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998B1 -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998B1
KR102294998B1 KR1020210058382A KR20210058382A KR102294998B1 KR 102294998 B1 KR102294998 B1 KR 102294998B1 KR 1020210058382 A KR1020210058382 A KR 1020210058382A KR 20210058382 A KR20210058382 A KR 20210058382A KR 102294998 B1 KR102294998 B1 KR 102294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pole
pole
storage tank
bolt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민기
Original Assignee
(주)창조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조에스티 filed Critical (주)창조에스티
Priority to KR1020210058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은, 외주면에 발판볼트(3) 체결을 위한 발판볼트홀(2)이 구비되어 있는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이용하여 노후 전주를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부에 바퀴(110)가 장착된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15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고 결합재 및 충진재가 저장되는 분말저장탱크(16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고 방수액이 저장되는 방수액저장탱크(230)와, 상기 물저장탱크 및 분말저장탱크에 저장된 원료를 혼합 교반시켜 그라우트재를 제조하는 믹서(17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고,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통해 액체 또는 슬러리 상태의 주입물을 전주(1)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급장치(180)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식 트레이를 준비하는 트레이준비단계와; 상기 이동식 트레이를 노후 전주에 근접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공급장치(180)의 일측을 방수액저장탱크(230)와 연결하고, 타측은 발판볼트홀(2)에 연결시킨 후,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통해 방수액을 공급한 후 경화시켜 전주(1) 내주면에 방수층(300)을 형성하는 방수층형성단계와; 상기 발판볼트홀(2)을 통해 전주(1) 내부에 다수 개의 와이어 강선(400)을 삽입하는 강선삽입단계와; 상기 공급장치(180)를 믹서(170)와 연결한 후,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통해 그라우트재를 공급한 후 양생하여 전주(1) 내부에 보강층(500)을 형성하는 그라우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그라우트의 주입 전에 스텝홀을 통해 전주 내부에 액상의 에폭시를 주입하여 전주의 내주면에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전주가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억제하여 그라우트를 통한 강도 발현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고, 전주를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클램핑부재에 공급호스와 주입노즐이 거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장치가 함께 구비되어 한 사람의 작업자가 발판볼트를 타고 올라가 특정 지점에서 단독으로 원할하게 전주 내부에 그라우트재를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바퀴가 달려 이동 가능한 트레이에 원료 탱크, 믹서, 펌프, 호스 등이 모두 구비되어 한 번에 각 설비를 운반할 수 있어 차량에서부터 전주까지 설비를 이송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strengthening method of old electric pole using step hole}
본 발명은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주발판홀 내부로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노후 전주를 보강하도록 한,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주는 전선 또는 통신선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상부에 유지시키기 위한 수직 구조물로서, 원형으로 철근을 배근하고, 원형 통으로 거푸집을 만든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 원형 거푸집을 회전시켜 중공형태, 즉 속이 빈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전신주는 설치시 지면에 일정깊이로 구멍을 형성한 후, 전신주의 하부를 통상 2m 정도 매설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그리고, 전신주의 상부에 전력선, 통신선, 애자, 피뢰기, 변압기 1차측 계폐기, 주상 변압기 등의 많은 부속품이 장착된다.
이러한 전신주는 설치 후, 콘크리트 노후 및 중공성형에 의한 내구성 저하에 의해, 상부 부속품의 하중, 그리고, 외부 충격을 견디지 못하고 전신주가 부러지는 사례가 많았다.
상기와 같이 전신주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중에 전신주가 부러지게 되면, 전신주의 상부에 전력선, 통신선, 애자, 피뢰기, 변압기 1차측 계폐기, 주상 변압기 등의 많은 부속품이 손상되고, 특히 고압전류에 의한 인명사고와 정전에 의한 피해로 이어지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전단력이 보강된 전신주 및 그 보강방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6759호, 특허문헌 1)에는 전주의 어스선 인입구를 통해 전주 내부 공간을 충진재로 채우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공법의 경우 작은 입구 크기로 200m 미만의 속도로 유동성이 적은 프라이머를 투입하는 경우 충진이 원할하지 않고, 재료 분리로 인해 충진 후 강도가 분산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 노후된 콘크리트는 주변의 수분을 끓어들이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프라이머 충진시 포함된 수분을 노후 전주가 흡수하여 노후 전주의 내구도가 감소하거나, 충진된 프라이머에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지 못해 양생 과정에서 충분한 강도를 갖지 못한채 굳어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충진재를 주입할 때 발생하는 압력, 반발력 등에 의해 한 사람의 작업자가 호스를 붙잡고 있기 어려워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또한, 전주의 설치 위치에 따라 진입로가 협소하여 크레인 차량의 진입이 불가능한 곳의 경우 상기한 차량을 활용하여 전주 내부의 습식 보강이 실질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협소한 곳에서는 원료가 되는 자갈, 모래, 시멘트, 물 등이 담긴 여러 개의 탱크와, 이들을 혼합하여 믹싱하는 소형 믹서, 믹싱된 원료를 공급하는 호스, 호스 내의 원료 이송을 하는 펌프 등을 준비하여 소형 트럭에 탑재한 후, 보강 대상이 되는 전주에 최대한 근접한 상태로, 이들 장비를 트럭에서 꺼낸 후 전주 위치까지 운반해서 작업할 수 밖에 없다.
더욱이, 보강 작업은 전주 하나마다 각 설비를 싣고 내리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한정된 시간 내에 보강 작업을 할 수 있는 전주의 수가 현저히 적어 작업성이 극히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0136759 (2011.12.2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라우트의 주입 전에 스텝홀을 통해 전주 내부에 액상의 에폭시를 주입하여 전주의 내주면에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전주가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억제하여 그라우트를 통한 강도 발현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전주를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클램핑부재에 공급호스와 주입노즐이 거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장치가 함께 구비되어 한 사람의 작업자가 발판볼트를 타고 올라가 특정 지점에서 단독으로 원할하게 전주 내부에 그라우트재를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바퀴가 달려 이동 가능한 트레이에 원료 탱크, 믹서, 펌프, 호스 등이 모두 구비되어 한 번에 각 설비를 운반할 수 있어 차량에서부터 전주까지 설비를 이송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발판볼트(3) 체결을 위한 발판볼트홀(2)이 구비되어 있는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이용하여 노후 전주를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부에 바퀴(110)가 장착된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15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고 결합재 및 충진재가 저장되는 분말저장탱크(16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고 방수액이 저장되는 방수액저장탱크(230)와, 상기 물저장탱크 및 분말저장탱크에 저장된 원료를 혼합 교반시켜 그라우트재를 제조하는 믹서(17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고,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통해 액체 또는 슬러리 상태의 주입물을 전주(1)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급장치(180)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식 트레이를 준비하는 트레이준비단계와; 상기 이동식 트레이를 노후 전주에 근접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공급장치(180)의 일측을 방수액저장탱크(230)와 연결하고, 타측은 발판볼트홀(2)에 연결시킨 후,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통해 방수액을 공급한 후 경화시켜 전주(1) 내주면에 방수층(300)을 형성하는 방수층형성단계와; 상기 발판볼트홀(2)을 통해 전주(1) 내부에 다수 개의 와이어 강선(400)을 삽입하는 강선삽입단계와; 상기 공급장치(180)를 믹서(170)와 연결한 후,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통해 그라우트재를 공급한 후 양생하여 전주(1) 내부에 보강층(500)을 형성하는 그라우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180)는, 일측이 상기 믹서(170) 또는 방수액저장탱크(230)에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관로상에 공급펌프(201)가 설치되어 있는 공급호스(200)와; 일측에 상기 발판볼트홀(2)에 끼워지는 볼트홀체결부(211)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측은 일측에 비해 외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공급호스(200)와 노즐클램프(212)를 통해 연결되는 주입노즐(210)과; 일측 상부는 상기 공급호스(200)를 지지하고, 타측 상부는 상기 주입노즐(210)을 지지하면서 주입노즐(210)이 고정되고, 타측은 전주(1)를 감싸 착탈되는 체결구(2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수층형성단계 및 그라우팅단계는, 상기 체결구(220)로 전주(1)를 감싸 고정한 후, 주입노즐(210)의 볼트홀체결부(211)을 발판볼트홀(2)에 끼운 후, 체결구(220)에 고정한 다음, 노즐클램프(212)를 이용하여 공급호스(200)와 주입노즐(210)을 상호 고정시키고, 공급호스(200)로 방수액 또는 그라우트재를 공급하여 방수액 또는 그라우트재가 전주(1) 내부에 주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강선삽입단계는 상기 공급장치(180)를 전주(1)에 설치한 상태에서 노즐클램프(212)를 풀어 공급호스(200)와 주입노즐(210)을 분리한 후, 와이어 강선(400)을 상기 주입노즐(210) 내부를 통해 전주(1) 내부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구(220)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방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주(1) 또는 노즐거치관(194)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도록 반원형의 라운드진 형상을 취하는 일측클램핑부재(20)와; 상기 일측클램핑부재(20)에 회전 또는 착탈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주(1) 또는 노즐거치관(194)의 외주면 타측을 감싸도록 반원형의 라운드진 형상을 취하는 타측클램핑부재(30)와; 상기 일측클램핑부재(20)와 타측클램핑부재(30)를 상호 고정시켜주는 잠금장치(40)와; 상기 일측클램핑부재(20)의 후방측에 위치 한 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안착부재(51)가 설치되어 있는 노즐설치부재(50)와; 하부 양측이 상기 안착부재(5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는 원형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이루어 상기 안착부재(51)와의 사이로 상기 주입노즐(210)의 중간 부분이 끼워지는 관통공(61)을 형성하되, 상부 중간에 너트부재(62)가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부재(60)와; 상기 너트부재(62)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주입노즐(210)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볼트(8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후방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호스(200)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호스안착홈(91)이 형성되어 있는 호스안착부재(9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이동식 트레이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금속 망상 구조로 이루어진 상판(130)이 설치되어 있고, 상판(130)의 하부에는 판상의 구조를 이루는 하판(12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물저장탱크(150), 분말저장탱크(160), 방수액저장탱크(230), 믹서(170), 공급장치(180)는 상판(130)에 적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그라우트의 주입 전에 스텝홀을 통해 전주 내부에 액상의 에폭시를 주입하여 전주의 내주면에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전주가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억제하여 그라우트를 통한 강도 발현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주를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클램핑부재에 공급호스와 주입노즐이 거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급장치가 함께 구비되어 한 사람의 작업자가 발판볼트를 타고 올라가 특정 지점에서 단독으로 원할하게 전주 내부에 그라우트재를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바퀴가 달려 이동 가능한 트레이에 원료 탱크, 믹서, 펌프, 호스 등이 모두 구비되어 한 번에 각 설비를 운반할 수 있어 차량에서부터 전주까지 설비를 이송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이동식 트레이를 탑재한 트럭을 보수 대상 전주 가까이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트럭에 탑재된 이동식 트레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이동식 트레이에 탑재된 공급장치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4는 주입노즐을 전주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주요 부위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체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호스안착부재를 이용하여 주입노즐을 전주에 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전주 내부에 강선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전주 내부에 보강층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체결구 및 주입노즐을 활용하여 전주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작업 상태를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은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한정하기로는, 외주면에 발판볼트(3) 체결을 위한 발판볼트홀(2)이 구비되어 있는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통해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노후 전주를 보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트레이준비단계
상기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통해 액체 또는 슬러리 상태의 주입물을 전주(1)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급장치(180)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식 트레이를 준비한다.
이를 위한 이동식 트레이는 개략적으로는 하부에 바퀴(110)가 장착된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15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고 결합재 및 충진재가 저장되는 분말저장탱크(16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고 방수액이 저장되는 방수액저장탱크(230)와, 상기 물저장탱크 및 분말저장탱크에 저장된 원료를 혼합 교반시켜 그라우트재를 제조하는 믹서(17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는 공급장치(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식 트레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프레임(10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로부재(101)와, 상기 가로부재(101)의 양단을 연결하는 두 개의 세로부재(10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각 가로부재(101) 하부에 가로부재(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형성부재(103)가 설치되어 있고, 두 간격형성부재(103)를 연결하여 가로부재(101)의 하측으로 하판삽입공간(105)을 형성하는 하판지지부재(104)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판삽입공간(105)으로는 하판(12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거나 밖으로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과정에서 하판지지부재(104)가 하판(12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바퀴(11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이동식 트레이가 지상에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바퀴(110)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동식 트레이가 트럭(4)에 탑재된 상태일 때, 내부에서 바퀴(110)의 구름이 발생하여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는 트레이를 트럭(4) 밖으로 꺼낸 상태에서 특정 위치에서 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바퀴(1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퀴(110)의 축과 연결되어 있는 바퀴프레임(111)과, 바퀴프레임(111)을 지지하되 회전축(112)이 연결되어 있는 축연결부재(113)와, 상기 축연결부재(11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베이스프레임(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112)의 일단에는 도시된 것처럼 손잡이가 설치되어 수동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미도시된 모터 등이 연결되어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축(112)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트럭(4)에 트레이가 탑재된 상태에서 바퀴(110)는 회전하여 베이스프레임(100),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판지지부재(104)가 트럭(4) 내부의 선반이나 바닥에 지지되어 바퀴(110)를 통한 구름이 억제된다.
또한 트럭(4)에서 이동식 트레이가 빠져나오는 상태 또는 빠져나온 후 목적지까지 수동 또는 견인되어 이동하는 경우 바퀴(110)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를 취해 바퀴(110)의 구름에 의해 트레이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하판(120)은 상기 하판삽입공간(105)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하판지지부재(104)에 의해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하판(120)은 상부의 상판(130)이 망상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 또는 운송 중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 이물질이 낙하할 때, 상판(130)에 묻어 달라붙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판(130)을 통과하여 하판(120)에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세척시 하판(120)을 슬라이딩하여 상판(130)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후 세척할 수 있도록 해준다.
통상 보강작업에 사용되는 주입물은 시멘트(결합재), 자갈(충전재), 물, 기타 혼화재가 혼합된 것으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굳어 달라붙는 상태가 된다.
만일 하판(120)이 없고 상판(130)이 단순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경우 작업중 발생한 몰탈이 상판(130)이나 설비에 달라붙어 청소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아울러, 설비 중에는 펌프, 컨트롤러 등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부품도 있게 마련인 바, 습식 청소를 하다가 전기 제품의 손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트레이가 차량 탑재 상태이던, 노면에 위치한 상태이던 청소시 다량의 물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이 물이 주변의 도로 등을 오염시켜 작업에 따른 민원 문제도 일으킬 수도 있다.
하지만 슬라이딩 이동하는 하판(120)이 구비되는 경우 작업이 종료된 후 세척 설비가 구비된 출발지로 복귀한 후 하판(120)만 슬라이딩 이동시켜 세척하면 되므로 각종 설비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 작업이 용이하고, 민원을 야기하지도 않게 된다.
이를 위해, 하판(12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판(120) 둘레를 따라 벽체(121)가 형성되어 상판(130)을 통해 낙하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판(13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 물저장탱크(150), 분말저장탱크(160), 믹서(170), 공급장치(180) 등의 보강 설비가 탑재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용접 또는 볼팅 결합되어 있으며, 금속 망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30)의 둘레는 각관 등의 구조 부재가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에 적재되는 보강 설비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망상 구조의 상판(130)이 처짐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보강 설비가 안착되는 부분에는 금속판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금속판은 타공판(131)으로 이루어져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면서 이물질의 낙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발판(140)은 상판(130)에 적재된 보강 설비를 적재하거나 내리고자 할 때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30) 또는 베이스프레임(100)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더하여, 경사면의 각도를 줄여주거나, 탑재 위치가 높은 경우 보다 쉽게 보강 설비를 설치하거나 내리기 위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다수의 관이 연결된 다중관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의 하부발판(141)에는 경첩(144)이 설치되어 상판(130) 또는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발판(141)의 내부에는 동일하게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의 중간발판(142)의 하부가 삽입되고, 중간발판(142)에 상부발판(143)이 삽입되는 3단 슬라이딩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발판(140)의 회전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길이 조절 후 위치 고정을 위한 공지의 다양한 조절 및 고정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그 중에 바람직하기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판(130) 또는 베이스프레임(100)에 하부가 고정된 설치프레임(106)이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편, 이 설치프레임(106)에는 유압 엑츄에이터(145)의 몸체(145a)가 회전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유압 엑츄에이터(145)의 로드(145b) 역시 하부발판(141)에 회전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엑츄에이터(145)의 유압 작동에 의해 하부발판(141)의 회전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유압에 의해 회전 각도가 특정 위치에서 조절되므로 보강 설비의 상차 및 하차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또, 하부발판(141)의 양측에는 상기 중간발판(142)과의 사이로 여유공간(141a)이 형성되고, 이 여유공간(141a)에 제1엑츄에이터(146)가 설치되어 그 로드는 브라켓을 통해 중간발판(142)과 연결되고, 이 브라켓에 다시 제2엑츄에이터(147)의 몸체가 결합되고, 그 로드는 상부발판(143)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두 엑츄에이터(146, 147)의 작동에 의해 발판(140)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역시 유압에 의해 발판(140)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강 설비의 상차 및 하차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물저장탱크(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30) 상부에 적재되어 있고, 내부에 물이 저장된다.
물저장탱크(150) 내부에는 저장된 물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펌프(151) 및 물배출관(152)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물배출관(152)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관로상에 공지의 배관클램프(153)가 설치되어 믹서(170)와 간편하게 연결 및 연결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분말저장탱크(160)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판(130) 상부에 적재되어 있으며, 내부에 분말 또는 입자상의 결합재 및 충진재가 혼합된 상태 또는 각각 단독으로 저장되되어 있다.
분말저장탱크(160)는 여러 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탱크에 시멘트, 모래, 자갈, 혼화재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분말저장탱크(160)에 저장된 원료를 믹서로 공급하는 방식은 삽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공급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관로상에 클램프가 설치되어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된 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
배관이 설치되는 경우 배관을 따라 원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 스크류 컨베이어 등의 미도시된 이송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믹서(170)는 상기 상판(130) 상부에 적재되어 있으며, 상기 물저장탱크(150) 및 분말저장탱크(160)에 저장되어 있는 원료를 혼합 교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믹서(170)는 내부에 교반축과 교반날개가 구비되고, 교반축에는 모터가 장착되어 모터 구동에 의해 내부 원료를 혼합 교반하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것처럼 믹서(170)는 물저장탱크(150)와 분말저장탱크(160)와 배관 연결되어 적량의 원료를 직접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수액저장탱크(230) 역시 상판(130) 상부에 적재되어 있으며, 내부에 액상 에폭시 등의 방수액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방수액저장탱크(230)는 공급호스(200)와 배관 연결되어 공급호스(200)를 통해 방수액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공급장치(18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판(130) 상부에 적재되어 있으며, 상기 믹서(170)에서 혼합 교반된 그라우트재 및 방수액저장탱크(23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방수액을 전주 내부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기본적인 공급장치(180)는 믹서(170) 및 방수액저장탱크(230)와 배관 연결되고, 관로상에 공급펌프(201)가 설치되어 있는 공급호스(200) 및 양측이 공급호스(200) 및 전부(1)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주입노즐(2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급장치(180)는 하나로 이루어져 공급호스(200)를 선택적으로 믹서(170) 또는 방수액저장탱크(230)에 착탈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액저장탱크(230)와 연결되고, 공급장치(180)와 동일한 구성을 이루어진 보조공급장치(180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2. 방수층형성단계
상기 이동식 트레이를 노후 전주에 근접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공급장치(180)의 일측을 방수액저장탱크(230)와 연결하고, 타측은 발판볼트홀(2)에 연결시킨 후,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통해 방수액을 공급한 후 경화시켜 전주(1) 내주면에 방수층(300)을 형성한다.
방수층(300) 시공시 필요(방수액의 점도, 방수액의 경화 정도, 방수액의 과다 투입 양의 정도)에 따라 전주(1) 하부의 발판볼트를 분리하여 발판볼트홀(2)을 통해 전주(1) 내벽면에 달라붙은 방수액 외의 잔여 방수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강선(400) 삽입 전 전주(1)의 내주면에 방수층(300)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이동식 트레이가 트럭(1)에 설치된 상태로 전주(1)에 근접하여 위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에는 공급장치(180)가 구비된 이동식 트레이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 도 3은 이동식 트레이에 배치된 공급장치(180)의 내부 상태, 도 4 및 도 5에는 공급장치(180)를 전주(1)에 연결 설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공급장치(180)는 케이스(190), 공급호스(200), 주입노즐(210) 및 체결구(220)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1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타공판(131)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 개폐도어(191)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바닥면 일측에는 상기 망상 구조의 상판(130)과 연통되는 연통홀(19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통홀(192) 상측으로는 일측에 상기 발판볼트홀(2)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노즐설치홀(193)이 구비되어 있고, 외경이 전주(1)와 동일한 외경을 취하는 내부가 빈 관 형태를 취하면서 상기 연통홀(192)과 연통되는 노즐거치관(194)이 구비되어 있다.
공급호스(200)는 상기 믹서(170)와 배관 연결되며, 관로상에 공급펌프(20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90) 내부에 행거 등을 통해 둘둘 말려 설치되어 있다.
주입노즐(210)은 일측이 상기 공급호스(200)와 노즐클램프(212)를 통해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노즐설치홀(193)에 끼워져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공급호스(200) 내부의 주입물이 연통홀(192)을 통해 하판(120)에 낙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주입노즐(210)은 일측에 상기 발판볼트홀(2) 또는 노즐설치홀(193)에 끼워지는 볼트홀체결부(211)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측은 일측에 비해 외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주입노즐(210)은 몸체가 하기 관통공(61)을 관통하며, 타측은 주입물이 공급되는 공급호스(200)와 노즐클램프(212)를 통해 연결된다.
볼트홀체결부(211)는 외주면이 민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발판볼트홀(2)에 볼트 결합될 수도 있다.
노즐클램프(212)는 통상의 배관을 연결하는 클램프로 공지의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노즐클램프(212)에는 주입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패킹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시공시 실리콘을 틈새에 도포하여 주입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아주도록 할 수도 있다.
체결구(220)는 일측 상부는 상기 공급호스(200)를 지지하고, 타측 상부는 상기 주입노즐(210)을 지지하면서 주입노즐(210)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노즐거치관(194)을 감싸 체결되며, 노즐거치관(194)에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은 공급장치(180)의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공급호스(200) 내부의 잔여 주입물이 위치한 상태를 이룰 경우 공급호스(200) 내벽면에 주입물이 굳은 채 달라붙어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급장치(180) 미작동시 공급호스(200)의 단부측이 개방된 상태로 하판(120) 상부와 연통되는 노즐거치관(194)에 연결되어 공급호스(200) 내부의 주입물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체결구(220)는 노즐거치관(194)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연결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체결구(220)와 전주(1)와의 연결 및 설치는 케이스(190) 내부의 연결 상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체결구가 전주에 연결된 상태는 도 4 및 5를 보면 알 수 있다.
체결구(22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체결구(220)는 베이스플레이트(10), 일측클램핑부재(20), 타측클램핑부재(30), 잠금장치(40), 노즐설치부재(50), 가이드부재(60), 가압볼트(80), 호스안착부재(90)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일측으로 연장된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며, 일측클램핑부재(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방측(전주 방향)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주(1) 또는 노즐거치관(194)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도록 반원형의 라운드진 형상을 취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일측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 절곡된 부분이 일측클램핑부재(2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노즐설치부재(50)에 일측클램핑부재(20)가 용접 고정됨으로써 간접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타측클램핑부재(30)는 상기 일측클램핑부재(20)에 회전 또는 착탈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주(1) 또는 노즐거치관(194)의 외주면 타측을 감싸도록 반원형의 라운드진 형상을 취한다.
잠금장치(40)는 상기 일측클램핑부재(20)와 타측클램핑부재(30)를 상호 고정시켜주도록 이루어져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 일측클램핑부재(20)와 타측클램핑부재(30)가 마주하는 일측은 각각 일측평판부(21)와 타측평판부(31)가 외곽으로 돌출되어 서로 마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두 평판부(21, 31)에는 각각 볼트 체결을 위한 홀이 가공되어 있고, 이 홀에는 연결볼트(41)가 관통되며, 두 평판부(21,31) 사이에 중간너트(42)가 하나 체결되고, 일측평판부(21)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볼트(41)에 마감너트(43)가 체결되어 있다.
또, 일측클램핑부재(20)와 타측클램핑부재(30)가 맞닿는 타측을 살펴보면, 일측클램핑부재(20)의 타측에 버클(4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버클(45)에를 잠금링(45a)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이에 대응되는 타측클램핑부재(20)의 타측에는 일측에 상기 잠금링(45a)이 끼워지는 체결홈(44a)이 구비된 잠금부재(44)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전주 고정 전에는 일측은 중간너트(42) 및 마감너트(43)를 이용하여 두 평판부(21, 31) 사이가 중간너트(42)에 의해 조여지지 않은 상태가 되어 타측클램핑부재(30)가 연결볼트(41)를 통해 회전한 상태를 취하고, 평상시 버클(45)과 잠금부재(44)가 서로 연결,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취하는 것이다.
반대로 고정시에는 타측클램핑부재(30)를 회전시켜 일측클램핑부재(20)와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전주(1)를 감싼 다음에 중간너트(42) 및 마감너트(43)의 조작, 버클(45)의 조작으로 양측에서 두 클램핑부재(20, 30)를 전주(1)를 감싼 채 고정시켜주게 된다.
이러한 잠금장치(40)의 구성은 단지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두 클램핑부재(20,30)의 일측이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타측은 도시된 버클 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잠금장치를 활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노즐설치부재(50)는 상기 일측클램핑부재(20)의 후방측에 위치 한 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안착부재(51)가 설치되어 주입노즐(210)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노즐설치부재(50)는 미표기된 기둥 또는 금속 부재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재(60)는 하부 양측이 상기 안착부재(5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는 원형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이루어 상기 안착부재(51)와의 사이로 상기 주입노즐(210)의 중간 부분이 끼워지는 관통공(61)을 형성하되, 상부 중간에 너트부재(62)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재(60)의 양측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노즐설치부재(50)에는 가이드부재(60)의 양측 기둥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한편, 노즐설치부재(50)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너트를 가이드부재(60)에 체결함으로써 가이드부재(60)를 노즐설치부재(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가압볼트(80)는 상기 너트부재(62)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주입노즐(210)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호스안착부재(9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후방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호스(200)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호스안착홈(91)이 형성되어 있다.
주입노즐(210)을 고정하지 않을 경우 주입물 주입시 발생하는 압력, 반발력 등에 의해 주입노즐(210)이 후방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가압볼트(80)가 주입노즐(210)을 가압하여 고정하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주입노즐(210)이 공급호스(200)와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공급호스(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호스안착부재(90)에는 상기 공급호스(200)를 감싸주는 권취부재(90a)가 구비될 수 있다.
권취부재(90a)는 공급호스(200)에 밀착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공급호스(200)의 완전 이탈만을 방지할 정도로 감싸주기만 하면 된다.
이때, 상기 호스안착부재(9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안착부재(90)의 상단은 상기 노즐클램프(212)의 하부 벽면에 지지될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호스안착부재(90)를 전방으로 밀고 있게 되면 호스안착부재(90)가 노즐클램프(212)를 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주입노즐(210)이 발판볼트홀(2)에 체결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려 빠져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호스안착부재(90)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저부로 돌출되는 손잡이(93e)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93e)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손잡이(93e)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호스안착부재(90)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93g)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는 호스안착부재(90)로 하여금 노즐클램프(212)의 하부 벽면에 지지되도록 전방으로 밀어낸 후, 고정너트(93g)를 조작하여 호스안착부재(90)의 전, 후 이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렇게 되면 고정너트(93g)가 주입노즐(210)의 후방 밀림을 완전히 억제한 상태가 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밀고 있지 않아도 주입노즐(210)이 발판볼트홀(2)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구성을 도 6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방형의 형상을 취하는 슬롯홀(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안착부재(90)는 하부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9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92)에는 상부볼트체결홀(92a)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호스안착부재(90)에는 이동부재(93)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동부재(93)는 상기 슬롯홀(11)을 통과하여 상기 안착부(92) 저부에 밀착하고, 상기 상부볼트체결홀(92a)과 수직으로 일직선상을 취하는 하부볼트체결홀(93b)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볼트(93f)를 통해 상기 안착부(92)에 고정되는 고정부(93a)와, 상부가 상기 고정부(93a)에 연결된 채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93c)와, 상기 측벽부(93c)에 연결된 채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롯홀(11) 저부의 베이스플레이트(10)에 지지되는 지지부(93d)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손잡이(93e)는 상기 측벽부(93c)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호스안착부재(90)가 이동부재(93)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호스안착부재(90)가 노즐클램프(212)의 하부 벽면에 지지되도록 전방으로 밀어낸 후, 고정너트(93g)를 조작하여 호스안착부재(90)의 전, 후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수층(300) 형성은 상기의 공급장치(180)를 활용할 경우, 상기 체결구(220)로 전주(1)를 감싸 고정한 후, 주입노즐(210)의 볼트홀체결부(211)을 발판볼트홀(2)에 끼운 후, 주입노즐(210)을 체결구(220)에 고정한 다음, 노즐클램프(212)를 이용하여 공급호스(200)와 주입노즐(210)을 상호 고정시킨 다음, 공급호스(200)로 방수액을 공급하여 방수액이 전주(1) 내부에 주입되어 전주(1) 내주면에 도포되도록 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3. 강선삽입단계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발판볼트홀(2)을 통해 전주(1) 내부에 다수 개의 와이어 강선(400)을 삽입한다.
이때, 강선(400) 삽입 위치는 그라우트재가 충진되는 발판볼트홀(2)을 통해 투입할 수도 있고, 그 상측의 발판볼트홀(2)을 통해 투입할 수도 있다.
강선(400)을 삽입하게 되면 전단 보강 능력이 보다 더 향상되게 된다.
이때, 강선의 삽입시 주입노즐(210)을 활용할 수 있다.
즉, 주입노즐(210)을 활용한 방수액의 공급이 끝난 후, 노즐클램프(212)를 풀어 공급호스(200)을 주입노즐(210)과 분리한 후, 주입노즐(210)의 입구가 큰 지점을 통해 와이어 강선(400)을 밀어넣게 되면 강선(400)이 깔대기 형상의 주입노즐(210) 내부를 통해 전주(1) 내부에 투입되므로, 와이어 강선(40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4. 그라우팅단계
상기 공급장치(180)를 믹서(170)와 연결한 후,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통해 그라우트재를 공급한 후 양생하여 전주(1) 내부에 보강층(500)을 형성한다.
이러한 그라우팅단계 역시 상기 체결구(220)로 전주(1)를 감싸 고정한 후, 주입노즐(210)의 볼트홀체결부(211)을 발판볼트홀(2)에 끼운 후, 주입노즐(210)을 체결구(220)에 고정한 다음, 노즐클램프(212)를 이용하여 공급호스(200)와 주입노즐(210)을 상호 고정시키고, 공급호스(200)로 그라우트재를 공급하여 그라우트재가 전주(1) 내부에 주입된 후 양생되도록 함으로써 도 9와 같이 보강층(500)을 형성하게 된다.
그라우트재의 조성은 공지의 보강용 그라우트재를 구입하여 사용하면 되나, 발판볼트홀(2)을 활용하는 관계로 골재 입경이 2mm 이하인 것을 분쇄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공급호스를 통한 원할한 그라우트재 이송을 위해 물 비율은 대략 13 ~ 18% 정도로 배합하여 진행한다.
이상과 같이 그라우팅이 이루어진 후에는 전주(1)에 연결된 공급호스(200), 주입노즐(210), 체결구(220)를 전주(1)로부터 분리한 후, 노즐거치관(194)에 연결하면, 공급호스(200) 내부의 잔량의 그라우트재가 노즐거치관(194) 내부, 연통홀(192)을 통해 하판(120)에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그라우트가 완료된 후 공급장치(180)를 원래의 상태로 연결하고, 세척이 가능한 장소로 이동한 후 하판(120)만을 슬라이딩 이동하여 밖으로 빼낸 후 ?하판(120)만을 세척하는 세척단계가 진행됨으로써 간편하게 후처리를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그라우트재의 주입 전 방수층을 형성하게 되어 전신주의 수분 흡수율을 감소시키고, 전신주와 그라우트재가 견고하게 일체화될 수 있게 해준다.
1 : 전주 2 : 발판볼트홀
3 : 발판볼트 4 : 트럭
10 : 베이스플레이트 11 : 슬롯홀
20 : 일측클램핑부재 21 : 일측평판부
30 : 타측클램핑부재 31 : 타측평판부
40 : 잠금장치 41 : 연결볼트
42 : 중간너트 43 : 마감너트
44 : 잠금부재 44a : 체결홈
45 : 버클 45a : 잠금링
50 : 노즐설치부재 51 : 안착부재
60 : 가이드부재 61 : 관통공
62 : 너트부재
80 : 가압볼트 90 : 호스안착부재
91 : 호스안착홈 92 : 안착부
92a : 상부볼트체결홀 93a : 고정부
93b : 하부볼트체결홀 93c : 측벽부
93d : 지지부 93e : 손잡이
93f : 체결볼트 93g : 고정너트
100 : 베이스프레임 101 : 가로부재
102 : 세로부재 103 : 간격형성부재
104 : 하판지지부재 105 : 하판삽입공간
106 : 설치프레임 110 : 바퀴
111 : 바퀴프레임 112 : 회전축
113 : 축연결부재 120 : 하판
121 : 벽체 122 : 저장공간
130 : 상판 131 : 타공판
140 : 발판 141 : 하부발판
141a : 여유공간 142 : 중간발판
143 : 상부발판 144 : 힌지
145 : 엑츄에이터 145a : 몸체
145b : 로드 146 : 제1엑츄에이터
147 : 제2엑츄에이터 150 : 물저장탱크
151 : 물공급펌프 152 : 물배출관
153 : 배관클램프 160 : 분말저장탱크
170 : 믹서 180 : 공급장치
190 : 케이스 191 : 개폐도어
192 : 연통홀 193 : 노즐설치홀
194 : 노즐거치관 200 : 공급호스
201 : 공급펌프 210 : 주입노즐
211 : 볼트홀체결부 212 : 노즐클램프
220 : 체결구 300 : 방수층
400 : 강선 500 : 보강층

Claims (5)

  1. 외주면에 발판볼트(3) 체결을 위한 발판볼트홀(2)이 구비되어 있는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이용하여 노후 전주를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부에 바퀴(110)가 장착된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15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고 결합재 및 충진재가 저장되는 분말저장탱크(16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고 방수액이 저장되는 방수액저장탱크(230)와, 상기 물저장탱크 및 분말저장탱크에 저장된 원료를 혼합 교반시켜 그라우트재를 제조하는 믹서(17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부에 적재되고,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통해 액체 또는 슬러리 상태의 주입물을 전주(1)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급장치(180)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식 트레이를 준비하는 트레이준비단계와;
    상기 이동식 트레이를 노후 전주에 근접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공급장치(180)의 일측을 방수액저장탱크(230)와 연결하고, 타측은 발판볼트홀(2)에 연결시킨 후,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통해 방수액을 공급한 후 경화시켜 전주(1) 내주면에 방수층(300)을 형성하는 방수층형성단계와;
    상기 발판볼트홀(2)을 통해 전주(1) 내부에 다수 개의 와이어 강선(400)을 삽입하는 강선삽입단계와;
    상기 공급장치(180)를 믹서(170)와 연결한 후, 전주(1)의 발판볼트홀(2)을 통해 그라우트재를 공급한 후 양생하여 전주(1) 내부에 보강층(500)을 형성하는 그라우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180)는,
    일측이 상기 믹서(170) 또는 방수액저장탱크(230)에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관로상에 공급펌프(201)가 설치되어 있는 공급호스(200)와;
    일측에 상기 발판볼트홀(2)에 끼워지는 볼트홀체결부(211)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측은 일측에 비해 외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공급호스(200)와 노즐클램프(212)를 통해 연결되는 주입노즐(210)과;
    일측 상부는 상기 공급호스(200)를 지지하고, 타측 상부는 상기 주입노즐(210)을 지지하면서 주입노즐(210)이 고정되고, 타측은 전주(1)를 감싸 착탈되는 체결구(2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수층형성단계 및 그라우팅단계는,
    상기 체결구(220)로 전주(1)를 감싸 고정한 후,
    주입노즐(210)의 볼트홀체결부(211)을 발판볼트홀(2)에 끼운 후, 체결구(220)에 고정한 다음,
    노즐클램프(212)를 이용하여 공급호스(200)와 주입노즐(210)을 상호 고정시키고,
    공급호스(200)로 방수액 또는 그라우트재를 공급하여 방수액 또는 그라우트재가 전주(1) 내부에 주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삽입단계는
    상기 공급장치(180)를 전주(1)에 설치한 상태에서 노즐클램프(212)를 풀어 공급호스(200)와 주입노즐(210)을 분리한 후, 와이어 강선(400)을 상기 주입노즐(210) 내부를 통해 전주(1) 내부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220)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방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주(1) 또는 노즐거치관(194)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도록 반원형의 라운드진 형상을 취하는 일측클램핑부재(20)와;
    상기 일측클램핑부재(20)에 회전 또는 착탈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주(1) 또는 노즐거치관(194)의 외주면 타측을 감싸도록 반원형의 라운드진 형상을 취하는 타측클램핑부재(30)와;
    상기 일측클램핑부재(20)와 타측클램핑부재(30)를 상호 고정시켜주는 잠금장치(40)와;
    상기 일측클램핑부재(20)의 후방측에 위치 한 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안착부재(51)가 설치되어 있는 노즐설치부재(50)와;
    하부 양측이 상기 안착부재(5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는 원형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이루어 상기 안착부재(51)와의 사이로 상기 주입노즐(210)의 중간 부분이 끼워지는 관통공(61)을 형성하되, 상부 중간에 너트부재(62)가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부재(60)와;
    상기 너트부재(62)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주입노즐(210)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볼트(8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후방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호스(200)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호스안착홈(91)이 형성되어 있는 호스안착부재(9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트레이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금속 망상 구조로 이루어진 상판(130)이 설치되어 있고, 상판(130)의 하부에는 판상의 구조를 이루는 하판(12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물저장탱크(150), 분말저장탱크(160), 방수액저장탱크(230), 믹서(170), 공급장치(180)는 상판(130)에 적재되어 있으며,
    상기 그라우팅단계 이후에,
    상기 하판을 외측으로 슬라이딩시켜 하판(120) 상부를 세척하는 세척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
KR1020210058382A 2021-05-06 2021-05-06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 KR102294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382A KR102294998B1 (ko) 2021-05-06 2021-05-06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382A KR102294998B1 (ko) 2021-05-06 2021-05-06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998B1 true KR102294998B1 (ko) 2021-08-30

Family

ID=7750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382A KR102294998B1 (ko) 2021-05-06 2021-05-06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9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920B1 (ko) * 2022-02-25 2022-09-21 홍민기 발판볼트홀이 구성된 전주 보강을 위하여 전주 내부로 주입물을 공급하는 전신주 보강 방법
CN115354879A (zh) * 2022-09-21 2022-11-18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一种灌浆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759B1 (ko) 1993-09-15 1998-07-01 김광호 냉난방 공기조화기
JP2002357018A (ja) * 2001-06-04 2002-12-13 Giken Kogyo Kk 筒状立設物の補強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759B1 (ko) 1993-09-15 1998-07-01 김광호 냉난방 공기조화기
JP2002357018A (ja) * 2001-06-04 2002-12-13 Giken Kogyo Kk 筒状立設物の補強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920B1 (ko) * 2022-02-25 2022-09-21 홍민기 발판볼트홀이 구성된 전주 보강을 위하여 전주 내부로 주입물을 공급하는 전신주 보강 방법
WO2023163313A1 (ko) * 2022-02-25 2023-08-31 홍민기 발판볼트홀이 구성된 전주 보강을 위하여 전주 내부로 주입물을 공급하는 전신주 보강 방법
CN115354879A (zh) * 2022-09-21 2022-11-18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一种灌浆设备
CN115354879B (zh) * 2022-09-21 2024-05-28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一种灌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4998B1 (ko) 전주발판홀을 이용한 노후 전주의 보강 방법
US6666573B2 (en) Portable mixing/delivery apparatus for pre-blended granular mixtures
US54196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mixing and injection of foamed cement grout
US9593457B2 (en) Method and system to manufacture native soil flowable fill
US20210339427A1 (en) Concrete mixer
KR101587064B1 (ko)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일체형 믹싱 및 타설 장치 및 그 방법
KR101359929B1 (ko) 강섬유 공급호퍼가 장착된 이동식 믹서를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구조물
GB2526046A (en) A roadworthy fully mobile batching plant for batching of cementitious material
KR102294994B1 (ko) 전주 보강 설비를 탑재한 이동식 트레이
JP3057490B2 (ja) 斜面コンクリート舗設装置
KR101285090B1 (ko) 강섬유 공급호퍼 및 이를 장착한 이동식 믹서
GB2344296A (en) Vehicle comprising apparatus for making foamed concrete
KR100920109B1 (ko) 현장 거치식 배치 플랜트
CN210679140U (zh) 一体化运行及运输的混凝土搅拌站基础框架
CN211279169U (zh) 一种混凝土制造设备
FR2833627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comblement d'une cavite au moyen d'un mortier
WO2012041078A1 (zh) 砂浆车用伸缩出料装置及砂浆车
CN207420589U (zh) 地铁隧道混凝土喷射设备
CN210594350U (zh) 混凝土自动伸缩下料斗
CN207072028U (zh) 具有提升功能的小型搅拌站
CN219509207U (zh) 一种混凝土灌浆机
JP2911412B2 (ja) 建設工事用充填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充填材を用いた建設現場の充填方法
JP7371313B2 (ja) 流動化処理土供給システム
CN216810998U (zh) 一种混凝土施工浇筑设备
CN210880289U (zh) 一种混凝土混合用材料添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