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781B1 -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 - Google Patents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781B1
KR102294781B1 KR1020210041276A KR20210041276A KR102294781B1 KR 102294781 B1 KR102294781 B1 KR 102294781B1 KR 1020210041276 A KR1020210041276 A KR 1020210041276A KR 20210041276 A KR20210041276 A KR 20210041276A KR 102294781 B1 KR102294781 B1 KR 102294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bar
support
coupl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현정
Original Assignee
변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현정 filed Critical 변현정
Priority to KR1020210041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63B23/1254Rotation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dy, e.g. butterfly-type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6Details of the support elements or their connection to the exercising apparatus, e.g. adjustment of size o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은, 지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ㄱ’자 형태를 이루며, 수직부의 단부가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결합되고 수평부의 단부가 후방을 향해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1 메인 프레임; ‘ㄱ’자 형태를 이루며, 수직부의 단부가 각각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의 양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수평부의 단부가 제1 메인 프레임의 수평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메인 프레임;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시트와, 지지시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기립 배치되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지지쿠션을 구비하며, 베이스 프레임과 제1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어 기립 배치되되, 지지쿠션이 기립 배치되는 기립각도를 조절 가능한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의 측면으로부터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의 지지시트 방향을 향해 회동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 및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운동부하를 조절하는 운동부하 조절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Standing angle adjustable fly machine}
본 발명은, 플라이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상체가 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각도인 기립각도를 쉽고 빠르게 조절함으로써 대흉근, 상완삼두근, 후면삼각근의 운동자극 부위(하부/상부/중부/후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가시간이 늘어나고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근력을 향상시키고 균형 잡힌 신체를 만들기 위하여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training)을 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웨이트 트레이닝은 바벨(barbell), 덤벨(dumbbell) 등과 같이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물체를 이용하여 근육을 단련시키고, 그로 인한 체력 증진을 목표로 하는 운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웨이트 트레이닝에 사용되는 운동 기구 중 펙 덱 플라이 머신(Pec Deck Fly Machine) 또는 플라이 머신(Fly Machine)으로 불리우는 운동기구가 있다.
플라이 머신은 등 또는 견갑골을 등받이에 붙이고 운동기구의 좌석에 앉은 상태에서 양팔을 수평으로 벌리고 운동기구의 손잡이를 잡고서 가슴에 힘을 주어 양팔을 가슴 앞으로 모아주는 자세를 반복함으로써, 대흉근의 수축과 이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대흉근을 중심으로 상완삼두근 및 후면삼각근을 포함한 다양한 근육을 발달시키는 운동기구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플라이 머신은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석의 시트와 사용자의 등 또는 견갑골이 지지되는 등받이가 고정된 상태로 제작되며, 등받이가 수직으로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상체가 수직으로 기립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양팔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하는 라인과 사용자의 상체가 직각으로 교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대흉근의 상부, 중부 또는 하부 중에서 원하는 부위에 자극을 주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양팔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하는 라인과 사용자의 상체가 교차되는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와 등받이가 고정된 상태로 제작되는 종래의 플라이 머신은 사용자의 상체가 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각도인 기립각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플라이 머신을 이용하여 대흉근을 중심으로 운동자극이 발생하는 기본 플라이 운동 뿐만 아니라 후면삼각근을 포함한 등과 어깨의 근육을 중심으로 운동자극이 발생하는 리버스 플라이 운동을 하기 위해 구조를 변경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9095호, (2010.01.28)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상체가 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각도인 기립각도를 쉽고 빠르게 조절함으로써 대흉근, 상완삼두근, 후면삼각근의 운동자극 부위(하부/상부/중부/후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간단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기본 플라이 운동 뿐만 아니라 리버스 플라이 운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플라이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ㄱ’자 형태를 이루며, 수직부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결합되고 수평부의 단부가 후방을 향해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1 메인 프레임; ‘ㄱ’자 형태를 이루며, 수직부의 단부가 각각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의 양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수평부의 단부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평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메인 프레임;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시트와, 상기 지지시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기립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지지쿠션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어 기립 배치되되, 상기 지지쿠션이 기립 배치되는 기립각도를 조절 가능한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 상기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의 상기 지지시트 방향을 향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 및 상기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운동부하를 조절하는 운동부하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직부로부터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기 지지시트와 상기 지지쿠션이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직부로부터 이격되는 하부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하부이격거리 조절모듈;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직부로부터 이격되는 상부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상부이격거리 조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이격거리 조절모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지면과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바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바의 외부를 둘러싸며 결합되는 슬라이딩 블록; 및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바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바의 선택된 위치에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고정시키는 슬라이딩 블록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이격거리 조절모듈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직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관통 배치되는 거리조절 바;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직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관통 배치되어 상기 거리조절 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수용되는 거리조절 바 수용블록; 및 상기 거리조절 바 수용블록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거리조절 바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거리조절 바의 선택된 위치에 상기 거리조절 바 수용블록을 고정시키는 수용블록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시트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지지시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지지시트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한 결합위치를 조절하는 시트위치 조절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원반; ‘ㄴ’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부의 단부는 상기 회동원반에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직부는 상기 지지시트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는 제1 회동바; 상기 회동원반과 상기 제1 회동바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회동바의 수평부가 돌출되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제1 회동고정모듈; ‘ㄴ’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부의 단부는 상기 제1 회동바의 수직부 상단부에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직부는 상기 지지쿠션의 측면을 향해 배치되어 사용자의 파지위치를 제공하는 제2 회동바; 및 상기 제1 회동바와 상기 제2 회동바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회동바의 수평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제2 회동고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 각각은, 상기 제2 회동고정모듈에 결합되되 상기 제2 회동바의 수평부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사용자가 상기 지지쿠션에 상체의 전면부를 지지하고 리버스 플라이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파지위치를 제공하는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사용자가 상기 지지쿠션에 상체의 전면부를 지지하고 리버스 플라이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발받침위치를 제공하는 리버스 플라이용 발받침 플레이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운동부하 조절유닛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에 수직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량물이 수납되는 중량물 회동모듈; 및 상기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과 상기 중량물 회동모듈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의 회동동작을 상기 중량물 회동모듈의 회동동작으로 전달하는 운동전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전달모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 영역에 결합되며, 미리 결정된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도르래;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평부 일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도르래; 상기 중량물 회동모듈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3 도르래; 및 상기 한 쌍의 제1 도르래, 한 쌍의 제2 도르래 및 제3 도르래를 사이에 두고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회동원반에 각각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상체가 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각도인 기립각도를 쉽고 빠르게 조절함으로써 대흉근, 상완삼두근, 후면삼각근의 운동자극 부위(하부/상부/중부/후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기본 플라이 운동 뿐만 아니라 리버스 플라이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부이격거리 조절모듈을 중심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상부이격거리 조절모듈을 중심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에 의해 기립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하부이격거리 조절모듈을 중심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상부이격거리 조절모듈을 중심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에 의해 기립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은, 베이스 프레임(100)과, 제1 메인 프레임(200)과, 제2 메인 프레임(300)과,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400)과, 회동손잡이유닛(500)과, 운동부하 조절유닛(600)과, 발받침 플레이트(70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지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이며,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메인 프레임(200)은‘ㄱ’자 형태를 이루며, 수직부(210)의 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00)의 중앙 영역에 결합되고 수평부(230)의 단부가 후방을 향해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으로서, 기립 배치되는 수직부(210)가 후술하는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400)의 지지프레임(410) 및 운동부하 조절유닛(600)의 중량물 회동모듈(610)을 지지하는 중심 기둥의 역할을 한다.
제2 메인 프레임(300)은‘ㄱ’자 형태를 이루며, 수직부(310)의 단부가 각각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의 양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수평부(330)의 단부가 제1 메인 프레임(200)의 수평부(230) 양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프레임으로서, 전술한 제1 메인 프레임(200)의 수평부(23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400)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시트(401)와, 지지시트(40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기립 배치되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지지쿠션(402)을 구비하며, 베이스 프레임(100)과 제1 메인 프레임(200)에 연결되어 기립 배치되되, 지지쿠션(402)이 기립 배치되는 기립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400)을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의 상체가 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각도인 기립각도를 쉽고 빠르게 조절함으로써 대흉근, 상완삼두근, 후면삼각근의 운동자극 부위(하부/상부/중부/후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400)은 대흉근, 상완삼두근, 후면삼각근의 상부, 중부, 하부, 후면 중에서 원하는 부위에 자극을 주기 위해, 사용자의 양팔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라인과 사용자의 상체가 교차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400)은, 지지시트(401)와, 지지쿠션(402)과, 지지프레임(410)과, 하부이격거리 조절모듈(430)과, 상부이격거리 조절모듈(450)과, 시트위치 조절모듈(470)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410)은 제1 메인 프레임(200)의 수직부(210)로부터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며, 지지시트(401)와 지지쿠션(402)이 결합되어 사용자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술할 하부이격거리 조절모듈(430)과 상부이격거리 조절모듈(45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지지프레임(410)의 기립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상체가 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각도인 기립각도를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대흉근, 상완삼두근, 후면삼각근의 운동자극 부위(하부/상부/중부/후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의 양팔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하는 라인과 사용자의 상체가 교차되는 각도가 90도를 넘지 않는 디클라인(decline) 자세를 형성하여 대흉근의 하부에 운동자극을 집중시키거나, 사용자의 양팔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하는 라인과 사용자의 상체가 교차되는 각도가 90도를 넘어가게 되는 인클라인(incline) 자세를 형성하여 대흉근의 상부에 운동자극을 집중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양팔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하는 라인과 사용자의 상체가 교차되는 각도가 90도를 이루게 하여 대흉근의 중부에 운동자극을 집중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지지쿠션(402)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착석하고 지지쿠션(402)에 가슴을 밀착하여 양팔을 가슴중심에서 밖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자세로 운동을 진행한다. 이 경우에, 후면삼각근에 운동자극이 보다 집중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운동자극을 집중시키고자 하는 자세와 운동방향을 결정하여 원하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즉, 인클라인 자세 또는 디클라인 자세에서의 운동방향과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운동자극이 집중되는 대흉근, 상완삼두근, 후면삼각근의 하부/상부/중부/후면을 보다 세밀하게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자극할 수 있게 해준다.
하부이격거리 조절모듈(430)은 지지프레임(410)의 하부와 베이스 프레임(10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지지프레임(410)의 하부가 제1 메인 프레임(200)의 수직부(210)로부터 이격되는 하부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슬라이딩 가이드 바(431)와, 슬라이딩 블록(433)과, 슬라이딩 블록 고정핀(435)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가이드 바(431)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지면과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슬라이딩 블록(433)은 지지프레임(410)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슬라이딩 가이드 바(43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가이드 바(431)의 외부를 둘러싸며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슬라이딩 블록 고정핀(435)은 슬라이딩 블록(433)의 일측에 마련되며, 슬라이딩 가이드 바(431)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 끼움결합되어 슬라이딩 가이드 바(431)의 선택된 위치에 슬라이딩 블록(433)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부이격거리 조절모듈(450)은 지지프레임(410)의 상부와 제1 메인 프레임(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지지프레임(410)의 상부가 제1 메인 프레임(200)의 수직부(210)로부터 이격되는 상부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거리조절 바(451)와, 거리조절 바 수용블록(453)과, 수용블록 고정핀(455)을 포함한다.
거리조절 바(451)는 지지프레임(410)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제1 메인 프레임(200)의 수직부(210)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관통 배치되는 구성요소이며, 거리조절 바 수용블록(453)은 제1 메인 프레임(200)의 수직부(21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메인 프레임(200)의 수직부(210)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관통 배치되어 거리조절 바(45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수용되는 구성요소이다.
수용블록 고정핀(455)은 거리조절 바 수용블록(453)의 일측에 마련되며, 거리조절 바(451)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 끼움결합되어 거리조절 바(451)의 선택된 위치에 거리조절 바 수용블록(453)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하부이격거리 조절모듈(430)과 상부이격거리 조절모듈(450)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400)에 의해 지지프레임(410)의 기립각도를 변경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체가 뒤로 눕혀지는 방향으로 지지프레임(410)의 기립각도가 변경되면, 사용자의 양팔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하는 라인과 사용자의 상체가 교차되는 각도가 90도를 넘지 않는 디클라인(decline) 자세가 형성되어 대흉근의 하부에 운동자극이 집중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디클라인(decline) 자세를 형성하기 위하여, 먼저 하부이격거리 조절모듈(430)을 조절하게 된다.
즉, 슬라이딩 블록 고정핀(435)을 현재 고정되어 있는 고정홀에서 뽑은 상태로 유지하면서 슬라이딩 블록(433)을 슬라이딩 가이드 바(43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배치한 후에, 슬라이딩 블록 고정핀(435)을 원하는 고정홀에 끼움결합시켜서 슬라이딩 가이드 바(431)의 선택된 위치에 슬라이딩 블록(433)을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부이격거리 조절모듈(450)을 조절하게 된다.
즉, 수용블록 고정핀(455)을 현재 고정되어 있는 고정홀에서 뽑은 상태로 유지하면서 거리조절 바(451)를 거리조절 바 수용블록(453)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배치한 후에, 수용블록 고정핀(455)을 원하는 고정홀에 끼움결합시켜서 거리조절 바(451)의 선택된 위치에 거리조절 바 수용블록(453)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지프레임(410)의 기립각도를 쉽고 빠르게 변경시킴으로써, 디클라인(decline) 자세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5의 (b)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체가 앞으로 숙이는 방향으로 지지프레임(410)의 기립각도가 변경되면, 사용자의 양팔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하는 라인과 사용자의 상체가 교차되는 각도가 90도를 넘어가게 되는 인클라인(incline) 자세가 형성되어 대흉근의 상부에 운동자극이 집중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인클라인(incline) 자세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상부이격거리 조절모듈(450)과 하부이격거리 조절모듈(430)을 차례로 조절함으로써, 지지프레임(410)의 기립각도를 쉽고 빠르게 변경시켜 인클라인(incline) 자세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시트위치 조절모듈(470)은 지지프레임(410)과 지지시트(401)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지지시트(40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지지시트의 지지프레임에 대한 결합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회동손잡이유닛(500)은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4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400)의 측면으로부터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400)의 지지시트(401) 방향을 향해 회동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으로 마련된다.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500) 각각은, 회동원반(510)과, 제1 회동바(530)와, 제1 회동고정모듈(520)과, 제2 회동바(550)와, 제2 회동고정모듈(540)과,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570)를 포함한다.
회동원반(510)은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며, 원주를 따라 와이어 수용홈(미도시)이 함입 형성되어 후술할 와이어(미도시)가 수용되어 회동원반(510)의 회동동작에 따라 와이어(미도시)를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
제1 회동바(530)는‘ㄴ’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부의 단부는 회동원반(510)에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직부는 지지시트(401)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제1 회동고정모듈(520)은 회동원반(510)과 제1 회동바(53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베어링 등에 의해 회동원반(510)과 제1 회동바(530)가 상대회동 가능하게 해주되, 제1 회동바(530)의 수평부가 돌출되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양팔을 벌리는 간격을 설정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회동바(550)는‘ㄴ’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부의 단부는 제1 회동바(530)의 수직부 상단부에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직부는 지지쿠션(402)의 측면을 향해 배치되어 사용자의 파지위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회동고정모듈(540)은 제1 회동바(530)와 제2 회동바(55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베어링 등에 의해 제1 회동바(530)와 제2 회동바(550)가 상대회동 가능하게 해주되, 제2 회동바(550)의 수평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기본 플라이 운동을 수행할 때에는 미리 정해진 각도 내에서 제2 회동바(550)가 제1 회동바(530)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며, 이와 달리 리버스 플라이 수행할 때에는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570)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570)는 제2 회동고정모듈(540)에 결합되되 제2 회동바(550)의 수평부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사용자가 지지쿠션(402)에 상체의 전면부를 지지하고 리버스 플라이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파지위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570)는 연장부(571)와 그립부(572)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570)가 돌출되는 방향과 제2 회동바(550)의 수평부가 돌출되는 방향은 180도가 아닌 특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데, 이는 리버스 플라이 수행할 때 그립부(572)를 파지할 때 제2 회동바(550)의 수평부가 사용자의 팔이 움직이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배치한 것이다.
따라서 기본 플라이 운동을 수행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570)의 각각의 연장부(571)가 후방을 향해 점진적으로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배치되며, 제2 회동바(550)는 수직부는 지지쿠션(402)의 측면을 향해 배치되어 사용자가 양팔을 벌린 상태에서 플라이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시작위치에 사용자의 파지위치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제2 회동고정모듈(540)은 제1 회동바(530)와 제2 회동바(55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베어링 등에 의해 제1 회동바(530)와 제2 회동바(550)가 상대회동 가능한 상태, 즉 제2 회동바(550)의 수평부를 고정시키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리버스 플라이 운동을 수행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형태와 달리,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570)의 각각의 연장부(571)가 후방을 향해 나란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며, 이에 따라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570)의 각각의 그립부(572)는 연장부(571)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570)의 위치 고정을 위해 제2 회동고정모듈(540)이 제1 회동바(530)와 제2 회동바(550) 사이에서 상대회동 불가능한 상태, 즉 제2 회동바(550)의 수평부를 고정시킨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기본 플라이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형태에서 리버스 플라이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형태로 변형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형태로부터, 먼저 제2 회동고정모듈(540)이 고정시키고 다음으로 제1 회동고정모듈(520)을 조절함으로써 한 쌍의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570)의 각각의 그립부(572)가 일렬로 배치된 상태로 위치를 변경해 준 다음 리버스 플라이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의 제1 회동바(530)와, 제1 회동고정모듈(520)과, 제2 회동바(550)와, 제2 회동고정모듈(540)과,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570)를 포함하는 회동손잡이유닛(500)을 마련함으로써, 간단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기본 플라이 운동 뿐만 아니라 리버스 플라이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기본 플라이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형태와 리버스 플라이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형태로 쉽고 빠르게 변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운동부하 조절유닛(600)은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50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운동부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중량물 회동모듈(610)과, 운동전달모듈(630)을 포함한다.
중량물 회동모듈(610)은 제1 메인 프레임(200)에 수직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중량물이 수납되는 구성요소로서 운동부하를 일으키는 역할을 하며, 회동바(611)와, 수납봉(613)과, 지지바(615)를 포함한다.
운동전달모듈(630)은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500)과 중량물 회동모듈(610)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500)의 회동동작을 중량물 회동모듈(610)의 회동동작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한 쌍의 제1 도르래(631)와, 한 쌍의 제2 도르래(632)와, 제3 도르래(633)와, 와이어(미도시)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도르래(631)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 영역에 결합되며, 미리 결정된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다. 이 때 미리 결정된 각도는 후술할 와이어(미도시)의 양단부가 한 쌍의 회동원반(510)의 와이어 수용홈을 향해 배치되는 각도와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제2 도르래(632)는 제1 메인 프레임(200)의 수평부(230) 일측에 결합되며, 제3 도르래(633)는 중량물 회동모듈(6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와이어(미도시)는 한 쌍의 제1 도르래(631), 한 쌍의 제2 도르래(632) 및 제3 도르래(633)를 사이에 두고 양단부가 한 쌍의 회동원반(510)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운동부하 조절유닛(600)에 의해 회동손잡이유닛(500)의 회동원반(510)의 회동동작을 중량물 회동모듈(610)의 회동동작과 연동시켜 운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받침 플레이트(700)는 기본 플라이용 발받침 플레이트(710)와 리버스 플라이용 발받침 플레이트(730)를 포함한다.
기본 플라이용 발받침 플레이트(710)는 사용자가 상기 지지쿠션에 상체의 후면부를 지지하고 기본 플라이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발받침위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리버스 플라이용 발받침 플레이트(730)는 사용자가 상기 지지쿠션에 상체의 전면부를 지지하고 리버스 플라이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발받침위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므로, 기본 플라이용 발받침 플레이트(710)와 리버스 플라이용 발받침 플레이트(730)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배치되도록 각각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이격거리 조절모듈(430)과 상부이격거리 조절모듈(450)을 포함하는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400)을 마련함으로써, 간단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상체가 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각도인 기립각도를 쉽고 빠르게 조절함으로써 대흉근의 운동자극 부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회동바(530)와, 제2 회동바(550)와,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570)를 포함하는 회동손잡이유닛(500)을 마련함으로써, 간단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기본 플라이 운동 뿐만 아니라 리버스 플라이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프레임 200: 제1 메인 프레임
300: 제2 메인 프레임 400: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
401: 지지시트 402: 지지쿠션
410: 지지프레임 430: 하부이격거리 조절모듈
450: 상부이격거리 조절모듈 470: 시트위치 조절모듈
500: 회동손잡이유닛 510: 회동원반
530: 제1 회동바 550: 제2 회동바
570: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 600: 운동부하 조절유닛
611: 회동바 613: 수납봉
615: 지지바 631: 제1 도르래
632: 제2 도르래 633: 제3 도르래
700: 발받침 플레이트 710: 기본 플라이용 발받침 플레이트
730: 리버스 플라이용 발받침 플레이트

Claims (6)

  1. 지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ㄱ’자 형태를 이루며, 수직부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 결합되고 수평부의 단부가 후방을 향해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1 메인 프레임;
    ‘ㄱ’자 형태를 이루며, 수직부의 단부가 각각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의 양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고 수평부의 단부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평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메인 프레임;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시트와, 상기 지지시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기립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지지쿠션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어 기립 배치되되, 상기 지지쿠션이 기립 배치되는 기립각도를 조절 가능한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
    상기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의 상기 지지시트 방향을 향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
    상기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운동부하를 조절하는 운동부하 조절유닛; 및
    기본 플라이용 발받침 플레이트 및 리버스 플라이용 발받침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발받침위치를 제공하는 발받침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립각도 조절식 지지유닛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직부로부터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기 지지시트와 상기 지지쿠션이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직부로부터 이격되는 하부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하부이격거리 조절모듈;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직부로부터 이격되는 상부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상부이격거리 조절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이격거리 조절모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지면과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바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바의 외부를 둘러싸며 결합되는 슬라이딩 블록; 및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바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바의 선택된 위치에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고정시키는 슬라이딩 블록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이격거리 조절모듈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직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관통 배치되는 거리조절 바;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직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관통 배치되어 상기 거리조절 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수용되는 거리조절 바 수용블록; 및
    상기 거리조절 바 수용블록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거리조절 바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거리조절 바의 선택된 위치에 상기 거리조절 바 수용블록을 고정시키는 수용블록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원반;
    ‘ㄴ’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부의 단부는 상기 회동원반에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직부는 상기 지지시트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는 제1 회동바;
    상기 회동원반과 상기 제1 회동바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회동바의 수평부가 돌출되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제1 회동고정모듈;
    ‘ㄴ’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부의 단부는 상기 제1 회동바의 수직부 상단부에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직부는 상기 지지쿠션의 측면을 향해 배치되어 사용자의 파지위치를 제공하는 제2 회동바; 및
    상기 제1 회동바와 상기 제2 회동바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회동바의 수평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제2 회동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 각각은,
    상기 제2 회동고정모듈에 결합되되 상기 제2 회동바의 수평부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사용자가 상기 지지쿠션에 상체의 전면부를 지지하고 리버스 플라이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파지위치를 제공하는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버스 플라이용 손잡이 바는,
    후방을 향해 나란하게 돌출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며,

    리버스 플라이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2 회동고정모듈에 의해 상기 제2 회동바의 수평부가 고정되고,

    상기 운동부하 조절유닛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에 수직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중량물이 수납되는 중량물 회동모듈; 및
    상기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과 상기 중량물 회동모듈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회동손잡이유닛의 회동동작을 상기 중량물 회동모듈의 회동동작으로 전달하는 운동전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운동전달모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 영역에 결합되며,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도르래;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의 수평부 일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도르래;
    상기 중량물 회동모듈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3 도르래; 및
    상기 한 쌍의 제1 도르래, 상기 한 쌍의 제2 도르래 및 상기 제3 도르래를 사이에 두고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회동원반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기본 플라이용 발받침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쿠션에 상체의 후면부를 지지하고 기본 플라이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발받침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리버스 플라이용 발받침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쿠션에 상체의 전면부를 지지하고 리버스 플라이 동작을 수행하는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발받침위치를 제공하며,
    상기 기본 플라이용 발받침 플레이트 및 상기 리버스 플라이용 발받침 플레이트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배치되도록 각각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41276A 2021-03-30 2021-03-30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 KR102294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76A KR102294781B1 (ko) 2021-03-30 2021-03-30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76A KR102294781B1 (ko) 2021-03-30 2021-03-30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781B1 true KR102294781B1 (ko) 2021-08-26

Family

ID=7746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276A KR102294781B1 (ko) 2021-03-30 2021-03-30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714B1 (ko) * 2022-02-18 2022-07-07 변현정 후면 어깨 운동 기구
KR102620462B1 (ko) 2023-06-16 2024-01-03 (주)뉴텍웰니스 가변저항모듈이 구비된 운동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7589A (en) * 1993-12-20 1995-08-01 Habing; Theodore J. Upper body exercise machine
US6579213B1 (en) * 2000-02-29 2003-06-17 Hoist Fitness Systems Exercise arm assembly for exercise machine
KR100939095B1 (ko) 2007-08-14 2010-01-28 조금제 체중 체감형 플라이 운동기구
CN205516172U (zh) * 2016-01-19 2016-08-31 武汉百利恒运动用品有限公司 胸肌训练器
JP2016168337A (ja) * 2015-03-14 2016-09-23 習之 納戸 足圧連動トレーニング器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7589A (en) * 1993-12-20 1995-08-01 Habing; Theodore J. Upper body exercise machine
US6579213B1 (en) * 2000-02-29 2003-06-17 Hoist Fitness Systems Exercise arm assembly for exercise machine
KR100939095B1 (ko) 2007-08-14 2010-01-28 조금제 체중 체감형 플라이 운동기구
JP2016168337A (ja) * 2015-03-14 2016-09-23 習之 納戸 足圧連動トレーニング器具
CN205516172U (zh) * 2016-01-19 2016-08-31 武汉百利恒运动用品有限公司 胸肌训练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714B1 (ko) * 2022-02-18 2022-07-07 변현정 후면 어깨 운동 기구
KR102620462B1 (ko) 2023-06-16 2024-01-03 (주)뉴텍웰니스 가변저항모듈이 구비된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3681B2 (en) Core training bench
EP1748824B1 (en) Compact weight bench
US7232404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4286782A (en) Multi-purpose exercise enhancing device
US8118720B2 (en) Abdominal exercise and training apparatus
US5110122A (en) Exerci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00216610A1 (en) Free weight training simulation apparatus
KR102294781B1 (ko) 기립각도 조절식 플라이 머신
US6422982B1 (en) Chiropractic exerciser
US7601106B2 (en) Multi-axis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6575884B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9168416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US7156783B2 (en) Exercise bench and dumbell combination
US7311645B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KR102296498B1 (ko) 레터럴 레이즈 머신
US7112162B2 (en) Exercise machine
US20130274079A1 (en) Exercise machine with unstable user support
US20210283451A1 (en) Dual balance adjustable spring tow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9682270B2 (en) Apparatus for exercise
KR20210042232A (ko) 스쿼트운동기구
US11890504B2 (en) Arm curl fitness apparatus
US10814163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KR102191270B1 (ko) 하체 운동기구
CN214286552U (zh) 锻炼装置
CN101160157A (zh) 轨道式阻力可调球体锻炼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