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615B1 -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615B1
KR102295615B1 KR1020190079687A KR20190079687A KR102295615B1 KR 102295615 B1 KR102295615 B1 KR 102295615B1 KR 1020190079687 A KR1020190079687 A KR 1020190079687A KR 20190079687 A KR20190079687 A KR 20190079687A KR 102295615 B1 KR102295615 B1 KR 102295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ft member
service providing
providing system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626A (ko
Inventor
이영대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6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3/00Vehicle-manoeuvring devices separate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목적지에 대한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 공간부, 노면상에서 운동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을 이동하게 하는 운동부, 상기 제어 공간부와 인접하고 상기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 영역 및 상기 수용 영역에 배치 및 상기 수용 영역으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리프트 부재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Service supply system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service supply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의 이동에 대한 요구는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를 사용하는 인구가 늘고 있고, 자동차를 이용하는 시간도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는 크고 작은 복수의 기계적 부품, 전자적 부품 등 다수의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용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기적 관리가 필요하고, 비정상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수리, 교체 등의 관리가 필요할 수 있다.
예를들면 자동차의 주행 특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타이어는 주기적으로 관리하고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하고, 불시의 파손시 이를 교체해야 자동차의 원활한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에 대한 관리를 위해 다양한 관리 서비스가 필요할 수 있는데, 자동차의 크기, 형태 등으로 인하여 서비스 제공의 편의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목적지에 대한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 공간부, 노면상에서 운동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을 이동하게 하는 운동부, 상기 제어 공간부와 인접하고 상기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 영역 및 상기 수용 영역에 배치 및 상기 수용 영역으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리프트 부재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부재는 상기 수용 영역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부재는 상기 자동차의 하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부재는 상기 자동차의 하부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은, 목적지에 대한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 공간부, 노면상에서 운동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을 이동하게 하는 운동부, 상기 제어 공간부와 인접하고 상기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 영역 및 상기 수용 영역에 배치 및 상기 수용 영역으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리프트 부재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을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부재는 상기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의 하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부재는 복수의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들 중 원하는 자동차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은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의 리프트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의 리프트 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리프트 부재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에서 리프트 부재가 취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의 리프트 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8은 도 8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의 리프트 부재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의 리프트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100)는 제어 공간부(HS), 운동부(MU), 수용 영역(DSU) 및 리프트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100)은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 공간부(HS)는 목적지에 대한 운행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가 주차 또는 정차하고 있는 곳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 공간부(HS)는 운전자를 위한 운전석, 조향 부재, 제동 부재 등이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작업자 좌석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100)은 무인 주행 또는 자율 주행을 통한 주행 제어가 가능할 수 있고, 그 경우 제어 공간부(HS)에는 무인 주행 또는 자율 주행을 위한 제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운동부(MU)는 노면상에서 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100)을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 공간부(HS)에서의 운전자 또는 자율 주행 제어 모듈에 의하여 목적지에 의한 주행이 제어되는 경우, 운동부(MU)는 이러한 제어 동작에 따라 노면상에서 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100)은 원하는 목적지 예를들면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가 있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용 영역(DSU)은 제어 공간부(HS)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100)을 통하여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게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디바이스가 수용 영역(DSU)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타이어(TU)가 보관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100)의 운행중에도 고정되도록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예를들면 수용 영역(DSU)에는 전원 제어부(113)가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전원 제어부(113)는 다양한 공구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전원 제어부(113)는 후술할 리프트 부재(1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충전을 하거나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수용 영역(DSU)에는 유압 유닛(115)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 영역(111, 112, 113)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기능 영역(111, 112, 113)에 밸런서, 발전기, 인버터, 컴프레셔, 배터리 등의 기타 다양한 부재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수용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능 영역(111, 112, 113)은 탈착기 밸런스기, 콤프레셔,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기능 영역(111, 112, 113)은 운전석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탈착기(111), 콤프레셔(1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예로서 탈착기(111)는 밸런스기를 함께 포함할 수 있고, 밸런스기와 일체화된 형태 또는 밸런스기와 연결된 형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밸런스기와 분리된 형태일 수도 있다.
수용 영역(DSU)내부에 탈착기(111)를 포함하여 다양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탈착기(111)를 지지하고 공정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탈착기(111)는 지지 베이스(112)상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콤프레셔(113)는 일 예로서 발전기를 함께 포함할 수 있고, 발전기와 일체화된 형태 또는 발전기와 연결된 형태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발전기와 분리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 때 발전기는 배터리팩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콤프레셔(113) 또는 발전기는 케이블(미도시)을 통하여 탈착기(111) 또는 밸런스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수용 영역(DSU)내부에서 타이어 관련 검사, 수리, 보수 기타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후술할 실시예에도 선택적으로 그대로 또는 편의에 따라 유사하게 변형하여 적용될 수 있다.
리프트 부재(130)는 수용 영역(DSU)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130)는 수용 영역(DSU)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 보관부(120)는 하우징 형태를 갖고 리프트 부재(130)를 감싸도록 배치하여 리프트 부재(130)를 수용 영역(DSU)에서 보호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 보관부(120)는 수용 영역(DSU)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130)가 수용 영역(DSU)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리프트 부재 보관부(120)는 하우징 형태를 갖고 수용 영역(DSU)의 다른 영역, 예를들면 전원 제어부(113), 유압 유닛(115), 하나 이상의 기능 영역(111, 112, 113)과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 보관부(120)는 리프트 부재(1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100)의 운동 또는 이동 중에 리프트 부재(130)가 리프트 부재 보관부(120)에 고정되어 리프트 부재(130)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130)는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130)는 수용 영역(DSU)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120)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 부재(130)는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되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130)가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되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트 공정을 진행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130)는 자동차(UC)의 하부에 배치된다. 리프트 부재(130)는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된 후 자동차(UC)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130)는 운동 부재를 포함하고, 운동 부재를 통하여 원하는 자동차(UC)의 정면, 후면,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하나로 이동하여 자동차(UC)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130)는 베이스(131), 지지부(133) 및 리프팅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31)는 리프트 부재(130)의 주된 영역일 수 있고, 예를들면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33)는 베이스(131)에 연결될 수 있고, 리프팅 방향(H1)을 따라서 베이스(131)로부터 멀어지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베이스(131)와 가까워질 수 있다.
지지부(133)는 자동차(UC)를 지지할 수 있고, 자동차(UC)를 지지한 채로 리프팅부(135)에 의하여 베이스(131)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33)가 리프팅 방향(H1)으로 이동할 경우 자동차(UC)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고 자동차(UC)에 대한 서비스, 예를들면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130)는 운동하거나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일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130)는 일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고, 이와 교차하는 방향(예를들면 좌측 방향)으로 측면 이동하거나 이와 반대 방향(예를들면 우측 방향)으로 측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130)는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1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운동 또는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동차(UC)가 지지부(133)가 지지된 후 베이스(131)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 후에 운동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은 제어 공간부를 통하여 운행에 대한 제어를 유인 또는 무인에 의하여 할 수 있고, 운동부의 운동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은 수용 영역 내에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가 수용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다양한 종류의 기능 영역이 수용 영역 내에 마운트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은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자동차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의 리프트 부재는 수용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수용 영역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다. 취출된 리프트 부재는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리프팅 공정을 진행한 후에 자동차의 타이어, 하부 등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는 자동차를 지지한 채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원하는 곳에서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서비스가 끝난 후 원위치에 자동차를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소유자 등 자동차 사용자가 직접 자동차를 이동하거나 조작할 필요없이 자동차에 대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의 리프트 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200)는 제어 공간부(HS), 운동부(MU), 수용 영역(DSU) 및 리프트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200)은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 공간부(HS)는 목적지에 대한 운행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가 주차 또는 정차하고 있는 곳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 공간부(HS)는 운전자를 위한 운전석, 조향 부재, 제동 부재 등이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작업자 좌석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200)은 무인 주행 또는 자율 주행을 통한 주행 제어가 가능할 수 있고, 그 경우 제어 공간부(HS)에는 무인 주행 또는 자율 주행을 위한 제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운동부(MU)는 노면상에서 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200)을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 공간부(HS)에서의 운전자 또는 자율 주행 제어 모듈에 의하여 목적지에 의한 주행이 제어되는 경우, 운동부(MU)는 이러한 제어 동작에 따라 노면상에서 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200)은 원하는 목적지 예를들면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가 있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용 영역(DSU)은 제어 공간부(HS)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200)을 통하여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게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디바이스가 수용 영역(DSU)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타이어(TU)가 보관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200)의 운행중에도 고정되도록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예를들면 수용 영역(DSU)에는 전원 제어부(213)가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전원 제어부(213)는 다양한 공구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전원 제어부(213)는 후술할 리프트 부재(2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충전을 하거나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수용 영역(DSU)에는 유압 유닛(215)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 영역(211, 212, 213)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기능 영역(211, 212, 213)에 밸런서, 발전기, 인버터, 컴프레셔, 배터리 등의 기타 다양한 부재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수용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리프트 부재(230)는 수용 영역(DSU)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230)는 수용 영역(DSU)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2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 보관부(220)는 하우징 형태를 갖고 리프트 부재(230)를 감싸도록 배치하여 리프트 부재(230)를 수용 영역(DSU)에서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리프트 부재 보관부(220)는 하우징 형태를 갖고 수용 영역(DSU)의 다른 영역, 예를들면 전원 제어부(213), 유압 유닛(215), 하나 이상의 기능 영역(211, 212, 213)과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 보관부(220)는 리프트 부재(2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200)의 운동 또는 이동 중에 리프트 부재(230)가 리프트 부재 보관부(220)에 고정되어 리프트 부재(230)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230)는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230)는 수용 영역(DSU)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220)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 부재(230)는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되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230)가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된 것을 도시하고 있고, 예를들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자동차(미도시)에 대한 리프트 공정을 진행할 준비가 된 것을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230)는 베이스(231), 지지부(233) 및 리프팅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31)는 리프트 부재(230)의 주된 영역일 수 있고, 예를들면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33)는 베이스(231)에 연결될 수 있고, 리프팅 방향(H1)을 따라서 베이스(231)로부터 멀어지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베이스(231)와 가까워질 수 있다.
지지부(233)는 자동차를 지지할 수 있고, 자동차를 지지한 채로 리프팅부(235)에 의하여 베이스(231)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233)가 리프팅 방향(H1)으로 이동할 경우 자동차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고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 예를들면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230)는 하나 이상의 운동 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 부재(232)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230)는 운동하거나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일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다.
운동 부재(232)는 회전 운동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바퀴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운동 부재(232)는 조향이 가능하도록 조향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230)는 일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고, 이와 교차하는 방향(예를들면 좌측 방향)으로 측면 이동하거나 이와 반대 방향(예를들면 우측 방향)으로 측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230)는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230)는 운동 부재(232)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230)는 운동 또는 이동을 제한해야 할 경우에 이러한 제한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리프트 부재(230)의 운동 부재(232)가 노면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230)의 베이스(231)의 바닥과 노면간에는 간격(Hg)을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운동 부재(232)는 노면 상에서 운동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230)의 베이스(231)의 바닥은 노면과 접한다. 이 경우 운동 부재(232)의 노면 상에서 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230)의 지지부(233)가 자동차를 지지하는 동안 또는 지지한 채 도 6과 같이 상승하고 있거나 상승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운동 부재(232)의 노면 상에서 운동은 제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리프트 부재(230)가 자동차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 제공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230)의 베이스(231)과 운동 부재(232)의 사이에는 연결부(232a)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232a)에 운동 부재(232)가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231)는 연결부(232a)에 대하여 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베이스(231)는 연결부(232a)에 연결된 채 지면에 대하여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연결부(232a)를 베이스(231)에 연결한 채 상하 운동 또는 각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부(232a)가 베이스(231)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되도록 할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230)는 자동차를 지지한 채 운동 또는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동차가 지지부(233)가 지지된 후 베이스(231)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 후에 운동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즉 리프트 부재(230)의 지지부(233)가 자동차를 지지한 채 운동 또는 이동하는 경우에 운동 부재(232)의 노면 상에서 운동의 제한 상태를 해제하여 용이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리프트 부재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들면 도 7은 도 5의 K 방향에서 본 예시적인 평면도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230')는 베이스(231'), 지지부(233') 및 리프팅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31')는 리프트 부재(230')의 주된 영역일 수 있고, 예를들면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33')는 베이스(231')에 연결될 수 있고, 리프팅 방향을 따라서 베이스(231')로부터 멀어지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베이스(231')와 가까워질 수 있다.
지지부(233')는 자동차를 지지할 수 있고, 자동차를 지지한 채로 리프팅부(235')에 의하여 베이스(231')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230')는 하나 이상의 운동 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 부재(232')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230')는 운동하거나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일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다.
운동 부재(232')는 회전 운동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바퀴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운동 부재(232')는 조향이 가능하도록 조향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부재(230')는 구동부(238')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230')의 구동부(238')를 통하여 운동 부재(232')가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238')는 조향 부재를 포함하여 구동부(238')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23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238')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부는 외부와 무선 통신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구동부(238')에 대한 조절을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238')는 위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위치 감지부를 통하여 자율 주행하여 원하는 위치, 예를들면 자동차의 하부로 이동하고, 서비스 공정을 진행한 후에는 자동차가 원래 있던 곳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230')는 일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고, 이와 교차하는 방향(예를들면 좌측 방향')으로 측면 이동하거나 이와 반대 방향(예를들면 우측 방향')으로 측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230')는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230')는 운동 부재(232')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230')는 운동 또는 이동을 제한해야 할 경우에 이러한 제한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리프트 부재(230')의 운동 부재(232')가 노면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의 제한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230')의 베이스(231')과 운동 부재(232')의 사이에는 연결부(232a')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230')는 하나 이상의 연장 지지 부재(237a', 237b', 237c', 237d')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 지지 부재(237a', 237b', 237c', 237d')는 지지부(233')와 연결될 수 있고, 자동차를 지지하는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230')는 다양한 크기의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연장 지지 부재(237a', 237b', 237c', 237d')는 지지부(233')에 연결된 채 운동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지지부(233')로부터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233')에 연결된 채 각 운동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장 지지 부재(237a', 237b', 237c', 237d')는 지지부(233')에 연결된 채 지지부(233')의 일측으로부터의 직선 운동, 구체적 예로서 신장 또는 수축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7에 4개의 연장 지지 부재(237a', 237b', 237c', 237d')가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개수로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은 제어 공간부를 통하여 운행에 대한 제어를 유인 또는 무인에 의하여 할 수 있고, 운동부의 운동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은 수용 영역 내에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가 수용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다양한 종류의 기능 영역이 수용 영역 내에 마운트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은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자동차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의 리프트 부재는 수용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수용 영역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다. 취출된 리프트 부재는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리프팅 공정을 진행한 후에 자동차의 타이어, 하부 등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는 자동차를 지지한 채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원하는 곳에서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서비스가 끝난 후 원위치에 자동차를 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인접한 자동차들의 방해 또는 통행자에 대한 위험성을 감소한 위치에서 정밀한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부재가 이동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서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는 리프트 부재의 운동 부재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 자동차의 불필요한 운동을 감소하고 서비스의 품질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주변의 차량 또는 통행자 등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소유자 등 자동차 사용자가 직접 자동차를 이동하거나 조작할 필요없이 자동차에 대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에서 리프트 부재가 취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도 9의 상부에서 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의 일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의 리프트 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는 제어 공간부(HS), 운동부(MU), 수용 영역(DSU) 및 리프트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은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 공간부(HS)는 목적지에 대한 운행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가 주차 또는 정차하고 있는 곳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 공간부(HS)는 운전자를 위한 운전석, 조향 부재, 제동 부재 등이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작업자 좌석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은 무인 주행 또는 자율 주행을 통한 주행 제어가 가능할 수 있고, 그 경우 제어 공간부(HS)에는 무인 주행 또는 자율 주행을 위한 제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운동부(MU)는 노면상에서 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을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 공간부(HS)에서의 운전자 또는 자율 주행 제어 모듈에 의하여 목적지에 의한 주행이 제어되는 경우, 운동부(MU)는 이러한 제어 동작에 따라 노면상에서 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은 원하는 목적지 예를들면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가 있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용 영역(DSU)은 제어 공간부(HS)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을 통하여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게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디바이스가 수용 영역(DSU)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타이어(TU)가 보관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의 운행중에도 고정되도록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예를들면 수용 영역(DSU)에는 전원 제어부(313)가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전원 제어부(313)는 다양한 공구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전원 제어부(313)는 후술할 리프트 부재(3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충전을 하거나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수용 영역(DSU)에는 유압 유닛(315)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수용 영역(DSU)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 영역(311, 312, 313)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기능 영역(311, 312, 313)에 밸런서, 발전기, 인버터, 컴프레셔, 배터리 등의 기타 다양한 부재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수용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리프트 부재(330)는 수용 영역(DSU)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수용 영역(DSU)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는 하우징 형태를 갖고 리프트 부재(330)를 감싸도록 배치하여 리프트 부재(330)를 수용 영역(DSU)에서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는 하우징 형태를 갖고 수용 영역(DSU)의 다른 영역, 예를들면 전원 제어부(313), 유압 유닛(315), 하나 이상의 기능 영역(311, 312, 313)과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는 리프트 부재(3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의 운동 또는 이동 중에 리프트 부재(330)가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에 고정되어 리프트 부재(330)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330)는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330)는 수용 영역(DSU)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 부재(330)는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취출되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은 리프트 부재 취출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 취출부(321)는 수용 영역(DSU)에 배치되고,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에 배치될 수 있다.
리프트 부재 취출부(321)는 수용 영역(DSU)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 취출부(321)는 수용 영역(DSU)에서 노면과 평행한 방향(도 9의 P1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하여 수용 영역(DSU)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 취출부(321)는 수용 영역(DSU)에 연결된 채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에 수용될 수 있고, 필요 시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에 연결된 채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의 외부로 적어도 일 영역이 이동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 취출부(321)는 리프트 부재(330)과 함께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 취출부(321)가 수용 영역(DSU)으로부터 외부로 이동 시 리프트 부재(330)는 리프트 부재 취출부(321)와 함께 동시에 이동하여 수용 영역(DSU)의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리프트 부재 취출부(321)는 리프트 부재(330)를 지지 또는 고정하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수용 영역(DSU)의 외부로 취출된 후에 상하 운동 제어부(325)에 의하여 노면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다. 상하 운동 제어부(325)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330)는 리프트 부재 취출부(321)로부터 하강 운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고, 예를들면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는 속도보다 현저한 속도로 안정적으로 운동하여 노면과의 충격을 감소할 수 있다.
상하 운동 제어부(325)는 리프트 부재(330)가 노면에 용이하게 안착하도록 하강 운동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크레인 부재 또는 호이스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 운동 제어부(325)는 리프트 부재 취출부(321)와 연결될 수 있고, 리프트 부재(330)와의 결합을 유지 또는 해제하는 결합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330)는 베이스(331), 지지부(333) 및 리프팅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31)는 리프트 부재(330)의 주된 영역일 수 있고, 예를들면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33)는 베이스(331)에 연결될 수 있고, 리프팅 방향(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베이스(331)로부터 멀어지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베이스(331)와 가까워질 수 있다.
지지부(333)는 자동차를 지지할 수 있고, 자동차를 지지한 채로 리프팅부(335)에 의하여 베이스(331)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33)가 리프팅 방향(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자동차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고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 예를들면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하나 이상의 운동 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 부재(332)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330)는 운동하거나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일 방향(도 11의 FD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도 11의 BD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다.
운동 부재(332)는 회전 운동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바퀴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운동 부재(332)는 조향이 가능하도록 조향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일 방향(도 11의 FD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도 11의 BD 방향)으로 후진 운동할 수 있고, 이와 교차하는 방향(예를들면 좌측 방향, 도 11의 LD 방향)으로 측면 이동하거나 이와 반대 방향(예를들면 우측 방향, 도 11의 RD 방향)으로 측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일 방향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운동 부재(332)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330)는 운동 또는 이동을 제한해야 할 경우에 이러한 제한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리프트 부재(330)의 운동 부재(332)가 노면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 부재(332)의 운동의 제한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이를 필요에 따라 유사한 범위내에서 변형 가능한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의 베이스(331)과 운동 부재(332)의 사이에는 연결부(332a)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를 지지한 채 운동 또는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동차가 지지부(333)가 지지된 후 베이스(331)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된 후에 운동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즉 리프트 부재(330)의 지지부(333)가 자동차를 지지한 채 운동 또는 이동하는 경우에 운동 부재(332)의 노면 상에서 운동의 제한 상태를 해제하여 용이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구동부(338)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330)의 구동부(338)를 통하여 운동 부재(332)가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338)는 조향 부재를 포함하여 구동부(338)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33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338)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부는 외부와 무선 통신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구동부(338)에 대한 조절을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부(338)는 위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위치 감지부를 통하여 자율 주행하여 원하는 위치, 예를들면 자동차의 하부로 이동하고, 서비스 공정을 진행한 후에는 자동차가 원래 있던 곳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하나 이상의 연장 지지 부재(337a, 337b, 337c, 337d)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 지지 부재(337a, 337b, 337c, 337d)는 지지부(333)와 연결될 수 있고, 자동차를 지지하는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리프트 부재(330)는 다양한 크기의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연장 지지 부재(337a, 337b, 337c, 337d)는 지지부(333)에 연결된 채 운동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지지부(333)로부터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333)에 연결된 채 각 운동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장 지지 부재(337a, 337b, 337c, 337d)는 지지부(333)에 연결된 채 지지부(333)의 일측으로부터의 직선 운동, 구체적 예로서 신장 또는 수축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11에 4개의 연장 지지 부재(337a, 337b, 337c, 337d)가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개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8은 도 8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의 리프트 부재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330)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의 수용 영역(DSU)에서 취출되어 자동차(UC)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준비를 한 것을 도시한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330)는 리프트 부재 취출부(321)와 함께 슬라이드 운동한 후에 상하 운동 제어부(325)에 의하여 노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330)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UC)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진 방향(도 12의 FD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330)의 구동부(338)에 의하여 운동 부재(332)의 운동을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3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330)가 자동차(UC)의 하부에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진 방향(도 12의 FD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동차(UC)의 후방에서 자동차(UC)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4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자동차(UC)를 지지하는 지지부(333)가 베이스(331)로부터 리프팅 방향(도 14의 H1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자동차(UC)는 노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진행하는 동안 또는 이러한 동작을 진행한 후에 운동 부재(332)가 노면에 대한 운동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베이스(331)의 적어도 일 영역이 노면과 접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331)의 하면에 배치된 별도의 제한 부재(미도시)가 노면과 접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5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팅 상태를 유지한 채 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330)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후진 방향(도 15의 BD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330)의 구동부(338)에 의하여 운동 부재(332)의 운동을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자동차(UC)가 정차 또는 주차되어 있던 원위치로부터 서비스 제공 과정을 진행할 서비스 제공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자동차(UC)가 정차 또는 주차되어 있던 원위치가 협소하거나 인접한 다른 자동차들로 인하여 서비스의 용이한 제공이 곤란할 수 있고,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서비스 제공이 원활환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베이스(331)는 노면과 간격(HG)을 갖고 이격될 수 있고, 운동 부재(332)의 노면에 대한 운동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6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팅 상태를 유지한 채 서비스 제공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자동차(UC)에 대한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기존 타이어(OTU)의 수리 또는 교환을 위한 제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안전한 환경 유지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운동 부재(332)의 노면에 대한 운동을 제한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리프트 부재(330)가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서비스 제공이 용이한 장소로 이동하여 기존 타이어(OTU)의 수리 또는 교환을 위한 제거 작업을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7을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팅 상태를 유지한 채 서비스 제공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자동차(UC)에 대한 타이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기존 타이어(OTU) 대신에 변경 타이어(NTU), 예를들면 수리한 타이어 또는 새 타이어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안전한 환경 유지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운동 부재(332)의 노면에 대한 운동을 제한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에 자동차(UC)가 정차 또는 주차되어 있던 원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이동 후 리프팅을 해제하여 자동차(UC)를 노면에 접하도록 지지부(333)가 하강 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의 바닥을 향하는 영역으로부터 나와서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후진 방향(도 18의 BD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리프트 부재(330)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으로 향하여 이동할 수 있고, 수용 영역(DSU)에 다시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하 운동 제어부(325)에 의하여 리프트 부재 취출부(321)를 향하여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을 한 후에 리프트 부재(330)는 리프트 부재 취출부(321)과 슬라이드 운동하여 수용 영역(DSU)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320)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은 제어 공간부를 통하여 운행에 대한 제어를 유인 또는 무인에 의하여 할 수 있고, 운동부의 운동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은 수용 영역 내에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가 수용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다양한 종류의 기능 영역이 수용 영역 내에 마운트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은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자동차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의 리프트 부재는 수용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수용 영역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다. 취출된 리프트 부재는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리프팅 공정을 진행한 후에 자동차의 타이어, 하부 등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는 자동차를 지지한 채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원하는 곳에서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서비스가 끝난 후 원위치에 자동차를 이동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인접한 자동차들의 방해 또는 통행자에 대한 위험성을 감소한 위치에서 정밀한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부재가 이동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서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는 리프트 부재의 운동 부재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 자동차의 불필요한 운동을 감소하고 서비스의 품질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주변의 차량 또는 통행자 등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부재는 리프트 부재 취출부에 의하여 용이하게 수용 영역으로부터 취출되어 리프트 부재에 대한 이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가 리프트 부재 취출부의 슬라이드 운동과 함께 수용 영역의 외부로 나온후에 상하 운동 제어부에 의하여 노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노면으로부터 리프트 부재가 충격을 받아 손상 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장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소유자 등 자동차 사용자가 직접 자동차를 이동하거나 조작할 필요없이 자동차에 대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
도 19a를 참조하면 복수의 자동차가 일렬로 주차되어 있고, 예를들면 평행 주차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 중 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이 일 자동차(UC)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이 준비될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의 리프트 부재(330)만을 도시하였다.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19a와 같이 자동차(UC)의 우측면을 향하도록 측면 이동(도면에서 LD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9b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330)가 자동차(UC)의 하부에 배치되어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자동차(UC)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주차 위치에서 벗어난 것을 도시한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안전하고 편안하게 안정적 서비스를 자동차(UC)에 대하여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 교체 또는 수리 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서비스가 완료되면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이동하여 자동차(UC)를 다시 원래 주차되어 있던 곳에 이동한 후에 도 19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동차(UC)를 노면에 안착한 후에 자동차(UC)의 바닥에 대응한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나올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
도 20a를 참조하면 복수의 자동차가 일렬로 주차되어 있고, 예를들면 사선 방향 주차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 중 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이 일 자동차(UC)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이 준비될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의 리프트 부재(330)만을 도시하였다.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20a와 같이 자동차(UC)의 후방을 향하도록 전진 이동(도면에서 FD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20b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330)가 자동차(UC)의 하부에 배치되어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자동차(UC)를 기준으로 후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주차 위치에서 벗어난 것을 도시한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안전하고 편안하게 안정적 서비스를 자동차(UC)에 대하여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 교체 또는 수리 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서비스가 완료되면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이동하여 자동차(UC)를 다시 원래 주차되어 있던 곳에 이동한 후에 도 20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동차(UC)를 노면에 안착한 후에 자동차(UC)의 바닥에 대응한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나올 수 있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
도 21a를 참조하면 복수의 자동차가 일렬로 주차되어 있고, 예를들면 자동차들이 서로 측면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주차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 중 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이 일 자동차(UC)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술한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이 준비될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300)의 리프트 부재(330)만을 도시하였다.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21a와 같이 자동차(UC)의 후방을 향하도록 전진 이동(도면에서 FD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21b를 참조하면 리프트 부재(330)가 자동차(UC)의 하부에 배치되어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자동차(UC)를 기준으로 후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주차 위치에서 벗어난 것을 도시한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안전하고 편안하게 안정적 서비스를 자동차(UC)에 대하여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 교체 또는 수리 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서비스가 완료되면 리프트 부재(330)는 자동차(UC)를 지지한 채 이동하여 자동차(UC)를 다시 원래 주차되어 있던 곳에 이동한 후에 도 21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동차(UC)를 노면에 안착한 후에 자동차(UC)의 바닥에 대응한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나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자동차가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는 위치와 배열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고 자동차에 리프트 부재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고, 리프트 부재가 자동차를 지지한 채 자동차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면 리프트 부재가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한 후에 원하는 작업 장소로 이동하여 안전한 분위기에서 정밀하고 안정적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한 후에는 리프트 부재가 자동차를 지지한 채 이동하여 자동차를 원래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던 원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리프트 부재는 다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 사용자의 조작이나 주행이 없이 또는 제한된 상태에서도 자동차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자동차 관리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300, 300: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130, 230, 330: 리프트 부재

Claims (7)

  1.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목적지에 대한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 공간부;
    노면상에서 운동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을 이동하게 하는 운동부;
    상기 제어 공간부와 인접하고 상기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 영역; 및
    상기 수용 영역에 배치 및 상기 수용 영역으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리프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부재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의 하부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이동하여 상기 자동차를 리프팅한 다음, 기 설정된 서비스 제공 장소로 이동하고,
    상기 수용 영역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 영역에 연결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 영역의 외부로 이동하고, 상기 리프트 부재와 함께 슬라이드 운동하는 리프트 부재 취출부; 및
    상기 리프트 부재와 상기 리프트 부재 취출부를 연결하며, 상기 리프트 부재 취출부가 상기 수용 영역의 외부로 슬라이드 운동하면 상기 리프트 부재를 상기 리프트 부재 취출부로부터 하강 운동시켜 지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리프트 부재가 하강하는 속도를 제어하는 상하 운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부재는 상기 자동차의 하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4. 삭제
  5.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을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은,
    목적지에 대한 운행을 제어하는 제어 공간부, 노면상에서 운동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을 이동하게 하는 운동부, 상기 제어 공간부와 인접하고 상기 자동차에 대한 서비스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 영역 및 상기 수용 영역에 배치 및 상기 수용 영역으로부터 취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자동차에 대한 리프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리프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부재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의 하부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이동하여 상기 자동차를 리프팅한 다음, 기 설정된 서비스 제공 장소로 이동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은
    상기 수용 영역의 리프트 부재 보관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 영역에 연결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 영역의 외부로 이동하고, 상기 리프트 부재와 함께 슬라이드 운동하는 리프트 부재 취출부; 및
    상기 리프트 부재와 상기 리프트 부재 취출부를 연결하며, 상기 리프트 부재를 상기 리프트 부재 취출부로부터 하강 운동시켜 지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리프트 부재가 하강하는 속도를 제어하는 상하 운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
  6. 삭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부재는 복수의 주차 또는 정차중인 자동차들 중 원하는 자동차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190079687A 2019-07-02 2019-07-02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295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687A KR102295615B1 (ko) 2019-07-02 2019-07-02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687A KR102295615B1 (ko) 2019-07-02 2019-07-02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626A KR20210003626A (ko) 2021-01-12
KR102295615B1 true KR102295615B1 (ko) 2021-08-31

Family

ID=7412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687A KR102295615B1 (ko) 2019-07-02 2019-07-02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6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768Y1 (ko) * 2002-03-30 2002-09-05 임관빈 이동식 정비용 차량
KR101729619B1 (ko) * 2015-12-22 2017-04-25 구창우 이동식 정비용 차량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455A (ko) * 2013-05-14 2014-11-24 (주)에스디시스템 차량용 리프트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768Y1 (ko) * 2002-03-30 2002-09-05 임관빈 이동식 정비용 차량
KR101729619B1 (ko) * 2015-12-22 2017-04-25 구창우 이동식 정비용 차량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626A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73535B (zh) 车辆电池更换设备
CN103796877B (zh) 车载设备的保护结构
JP2011193617A (ja) 車両の非接触給電装置及び方法
CN106088721A (zh) 一种智能停车系统及存取车方法
JP2012529408A (ja) 地上輸送車、特に、isoコンテナ用の自動運転式大型輸送車の電池を交換するためのシステム
ES2395745T3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para una instalación de montaje de vehículos
CN104528586B (zh) 具有照明设备的车辆升降系统
US11110979B2 (en) Automobile manufacturing method
KR20190054789A (ko) 주상형 무인비행체 충전 스테이션
CN109025439A (zh) 一种搬运汽车的智能机器人
CN106495056A (zh) 用于机床工作台换装的全向移动机器人
CN110219497A (zh) 一种可伸缩停车机器人
KR102295615B1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
CN109877493A (zh) 多车型工装夹具切换系统
CN110843648A (zh) 一种列车设备箱自动装配系统
CN113879171A (zh) 一种快速自动化换电系统及电动汽车
CN208289880U (zh) 一种设有手爪库的agv车
CN109501764A (zh) 换电平台、充换电系统和换电站
JP2011038334A (ja) 機械式駐車場装置
CN112324207A (zh) 一种新型夹取车搬运机器人
CN109605248B (zh) 一种白车身柔性检测固持平台
CN108049677B (zh) 一种智能停车场
CN105905023A (zh) 移动式车辆养护站以及移动式车辆养护方法
JP5754747B2 (ja) ワーク支持ユニット搭載無人搬送車を用いた作業システム
CN109515552A (zh) 一种适用于物流的自动导引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