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729B1 - 물류용 랙 장치 - Google Patents

물류용 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729B1
KR102295729B1 KR1020200176533A KR20200176533A KR102295729B1 KR 102295729 B1 KR102295729 B1 KR 102295729B1 KR 1020200176533 A KR1020200176533 A KR 1020200176533A KR 20200176533 A KR20200176533 A KR 20200176533A KR 102295729 B1 KR102295729 B1 KR 102295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holder
logistics
unit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인태
안순모
Original Assignee
변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인태 filed Critical 변인태
Priority to KR1020200176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with data re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류용 랙 장치에 있어서, 기초부; 및 운반 대상 물품이 수납되는 물품 수납 상자가 거치되는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기초부의 위에 설치되는 랙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들은 상기 물류용 랙 장치의 길이방향 및 상기 물류용 랙 장치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며, 상기 기초부의 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들에 접근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기초부가 이동 가능하여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대한 상차 및 하차가 가능한 물류용 랙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물류용 랙 장치 {RACK APPARATUS FOR PHYSICAL DISTRIBUTION}
본 발명은 물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 기술분야에서 물품 보관에 사용되는 랙(Rack)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류창고 직원이나 택배기사와 같은 물류 종사자의 과로사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물류 종사자의 과로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물류 종사자의 노동 강도를 낮출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물류 종사자에게 있어서 노동 강도가 강한 업무 중 하나는 다량의 배송 물품을 배송 지역별로 분류하여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싣고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실린 배송 물품을 내리는 작업인데, 종래에는 이러한 작업이 모두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 물류 기술분야에서 랙 구조물은 물류창고에서 단순히 화물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만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86512 "적재공간 가변구조를 갖는 물류창고용 조립식 랙 구조물" (2014.04.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류 종사자의 노동 강도를 줄일 수 있는 물류용 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류용 랙 장치에 있어서, 기초부; 및 운반 대상 물품이 수납되는 물품 수납 상자가 거치되는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기초부의 위에 설치되는 랙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들은 상기 물류용 랙 장치의 길이방향 및 상기 물류용 랙 장치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며, 상기 기초부의 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들에 접근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기초부가 이동 가능하여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대한 상차 및 하차가 가능한 물류용 랙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용 랙 장치는 배송 물품이 수납되는 복수개의 물품 수납 상자들이 거치된 상태로 이동하여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실리거나 적재함으로부터 나올 수 있으므로 물류 종사자의 노동 강도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용 랙 장치는 배송 물품이 수납되는 물품 수납 상자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므로 물류 종사자의 노동 강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랙 장치가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물류용 랙 장치에 대한 측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물류용 랙 장치에서 상자 거치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물류용 랙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랙 장치가 사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랙 장치(100)는 물류센터와 같이 화물이 대량으로 반입 및 반출되고 분류되는 곳의 물류 작업장(W)에서 이동하여 화물차량(T)의 적재함(R)에 상차 및 하차되어서 사용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물류용 랙 장치(100)는 화물차량(T)의 적재함(R)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랙 장치(100)가 화물차량(T)의 적재함(R)에 적재된 상태에서, 배송자(S)는 적재함(R)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외부에서 상자(R)에 수납된 물품을 하차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랙 장치(100)가 측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용 랙 장치(100)는 기초부(110)와, 물류용 랙 장치(1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기초부(11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바퀴(120)들과, 기초부(110)의 위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물품 수납 상자(B)들이 보관되는 상자 보관부(130)와, 기초부(110)의 위에 설치되어서 물품 수납 상자(B)를 이동시키는 상자 이송부(170)와, 물류용 랙 장치(100)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물류용 랙 장치(100)의 길이(L), 폭(W) 및 높이(H)는 물류용 랙 장치(100)가 상차되는 화물차량(T)에 구비되는 적재함(R)의 깊이, 폭 및 높이에 각각 대응한다.
기초부(110)는 물류용 랙 장치(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대체로 평평한 상면(111)을 제공한다. 기초부(110)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바퀴(120)들이 설치되고, 기초부(110)의 위에는 상자 보관부(130) 및 상자 이송부(170)가 설치된다. 기초부(110)는 배터리(미도시)에 의해 작동하여 기초부(11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동할 수 있는 복수개의 차량 고정대(115)들을 각각 구비한다. 물류용 랙 장치(100)는 복수개의 차량 고정대(115)들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화물차량(도 1의 T)의 적재함(R)에 상차되며, 물류용 랙 장치(100)가 화물차량(도 1의 T)의 적재함(R)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차량 고정대(115)들이 돌출되어서 잭재함(R)의 내측면과 밀착되어서 물류용 랙 장치(100)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물류용 랙 장치(100)가 화물차량(도 1의 T)의 적재함(R)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차 시에는 돌출된 복수개의 차량 고정대(115)들이 기초부(110)의 내부로 이동한다.
복수개의 바퀴(120)들은 기초부(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개의 바퀴(120)들에 의해 물류용 랙 장치(100)는 물류 작업장(W)에서 물류 작업자에 의해 쉽게 이동하고, 화물차량(도 1의 T)에 대한 물류 랙 장치(100)의 상차 및 하차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자 보관부(130)는 기초부(110)에 의해 지지되도록 기초부(110)의 위에 설치된다. 상자 보관부(130)에는 운반대상 화물이 수납되는 복수개의 물품 수납 상자(B)들이 안정적으로 보관된다. 상자 보관부(130)는 물류 랙 장치(100)의 폭방향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랙 구조물(130a)과 제2 랙 구조물(130b)을 구비한다. 제1 랙 구조물(130a)과 제2 랙 구조물(130b)의 사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작업 통로(130c)가 형성된다. 작업 통로(130c)에 상자 이송부(170)가 위치한다. 작업 통로(130c)를 통해 상자 이송부(170)에 의해 물품 수납 상자(B)가 이동하는데, 작업 통로(130c)는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제1 랙 구조물(130a)은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140)들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140)들 각각에 물품 수납 상자(B)가 거치된다. 상자 거치부(140)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상자 거치부(140)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물류용 랙 장치(100)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물품 수납 상자(B)의 구성을 먼저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물품 수납 상자(B)는 운반 대상 물품을 적어도 하나 수납하는 상자로서, 대체적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이다. 물품 수납 상자(B)의 상단에는 바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B1)가 형성되고, 테두리부(B1)의 양측 하단에는 각각 복수개의 걸림 홈(B2)들이 형성된다. 물품 수납 상자(B)의 바닥 하면(B3)에는 걸림 홈(B2)들이 형성되는 양측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안착 홈(B4)들이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9에는 상자 거치부(140)에 대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자 거치부(140)는 물류용 랙 장치(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1 거치대(140a)와 제2 거치대(140b)를 구비한다. 제1 거치대(140a)와 제2 거치대(140b)는 하나의 거치대 쌍을 이루며, 쌍을 이루는 두 거치대(140a, 140b)에 의해 하나의 물품 수납 상자(B)가 제1 랙 구조물(130a)에 안정적으로 거치된다. 물품 수납 상자(B)는 두 거치대(140a, 140b)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여 상자 거치부(140)에 입출될 수 있다. 제1 거치대(140a)와 제2 거치대(140b)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거치대(140a)는 물류용 랙 장치(100)의 폭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서, 대체로 'ㄷ'자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제1 거치대(140a)는 제1 벽부(141a)와, 제1 벽부(141a)의 하단으로부터 쌍을 이루는 제2 거치대(140b) 쪽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제1 받침판부(150a)와, 제1 벽부(141a)의 상단으로부터 쌍을 이루는 제2 거치대(140b) 쪽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제1 커버판부(160a)를 구비한다.
제1 벽부(141a)는 대체로 높이방향을 따라서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이며, 바깥쪽 면이 제1 기둥(148a)들에 결합되어서 고정된다. 제1 벽부(141a)에서 작업 통로(130c) 쪽 끝단은 바깥쪽(제2 거치대(140a)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벌어져서 제1 측면 벌림부(142a)를 형성한다. 제1 측면 벌림부(142a)에 의해 물품 수납 상자(B)에 형성된 테두리부(B1)의 진입이 용이해진다.
제1 받침판부(150a)는 제1 벽부(141a)의 하단으로부터 제1 거치대(140a)와 쌍을 이루는 제2 거치대(140b) 쪽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된다. 제1 받침판부(150a)의 위에 물품 수납 상자(B)에 형성된 테두리부(B1)의 일측이 얹혀진다. 제1 받침판부(150a)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걸림 돌기(152a)들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제1 걸림 돌기(152a)들은 제1 거치대(140a)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복수개의 제1 걸림 돌기(152a)들 각각에 물품 수납 상자(B)들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 홈(B2)들이 걸려서 물품 수납 상자(B)의 거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받침판부(150a)에서 작업 통로(130c) 쪽 끝단은 아래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벌어져서 제1 하부 벌림부(154a)를 형성한다. 제1 하부 벌림부(154a)에 의해 물품 수납 상자(B)에 형성된 테두리부(B1)의 진입이 용이해진다.
제1 커버판부(160a)는 제1 벽부(141a)의 상단으로부터 제1 거치대(140a)와 쌍을 이루는 제2 거치대(140b) 쪽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된다. 제1 커버판부(160a)는 제1 받침판부(150a)의 위에 위치하며, 제1 받침판부(150a)와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커버판부(160a)와 제1 받침판부(150a)에 형성된 제1 걸림 돌기(152a)의 끝단 사이의 거리는 물품 수납 상자(B)에 형성된 테두리부(B2)의 높이보다 크다. 제1 커버판부(160a)에서 작업 통로(130c) 쪽 끝단은 위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벌어져서 제1 상부 벌림부(162a)를 형성한다. 제1 상부 벌림부(162a)에 의해 물품 수납 상자(B)에 형성된 테두리부(B1)의 진입이 용이해진다.
제2 거치대(140b)는 물류용 랙 장치(100)의 폭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서, 대체로 'ㄷ'자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제2 거치대(140b)는 쌍을 이루는 제1 거치대(140a)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제2 거치대(140b)는 제2 벽부(141b)와, 제2 벽부(141b)의 하단으로부터 쌍을 이루는 제1 거치대(140a) 쪽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제2 받침판부(150b)와, 제2 벽부(141b)의 상단으로부터 쌍을 이루는 제1 거치대(140a) 쪽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제2 커버판부(160b)를 구비한다.
제2 벽부(141b)는 대체로 높이방향을 따라서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이며, 바깥쪽 면이 제2 기둥(148b)들에 결합되어서 고정된다. 제2 벽부(141b)에서 작업 통로(130c) 쪽 끝단은 바깥쪽(제2 거치대(140b)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벌어져서 제2 측면 벌림부(142b)를 형성한다. 제2 측면 벌림부(142a)에 의해 물품 수납 상자(B)에 형성된 테두리부(B1)의 진입이 용이해진다. 한 쌍을 이루는 제1 거치대(140a)와 제2 거치대(140b)에서 제1 벽부(141a)와 제2 벽부(141b) 사이의 거리는 물품 수납 상자(B)에 형성되는 테두리부(B1)의 폭보다 크다.
제2 받침판부(150b)는 제2 벽부(141b)의 하단으로부터 제2 거치대(140b)와 쌍을 이루는 제1 거치대(140a) 쪽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된다. 제2 받침판부(150b)의 위에 물품 수납 상자(B)에 형성된 테두리부(B1)의 일측이 얹혀진다. 제2 받침판부(150b)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제2 걸림 돌기(152b)들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제2 걸림 돌기(152b)들은 제2 거치대(140b)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복수개의 제2 걸림 돌기(152b)들 각각에 물품 수납 상자(B)들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 홈(B2)들이 걸려서 물품 수납 상자(B)의 거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받침판부(150b)에서 작업 통로(130c) 쪽 끝단은 아래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벌어져서 제2 하부 벌림부(154b)를 형성한다. 제2 하부 벌림부(154b)에 의해 물품 수납 상자(B)에 형성된 테두리부(B1)의 진입이 용이해진다.
제2 커버판부(160b)는 제2 벽부(141b)의 상단으로부터 제2 거치대(140b)와 쌍을 이루는 제1 거치대(140a) 쪽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된다. 제2 커버판부(160b)는 제2 받침판부(150b)의 위에 위치하며, 제2 받침판부(150b)와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커버판부(160b)와 제2 받침판부(150b)에 형성된 제2 걸림 돌기(152b)의 끝단 사이의 거리는 물품 수납 상자(B)에 형성된 테두리부(B2)의 높이보다 크다. 제2 커버판부(160b)에서 작업 통로(130c) 쪽 끝단은 위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벌어져서 제2 상부 벌림부(162b)를 형성한다. 제2 상부 벌림부(162b)에 의해 물품 수납 상자(B)에 형성된 테두리부(B1)의 진입이 용이해진다.
제2 랙 구조물(130b)은 제1 랙 구조물(130a)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서 제2 랙 구조물(130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자 이송부(170)는 기초부(110)의 위에 설치되어서 물품 수납 상자(B)를 이동시켜서 물품 수납 상자(B)의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 위치를 변화시킨다. 상자 이송부(170)는 작업 통로(130a)에서 작업 통로(130a)의 연장방향인 물류용 랙 장치(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하는 길이방향 이송 유닛(171)과, 길이방향 이동 유닛(171)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이동 유닛(171)에 대하여 물류용 랙 장치(100)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하는 높이방향 이송 유닛(174)과, 높이방향 이송 유닛(174)에 결합되고 높이방향 이송 유닛(174)에 대하여 물류용 랙 장치(100)의 폭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하는 폭방향 이송 유닛(177)을 구비한다.
길이방향 이송 유닛(171)은 작업 통로(130a)에서 작업 통로(130a)의 연장방향인 물류용 랙 장치(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한다. 길이방향 이송 유닛(171)에 의해 물류용 랙 장치(100)에서 물품 수납 상자(B)의 길이방향 위치가 제어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자 이송부(170)는 길이방향 이송 유닛(171)을 구동시키는 길이방향 이송 구동기를 더 구비한다. 길이방향 이송 유닛(171)은 높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서, 작업 통로(130a)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 가이드 레일(172a) 및 작업 통로(130b)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 가이드 레일(172b)에 결합되어서 이동한다. 길이방향 이송 유닛(171)에는 높이방향 이송 유닛(174)이 결합된다. 길이방향 이송 유닛(171)은 높이방향 이송 유닛(174)의 높이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도 한다.
높이방향 이송 유닛(174)은 길이방향 이동 유닛(171)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이동 유닛(171)에 대하여 물류용 랙 장치(100)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한다. 높이방향 이송 유닛(174)에 의해 물류용 랙 장치(100)에서 물품 수납 상자(B)의 높이방향 위치가 제어된다. 높이방향 이송 유닛(174)은 길이방향 이동 유닛(171)과 함께 물류용 랙 장치(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도 하게 된다. 높이방향 이송 유닛(174)은 길이방향 이동 유닛(171)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자 이송부(170)는 높이방향 이송 유닛(174)을 구동시키는 높이방향 이송 구동기를 더 구비한다. 높이방향 이송 유닛(174)에는 폭방향 이송 유닛(177)이 결합된다. 높이방향 이송 유닛(174)은 폭방향 이송 유닛(174)의 폭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도 한다.
폭방향 이송 유닛(177)은 높이방향 이송 유닛(174)에 결합되고 높이방향 이송 유닛(174)에 대하여 물류용 랙 장치(100)의 폭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한다. 폭방향 이송 유닛(177)에 의해 물류용 랙 장치(100)에서 물품 수납 상자(B)의 폭방향 위치가 제어된다. 폭방향 이송 유닛(177)은 높이방향 이송 유닛(174) 및 길이방향 이송 유닛(171)과 함께 물류용 랙 장치(100)의 높이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도 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자 이송부(170)는 폭방향 이송 유닛(177)을 구동시키는 폭방향 이송 구동기를 더 구비한다. 폭방향 이송 유닛(177)은 판 형태로서, 폭방향 이송 유닛(177)의 위에 이송 대상인 물품 수납 상자(B)가 놓인다. 폭방향 이송 유닛(177)의 상면에는 물품 수납 상자(B)에 형성된 복수개 안착 홈(B4)들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안착 돌기(178)들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안착 돌기(178)들에 의해 물품 수납 상자(B)가 폭방향 이송 유닛(177)에 안정적으로 놓이게 된다.
도 10은 물류용 랙 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0과 함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물류용 랙 장치(100)는 상자 이송부(1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이송 제어부(190)와, 상자 보관부(130)에 물품 수납 상자(B)가 보관된 정보가 저장되는 보관 데이터 저장부(198)와, 물류 작업자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으로서 이송 제어부(190) 및 보관 데이터 저장부(198)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입출력부(195)를 더 구비한다.
이송 제어부(190)는 상자 이송부(170)에 구비되는 구동기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송 제어부(190)에 의해 물품 수납 상자(B)는 작업 위치(도 3 및 도 5의 P)와 물품 수납 상자(B)가 거치되는 상자 거치부(140)의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작업 위치(도 3 및 도 5의 P)는 작업 통로(130c)의 바깥쪽 끝 부분에 바닥에 대채로 위치하는 지점으로서, 물류용 랙 장치(100)가 화물차량(T)의 적재함(R)에 실린 상태에서 물류 작업자가 물품 수납 상자(B)를 하차하기 용이한 지점이다. 이송 제어부(190)는 물품 수납 상자(B)가 작업 위치(도 3 및 도 5의 P)와 상자 거치부(140) 사이에서 최단 거리로 이동하도록 상자 이송부(17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이송 제어부(190)는 물품 수납 상자(B)를 작업 위치(도 3 및 도 5의 P)에서 상자 거치부(140)로 이동시키기 전에,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140)들 중 물품 수납 상자(B)가 거치될 상자 거치부(140)를 선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 제어부(190)는 보관 데이터 저장부(198)와 상자 보관부(130)에 물품 수납 상자(B)가 보관된 정보를 주고 받는다.
보관 데이터 저장부(130)는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보관 데이터 저장부(130)에는 상자 보관부(130)에 물품 수납 상자(B)가 보관된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보관 데이터 저장부(130)에는 물품 수납 상자(B)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한 운송 정보가 물품이 수납된 물품 수납 상자(B)가 거치된 상자 거치부(140)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된다. 보관 데이터 저장부(130)는 이송 제어부(190)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입출력부(195)는 물류 작업자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으로서 이송 제어부(190) 및 보관 데이터 저장부(198)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입출력부(195)를 통해 물품 수납 상자(B)에 수납되는 물품에 대한 운송 정보가 이송 제어부(190) 및 보관 데이터 저장부(198)로 전송되고, 물품이 수납된 물품 수납 상자(B)가 거치된 상자 거치부(140)의 위치가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출력부(195)가 물품에 부착된 운송 정보가 저장된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물류용 랙 장치 110 : 기초부
115 : 차량 고정대 120 : 바퀴
130 : 상자 보관부 130a : 제1 랙 구조물
130b : 제2 랙 구조물 130c : 작업 통로
140 : 상자 거치부 140a : 제1 거치대
140b : 제2 거치대 170 : 상자 이송부
171 : 길이방향 이송 유닛 174 : 높이방향 이송 유닛
177 : 폭방향 이송 유닛 190 : 이송 제어부
195 : 입출력부 198 : 보관 데이터 저장부

Claims (13)

  1. 물류용 랙 장치에 있어서,
    기초부;
    운반 대상 물품이 수납되는 물품 수납 상자가 거치되는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기초부의 위에 설치되는 랙 구조물; 및
    상기 기초부에 설치되고 상기 물품 수납 상자를 상기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들에 대해 이동시키는 상자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들은 상기 물류용 랙 장치의 길이방향 및 상기 물류용 랙 장치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며,
    상기 기초부의 위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들에 접근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기초부가 이동 가능하여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대한 상차 및 하차가 가능하며,
    상기 상자 이송부는, 상기 작업 통로에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길이방향 이송 유닛과, 상기 길이방향 이송 유닛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작업 통로에서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높이방향 이송 유닛과, 상기 높이방향 이송 유닛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물류용 랙 장치의 폭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폭방향 이송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길이방향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작업 통로에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상기 물품 수납 상자의 위치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들 각각에 대해 변하며,
    상기 높이방향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작업 통로에서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상기 물품 수납 상자의 위치는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들 각각에 대해 변하며,
    상기 폭방향 이송 유닛의 이동에 의해 상기 물품 수납 상자가 상기 상자 거치부에 출입하며,
    상기 기초부는 상기 물류용 랙 장치를 상기 적재함에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차량 고정대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차량 고정대들은 상기 기초부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동하여 상기 적재함의 내측면과 밀착하는,
    물류용 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랙 구조물은 2개이며,
    상기 두 개의 랙 구조물들은 상기 물류용 랙 장치의 폭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배치되어서, 상기 두 개의 랙 구조물들 사이에 상기 작업 통로가 위치하는,
    물류용 랙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류용 랙 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초부에 설치되는 바퀴를 더 포함하는,
    물류용 랙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자 거치부는 동일한 높이에 서로 이격되어서 배치되고 상기 물류용 랙 장치의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거치대와 제2 거치대를 구비하며,
    상기 물품 수납 상자는 상기 제1 거치대와 상기 제2 거치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폭방향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제1 거치대와 상기 제2 거치대에 의해 거치되는,
    물류용 랙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대는 제1 벽부와, 상기 제1 벽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2 거치대 쪽으로 연장되는 제1 받침판부와, 상기 제1 벽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2 거치대 쪽으로 연장되는 제1 커버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거치대는 제2 벽부와, 상기 제2 벽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 거치대 쪽으로 연장되는 제2 받침판부와, 상기 제2 벽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 거치대 쪽으로 연장되는 제2 커버판부를 구비하는,
    물류용 랙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대에서 상기 작업 통로 쪽 끝단은 상기 작업 통로를 향해 벌어지도록 상기 제1 벽부, 상기 제1 받침판부 및 상기 제1 커버판부가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2 거치대에서 상기 작업 통로 쪽 끝단은 상기 작업 통로를 향해 벌이지도록 제2 벽부, 상기 제2 받침판부 및 상기 제2 커버판부가 경사지게 연장되는,
    물류용 랙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판부와 상기 제2 받침판부 각각에는 상기 물품 수납 상자가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물류용 랙 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 이송 유닛에 상기 물품 수납 상자가 안착되어서 이송되는,
    물류용 랙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자 이송부는 상기 물품 수납 상자를 최단 거리로 이송하는,
    물류용 랙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자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이송 제어부와,
    상기 물품 수납 상자가 랙 구조물에 거치된 정보가 저장되는 보관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상자 거치부들 중 상기 물품 수납 상자가 거치될 하나의 상자 거치부를 선정하고, 선정된 상자 거치부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관 데이터 저장부로 전송하는,
    물류용 랙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운반 대상 물품의 운반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상기 운반 정보가 상기 보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물류용 랙 장치.
  13. 삭제
KR1020200176533A 2020-12-16 2020-12-16 물류용 랙 장치 KR102295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533A KR102295729B1 (ko) 2020-12-16 2020-12-16 물류용 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533A KR102295729B1 (ko) 2020-12-16 2020-12-16 물류용 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729B1 true KR102295729B1 (ko) 2021-08-30

Family

ID=7750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533A KR102295729B1 (ko) 2020-12-16 2020-12-16 물류용 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609B1 (ko) 2022-07-26 2023-01-04 박하용 화물 배송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9616A (ja) * 1996-01-16 1997-12-02 Jervis B Webb Internatl Co ばらの複製物の保管及び分配システム
KR19980032041U (ko) * 1998-05-19 1998-08-17 남상진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KR100612463B1 (ko) * 2004-03-12 2006-08-16 정경자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방법 및 시스템
KR101082961B1 (ko) * 2009-11-12 2011-11-11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팔레트의 공급 자동화 시스템
KR101386512B1 (ko) 2013-01-21 2014-04-17 문승일 적재공간 가변구조를 갖는 물류창고용 조립식 랙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9616A (ja) * 1996-01-16 1997-12-02 Jervis B Webb Internatl Co ばらの複製物の保管及び分配システム
KR19980032041U (ko) * 1998-05-19 1998-08-17 남상진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KR100612463B1 (ko) * 2004-03-12 2006-08-16 정경자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방법 및 시스템
KR101082961B1 (ko) * 2009-11-12 2011-11-11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팔레트의 공급 자동화 시스템
KR101386512B1 (ko) 2013-01-21 2014-04-17 문승일 적재공간 가변구조를 갖는 물류창고용 조립식 랙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609B1 (ko) 2022-07-26 2023-01-04 박하용 화물 배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5049B1 (ko) 셀프 서비스 작업 시스템, 방법 및 작업도어
JP6870517B2 (ja) 搬送車及び搬送設備
US11479413B2 (en) Automated outdoor terminal for storage and handover of online orders and a method to operate the terminal
US20200231381A1 (en) Object handling system and method
US9725241B2 (en) Storage and picking system and method for picking with autonomously moving shelf-serving devices
US11932491B2 (en) Transfer station configured to handle cargo and cargo receptacle sorting method
KR101329120B1 (ko) 자동 창고
KR100793202B1 (ko) 자동 창고
US20220194699A1 (en) Logistics tower
JP2013136458A (ja) 補助装置に配置された貨物を運送する為のシステム
KR101472988B1 (ko) 보관고, 보관고 세트 및 보관고 부착 반송 시스템
KR20210106499A (ko) 자동 저장 및 검색 시스템을 위한 용기 접근 스테이션
CN211392592U (zh) 一种配送中转站
KR102295729B1 (ko) 물류용 랙 장치
KR20230145465A (ko) 화물 선반 이송이 식별 가능한 로봇에 기반한 화물 분류 시스템 및 이의 분류 방법
JP2007246226A (ja) 物品卸し装置及びその物品卸し装置を備えた物品収納設備
JP2006052065A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
JP2020502006A (ja) 物流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箱の移動コンテナ
KR102390558B1 (ko)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KR102280791B1 (ko) 저상형 자동 창고 시스템
JP4964438B2 (ja) 自動倉庫におけるコンテナの入出庫装置
JP7425408B2 (ja) 物品収容設備
JP6657661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EP3332672A1 (en) Mobile magazine
JP6693299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及びピッキング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