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819B1 - 가스 보일러용 버너 - Google Patents

가스 보일러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819B1
KR102292819B1 KR1020190145141A KR20190145141A KR102292819B1 KR 102292819 B1 KR102292819 B1 KR 102292819B1 KR 1020190145141 A KR1020190145141 A KR 1020190145141A KR 20190145141 A KR20190145141 A KR 20190145141A KR 102292819 B1 KR102292819 B1 KR 102292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mat
support part
perforated plate
spaced a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108A (ko
Inventor
장기현
지윤택
정은찬
남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귀뚜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귀뚜라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귀뚜라미
Priority to KR1020190145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8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8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ax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10Flame diffusing means
    • F23D2203/102Flame diffusing means using perforate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10Flame diffusing means
    • F23D2203/103Flame diffusing means using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보일러용 버너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교환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버너는, 다수의 염공이 형성되어 연료의 점화시 화염이 분출되는 원 형상의 버너 타공판; 및 상기 버너 타공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화염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버너 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타공판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버너 타공판과 상기 버너 매트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 보일러용 버너{Burner for gas boiler}
본 발명은 가스 보일러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너의 연소 효율을 높이기 위해 구조를 개선한 가스 보일러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온도가 서로 다른 가열 유체와 피가열 유체를 교차시켜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보일러나 온수기에서 순환중인 저온수를 가열하여 온수나 난방수 등을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상술한 열교환기에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보일러나 온수기에서 순환중인 저온수를 가열하기 위해 연소장치인 버너가 사용된다.
버너는 열교환기의 하부에 위치하여 혼합된 공기와 연료가스를 이용하여 불꽃을 발생시켜 열원을 발생시킴으로써 보일러나 온수기에 순환중인 저온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때, 버너에는 연료의 점화시 화염이 분출되는 버너 타공판과 상기 버너 타공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화염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버너 매트가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과 같은 경우 버너 타공판과 버너 매트의 간격이 없이 밀착되어 있거나 너무 좁아 연소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등록실용실안 제20-0237131호(2001.10.0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버너 타공판과 버너 매트의 간격을 일정 거리 이격시켜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스 보일러용 버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교환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스 보일러용 버너는, 다수의 염공이 형성되어 연료의 점화시 화염이 분출되는 원 형상의 버너 타공판; 및 상기 버너 타공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화염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버너 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타공판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버너 타공판과 상기 버너 매트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격 지지부는, 상기 버너 타공판의 상부 일측에 기둥 모양으로 설치되어 상기 버너 매트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격 지지부는, 상기 버너 타공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가상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의 둘레의 곡선 상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1 이격 지지부; 및 상기 제 1 이격 지지부와 일정 거리 바깥쪽 방향으로 이격되어 가상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의 둘레의 곡선 상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이격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여 생성된 가상의 원과 대응하는 면적에 해당하는 버너 매트의 면적과, 상기 제 2 이격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여 생성된 가상의 원에서, 상기 제 1 이격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여 생성된 가상의 원과 대응하는 면적을 제외한 면적에 해당하는 버너 매트의 면적은 그 조밀도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이격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제 2 이격 지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이격 지지부와 상기 제 2 이격 지지부는 중심에서 분기되는 하나의 가상 선분을 그었을 경우, 상기 선분 상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격 지지부는, 일 측에 혼합연료를 통과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격 지지부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너 매트는, 메탈 화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격 지지부는, 상기 버너 매트와 접하는 일측이 바깥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경사진 일측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이격 지지부를 구비하여 버너 타공판 상에 버너 매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내부로 급기된 공기가 버너 및 열교환기를 거쳐 외부로 배기되는 흐름을 설명한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버너 타공판과 버너 매트의 결합 단면도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 타공판과 버너 매트의 결합 단면도의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 타공판의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 지지부의 수직 단면도의 일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 매트의 일 예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내부로 급기된 공기가 버너 및 열교환기를 거쳐 외부로 배기되는 흐름을 설명한 일 예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는 보일러 케이스(100), 필터부재(200), 버너 및 열교환기(400)를 포함한다.
보일러 케이스(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제 1 면부(110)와 제 2면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제 1 면부(110)의 테두리와 제 2 면부(120)의 테두리는 측방부(13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면부(110)의 일측에는 급기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면부(110)의 타측에 배기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급기홀에는 급기부(112)가 장착되고 배기홀에는 배기부(114)가 장착될 수 있다. 급기부(112)와 배기부(114)는 각각 제 1 면부(1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재(200)는 급기부(112)를 통하여 보일러 케이스(100) 내부로 급기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보일러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버너는 보일러 케이스(100)의 내부 하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가스 등의 연료와 보일러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적절하게 혼합되도록 한 후 이를 연소시켜 화염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버너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혼합된 공기 및/또는 가스를 연소시킨다. 버너가 화염을 생성하면 버너에는 화염으로 임한 고온의 연소가스가 생성될 수 있다. 즉, 버너는 생성된 화염을 이용해 상부에 위치한 열교환기(400)를 가열하여, 결국에는 열교환기(400) 내부를 유동하는 저온수(난방수)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버너는 버너 타공판(330) 및 버너 매트(340)를 구비하고 버너 타공판(330)의 상부 즉, 버너 매트(340) 방향 일측에는 다수 개의 이격 지지부(332)를 구비하여 버너 타공판(330)과 버너 매트(340) 간의 간격을 일정 거리 이격시킴으로써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버너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열교환기(400)는 버너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난방수가 내부로 이동되도록 하되, 이동시 상술한 버너를 통한 가스 연소를 통해 난방수가 데워질 수 있다. 이때, 데워진 난방수는 타측의 배출부를 통해 보일러가 설치된 장소(예컨대, 가정의 방, 욕실 등)에 공급되어진 후, 다시 회수되는 순환이 반복되어질 수 있다. 열교환기(400)는 버너가 생성한 연소가스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매체가 상호 열교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을 마친 연소가스는 배기부(114)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부(112)를 통하여 보일러 케이스(100) 내부로 급기되는 공기는 필터부재(200)에 의해 필터링된 후 보일러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보일러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연소장치와 적절하게 혼합된 후, 화염으로 생성되고, 상술한 과정을 거쳐 생성된 화염에 의해 생성된 연소가스는 열교환기(400)를 거쳐 배기부(114)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버너 타공판과 버너 매트의 결합 단면도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 타공판과 버너 매트의 결합 단면도의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 타공판의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 지지부의 수직 단면도의 일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 매트의 일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버너는, 혼합된 공기와 연료(이하, 혼합연료)를 공급하는 벤츄리관 어셈블리(310), 버너의 몸체를 구성하는 버너 몸체(320) 및 혼합연료의 점화시 화염이 분출되는 버너 타공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른 버너는 버너 타공판(330) 상부에 위치하는 버너 매트(340), 버너 타공판(330)을 지지하는 버너 가이드(350) 및 버너 몸체(320) 내에서 지지부 위에 설치되는 혼합 가이드(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벤츄리관 어셈블리(310)는 1차 연소공기와 연료가스를 1차로 혼합하여 그 상부에 연결된 버너 몸체(320)로 혼합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벤츄리관 어셈블리(310)는 버너가 설치된 주변 환경에 따라 1차 연소공기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설치 조건이 나쁜 경우에도 최적의 예혼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버너 몸체(320)는 벤츄리관 어셈블리(3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연결됨으로써, 1차 혼합이 이루어진 혼합연료를 공급받아 버너 타공판(330) 측으로 안내하는 구성이다. 버너 몸체(320)의 하부에는 1차 연소 공기가 유입되는 1차 공기 유입공이 다수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는 화염이 분출되도록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너 타공판(330)은 버너 몸체(320)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화염을 분출시키기 위한 염공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염공은, 버너 타공판(33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홀 형태로 형성되되, 횡방향 및/또는 종방향으로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버너 타공판(33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400)의 연소실에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버너 타공판(330)의 상부에는 버너 매트(340)가 위치할 수 있다. 버너 매트(340)는 화염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버너 타공판(330)에 형성된 염공보다 크기가 작은 미세한 틈새를 갖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버너 매트(340)는 메탈 화이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버너 매트(340)에 의해 연소 표면적이 커짐에 따라 반대로 화염온도가 낮아지면서 열적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버너 매트(340)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획되어, 구획된 복수의 부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다른 부분과 서로 다른 조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른 버너는, 버너 가이드(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너 가이드(350)는 버너 타공판(330)을 지지하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측면이 일정 높이를 갖는 원형 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버너 가이드(350)의 하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버너 가이드(350)의 하측면은 버너 몸체(320) 위에 놓이고, 버너 타공판(330)은 버너 가이드(350)의 상측면 위에 놓이게 설치되어, 그 상태에서 혼합연료가 버너 가이드(350)를 통해 버너 타공판(330)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른 버너는, 혼합 가이드(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혼합 가이드(360)는 벤츄리관 어셈블리(310)에서 1차 혼합된 혼합연료에 버너 몸체(320)의 1차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1차 연소공기를 추가하여 2차 혼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혼합 가이드(360)는 버너 몸체(320)에서 수직으로 분기된 지지부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는 버너 몸체(320)의 내부에 설치되되, 수직으로 분기된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혼합연료가 유입되는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버너 타공판(330) 보다는 하측에 위치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 가이드(36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는 기둥 형상으로 3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버너 몸체(320)의 내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채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 상에 혼합 가이드(360)를 올려놓고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통해 조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벤츄리관 어셈블리(310)에서 분출된 혼합연료가 버너 몸체(320) 내부로 유입된 후, 혼합 가이드(360)에 부딪치면서 혼합 및/또는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확산된 혼합연료는 버너 가이드(350)를 통해 버너 타공판(33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혼합 가이드(360)는 원판 형상이되, 버너 타공판(330)의 하부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에 따라 공급된 혼합연료는 버너 타공판(330) 및 버너 매트(340)를 통해 분출될 수도 있다.
버너 타공판(330) 및/또는 버너 매트(340)를 통해 분출될 혼합연료는 열교환기(400)의 연소실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버너 매트(340) 위에 노출 설치된 점화장치(370)에 의해 점화될 수 있다. 또한, 점화장치(370)에 의해 연소실 내에서 혼합연료가 점화되면,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면서 화염 및/또는 고온의 연소가스와 같은 연소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연소열에 의해 열교환기(400) 내부의 열교환관을 이동하는 저온수(난방수)가 가열될 수 있다.
이때, 버너 타공판(330)과 버너 매트(340)는 연소 효율을 위해 서로 일정 거리 이격시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버너 타공판(330)과 버너 매트(340)를 일정 거리 이격시킴으로써, 버너 타공판(330)의 염공을 통과하는 혼합연료가 버너 매트(340)를 통해 보다 다면적을 이용하여 분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너 타공판(330)의 상부에는 버너 매트(340)를 지지하는 이격 지지부(332)가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이격 지지부(3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 타공판(3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하나의 가상의 원주 방향을 따라 원을 이루는 둘레의 곡선에만 위치하여 바깥쪽 방향으로 갈수록 버너 매트(340)가 중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쳐짐에 따라 버너 타공판(330)과 접하거나, 매우 가깝게 위치하여 연소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버너 타공판(330)의 상부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격 지지부(332) 이외에 그 외측 방향으로 또 다른 이격 지지부(332)가 존재할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너 타공판(330)은 상부 일측에 기둥 모양으로 설치되어 버너 매트(340)를 지지하는 것으로, 제 1 이격 지지부(332-1)와 제 2 이격 지지부(3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이격 지지부(332-1)의 높이는 제 2 이격 지지부(332-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버너 타공판(330)의 중심에 가까이 위치하는 이격 지지부(332)의 높이를 바깥쪽 방향에 위치하는 이격 지지부(33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버너 타공판(330)과 버너 매트(340)의 최외각의 접합(결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보다 효과적으로 버너 매트(340)를 지지하여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격 지지부(332)는, 버너 매트(340)와 접하는 일측이 바깥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되, 경사진 일측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격 지지부(332)는 버너 매트(340)와 접하는 일측이 바깥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버너 타공판(330)과 버너 매트(340)의 최외각 일측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버너 매트(340)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이격 지지부(332)의 경사진 일측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버너 매트(34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 타공판(330) 상부에 기둥 모양으로 설치되는 제 1 이격 지지부(332-1) 및 제 2 이격 지지부(332-2)는 가상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의 둘레의 곡선 상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이격 지지부(332-1)는 버너 타공판(3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가상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의 둘레의 곡선 상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이격 지지부(332-1)는 4개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버너 매트(340)를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자에 의해 임의로 채택된 개수만큼 존재할 수 있다.
제 2 이격 지지부(332-2)는, 제 1 이격 지지부(332-1)와 일정 거리 바깥쪽 방향으로 이격되어 가상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의 둘레의 곡선 상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이격 지지부(332-2)는 4개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버너 매트(340)를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자에 의해 임의로 채택된 개수만큼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 1 이격 지지부(332-1)와 제 2 이격 지지부(332-2)는 중심에서 분기되는 하나의 가상의 선분을 그었을 경우, 선분 상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이격 지지부(332-1)와 제 2 이격 지지부(332-2)를 동일 선상이 아닌, 서로 다른 곳에 위치시킴으로써 버너 매트(340)의 무게를 분산시켜 지지함으로써, 버너 매트(340)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지지부(332)는 일 측에 혼합연료를 통과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격 지지부 홀(334)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이격 지지부 홀(334)을 구비하여, 상술한 이격 지지부 홀(334)을 통해서도 벤츄리관 어셈블리(310)를 통해 공급되는 혼합연료를 버너 매트(340)로 공급되도록 하여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버너 타공판(330)과 버너 매트(340)를 결합하였을 경우, 제 1 이격 지지부(332-1)를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여 생성된 원의 면적에 대응하는 버너 매트(340)의 면적(A)과, 제 2 이격 지지부(332-2)를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여 생성된 원의 면적에서 상술한 제 1 이격 지지부(332-1)를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여 생성된 원의 면적을 제외한 면적에 대응하는 버너 매트(340)의 면적(B)은 조밀도가 상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이격 지지부(332-1)를 서로 연결하여 생성된 가상의 원과 대응하는 면적에 해당하는 버너 매트(340)의 면적과, 제 2 이격 지지부(332-2)를 서로 연결하여 생성된 가상의 원에서 제 1 이격 지지부(332-1)를 서로 연결하여 생성된 가상의 원과 대응하는 면적을 제외한 면적에 해당하는 버너 매트(340)의 면적의 조밀도를 서로 상이하게 함으로써 질소산화물의 발생량을 감소시키면서, 고부하의 안정적인 불꽃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에 따라 버너 매트(340)의 A 면적의 조밀도가 B 면적의 조밀도보다 높도록 형성하거나, 그 반대로 버너 매트(340)의 A 면적의 조밀도보다 B 면적의 조밀도가 더 높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버너 매트(340)는 큰 화염을 여러 개의 작은 화염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조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의 면적을 통해서는 담 연소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조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의 면적을 통해서는 농 연소가 가능하도록 하여, 질소산화물의 발생량을 감소시키면서 고부하의 안정적인 불꽃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보일러 케이스
110 : 제 1 면부
112: 급기부
114 : 배기부
120 : 제 2 면부
130 : 측방부
200 : 필터부재
300 : 버너
310 : 벤츄리관 어셈블리
320 : 버너 몸체
330 : 버너 타공판
332 : 이격 지지부
332-1 : 제 1 이격 지지부
332-2 : 제 2 이격 지지부
334 : 이격 지지부 홀
340 : 버너 매트
350 : 버너 가이드
360 : 혼합 가이드
370 : 점화장치
400 : 열교환기

Claims (9)

  1. 열교환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스 보일러용 버너에 있어서,
    다수의 염공이 형성되어 연료의 점화시 화염이 분출되는 원 형상의 버너 타공판; 및
    상기 버너 타공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화염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버너 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타공판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버너 타공판과 상기 버너 매트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버너 타공판의 상부 일측에 기둥 모양으로 설치되어 상기 버너 매트를 지지하는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버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지지부는,
    상기 버너 타공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가상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의 둘레의 곡선 상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1 이격 지지부; 및
    상기 제 1 이격 지지부와 일정 거리 바깥쪽 방향으로 이격되어 가상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의 둘레의 곡선 상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버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격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여 생성된 가상의 원과 대응하는 면적에 해당하는 버너 매트의 면적과,
    상기 제 2 이격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여 생성된 가상의 원에서, 상기 제 1 이격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여 생성된 가상의 원과 대응하는 면적을 제외한 면적에 해당하는 버너 매트의 면적은 그 조밀도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버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격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제 2 이격 지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버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격 지지부와 상기 제 2 이격 지지부는 중심에서 분기되는 하나의 가상 선분을 그었을 경우, 상기 선분 상에 겹치지 않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버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지지부는,
    일 측에 혼합연료를 통과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격 지지부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버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매트는,
    메탈 화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버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지지부는,
    상기 버너 매트와 접하는 일측이 바깥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경사진 일측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용 버너.

KR1020190145141A 2019-11-13 2019-11-13 가스 보일러용 버너 KR102292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141A KR102292819B1 (ko) 2019-11-13 2019-11-13 가스 보일러용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141A KR102292819B1 (ko) 2019-11-13 2019-11-13 가스 보일러용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108A KR20210058108A (ko) 2021-05-24
KR102292819B1 true KR102292819B1 (ko) 2021-08-26

Family

ID=7615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141A KR102292819B1 (ko) 2019-11-13 2019-11-13 가스 보일러용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8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156B1 (ko) * 2014-12-22 2016-01-18 최영환 배풍 타입 질소산화물 저감형 가스버너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131Y1 (ko) 2001-03-12 2001-10-06 동양매직 주식회사 가스 보일러용 버너
KR100434404B1 (ko) * 2002-03-12 2004-06-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가스복사조리기용 복사버너의 매트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156B1 (ko) * 2014-12-22 2016-01-18 최영환 배풍 타입 질소산화물 저감형 가스버너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108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0784B2 (en) Burner including a perforated flame holder spaced away from a fuel nozzle
EP2976576B1 (en) ULTRA-LOW NOx BURNER
US6651645B1 (en) Pressurized combustion and heat transfer process and apparatus
JP5380304B2 (ja) ガスボイラー用バーナー
KR101840296B1 (ko) 휴대용 가스스토브
CN106678797A (zh) 燃烧器和燃气灶具
JPH0246843B2 (ko)
CN209991452U (zh) 一种燃烧器
JP2006337016A (ja) 炉燃焼システム及び燃料燃焼方法
RU2482388C2 (ru)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292819B1 (ko) 가스 보일러용 버너
US3460895A (en) Device for gasifying and combusting light petroleum by utilizing air under pressure
US5437262A (en) Burner apparatus
US2621721A (en) Gas burner having radiant foraminous combustion chamber walls
CN112128805A (zh) 一种燃气灶
US2231151A (en) Baffle gasifier
EP3126737B1 (en) Pre-mixed gas burner cooled by an air-gas mixture
RU2293917C1 (ru) Инжекторная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и котел с инжекторными газовыми горелками
KR200281374Y1 (ko) 예혼합 화염버너를 갖는 가스보일러
KR100687847B1 (ko) 가스버너용 연소기
US20210254860A1 (en) ULTRA-LOW NOx BURNER
KR102236937B1 (ko) 단계 연소형 저녹스 연소버너
JP2001074214A (ja) 多孔性の金属繊維織造で組織された多孔体板を利用した家庭用低公害・高効率リッチ・リーン燃焼ガスバーナー
US3485590A (en) Flame chamber and quenching chamber apparatus
JP2000314509A (ja) バー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