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003B1 - 차량용 범퍼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003B1
KR102294003B1 KR1020200140467A KR20200140467A KR102294003B1 KR 102294003 B1 KR102294003 B1 KR 102294003B1 KR 1020200140467 A KR1020200140467 A KR 1020200140467A KR 20200140467 A KR20200140467 A KR 20200140467A KR 102294003 B1 KR102294003 B1 KR 102294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structure
cover body
bumper
clip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주한
이성노
차동은
이기홍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003B1/ko
Priority to CN202111155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379489A/zh
Priority to US17/493,084 priority patent/US11780390B2/en
Priority to DE102021125764.6A priority patent/DE102021125764A1/d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3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plastic material
    • B60R2019/185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plastic material of reinforced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86Bumper fascias and fasten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차량용 범퍼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는 사출 성형 되는 범퍼커버;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통해 선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범퍼커버의 후방을 보강하도록 상기 범퍼커버 배면에 직접 끼움결합 되는 보강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범퍼{bumper of vehicles}
보강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범퍼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는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를 보호하기 위한 범퍼가 설치된다.
범퍼는 통상 범퍼커버와, 범퍼커버체의 후방에 보강구조물로써 결합하는 백빔(back beam)을 구비한다. 백빔은 연결부재를 통해 커버본체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백빔은 주로 금속재질을 통해 마련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차량의 경량화에 따른 연비절감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복합재료로 마련되는 백빔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52521호(2015.02.24. 공개)
충돌 성능을 보장하면서 백빔이 삭제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충돌 성능을 보장하면서 차체의 경량화, 재료비 절감, 제조공정 간소화, 미관저해 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는 사출 성형 되는 범퍼커버;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통해 선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범퍼커버의 후방을 보강하도록 상기 범퍼커버 배면에 직접 끼움결합 되는 보강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퍼커버는, 앞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본체부; 상기 보강구조물이 끼워지는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본체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클립부; 상기 커버본체부와 클립부 사이를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부는,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커버본체부;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커버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커버본체부와 하부커버본체부 사이의 조립을 위한 조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부는, 상기 상부커버본체부와 하부커버본체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조립부; 상기 제1조립부와 조립되도록 상기 상부커버본체부와 하부커버본체부 중 다른 하나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제1조립부와 제2조립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커버본체부와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는 차량용 범퍼.
상기 범퍼커버는,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몸체;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와 조립되는 하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구조물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강구조물은 벤딩이 가능하고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일직선 형태를 유지하는 선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보강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강구조물은 상기 클립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클립부에는 상기 보강구조물이 끼워지는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보강구조물은 상기 클립부에 끼워지는 구간의 직경은 상기 결합홈의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클립부 측방에 위치하는 구간의 직경은 결합홈의 사이즈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클립부는 상기 보강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보강구조물은, 상기 클립부에 끼워지도록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의 제1직경부; 상기 클립부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직경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복수의 제2직경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1직경부와 제2직경부는 상기 보강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상기 클립부는 상기 보강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보강구조물은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가 최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클립부에 걸릴 수 있게 굴절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부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구간이 곡률지게 마련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보강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보강구조물은 벤딩이 가능하고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일직선 형태를 유지하는 선형으로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클립부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커버본체부의 곡률에 대응하여 휘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범퍼에 따르면, 충돌 성능을 보장하면서 백빔이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의한 차량용 범퍼에 의하면, 충돌 성능을 보장하면서 차체의 경량화, 재료비 절감, 제조공정 간소화, 미관저해 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범퍼커버의 하부몸체의 구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의 평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차량용 범퍼(10)는 차체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방에 설치되는 프런트 범퍼와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 범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10)는 프런트 범퍼는 물론 리어 범퍼로 채용이 가능하나, 이후에서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프런트 범퍼보다 저속충돌 우려가 높은 리어범퍼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범퍼(10)는 범퍼커버(20)를 구비하여 외관을 이룬다. 범퍼커버(20)는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차량용 범퍼(10)의 최외측을 형성한다.
범퍼커버(20)는 합성수지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제조되고, 범퍼커버(20)의 형태는 차량용 범퍼(10)가 채용되는 차량의 디자인이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차량용 범퍼(10)는 범퍼커버(20)를 보강하기 위해 범퍼커버(20)의 배면에 결합하는 보강구조물(30)을 구비한다.
보강구조물(30)은 차량의 충돌시 변형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고,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이 차체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보강구조물(30)은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통해 범퍼커버(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선형으로 마련되고, 사출 성형된 범퍼커버(20)에 끼워짐에 따라 범퍼커버(20) 배면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재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소재로써, 유리나 탄소 섬유 등의 강화재가 수지 등의 모재에 함침 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재료를 가리킨다.
이와 같은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마련되는 보강구조물(30)은 금속재질 등으로 마련되는 기존 범퍼의 백빔과 비교했을 때, 동일한 수준의 강성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중량을 구비할 수 있다.
섬유 강화 복합재료 중에서는 강화 섬유를 모재에 연속적으로 함침시켜 제작되는 연속섬유 강화(CFT, Continuous Fiber Thermoplastic) 복합재료가 보강구조물(30)의 소재로써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연속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다른 일반 섬유 강화 복합재료와 비교했을 때, 강도는 물론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구비하므로, 보강구조물(30)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범퍼(10)는 이러한 보강구조물(30)이 사출 성형된 범퍼커버(20) 배면에 끼움방식으로 직접 체결되어 범퍼커버(20)와 일체화를 이루게 되므로, 충돌 성능을 보장하면서도 백빔이 삭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마련되는 보강구조물(30)는 금속재질의 백빔 대비 동일한 차체강성을 만족시키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중량을 구비함으로써, 차체의 경량화에 따른 연비절감 효과를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 백빔이 삭제되는 차량용 범퍼(10)는 백빔은 물론 범퍼커버(20)에 백빔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까지도 삭제가 가능하게 되므로, 재료비 절감 및 제조공정 간소화 등 그 제조 효율 측면에 있어서도 유리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섬유 성분을 포함하는 보강구조물(30)은 길고 가는 선형의 형태를 취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충격흡수에 유리하도록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보강구조물(30)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범퍼커버(20)는 앞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본체부(21)와, 보강구조물(30)이 끼워지는 클립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본체부(21)는 차폭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판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본체부(21)는 범퍼커버(20)의 길이방향으로 그 양 단부는 후방 쪽 차체의 양쪽 측면을 덮도록 밴딩되고, 커버본체부(21)의 양 단부 사이는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강구조물(30)은 완만한 곡률을 구비하는 커버본체부(21)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커버본체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클립부(22)는 커버본체부(21)의 배면의 후방으로 위치하도록 마련되고, 클립부(22)에는 보강구조물(30)의 끼움결합을 위한 결합홈(22a)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홈(22a)은 클립부(22) 저부로 개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홈(22a)은 보강구조물(30)의 둘레를 절반 이상 감쌀 수 있게 마련되고, 보강구조물(30)은 클립부(22) 저부에서 결합홈(22a) 쪽으로 가압됨에 따라 결합홈(22a)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클립부(22)는 보강구조물(30)의 길이방향 전 구간이 범퍼커버(20) 배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보강구조물(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거나, 보강구조물(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홈(22a)에 끼워진 보강구조물(30)은 필요에 따라 클립부(22)에 본딩되거나 열융착 될 수 있다.
한편, 범퍼커버(20)는 전후방향으로 보강구조물(30)이 끼워지는 클립부(22) 쪽 두께가 주변보다 두꺼워 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출 성형된 범퍼커버(20)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클립부(22)의 위치에 대응하는 범퍼커버(20)의 전면에는 부분적인 냉각 속도의 차이에 의한 싱크마크(sink mark)가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될 우려가 생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범퍼커버(20)는 커버본체부(21)와 클립부(2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3)를 구비하고, 연결부(23)는 커버본체부(21)와 그 후방에 위치하는 클립부(22) 사이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퍼커버(20)의 구조에 따르면, 클립부(22)는 커버본체부(21) 후방으로 이격되고,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커버본체부(2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범퍼커버(20)는 보강구조물(30)의 체결을 위한 클립부(22)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이로 인해 사출 후 냉각과정에서 클립부(22) 표면에 싱크마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싱크마크가 범퍼커버(20) 외부로 노출될 우려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보강구조물(30)은 차량용 범퍼(10)의 미관을 저해시킬 우려가 없게 되고, 차량용 범퍼(10)는 범퍼커버(20)의 보강을 위해 두께가 두꺼운 보강구조물(30)을 채용하는데 따른 제약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커버본체부(21)의 전면에 연결부(23)로 의한 싱크마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연결부(23)는 적어도 커버본체부(21)에 연결되는 끝단의 두께(t1)가 커버본체부(21)의 두께(t2)보다 얇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연결부(23)는 커버본체부(21)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23a)와, 클립부(22)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23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연결부(23a)는 커버본체부(21)의 두께보다 얇게 마련되고, 제2연결부(23b)는 클립부(22)와의 연결강도를 고려하여 제1연결부(23a)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용 범퍼(10)는 범퍼커버(20)가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몸체(40)와, 하부를 형성하도록 상부몸체(40)와 조립되는 하부몸체(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몸체(40)와 하부몸체(50)는 개별적으로 사출 성형된 상태에서 상호 조립되고, 보강구조물(30)은 이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클립부(22)에 끼움결합 되어 범퍼커버(20)와 일체화 될 수 있다.
범퍼커버(20)의 상부와 하부가 개별적으로 제조되는 차량용 범퍼(10)는 차종별 특성을 감안하여 상부몸체(40)와 하부몸체(50) 중 보강이 요구되는 어느 한 쪽을 선택하여 보강구조물(30)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부몸체(40)와 하부몸체(50) 중 보강구조물(30)이 설치되지 않는 쪽은 보강구조물(30)과 관련하여 그 사출금형을 변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차량용 범퍼(10)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금형의 일부만을 변형하여 보강구조물(30)을 채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범퍼커버(20)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보강이 필요할 경우, 상부몸체(40)와 하부몸체(50)는 각각 클립부(22)를 구비하고, 보강구조물(3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부몸체(40)와 하부몸체(50)의 클립부(22)에 각각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범퍼커버(20)는 앞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본체부(21)와, 보강구조물(30)이 끼움결합 되는 클립부(22)와, 커버본체부(21)와 클립부(22) 사이를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여 커버본체부(21)의 전면에 클립부(22)에 의한 싱크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본체부(21)는,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커버본체부(41)와,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커버본체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커버본체부(41)는 상부몸체(40)의 전방을 통해 마련되고, 하부커버본체부(51)는 하부몸체(50)의 전방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23)는 상부커버본체부(41)와 하부커버본체부(51) 사이의 조립을 위한 조립부(2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몸체(40)와 하부몸체(50) 사이는 상기 조립부(23a) 외에도 체결부재를 이용한 체결방식이나, 본딩 방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결합구조를 통해 상호 한 몸을 이룰 수 있다.
조립부(23a)는 상부커버본체부(41) 저부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조립부(42)와, 제1조립부(42)와 조립되도록 하부커버본체부(51)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조립부(52)를 포함하여 상부커버본체부(41)와 하부커버본체부(51) 사이의 경계부 쪽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조립부(52)는 제1조립부(42)가 끼워지도록 통과하는 조립공(52a)을 구비하고, 제1조립부(42)에는 조립공(52a)에 걸리도록 걸림돌기(42a)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조립부(42)와 제2조립부(52)는 제1조립부(42)가 제2조립부(52)의 조립공(52a)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돌기(42a)를 통해 조립공(52a)에 걸려 지지되면서 상호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클립부(22)는 제2조립부(52) 저부를 통해 커버본체부(21)와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차량용 범퍼(10)는 보강구조물(30)의 체결을 위한 클립부(22)가 두껍게 마련되는 경우에도 커버본체부(21)의 전면에 클립부(22)에 의해 싱크마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조립부(42)와 제2조립부(52)는 제1조립부(42)가 상부커버본체부(41)와 하부커버본체부(51) 중 어느 하나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2조립부(52)가 상부커버본체부(41)와 하부커버본체부(51) 중 다른 하나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범위 내에서 상호 간의 위치가 반대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클립부(22)는 제1조립부(42)나 제2조립부(52)를 통해 커버본체부(21)와 이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클립부(22)와 연결부(23)는 범퍼커버(20)와 보강구조물(30)의 길이방향으로 두께가 얇은 얇은 리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얇은 폭을 갖는 리브 형태의 클립부(22)는 탄성변형을 발휘하기가 용이하여 보강구조물(30)이 클립부(22)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결합홈(22a)이 탄력적으로 벌이지도록 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보강구조물(30)은 선형으로 마련되어 탄력을 구비함으로써, 벤딩이 가능하고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일직선 형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클립부(22)는 보강구조물(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일직선 형태로 마련된 보강구조물(30)은 복수의 클립부(22)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커버본체부(21)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일부 구간이 커버본체부(21)의 곡률에 대응하여 휘어지면서 커버본체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범퍼(10)는 보강구조물(30)을 범커퍼버(20)에 끼움방식으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보강구조물(30)의 조립위치가 바르게 안내되도록 함은 물론, 범퍼커버(20)에 조립된 보강구조물(30)이 그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강구조물(30)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부(22)에 결합된 상태에서 보강구조물(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클립부(22)에 걸릴 수 있도록 구간별로 직경 사이즈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보강구조물(30)은 클립부(22)에 끼워지는 구간의 직경은 결합홈(22a)의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클립부(22)들 사이에 대응하는 구간의 직경은 결합홈(22a)의 사이즈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서 클립부(22)는 가상선으로 처리하였다.
이에 따라 보강구조물(30)은 클립부(22)에 끼워지도록 작은 직경을 갖는 제1직경부(31)와, 클립부(22)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직경부(31)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제2직경부(32)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보강구조물(30)은 길이방향 양 단부가 최외측에 위치하는 클립부(22)에 걸릴 수 있게 굴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강구조물(30)의 양 단부는 굴절부(33)를 형성하고, 이러한 굴절부(33) 역시 보강구조물(30)을 범커퍼버(20)에 끼움방식으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보강구조물의 조립위치가 바르게 안내되도록 함은 물론, 범퍼커버(20)에 조립된 보강구조물(30)이 그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양 단부에 굴절부(33)를 구비하는 경우, 보강구조물(30)은 길이방향 전 구간의 직경이 결합홈(22a)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일정하게 마련된 상태에서도 범퍼커버(20) 상의 정위치에 조립됨은 물론, 범퍼커버(20)에 조립된 상태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10: 차량용 범퍼 20: 범퍼커버
21: 커버본체부 22: 클립부
22a: 결합홈 23: 연결부
30: 보강구조물

Claims (11)

  1. 사출 성형 되는 범퍼커버;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통해 선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범퍼커버의 후방을 보강하도록 상기 범퍼커버 배면에 직접 끼움결합 되는 보강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범퍼커버는,
    앞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본체부;
    상기 보강구조물이 끼워지는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본체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클립부;
    상기 커버본체부와 클립부 사이를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본체부는,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커버본체부;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커버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커버본체부와 하부커버본체부 사이의 조립을 위한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상부커버본체부와 하부커버본체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조립부;
    상기 제1조립부와 조립되도록 상기 상부커버본체부와 하부커버본체부 중 다른 하나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제1조립부와 제2조립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커버본체부와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는 차량용 범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물은 벤딩이 가능하고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일직선 형태를 유지하는 선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보강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되는 차량용 범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물은 상기 클립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이 제한되는 차량용 범퍼.
  8. 사출 성형 되는 범퍼커버;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통해 선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범퍼커버의 후방을 보강하도록 상기 범퍼커버 배면에 직접 끼움결합 되는 보강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범퍼커버는,
    앞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본체부;
    상기 보강구조물이 끼워지는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본체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클립부;
    상기 커버본체부와 클립부 사이를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구조물은 상기 클립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이 제한되고,
    상기 클립부에는 상기 보강구조물이 끼워지는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보강구조물은 상기 클립부에 끼워지는 구간의 직경은 상기 결합홈의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클립부 측방에 위치하는 구간의 직경은 결합홈의 사이즈보다 크게 마련되는 차량용 범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보강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보강구조물은,
    상기 클립부에 끼워지도록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의 제1직경부;
    상기 클립부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직경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복수의 제2직경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1직경부와 제2직경부는 상기 보강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반복되는 차량용 범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보강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보강구조물은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가 최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클립부에 걸릴 수 있게 굴절되는 차량용 범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부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구간이 곡률지게 마련되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보강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보강구조물은 벤딩이 가능하고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일직선 형태를 유지하는 선형으로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클립부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커버본체부의 곡률에 대응하여 휘어지는 차량용 범퍼.
KR1020200140467A 2020-10-06 2020-10-27 차량용 범퍼 KR102294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155622.8A CN114379489A (zh) 2020-10-06 2021-09-30 用于车辆的保险杠
US17/493,084 US11780390B2 (en) 2020-10-06 2021-10-04 Bumper for vehicle
DE102021125764.6A DE102021125764A1 (de) 2020-10-06 2021-10-05 Stoßfänger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29020 2020-10-06
KR1020200129020 2020-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003B1 true KR102294003B1 (ko) 2021-08-30

Family

ID=7750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467A KR102294003B1 (ko) 2020-10-06 2020-10-27 차량용 범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80390B2 (ko)
KR (1) KR102294003B1 (ko)
CN (1) CN114379489A (ko)
DE (1) DE10202112576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2653A (en) * 1987-07-20 1989-01-25 Nissan Motor Bumper structure for vehicle
JP2017013591A (ja) * 2015-06-30 2017-01-19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フロントバンパ
KR101752521B1 (ko) 2013-08-09 2017-07-12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범퍼 백빔
KR101819646B1 (ko) * 2016-08-10 2018-01-17 한화첨단소재(주) 차량용 범퍼빔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02989D0 (en) * 1993-02-15 1993-03-31 Nissan Europ Tech Centre Vehicle bumper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2653A (en) * 1987-07-20 1989-01-25 Nissan Motor Bumper structure for vehicle
KR101752521B1 (ko) 2013-08-09 2017-07-12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범퍼 백빔
JP2017013591A (ja) * 2015-06-30 2017-01-19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フロントバンパ
KR101819646B1 (ko) * 2016-08-10 2018-01-17 한화첨단소재(주) 차량용 범퍼빔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79489A (zh) 2022-04-22
US20220105885A1 (en) 2022-04-07
US11780390B2 (en) 2023-10-10
DE102021125764A1 (de)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7422B2 (ja) 自動車に固定可能な歩行者保護機能付きハウジング
US9393889B2 (en) Seat cushion frame for vehicle
JP2009537721A5 (ko)
KR101198600B1 (ko)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KR101693846B1 (ko) 차량용 범퍼 백빔
US9327631B2 (en) Seat cushion frame for vehic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2009795B1 (ko) 스티프너 일체형 프론트 범퍼
KR102294003B1 (ko) 차량용 범퍼
KR102451872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범퍼 빔
KR102294000B1 (ko) 차량용 범퍼
US10279763B2 (en) Beam for bumper
KR102009809B1 (ko) 백 빔 일체형 리어 범퍼
KR101220005B1 (ko) 엔진룸 보강 구조
KR101450608B1 (ko) 하이브리드 범퍼빔 브라켓 설치구조
KR101724498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7213A (ko) 백빔 어셈블리
KR20180070752A (ko) 자동차 카울 구조
KR102545355B1 (ko) 차량용 도어트림
WO2020129514A1 (ja) ブラケット
KR102383484B1 (ko) 복합재료를 이용한 차량의 강성부재
KR102224432B1 (ko) 복합재료를 적용한 차량용 백빔리스 범퍼커버
JP2019172186A (ja) 車両用スポイラ
US20220316551A1 (en) Bracket
KR102224431B1 (ko) 복합재료를 포함하는 백빔이 적용된 차량용 범퍼
KR101327567B1 (ko) 자동차용 범퍼 백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