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603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4603B1 KR102294603B1 KR1020167027072A KR20167027072A KR102294603B1 KR 102294603 B1 KR102294603 B1 KR 102294603B1 KR 1020167027072 A KR1020167027072 A KR 1020167027072A KR 20167027072 A KR20167027072 A KR 20167027072A KR 102294603 B1 KR102294603 B1 KR 1022946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ynchronization signal
- signal
- coverage
- pss
- offs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Mutual synchroniz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TDD(Time Division Duplex)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D2D(Device to Device)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 및 세컨더리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 및 세컨더리 동기 신호가 매핑된 서브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셀 선택 수신 레벨 값 및 셀 선택 품질 값이 모두 0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서브프레임 전송시 0보다 큰 값의 고정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 (e.g. 624Ts)을 적용하는, D2D 신호 전송 방법이다.
Description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 대 장치 통신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장치 대 장치(Device-to-Device; D2D) 통신이란 단말(User Equipment; UE)들 간에 직접적인 링크를 설정하여, 기지국(evolved NodeB; eNB)을 거치지 않고 단말 간에 음성, 데이터 등을 직접 주고 받는 통신 방식을 말한다. D2D 통신은 단말-대-단말(UE-to-UE) 통신, 피어-대-피어(Peer-to-Peer) 통신 등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2D 통신 방식은 M2M(Machine-to-Machine) 통신,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에 응용될 수 있다.
D2D 통신은 급속도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따른 기지국의 부담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에 의하면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 달리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D2D 통신을 도입함으로써, 기지국의 절차 감소, D2D에 참여하는 장치들의 소비 전력 감소, 데이터 전송 속도 증가, 네트워크의 수용 능력 증가, 부하 분산, 셀 커버리지 확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D2D 신호 전송시 오프셋 적용 여부를 정의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TDD(Time Division Duplex)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D2D(Device to Device)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 및 세컨더리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 및 세컨더리 동기 신호가 매핑된 서브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셀 선택 수신 레벨 값 및 셀 선택 품질 값이 모두 0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서브프레임 전송시 0보다 큰 값의 고정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 (e.g. 624Ts)을 적용하는, D2D 신호 전송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TDD(Time Division Duplex) 무선통신시스템에서 D2D(Device to Device)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 및 세컨더리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 및 세컨더리 동기 신호가 매핑된 서브프레임을 전송하며, 상기 단말의 셀 선택 수신 레벨 값 및 셀 선택 품질 값이 모두 0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서브프레임 전송시 0보다 큰 값의 고정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을 적용하는, 단말 장치이다.
상기 단말의 셀 선택 수신 레벨 값 및 셀 선택 품질 값 중 하나라도 0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서브프레임 전송시 0의 값을 갖는 고정 타이밍 어드밴드 오프셋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은 하향링크 라디오 프레임을 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0보다 큰 값의 고정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은, 624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리 동기신호 및 세컨더리 동기 신호는 상기 단말이 수신한 프라이머리 동기신호 및 세컨더리 동기신호와 시간 축 상에서 상이한 자원에 매핑될 수 있다.
상기 셀 선택 수신 레벨 값은 다음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며, SrxleV = Q rxlevmeas - (Q rxlevmin + Q rxlevminoffset ) - Pcompensation - Qoffset temp 상기 Srxlev 은 상기 셀 선택 수신 레벨 값, Q rxlevmeas 은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Q rxlevmin 셀 내 최소 요구 수신 레벨, Q rxlevminoffset은 오프셋 값, Pcompensation 은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 값과 단말의 최대 RF 출력 중 큰 값의 차이와 0 중 큰 값, Qoffset temp 임시 오프셋 값일 수 있다.
상기 셀 선택 품질 값은 다음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며, Squal = Q qualmeas - (Q qualmin + Q qualminoffset ) - Qoffset temp 상기 Squal 은 상기 셀 선택 품질 값, 상기 Q qualmeas 는 RSRQ(Reference Signal Recieved Quality), Q qualmin 셀 내에서 최소 요구 품질 레벨, Q qualminoffset 오프셋 값, Qoffset temp 임시 오프셋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커버리지 밖 단말인 경우, 상기 단말은 D2D 동기 신호의 포맷에 의해 상기 TDD임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커버리지 밖 단말인 경우, 상기 단말은 D2D 동기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정보를 통해 상기 TDD임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의 크기는 홉 카운트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상기 홉 카운트 값 0은 기지국의 동기 신호 전송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홉 카운트 값은 동기 신호가 기지국으로부터 몇 번 릴레이 된 것인지를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D2D 동기 신호의 전송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타이밍 왜곡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동기 신호의 릴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2D 신호 전송시 오프셋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동기 신호의 릴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2D 신호 전송시 오프셋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중계기는 Relay Node(RN), Relay Station(R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기지국' 이라 함은 스케줄링 수행 노드, 클러스터 헤더(cluster header) 등을 장치를 지칭하는 의미로써도 사용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나 릴레이도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를 전송한다면, 일종의 단말로 간주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셀의 명칭은 기지국(base station, eNB), 섹트(sector), 리모트라디오헤드(remote radio head, RRH), 릴레이(relay)등의 송수신 포인트에 적용되며, 또한 특정 송수신 포인트에서 구성 반송파(component carrier)를 구분하기 위한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WiMAX는 IEEE 802.16e 규격(WirelessMAN-OFDMA Reference System) 및 발전된 IEEE 802.16m 규격(WirelessMAN-OFDMA Advanced system)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LTE/LTE-A 자원 구조/채널
도 1을 참조하여 무선 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셀룰라 OFDM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패킷 전송은 서브프레임 (subframe) 단위로 이루어지며, 한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구간으로 정의된다. 3GPP LTE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1(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3GPP LTE/LTE-A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 OFDMA 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이 하나의 심볼 구간을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또한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으로 칭하여질 수도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이고, 하나의 블록에서 복수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CP(Cyclic Prefix)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에는 확장된 CP(extended CP)와 일반 CP(normal CP)가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이 일반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7개일 수 있다. OFDM 심볼이 확장된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한 OFDM 심볼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일반 CP인 경우보다 적다. 확장된 CP의 경우에,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6개일 수 있다. 단말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와 같이 채널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심볼간 간섭을 더욱 줄이기 위해 확장된 CP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의 처음 2개 또는 3개의 OFDM 심볼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b)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해프 프레임 (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해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UpPTS (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한편, 무선 프레임의 타입에 관계 없이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반 CP(Cyclic Prefix)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 OFDM 심볼을 포함하지만, 확장된 CP(extended-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각의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12×7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들의 개수(NDL)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른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 부분의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해당한다. 나머지 OFDM 심볼들은 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에는, 예를 들어, 물리제어포맷지시자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HARQ지시자채널(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HICH) 등이 있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서 HARQ ACK/NACK 신호를 포함한다. PDCCH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 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듈링 정보를 포함하거나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는 하향링크공유채널(DL-SCH)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상향링크공유채널(UL-SCH)의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채널(PCH)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임의접속응답(Random Access Response)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의 개별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의 세트, 전송 전력 제어 정보,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는 제어채널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의 조합(aggregation)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로 PDCCH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개의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한다. PDCCH를 위해 필요한 CCE의 개수는 DCI의 크기와 코딩 레이트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 전송에는 CCE 개수 1, 2, 4, 8(각각 PDCCH 포맷 0, 1, 2, 3에 대응)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DCI의 크기가 큰 경우 및/또는 채널 상태가 좋지 않아 낮은 코딩 레이트가 필요한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CCE가 하나의 PDCCH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되는 DCI의 크기, 셀 대역폭, 하향링크 안테나 포트의 개수, PHICH 자원 양 등을 고려하여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를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용도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라 하는 식별자로 마스킹된다. PDCCH가 특정 단말에 대한 것이면, 단말의 cell-RNTI(C-RNTI) 식별자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PDCCH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것이면, 페이징 지시자 식별자(Paging Indicator Identifier; P-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PDCCH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대한 것이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및 시스템 정보 RNTI(SI-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임의접속응답을 나타내기 위해, 임의접속-RNTI(RA-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단말은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에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2 슬롯에 대하여 상이한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호핑(frequency-hopped)된다고 한다.
D2D 단말의 동기 획득
이하에서는 상술한 설명 및 기존 LTE/LTE-A 시스템에 기초하여, D2D 통신에서 단말간 동기 획득에 대해 설명한다. OFDM 시스템에서는 시간/주파수 동기가 맞지 않을 경우 셀 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로 인해 OFDM 신호에서 서로 다른 단말 간에 멀티플렉싱이 불가능질 수 있다. 동기를 맞추기 위해 D2D 단말들이 직접 동기 신호를 송수신하여 모든 단말이 개별적으로 동기를 맞추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D2D와 같은 분산 노드 시스템에서는 특정 노드가 대표 동기 신호를 전송해주고 나머지 UE들이 이에 동기를 맞출 수 있다. 다시 말해, D2D 신호 송수신을 위해 일부 노드들이 (이때 노드는 eNB, UE, SRN(synchronization reference node 또는 synchronization source로 불릴 수도 있다) 일 수도 있다.) D2D 동기 신호(D2DSS, D2D Synchronization Signal)를 전송하고, 나머지 단말들이 이에 동기를 맞추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D2D 동기신호에는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D2DSS(Primary D2DSS 또는 PSSS(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세컨더리 동기 신호(SD2DSS(Secondary D2DSS 또는 SSSS(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가 있을 수 있다. PD2DSS는 소정 길이의 자도프 추 시퀀스(Zadoff-chu sequence) 또는 PSS와 유사/변형/반복된 구조 등일 수 있다. SD2DSS는 M-시퀀스 또는 SSS와 유사/변형/반복된 구조 등일 수 있다. 만약 단말들이 eNB로부터 동기를 맞출 경우, SRN은 eNB가 되며, D2DSS는 PSS/SSS가 된다.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는 D2D 신호 송수신 전에 단말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기본이 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D2DSS에 관련된 정보, 듀플렉스 모드(Duplex Mode, DM), TDD UL/DL 구성, 리소스 풀 관련 정보, D2DSS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등)가 전송되는 (방송) 채널일 수 있다. PD2DSCH는 D2DSS와 동일한 서브프레임 상에서 또는 후행하는 서브프레임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SRN은 D2DSS,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를 전송하는 노드일 수 있다. D2DSS는 특정 시퀀스 형태일 수 있고, PD2DSCH는 특정 정보를 나타내는 시퀀스거나 사전에 정해진 채널 코딩을 거친 후의 코드 워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SRN은 eNB 또는 특정 D2D 단말이 될 수 있다. 부분 네트워크 커버리지(partial network coverage) 또는 커버리지 바깥(out of network coverage)의 경우에는 단말이 SRN이 될 수 있다.
도 5와 같은 상황에서 커버리지 밖(out of coverage) 단말과의 D2D 통신을 위해 D2DSS는 릴레이 될 수 있다. 또한, D2DSS는 다중 홉을 통해 릴레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기 신호를 릴레이 한다는 것은 직접 기지국의 동기신호를 AF 릴레이하는 것뿐만 아니라, 동기 신호 수신 시점에 맞추어 별도의 포맷의 D2D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D2D 동기 신호가 릴레이 됨으로써 커버리지 안 단말과 커버리지 밖 단말이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는 이와 같은 D2D 동기 신호의 릴레이 및 이에 기초한 D2D 단말간의 통신 상황이 예시되어 있다.
한편 D2D 통신은 네트워크와 단말의 연결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RRC 유휴 상태(idle state) 단말들도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를 알 수 없어서 DL 수신 타이밍에 동기를 맞추고 D2D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기존 TDD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점은 (DL 수신 타이밍-TA-624Ts)로 설정 되어 있는데, 624Ts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신호를 전송 이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신호를 수신할 때 Tx/Rx 스위칭 타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향링크 신호 전송시 Tx/Rx 스위칭 주기(=624 Ts) 만큼의 오프셋을 인가하는 것이다, 여기서 Ts=1/(1500*2048)s로 기본 시간 유닛(basic time unit)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D2D 통신에서도 Tx/Rx 스위칭을 위하여 소정 길이의 오프셋을 인가하여 D2D 송수신을 수행할 경우 이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수신시 별도의 가드 구간을 필요치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오프셋의 크기는 624Ts일 수 있다.
다만, 커버리지 밖 단말이 존재할 수 있는 D2D 통신의 특성, D2D 신호의 종류 등을 고려한다면, 모든 경우에 대해 일률적으로 624Ts 오프셋을 인가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리지 밖 단말의 경우 D2D 동기 신호 릴레이시 오프셋을 인가하기로 약속된다면 D2D 동기 신호가 릴레이될 때 마다 오프셋이 적용되고, 이는 릴레이 횟수가 증가하면 동기가 크게 틀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D2D 통신에서 신호 전송시 오프셋 적용/사용에 관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오프셋은 고정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fixed timing advance offset)으로써, 624Ts, 홉 카운트에 따라 가변되는 것, 미리 설정된 값, D2D 신호 송신 단말이 관찰한 D2DSS 수신 시점에 따라 스스로 결정한 값 또는 기 수신된 D2DSS와 연동된 PD2DSCH를 통해 지시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 1
특정 기지국의 동기 커버리지 내에 있으면서 D2DSS를 전송 하는 경우에는 소정 오프셋을 적용하여 전송하고,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시작되었지만 D2DSS를 릴레이할 때 해당 기지국의 동기 커버리지 밖에서 D2DSS를 송신하는 경우 혹은 특정 기지국 커버리지 밖에서 독립적인 SRN이 되어서 D2DSS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오프셋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히, TDD 시스템에서, 단말이 프라이머리 D2D 동기신호 및 세컨더리 D2D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프라이머리 D2D 동기 신호 및 세컨더리 D2D 동기 신호가 매핑된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커버리지 안(in coverage) 단말인 경우, 서브프레임 전송에 고정 타이밍 오프셋을 적용하고, 커버리지 밖(out of coverage)인 경우, 서브프레임 전송에 고정 타이밍 오프셋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단말의 셀 선택 수신 레벨 값( Srxlev) 및 셀 선택 품질 값( Squal )이 모두 0보다 큰 경우(또는 S criterion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서브프레임 전송시 0보다 큰 값의 고정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을 적용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말의 셀 선택 수신 레벨 값 및 셀 선택 품질 값 중 하나라도 0보다 작은 경우(또는 S criterion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서브프레임 전송시 0의 값을 갖는 고정 타이밍 어드밴드 오프셋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타이밍 오프셋의 적용은 하향링크 라디오 프레임을 기준으로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말의 D2D 동기 신호 생성 및 전송이 동기 신호의 릴레이인 경우, 프라이머리 동기신호 및 세컨더리 D2D 동기 신호는 단말이 수신한 프라이머리 D2D 동기신호 및 세컨더리 D2D 동기신호와 시간 축 상에서 상이한 자원에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셀 선택 수신 레벨 값은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Srxlev 은 상기 셀 선택 수신 레벨 값, Q rxlevmeas 은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Q rxlevmin 셀 내 최소 요구 수신 레벨, Q rxlevminoffset 은 오프셋 값, Pcompensation 은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 값과 단말의 최대 RF 출력 중 큰 값의 차이와 0 중 큰 값, Qoffset temp 임시 오프셋 값일 수 있다. 또한, 셀 선택 품질 값은 다음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Squal 은 상기 셀 선택 품질 값, 상기 Q qualmeas 는 RSRQ(Reference Signal Recieved Quality), Q qualmin 셀 내에서 최소 요구 품질 레벨, Q qualminoffset 오프셋 값, Qoffset temp 임시 오프셋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관련된 파라미터에 관해 더 상세한 사항들은 3GPP TS 36.304 문서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들은 특히 TDD에서 적용되는 것일 수 있는데, 커버리지 밖 단말은 D2D 동기 신호의 포맷 또는 D2D 동기 신호와 함께 (PD2DSCH 등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통해, 듀플렉스 모드가 TDD임을 인식할 수 있다. 혹은 특정 CC(component carrier)가 국가별로 duplex mode가 고정된 경우 단말이 해당 국가에서 전원이 켜졌을 경우 해당 CC는 TDD임을 단말이 사전에 알고 있을 수도 있다. 커버리지 밖의 단말은 TDD 셀로 인식한 경우 상기 실시예 및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 중 하나의 방식으로 D2DSS가 전송됨을 인지하고, 그에 따른 D2D 신호 오프셋의 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D2DSS를 전송하는 단말이 특정 기지국의 (직접) 동기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에는 오프셋의 적용이 필요 없을 수도 있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동기 신호의 릴레이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오프셋이 적용되는 경우 전파 지연에 의한 딜레이를 상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 다만, 커버리지 밖의 경우 동기 신호의 릴레이가 커버리지 안의 경우에 비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때마다 오프셋을 적용하면 동기 신호의 전송 타이밍이 크게 틀어질 수도 있다. 이에 비해, 커버리지 안의 경우 단말들은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신호를 수신하면 되므로, 동기 신호가 릴레이되는 경우가 비교적 작고, 따라서 전파 지연 등을 고려하여 오프셋을 적용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 또한 커버리지 안의 단말들은 셀룰러 하향 및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과 공존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D2D신호 및 D2D동기 신호 전송시 offset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예는 이러한 D2D 통신 환경, 특히 D2D 동기 신호 릴레이라는 특수성을 반영함으로써, 동기신호의 전송에서 타이밍 왜곡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변형으로써, 단말이 전송한 D2DSS에 동기를 맞춘 단말이 D2D 신호를 전송할 때는 오프셋을 적용하지 않고, 다중 홉 릴레이된 D2DSS를 수신한 경우 홉 카운트에 따라 연동된 오프셋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홉 카운트에 연동된 오프셋 값은 PD2DSCH에 포함되어 있거나 (PD2DSCH에 홉 카운트가 포함되어 전송되어 있을 수 있음) 사전에 홉 카운트에 따라 정해진 값일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오프셋은 홉 카운트에 따라 가변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특정 기지국의 (직접) 동기 커버리지 내에서 D2DSS를 전송할 때는 오프셋을 적용하고, 홉 카운트가 늘어나고 기지국의 동기 커버리지 밖인 경우 홉 카운트에 연동된 오프셋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홉 카운트에 연동된 오프셋 값은 PD2DSCH에 포함되어 있거나, 사전에 홉 카운트에 매핑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홉 카운트와 오프셋 값의 연동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의할 수 있다. D2DSS에 직접 홉 카운트에 따른 오프셋이 설정되는 경우 이 D2DSS를 수신한 UE는 별도의 홉 카운트에 연동된 오프셋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TDD로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어, 구성 반송파)에서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 단말이 D2DSS를 전송할 경우, DL 수신 타이밍으로부터 624Ts를 적용하여 전송하고, (in coverage 또는 out coverage) 단말이 전송하는 D2DSS에 동기를 맞추어 D2D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은 D2D 신호를 (D2DSS 포함) 전송할 때에는 오프셋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버리지 안 단말이 D2DSS를 전송시에는 오프셋을 적용하고, 커버리지에 관계없이 단말이 전송한 D2DSS에 동기를 맞춘 단말의 D2D 신호 전송시에는 오프셋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다.
상술한 설명에서 홉 카운트와 오프셋 값의 연동은 다음 수학식 3 또는 4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수학식 3의 경우 일정 홉 이상부터 추가 오프셋을 설정하는 방식이며, 수학식 4의 경우 일정 홉 까지는 오프셋을 적용하지 않다가 그 일정 홉 이후부터 오프셋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다음 수학식 3, 4는 실시예 1 외의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에서 i는 홉 카운트, n은 몇 번째 홉부터 추가 오프셋을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사전에 정해져 있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구성 가능 (물리계층 또는 상위계층 신호에 의해 n값이 지시될 수 있음)한 것, Noffset은 각 홉 별 평균 오프셋 값으로써, 사전에 정해지거나 단말 환경에 따라 설정/구성 가능한 값일 수 있다. Noffset이 설정/구성 가능한 경우 사전에 네트워크의 물리계층 신호 또는 상위계층 신호에 의해 지시되거나, PD2DSCH, D2D 물리계층/상위계층 신호에 D2D 신호 전송 타이밍 오프셋 또는 Noffset 값이 포함되어 지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offset은 D2D 동기 단말 사이의 평균 전파 지연에 의해 정해지는 값일 수 있다. 이는 수 마이크로 초(us)일 수 있으며 CP 길이의 함수(fraction of CP length)로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수학식 4에서, i는 홉 카운트, δ(a)는 a가 0보다 클 경우 1인 함수, Noffset은 각 홉 별 평균 오프셋 값으로서 사전에 정해지거나 UE 환경에 따라 설정/구성 가능한 값, n은 몇 번째 홉까지 오프셋 없이 전송할 것인지에 대한 상수로서 사전에 정해져 있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구성 가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이를 위해 n을 물리계층/상위계층 신호로 n값을 시그널링 할 수 있다. 홉 카운트 0은 기지국이 PSS/SSS를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4를 사용한 구체적인 예로써, 홉 카운트 1까지는 별도의 오프셋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홉 카운트 1은 기지국 동기 커버리지 내에서 기지국의 지시에 의해 또는 특정 조건(기지국 동기 커버리지 내 기지국의 신호세기가 일정 임계 이상)을 만족한 단말이 D2 DSS를 전송하기 때문에 별도의 오프셋을 인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기 커버리지 밖에서 D2DSS를 송신할 경우에는 홉 수 증가에 따른 전파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소정의 오프셋을 도입할 수 있다. Noffset이 설정/구성 가능한 경우 사전에 네트워크의 물리계층/상위계층 신호에 의해 지시되거나, PD2DSCH 또는 D2D 물리계층/상위계층 신호에 D2DSS Tx 타이밍 오프셋 값 또는 Noffset값이 포함되어 지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offset 은 D2D 동기 단말 사이의 평균 전파 지연에 의해 정해지는 값일 수 있다. 이는 수 us일 수 있으며 CP 길이의 함수(fraction of CP length)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8은 D2DSS의 다중 홉 릴레이가 적용될 경우, D2DSS 송신에 오프셋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예(n=2 가정)를 나타낸다. 여기서 D2DSS를 릴레이하는 단말간에 전파 지연이 Noffset 과 유사하다면, D2DSS를 전송하는 UE가 비슷한 시점에 D2DSS를 전송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D2DSS에 홉 카운트에 따른 오프셋이 인가되어 전송되는 경우에는 이에 동기를 맞춘 UE가 D2D 신호를 전송할 때는 홉 카운트에 따라 별도의 오프셋이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D2D 신호를 수신하는 UE는 D2D 신호가 D2DSS수신 시점에서 도착할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단말이 D2DSS를 전송하는 경우 오프셋을 적용하지 않고, 이러한 D2DSS를 수신한 단말이 D2D 신호 전송시 오프셋을 적용할 수 있다. 즉, D2DSS 전송시에는 하향링크 수신 타이밍에 0인 오프셋을 적용하여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다중 홉 D2D 동기 신호의 릴레이인 경우, D2D 수신 타이밍에 0의 오프셋을 적용할 수 있다.
도 9에는 이와 같은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또는 D2D 단말)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단말 1(UE 1)은 오프셋 적용 없이 D2DSS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1에 의해 릴레이된 D2DSS를 수신한 단말 2(UE 2)는 D2D 신호(D2D signal) 전송시 오프셋(624Ts)를 적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오프셋의 크기는 홉 카운트에 따라 가변되는 것, 미리 설정된 값, D2D 신호 송신 단말이 관찰한 D2DSS 수신 시점에 따라 스스로 결정한 값 또는 기 수신된 D2DSS와 연동된 PD2DSCH를 통해 지시된 것일 수 있다.
D2D 신호를 송신하는 UE의 타이밍과 마찬가지로 D2D 신호를 수신한 UE의 타이밍도 정의될 필요가 있다. D2D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은 특정 UE가 D2DSS를 수신한 타이밍에 오프셋인가된 시점부터 임을 가정할 수 있다.
다중 홉 동기 신호 릴레이시 예외적으로 D2D 신호 Tx UE가 D2DSS를 수신할 때 기지국의 동기 신호가 일정 임계 이하의 전력으로 수신 될 경우에는 (D2DSS를 제외한) D2D 신호 송수신 시 별도의 오프셋을 적용하지 않고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특정 기지국 동기 커버리지를 벗어난 경우에는 해당 기지국의 상향링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오프셋을 설정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기지국의 신호 수신 전력에 따라 오프셋적용 여부를 설정할 수도 있지만 홉 카운트가 오프셋적용 여부의 메트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홉 카운트 이상에서는 오프셋을 적용하지 않거나 다른 오프셋을 적용 하는 것이다.
실시예 3
단말이 D2DSS를 전송할 경우에는 오프셋을 적용하고, 단말이 전송한 D2DSS에 동기를 맞춘 단말이 D2D 신호 송신시 오프셋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D2DSS를 전송하는 단말이 D2DSS를 전송한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해야 하는 경우 Tx/Rx 스위칭을 위한 가드 구간이 필요하다. 이 가드 구간을 위해 D2DSS를 전송하는 단말의 경우 오프셋을 적용하고, 이와 같이 전송된 D2DSS에 동기를 맞춘 단말은 오프셋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다. 도 10에는 실시예 3의 오프셋 적용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1(UE1)은 D2DSS 신호 전송시 오프셋을 적용하고, 오프셋이 적용되어 전송된 D2DSS를 수신한 단말 2(UE 2)는 D2D 신호 전송 시 오프셋을 적용하지 않는다.
실시예 4
TDD로 동작하는 주파수대역에서 D2D 단말은 레퍼런스 타이밍으로부터 항상 오프셋(624Ts)를 적용하여 D2D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레퍼런스 타이밍은 기지국으로부터 PSS/SSS 수신 시점 또는 다른 단말의 D2DSS 수신 시점일 수 있다. 만약, 검출되는 동기신호(일정 세기/품질 이상의 동기 신호)가 없는 경우 미리 설정된 D2D 프레임 번호, 라디오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경계가 레퍼런스 타이밍일 수도 있다.
주변에 동기 소스가 없어서 동기 소스가 된 단말의 경우, 미리 설정된 D2D 프레임 번호, 라디오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경계 중 하나를 기준으로, 오프셋을 적용하여 D2D 동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방법은 TDD 밴드에서는 항상 624 Ts 오프셋을 적용하여 전송하고, D2D 전송 후 하향링크 전송 또는 다른 D2D 수신 동작시 Tx-Rx 스위칭구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해주고, 단말 구현을 단순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5
TDD로 동작하는 밴드에서 D2DSSue_oon (physical-layer sidelink synchronization identity ∈{168,169,...,335} )에 동기를 맞춘 (D2D 신호 송신의 레퍼런스 타이밍을 D2DSS 수신 시점으로 설정한) 단말과 주변에 D2D동기 신호가 검출 되지 않아서 스스로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은, 624Ts 오프셋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근처에 셀룰러 네트워크가 보이지 않는 경우 하향링크 수신을 기대하지 않기 때문에 오프셋(624 Ts)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다.
실시예 6
TDD로 동작하는 밴드에서 D2DSSue_net이면서 PD2DSCH에서 커버리지 지시자가 0으로 설정된(달리 말해 D2DSSue_net을 전송하지만, UE는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 D2DSS, 또는 D2DSSue_oon에 동기를 맞추는 단말 또는 주변에 D2D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아서 스스로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의 경우에는 624 Ts 오프셋을 적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외의 경우에는 오프셋 624Ts를 적용하여 D2D 신호 및 D2DSS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치 구성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10)는, 수신모듈(11), 전송모듈(12), 프로세서(13), 메모리(14) 및 복수개의 안테나(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전송포인트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1)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2)은 단말로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전송포인트 장치(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10)의 프로세서(13)는, 앞서 설명된 각 실시예들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처리할 수 있다.
전송포인트 장치(10)의 프로세서(13)는 그 외에도 전송포인트 장치(1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20)는, 수신모듈(21), 전송모듈(22), 프로세서(23), 메모리(24) 및 복수개의 안테나(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2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2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22)은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3)는 단말 장치(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의 프로세서(23)는 앞서 설명된 각 실시예들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처리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의 프로세서(23)는 그 외에도 단말 장치(2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2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전송포인트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1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전송포인트 장치(1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전송 주체 또는 상향링크 수신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단말 장치(2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수신 주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3)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UE(user equipment)에 의해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UE에 의해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전송하고,
상기 UE가 커버리지 안 UE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PSS 및 SSS의 전송에 적용되는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은 0 보다 큰 값을 갖고,
상기 UE가 커버리지 밖 UE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PSS 및 SSS의 전송에 적용되는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은 상기 수신한 동기 신호가 커버리지 안 신호 또는 커버리지 밖 신호에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0 값을 갖는,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0 보다 큰 값을 갖는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은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된 라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적용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0 보다 큰 값을 갖는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은 624 Ts이고, 여기서 Ts = 1/(1500*2048)초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SS 및 SSS는 상기 UE에 의해 수신된 PSS 및 SSS와 시간 축 상에서 상이한 자원에 매핑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SS 및 SSS를 수신한 UE가 커버리지 밖인 경우, 상기 PSS 및 SSS를 수신한 UE는 상기 동기 신호의 포맷에 의해 TDD(time division duplex)임을 인식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SS 및 SSS를 수신한 UE가 커버리지 밖인 경우, 상기 PSS 및 SSS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수신한 UE는 상기 동기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정보를 통해 TDD(time duplex division)임을 인식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의 크기는 홉 카운트에 따라 가변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E의 홉 카운트 값은 0 보다 크고,
0의 홉 카운트 값은 기지국의 동기 신호 전송을 의미하는 것인,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E의 홉 카운트 값은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몇 번 릴레이 된 것인지를 지시하는, 방법.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커버리지 안 UE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PSS 및 SSS의 전송에 적용되는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은 0 보다 큰 값을 갖고,
상기 단말 장치가 커버리지 밖 UE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PSS 및 SSS의 전송에 적용되는 타이밍 어드밴스 오프셋은 상기 수신한 동기 신호가 커버리지 안 신호 또는 커버리지 밖 신호에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0 값을 갖는,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461952137P | 2014-03-13 | 2014-03-13 | |
US61/952,137 | 2014-03-13 | ||
US201562108501P | 2015-01-27 | 2015-01-27 | |
US62/108,501 | 2015-01-27 | ||
PCT/KR2015/002476 WO2015137773A1 (ko) | 2014-03-13 | 2015-03-13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2417A KR20160132417A (ko) | 2016-11-18 |
KR102294603B1 true KR102294603B1 (ko) | 2021-08-27 |
Family
ID=5407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7072A KR102294603B1 (ko) | 2014-03-13 | 2015-03-13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10687294B2 (ko) |
EP (2) | EP3119140B1 (ko) |
JP (2) | JP6352440B2 (ko) |
KR (1) | KR102294603B1 (ko) |
CN (3) | CN111431689B (ko) |
WO (1) | WO201513777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66875B1 (en) * | 2013-11-08 | 2019-10-30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Synchronization signal design for device to device operation |
WO2015137773A1 (ko) * | 2014-03-13 | 2015-09-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EP3177092B1 (en) * | 2014-07-29 | 2021-04-07 | Sharp Kabushiki Kaisha |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
US10531348B2 (en) * | 2015-08-30 | 2020-01-07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by terminal |
EP3445100B1 (en) | 2016-05-03 | 2020-02-12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Signal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
CN109804679A (zh) | 2016-10-13 | 2019-05-24 | Lg电子株式会社 | 在无线通信系统中由终端执行的侧链路同步信号发送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终端 |
US11160040B2 (en) | 2016-11-01 | 2021-10-26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D2D signal by applying offs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10645662B2 (en) * | 2017-02-01 | 2020-05-05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Synchronization signal search |
CN108574546B (zh) * | 2017-03-10 | 2019-11-15 |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 一种主同步信号的符号位置的确定方法及装置 |
EP3627915B1 (en) * | 2017-05-14 | 2022-11-02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ide 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107105479B (zh) * | 2017-06-01 | 2019-12-27 | 重庆邮电大学 | 一种丢失覆盖场景中的d2d终端搜索服务小区搜索方法 |
CN110495131B (zh) * | 2018-02-21 | 2022-07-08 |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 移动通信中同步信号块栅格移位方法及其装置 |
US11228995B2 (en) | 2018-08-09 | 2022-01-18 | Qualcomm Incorporated | Distributed synchronization mechanism |
WO2020039672A1 (ja) * | 2018-08-24 | 2020-02-27 | 株式会社Nttドコモ |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
US11546885B2 (en) * | 2019-02-14 | 2023-01-03 | Qualcomm Incorporated | Sidelink radio frame timing synchronization |
US20230370989A1 (en) * | 2022-05-11 | 2023-11-16 | Qualcomm Incorporated | Sidelink timing advance for a repeater |
Family Cites Families (3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16533B2 (ja) | 1999-09-30 | 2005-02-02 |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初期接続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回路 |
US7643515B2 (en) * | 2004-11-10 | 2010-01-05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deriving transmission timing of a downlink control channel in support of enhanced uplink operation |
JP2010508789A (ja) * | 2006-11-01 | 2010-03-18 |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直交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セルサーチの参照信号設計 |
CN101617556B (zh) * | 2007-02-28 | 2013-08-28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在无线电通信系统中提供通信的系统和方法 |
EP2271151B1 (en) | 2007-05-02 | 2016-08-17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 network |
CA2691682C (en) * | 2007-06-18 | 2018-08-21 |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 Method for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cell reselection |
US8331331B2 (en) * | 2007-08-03 | 2012-12-11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ell ti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101471721B (zh) * | 2007-12-25 | 2013-04-17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同步信道的传输方法、系统及设备 |
US9647810B2 (en) * | 2009-03-17 | 2017-05-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pilot signals in multi-stream transmissions |
US8457079B2 (en) * | 2009-10-05 | 2013-06-04 | Motorola Mobility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terference |
US9584290B2 (en) * | 2009-12-08 | 2017-02-28 | Qualcomm Incorporated | Multiple carrier activation/deactiv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
EP2517510A4 (en) * | 2010-01-08 | 2015-12-09 | Mediatek Inc | TWO-STAGE UPLINK SYNCHRONIZATION FOR PICO / FEMTO CELLS |
EP2532199B1 (en) * | 2010-02-04 | 2019-09-04 | TomTom Traffic B.V. | Location-determining system and method |
US9055527B2 (en) * | 2010-05-06 | 2015-06-09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time synchronization offset between radio base stations |
US9143955B2 (en) * | 2010-05-07 | 2015-09-22 | Qualcomm Incorporated | Detecting and reporting physical-layer cell identifier collisions in wireless networks |
CN105554895B (zh) * | 2011-08-11 | 2019-09-13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获取同步的处理方法以及设备 |
JP5972543B2 (ja) * | 2011-09-08 | 2016-08-17 | シャープ株式会社 | 基地局装置、プログラム、集積回路、移動局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
WO2013075340A1 (en) | 2011-11-25 | 2013-05-30 | Renesas Mobile Corporation | Radio resource sharing and contention scheme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hite space spectrum bands |
CN102547881B (zh) * | 2012-01-20 | 2018-08-31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用户设备控制方法、用户设备和网络侧设备 |
US9531527B2 (en) | 2012-02-17 | 2016-12-27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of user equipment (UE) configured to perform D2D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103313250B (zh) * | 2012-03-16 | 2016-09-28 | 华为技术有限公司 | 小区配置方法和同步方法,用户设备和基站 |
US9167597B2 (en) * | 2012-07-13 | 2015-10-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uplink sounding reference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
US9451570B2 (en) * | 2012-08-29 | 2016-09-20 | Alcatel Lucent | Device discovery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
US11496948B2 (en) * | 2012-10-19 | 2022-11-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ad-hoc/network assisted device discovery protocol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
TWI641283B (zh) * | 2013-01-16 | 2018-11-11 | 內數位專利控股公司 | 與裝置對裝置(d2d)訊號發送相關聯的方法及無線傳輸/接收裝置 |
CN105210417B (zh) * | 2013-05-10 | 2019-05-03 | 华为技术有限公司 | 用于控制网络外设备到设备通信的系统和方法 |
KR102141114B1 (ko) * | 2013-07-31 | 2020-08-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말 대 단말 통신에서 시간 동기화 방법 및 장치 |
EP3031221A4 (en) * | 2013-08-11 | 2017-03-29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A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a synchronization reference |
US9565573B2 (en) * | 2013-08-16 | 2017-02-07 | Blackberry Limited | Providing secondary cover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JP6195981B2 (ja) * | 2013-09-27 | 2017-09-13 | ノキア テクノロジーズ オーユー | 無線装置を同期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US9936368B2 (en) * | 2013-10-30 | 2018-04-03 | Blackberry Limited | Method and system for discovery of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with partial coverage |
JP2017501648A (ja) * | 2013-10-31 | 2017-01-12 |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デバイス間同期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WO2015137773A1 (ko) | 2014-03-13 | 2015-09-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CA2894324C (en) * | 2014-06-13 | 2022-12-06 | Zohaib Hameed | Rf-dc power converter |
US10805891B2 (en) * | 2014-09-25 | 2020-10-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nchronization procedure and resour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D2D system |
US10057870B2 (en) * | 2016-04-01 | 2018-08-21 | Intel IP Corporation |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
-
2015
- 2015-03-13 WO PCT/KR2015/002476 patent/WO201513777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3-13 JP JP2016556991A patent/JP6352440B2/ja active Active
- 2015-03-13 CN CN202010418039.0A patent/CN111431689B/zh active Active
- 2015-03-13 KR KR1020167027072A patent/KR1022946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3-13 EP EP15761387.8A patent/EP3119140B1/en active Active
- 2015-03-13 EP EP20190377.0A patent/EP3755076B1/en active Active
- 2015-03-13 CN CN202010418327.6A patent/CN111556560B/zh active Active
- 2015-03-13 US US15/125,510 patent/US10687294B2/en active Active
- 2015-03-13 CN CN201580013049.3A patent/CN106105343B/zh active Active
-
2018
- 2018-06-06 JP JP2018108667A patent/JP6506452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05-19 US US16/878,137 patent/US11297584B2/en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5)
Title |
---|
3GPP R1-140050 |
3GPP R1-140177 |
3GPP R1-140216 |
3GPP R1-140780 |
3GPP TR 36.843 V1.2.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119140A4 (en) | 2017-10-25 |
US20200280941A1 (en) | 2020-09-03 |
CN111556560B (zh) | 2022-07-12 |
JP2018164275A (ja) | 2018-10-18 |
EP3119140B1 (en) | 2020-09-23 |
JP6506452B2 (ja) | 2019-04-24 |
CN111556560A (zh) | 2020-08-18 |
CN111431689B (zh) | 2023-04-11 |
EP3119140A1 (en) | 2017-01-18 |
WO2015137773A1 (ko) | 2015-09-17 |
EP3755076A1 (en) | 2020-12-23 |
CN106105343B (zh) | 2020-06-12 |
CN106105343A (zh) | 2016-11-09 |
KR20160132417A (ko) | 2016-11-18 |
US11297584B2 (en) | 2022-04-05 |
US20170078991A1 (en) | 2017-03-16 |
EP3755076B1 (en) | 2022-11-16 |
US10687294B2 (en) | 2020-06-16 |
CN111431689A (zh) | 2020-07-17 |
JP6352440B2 (ja) | 2018-07-04 |
JP2017514348A (ja) | 2017-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9758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user equipment to transmit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446261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인접 셀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 |
KR101895946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JP2020120387A (ja)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装置対装置端末の信号送受信方法及び装置 | |
JP6461309B2 (ja)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信号伝送方法及び装置 | |
KR101861694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
KR102029245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
KR20160009534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에 관련된 신호 송수신방법 및 장치 | |
KR20150024333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20150022788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위한 동기 방법 및 장치 | |
US993062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ining device-to-device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300041B1 (ko) | D2d 동기 신호의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 |
JP2016532372A (ja)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ィスカバリ信号マッピング方法及び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