TWT SP에서 AP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TWT SP에서 AP와 STA이 전이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AP 및 STA는 기본적으로 802.11ax를 지원한다고 가정한다. 이하 802.11ax와 같은 무선랜 환경에 적용 가능한 전이중 통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전이중 통신은 TWT SP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무선랜에서 전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예이다. 도 6(A)는 무선랜에서 전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BSS(200)를 도시한다. BSS(200)는 하나의 AP(210) 및 n개의 STA(220-1, 220-2,..., 220-n)을 포함한다. AP(210)는 전이중 통신이 가능한 AP이다(FD-capable AP로 표시함).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은 전이중 통신이 가능한 STA이다(FD-capable STA로 표시함). 전이중 통신이 가능한 AP 또는 STA는 자기가 송신한 신호에 의한 자기 간섭(self-interference, SI) 제거 기능을 갖는다. SI 제거 알고리즘 내지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B)는 BSS(200)에서 전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예이다. 시간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AP(210)은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에 기준 프레임(Reference frame)을 전송한다. 기준 프레임은 전술한 트리거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기준 프레임은 TRS 제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프레임은 통신을 위한 RU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프레임을 수신한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은 할당된 RU를 통해 HE TB PPDU를 전송한다. STA 1(220-1) 및 STA n(220-n)은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각각 HE TB PPDU를 AP에 전송할 수 있다.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은 수신한 기준 프레임을 기준으로 일정한 타이밍에 HE TB PPDU를 전송할 수 있다. 즉,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은 수신한 기준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할 프레임에 대한 동기를 맞출 수 있다.
한편 AP(210)는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이 HE TB PPDU를 전송하는 동일한 시간 구간 또는 동일한 시간 구간 내에서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에 일정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AP(210)가 전송하는 프레임을 HE TB FD(Full-Duplex) PPDU라고 표시하였다. 즉 동일한 시간 구간 내에서 AP(210)가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으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면서,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에 프레임을 전송한다(전이중 통신). AP(210)가 업 링크와 동기화하여 다운 링크 송신을 하는 것이다. AP(210)는 자신이 전송하는 기준 프레임을 기준으로 또는 기준 프레임에 포함되는 타이밍 정보를 기준으로 HE TB FD PPDU를 송신할 수 있다.
도 7은 무선랜에서 전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다른 예이다. 도 7은 도 6(A)의 BSS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시간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AP(210)는 시간 T = t0에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에 MU-RTS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에 대하여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은 시간 T = t1에 각각 응답으로 CTS 프레임을 전송한다. AP가 CTS 응답을 받으면 이후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MU-RTS/CTS 교환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사전 동작에 해당한다. 이 과정은 선택적인 동작으로 DL MU PPDU 전에 반드시 수행해야하는 동작은 아닐 수 있다.
AP(210)은 시간 T = t2에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에 DL MU PPDU를 전송한다. DL MU PPDU는 전술한 기준 프레임에 해당한다. DL MU PPDU는 TRS 제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DL MU PPDU는 STA를 위한 RU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프레임을 수신한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은 시간 T = t3에 ACK와 함께 할당된 RU를 통해 HE TB PPDU를 전송할 수 있다.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은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각각 HE TB PPDU를 AP에 전송할 수 있다.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은 수신한 DL MU PPDU를 기준으로 일정한 타이밍에 HE TB PPDU를 전송할 수 있다. 즉,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은 수신한 DL MU PPDU를 이용하여 전송할 프레임에 대한 동기를 맞출 수 있다.
한편 AP(210)는 시간 T = t3 내에서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에 HE TB FD PPDU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시간 구간 내에서 AP(210)가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으로부터 업 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면서, 동일한 시간 구간 내에서 다운링크 프레임을 전송한다(전이중 통신). AP(210)는 자신이 전송하는 DL MU PPDU를 기준으로 또는 DL MU PPDU에 포함되는 타이밍 정보를 기준으로 HE TB FD PPDU를 송신한다.
AP(210)는 시간 T = t4에서 HE TB PPDU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BlockAck 프레임을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에 전송할 수 있다. BlockAck 전송은 선택적인 과정일 수 있다. STA 1(220-1), STA 2(220-2) 및 STA n(220-n)은 HE TB FD PPDU에 대한 ACK를 전송할 수 있다. STA이 ACK를 보내는 과정도 선택적(optional)이다.
도 8은 전이중 통신을 위한 패킷에 대한 예이다. 도 8의 상부에 HE TB PPDU 구조의 예를 도시하였다. 도 8의 하부에 HE TB FD PPDU 구조의 예를 도시하였다. HE TB PPDU와 HE TB FD PPDU는 동일한 시간 구간에 배치한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동일 시간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을 구성하는 HE TB PPDU(업 링크) 및 HE TB FD PPDU(다운 링크)를 배치한 예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STA가 수신한 기준 프레임(트리거 프레임)을 기준으로 일정한 시간 구간에 HE TB PPDU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HE TB PPDU는 기준 프레임으로부터 SIFS(Short IFS) 시간 간격 후 전송될 수 있다. SIFS는 표준에서 정의한 패킷 간 시간 간격 중 가장 짧은 패킷 간 시간 간격에 해당한다.
HE TB PPDU는 논 HE 영역(Non-HE portion)과 HE 영역(HE portion)으로 구분할 수 있다. 논 HE 영역은 L-STF, L-LTF 및 L-SIG를 포함한다. 이는 종래 WLAN 표준에서 정의한 필드이다. 802.11ax는 종래 WLAN과 호환을 위해 공통된 필드를 사용한다. L-SIF(short training field)는 짧은 훈련 서열로 패킷 검출 및 자동 게인 조절 용도(AGC) 사용된다. L-LTF(long training field)는 비교적 긴 훈련 서열로 채널 추정 용도로 사용된다. L-SIG(signal information field)는 PSDU의 디코딩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L-SIG는 종래 레거시(legacy) L-SIG가 반복되는 구간으로, HE PPDU 검출을 위한 필드이다. HE-SIG-A는 MCS, 주파수 대역, 공간 스트림(NSTS)의 개수 및 이후 프레임 복호를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HE-STF 및 HE-LTF는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를 위한 훈련 서열(training sequence)을 포함한다. HE-STF는 주로 MIMO 전송에서 자동 게인 조절 측정을 위해 사용된다. HE-LTF는 MIMO 채널을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HE-LTF 길이는 가변적이다. Data 필드는 인코더/디코더 스크램블러(scrambler) 및 부호된 MAC 프레임을 포함한다. PE는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 익스텐션 필드이다.
HE TB PPDU는 프리 HE 모듈레이티드 필드(pre-HE modulated field)와 HE 모듈레이티드 필드(HE modulated field)로 구분할 수도 있다. HE PHY는 HE PPDU의 프리 HE 모듈레이티드 필드와 HE 모듈레이티드 필드 각각에 3.2 μs와 12.8 μs DFT 기간을 지원할 수 있다.
HE TB FD PPDU는 동일 시간 구간 중 HE TB PPDU의 HE 모듈레이티드 필드가 시작하는 영역에서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HE TB PPDU의 프리 HE 모듈레이티드 필드가 전송되는 구간에서 HE TB FD PPDU는 널(null)인 경우 이다(Type 1). HE TB FD PPDU는 동일 시간 구간 중 HE TB PPDU의 HE 모듈레이티드 필드에 정렬(aligned)된다고 할 수 있다. 널 영역(null portion)은 실제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영역이다.
또는 널 영역은 AP가 HE TB PPDU를 처리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는 정보를 전송하는 영역일 수도 있다. AP가 HE TB PPDU를 수신하는 시간 구간에서 HE TB FD PPDU를 전송하되, 수신한 HE TB PPDU 처리에 영향을 주지 않는 구간에서 HE TB FD PPDU를 전송하고자 한다. 즉, AP가 HE TB FD PPDU 전송 시점을 제어하여, HE TB PPDU 신호 전송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AP는 수신한 HE TB PPDU의 훈련 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HE TB FD PPDU는 HE TB PPDU의 프리 HE 모듈레이티드 필드가 전송되는 구간에도 일정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에서 Alternative Signal 필드를 갖는 유형(Type 2)를 예로 표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AP와 STA이 모두 전이중 통신능력이 있는 경우, AP도 STA과 동일한 구간에 동시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의 하단부는 HE TB FD PPDU 구조를 예시한다. 도 8에 도시한 HE TB FD PPDU 구조는 하나의 예이며,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8은 FD-STF, FD-LTF, FD-SIG 등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각 필드는 HE-STF, HE-LTF, HE-SIG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전이중 통신을 위해 할당되는 자원에 대한 예이다. 도 9(A)는 업 링크와 다운 링크를 위하여 개별 RU가 할당된 예이다. FDcapable AP가 어느 STA와 전이중 통신하는 경우, 각 AP와 STA는 서로 다른 RU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B)는 업 링크와 다운 링크를 위한 공동 RU가 할당된 예이다. 도 9(B)는 AP와 STA 쌍이 하나의 공통된 RU를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FD-capable AP가 FD-capable STA와 전이중 통신을 하는 경우 해당 쌍은 공통된 RU를 사용할 수도 있다. RU에 대한 정보는 AP가 기준 프레임(트리거 프레임)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도 9(B)는 AP와 STA 1이 공통된 RU를 사용하고, AP와 STA n이 공통된 RU를 사용하는 예이다.
도 10은 전이중 통신을 위한 자원할당의 예이다. 도 10은 모두 같은 시간 구간에 할당된 자원에 대한 예이다. 도 10은 하나의 AP와 하나의 STA 1의 전이중 통신을 위한 자월 할당의 예이다. AP는 다른 STA과도 동일 시간에 자원을 할당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10(A)는 AP와 STA 1이 동일한 RU를 사용하는 예이다. STA 1은 242-tone RU(20MHz)를 사용하여 HE TB PPDU를 전송한다. 동시에 AP는 동일한 RU를 사용하여 HE TB FD PPDU를 전송한다. 이때 HE TB FD PPDU는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앞 부분이 널 영역(null portion)일 수도 있다. 도 10(A)의 우측은 HE TB PPDU와 HE TB FD PPDU가 동시에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0(B)는 AP와 STA 1이 서로 다른 RU를 사용하는 예이다. STA 1은 20MHz 내 26-tone(약 2MHz), 52-tone(약 4MHz) 또는 104-tone(약 10MHz) 중 하나의 RU를 사용하여 HE TB PPDU를 전송한다. 이때 프리 HE 모듈레이티드 필드는 해당 RU가 포함된 20Mhz 채널 (또는 인접한 20MHz를 포함한 40MHz)을 이용하여 전송 될 수 있으며 HE 모듈레이티드 필드는 할당된 RU를 이용하여 전송 될 수 있다. 동시에 20MHz 내 할당 되지 않은 다른 RU(26/52/104-tone RU)를 통해 HE TB FD PPDU를 전송한다. 도 10(B)의 우측은 HE TB PPDU와 HE TB FD PPDU가 동시에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기준 프레임에 대한 예이다. 기준 프레임은 IEEE 802.11ax에서 정의한 트리거 프레임일 수 있다. 기준 프레임은 전이중 통신(FD)을 위한 RU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D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802.11ax에서 사용될 프레임에 대한 예이다. MAC 헤더에 포함된 정보로서 종래 무선랜 헤더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HT Control은 집합된 제어 서브 필드(Aggregated Control Subfield)를 포함한다. 도 11에서 (A)는 제어 서브 필드에 FD 자원 정보에 대한 필드가 별도로 추가된 예이다. (A)는 Control ID, FD 및 Reserved 필드를 포함한다. Control ID는 제어 서브 필드가 나타내는 정보에 대한 식별자이다. Control ID가 FD 자원 정보를 의미하는 값인 경우, FD는 FD를 위한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 (B)는 제어 서브 필드에 대한 다른 예이다. (B) 경우 Control ID가 FD 자원 정보를 의미하는 값인 경우, Control Information 필드에 FD를 위한 자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Control ID가 현재 용도가 할당되지 않은 특정한 값인 경우, Control Information 필드에 FD를 위한 자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은 HT Control 필드를 이용하여 FD 자원 정보를 전달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경우에 따라 기준 프레임은 다른 필드를 통해 또는 FD 전용 필드를 통해 FD 자원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도 12는 TWT에서 전이중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예이다. 도 1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AP와 하나의 ST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2(A)는 Individual TWT agreements를 예로 설명한다. STA이 TWT 요청 스테이션이고, AP가 TWT 응답 스테이션인 예이다. STA과 AP는 TWT 합의를 수행한다. (1) STA이 TWT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다. TWT 요청 프레임은 HE 가능 요소(HE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STA은 HE Capability element를 통해 자신의 전이중 통신능력을 AP에 알려줄 수 있다. HE Capability element는 후술한다. AP는 STA가 전송한 HE Capability element를 통하여 해당 STA의 전이중 통신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TWT 요청 프레임은 TWT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를 포함할 수 있다. STA는 TWT IE를 통해 TWT SP에서 사용할 수 있는 후보 주 채널에 대한 정보를 AP에게 알려줄 수 있다. TWT IE는 후술한다. (2) AP는 TWT 응답 프레임을 STA에 전송한다. TWT 응답프레임은 HE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AP은 HE Capability element를 통해 자신의 전이중 통신능력을 STA에 알려줄 수 있다. TWT 요청 프레임은 TWT IE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TWT IE를 통해 TWT SP에서 사용할 임시 주 채널(TWT SP TPCH)에 대한 정보를 STA에게 알려줄 수 있다.
Individual TWT agreements에 따라 STA는 일정 시간 슬립 모드로 동작한다. TWT 합의에 따라 STA는 특정 시간에 웨이크 업한다. AP는 트리거 프레임을 STA에 전송한다. 트리거 프레임은 TWT SP 동안 데이터 교환을 위한 RU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트리거 프레임을 통해 TWT SP TPCH를 포함하는 채널에 대하여 할당된 RU 정보를 STA에 전송한다. (1) RU 할당 정보는 MAC 계층의 정보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RU 할당 정보는 도 12에서 설명한 MAC 계층의 정보(control 필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2) 경우에 따라 TWT SP를 위한 RU 할당 정보는 TWT IE와 같은 별도의 정보 요소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TWT SP 동안 AP와 STA는 일정한 데이터를 교환한다. 이때 AP와 STA는 전이중 통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AP가 전송하는 HE TB FD PPDU는 HE TB PPDU(STA)의 HE 모듈레이티드 필드의 시간 구간에 전송될 수 있다.
TWT SP가 종료되면 STA은 다시 슬립 모드에 진입한다. (1) TWT SP 구간에서 AP는 다시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하여 STA에 RU를 할당할 수 있다. (2) 경우에 따라 AP는 별도의 RU를 할당하지 않고, 이전 TWT SP 구간에서 사용했던 RU를 이용하여 STA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도 12(B)는 Broadcast TWT를 예로 설명한다. Broadcast TWT는 STA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AP가 시작할 수 있다. 도 12(B)는 STA이 TWT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예를 도시한다. TWT 요청 프레임은 HE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STA은 HE Capability element를 통해 자신의 전이중 통신능력을 AP에 알려줄 수 있다. TWT 요청 프레임은 TWT IE를 포함할 수 있다. STA는 TWT IE를 통해 TWT SP에서 사용할 수 있는 후보 주 채널에 대한 정보를 AP에게 알려줄 수 있다.
Broadcast TWT에서도 STA는 AP와 TWT를 위한 파라미터를 협상을 할 수 있다. 예컨대, STA는 AP에게 TWT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요청할 수 있다. STA는 AP로부터 청취 간격과 같은 파리미터를 수신하여 TWT를 위한 사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Broadcast TWT에 진입하면, STA는 AP의 비콘 신호를 대기한다. AP는 Broadcast TWT가 진행될 전체 서비스 시간(service period, SP)을 STA들에 비콘으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비콘은 HE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AP은 HE Capability element를 통해 자신의 전이중 통신능력을 STA에 알려줄 수 있다. 비콘은 TWT IE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TWT IE를 통해 TWT SP에서 사용할 임시 주 채널(TWT SP TPCH)에 대한 정보를 STA에게 알려줄 수 있다.
STA는 TWT IE를 포함하는 비콘을 수신한다. STA은 TWT IE에서 자신에 대한 정보를 발견하면, 일정 시간에 웨이크 업(wake up)하여 트리거 프레임을 기다린다. AP는 TWT IE을 통해 STA에 트리거 프레임의 시작 시간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STA은 지정된 트리거 프레임의 시작 시간 전에 웨이크 업한다.
AP는 트리거 프레임을 STA에 전송한다. 트리거 프레임은 TWT SP 동안 데이터 교환을 위한 RU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트리거 프레임을 통해 TWT SP TPCH를 포함하는 채널에 대하여 할당된 RU 정보를 STA에 전송한다. (1) RU 할당 정보는 MAC 계층의 정보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RU 할당 정보는 도 12에서 설명한 MAC 계층의 정보(control 필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2) 경우에 따라TWT SP를 위한 RU 할당 정보는 TWT IE와 같은 별도의 정보 요소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TWT SP 동안 AP와 STA는 일정한 데이터를 교환한다. 이때 AP와 STA는 전이중 통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AP가 전송하는 HE TB FD PPDU는 HE TB PPDU(STA)의 HE 모듈레이티드 필드의 시간 구간에 전송될 수 있다.
TWT SP가 종료되면 STA은 다시 슬립 모드에 진입한다. (1) TWT SP 구간에서 AP는 다시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하여 STA에 RU를 할당할 수 있다. (2) 경우에 따라 AP는 별도의 RU를 할당하지 않고, 이전 TWT SP 구간에서 사용했던 RU를 이용하여 STA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TWT 요청 스테이션은 TWT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다. TWT 응답 스테이션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TWT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다. TWT 요청 스테이션은 TWT SP 동안 동작 채널 대역에서 어떤 서브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TWT 요청 스테이션은 특정한 대역의 채널을 후보 주 채널 정보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TWT 요청 스테이션이 복수의 임시 주 채널 후보를 전달할 수 있다. TWT 응답 스테이션은 복수의 임시 주 채널 후보 중 어느 하나를 임시 주 채널(TWT SP TPCH)로 결정할 수 있다.
TWT 동작을 위한 정보 교환에 사용되는 TWT IE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TWT IE에 대한 예이다. 도 13에서 TWT IE는 전이중 통신을 위한 필드를 포함한다. 도 13은 하나의 예이며, TWT IE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3에서 (A)는 TWT IE에 대한 예이다. TWT IE는 Element ID, Length, Control 및 TWT parameter information 필드를 포함한다. Element ID는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컨대, STA는 Element ID의 값으로 해당 시퀀스를 TWT IE라고 식별할 수 있다. Length는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Control 필드는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TWT parameter information은 TWT를 위한 각종 파라미터 값을 포함한다.
도 13에서 (B)는 TWT parameter information에 대한 예이다. TWT parameter information은 TWT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WT parameter information은 Request type, Target Wake Time, TWT Group Assignment, Minimum TWT Wake Duration, Minimum TWT Interval, TWT Channel 및 NDP paging 필드를 포함한다. (B)는 TWT parameter information에 대한 하나의 예이다. TWT parameter information은 다른 필드를 더 포함하거나,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Request type은 특정 TWT 요청에 대한 식별자를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Request type은 복수의 개별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Target Wake Time은 최초 TWT 시간 내지 간격을 나타낼 수 있다. Minimum TWT Wake Duration은 최소 TWT SP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Minimum TWT Interval은 TWT SP 사이의 최소 간격을 나타낼 수 있다. TWT Channel은 TWT SP 동안 사용 가능한 채널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TWT Group Assignment은 TWT를 할당하는 STA 그룹을 나타낸다. TWT Group Assignment은 전이중 통신능력이 있는 STA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TWT 채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TWT 요청 스테이션은 TWT SP 동안 임시로 사용할 수 있는 주 채널(temporary primary channel, TPCH)에 대한 비트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TWT 응답 스테이션은 TWT SP 동안 사용을 허용한 주 채널에 대한 비트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비트맵에서 하나의 비트는 통신 밴드에서 최소 너비 채널(minimum width channel)을 나타낼 수 있다. 최소 너비 채널은 20MHz일 수 있다. TWT 응답 스테이션이 최종적으로 TWT SP에 사용할 임시 주 채널을 결정한다. TWT 응답 스테이션이 응답으로 전송한 임시 주 채널은 TWT SP TPCH이라고 명명한다. 도 13 (B)의 TWT Channel이 채널에 대한 비트맵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3에서 (C)는 Control 필드에 대한 예이다. (C)는 NDP paging indicator, Responder PM Mode, Negotiation type, Full-Duplex Indicator, Reserved 필드를 포함한다. (C)는 Control 필드에 대한 하나의 예이다. Control 필드는 다른 필드를 더 포함하거나,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AP 또는 STA는 Full-Duplex Indicator를 통해 TWT SP 동안 전이중 통신을 수행함 또는 수행할 수 있음을 전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AP는 핸드 쉐이킹(hand shaking) 과정 또는 RTS/CTS 교환 과정에서 특정 STA의 전이중 통신능력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는 AP가 STA이 전송한 TWT 요청에 포함된 정보로 해당 STA이 전이중 통신 가능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도 있다.
AP 또는 STA는 HE WLAN을 지원하는 장치임을 다른 장치에 알려줄 수 있다. 예컨대, AP 또는 STA는 HE Capability element를 사용하여 HE WLAN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4는 HE Capability element에 대한 예이다.
도 14에서 (A)는 HE 가능 요소를 도시한 예이다. HE Capability element는 Element ID, Length, HE Capability Information 등을 포함한다. Element ID는 해당 정보가 HE 가능 요소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HE Capability Information은 AP 또는 STA이 HE WLAN(802.11 ax 이상)을 지원하는 장치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4에서 (A)의 HE Capability element는 FD Capability 필드를 포함한다. FD Capability는 전이중 통신능력에 대한 식별자이다. 에컨대, FD Capability가 1이라면 해당 장치는 전이중 통신능력이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도 14에서 (A)는 HE Capability element의 특정 필드가 장치의 전이중 통신능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예이다.
도 14에서 (B)는 HE Capability Information의 서브 필드를 도시한 예이다. HE Capability Information은 TWT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HE Capability Information은 FD Capability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FD Capability는 전이중 통신능력에 대한 식별자이다. 에컨대, FD Capability가 1이라면 해당 장치는 전이중 통신능력이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도 14에서 (B)는 HE Capability element의 특정 서브 필드가 장치의 전이중 통신능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예이다.
도 15는 TWT에서 전이중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다른 예이다. 도 15는 하나의 AP와 복수의 STA(STA 1, STA 2, ..., STA n)을 예로 설명한다. AP, STA 1 및 STA 2는 전이중 통신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STA n은 전이중 통신능력이 없는 장치라고 가정한다.
도 15(A)는 Individual TWT agreements를 예로 설명한다. STA이 TWT 요청 스테이션이고, AP가 TWT 응답 스테이션인 예이다. STA과 AP는 TWT 합의를 수행한다. 합의 과정에서 AP는 TWT 스케줄 정보를 STA에 전달한다. TWT 스케줄 정보는 특정 STA에 대한 웨이크 시작 시간, 웨이크 업 구간 사이의 간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1) STA이 TWT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다. TWT 요청 프레임은 HE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STA은 HE Capability element를 통해 자신의 전이중 통신능력을 AP에 전달할 수 있다. 또 TWT 요청 프레임은 TWT IE를 포함할 수 있다. STA는 TWT IE를 통해 TWT SP에서 사용할 수 있는 후보 주 채널에 대한 정보를 AP에게 알려줄 수 있다. (2) AP는 TWT 응답 프레임을 STA에 전송한다. TWT 응답프레임은 HE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AP은 HE Capability element를 통해 자신의 전이중 통신능력을 STA에 알려줄 수 있다. 또 TWT 요청 프레임은 TWT IE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TWT IE를 통해 TWT SP에서 사용할 임시 주 채널(TWT SP TPCH)에 대한 정보를 STA에게 알려줄 수 있다.
Individual TWT agreements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AP와 하나의 STA 사이의 합의에 따라 진행된다. 다만 AP는 복수의 STA을 사전에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고 동일 그룹에 공통된 TWT 스케줄링을 할 수 있다.
AP는 전이중 통신능력이 있는 STA 1 및 STA 2를 하나의 TWT 그룹(제1 TWT 그룹)으로 설정한다고 가정한다. AP는 이와 같은 정보를 TWT IE를 통해 STA 1 및 STA 2에 전달할 수 있다. AP는 전이중 통신능력이 없는 STA n을 제2 TWT 그룹으로 설정한다고 가정한다. AP는 제1 TWT 그룹과 제2 TWT 그룹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웨이크 업 시간을 전달한다.
TWT 합의에 따라 STA들은 일정 시간 슬립 모드로 동작한다. TWT 합의에 따라 STA 1, STA 2 및 STA n은 t0 시점에 슬립 모드에 들어 간다. STA 1 및 STA 2는 t1 시점 이전에 웨이크 업한다. AP는 트리거 프레임을 STA 1 및 STA 2에 전송한다. 트리거 프레임은 TWT SP 동안 데이터 교환을 위한 RU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U 할당 정보는 도 12에서 설명한 MAC 계층의 정보(control 필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TWT SP 동안 'AP와 STA 1' 및 'AP와 STA 2'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AP와 STA 1' 및 'AP와 STA 2'은 전술한 방법으로 전이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AP가 전송하는 HE TB FD PPDU는 STA 1 또는 STA 2가 전송하는 HE TB PPDU의 HE 모듈레이티드 필드의 시간 구간에 전송될 수 있다. TWT SP가 종료된 후 T2 시점에서 STA 1 및 STA 2는 다시 슬립 모드에 진입한다.
한편 TWT 합의에 따라 STA n은 t3 시점에 웨이크 업하여 AP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AP와 STA n은 TDD 방식으로 데이터 교환을 수행한다.
도 15(B)는 Broadcast TWT를 예로 설명한다. STA는 TWT 파라미터를 AP에 요청하여 사전에 TWT를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WT parameters negotiation). 이 과정은 선택적 과정이다. 도 15(B)는 STA 1이 TWT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예를 도시한다. TWT 요청 프레임은 HE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STA은 HE Capability element를 통해 자신의 전이중 통신능력을 AP에 알려줄 수 있다. TWT 요청 프레임은 TWT IE를 포함할 수 있다. STA는 TWT IE를 통해 TWT SP에서 사용할 수 있는 후보 주 채널에 대한 정보를 AP에게 알려줄 수 있다.
Broadcast TWT에서 AP가 TWT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AP는 TWT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았지만 STA 1과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STA 2에도 TWT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TWT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STA는 AP의 비콘 신호를 대기한다(doze mode). AP는 비콘을 통해 TWT 스케줄 정보를 STA에 전달한다. TWT 스케줄 정보는 특정 STA에 대한 웨이크 시작 시간, 웨이크 업 구간 사이의 간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콘이 TWT 응답 프레임일 수 있다. 이 경우 비콘은 HE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AP은 HE Capability element를 통해 자신의 전이중 통신능력을 STA에 알려줄 수 있다. 비콘은 TWT IE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TWT IE를 통해 TWT SP에서 사용할 임시 주 채널(TWT SP TPCH)에 대한 정보를 STA에게 알려줄 수 있다.
AP는 전이중 통신능력이 있는 STA 1 및 STA 2를 하나의 TWT 그룹(제1 TWT 그룹)으로 설정한다고 가정한다. AP는 이와 같은 정보를 TWT IE를 통해 STA 1 및 STA 2에 전달할 수 있다. AP는 전이중 통신능력이 없는 STA n을 제2 TWT 그룹으로 설정한다고 가정한다. AP는 제1 TWT 그룹과 제2 TWT 그룹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웨이크 업 시간을 전달한다.
Broadcast TWT가 시작되면, 슬립 모드로 동작한다. STA 1, STA 2 및 STA n은 t0 시점에 비콘을 수신하기 전에 웨이크 업 한다.
STA 1 및 STA 2는 TWT IE에서 자신에 대한 정보를 발견하여, 웨이크 업 상태를 유지한다. AP는 트리거 프레임을 STA 1 및 STA 2에 전송한다. 트리거 프레임은 TWT SP 동안 데이터 교환을 위한 RU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U 할당 정보는 도 12에서 설명한 MAC 계층의 정보(control 필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TWT SP 동안 'AP와 STA 1' 및 'AP와 STA 2'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AP와 STA 1' 및 'AP와 STA 2'은 전술한 방법으로 전이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AP가 전송하는 HE TB FD PPDU는 STA 1 또는 STA 2가 전송하는 HE TB PPDU의 HE 모듈레이티드 필드의 시간 구간에 전송될 수 있다. TWT SP가 종료된 후 STA 1 및 STA 2는 다시 슬립 모드에 진입한다. 이후 STA 1 및 STA 2는 T2 시점 이전에 다시 웨이크 업한다. STA이 웨이크 업 하는 주기는 비콘 송신 주기와 같을 수 있다. 예컨대, 웨이크 업 주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비콘 주기일 수 있다.
T2 시점에서 STA 1 및 STA 2는 다시 비콘을 수신한다. STA 1 및 STA 2는 비콘의 TWT IE에서 자신에 대한 정보를 발견하지 못하여 슬립 모드로 들어간다.
STA n은 t0 시점의 TWT IE에서 자신에 대한 정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STA n은 계속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STA n은 t2 시점 이전에 웨이크 업 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STA n은 t2 시점의 TWT IE에서 자신에 대한 정보를 발견하여 웨이크 업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STA n은 AP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한다. 트리거 프레임은 TWT SP 동안 데이터 교환을 위한 RU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U 할당 정보는 도 12에서 설명한 MAC 계층의 정보(control 필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TWT SP 동안 AP와 STA n은 TDD 방식으로 데이터 교환을 수행한다.
도 16은 TWT에서 전이중통신을 수행하는 과정(300)에 대한 순서도의 예이다. 도 16은 TWT SP에서의 전이중 통신 과정을 정리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하나의 TWT SP 구간에서의 동작을 예로 설명한다. AP와 STA는 반복적으로 TWT SP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을 할 수 있다.
AP와 STA는 먼저 서로 전이중 통신능력 정보를 교환한다(310).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AP와 STA는 HE Capability 요소를 통해 전이중 통신능력을 전달할 수 있다. AP는 STA의 전이중 통신능력을 확인하고, 일정한 TWT 스케줄을 설정하여 STA에 제공한다(320). TWT 스케줄 정보는 TWT IE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TWT에서 STA는 슬립 모드에 진입한다(330). STA는 사전에 정해진 스케줄 또는 AP로 수신한 비콘의 정보에 따라 일정 시간에 웨이크 업을 한다. STA는 시간 기준으로 웨이크 업 여부를 확인한다(340). STA는 웨이크 업할 시간 전에는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 STA는 웨이크 업한 후 AP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한다. STA는 트리거 프레임을 통해 할당된 RU를 이용하여 AP와 통신한다. TWT SP에서 AP와 STA는 전이중 통신을 수행한다(350).
도 17은 AP(410)와 STA(420)에 대한 블록도의 예이다. 도 17은 하나의 AP(410)와 하나의 STA(420)을 포함하는 BSS를 예로 도시한다. AP(410)와 STA(420)은 각각 전이중 통신이 가능한 장치라고 전제한다.
AP(410)는 저장 장치(411), 메모리(412), 연산장치(413) 및 통신 장치(414)1를 포함한다. 도 17은 저장 장치(411), 메모리(412), 연산장치(413) 및 통신 장치(414)를 별도의 독립된 구성으로 도시하였다. 저장 장치(411), 메모리(412), 연산장치(413) 및 통신 장치(414)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은 통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저장 장치(411)는 STA와 무선랜 통신을 위한 소스코드 내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 장치(411)는 기본적으로 고효율 무선랜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 장치(411)는 전술한 전이중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411)는 TWT 동작을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411)는 TWT SP 과정에서 진이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411)는 하드 디스크,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장치(411)는 전송할 데이터 및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12)는 AP(410)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장치(414)는 무선랜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통신 장치(414)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14)는 MIMO를 위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14)는 적어도 하나의 STA로부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 통신 장치(414)는 적어도 하나의 STA로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414)는 외부 객체로부터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연산 장치(413)는 저장장치(41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패킷)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연산 장치(413)는 수신한 명령 또는 생성한 명령에 따라 통신 장치(414)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STA에 기준 프레임을 전송하게 할 수 있다. 통신 장치(414)는 기준 프레임 기준으로 결정되는 특정한 시간 구간에 STA로부터 업 링크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연산 장치(413)는 상기 다운 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간 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 통신 장치(414)를 통해 STA에 다운 링크 프레임을 송신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연산 장치(413)는 업 링크를 전송한 STA 또는 다른 STA에 다운 링크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연산 장치(413)는 업 링크 프레임의 HE 모듈레이티드 필드에 다운 링크 프레임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연산 장치(413)는 TWT 동작 과정에서 STA의 전이중 통신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연산 장치(413)는 전이중 통신능력이 있는 STA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연산 장치(413)는 STA 그룹에 대한 TWT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연산 장치(413)는 TWT SP를 위한 임시 주 채널(TWT SP TPCH)을 결정할 수 있다. 연산 장치(413)는 TWT SP TPCH에서 STA와 전이중 통신하기 위한 RU를 결정할 수 있다. 연산 장치(413)는 RU 할당 정보가 포함된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산 장치(413)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일정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AP, 프로그램이 임베디드된 칩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414)는 TWT SP TPCH에 대한 정보 및 RU 할당 정보를 전송한다.
예컨대, AP(410)는 TWT 요청에 따른 TWT 응답에서 TWT SP TPCH에 대한 정보를 STA(4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 AP(410)는 TWT SP TPCH 범위에서 할당된 RU 정보를 STA(420)에 전송할 수 있다. TWT SP 동안 AP(410)는 할당된 RU를 이용하여 트리거 프레임을 STA(420)에 전송할 수 있다. AP(410)는 특정 시간 구간에 STA(420)로부터 HE TB PPDU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AP(410)는 HE TB PPDU HE 모듈레이티드 필드가 전송되는 구간에 HE TB FD PPDU를 STA(420) 또는 다른 STA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AP(410)는 전이중 통신을 위하여 SI를 제거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STA(420)는 저장 장치(421), 메모리(422), 연산장치(423), 인터페이스 장치(424) 및 통신 장치(425)를 포함한다. 도 17은 저장 장치(421), 메모리(422), 연산장치(423), 인터페이스 장치(424) 및 통신 장치(424)를 별도의 독립된 구성으로 도시하였다. 저장 장치(421), 메모리(422), 연산장치(423), 인터페이스 장치(424) 및 통신 장치(425)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은 통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저장 장치(421)는 AP와 무선랜 통신을 위한 소스코드 내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 장치(421)는 기본적으로 고효율 무선랜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 장치(421)는 전술한 전이중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421)는 TWT 동작을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421)는 TWT SP 과정에서 진이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421)는 하드 디스크,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장치(421)는 전송할 데이터 및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22)는 STA(420)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424)는 외부로부터 일정한 명령 내지 데이터를 입력받는 장치이다. 인터페이스 장치(424)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입력 장치 또는 외부 저장 장치로부터 일정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424)는 AP(410)와 통신을 위한 명령, 제어 정보 또는 전송할 데이터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통신 장치(425)는 무선랜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통신 장치(425)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25)는 MIMO를 위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25)는 AP로부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 통신 장치(425)는 AP로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425)는 외부 객체로부터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연산 장치(423)는 저장장치(42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패킷)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425)는 AP(410)로부터 기준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연산 장치(423)는 기준 프레임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연산 장치(423)는 결정한 특정 시간 구간에 통신 장치(425)를 통해 AP에 업 링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연산 장치(423)는 TWT 요청을 위한 TWT 요청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산 장치(423)는 TWT 동작 과정에서 TWT SP를 위한 후보 임시 주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연산 장치(423)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일정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AP, 프로그램이 임베디드된 칩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425)는 TWP SP TPCH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425)는 TWP SP를 위한 RU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 장치(425)는 TWP SP 동안 할당된 RU를 통해 업 링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 AP(410)로부터 다운 링크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다운 링크 프레임은 업 링크 프레임의 HE 모듈레이티드 필드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수신될 수 있다. 연산 장치(423)는 업 링크 프레임 전송과 동시에 다운 링크 프레임 수신이 되도록 통신 장치(425)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STA(420)은 TWT 요청 프레임을 AP(410)에 전송할 수 있다. STA(420)은 TWT 응답으로 TWT SP TPCH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TA(420)는 TWT SP 동안 트리거 프레임을 AP(4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TA(420)는 할당된 RU를 통해 AP(41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STA(420)는 트리거 프레임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 구간에 HE TB PPDU를 송신할 수 있다. STA(420)는 HE TB PPDU를 송신하면서, AP(410)로부터 HE TB FD PPDU를 수신할 수 있다. HE TB FD PPDU는 HE TB PPDU의 HE 모듈레이티드 필드가 전송되는 구간에서 수신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STA(420)는 전이중 통신을 위하여 SI를 제거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전이중 통신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이중 통신 방법은 AP과 STA에 각각 임베드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례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전술한 기술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기술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례는 모두 전술한 기술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TWT(Target Wake Time) 응답 스테이션이 적어도 하나의 TWT 요청 스테이션에 TWT 스케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이 TWT SP(service period)에서 기준 프레임을 통해 RU(resource unit)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TWT 요청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이 상기 RU를 통해 기준 프레임 기준으로 결정되는 특정 시간 구간에 상기 TWT 요청 스테이션으로부터 업 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이 상기 특정 시간 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TWT 요청 스테이션에 다운 링크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업 링크 프레임과 상기 다운 링크 프레임은 동일 채널로 전송되어 상기 기준 프레임을 기준으로 동기되는 상기 일부 구간에서 전이중통신을 하는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은 상기 TWT 요청 스테이션으로부터 사전에 TWT SP를 위한 임시 주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임시 주 채널에 대한 상기 RU 정보를 결정하는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TWT 요청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이중 통신능력 정보를 수신하고, 전이중 통신능력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TWT 요청 스테이션에 대하여 동일한 TWT 스케줄 정보를 설정하는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중 통신능력 정보는 HE 가능 요소(HE Capability element)를 통해 전달되는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 링크 프레임은 HE TB(High-Efficiency Trigger-Based) PPDU인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 링크 프레임은 프리-HE 모듈레이티드 필드(Pre-HE modulated field) 및 HE 모듈레이티드 필드(HE modulated field)로 구성되고,
    상기 일부 구간은 상기 특정 시간 구간에서 상기 HE 모듈레이티드 필드가 수신되는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된 구간인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WT SP를 위한 채널 정보는 TWT 정보 요소의 채널 정보에 포함되는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8. TWT(Target Wake Time) 요청 스테이션이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상기 TWT 요청 스테이션이 웨이크 업한 후 TWT 응답 스테이션으로부터 TWT SP(service period)를 위한 타깃 채널 내의 RU(resource unit)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TWT 요청 스테이션이 상기 TWT SP 동안 상기 RU를 통해 상기 기준 프레임 기준으로 결정되는 특정 시간 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으로부터 다운 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시간 구간은 상기 TWT 요청 스테이션이 TWT 응답 스테이션에 업 링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구간이고,
    상기 업 링크 프레임과 상기 다운 링크 프레임은 동일 채널로 전송되어 상기 기준 프레임을 기준으로 동기되는 상기 일부 구간에서 전이중통신을 하는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WT 요청 스테이션은 사전에 TWT SP를 위한 후보 채널 정보를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상기 타깃 채널은 상기 후보 채널 중 특정 채널로 결정되는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업 링크 프레임은 HE TB(High-Efficiency Trigger-Based) PPDU인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업 링크 프레임은 프리-HE 모듈레이티드 필드(Pre-HE modulated field) 및 HE 모듈레이티드 필드(HE modulated field)로 구성되고,
    상기 일부 구간은 상기 특정 시간 구간에서 상기 HE 모듈레이티드 필드가 수신되는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된 구간인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WT 요청 스테이션은 자신의 전이중 통신능력 정보를 상기 TWT 응답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중 통신능력 정보는 HE 가능 요소(HE Capability element)를 통해 전송되는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14. 무선랜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부터 TWT(Target Wake Time) SP(service period)를 위한 RU(resource unit)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 프레임(reference frame)을 수신하고, 특정 시간 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 링크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특정 시간 구간에 업 링크 프레임을 송신하는 통신 장치; 및
    TWT에서 슬립 모드 진입 후에 특정 시간에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을 결정하고, 상기 기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특정 시간 구간 또는 상기 일부 구간을 결정하여, 상기 일부 구간에 전송되는 상기 다운 링크 프레임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기준 프레임은 상기 웨이크 업 모드에서 수신되고, 상기 특정 시간 구간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상기 업 링크 프레임을 전송하는 구간이고,
    상기 업 링크 프레임과 상기 다운 링크 프레임은 동일 채널로 전송되어 상기 기준 프레임을 기준으로 동기되는 상기 일부 구간에서 전이중통신을 하는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HE TB(High-Efficiency Trigger-Based) PPDU인 상기 업 링크 프레임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는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업 링크 프레임은 프리-HE 모듈레이티드 필드(Pre-HE modulated field) 및 HE 모듈레이티드 필드(HE modulated field)로 구성되고,
    상기 일부 구간은 상기 특정 시간 구간에서 상기 HE 모듈레이티드 필드가 수신되는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된 구간인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자신의 전이중 통신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HE 가능 요소(HE Capability element)를 상기 AP에 전송하는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스테이션 장치.
KR1020190027978A 2018-03-12 2019-03-12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및 스테이션 장치 KR102295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41832P 2018-03-12 2018-03-12
US201862641862P 2018-03-12 2018-03-12
US62/641,862 2018-03-12
US62/641,832 2018-03-12
CN201910169551.3A CN110267287B (zh) 2018-03-12 2019-03-06 一种在高效无线局域网的twt服务区间执行全双工通信的方法
CN201910169551.3 2019-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600A KR20190107600A (ko) 2019-09-20
KR102295768B1 true KR102295768B1 (ko) 2021-08-31

Family

ID=6790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978A KR102295768B1 (ko) 2018-03-12 2019-03-12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및 스테이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457408B2 (ko)
EP (2) EP3766291A4 (ko)
KR (1) KR102295768B1 (ko)
CN (2) CN110380746B (ko)
WO (2) WO20191745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6244B2 (en) * 2018-08-02 2020-12-01 Qualcomm Incorporated Orthogonal multiplexing of high efficiency (HE) and extremely high throughput (EHT) wireless traffic
US11246118B2 (en) * 2019-03-26 2022-02-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transmission using preconfigured downlink resource
CN114175750A (zh) 2019-05-24 2022-03-11 马维尔亚洲私人有限公司 使用若干通信链路的wlan中的节能和组寻址帧
US20220225236A1 (en) * 2019-06-03 2022-07-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ing to link in wireless lan system
US11997673B2 (en) * 2019-09-06 2024-05-28 Apple Inc. Negative-block ACK based Wi-Fi MAC protocol
WO2021109063A1 (en) * 2019-12-05 2021-06-10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Twt based multi-connection mechanism
CN115765951A (zh) * 2020-04-14 2023-03-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通信装置
EP4231740A1 (en) * 2020-10-13 2023-08-23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ulti-connec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EP4178301A4 (en) 2020-10-30 2023-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REPLANING A WIRELESS CHANNEL BASED ON A WIRELESS CHANNEL ENVIRON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230422234A1 (en) * 2020-11-20 2023-12-28 Lg Electronics Inc. Protection of restricted twt operation
CN112584405B (zh) * 2020-11-28 2023-01-31 重庆邮电大学 一种无线网络中的多用户全双工信道接入方法
KR20230124604A (ko) * 2020-12-31 2023-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서브채널의 구성
CN115208508A (zh) * 2021-04-14 2022-10-18 苏州速通半导体科技有限公司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配置穿透模式的方法和装置
US20230180047A1 (en) * 2021-12-07 2023-06-0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election of parameters for enhanced quality of service (qos) and reliability
US20230189359A1 (en) * 2021-12-15 2023-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ed txop sharing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with twt oper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5293A1 (en) * 2015-08-25 2017-03-0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e mechanism in a wlan network with large number of st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3269B2 (en) * 2003-12-01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fficient control channel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594275B1 (en) * 2004-05-07 2012-07-18 Broadcom Corporatio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greenfield preamble formats
PL1869929T3 (pl) * 2005-04-13 2016-06-30 Vringo Infrastructure Inc Techniki zarządzania zasobami łącza radiowego w sieciach bezprzewodowych przenoszących ruch pakietowy
TWI586202B (zh) * 2010-04-13 2017-06-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執行多用戶(mu)多輸入多輸出(mimo)頻道探測的存取點(ap)及其方法
KR101790036B1 (ko) * 2011-07-11 2017-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연속 통신 제어 방법.
US9763239B2 (en) * 2012-01-29 2017-09-12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lf-duplex devices
CA2812100C (en) * 2012-02-03 2017-04-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 performed by station operating in power save mod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9231693B2 (en) * 2013-07-19 2016-01-05 Motorola Solutions, Inc. Full duplex individual call via linked single frequency repeaters
JP2017525196A (ja) * 2014-06-12 2017-08-31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直交周波数分割多重wlanにおけるサブチャネル割り当て
KR20160018438A (ko) * 2014-08-08 2016-02-17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고효율 무선랜에서 동적 프레임간 간격 프로세싱
KR101529672B1 (ko) 2014-09-11 2015-06-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전송 속도 파티셔닝 및 협력 전송을 이용한 고속 무선랜 통신 방법 및 무선랜 통신 장치
WO2016041205A1 (zh) * 2014-09-19 2016-03-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wlan系统中全双工通信的方法及装置
US10375679B2 (en) * 2014-12-05 2019-08-06 Marvell World Trade Ltd. Trigger frame format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communication
US10194391B2 (en) * 2015-01-28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ed target wake time operation
US10425917B2 (en) * 2015-04-21 2019-09-24 Qualcomm Incorporated Legacy compatible signaling for channel bonding
US10042794B2 (en) * 2015-06-12 2018-08-07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uplink and downlink transactions on an inter-device communication link
US10135957B2 (en) 2015-06-15 2018-11-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high efficiency control information
CN105071906B (zh) * 2015-07-09 2018-06-15 清华大学 Wlan系统中实现同频同时全双工通信的方法及节点
US9924539B2 (en) * 2015-08-21 2018-03-20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OFDMA full-duplex communication
US20170064625A1 (en) 2015-09-01 2017-03-02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ing receiver wakeup times used for wireless wide area networks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10194427B2 (en) 2015-11-02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le user uplink
CN105554891B (zh) * 2015-12-28 2019-01-18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无线局域网的通信方法及通信装置和站点
US10863510B2 (en) * 2016-01-08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Per stream and per antenna cyclic shift d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s and uplink multi-user MIMO
CN107027145B (zh) * 2016-02-01 2021-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测量方法及装置
US10439687B2 (en) * 2016-07-18 2019-10-08 Intel IP Corporation Transmission opportunity (TXOP) duration field disable setting in high efficiency signal A (HE-SIG-A)
US10681679B1 (en) * 2017-06-21 2020-06-09 Nxp Usa, Inc. Resource unit detection in high-efficiency wireless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5293A1 (en) * 2015-08-25 2017-03-0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e mechanism in a wlan network with large number of s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66218A1 (en) 2021-01-20
CN110267287A (zh) 2019-09-20
WO2019174556A1 (en) 2019-09-19
EP3766291A1 (en) 2021-01-20
US11457408B2 (en) 2022-09-27
KR20190107600A (ko) 2019-09-20
CN110267287B (zh) 2022-10-14
EP3766218A4 (en) 2022-01-12
EP3766291A4 (en) 2022-01-12
WO2019174557A1 (en) 2019-09-19
US20210058862A1 (en) 2021-02-25
US20210111858A1 (en) 2021-04-15
CN110380746B (zh) 2021-08-31
US11445438B2 (en) 2022-09-13
CN110380746A (zh)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5768B1 (ko) 고효율 무선랜의 twt 서비스 구간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및 스테이션 장치
US11777693B2 (en) Signaling method for multi-user transmiss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same
CN111758292B (zh) 共置基本服务集
KR102566115B1 (ko)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
US1128441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N107624236B (zh) 发送关于缓冲状态信息的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终端
JP2018050093A (ja) 無線受信装置、無線送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220150294A (ko) 다중 링크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을 위한 그룹 데이터 송신들
US2023030088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multiple channels
JP2022549399A (ja) マルチユーザ送信における送信パラメータ値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375549B1 (ko) 고효율 무선랜에서 전이중 통신방법 및 스테이션 장치
WO2018198938A1 (ja) 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ステーション装置、通信方法
KR20160018351A (ko) 무선랜에서 스테이션의 동작방법
WO2016140179A1 (ja) 基地局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2021530127A (ja) トリガに基づくマルチユーザ送信における直接リンク及び下りリンク送信
JP2018074179A (ja) 無線受信装置、無線送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190117401A (ko) 블룸 필터를 이용한 wur 멀티캐스팅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