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411B1 - Industrial Safety Shoe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dustrial Safety Shoe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411B1
KR102294411B1 KR1020200100483A KR20200100483A KR102294411B1 KR 102294411 B1 KR102294411 B1 KR 102294411B1 KR 1020200100483 A KR1020200100483 A KR 1020200100483A KR 20200100483 A KR20200100483 A KR 20200100483A KR 102294411 B1 KR102294411 B1 KR 102294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ork
unit
user terminal
curre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호
강길수
Original Assignee
해피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피콤(주) filed Critical 해피콤(주)
Priority to KR102020010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4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4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2Message structure or message content, e.g. message protoc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re safety shoes for work and a work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wherein the safety shoes for work includes: a foot insertion unit into which user's foot is inserted; an ankle protection unit extended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oot insertion unit and surrounding user's ankle; an insole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foot insertion unit; and a detection unit that is attached to the ankle protection unit and detects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inside a work space which a user enters, so that the user recognizes a dangerous situation by detecting the oxygen concentration in advance without entering the work space.

Description

작업용 안전화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Industrial Safety Shoe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Industrial Safety Shoe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작업용 안전화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험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작업용 안전화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afety boots for work and a work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safety boots for work for detecting a dangerous situation and a work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제철소 및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낮은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특히, 지하통로의 호퍼, 맨홀, 덕트, 탱크 등과 같이 출입구를 제외한 거의 모든 곳이 밀폐된 작업 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산소 결핍 이나 유해가스 및 폭발성 가스의 발생을 미리 감지하여 경보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과 재산을 보호하는 안전기기가 필수적이다.Low oxygen concentration and harmful gases generated in steel mills and various industrial sites, especially when work is performed in a work space where almost everything is closed except for entrances such as hoppers, manholes, ducts, and tanks in underground passages, oxygen deficiency or harmful gases and A safety device that detects and alerts the generation of explosive gas in advance to protect workers' safety and property is essential.

종래의 휴대용 검출 시스템은 설치식 검출 시스템에 비하여 소형으로 제작되고, 주변의 가스를 감지하여 가스의 감지 또는 가스의 농도를 바로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conventional portable detection system is manufactured to be smaller than the installation type detection system, and detects the surrounding gas so that the detection of the gas or the concentration of the gas can be immediately notified to the operator.

그러나, 휴대용 검출 시스템을 별도로 이용하는 경우, 작업자가 작업 도구 이외에도 휴대용 검출 시스템을 소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작업자의 상반신의 위치에서 가스를 감지해야 하므로 작업자가 가스를 감지하기 위해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However, when the portable detection system is used separately, there is a inconvenience in that the operator has to carry the portable detection system in addition to the work tool, and since the gas must be detected at the position of the operator's upper body, the operator must take a risk to detect the gas .

본 발명은 작업용 안전화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발 삽입부, 상기 발 삽입부의 상측부에 연장되게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목을 감싸는 발목 보호부, 상기 발 삽입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밑창 및 상기 발목 보호부에 부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진입하는 작업 공간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는 검출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작업 공간 내부에 진입하지 않고 미리 산소 농도를 검출하여 위험 상황을 감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afety boots for work and a work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wherein a foot insert into which a user's foot is inserted, an ankle protector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foot insert to extend, and wraps around the user's ankle, the foot insert part It is attached to the sole and the ankle protector located at the bottom, and includes a detector that detects the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inside the working space into which the user enters, by detecting the oxygen concentration in advance without the user entering the working space. Its purpose is to detect dangerous situations.

또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정보와 수행 작업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작업 인증 메시지를 수신 받고, 사용자가 착용한 작업용 안전화의 상기 제어부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작업 공간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작업 환경을 모니터링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 server for monitoring the workspace environment by receiving a job authentication message for authenticating the user's information and performing work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checking whether a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safety boots for work worn by the user There is another purpose of monitoring the user's work environment, including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Other objects not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the scop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는,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발 삽입부, 상기 발 삽입부의 상측부에 연장되게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목을 감싸는 발목 보호부, 상기 발 삽입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밑창 및 상기 발목 보호부에 부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진입하는 작업 공간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afety shoe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oot insert into which a user's foot is inserted, an ankle protector that extends to an upper portion of the foot insert, and wraps around the user's ankle, It is attached to the sol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foot insert and the ankle protector, and includes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inside the work space into which the user enters.

또한,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경보 알림 여부를 판단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etector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notification message by determining whether to notify an alarm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ct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r the harmful gas by the detection unit.

여기서, 상기 밑창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업 공간 바닥과 인접하는 면에 홈을 포함한다.Here, the sole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a synthetic resin, and includes a groove in a surface adjacent to the floor of the working space.

또한, 상기 밑창의 홈에 조립되며,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is assembled in the groove of the sole, and further includes a current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flow of current on the floor of the work space, including a sensor for sensing the current.

여기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발목 보호부의 일측에 감겨지는 고정 밴드, 상기 고정 밴드에 조립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목 보호부의 형태에 맞추어 곡선 형태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조립되어,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는 농도 검출 센서를 포함한다.Here, the detection unit, a fixed band wound on one side of the ankle protector, is assembled to the fixed band, and includes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 housing having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nkle protector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It is assembled to include a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하반신 측이 상기 작업 공간으로 일부 진입하면, 상기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측정하는 제1 측정 시간을 설정하는 제1 측정 시간 설정부, 상기 제1 측정 시간 동안 상기 작업 공간 내부의 산소 농도를 측정한 측정 농도값을 입력 받는 제1 입력부, 상기 측정 농도값과 기 설정한 임계 농도값을 비교하는 제1 비교부 및 상기 측정 농도값이 상기 임계 농도값을 초과할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제1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1 알림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한다.Here, the control unit, when the lower part of the user's lower body partially enters the work space, a first measurement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a first measurement time for measur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during the first measurement time A first input unit for receiving a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working space, a first comparing unit for comparing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with a preset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that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exceeds the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situation is dangerous and includes a first notification messag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first notification message.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농도값이 상기 임계 농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전신이 상기 작업 공간 내부로 진입하면,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제2 측정 시간을 설정하는 제2 측정 시간 설정부, 상기 제2 측정 시간 동안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값을 측정한 측정 전류값을 입력 받는 제2 입력부, 상기 측정 전류값과 기 설정한 임계 전류값을 비교하는 제2 비교부 및 상기 측정 전류값이 상기 임계 전류값을 초과할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제2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2 알림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한다.Here, when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when the user's whole body enters the workspace, the control unit sets a second measurement time for measuring the current value of the floor of the workspace. A measurement time setting unit, a second input unit receiving the measured current value measured at the current value of the work space floor during the second measurement time, a second comparing unit comparing the measured current value with a preset threshold current value; and a second notification message generator configured to determine a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measured current value exceeds the threshold current value and generate a second notification mess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의 작업용 안전화에 부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진입하는 작업 공간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거나,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여, 감지한 결과에 따라 경보 알림 여부를 판단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수행 작업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작업 인증 메시지를 수신 받고,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작업용 안전화의 상기 제어부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작업 공간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서버를 포함한다.The work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user terminal and safety boots for the user's work, and detects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inside the work space into which the user enters, or the current of the floor of the work space. A control unit that detects a flow and generates a notification message by determining whether to notify an alarm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receives a job authentication message for authenticating the user's information and performed job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wears and a server for monitoring the work space environment by checking whether a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safety boots for one work.

여기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작업 공간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를 제공하는 지도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상기 지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상기 작업 공간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수행 작업 정보를 작업 인증 메시지로 입력 받는 작업 인증 메시지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행 작업 정보는, 상기 수행 예상 시간, 작업 차량 번호 및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포함한다.Here, the server includes a map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he user terminal with a map from which the location of the workspace can be selected, and the location of the workspac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from the map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location of the workspace selected by the user. and a job authentication message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to-be-executed job information as a job authentication message, wherein the to-be-executed job information includes the expected execution time, the job vehicle number, and user login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지도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작업 인증 메시지에서 상기 작업 공간의 위치가 다른 경우 경고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고 발생 메시지 생성부를 더 포함한다.Here,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first user terminal of a first user and a second user terminal moving together with the first user, and the server provides a map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a warning message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warning message when the location of the work space is different from the job authentication message input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하반신 측이 상기 작업 공간으로 일부 진입하면, 상기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측정하는 제1 측정 시간을 설정하는 제1 측정 시간 설정부, 상기 제1 측정 시간 동안 상기 작업 공간 내부의 산소 농도를 측정한 측정 농도값을 입력 받는 제1 입력부, 상기 측정 농도값과 기 설정한 임계 농도값을 비교하는 제1 비교부 및 상기 측정 농도값이 상기 임계 농도값을 초과할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제1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1 알림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한다.Here, the control unit, when the lower part of the user's lower body partially enters the work space, a first measurement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a first measurement time for measur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during the first measurement time A first input unit for receiving a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working space, a first comparing unit for comparing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with a preset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that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exceeds the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situation is dangerous and includes a first notification messag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first notification message.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농도값이 상기 임계 농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전신이 상기 작업 공간 내부로 진입하면,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제2 측정 시간을 설정하는 제2 측정 시간 설정부, 상기 제2 측정 시간 동안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값을 측정한 측정 전류값을 입력 받는 제2 입력부, 상기 측정 전류값과 기 설정한 임계 전류값을 비교하는 제2 비교부 및 상기 측정 전류값이 상기 임계 전류값을 초과할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제2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2 알림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한다.Here, when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when the user's whole body enters the workspace, the control unit sets a second measurement time for measuring the current value of the floor of the workspace. A measurement time setting unit, a second input unit receiving the measured current value measured at the current value of the work space floor during the second measurement time, a second comparing unit comparing the measured current value with a preset threshold current value; and a second notification message generator configured to determine a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measured current value exceeds the threshold current value and generate a second notification messag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발 삽입부, 상기 발 삽입부의 상측부에 연장되게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목을 감싸는 발목 보호부, 상기 발 삽입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밑창 및 상기 발목 보호부에 부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진입하는 작업 공간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는 검출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작업 공간 내부에 진입하지 않고 미리 산소 농도를 검출하여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 insertion unit into which the user's foot is inserted, the ankle protection unit exte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foot insertion unit, and wrapping the user's ankle, the lower end of the foot insertion unit It is attached to the sole and the ankle protector located in the, and includes a detector for detect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inside the working space into which the user enters. situation can be perceived.

또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정보와 수행 작업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작업 인증 메시지를 수신 받고, 사용자가 착용한 작업용 안전화의 상기 제어부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작업 공간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작업 환경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rver for monitoring the workspace environment by receiving a job authentication message for authenticating the user's information and performing work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checking whether a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safety boots for work worn by the user You can monitor the user's work environment, including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Even if it is an effect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in,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ir potential effects are treated as if they wer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의 검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의 밑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의 산소 농도 검출 상황을 예로 들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의 작업 인증 상황을 예로 들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의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detection unit of the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ole of the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oxygen concentration detection situation of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of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work monitoring system using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the job authentication situation of the job monitoring system using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of a work monitoring system using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nitoring method of a work monitoring system using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작업용 안전화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Hereinafter, safety boots for work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ork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은 작업용 안전화 및 이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afety boots for work and a work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10)는 발 삽입부(100), 발목 보호부(200), 밑창(300), 검출부(400), 제어부(500), 전류 감지부(6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safety boots 10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oot insertion unit 100 , an ankle protection unit 200 , a sole 300 , a detection unit 400 , a control unit 500 , and a current It includes a sensing unit 6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10)는 산소 농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하반신의 위치에서 가스를 감지하여, 작업자가 작업 공간의 내부로 진입하기 전에 미리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작업용 안전화이다.Safety boots 10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gas at the position of the lower body of the worker using a detector for detecting the oxygen concentration, and detects a dangerous situation in advance before the worker enters the inside of the work space. These are safety boots for work.

휴대용 검출 시스템의 경우, 작업자가 작업 도구와 별개로 소지하여 작업 공간으로 진입하여야 하며, 사다리를 타고 내려가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있다.In the case of the portable detection system, the operator must enter the work space separately from the work tool, and it is cumbersome because it has to go down the ladder.

또한, 사용자가 손에 들고 작업 공간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산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유해 가스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In addition, if the user enters the work space with the hand held, the user may be exposed to harmful gases in order to measure the oxygen concentration, so the user must take the ris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10)는 안전화에 부착되는 검출부와 제어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신이 작업 공간의 내부로 진입하기 전에 미리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유해 가스로부터 피해를 입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The safety boots 10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 a dangerous situation in advance before the user's whole body enters the inside of the work space by using a dete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attached to the safety boots, so that the user is harmed from harmful gases. You can avoid wearing it.

발 삽입부(100)는 사용자의 발이 삽입된다. 발 삽입부의 발가락부위에는 발가락부위를 보호하는 토우캡을 포함한다.The foot insertion unit 100 is inserted into the user's foot. The toe portion of the foot insert includes a toe cap that protects the toe portion.

발목 보호부(200)는 상기 발 삽입부의 상측부에 연장되게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목을 감싼다.The ankle protection unit 200 is coupled to extend to the upper side of the foot insertion unit, and surrounds the user's ankle.

발 삽입부(100)와 발목 보호부(200)는 작업장에서 발과 발목 그리고 다리의 하측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형태이다.The foot insertion unit 100 and the ankle protection unit 200 are in a form that can protect the foot, ankle, and lower part of the leg in the workplace.

발목 보호부의 갑피는 작업 파편물로부터 다리 하측부위를 보호하고자 발등부터 종아리나 종아리 하측부위까지 고무재질로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장화 형태를 이루고 있다.The upper of the ankle protector is integrally formed of rubber material from the instep to the lower calf or lower calf to protect the lower leg from work debris, thus forming a boot shape as a w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10)는 장화 형태의 안전화를 도시하였으나, 발목의 높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출부(400)가 탑재되는 위치에 따라 발목 보호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the safety boots 10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 safety boots in the form of boots, the height of the ankle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nkl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detection unit 400 is mounted. do.

밑창(300)은 상기 발 삽입부의 하단에 위치한다. 밑창(300)은 미끄러짐을 방지 하고자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The sole 30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oot insertion part. The sole 300 is formed with irregularities to prevent slipping.

검출부(400)는 상기 발목 보호부에 부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진입하는 작업 공간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한다.The detection unit 400 is attached to the ankle protector, and detects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inside the work space into which the user enters.

검출부(400)는 밴드 형태로 마련되어, 발목 보호부의 상단에 끼워진다. 발목 보호부 상단에 다수의 고리부가 마련되어 있고, 고리부는 결합핀을 이용하여 결합과 해제가 가능하다.The detection unit 4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nd and fitted on the upper end of the ankle protection unit. A plurality of hooks are provided at the top of the ankle protection, and the hooks can be coupled and released using a coupling pin.

결합핀은 자석, 똑딱핀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coupling pin may be implemented using a magnet or a ticking pin.

작업자는 결합핀을 해제한 후, 밴드 형태의 검출부를 발목 보호부의 상단에 끼운 후, 결합핀을 결합하여 발목 보호부에 부착시키게 된다.After releasing the coupling pin, the operator inserts the band-shaped detection unit on the upper end of the ankle protection unit, and attaches the coupling pin to the ankle protection unit.

제어부(500)는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경보 알림 여부를 판단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The control unit 500 generates a notification message by determining whether to notify an alarm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ct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r the harmful gas by the detection unit.

제어부(500)는 검출부와 일체로 마련되어, 검출부에서 검출한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detection unit to receive a valu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전류 감지부(600)는 상기 밑창의 홈에 조립되며,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한다.The current sensing unit 600 is assembled in the groove of the sole, and includes a sensor that detects a current to sense the flow of current on the floor of the work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10)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검출부(400), 제어부(500), 전류 감지부(600)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부의 사용자 단말에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safety boots 10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o enable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detection unit 400, the control unit 500, and the current sensing unit 600, and also provide data to an external user terminal. can be trans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의 검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a detection unit of the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10)의 검출부(400)는 고정 밴드(410), 하우징(420), 농도 검출 센서(4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detection unit 400 of the safety boots 10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band 410 , a housing 420 , and a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430 .

검출부(400)는 상기 발목 보호부에 부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진입하는 작업 공간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한다.The detection unit 400 is attached to the ankle protector, and detects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inside the work space into which the user enters.

여기서, 유해 가스는 특정한 냄새 또는 색깔을 갖는 가스가 누설되면 작업자들이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산소의 농도가 낮아져 산소 결핍으로 호흡이 곤란해지거나 일산화탄소 또는 질산계열 등의 무색 무취의 가스가 누설될 경우에는 작업자가 작업 도중에 무의식 중에 중독되거나 질식할 수 있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가스로써, LPG, 아세틸렌, 부탄가스 등 냄새 또는 색깔에 관계없이 공기 중 농도가 일정 치로 되면 작은 불꽃으로도 폭발할 수 있는 가스를 의미한다.Here, the harmful gas is not a big problem because workers can easily recognize it when a gas having a specific odor or color is leaked, but the concentration of oxygen is lowered, making breathing difficult due to oxygen deficiency, or colorless and odorless such as carbon monoxide or nitric acid. If the gas of the gas leaks, it is a gas that can cause a problem that workers may become poisoned or suffocate unconsciously during work. gas that can also expl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10)의 검출부(400)는 작업자가 작업 공간 내부로 진입하기 전 산소 농도를 또는 가스의 누설을 신속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detection unit 400 of the safety boots 10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perator to quickly detect the oxygen concentration or gas leakage before entering the working space.

고정 밴드(410)는 상기 발목 보호부의 일측에 감겨진다.The fixing band 410 is wound on one side of the ankle protection unit.

고정 밴드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현되어, 발목 보호부의 상측을 조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발목에 밀착되어 작업용 안전화의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xing band is implemented with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ankle protector can be tighten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safety boots for work in close contact with the ankle of the worker.

하우징(420)은 상기 고정 밴드에 조립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423)를 포함하고, 내부 구성요소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상기 발목 보호부의 형태에 맞추어 곡선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을 받아도 사용자가 발목을 다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housing 420 is assembled to the fixing band, and includes an air inlet 423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protects internal components from external impact. In addition, it has a curved shape to match the shape of the ankle protector.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receives an external shoc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injuring the ankle.

또한, 제어부(500)가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경보 알림 여부를 판단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 경고음을 알리기 위한 경고 알림부(421)를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500 determines whether to notify an alarm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ct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r the harmful gas by the detection unit and generates a notification message, it includes a warning notification unit 421 for notifying a warning sound.

검출부와 제어부는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에 설치되며, 진동자,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tec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installed on a circuit board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may further include a vibrator and a battery.

여기서, 배터리는 축전지를 사용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USB포트를 포함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Here, the battery may be charged and used using a storage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charged including a USB port.

농도 검출 센서(430)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조립되어,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한다.The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430 is assembled in the housing, and detects the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농도 검출 센서(430)는 공기 유입부(423)로 유입된 공기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산소농도 및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430 detect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423 ,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oxygen concentration and at least one gas.

구체적으로, 대기 중 산소농도와 온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 다양한 항목을 동시 측정할 수 있는 대기환경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납을 사용하는 전기화학방식이나 액체 전해질의 갈바닉 방식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an atmospheric environmental sensor capable of simultaneously measuring various items such as oxygen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in the atmosphere, carbon monoxide, and carbon dioxide may be used,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ochemical method using lead or a galvanic method sensor of a liquid electrolyte.

농도 검출 센서(430)는 공기 유입부(423)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감지하고, 측정한 산소 농도 또는 가스 감지 결과를 제어부(500)에 전달한다.The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430 sucks and senses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423 , and transmits the measured oxygen concentration or gas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ler 500 .

경고 알림부(421)는 제어부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전송 받으면, 작업자에게 소리를 통하여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가 감지된 것을 인지하도록 한다.When a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the warning notification unit 421 allows the operator to recognize that oxygen concentration and harmful gas are detected through soun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의 밑창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ole of the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10)의 밑창(300)은 작업 공간 바닥과 인접하는 면(31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sole 300 of the safety boots 10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rface 310 adjacent to the floor of the work space.

밑창(300)은 상기 발 삽입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sole 30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oot insertion part, and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synthetic resin.

밑창(300)은 작업 공간 내부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자 하면에 요철이 포함된다.The sole 300 includes irregularities on the lower surface to prevent slipping inside the working space.

작업 공간 바닥과 인접하는 면(310)은 홈을 포함하고, 전류 감지부(600)가 상기 밑창의 홈에 조립되며,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한다.The surface 310 adjacent to the floor of the work space includes a groove, and the current sensing unit 600 is assembled in the groove of the sole, and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a current to sense the flow of current in the floor of the work space. .

전류를 감지하는 방법에는, 예컨대 자심을 사용하여 1차 및 2차 코일을 자심에 감아 2차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1차 전류를 검지하는 변류기 방식과 전류에 의하여 생기는 자계 속에 홀 소자를 설치하여 홀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자계의 강도, 즉 전류의 강약을 검지하는 홀 소자 방식, 나아가서는 전류의 대소로 용단하는 시간이 다른 퓨즈 방식 등이 있다.The current sensing method includes, for example, a current transformer method that detects the primary current by wind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s around the magnetic core using a magnetic core and measuring the secondary current, and a Hall voltage by installing a Hall element in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urrent. There are a Hall element method that detects the strength of a magnetic field, that is, the strength or weakness of an electric current by measur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감지부(600)는 작업 공간 내부에 물이 고여있고, 물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미리 전류 흐름을 감지하여 작업자의 감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 공간 바닥에 발이 닿으면, 밑창에 위치하는 전류 감지 센서가 전류 흐름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가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경고 알림부(421)가 경고음을 알리도록 한다.The current sensing uni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n electric shock accident of an operator by detecting the current flow in advance when water is stagnant in the working space and current flows in the water, and is placed on the floor of the working space. When a foot touches, a current sensing sensor located in the sole senses the current flow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nd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it is a dangerous situation, a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so that the warning notification unit 421 notifies the warning soun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의 산소 농도 검출 상황을 예로 들어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oxygen concentration detection situation of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작업 공간으로 바로 진입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하반신만 작업 공간으로 일부 진입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user does not directly enter the work space, but only the lower body partially enters the work space.

이후, 사용자가 사다리에서 서있는 동안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측정하는 제1 측정 시간을 설정한다.Then, while the user stands on the ladder, the first measurement time is set for measur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r the harmful gas.

여기서, 제1 측정 시간을 설정하는 것은 진입 감지 센서에 의해 작업자가 작업 공간 내부에 진입한 것을 감지하여, 산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정된 타이머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외부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측정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Here, setting the first measurement time may be set according to a timer set to measure the oxygen concentration by detecting that the operator enters the work space by the entry detection sensor, measured using an external user terminal You can also set the time.

여기서, 작업자는 5분 이상 20분 이하의 시간 동안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or is set for a time of 5 minutes or more and 20 minutes or less.

설정된 시간에 따라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측정하여, 제어부에서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제1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 안전화에서 경고음이 발생하게 되고 작업자는 재빠르게 작업 공간의 외부로 나오게 되며, 작업 공간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상황 제어실로 제1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외부에서 작업 공간의 상황을 확인할 수도 있다.By measur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according to the set tim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it is a dangerous situation, and when the first notification message is generated,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from the safety boots and the operator quickly comes out of the work space, Separate measures may be taken to ventilate the interior. In addition, by transmitting the first notification message to an external user terminal or situation control room, it is also possible to check the situation of the work space from the outside.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지 않은 경우, 작업자는 작업 공간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If it is not judged as a hazardous situation, the operator enters the work spac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of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10)의 제어부(500)는 제1 측정 시간 설정부(510), 제1 입력부(520), 제1 비교부(530), 제1 알림 메시지 생성부(540), 제2 측정 시간 설정부(550), 제2 입력부(560), 제2 비교부(570), 제2 알림 메시지 생성부(5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control unit 500 of the safety boots 10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easurement time setting unit 510 , a first input unit 520 , a first comparison unit 530 , It includes a first notification message generating unit 540 , a second measurement time setting unit 550 , a second input unit 560 , a second comparing unit 570 , and a second notification message generating unit 580 .

제어부(500)는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경보 알림 여부를 판단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The control unit 500 generates a notification message by determining whether to notify an alarm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ct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r the harmful gas by the detection unit.

제1 측정 시간 설정부(510)는 상기 사용자의 하반신 측이 상기 작업 공간으로 일부 진입하면, 상기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측정하는 제1 측정 시간을 설정한다.The first measurement time setting unit 510 sets a first measurement time for measur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when the lower body of the user partially enters the work space.

여기서, 작업자는 5분 이상 20분 이하의 시간 동안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or is set for a time of 5 minutes or more and 20 minutes or less.

제1 입력부(520)는 상기 제1 측정 시간 동안 상기 작업 공간 내부의 산소 농도를 측정한 측정 농도값을 입력 받는다.The first input unit 520 receives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working space during the first measurement time.

제1 비교부(530)는 상기 측정 농도값과 기 설정한 임계 농도값을 비교한다.The first comparison unit 530 compares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with a preset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여기서, 임계 농도값은 산소 농도 18% 이상 23.5% 미만, 황화수소 농도 10ppm 미만, 일산화탄소 농도 30ppm 미만, 탄산가스 농도 1.5% 미만, 가연성가스 농도 하한치 10% 미만으로 설정한다.Here, the critical concentration value is set to 18% or more and less than 23.5% of oxygen concentration, less than 10ppm of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 less than 30ppm of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less than 1.5%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less than 10% of the lower limit of combustible gas concentration.

산소 농도가 18% 미만인 경우 맥박이 빨라지고 어지러움을 느끼거나 구토를 하게 된다. 반대로 산소농도가 23.5% 이상이면 가연성물질의 발화로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이 커지게 된다.When the oxygen concentration is less than 18%, the pulse becomes faster and one feels lightheaded or vomited. Conversely, if the oxygen concentration is more than 23.5%, the risk of fire or explosion increases due to ignition of combustible materials.

제1 알림 메시지 생성부(540)는 상기 측정 농도값이 상기 임계 농도값을 초과할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제1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When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exceeds the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the first notification message generating unit 540 determines a dangerous situation and generates a first notification message.

제2 측정 시간 설정부(550)는 상기 측정 농도값이 상기 임계 농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전신이 상기 작업 공간 내부로 진입하면,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값을 측정한다.The second measurement time setting unit 550 measures the current value of the floor of the work space when the user's whole body enters the work space when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여기서, 작업자는 5분 이상 20분 이하의 시간 동안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or is set for a time of 5 minutes or more and 20 minutes or less.

제2 입력부(560)는 상기 제2 측정 시간 동안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값을 측정한 측정 전류값을 입력 받는다.The second input unit 560 receives the measured current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of the floor of the work space during the second measurement time.

제2 비교부(570)는 상기 측정 전류값과 기 설정한 임계 전류값을 비교한다.The second comparator 570 compares the measured current value with a preset threshold current value.

여기서, 임계 전류값은 안전하게 스스로 접촉된 전원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한도의 전류인 가수 전류값인 8mA 이상 15mA 이하로 설정하며, 전격을 받았음을 느끼면서 스스로 그 전원으로부터 떨어질 수 없는 전류인 불수 전류값인 15mA 이상 50mA 이하인 경우에는 바로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threshold current value is set to 8mA or more and 15mA or less, which is the mantissa current value, which is the maximum current that can be safely dropped from the power source that has been contacted by itself. In case of 15mA or more and 50mA or less, take emergency measures immediately.

제2 알림 메시지 생성부(580)는 상기 측정 전류값이 상기 임계 전류값을 초과할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제2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When the measured current value exceeds the threshold current value, the second notification message generating unit 580 determines a dangerous situation and generates a second notification message.

여기서, 제1 알림 메시지와 제2 알림 메시지는 작업자의 안전화의 경보 알림부에서 경고 신호를 발생 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notification message and the second notification message may generate a warning signal in the warning notification unit of the worker's safety boots, and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user terminal to allow the user to detect a dangerous situ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이에 따라, 작업 공간 내부의 질식 사고와 감전 사고를 순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prevent suffocation accidents and electric shock accidents inside the work spac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work monitoring system using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1)은 서버(20), 제어부(30), 사용자 단말(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work monitoring system 1 using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20 , a control unit 30 , and a user terminal 4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1)은 유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복수의 사용자들이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로 작업 수행 상황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작업 공간의 위치 정보와 사진들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작업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The work monitoring system 1 using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e service for work performance status to user terminals owned by a plurality of users connected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for example, the Internet. It may be a server system capable of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photos of the work space from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ing work monitoring connected through the wired/wireless net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1)은 서버(20), 제어부(30), 사용자 단말(40)을 네트워킹함으로써 현장 작업자와 관리자들이 작업 수행 상황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e work monitoring system 1 using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field workers and managers to efficiently monitor work performance by networking the server 20, the control unit 30, and the user terminal 40. can

사용자 단말(40)은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단말을 포함한다.The user terminal 40 includes a terminal of a worker performing a task.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41)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는 제2 사용자 단말(42)을 포함한다.Here,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first user terminal 41 of a first user and a second user terminal 42 moving together with the first u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은 차량에 구비된 컴퓨터 시스템이거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단말기이거나, 가상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일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user terminals may be a computer system provided in a vehicle, a smart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or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capable of realizing virtual reality.

이때, 제1 사용자 단말(41) 및 제2 사용자 단말(42)은 작업용 안전화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user terminal 41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42 must be pre-installed by downloading a program, for example, an application program, for performing a work monitoring service using safety boots for work.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작업용 안전화에 부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진입하는 작업 공간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거나,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여, 감지한 결과에 따라 경보 알림 여부를 판단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The control unit 30 is attached to the user's work safety boots, detects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inside the work space into which the user enters, or detects the flow of current on the floor of the work space, and alerts the user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generate a notification message.

서버(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수행 작업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작업 인증 메시지를 수신 받고,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작업용 안전화의 상기 제어부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작업 공간 환경을 모니터링한다.The server 20 receives a job authentication message for authenticating the user's information and work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nfirms whether a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safety boots for work worn by the user, the work space Monitor the environment.

서버(20)는 사용자 인증 DB(21), 위치 정보 DB(22), 작업 이력 DB(23)를 포함하며, 사용자 인증 DB(21)는 웹 연동 서비스(24)를 이용하여 외부 모니터링 장치(50)에 연동될 수 있다.The server 20 includes a user authentication DB 21 , a location information DB 22 , and a work history DB 23 , and the user authentication DB 21 uses a web interworking service 24 to provide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50 . ) can be linked to

작업 이력 DB(23)는 앱 연동 서비스(25)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40)과 연동된다.The work history DB 23 is linked with the user terminal 40 using the app linkage service 25 .

사용자 단말(40)은 통신 모듈(30)을 이용하여 안전화의 제어부와 통신이 가능하며, 작업 공간 내부에 포함된 RFID 통신 장치(590)를 이용하여 먼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고, 이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다.The user terminal 40 can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of the safety boots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30, and first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using the RFID communication device 590 included in the work space, and then to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is possible by means of transmiss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의 작업 인증 상황을 예로 들어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the job authentication situation of the job monitoring system using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2인 1조로 구성되어 현장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만일, 2인이 서로 떨어진 곳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한 명이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을 때 구조하지 못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 the workers must be configured in a group of two to perform field work. If two people are working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it will be impossible to rescue one person when they are in a dangerous situation.

2인이 각자 다른 현장에 있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작업 공간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수행 작업 정보를 작업 인증 메시지로 입력 받아,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2인 1조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wo people from being at different sites, the work monitoring system using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ocation of the work space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h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work is being performed in a group of two by receiving the work information to be performed as an input of a work authentication message and checking whether the work is matched.

만일, GPS 정보로만 확인하게 되면, 1인이 2대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같은 위치에 있는 것처럼 할 수 있으므로, 각각 단말의 사용자가 직접 지도에서 해당 위치를 클릭하고, 필요한 경우 작업 차량의 번호와 해당 사진까지 찍어서 직접 첨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f only GPS information is checked, one person can pretend to be in the same location using two terminals, so the user of each terminal directly clicks the location on the map and, if necessary, the number of the working vehicle and the corresponding photo You can even take a picture and attach it directly.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의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of a work monitoring system using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1)의 서버(20)는 지도 제공부(710), 작업 인증 메시지 입력부(720), 경고 발생 메시지 생성부(7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 the server 20 of the job monitoring system 1 using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p providing unit 710 , a job authentication message input unit 720 , and a warning message generating unit. (730).

여기서, 지도 제공부(710), 작업 인증 메시지 입력부(720), 경고 발생 메시지 생성부(730)는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된 복수의 컴퓨터 시스템들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이거나, 단일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단일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프로그램들이거나, 복수의 컴퓨터 시스템들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프로그램들일 수 있다.Here, the map providing unit 710 , the job authentication message input unit 720 , and the alert generating message generating unit 730 are a plurality of computer systems or a plurality of processors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or in a single computer system or a single processor. It may be a plurality of programs executed, or a plurality of programs executed in a plurality of computer systems or a plurality of processors.

서버(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수행 작업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작업 인증 메시지를 수신 받고,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작업용 안전화의 상기 제어부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작업 공간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The server 20 receives a job authentication message for authenticating the user's information and work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nfirms whether a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safety boots for work worn by the user, the work space and a processor for performing the process of monitoring the environment.

지도 제공부(710)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작업 공간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를 제공한다.The map providing unit 710 provides the user terminal with a map for selecting the location of the work space.

지도 제공부(710)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GPS 정보를 먼저 입력 받고, 해당 GPS 정보에 따른 구간별 지도를 생성하여 에게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를 제공한다. 또한, 지도와 지도의 구간 별로 CCTV 카메라 영상을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가 위치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map providing unit 710 first receives GPS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creates a map for each section according to the GPS information, and provides a map from which a location can be selected. In addition, by providing a map and a CCTV camera image for each section of the map, the user can quickly check the location.

작업 인증 메시지 입력부(720)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상기 지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상기 작업 공간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수행 작업 정보를 작업 인증 메시지로 입력 받는다.The job authentication message input unit 720 receives the location of the work spac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on the map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performed job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s a job authentication message.

사용자는 작업 공간의 위치를 직접 선택하며, 수행 작업 정보는 별도의 텍스트 입력란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directly selects the location of the work space, and information about the work to be performed can be input using a separate text input box.

여기서, 상기 수행 작업 정보는, 상기 수행 예상 시간, 작업 차량 번호 및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Here, the performed task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the expected execution time, a work vehicle number, and user login information.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지도 제공부(71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지도를 제공한다.Here,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first user terminal of a first user and a second user terminal moving together with the first user, and the map providing unit 710 provides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provide a map.

경고 발생 메시지 생성부(73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작업 인증 메시지에서 상기 작업 공간의 위치가 다른 경우 경고 발생 메시지를 생성한다.The warning message generating unit 730 generates a warning message when the location of the work space is different from the job authentication message input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전송부(미도시)는 상기 경고 발생 메시지 생성부(730)에서 생성한 경고 발생 메시지를 상기 작업 공간이 위치하는 도로에 인접한 외부 센터에 전송하여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을 진행하지 않는 상황을 알릴 수 있다.A transmission unit (not shown) may transmit the warning generation message generated by the warning generation message generation unit 730 to an external center adjacent to the road where the work space is located to notify the situation in which the worker does not perform the work at the same time.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화를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nitoring method of a work monitoring system using safety boots fo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110에서 서버(20)는 제1 사용자 단말(41)과 제2 사용자 단말(42)로부터 GPS 정보에 따른 위치 데이터를 전송 받는다.Referring to FIG. 9 , in step S110 , the server 20 receives location data according to GPS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41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42 .

이후, 단계 S120에서 지도 제공부(710)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작업 공간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를 생성하고, 단계 S130에서 제1 사용자 단말(41)과 제2 사용자 단말(42)로 작업 구간 별 지도를 제공한다.Then, in step S120, the map providing unit 710 generates a map for the user terminal to select the location of the work space, and in step S130, the first user terminal 41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42 work section Star maps are provided.

단계 S140에서 제1 사용자 단말(41)과 제2 사용자 단말(42)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고, 단계 S150에서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 정보를 확인한다.In step S140, user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41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42 is received, and in step S150, logi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checked.

단계 S160에서 작업 인증 메시지 입력부(720)는 제1 사용자 단말(41)과 제2 사용자 단말(42)이 선택한 상기 작업 공간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수행 작업 정보를 작업 인증 메시지로 입력 받는다.In step S160, the work authentication message input unit 720 receives the location of the work space select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41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42 and the performed work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s a work authentication message. .

단계 S170에서 경고 발생 메시지 생성부(73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작업 공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단계 S180에서 상기 작업 공간의 위치가 다른 경우 경고 발생 메시지를 생성한다.In step S170, the warning message generating unit 730 checks whether the workspaces input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match, and in step S180, when the locations of the workspaces are different, a warning message is generated. do.

단계 S190에서 제1 사용자 단말(41)과 제2 사용자 단말(42)로 경고 발생 메시지를 전송한다.In step S190 , a warning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41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42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implement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claims.

Claims (10)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발 삽입부;
상기 발 삽입부의 상측부에 연장되게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목을 감싸는 발목 보호부;
상기 발 삽입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밑창;
상기 발목 보호부에 부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진입하는 작업 공간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경보 알림 여부를 판단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발목 보호부의 일측에 감겨지는 고정 밴드; 상기 고정 밴드에 조립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목 보호부의 형태에 맞추어 곡선 형태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조립되어,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는 농도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화.
a foot insertion unit into which the user's foot is inserted;
An ankle protecto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ot insertion unit to extend and surrounding the user's ankle;
a sol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foot insertion part;
a detection unit attached to the ankle protection unit and detecting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inside the work space into which the user enters;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notification message by determining whether to notify an alarm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ct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by the detection unit; and
The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fixed band wound on one side of the ankle protection unit; A housing assembled to the fixing band, including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having a curved shape to match the shape of the ankle protector; and a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assembled in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detect an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업 공간 바닥과 인접하는 면에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화.
According to claim 1,
The sole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containing a synthetic resin,
Safety boots for 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oove on a surface adjacent to the floor of the work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의 홈에 조립되며,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화.
3. The method of claim 2,
Safety boots for 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is assembled in the groove of the sole, the current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flow of current in the floor of the work space, includ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curr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하반신 측이 상기 작업 공간으로 일부 진입하면, 상기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측정하는 제1 측정 시간을 설정하는 제1 측정 시간 설정부;
상기 제1 측정 시간 동안 상기 작업 공간 내부의 산소 농도를 측정한 측정 농도값을 입력 받는 제1 입력부;
상기 측정 농도값과 기 설정한 임계 농도값을 비교하는 제1 비교부; 및
상기 측정 농도값이 상기 임계 농도값을 초과할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제1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1 알림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화.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first measurement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a first measurement time for measur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when the lower body of the user partially enters the work space;
a first input unit receiving a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working space during the first measurement time;
a first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with a preset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and
Safety boots for 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hen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exceeds the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it is determined as a dangerous situation, and a first notification messag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first notification mess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농도값이 상기 임계 농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전신이 상기 작업 공간 내부로 진입하면,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제2 측정 시간을 설정하는 제2 측정 시간 설정부;
상기 제2 측정 시간 동안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값을 측정한 측정 전류값을 입력 받는 제2 입력부;
상기 측정 전류값과 기 설정한 임계 전류값을 비교하는 제2 비교부; 및
상기 측정 전류값이 상기 임계 전류값을 초과할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제2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2 알림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화.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is
a second measurement time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second measurement time for measuring the current value of the floor of the workspace when the user's whole body enters the inside of the workspace when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a second input unit receiving the measured current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of the floor of the work space during the second measurement time;
a second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measured current value with a preset threshold current value; and
Safety boots for 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nd a second notification message generating unit for determining a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measured current value exceeds the threshold current value, and generates a second notification message.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의 작업용 안전화에 부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진입하는 작업 공간 내부의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감지하거나,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여, 감지한 결과에 따라 경보 알림 여부를 판단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수행 작업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작업 인증 메시지를 수신 받고,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작업용 안전화의 상기 제어부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작업 공간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에게 지도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작업 인증 메시지에서 상기 작업 공간의 위치가 다른 경우 경고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고 발생 메시지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user terminal;
It is attached to the safety boots for the user's work, detects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inside the work space into which the user enters, or detects the flow of current on the floor of the work space, and determines whether to notify an alarm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a control unit generating a notification message;
Receives a job authentication message for authenticating the user's information and work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checks whether a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safety boots for work worn by the user to monitor the workspace environment server; including;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first user terminal of a first user and a second user terminal moving together with the first user,
The server provides a map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job monitor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warning mess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warning message when the location of the work space is different from the job authentication message input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작업 공간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를 제공하는 지도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상기 지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상기 작업 공간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수행 작업 정보를 작업 인증 메시지로 입력 받는 작업 인증 메시지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행 작업 정보는, 수행 예상 시간, 작업 차량 번호 및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rver is
a map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he user terminal with a map from which a location of a work space can be selected; and
Includes; a job authentication message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location of the work spac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on the map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to-be-executed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s a work authentication message;
The task information to be performed, the task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expected execution time, the work vehicle number, and user login information.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하반신 측이 상기 작업 공간으로 일부 진입하면, 상기 산소 농도 또는 유해 가스를 측정하는 제1 측정 시간을 설정하는 제1 측정 시간 설정부;
상기 제1 측정 시간 동안 상기 작업 공간 내부의 산소 농도를 측정한 측정 농도값을 입력 받는 제1 입력부;
상기 측정 농도값과 기 설정한 임계 농도값을 비교하는 제1 비교부;
상기 측정 농도값이 상기 임계 농도값을 초과할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제1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1 알림 메시지 생성부;
상기 측정 농도값이 상기 임계 농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전신이 상기 작업 공간 내부로 진입하면,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제2 측정 시간을 설정하는 제2 측정 시간 설정부;
상기 제2 측정 시간 동안 상기 작업 공간 바닥의 전류값을 측정한 측정 전류값을 입력 받는 제2 입력부;
상기 측정 전류값과 기 설정한 임계 전류값을 비교하는 제2 비교부; 및
상기 측정 전류값이 상기 임계 전류값을 초과할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고, 제2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2 알림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is
a first measurement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a first measurement time for measur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r harmful gas when the lower body of the user partially enters the work space;
a first input unit receiving a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working space during the first measurement time;
a first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with a preset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a first notification message generator for determining a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exceeds the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and generating a first notification message;
a second measurement time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second measurement time for measuring the current value of the floor of the workspace when the user's whole body enters the inside of the workspace when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a second input unit receiving the measured current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of the floor of the work space during the second measurement time;
a second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measured current value with a preset threshold current value; and
and a second notification message generator configured to determine a dangerous situation when the measured current value exceeds the threshold current value, and generate a second notification message.
KR1020200100483A 2020-08-11 2020-08-11 Industrial Safety Shoe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22944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483A KR102294411B1 (en) 2020-08-11 2020-08-11 Industrial Safety Shoe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483A KR102294411B1 (en) 2020-08-11 2020-08-11 Industrial Safety Shoe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411B1 true KR102294411B1 (en) 2021-08-26

Family

ID=7746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483A KR102294411B1 (en) 2020-08-11 2020-08-11 Industrial Safety Shoe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41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553Y1 (en) * 2001-11-30 2002-02-21 정미좌 A safety shos
KR20120128009A (en) * 2011-05-16 2012-11-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a safety shoes having alarm function to inform dangerous state
KR20200044174A (en) * 2018-10-05 2020-04-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Gas detec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553Y1 (en) * 2001-11-30 2002-02-21 정미좌 A safety shos
KR20120128009A (en) * 2011-05-16 2012-11-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a safety shoes having alarm function to inform dangerous state
KR20200044174A (en) * 2018-10-05 2020-04-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Gas detec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617B1 (en) Smart IOT gas alarm system
KR100936265B1 (en) Portable sensor for monitoring industrial disaster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CN105699020A (en) Testing a mask seal
KR20180090933A (en) Intelligent gas leakage alarm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232198B2 (en) Method for detecting a fall of a worker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fall of a worker
KR102080533B1 (en) Safety Diagnosis System for Underground
KR20200081849A (en)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linkage type gas detection sensor
WO2016137195A1 (en) Regular pressure sensing apparatus for compression type fire extinguisher
KR102294411B1 (en) Industrial Safety Shoe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20047167A (en) Fire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sising direction of fire extension
KR101783003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safety by using safety band
KR102019723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of gas and the same of method and operating system
CN114176539A (en) Multi-dimensional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underground operation
CN109816913A (en) Fire alarm signal transmission metho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2229620B1 (en) Smart IOT gas alarm system
KR102253851B1 (en) Worker Accident Prevention System
KR101328605B1 (en) System for measuring radioactive rays and radioactivity
KR20200107912A (en) Construction site safety monitoring system
KR102014184B1 (en) Emergency exit route control system
KR100600334B1 (en)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Smel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40431B1 (en) System for fire defense management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in the same
CN115019490A (en) Intelligent analysis safety early warn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05228174A (en) Tank monitoring system
CN110085007A (en) Safety rope, warning device and the alarm method based on safety rope
CN106291081B (en) Far field electric test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