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432B1 -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432B1
KR102295432B1 KR1020200027266A KR20200027266A KR102295432B1 KR 102295432 B1 KR102295432 B1 KR 102295432B1 KR 1020200027266 A KR1020200027266 A KR 1020200027266A KR 20200027266 A KR20200027266 A KR 20200027266A KR 102295432 B1 KR102295432 B1 KR 102295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art
exhibition hall
media
ar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철
Original Assignee
(주)브이에이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에이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브이에이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200027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공연 저작권이 확보된 미술품이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인 미디어 아트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 상기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에 저장된 미디어 아트를 미디어 아트 전시관에 마련된 전시관 단말기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 미디어 아트 전시관에 마련되어, 관람객 감성에 매칭되는 미디어 아트를 표시하는 디지털 액자; 및 미디어 아트 전시관에 마련되어, 상기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아트를 상기 디지털 액자로 전송하는 전시관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edia art}
본 발명은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으로서, 장소 제한없이 관람객이 미디어 아트에 쉽게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화 등을 감상할 수 있는 미술관은 회화를 액자에 넣어 벽에 걸어 전시하여 관람객들이 전시된 회화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다. 통상의 미술관은 회화에 집중 조명을 제공하거나, 최대한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여 관람객들에게 미술 감상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미술품 액자 형태가 아니라 미디어 아트 영상을 제공하는 미디어 아트 전시관이 이용되고 있다. 영상과 같은 미디어 아트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다양한 그래픽적 요소를 실시간 렌더링을 통해서 생성시키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파티클, 이미지, 3D 모델 등 다양한 형태의 그래픽 소소를 수학적 계산에 의해서 새로운 형태의 그래픽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미디어 아트를 생성하기 위해 상당한 양의 계산이 요구되기 때문에 미디어 아트 생성 프로그램은 코딩 방식이 복잡하여 전문가 이외의 사용자는 그 사용이 어려워 미디어 아트에 쉽게 접근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기존의 미디어 아트 전시관의 경우, 어둡고 한정된 공간, 환경과 시간의 제약, 고가의 시스템, 비싼 전시 체험 가격, 어려운 접근성, 변형된 작품의 이질감, 취약한 대중성, 한정된 시장성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60794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전시회의 장소와 정해진 시간 등의 틀을 벗어나서 다양한 형식의 디지털 장치를 이용해 같은 장소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누구나 손쉽게 접근하여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공연 저작권이 확보된 미술품이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인 미디어 아트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 상기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에 저장된 미디어 아트를 미디어 아트 전시관에 마련된 전시관 단말기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 미디어 아트 전시관에 마련되어, 관람객 감성에 매칭되는 미디어 아트를 표시하는 디지털 액자; 및 미디어 아트 전시관에 마련되어, 상기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아트를 상기 디지털 액자로 전송하는 전시관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는, 미디어 아트 형태로 전시하고자 하는 미술품에 대한 공연 저작권 정보를 저장한 공연 저작권 정보 저장부; 공연 저작권이 확보된 미술품이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인 미디어 아트를 생성하는 미디어 아트 생성부; 미디어 아트별로 보조 음향, 및 보조 영상이 할당되어 저장된 보조 콘텐츠 저장부; 및 미디어 아트별로 작가 정보, 감성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아트 속성 정보와 함께 분류하여 미디어 아트를 저장한 미디어 아트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아트 전시관은, 보조 음향을 출력하는 지향성 스피커; 및 보조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는, 미디어 아트를 전송할 때 미디어 아트에 할당된 보조 음향과 보조 영상을 전시관 단말기로 함께 전송하며, 상기 전시관 단말기는, 수신한 미디어 아트를 디지털 액자를 통해 표시할 때, 표시되는 미디어 아트에 할당된 보조 음향을 지향성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표시되는 미디어 아트에 할당된 보조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아트 전시관은, '디지털 액자 + 지향성 스피커'를 구비한 전시관, '디지털 액자 + 지향성 스피커 + 구조물'을 구비한 전시관, '디지털 액자 + 지향성 스피커 + 구조물 + 프로젝터'를 구비한 전시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시관 형태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는, 미디어 아트에 할당된 증강 현실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아트 속성 정보를 전시관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전시관 단말기는, 수신한 미디어 아트를 디지털 액자를 통해 표시할 때, 증강 현실 정보에 매칭되는 증강 현실 그래픽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아트 전시관은, 관람객 감성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관람객 감성 정보 측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람객 감성 정보 측정 수단은, 사용자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기;로 구현되며, 상기 전시관 단말기는, 측정된 뇌파에 할당된 감성 정보를 관람객 감성 정보로서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시관 단말기는, 관람객 감성 정보를 미디어 아트를 관람하는 관람객로부터 입력받아 입력된 관람객 감성 정보를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는, 수신되는 관람객 감성 정보에 매칭되는 미디어 아트를 상기 미디어 아트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전시관 단말기로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시관 단말기는, 측정되는 관람객 감성 정보에 따라서 미디어 아트의 표시 형태를 변형하여 디지털 액자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밝고 다양한 공간 연출, 환경과 시간의 자유로움, 합리적인 전시 체험 가격, 손쉬운 접근성, 원본에 가까운 디지털 아트, 보편적이고 전세계 누구나 즐길 수 있어 글로벌 시장 확대, 프로젝터(340)와 융합 전시, 몰입형 조명 조절 가능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와 지향성 스피커를 구비한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와 지향성 스피커 이외에 구조물을 구비한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와 지향성 스피커 이외에 프로젝터를 구비한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아트 제공을 위한 흐름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람객 감성 정보 측정을 위해 뇌파 측정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와 지향성 스피커를 구비한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와 지향성 스피커 이외에 구조물을 구비한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와 지향성 스피커 이외에 프로젝터를 구비한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아트 제공을 위한 흐름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람객 감성 정보 측정을 위해 뇌파 측정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기존의 전시회의 장소와 정해진 시간 등의 틀을 벗어나기 위해 다양한 형식의 디지털 장치를 이용해 같은 장소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성이 용이한 시스템을 구성해 장소의 제약을 줄이는 하드웨어 구축과 누구나 쉽게 콘텐츠를 업데이트하고 실행시킬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따라서 일반 대중들에게 재해석이 아닌 살아 움직이는 감성을 통해 몰입감을 주고, 익숙했던 그림 속의 또 다른 증강 현실을 더한 작품들로 흥미를 불러 일으키며 기존의 한정된 공간, 시간의 제약, 그리고 고가의 미디어 시스템을 갖춰야 했던 아트 전시를 콘텐츠와 하드웨어의 차별화로 다양한 곳에서 개인 또는 다수의 사람들의 성향에 맞춰 다양한 장소에서 감흥과 편안함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미도시), 디지털 액자(320)와 전시관 단말기(310)를 구비한 미디어 아트 전시관,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100), 및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200)를 구비한다.
이하에서 미디어 아트라 함은, 명화가 디지털 그래픽 형태로 표시되는 콘텐츠를 말하는 것으로서, 나아가, 증강 현실 기능을 추가하여, 기존 명화 내에서 특정객체/주인공 등은 그대로 유지한/고정한 상태에서 배경을 3차원적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특정객체 내의 눈을 깜빡이게 하는 등을 구현한 3D 콘텐츠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미도시)은, 전시관 단말기(310),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100), 및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200)와 각각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미디어 아트 전시관은, 관람객 감성을 고려한 미디어 아트를 표시하는 디지털 액자(320)와,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아트를 디지털 액자(320)로 전송하는 전시관 단말기(310)가 마련된 전시관이다. 이러한 미디어 아트 전시관은 상담실, 수술 대기실, VIP 입원실, 산후 조리원, 시술실, 레스토랑 룸, VIP 클럽 하우스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 쉽게 설치 가능하다.
디지털 액자(320)는, LED 디스플레이 패널, OLED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등의 다양한 영상 출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미디어 아트 전시관은, 다양한 형식의 프레임과 액자를 디지털 액자(320)로 교체하여 전시회 재구성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관람객 감성에 매칭되는 미디어 아트를 디지털 액자(320)를 통해 표시한다. 관람객 감성에 매칭되는 미디어 아트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시관 단말기(310)는, 데스크탑 PC, 셋탑 박스,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통신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밖에 미디어 아트 전시관은, 보조 음향을 출력하는 지향성 스피커(330)와, 보조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340)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액자(320) + 지향성 스피커(330)'를 구비한 전시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액자(320) + 지향성 스피커(330) + 구조물'을 구비한 전시관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액자(320) + 지향성 스피커(330) + 구조물 + 프로젝터(340)'를 구비한 전시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조물에 디지털 액자와 지향성 스피커(330)를 매립 설치해 이동과 다양한 조합의 설치가 가능하며, 구조물의 전면에 프로젝터(340)와 사이드에 디지털 액자(320), 탑에 지향상 스피커를 매립 설치하여, 시스템간의 연동이 용이하고 이동과 공간 활용도가 높은 구성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전시회의 장소와 정해진 시간 등의 틀을 벗어나 다양한 형식의 디지털 장치를 이용하여 같은 장소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는 시스템과 이동성이 용이한 시스템을 구성 및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 하드웨어 구축과, 누구나 쉽게 콘텐츠를 업데이트하고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지향성 스피커(330), 프로젝터(340) 등을 구비함으로써, 뉴미디어 공간을 구성할 수 있어, 비디오 맵핑, 지향성 사운드를 통해 인터렉티브 작품 전시가 가능하게 된다. 아날로그 감성에 기법적으로 접근하여, 편안함을 추구함으로써 음악과 예술을 통해 마음의 휴식과 편안한 공간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100)는, 미디어 아트 형태로 전시하고자 하는 미술품에 대한 공연 저작권을 확보하여, 공연 저작권이 확보된 미술품이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인 미디어 아트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서버이다.
이를 위하여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연 저작권 정보 저장부(110), 미디어 아트 생성부(120), 보조 콘텐츠 저장부(130), 및 미디어 아트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연 저작권 정보 저장부(110)는, 미디어 아트 형태로 전시하고자 하는 미술품에 대한 공연 저작권 정보를 저장한 저장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문가의 검증/분석을 거쳐서 전시하고자 하는 명화 등의 미술품을 선별하고, 선별된 미술품에 대하여 공연 저작권(전시 저작권)이 확보되면, 확보된 공연 저작권(저작권자 정보, 저작권 확보 기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미디어 아트 생성부(120)는, 공연 저작권이 확보된 미술품이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인 미디어 아트를 생성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연 저작권이 확보된 미술품에 대한 디지털 라이징을 거쳐서 ASMR 효과 등이 부과된 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이다.
보조 콘텐츠 저장부(130)는, 미디어 아트별로 보조 음향, 및 보조 영상이 할당되어 저장된 저장체이다.
미디어 아트 저장부(140)는, 미디어 아트별로 작가 정보, 감성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아트 속성 정보와 함께 분류하여 미디어 아트를 저장한 저장체이다. 여기서 감성 정보는, 미디어 아트에서 느껴지는 감성으로서, 예로서 고흐 작품의 경우 고독함 감성 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체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200)는,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100)에 저장된 미디어 아트를 미디어 아트 전시관에 마련된 전시관 단말기(310)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서버이다. 미디어 아트 전시관에 마련된 전시관 단말기(310)로부터 요청되는 미디어 아트를 추출하여 전시관 단말기(310)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2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나아가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200)는, 미디어 아트를 전송할 때 미디어 아트에 할당된 보조 음향과 보조 영상을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100)로부터 추출하여 전시관 단말기(310)로 함께 전송한다.
따라서 전시관 단말기(310)는, 수신한 미디어 아트를 디지털 액자(320)를 통해 표시할 때, 표시되는 미디어 아트에 할당된 보조 음향을 지향성 스피커(330)를 통해 출력하며, 표시되는 미디어 아트에 할당된 보조 영상을 프로젝터(3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관람객은 디지털 액자(320)를 통해 미디어 아트를 감상할 때, 감상하고 있는 미디어 아트에 매칭되는 보조 음향과 보조 영상을 함께 즐길 수 있어, 관람 감동 및 재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밖에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200)는, 미디어 아트에 할당된 증강 현실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아트 속성 정보를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100)로부터 추출하여 전시관 단말기(310)로 전송한다.
따라서 전시관 단말기(310)는, 수신한 미디어 아트를 디지털 액자(320)를 통해 표시할 때, 증강 현실 정보에 매칭되는 증강 현실 그래픽(Augmented Reality Graphic)으로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 액자(320)를 통해 표시되는 미디어 아트가 증강 현실 그래픽으로 표시됨으로써, 관람 감동 및 재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지털 액자(320)를 통해 표시되는 미디어 아트가, 관람객 감성에 매칭되는 미디어 아트로서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우선 관람객 감성 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관람객 감성 정보를 파악하는 방식으로서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관람객 감성 정보를 파악하는 첫 번째 방식은, 관람객 감성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관람객 감성 정보 측정 수단을 미디어 아트 전시관 내에 구비하는 것이다. 관람객 감성 정보 측정 수단은, 다양한 측정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기(400)로 구현될 수 있다. 전시관 단말기(310)는, 측정된 뇌파에 할당된 감성 정보를 관람객 감성 정보로서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200)로 전송한다. 참고로 뇌파 측정기(400)와 전시관 단말기(31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측정된 뇌파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관람객 감성 정보를 파악하는 다른 두 번째 방식은, 전시관 단말기(310)가, 관람객 감성 정보를 미디어 아트를 관람하는 관람객으로부터 입력받아 입력된 관람객 감성 정보를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200)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관람객 감성 정보를 미디어 아트를 관람하는 관람객으로부터 입력받는 것은, 관람객 감성을 직접 입력받을 수 있는데, 예컨대, '기쁜 감정', '활기찬 감정', '우울한 감정' 등과 같이 감정을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이밖에 관람객 감성 정보를 미디어 아트를 관람하는 관람객으로부터 입력받는 것은, 관람객 감성과 관련된 설문 문항들을 제시하여 이러한 설문 문항에 관람객의 답변한 내용을 근거로 관람객의 감성 정보를 파악해내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파악된 관람객 감성 정보에 매칭되는 미디어 아트를 디지털 액자(320)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는,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200)를 통해 수신되는 관람객 감성 정보에 매칭되는 미디어 아트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즉,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200)는, 수신되는 관람객 감성 정보에 매칭되는 미디어 아트를 미디어 아트 저장부(140)에서 추출하여 전시관 단말기(310)로 스트리밍 전송하며, 이를 디지털 액자(320)에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시관 단말기(310)로부터 수신되는 관람객 감성 정보가 '우울한 감정'으로 파악되는 경우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200)는, '우울한 감정'에 어울리는 미디어 아트를 추출하여 전시관 단말기(310)로 스트리밍 전송하게 되고, 이러한 '우울한 감정'에 어울리는 미디어 아트가 디지털 액자(320)에 표시되는 것이다. 반면에, 전시관 단말기(310)로부터 수신되는 관람객 감성 정보가 '즐거운 감정'으로 파악되는 경우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200)는, '즐거운 감정'에 어울리는 미디어 아트를 추출하여 전시관 단말기(310)로 스트리밍 전송하게 되고, 이러한 '즐거운 감정'에 어울리는 미디어 아트가 디지털 액자(320)에 표시되는 것이다.
한편, 관람객 감성 정보에 매칭되는 미디어 아트를 디지털 액자(320)에 표시하는 다른 또 하나의 방식은, 전시관 단말기(310)에서 직접 관람객 감성 정보에 맞도록 미디어 아트를 변형시켜 디지털 액자(320)에 표시하는 방식이다. 즉, 전시관 단말기(310)는, 측정되는 관람객 감성 정보에 따라서 미디어 아트의 표시 형태를 변형하여 디지털 액자(320)를 통해 표시한다.
예를 들어, 파악되는 관람객 감성 정보가 '우울한 감정'인 경우, 전시관 단말기(310)는,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아트의 그래픽에 '비가 오는 배경'을 추가하거나 '어두운 색상 톤'으로 배경 색상을 변형함으로써, '우울한 감성'을 느낄 수 있는 미디어 아트로서 변형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반면에, 파악되는 관람객 감성 정보가 '즐거운 감정'인 경우, 전시관 단말기(310)는,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아트의 그래픽에 '밝은 색상 톤'으로 배경 색상을 변형함으로써, '즐거운 감성'을 즐길 수 있는 미디어 아트로서 변형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
200: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
310:전시관 단말기
320:디지털 액자
330:지향성 스피커
340:프로젝터

Claims (10)

  1. 공연 저작권이 확보된 미술품이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인 미디어 아트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
    상기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에 저장된 미디어 아트를 미디어 아트 전시관에 마련된 전시관 단말기로 스트리밍 전송하는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
    미디어 아트 전시관에 마련되어, 관람객 감성에 매칭되는 미디어 아트를 표시하는 디지털 액자; 및
    미디어 아트 전시관에 마련되어, 상기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아트를 상기 디지털 액자로 전송하는 전시관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아트 등록 서버는,
    미디어 아트 형태로 전시하고자 하는 미술품에 대한 공연 저작권 정보를 저장한 공연 저작권 정보 저장부;
    공연 저작권이 확보된 미술품이 표시된 디지털 콘텐츠인 미디어 아트를 생성하는 미디어 아트 생성부;
    미디어 아트별로 보조 음향, 및 보조 영상이 할당되어 저장된 보조 콘텐츠 저장부; 및
    미디어 아트별로 작가 정보, 감성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아트 속성 정보와 함께 분류하여 미디어 아트를 저장한 미디어 아트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아트 전시관은,
    보조 음향을 출력하는 지향성 스피커; 및 보조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는, 미디어 아트를 전송할 때 미디어 아트에 할당된 보조 음향과 보조 영상을 전시관 단말기로 함께 전송하며,
    상기 전시관 단말기는, 수신한 미디어 아트를 디지털 액자를 통해 표시할 때, 표시되는 미디어 아트에 할당된 보조 음향을 지향성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표시되는 미디어 아트에 할당된 보조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미디어 아트 전시관은,
    '디지털 액자 + 지향성 스피커'를 구비한 전시관,
    '디지털 액자 + 지향성 스피커 + 구조물'을 구비한 전시관,
    '디지털 액자 + 지향성 스피커 + 구조물 + 프로젝터'를 구비한 전시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시관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미디어 아트 전시관은,
    관람객 감성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관람객 감성 정보 측정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관람객 감성 정보 측정 수단은, 사용자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기;로 구현되며,
    상기 전시관 단말기는,
    측정된 뇌파에 할당된 관람객 감성 정보 또는 미디어 아트를 관람하는 관람객으로부터 입력된 관람객 감성 정보를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는,
    수신되는 관람객 감성 정보에 매칭되는 미디어 아트를 상기 미디어 아트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전시관 단말기로 스트리밍 전송하여 디지털 액자를 통해 표시하거나,
    상기 전시관 단말기는,
    측정되는 관람객 감성 정보에 따라서 미디어 아트의 표시 형태를 변형하여 디지털 액자를 통해 표시하는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아트 스트리밍 서버는, 미디어 아트에 할당된 증강 현실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아트 속성 정보를 전시관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전시관 단말기는, 수신한 미디어 아트를 디지털 액자를 통해 표시할 때, 증강 현실 정보에 매칭되는 증강 현실 그래픽으로서 표시하는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27266A 2020-03-04 2020-03-04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 KR10229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66A KR102295432B1 (ko) 2020-03-04 2020-03-04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66A KR102295432B1 (ko) 2020-03-04 2020-03-04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432B1 true KR102295432B1 (ko) 2021-08-31

Family

ID=7748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266A KR102295432B1 (ko) 2020-03-04 2020-03-04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4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237B1 (ko) 2023-04-21 2023-10-24 주식회사 성흥티에스 인공지능 기반의 저작권 연동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17130B1 (ko) * 2022-10-07 2023-12-27 임팩트스테이션 주식회사 Ai 기술에 기반한 사용자 감정 맞춤형 작품 추천 및 가상전시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7734A (ja) * 2008-03-26 2009-10-15 Hitachi Software Eng Co Ltd 作品展示及び広告システム
KR101460794B1 (ko) 2014-02-25 2014-11-14 (주)엑스오비스 미디어 아트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974130B1 (ko) * 2018-02-02 2019-04-3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관객의 감정정보를 이용한 실시간 반응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7734A (ja) * 2008-03-26 2009-10-15 Hitachi Software Eng Co Ltd 作品展示及び広告システム
KR101460794B1 (ko) 2014-02-25 2014-11-14 (주)엑스오비스 미디어 아트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974130B1 (ko) * 2018-02-02 2019-04-3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관객의 감정정보를 이용한 실시간 반응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130B1 (ko) * 2022-10-07 2023-12-27 임팩트스테이션 주식회사 Ai 기술에 기반한 사용자 감정 맞춤형 작품 추천 및 가상전시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593237B1 (ko) 2023-04-21 2023-10-24 주식회사 성흥티에스 인공지능 기반의 저작권 연동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tins et al. A multisensory virtual experience model for thematic tourism: A Port wine tourism application proposal
US20200294312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interactive virtual environments
CN106502402B (zh) 一种三维动态情景教学方法
RU2621644C2 (ru) Мир массового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удаленного цифрового присутствия
CN107957782A (zh) 一种博物馆互动体验系统
KR102295432B1 (ko) 미디어 아트 제공 시스템
Hakulinen et al. Omnidirectional video in museums–authentic, immersive and entertaining
JP2021006977A (ja) コンテンツ制御システム、コンテンツ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制御プログラム
KR20090003445A (ko) 가상현실 기법을 이용한 온라인 아동 학습 서비스 장치 및그 서비스 방법
US201802864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presenting virtual experiences
KR20160087703A (ko)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공간정보를 이용한 다중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Takács Immersive interactive reality: Internet-based on-demand VR for cultural presentation
Battisti et al. Virtual Reality meets Degas: An immersive framework for art exploration and learning
Duncan et al. Voxel-based immersive mixed reality: A framework for ad hoc immersive storytelling
Hupke et al. Immersive room extension environment for networked music performance
Uchida et al. Feeling the exhibition: Design for an immersive and sensory exhibition experience
KR20120116564A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전시 시스템
Parhizkar et al. A survey on web-based AR applications
JP2021009351A (ja) コンテンツ制御システム、コンテンツ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制御プログラム
Casas et al. Romot: A robotic 3D-movie theater allowing interaction and multimodal experiences
Ariffin et al. Enhancing tourism experiences via mobile augmented reality by superimposing virtual information on artefacts
JP2002083319A (ja) 外国語修得のための分散仮想環境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Xu et al. Urban Interactive Installation Art as Pseudo-Environment Based on the Frame of the Shannon–Weaver Model
Baker MINDtouch: embodied mobile media ephemeral transference
CN211580107U (zh) 一种体感互动投影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