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385B1 -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385B1
KR102294385B1 KR1020210022019A KR20210022019A KR102294385B1 KR 102294385 B1 KR102294385 B1 KR 102294385B1 KR 1020210022019 A KR1020210022019 A KR 1020210022019A KR 20210022019 A KR20210022019 A KR 20210022019A KR 102294385 B1 KR102294385 B1 KR 102294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sh table
offshore drilling
synchronization
topside equip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건혁
김종민
고락원
김영주
우남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아이티
Priority to KR1020210022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4/00Automatic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rilling operations, i.e. self-operating systems which function to carry out or modify a drilling operation without intervention of a human operator, e.g. computer-controlled drilling system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drilling variables or conditions
    • E21B44/02Automatic control of the tool fee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7/00Survey of boreholes or wells
    • E21B47/12Means for transmitting measuring-signals or control signals from the well to the surface, or from the surface to the well, e.g. for logging while dri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keting (AREA)
  • Geophys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제어로직에 따라 복수의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를 제어하는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중앙 관리 장치 및 중앙 관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용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System for integrated operation control of offshore drilling topside equipment}
본 발명은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접어들어 국제적으로 급격한 산업화 현상 및 공업발전 추이에 따라 한정된 지구 자원은 점차 바닥을 내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른 원유의 안정적인 생산 및 공급은 대단히 중요한 사안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해저에 있는 석유 채굴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대형 석유회사들은 지금까지 경제성을 상실했던 군소 한계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시추선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고, 이에 대한 개발을 적극 모색하고 있는 현실이다.
시추선은 해양에서 원유나 가스 등의 해양 지하자원을 탐사하여 시추하는 장비이다. 이러한 시추선은 해상플랫폼 설치가 불가능한 깊은 수심의 해역이나 파도가 심한 해상에서 원유와 가스를 시추할 수 있는 선박 형태의 시추설비로, 선박의 기동성과 심해 시추능력을 겸비함으로써, 조선과 해양플랜트 기술이 복합된 고기술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여기서, 해양플랜트는 통상적으로, 해양에서 석유나 천연가스 등 자원을 채취하기 위해 해양에 설치되어 탐사, 시추, 생산, 저장 및 처리하는 각종 구조물을 의미하며, 해양시추작업은 해저에 매장된 석유나 가스와 같은 자원에 대해 존재여부를 확인하거나 확인된 자원을 채취하기 위해 해저에 유정을 굴착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해양시추시스템은 해양시추작업을 위해 해양플랜트에 탑재되는 각종 장비 및 제어장치들을 의미하며, 해상에서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도의 제어기술이 요구된다. 그리고, 해양시추시스템에 포함되는 다수의 탑사이드 기자재는 각각 해당되는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 및 관리되며, 제어장치들은 서로 통신하여 데이터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7833호(2015.06.04.)
본 발명은 해양시추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탑사이드 장비를 통합 관리하며, 이때 발생되는 데이터를 중앙에서 관리하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제어로직에 따라 복수의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를 제어하는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 상기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중앙 관리 장치 및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용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로부터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고유 해시 테이블을 포함하는 접근권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고유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를 인증하여 접근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고유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여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생성하는 통합 인터페이스부, 상기 고유 해시 테이블 및 상기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동기화 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상기 통합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로 시간 동기화를 위한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동기화부 및 상기 동기화부의 데이터 요청에 따라 상기 시퀀스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통합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유 해시 테이블은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 발생 시 실시간으로 할당되는 절대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해시 테이블은 상기 절대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 간의 상대적인 시간 정보인 동기화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통합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접근권한 요청에 상기 고유 해시 테이블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접근권한을 요청한 시퀀스 제어기에 접근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고유 해시 테이블이 미포함된 경우, 상기 접근권한을 부여할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를 상기 접근권한을 요청한 시퀀스 제어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은, 해양시추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탑사이드 장비를 통합 관리하며, 이때 발생되는 데이터를 중앙에서 관리함으로써, 복수의 탑사이드 장비에 대하여 원격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를 통한 운용을 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통합 인터페이스부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동기화부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데이터 저장부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시추 제어 시스템은 시추장비들을 직접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며, 유체 순환시스템 및 유정제어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은,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에 의하여 생성된 아날로그 센서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국제표준(IEC 62541) 기반 통신 프로토콜(OPCUA: Open Platform Communication Unified Architecture)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에는, 히드라랙커(HydraRacker), 히드라통(HydraTong), 탑드라이브(Topdrive), 캣워크 머신(Catwalk Machine) 등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10), 중앙 관리 장치(20), 주 운용제어 시스템(30) 및 보조 운용제어 시스템(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10)는 미리 설정된 제어로직에 따라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를 제어한다.
즉, 시퀀스 제어기(10)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 별로 존재하며, 해당하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장치(20)는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10)를 통합 관리한다. 즉, 중앙 관리 장치(20)는 접속된 시퀀스 제어기(10)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동기화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운용제어 시스템(30) 및 보조 운용제어 시스템(40)에 공유시킨다.
중앙 관리 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인터페이스부(21), 동기화부(22) 및 데이터 저장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합 인터페이스부(21)는 각 시퀀스 제어기(10)로부터 해당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고유 해시 테이블을 포함하는 접근권한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고유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시퀀스 제어기(10)를 인증하여 접근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10)의 접속 및 외부 접속에 대한 보안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통합 인터페이스부(21)는 수신된 접근권한 요청에 임의의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고유 해시 테이블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합 인터페이스부(21)는 수신된 접근권한 요청에 임의의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고유 해시 테이블이 포함된 경우, 접근권한을 요청한 시퀀스 제어기(10)에 접근권한을 부여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접근권한을 부여할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를 접근권한을 요청한 시퀀스 제어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인터페이스부(21)는 접근권한을 요청한 시퀀스 제어기(10)에 접근권한을 부여한 후, 동기화 해시 테이블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접근권한을 부여한 시퀀스 제어기(10)의 고유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여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생성한다.
여기서, 고유 해시 테이블은 해당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 발생 시 실시간 동적으로 할당되는 절대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동기화 해시 테이블은 고유 해시 테이블의 절대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 간의 상대적인 시간 정보인 동기화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고유 해시 테이블 및 동기화 해시 테이블은 하기 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고유 해시 테이블
ID Value1
ID_GET Value2
T_CURR Value3
T_STAMP Value4
ERROR_N Value5
동기화 해시 테이블
ID Value1
T_TEMP Value2
T_PAST Value3
SY_TIME Value4
여기서, ID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를 식별하는 아이디이고, ID_GET은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동기화 해시 테이블의 생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초기 접속 시, 동기화 해시 테이블이 생성되고, 접속 권한을 위한 키로 사용됨)이고, T_CURR는 실시간 할당된 절대시간이고, T_STAMP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들 간의 시간 동기화를 위한 데이터 전송 여부를 나타내고, ERROR_N은 에러 메시지 수신 횟수이다. 그리고, T_TEMP는 데이터 전송 종료 시간이고, T_PAST는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이고, SY_TIME은 동기화 시간이다.
T_STAMP가 1로 데이터가 전송되기 시작할 때 할당된 절대시간(T_CURR)은 T_PAST로 설정(T_PAST=T_CURR)되고, T_STAMP가 0으로 데이터 전송이 종료될 때 할당된 절대시간(T_CURR)은 T_TEMP로 설정(T_TEMP=T_CURR)될 수 있다.
동기화 시간 SY_TIME = T_TEMP - T_PAST로 산출될 수 있다.
통합 인터페이스부(21)는 고유 해시 테이블 및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동기화부(22)로 전달한다.
동기화부(22)는 통합 인터페이스부(21)로부터 전달받은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동기화 시간을 산출하여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통합 인터페이스부(21)로 전달한다.
이때, 동기화부(22)는 산출된 동기화 시간에 따른 시간 동기화를 위하여 통합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시퀀스 제어기(10)로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를 요청한다.
여기서, 시퀀스 제어기(10)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요청 이후 회신까지 걸린 소요시간 데이터를 통합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동기화부(22)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수신된 소요시간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 전송 시작 시간 및 데이터 전송 종료 시간이 설정되고, 동기화부(22)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동기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3)는 동기화부(22)의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 요청에 따라 시퀀스 제어기(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합 인터페이스부(21)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저장부(23)는 데이터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데이터 변경사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데이터 변경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저장된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에서 변경사항만 수정하고, 데이터 변경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파싱(parsing)하여 저장하지 않는다.
한편, 데이터 저장부(23)는 통합 인터페이스부(21)로부터 데이터 스트림과 함께, 해시 테이블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저장되는 데이터에 따라 동기화 해시 테이블에 포함된 저장 정보를 변경하여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고, 업데이트된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통합 인터페이스부(21)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23)는 저장된 데이터를 주 운용제어 시스템(30) 및 보조 운용제어 시스템(40)과 공유한다.
여기서, 주 운용제어 시스템(30) 및 보조 운용제어 시스템(40)은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10) 및 중앙 관리 장치(20)를 통해 복수의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운용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통합 인터페이스부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동기화부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데이터 저장부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S210 단계에서, 시퀀스 제어기(10)는 중앙 관리 장치(20)의 통합 인터페이스부(21)로 접근권한을 요청한다.
S220 단계에서, 통합 인터페이스부(21)는 고유 해시 테이블 및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동기화부(22)로 전달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통합 인터페이스부(21)는 접근권한 요청의 수신에 따라 접근권한 요청에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고유 해시 테이블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310), 고유 해시 테이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접근권한을 부여할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를 시퀀스 제어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320).
그리고, 통합 인터페이스부(21)는 동기화 해시 테이블이 기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S330), 동기화 해시 테이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접근권한을 부여한 시퀀스 제어기(10)의 고유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여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생성한다(S340).
그리고, 통합 인터페이스부(21)는 고유 해시 테이블이 존재하는 경우, 접근권한을 요청한 시퀀스 제어기(10)에 접근권한을 부여하고, 동기화 해시 테이블값을 설정한다(S350).
S230 및 S240 단계에서, 동기화부(22)는 산출된 동기화 시간에 따른 시간 동기화를 위하여 통합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시퀀스 제어기(10)로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를 요청한다.
S250 및 S260 단계에서, 시퀀스 제어기(10)는 데이터 요청에 따라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요청 이후 회신까지 걸린 소요시간 데이터를 통합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동기화부(22)로 전송한다.
S270 단계에서, 동기화부(22)는 통합 인터페이스부(21)로부터 전달받은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동기화 시간을 산출하여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통합 인터페이스부(21)로 전달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동기화부(22)는 전달받은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동기화 시간 해시 테이블값을 산출하여 비교하고(S410), 비교 결과에 따라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들 사이의 동기화 시간의 차이를 보간한다(S420).
S280 단계에서, 통합 인터페이스부(21)는 시퀀스 제어기(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23)로 전달한다.
S290 단계에서, 데이터 저장부(23)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 저장에 따른 저장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해시 테이블 값을 통합 인터페이스부(21)로 전달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저장부(23)는 시퀀스 제어기(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데이터 변경사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데이터 변경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저장된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에서 변경사항만 수정하고, 데이터 변경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파싱(parsing)하여 저장하지 않는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
20: 중앙 관리 장치
21: 통합 인터페이스부
22: 동기화부
23: 데이터 저장부
30: 주 운용제어 시스템
40: 보조 운용제어 시스템

Claims (4)

  1.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어로직에 따라 복수의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를 제어하는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
    상기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중앙 관리 장치; 및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용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로부터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고유 해시 테이블을 포함하는 접근권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고유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를 인증하여 접근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고유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여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생성하는 통합 인터페이스부;
    상기 고유 해시 테이블 및 상기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동기화 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동기화 해시 테이블을 상기 통합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시퀀스 제어기로 시간 동기화를 위한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동기화부; 및
    상기 동기화부의 데이터 요청에 따라 상기 시퀀스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통합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해시 테이블은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의 데이터 발생 시 실시간으로 할당되는 절대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해시 테이블은 상기 절대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장비 간의 상대적인 시간 정보인 동기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접근권한 요청에 상기 고유 해시 테이블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접근권한을 요청한 시퀀스 제어기에 접근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고유 해시 테이블이 미포함된 경우, 상기 접근권한을 부여할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를 상기 접근권한을 요청한 시퀀스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


KR1020210022019A 2021-02-18 2021-02-18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 KR102294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019A KR102294385B1 (ko) 2021-02-18 2021-02-18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019A KR102294385B1 (ko) 2021-02-18 2021-02-18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385B1 true KR102294385B1 (ko) 2021-08-27

Family

ID=7750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019A KR102294385B1 (ko) 2021-02-18 2021-02-18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38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3245A1 (en) * 2007-04-16 2010-08-05 Jon Arne Glomsru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drilling control systems
KR20130125251A (ko) * 2012-05-08 2013-11-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 시뮬레이터 및 그의 영상 표시 방법
WO2014062855A1 (en) * 2012-10-17 2014-04-24 Transocean Sedco Forex Ventures Limited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subsea processors
KR101456781B1 (ko) * 2013-04-25 2014-11-12 (주)부품디비 해양 굴착, 시추 장비의 예지보전을 위한 학습적 고장유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527833B1 (ko) 2014-07-22 2015-06-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Dp 모듈과 연계된 시추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의 시뮬레이션 방법
US20180298746A1 (en) * 2015-10-18 2018-10-18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Rig operations information system
KR102189159B1 (ko) * 2020-07-01 2020-12-09 주식회사 유아이티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를 위한 시추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3245A1 (en) * 2007-04-16 2010-08-05 Jon Arne Glomsru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drilling control systems
KR20130125251A (ko) * 2012-05-08 2013-11-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 시뮬레이터 및 그의 영상 표시 방법
WO2014062855A1 (en) * 2012-10-17 2014-04-24 Transocean Sedco Forex Ventures Limited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subsea processors
KR101456781B1 (ko) * 2013-04-25 2014-11-12 (주)부품디비 해양 굴착, 시추 장비의 예지보전을 위한 학습적 고장유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527833B1 (ko) 2014-07-22 2015-06-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Dp 모듈과 연계된 시추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의 시뮬레이션 방법
US20180298746A1 (en) * 2015-10-18 2018-10-18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Rig operations information system
KR102189159B1 (ko) * 2020-07-01 2020-12-09 주식회사 유아이티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를 위한 시추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chards et al. Plate motion changes, the Hawaiian-Emperor bend, and the apparent success and failure of geodynamic models
US11965416B2 (en) Distributed remote logging
CN105051324A (zh) 用于水下钻探操作的海底处理器
RU2713072C2 (ru) Еди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буровых установок
KR102150785B1 (ko) 선박 데이터 통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EP2851853A1 (en) Project data management
US20230060053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ploying a cluster, and storage medium
US20200184009A1 (en) Multiple document editing using rules for a restricted language
KR102294385B1 (ko)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 시스템
WO2016057128A2 (en) Integrated managed pressure drilling transient hydraulic model simulator architecture
KR102189159B1 (ko) 해양시추 탑사이드 기자재의 통합 운용 제어를 위한 시추 제어 시스템
RU2649706C1 (ru) Передача предупреждений об опасности пересечения скважин на удал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SA519410847B1 (ar) الإرسال والتزامن السطحي للبيانات أسفل البئر
KR102159676B1 (ko) 시추 제어 시스템의 입력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5681367A (zh) 一种共享文件内容的方法、服务器和客户端
CN111294232B (zh) 用于多文档编辑器的计算机系统
GB2407461A (en) Server including an encoded data converter apparatus.
KR20220074561A (ko) 모바일용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보안을 고려한 통신 방법
Nelson et al. Challenges in implementing the digital oil field a real-world look at data retrieval, storage and efficient utilization
CN110334222A (zh) 一种输入字段填充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80081074A1 (en) Multi-array seismic tool synchronization
KR102189160B1 (ko) 유한 상태 기계를 이용한 해양시추 기자재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2467510A (zh) 数据获取方法、系统和通信设备
CN109962884A (zh) 一种钻井现场随钻测井数据传输方法
Fang Son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