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723B1 -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723B1
KR102292723B1 KR1020197028128A KR20197028128A KR102292723B1 KR 102292723 B1 KR102292723 B1 KR 102292723B1 KR 1020197028128 A KR1020197028128 A KR 1020197028128A KR 20197028128 A KR20197028128 A KR 20197028128A KR 102292723 B1 KR102292723 B1 KR 102292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information
uplink
downlink
configu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314A (ko
Inventor
쥐에지아 저우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2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2Avoidance of ingress interference, e.g. ham radio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1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involving interference determination or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2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intra-user or intra-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15/00Reducing interference at the transmission system level
    • H04B2215/061Reduction of burst noise, e.g. in TDMA systems
    • H04B2215/062Reduction of burst noise, e.g. in TDMA systems by inhibiting burst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는 단계;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정보 전송이 적어도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적용하면, 기지국에서는 전송 간격을 변경하는 방식을 통해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고, 사용자 기기에서 서로 다른 작동 주파수 범위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을 사용하여 동시에 정보 전송을 진행할 경우, 업링크 전송이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간섭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점차적으로 5G 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다. 5G 네트워크 레이아웃의 초기에는, 여전히 4G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롱텀에볼루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요 신호 커버리지를 진행하고, 5G 네트워크 즉 NR(New Radio) 시스템을 데이터 전송 업무의 강력한 보충으로 하여, LTE-NR interworking (상호 연동)의 레이아웃을 형성한다. 현 단계의 5G NR 레이아웃에 있어서, 상당한 부분이 3.4GHz-4.2GHz 주파수 범위에 집중되어 있는 한편, LTE는 대량의 주파수들이 1.7GHz-1.8GHz 범위에서 동작하며, 예를 들면, 주류를 이루는 FDD (Frequency Division Dual,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주파수 밴드(Band) 3 등이 있다.
상기 작동 주파수 대역을 예로 들면, 사용자 기기 (User Equipment, UE)에 설치된 LTE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과 NR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이 동시에 작동할 경우, 특히, LTE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에서 LTE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동시에 NR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에서 NR 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할 경우, 고조파 간섭 현상이 쉽게 발생하게 되는바, 예를 들면, LTE 발사 유닛 중의 비선형 컴포넌트의 작용으로 인해 Band 3의 주파수 배가 신호가 발생하게 되며, 그 주파수 범위는 (1.7GHz~1.8GHz)Х2=3.4GHz~3.6GHz로서 마침 NR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게 되어, UE에서 NR 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간섭하게 된다.
한편, NR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 및/또는 LTE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에서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의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동시에 업링크 전송을 진행할 경우, 발사 유닛 중의 비선형 컴포넌트의 작용으로 인해 조합 주파수 성분이 발생하게 되며, 해당 조합 주파수 성분의 주파수가 기타 유용 신호의 주파수 (예를 들면, 수신 유닛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주파수)에 근접한다면, 해당 유용 신호(예를 들면, LTE 다운링크 정보)에 상호 변조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 고조파 간섭 현상과 상호 변조 간섭 현상을 통틀어 기기 내 (in-device) 간섭이라고 칭한다. 통신 과정에 있어서, 그 어떤 기기 내 간섭 현상이 나타나든 지를 막론하고 모두 유용한 정보에 대한 UE의 송수신에 영향을 끼치게 되어, 통신 품질과 5G 네트워크 UE의 사용자 체험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해당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기기 내 간섭 현상의 발생을 감소하기 위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따르면, 기지국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는 단계;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정보 전송이 적어도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기기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를 획득 - 상기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는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를 포함함 - 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정 -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을 포함함 - 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과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에 근거하여 간섭 구간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상기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간섭 구간 내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설정 간섭 회피를 설정하지 않았음을 확정 - 상기 간섭 회피 설정은 상기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 조작을 트리거하여 상기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의 정보 전송을 정지하도록 함 -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송 조절 능력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전송 조절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할 경우,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조정을 진행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적어도 업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포함함 -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조정을 진행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종료 시각이 변하지 않는 기초하에 간격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조정을 진행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시작 시각이 변하지 않는 기초하에 간격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다운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조정을 진행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 기간과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 기간을 각각 확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 기간 및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 기간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조정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와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와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에 따라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동일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또는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을 기설정 개수의 목표 전송 간격으로 구획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목표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제1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전송 간격의 전송 취소 방식을 확정 - 상기 전송 취소 방식은 간섭이 곧 발생할 경우,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 및/또는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을 취소하여,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함 - 하는 단계;
상기 전송 취소 방식에 근거하여, 제2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경우, 상기 제1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상기 제2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목표 전송 간격에 따라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간섭이 곧 발생할 경우, 하나의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취소 및/또는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취소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송신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수신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는 단계;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다운링크 자원으로부터 다운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기지국에서 송신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기지국에 자신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를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에 회피 설정 검출 보고를 송신 - 해당 회피 설정 검출 보고는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 조작을 트리거하여 상기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의 정보 전송을 정지할지 여부를 보고함 -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에 자신의 조절 능력 정보를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조절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양태에 따르면, 기지국에 설치되는 정보 전송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간섭 확정 모듈;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정보 획득 모듈;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정보 전송이 적어도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스케줄링 모듈; 을 포함하는 정보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간섭 확정 모듈은,
사용자 기기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를 획득 - 상기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는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주파수 정보 획득 서브 모듈;
상기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간섭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간섭 확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스케줄링 요청 획득 서브 모듈;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정 -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을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되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과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에 근거하여 간섭 구간을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간섭 시간 추정 서브 모듈;
상기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상기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간섭 구간 내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간섭 확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설정 간섭 회피를 설정하지 않았음을 확정 - 상기 간섭 회피 설정은 상기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 조작을 트리거하여 상기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의 정보 전송을 정지하도록 함 - 하도록 구성되는 제3 확정 서브 모듈;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송 조절 능력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절 능력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전송 조절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정 기능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할 경우,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정보 획득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은,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조정을 진행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적어도 업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은,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종료 시각이 변하지 않는 기초하에 간격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전송 간격 조정 서브 모듈;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구성 정보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은,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시작 시각이 변하지 않는 기초하에 간격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운링크 전송 간격 조정 서브 모듈;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다운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운링크 구성 정보 확정 서브 모듈;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은,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기간과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기간을 각각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기간 조정 서브 모듈;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기간 및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기간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조정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와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위치 확정 서브 모듈;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와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정보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은,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케줄링 모듈은,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에 따라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제1 스케줄링 서브 모듈;
동일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또는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제2 스케줄링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은,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을 기설정 개수의 목표 전송 간격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구획 서브 모듈;
각각의 상기 목표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제1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성 정보 확정 서브 모듈;
상기 목표 전송 간격의 전송 취소 방식을 확정 - 상기 전송 취소 방식은, 간섭이 곧 발생할 경우,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 및/또는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을 취소하여,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함 - 하도록 구성되는 취소 방식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전송 취소 방식에 근거하여, 제2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성 정보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경우, 상기 제1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성 정보 송신 서브 모듈;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상기 제2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성 정보 송신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케줄링 모듈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목표 전송 간격에 따라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제3 스케줄링 서브 모듈;
간섭이 곧 발생할 경우, 하나의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취소 및/또는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취소하도록 구성되는 스케줄링 취소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에 설치되는 정보 전송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송신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수신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전송 모듈;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다운링크 자원으로부터 다운링크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다운링크 전송 모듈; 을 포함하는 정보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에 자신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를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주파수 능력 보고 모듈;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에 회피 설정 검출 보고를 송신 - 해당 회피 설정 검출 보고는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 조작을 트리거하여 상기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의 정보 전송을 정지할지 여부를 보고함 - 하도록 구성되는 회피 설정 보고 모듈;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에 자신의 조절 능력 정보를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조절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절 능력 보고 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명령이 기록되고, 상기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제1 양태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명령이 기록되고, 상기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제2 양태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7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고;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며;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정보 전송이 적어도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정보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8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에서 송신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수신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고;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다운링크 자원으로부터 다운링크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안은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기설정 자원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한 개의 사용자 기기에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할 경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확정하면, 기지국은 전송 시간 간격을 변경하는 것을 통해 자원 스케줄링 책략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 기기에서 기지국이 스케줄링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할 때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회피하고, 적어도 UE의 업링크 전송이 UE에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데 대한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기기 내 간섭으로 인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분석할 수 없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5G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기지국은 획득된 사용자 기기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즉,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UE에서 동시에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진행할 경우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미리 판단함으로써, 스케줄링 책략을 조정할 준비를 미리 끝마치고,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방지할 스케줄링 책략을 제때에 제정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기지국에서는 UE의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에 근거하여 기기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정할 수 있으며, 간섭이 곧 발생할 앞선 한 개의 시각에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 하달하고 스케줄링 책략을 제때에 변경함으로써, 기기 간섭의 발생을 실시간으로 회피하고 정보 전송의 유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한 자원 스케줄링을 진행하기 전에, 먼저 사용자 기기에서 자체적으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설정을 진행하였는지를 확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 자신에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능력을 구비하지 않음을 확정한 후, 시간 영역 자원 스케줄링 책략을 변경하는 방식을 통해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회피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전에, 사전에 UE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 기기에서 해당 기능을 지원하지 않음으로 인해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책략 조정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고, 기지국에서 조정을 진행한 후의 스케줄링 책략이 실시되도록 보장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전송 간격을 조정할 때, 기설정된 기본 정보 전송 단위, 즉 원시 전송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조정을 진행할 수 있음으로써, 전송 구성 정보의 획득 효율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원래 전송 시간 간격 TTL에 기반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할 경우, 시작 시각을 제시하는 방식을 통해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로써, UE에서 기기 내 간섭에 관한 목표 작동 주파수 범위를 통해 동시에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진행할 경우, 업링크 전송이 사용자 기기에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데 대한 간섭을 방지하며, 정보 전송량을 최대한 감소한 기초하에, 적어도 UE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분석할 수 있도록 보장함으로써, 기기 내 간섭으로 인해 전체 다운링크 데이터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원래 전송 시간 간격 TTL에 기반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할 때, 업링크 전송 간격을 단축하는 동시에,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시작 시각이 변하지 않는 기초하에 간격 기간을 단축하여,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함으로써, UE에서 기설정 간섭 구간 내에 동시에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진행할 경우, 업링크 전송이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간섭을 한층 더 감소시킨다.
본 출원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원래 전송 시간 간격 TTL에 기반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할 때, 업링크 전송 간격과 다운링크 전송 간격을 함께 단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와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하여, UE에서 기설정 간섭 구간 내에서 동시에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진행할 경우, 업링크 전송이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간섭을 완전히 방지함으로써, 5G 네트워크의 정보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기기 5G네트워크의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확정하면,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예를 들면, 기설정 간섭 구간보다 앞선 한 개의 전송 시간 간격 내에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이전 구간의 정상적인 정보 전송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정보 전송 성능을 보장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사용자 기기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판단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에서는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사전에 기설정 책략에 따라 전송 시간 간격을 단축하고, 기기 내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단축 후의 전송 시간 간격을 기본 정보 전송 단위로 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고, 기기 내 간섭이 곧 발생할 경우, 전송 간격을 취소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신속하게 회피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을 취소하는 제어 시그널링은 한 개의 간단한 스위칭 시그널링일 수 있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사전에 전송 시간 간격을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은 목표 전송 간격을 확정할 때,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기설정 개수에 대한 구획을 진행하여, 구획한 후의 시간 범위를 목표 전송 간격으로 확정할 수 있으며, 원래 전송 간격 기간 내의 각 부분의 전송 간격별로 번호를 붙일 수 있다. 제2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할 때, 제어 시그널링 중에서 전송이 취소된 시간 간격의 번호를 UE에 알려주기만 하면 되므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응당 이해해야 할 것은, 이상의 일반적인 서술과 하기의 세부 서술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을 위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하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표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a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고조파 간섭의 하나의 모식도이다.
도 1b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상호 변조 간섭의 하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하나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를 전송하는 하나의 모식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하나의 모식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하나의 모식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하나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기기 내 간섭의 하나의 모식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를 전송하는 하나의 모식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이다.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하나의 모식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하나의 모식도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하나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를 전송하는 하나의 모식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하나의 모식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하나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하나의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하나의 블록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에 적용되는 하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구조 모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사례를 도면에 표시한다. 하기의 서술이 도면에 관련될 때,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술한 실시 방식은 본 발명에 부합되는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 방식들은 다만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부합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수행 주체는 기지국과 사용자 기기 (User Equipment, UE)를 포함하며, 여기서, 기지국은 대규모 안테나 어레이가 설치된 기지국, 서브 기지국 등일 수 있고, 사용자 기기 UE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노드, 이동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과정에 있어서, 기지국과 사용자 기기는 서로 독립되어 있으면서도 서로 연계되어 본 발명에서 제공한 기술 방안을 공통으로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UE에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유형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들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4G 네트워크의 LTE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과 5G 네트워크의 NR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이 설치된다. 여기서, LTE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의 작동 주파수는 4G 네트워크의 망 배치 주파수에 위치하며, 예를 들면, 1.7GHz~1.8GHz 범위에 위치한다. NR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의 작동 주파수 범위는 예를 들면 3.4GHz~4.2GHz 범위 또는 더욱 높은 주파수 범위인 6GHz 이상의 범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UE에서 발생하는 기기 내 간섭은 고조파 간섭과 상호 변조 간섭을 포함한다. 고조파 간섭이 발생하는 원인은 가능하게 한 개의 LTE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 f11의 주파수 배가 범위와 한 개의 NR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 f22에 오버랩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는, 가능하게 한 개의 NR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배가 범위와 다른 한 개의 NR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오버랩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환언하면, 고조파 간섭은 LTE-NR 상호 조작 시에 발생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UE에서 NR-NR 상호 조작 시에 나타나는 간섭 현상일 수도 있다.
상호 변조 간섭에 관하여, 두 개 또는 복수 개의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의 조합 주파수 범위와 한 개의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오버랩이 존재할 경우, 상호 변조 간섭의 발생을 유발하게 된다. 예시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의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 f11과 NR의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 f21에서 동시에 업링크 전송을 진행할 경우, f11과 f21의 조합 주파수 범위와 LTE과 다운링크 전송을 진행하고 있는 한 개의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 f12 사이에는 오버랩이 존재하게 되어, UE 내에 상호 변조 간섭이 나타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호 변조 간섭 역시 LTE-NR 상호 조작 시에 발생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기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기기에서 동일한 시간 내에 업링크/다운링크 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경우,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하나의 흐름도로서, 기지국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1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UE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는 시점이 다름에 따라, 아래와 같은 두 가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경우에 있어서, UE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획득된 사용자 기기 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에 근거하여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로서, 상기 단계11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11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는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를 포함한다.
사용자 기기에서 지원하는 서로 다른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를 확정하고,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를 확정한다. 정보 전송의 듀플렉싱 모드가 다름에 따라, 상기 UE의 한 개의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는 한 개의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동일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상기 도 1a에 있어서, LTE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은 LTE-TDD 모드에서 작동하며,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 LTE UL과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 LTE DL은 동일한 주파수 범위일 수 있다.
단계112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기기 내 간섭 종류가 다름에 따라, 단계112의 실시는 아래와 같은 두 가지 방식을 포함한다.
첫 번째 방식에 있어서, 한 개의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한 개의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고조파 간섭 조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고조파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여기서, 상기 고조파 간섭 조건은, 상기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의 수 배가 범위와 상기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 간에 오버랩이 존재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식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한 개의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기설정 상호 변조 간섭 조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호 변조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여기서, 상기 상호 변조 간섭 조건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의 조합 주파수 범위와 상기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 간에 오버랩이 존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은 획득된 사용자 기기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즉,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UE에서 동시에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진행할 경우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미리 판단함으로써, 스케줄링 책략을 조정할 준비를 미리 끝마치고,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방지할 스케줄링 책략을 제때에 제정할 수 있다.
두 번째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정보와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로서, 상기 단계11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획득한다.
UE에서 송신한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정보는 현재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 내에서 UE를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분배할 것을 기지국에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의 전송 자원은 PRB(Physical Resource Block, 물리적 자원 블록)와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변조 및 인코딩 책략)일 수 있다. 상기 PRB는 시간 영역 상에서 한 개 타임 슬롯의 자원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정보에는 UE에서 전송 대기 중인 업링크 데이터의 캐시(cache) 보고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11-2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을 확정한다.
기지국에서는 UE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바로 UE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을 획득할 수 있으며, UE에서 지원하는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를 포함한다. UE에서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 송신하면, 기지국에서는 UE 현재의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를 확정할 수 있게 된다.
기지국에서 UE의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을 수신한 후, 기지국의 업링크 스케줄러는 UE의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및 기지국에서 직접 측정한 업링크 채널 상황 (예를 들면, 업링크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채널 품질 인디케이터))에 근거하여 스케줄링 결과를 작성할 수 있으며, 해당 스케줄링 결과는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을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은 적어도 업링크 스케줄링의 시작 시각, 즉, 기지국에서 UE를 위해 배치한 업링크 시간 영역 자원의 시작 위치를 포함하며,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작 시각으로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UE에서 송신한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에 전송 대기 업링크 데이터의 캐시 보고가 포함되면, 기지국에서는 상기 전송 대기 업링크 데이터의 캐시 보고에 근거하여 전송 대기 업링크 데이터에 얼마만 한 시간 영역 자원을 배치해야 하는지를 확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시간 영역 자원이 원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전송 시간 간격)를 단위로 하여 계산된다면, 전송 대기 업링크 데이터에 필요한 시간 영역 자원은 업링크 원래 TTI의 개수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할 경우, 상기 스케줄링 결과에는 배치 대기 중인 시간 영역 자원의 개수, 즉 업링크 스케줄링 기간이 더 포함된다.
정리하면,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은, 기지국에서 UE를 위해 배치하기로 계획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시작 시각과 업링크 스케줄링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1-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정한다.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을 포함한다.
기지국에서는 UE에 대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정하며, 해당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은 기지국에서 계획하여 상기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를 통해 UE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간이며,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작 시각과 다운링크 스케줄링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1-4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과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에 근거하여 간섭 구간을 추정한다.
UE의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에 응답하여, 기지국에서 계획하여 T10~T1 시간 범위 내에 UE에서 업링크 전송을 진행할 것을 수권(grant)하고, 계획하여 T20~T2 시간 범위 내에 UE에 다운링크 정보를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도 5a 내지 5d에 도시된 간섭 구간을 확정하는 모식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간섭 구간을 추정하는 것은 아래와 같은 네 가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경우에 있어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 T10~T1이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 T20~T2 내에 위치할 경우, 간섭 구간 Tg를 T10~T1로 추정한다.
두 번째 경우에 있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 T20~T2가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 T10~T1 내에 위치할 경우, 간섭 구간 Tg를 T20~T2로 추정한다.
세번 째 경우에 있어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 T10~T1과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 T20~T2 간에 부분적으로 오버랩될 경우, 간섭 구간 Tg를 T20~T1로 추정한다.
네번 째 경우에 있어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 T10~T1과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 T20~T2 간에 부분적으로 오버랩될 경우, 간섭 구간 Tg를 T10~T2로 추정한다.
단계11-5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상기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간섭 구간 내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마찬가지로, 단계11-5에 있어서도, 상기 단계112 중 상기 두 가지 방식을 적용하여 UE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 상기 추정한 간섭 구간을 확정한 후, 상기 간섭 구간 내에서 여전히 정상적인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시간 영역 자원 스케줄링을 진행한다면, 필시 UE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것이므로,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회피하도록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책략을 조정하는 것을 준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에서는 UE의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에 근거하여 기기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정할 수 있으며,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 한 개의 시각, 예를 들면, 간섭 발생 전의 한 개의 원래 TTI에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 하달하고 스케줄링 책략을 제때에 변경함으로써, 기기 간섭의 발생을 실시간으로 회피하고 정보 전송의 유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록 기지국에서는 상기 추정된 간섭 구간 내에,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확정할 수 있으나, UE 자신에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책략이 설정되어 있다면, 기지국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책략을 조정하여 기지국측으로부터 UE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책략을 조정하기 전에, UE 자신에 기설정 간섭 회피 설정이 이미 존재하는지 여부를 더 나아가 확정할 수 있다. 해당 기설정 간섭 회피 설정은 사용자 기기 자신의 조작을 통해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해당 기설정 간섭 회피 설정은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 조작을 트리거하여 상기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의 정보 전송을 정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간섭 회피 설정은 사용자 조작 인터페이스에 대해 사전 설정하는 것을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조작 인터페이스는 어떤 한 개의 작동 주파수 범위의 네트워크 통신 모듈, 예를 들면, LTE SIM 카드 또는 NR SIM 카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컨트롤러일 수 있다.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는 해당 스위치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기기 내 간섭에 관한 통신 모듈을 오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간섭 회피 설정은 UE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 시 자동으로 트리거하는 설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은 UE의 회피 설정 검출 보고를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회피 설정 검출 보고는 UE에서 상기 기설정 간섭 회피 설정을 진행하였는지 여부를 보고한다.
상기 회피 설정 검출 보고에 UE에서 상기 기설정 간섭 회피 설정을 진행하였다고 표시되면, 기지국에서는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고 확정할 수 있어, 간섭 구간 내에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책략을 조정할 필요가 없다고 확정함으로써, 스케줄링 조정으로 인해 연산 로드 및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피 설정 검출 보고에 UE에서 상기 기설정 간섭 회피 설정을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표시되면, 기지국은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판단할 수 있고, 간섭 구간이 도달하기 전에 기지국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책략을 조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한 자원 스케줄링을 진행하기 전에, 먼저 사용자 기기에서 자체적으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설정을 진행하였는지를 확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 자신에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능력을 구비하지 않음을 확정한 후, 시간 영역 자원 스케줄링 책략을 변경하는 방식을 통해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회피한다.
단계12에 있어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UE 내에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정한 후, 전송 간격을 조정하는 방식을 통해 추정된 간섭 구간 Tg 내에서의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로서, 상기 단계12는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21에 있어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어떤 사용자 기기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는 점을 고려하여, 기지국에서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조정하는 책략을 UE에서 지원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전에, 우선 UE에서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로서, 개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121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2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송 조절 능력 정보를 확정한다.
UE의 전송 조절 능력 정보는 해당 UE에서 기지국 스케줄링 책략의 변경을 적용하여 적응적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능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표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래와 같은 적어도 두 가지 방식을 적용하여 UE의 전송 조절 능력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방식1에 있어서, 기지국은 기설정 제어 시그널링을 UE에 하달하여, 자신의 전송 조절 능력 정보를 보고할 것을 UE에 요청할 수 있다.
방식2에 있어서, 기지국은 사용자 기기의 기기 정보(예를 들면, 신분 표시), 기기 유형(예를 들면, 통합 분류 정보 category 등), 조회 기설정 리스트에 근거하여, UE의 전송 조절 능력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 리스트는 사용자 기기의 기기 정보와 전송 조절 능력 정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1212에 있어서, 상기 전송 조절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은, UE에서 한 번의 전송 시간 간격에서 한 개의 원래 TTI 중의 일부 시간 영역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 및 한 개의 원래 TTI의 일부 시간 영역 자원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말한다.
현재의 UE가 스마트폰 A인 경우를 예로 들면, 스마트폰 A의 전송 조절 능력 정보가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음을 표시하면, 단계들을 종료한다. 반대로, 스마트폰 A의 전송 조절 능력 정보가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함을 표시하면, 다음 단계122를 수행한다.
단계12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할 경우,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조정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전에, 사전에 UE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의 조절 능력 정보를 통해 UE에서 전송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하여, 사용자 기기에서 해당 기능을 지원하지 않음으로 인해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책략 조정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지국에서 조정을 진행한 후의 스케줄링 책략이 UE에서 효과적으로 실시되도록 보장하여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원래 스케줄링 책략에 따라 상기 추정된 간섭 구간 내에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진행한다면,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원래 스케줄링 책략은 기지국에서 목표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목표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 모두 원래 TTI를 기본 전송 단위로 하여 시간 영역 자원 배치를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예시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고조파 간섭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예로 들면, 도 8에는 고조파 간섭을 일으키는 원래 스케줄링 방식이 도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 추정된 간섭 구간 Tg 내에 여전히 원래 TTI를 기본 전송 단위로 하여, UE의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 f11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을 배치하고,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 f22에서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배치한다면, UE에서 f11 상의 업링크 시간 영역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동시에 f22 상의 다운링크 시간 영역 자원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해당 Tg 내에서 고조파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도 8 중의 아래 도면은 한 개의 원래 TTI의 스케줄링을 예로 들어, 기기 내 간섭을 일으키는 스케줄링에 대한 확대 모식도로서, 원래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UE에서 목표 업링크 작동 주파수 f11에서 업링크 전송을 진행한다면, UE에서 목표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 f22를 통해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간섭하게 되며, 특히 UE에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 Dc를 수신하는 것을 간섭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 Dc는 어느 시간 영역 자원 블록에서 어떠한 변조 인코딩 방안에 따라 어떠한 MIM 작동 모드로 UE에 다운링크 데이터 정보를 송신할 것인지를 해당 UE에 통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만약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 Dc의 전송이 간섭을 받는다면, UE에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Dc를 분석할 수 없게 되어, UE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게 된다.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 Dc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간섭을 회피하도록 업링크/다운링크의 전송 간격을 조정할 경우, 적어도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 Dc 전송이 간섭을 받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11에서 실시하는 두 가지 경우에 대응되게, 단계12에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것 역시 아래와 같은 두 가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1에 있어서, 상기 단계11의 두 번째 경우에 대응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원래 TTI에 기반하여 아래와 같은 적어도 세 가지 방식을 적용하여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중의 전송 간격을 조정하고,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에 있어서, 원래 TTI에 기반하여, 업링크 전송 간격을 단축한다.
도 9a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로서, 상기 단계12는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2-11에 있어서,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종료 시각이 변하지 않는 기초 하에 간격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모식도로서, 목표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해 시간 영역 자원을 할당할 경우, 원래 TTI의 기초 하에 시작 시각을 지연시키고,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한다.
원래 TTI가 1ms이고, 서열 번호가 0~9인 10개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며, 간격 기간을 변경한 후의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간격 기간을 0.8ms로 가정하면, 본 발명에서는 업링크 전송 간격을 배치할 때, 원래 TTI의 앞 0.2ms, 즉 제0, 1번 서브 프레임을 블랭크 서브 프레임으로 배치하고, 제2번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시작하여 업링크 시간 영역 자원을 배치할 수 있으며, 이러할 경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는 제2~9번 서브 프레임이 된다.
단계12-12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한다.
상기 업링크 전송 구성 정보는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작 시각, 예를 들면, 시작 시각에 대응되는 서브 프레임 번호2를 포함할 수 있고, 종료 시각과 간격 기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배치 방식을 적용하면, 적어도 목표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다운링크 스케줄링에 있어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 Dc가 간섭받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다운링크 전송에서 가능하게 간섭을 받은 데이터 부분에 관하여, 후속하여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원래 전송 시간 간격 TTL에 기반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할 경우, 시작 시각을 제시하는 방식을 통해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로써, UE에서 기기 내 간섭에 관한 목표 작동 주파수 범위를 통해 동시에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진행할 경우, 업링크 전송이 사용자 기기에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데 대한 간섭을 방지하며, 정보 전송량을 최대한 감소한 기초 하에, 적어도 UE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을 분석할 수 있도록 보장함으로써, 기기 내 간섭으로 인해 전체 다운링크 데이터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두 번째 방식에 있어서, 원래 TTI에 기반하여, 업링크 전송 간격과 다운링크 전송 간격을 각각 단축한다.
도 9c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로서, 도 9a의 기초 하에, 상기 단계12는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12-13에 있어서,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시작 시각이 변하지 않는 기초 하에 간격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한다.
도 9d를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다른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모식도로서, 도 9b의 기초 하에, 목표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해 시간 영역 자원을 할당할 경우, 원래 TTI의 기초 하에 전송 간격의 종료 시각을 변경하고,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할 수 있다.
단계12-14에 있어서,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다운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전송 구성 정보는 적어도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종료 시각을 포함하고, 시작 시각과 간격 기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상기 원래 TTI의 프레임 구조를 예로 들면, 도 9d에서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을 0.7ms로 가정하면,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종료 시각은 제6번 서브 프레임의 종료 위치에 대응된다. 즉,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는 제0~6번 서브 프레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운링크 전송 구성 정보는 원래 TTI에서의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종료 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 서열 번호6을 포함한다.
도 9b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스케줄링 방식을 적용할 경우, 간섭 구간 내에서 UE의 업링크 전송이 다운링크 정보 전송에 대한 간섭을 한층 더 감소할 수 있다. 즉, 도 9b에서, 간섭이 0.8ms 동안 지속되나, 도 9d에서, 다운링크 전송 데이터 부분에 대한 간섭은 0.5ms로 감소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원래 전송 시간 간격 TTL에 기반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할 때, 업링크 전송 간격을 단축하는 동시에,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시작 시각이 변하지 않는 기초하에 간격 기간을 단축하여,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함으로써, UE에서 기설정 간섭 구간 내에 동시에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진행할 경우, 업링크 전송이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간섭을 더 한층 감소시킨다.
세번 째 방식에 있어서, 두 번째 방식의 기초 하에, 원래 TTI에 기반하여 업링크 전송 간격과 다운링크 전송 간격을 각각 단축함으로써,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와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한다.
도 10a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다른 하나의 흐름도로서, 상기 단계12는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2-21에 있어서,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 기간과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 기간을 각각 확정한다.
원래 TTI에 기반하여 간격 기간을 각각 단축시키고,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기간과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기간을 확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각각 0.5ms로 확정한다.
단계12-22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 기간 및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 기간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조정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와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한다.
도 10b와 도 10c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다른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모식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과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끝점 시각을 조정하여, 양자의 시간 범위가 한 개의 원래 TTI 내에서 오버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단계12-23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와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끝점 시각과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끝점 시각을 포함한다.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약하기 위하여,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각각의 목표 전송 간격의 한 개의 끝점 시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0b에 있어서, 전송 구성 정보는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종료 서브 프레임 4와,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작 서브 프레임 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원래 전송 시간 간격 TTL에 기반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할 때, 업링크 전송 간격과 다운링크 전송 간격을 함께 단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와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하여, UE에서 기설정 간섭 구간 내에서 동시에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진행할 경우, 업링크 전송이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간섭을 완전히 방지함으로써, 5G 네트워크의 정보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기기 5G 네트워크의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원래 TTI에 기반하여 업링크/다운링크 전송 간격을 조정하고,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에 서로 다른 시간 영역 자원을 분배하여, UE에서 동일한 한 개의 원래 시간 간격 내에 진행하는 업링크 전송이 적어도 다운링크 제어 정보와 동시에 전송되지 않게 하고 시간적으로 업링크 전송이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간섭을 회피함으로써, 전송 구성 정보의 획득 효율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우2에 있어서, 단계11의 첫 번째 경우에 대응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에서는 UE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UE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확정되면, UE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부터 원래 TTI 보다 짧은 전송 간격을 적용하여, 업링크 시간 영역 자원과 다운링크 시간 영역 자원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하나의 모식도로서, 상기 단계12는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2-31에 있어서,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을 기설정 개수의 목표 전송 간격으로 구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에서는 원래 TTI를 기 설정 개수로 구획하고, 등분한 후의 한 개의 간격 기간을 한 개의 목표 전송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한 개의 원래 TTI을 1ms라고 가정하면, 원래 TTI를 2 등분하여 기간이 0.5ms인 목표 전송 간격을 획득할 수 있으며, 도 12a의 윗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다른 값으로 원래 TTI을 구획할 수 있으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과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을 각각 획득한다.
예를 들면,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을 확정할 때, 한 개의 원래 TTI를 5개 부분으로 구획하여, 한 개의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이 0.2ms일 수 있고,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을 확정할 때, 한 개의 원래 TTI를 2개 부분으로 구획하여, 한 개의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이 0.5ms일 수 있으며, 도 12b의 윗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단계12-32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목표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제1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한다.
상기 제1 전송 구성 정보는 각각의 목표 전송 간격의 기간, 끝점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UE에서 원래 TTI 정보를 알고있다면, 상기 제1 전송 구성 정보는 상기 원래 TTI가 균등하게 분배되었음을 표시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값이 2라고 가정하면, UE는 해당 값을 획득한 후, 기지국에서 원래 TTI의 1/2 기간을 기본 전송 단위로 하여 시간 영역 자원을 스케줄링하였음을 확정할 수 있어, 제어 시그널링의 정보량을 감소하고 무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단계12-33에 있어서, 상기 목표 전송 간격의 전송 취소 방식을 확정한다. 상기 전송 취소 방식은 간섭이 곧 발생할 경우,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 및/또는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을 취소하여,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한다.
도 12a의 아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정된 간섭 구간에서, 기기 내 간섭에 관한 목표 작동 주파수 범위의 전송 간격을 취소하는바, 즉, 간섭 구간 Tg에서, 한 개의 원래 TTI 중의 첫 번째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을 취소할 수 있으며, 목표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 상기 원래 TTI 중의 두 번째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다운링크 전송을 취소하여, 동일한 한 개의 원래 TTI에서,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이 완전히 오버랩되지 않게 함으로써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사용자 기기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판단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에서는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사전에 기설정 책략에 따라 전송 시간 간격을 단축하고, 기기 내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단축 후의 전송 시간 간격을 기본 정보 전송 단위로 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고, 기기 내 간섭이 곧 발생할 경우, 전송 간격을 취소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신속하게 회피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을 취소하는 제어 시그널링은 한 개의 간단한 스위칭 시그널링일 수 있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설정된 전송 취소 방식을 적용하여 간섭의 발생을 감소할 수도 있으며, 도 12b의 아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전송 취소 방식은 시간 영역 자원의 스케줄링을 취소하거나, 블랭크 서브 프레임을 스케줄링하는 것일 수 있다. 블랭크 서브 프레임을 스케줄링하는 전송 취소 방식을 적용하면, UE에서 끊임없이 블라인드 체크 및 측정을 시도함으로 인해 정보 획득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12-34에 있어서, 상기 전송 취소 방식에 근거하여, 제2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구성 정보는 시간 영역 자원 스케줄링이 취소된 전송 간격 번호일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송 구성 정보에 전송이 취소된 업링크 전송 간격 번호로 1, 3이 포함되어 있으면, UE에서는 번호1과 3의 업링크 전송 간격을 이용하여 업링크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사전에 전송 시간 간격을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은 목표 전송 간격을 확정할 때,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기설정 개수에 대한 구획을 진행하여, 구획한 후의 시간 범위를 목표 전송 간격으로 확정할 수 있으며, 원래 전송 간격 기간 내의 각 부분의 전송 간격별로 번호를 붙일 수 있다. 제2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할 때, 제어 시그널링 중에서 전송이 취소된 시간 간격의 번호를 UE에 알려주기만 하면 되므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단계13에 있어서,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지국에서는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방송 시그널링, 상위계층 RRC 시그널링 또는 물리계층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시그널링에 로딩하여, 사용자 기기에 하달할 수 있다.
단계12에 서로 대응되게, 본 발명에 있어서, 단계13 역시 아래와 같은 두 가지 실시 방식을 포함한다.
첫 번째 실시 방식에 있어서, 단계12의 경우1에서 획득한 전송 구성 정보에 대하여, 기지국에서 추정한 간섭 구간이 곧 오기 전에,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UE에 송신함으로써, UE에서 제때에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정보의 송신과 수신을 진행하도록 하여,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최대한 감소하거나 방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확정하면,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예를 들면, 기설정 간섭 구간보다 앞선 한 개의 전송 시간 간격 내에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이전 구간의 정상적인 정보 전송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정보 전송 성능을 보장한다.
두 번째 실시 방식에 있어서, 단계12의 경우2에서 획득한 전송 구성 정보에 대하여, 기지국에서 이를 UE에 송신하는 방식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액세스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경우, 제1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방식;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제2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사용자 기기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판단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에서는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사전에 기설정 책략에 따라 전송 시간 간격을 단축하고, 기기 내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단축 후의 전송 시간 간격을 기본 정보 전송 단위로 하여 전송을 진행할 수 있고, 기기 내 간섭이 곧 발생할 경우, 전송 간격을 취소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신속하게 회피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을 취소하는 제어 시그널링은 한 개의 간단한 스위칭 시그널링일 수 있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단계14에 있어서,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정보 전송이 적어도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의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단계12에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두 가지 방식과 서로 대응되게, 본 발명에 있어서, 단계14의 실시 역시 아래와 같은 두 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첫 번째 경우에 있어서, 도 13a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하나의 흐름도로서, 상기 단계14는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4-11에 있어서,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에 따라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한다.
단계14-12에 있어서, 동일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또는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두 개의 단계들에는 선후 순서의 구분이 없는 바, 먼저 단계14-11을 수행한 후 다시 단계14-12를 수행할 수도 있고, 먼저 단계14-12를 수행한 후 다시 단계14-11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또는 두 개의 단계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두 번째 경우에 있어서, 도 13b를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하나의 흐름도로서, 상기 단계14는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4-2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목표 전송 간격에 따라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한다.
도 12b의 윗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과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가 다르면, 각각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에 따라 목표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해 업링크 시간 영역 자원을 배치 및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에 따라 UE의 목표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해 다운링크 시간 영역 자원을 배치하여 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진행한다.
단계14-22에 있어서, 간섭이 곧 발생할 경우, 하나의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취소 및/또는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취소한다.
기지국에서 UE의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에 근거하여 목표 UE에서 기기 내 간섭이 곧 발생할 것임을 확정할 경우, 상기 제2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한 개의 원래 TTI에서의 지정 위치의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자원 배치를 취소 및 한 개의 원래 TTI에서의 지정 위치의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자원 배치를 취소함으로써, UE에서 간섭 구간에 목표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를 통한 업링크 전송이 목표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에 대한 수신을 간섭하지 않도록 보장하며, 도 12a의 아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는, 지정된 전송 간격에 블랭크 서브 프레임을 배치하고, 상기 지정된 전송 간격 위치에서 정보 전송을 진행하지 않음을 UE에 지시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기설정 자원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UE에 업링크/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분배할 경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확정하면, 기지국은 전송 시간 간격을 변경하는 것을 통해 자원 스케줄링 책략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 기기에서 기지국이 스케줄링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할 때,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업링크 전송이 다운링크 전송과 동시에 진행되지 않도록 하여, 기기 내 간섭의 발생을 회피하고, 적어도 UE의 업링크 전송이 UE에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데 대한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기기 내 간섭으로 인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분석할 수 없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5G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응하게, 본 발명에서는 정보 전송 방법을 더 제공하는바, 사용자 기기에 적용되며, 도 14를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하나의 흐름도로서,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21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송신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12와 서로 대응되게, 기지국에서 송신한 전송 구성 정보를 수신하거나, 기지국에서 송신한 제1 전송 구성 정보와 제2 전송 구성 정보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단계22에 있어서,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정보를 전송한다.
전송 구성 정보에서 지시한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작 시각 및 기간에 근거하여,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에 대응되는 업링크 시간 영역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23에 있어서,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다운링크 자원으로부터 다운링크 정보를 획득한다.
상응하게, 전송 구성 정보에서 지시한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시간 영역 자원으로부터 기지국에서 송신한 다운링크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에서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바,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하기 전에, UE는 기지국에서 하달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추정 간섭 구간 내의 동일한 한 개의 원래 TTI에서 서로 다른 전송 간격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 내에서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진행하여, 적어도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기지국에서 하달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지 않도록 보장함으로써, 기기 내 간섭으로 인해 UE에서 다운링크 정보를 분석할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하고,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15를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하나의 흐름도로서, 상기 단계21 전에,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자신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를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한다.
해당 단계는 상기 도 3 중의 단계111과 서로 대응되는 것으로서, UE에서 처음으로 기지국에 액세스할 때, 기지국에 자신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을 보고하여, 기지국에서 UE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에 근거하여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하나의 흐름도로서, 상기 단계21 전에,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2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회피 설정 검출 보고를 송신한다. 해당 회피 설정 검출 보고는 UE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 조작을 트리거하여 상기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의 정보 전송을 정지할지 여부를 보고한다.
기지국에서 회피 설정 검출 보고를 획득하여 UE에서 기설정 간섭 회피 설정을 진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에 대응되므로, 여기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 방법의 하나의 흐름도로서, 상기 단계21 전에,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3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자신의 조절 능력 정보를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조절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한다.
해당 단계는 상기 도 6 중의 단계121과 서로 대응되는 것으로서, UE에서 자신의 조절 능력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여, 기지국에서 UE에서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함으로써, 후속 단계들의 진행 여부를 결정한다.
전술한 각 방법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이들을 모두 일련의 동작들의 조합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동작 순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르면 일부 단계들은 다른 순서에 따라 진행하거나 함께 진행할 수 있음은 당업자들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두 선택적인 실시예이며, 관련된 동작과 모듈들은 반드시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이 아님은 당업자들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전술한 적용 기능으로 방법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과 서로 대응되게, 본 발명에서는 적용 기능으로 장치 및 상응한 단말기를 구현하는 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하나의 블록도로서, 기지국에 설치되며, 상기 장치는,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간섭 확정 모듈(31);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정보 획득 모듈(32);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33);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정보 전송이 적어도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스케줄링 모듈(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로서, 도 18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의 기초 하에, 상기 간섭 확정 모듈(31)은,
사용자 기기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를 획득 - 상기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는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주파수 정보 획득 서브 모듈(311);
상기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간섭 확정 서브 모듈(312);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로서, 도 18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의 기초 하에, 상기 간섭 확정 모듈(31)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스케줄링 요청 획득 서브 모듈(31-1);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확정 서브 모듈(31-2);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정 -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을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되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확정 서브 모듈(31-3);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과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에 근거하여 간섭 구간을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간섭 시간 추정 서브 모듈(31-4);
상기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상기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간섭 구간 내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확정 서브 모듈(31-5);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장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9 또는 20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하에, 상기 간섭 확정 모듈(31)은,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설정 간섭 회피를 설정하지 않았음을 확정 - 상기 간섭 회피 설정은 상기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 조작을 트리거하여 상기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의 정보 전송을 정지하도록 함 - 하도록 구성되는 제3 확정 서브 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로서, 도 18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의 기초 하에,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32)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송 조절 능력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절 능력 확정 서브 모듈(32-1);
상기 전송 조절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정 기능 확정 서브 모듈(32-2);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할 경우,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정보 획득 서브 모듈(32-3);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32)은,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조정을 진행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적어도 업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포함함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로서, 도 20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의 기초 하에,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32)은,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종료 시각이 변하지 않는 기초 하에 간격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전송 간격 조정 서브 모듈(3211);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구성 정보 확정 서브 모듈(3212);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로서, 도 22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의 기초 하에,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32)은,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시작 시각이 변하지 않는 기초 하에 간격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운링크 전송 간격 조정 서브 모듈(3213);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다운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운링크 구성 정보 확정 서브 모듈(3214);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로서, 도 18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의 기초 하에,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32)은,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기간과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기간을 각각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기간 조정 서브 모듈(3221);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기간 및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기간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조정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와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위치 확정 서브 모듈(3222);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와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정보 확정 서브 모듈(3223); 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게, 도 22~도 24 중 어느 하나의 장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33)은,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로서, 도 22~도 24 중 어느 하나의 장치 실시예의 기초하에, 상기 스케줄링 모듈(34)은,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에 따라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제1 스케줄링 서브 모듈(341);
동일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또는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제2 스케줄링 서브 모듈(342);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로서, 도 19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의 기초 하에,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32)은,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을 기설정 개수의 목표 전송 간격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구획 서브 모듈(3231);
각각의 상기 목표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제1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성 정보 확정 서브 모듈(3232);
상기 목표 전송 간격의 전송 취소 방식을 확정 - 상기 전송 취소 방식은, 간섭이 곧 발생할 경우,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 및/또는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을 취소하여,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함 - 하도록 구성되는 취소 방식 확정 서브 모듈(3233);
상기 전송 취소 방식에 근거하여, 제2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성 정보 확정 서브 모듈(3234);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로서, 도 26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의 기초 하에, 상기 송신 모듈(34)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경우, 상기 제1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성 정보 송신 서브 모듈(341);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상기 제2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성 정보 송신 서브 모듈(342);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로서, 도 27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의 기초 하에, 상기 스케줄링 모듈(34)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목표 전송 간격에 따라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제3 스케줄링 서브 모듈(343);
간섭이 곧 발생할 경우, 하나의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취소 및/또는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취소하도록 구성되는 스케줄링 취소 서브 모듈(344); 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발명에서는 정보 전송의 장치를 더 제공하며, 사용자 기기에 설치된다. 도 29를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하나의 블록도로서, 상기 장치는,
기지국에서 송신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수신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41);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전송 모듈(42);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다운링크 자원으로부터 다운링크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다운링크 전송 모듈(43);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로서, 도 29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의 기초 하에,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에 자신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를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주파수 능력 보고 모듈(401);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로서, 도 30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의 기초 하에,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에 회피 설정 검출 보고를 송신 - 해당 회피 설정 검출 보고는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 조작을 트리거하여 상기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의 정보 전송을 정지할지 여부를 보고함 - 하도록 구성되는 회피 설정 보고 모듈(402);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의 다른 하나의 블록도로서, 도 31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의 기초 하에,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에 자신의 조절 능력 정보를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조절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절 능력 보고 모듈(403);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와 대응되므로 관련되는 내용은 방법 실시예 부분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상 살펴본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여기서, 분리 구성으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구성들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는바 (즉, 한 개소에 위치하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되어 있을 수 있음),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분 또는 전부의 모듈들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으며, 당업자들은 진보적 노동이 필요 없이 이를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고;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며;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정보 전송이 적어도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정보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에서 송신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수신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고;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다운링크 자원으로부터 다운링크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3300)에 적용되는 하나의 구조 모식도이다. 장치(3300)는 한 개 기지국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 33을 참조하면, 장치(3300)는, 처리 어셈블리(3322), 무선 송수신 어셈블리(3322), 안테나 어셈블리(3326) 및 무선 인터페이스 특유의 신호 처리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처리 어셈블리(3322)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어셈블리(3322) 중의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고;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며;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정보 전송이 적어도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명령이 기록되고, 상기 컴퓨터 명령은 장치(3300)의 처리 어셈블리(3322)에 의해 수행되어 도 2~도 13b 중에 도시된 어느 하나의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더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일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전송의 장치(3400)의 다른 하나의 구조 모식도이다. 예를 들면, 예를 들면, 장치(3400)는 모바일 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기기, 게임 콘솔, 테블릿 기기, 의료 기기, 헬스 기기, PDA,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라스, 스마트 밴드, 스마트 런닝슈즈) 등일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장치(3400)는 처리 어셈블리(3402), 메모리(3404), 전원 어셈블리(34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3408), 오디오 어셈블리(34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3412), 센서 어셈블리(3414) 및 통신 어셈블리(3416)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어셈블리(3402)는, 일반적으로 장치(3400)의 전체적인 조작, 예를 들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처리 어셈블리(34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34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들을 완료한다. 그리고 처리 어셈블리(34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처리 어셈블리(3402)와 기타 부품 간의 상호 작용 (interaction)을 원활히 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처리 어셈블리(34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어셈블리(3408)와 처리 어셈블리(3402) 사이의 상호 작용을 원활히 하도록 한다.
메모리(3404)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 장치(3400)의 조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 장치(3400)에서 수행되는 임의의 응용 프로그램 또는 방법을 위한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사진, 동영상 등이 포함된다. 메모리(34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3406)는 장치(3400)의 각종 구성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 어셈블리(34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장치(34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3408)는 장치(3400)와 사용자 간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드 및 터치 패널 상에서의 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의 경계 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드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3408)는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3400)가 카메라 모드 또는 촬상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인 경우,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는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이거나 또는 가변 초점거리와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34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3410)는 마이크(MIC)를 포함하고, 장치(3400)가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인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진일보로 메모리(3404)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어셈블리(3416)를 거쳐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어셈블리(34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3412)는 처리 어셈블리(34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휠 키,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시작 화면 버튼, 음량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 어셈블리(3414)는 장치(3400)에 여러 측면에서의 상태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센서 어셈블리(3414)는 장치(3400)의 온/오프 상태,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 등 장치(3400)의 부품의 상대적 위치 결정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어셈블리(3414)는 장치(3400) 또는 장치(3400)의 한 개 부품의 위치 변경, 사용자와 장치(3400) 간의 접촉 여부, 장치(34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3400)의 온도 변화도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34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어떤 물리적 접촉이 없는 상태에서 부근 물체의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3414)는 영상 적용을 위한 CMOS 또는 CCD 이미지센서 등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341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3416)는 장치(3400)와 기타 기기 간의 원활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것으로, 장치(3400)는 WiFi, 2G, 3G,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기반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어셈블리(34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3416)는 단거리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RFID 기술, IrDA 기술, 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34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회로(ASIC),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소자에 의하여 구현되어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명령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더 제공하는바, 예를 들면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3404)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은 장치(3400)의 프로세서(3420)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일 수 있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명세서에 대한 이해 및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안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취지는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인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고, 본 출원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기술 또는 통상의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다음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서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특정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40)

  1. 기지국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는 단계;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정보 전송이 적어도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설정 간섭 회피를 설정하지 않았음을 확정 - 상기 기설정 간섭 회피 설정은 상기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 조작을 트리거하여 상기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의 정보 전송을 정지하도록 함 -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기기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를 획득 - 상기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는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를 포함함 - 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정 -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을 포함함 - 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과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에 근거하여 간섭 구간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상기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간섭 구간 내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송 조절 능력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전송 조절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할 경우,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조정을 진행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적어도 업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포함함 -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조정을 진행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종료 시각이 변하지 않는 기초하에 간격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조정을 진행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시작 시각이 변하지 않는 기초하에 간격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다운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조정을 진행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 기간과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 기간을 각각 확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 기간 및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 기간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조정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와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와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에 따라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동일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또는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에 따라,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을 기설정 개수의 목표 전송 간격으로 구획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목표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제1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전송 간격의 전송 취소 방식을 확정 - 상기 전송 취소 방식은 간섭이 곧 발생할 경우,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 및/또는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을 취소하여,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함 - 하는 단계;
    상기 전송 취소 방식에 근거하여, 제2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경우, 상기 제1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상기 제2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목표 전송 간격에 따라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간섭이 곧 발생할 경우, 하나의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취소 및/또는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취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5. 사용자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송신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수신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는 단계;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다운링크 자원으로부터 다운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에 회피 설정 검출 보고를 송신 - 해당 회피 설정 검출 보고는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 조작을 트리거하여 상기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의 정보 전송을 정지할지 여부를 보고함 -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에서 송신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기지국에 자신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를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7. 삭제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에 자신의 조절 능력 정보를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조절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9. 기지국에 설치되는 정보 전송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간섭 확정 모듈;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정보 획득 모듈;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정보 전송이 적어도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스케줄링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간섭 확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설정 간섭 회피 설정을 하지 않았음을 확정 - 상기 기설정 간섭 회피 설정은 상기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 조작을 트리거하여 상기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의 정보 전송을 정지하도록 함 - 하도록 구성되는 제3 확정 서브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확정 모듈은,
    사용자 기기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를 획득 - 상기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는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주파수 정보 획득 서브 모듈;
    상기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간섭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확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스케줄링 요청 획득 서브 모듈;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정 -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을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되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시간과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링 시간에 근거하여 간섭 구간을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간섭 시간 추정 서브 모듈;
    상기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와 상기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간섭 구간 내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2. 삭제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송 조절 능력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절 능력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전송 조절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정 기능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상기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할 경우,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정보 획득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은,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조정을 진행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적어도 업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은,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종료 시각이 변하지 않는 기초하에 간격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전송 간격 조정 서브 모듈;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구성 정보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은,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시작 시각이 변하지 않는 기초하에 간격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운링크 전송 간격 조정 서브 모듈;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다운링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운링크 구성 정보 확정 서브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은,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의 기간을 단축하고,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기간과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기간을 각각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기간 조정 서브 모듈;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기간 및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기간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조정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와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위치 확정 서브 모듈;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와 상기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정보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8. 제 25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모듈은,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에 따라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제1 스케줄링 서브 모듈;
    동일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또는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에 따라,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제2 스케줄링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0.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 획득 모듈은,
    원래 전송 시간 간격을 기설정 개수의 목표 전송 간격으로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구획 서브 모듈;
    각각의 상기 목표 전송 간격의 시간 범위에 근거하여, 제1 전송 구성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성 정보 확정 서브 모듈;
    상기 목표 전송 간격의 전송 취소 방식을 확정 - 상기 전송 취소 방식은, 간섭이 곧 발생할 경우,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 및/또는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을 취소하여,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함 - 하도록 구성되는 취소 방식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전송 취소 방식에 근거하여, 제2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성 정보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경우, 상기 제1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성 정보 송신 서브 모듈;
    간섭이 곧 발생하기 전에, 상기 제2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구성 정보 송신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모듈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목표 전송 간격에 따라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제3 스케줄링 서브 모듈;
    간섭이 곧 발생할 경우, 하나의 상기 원래 전송 시간 간격에서 업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업링크 전송 간격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취소 및/또는 다운링크 작동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목표 다운링크 전송 간격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취소하도록 구성되는 스케줄링 취소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3. 사용자 기기에 설치되는 정보 전송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송신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수신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업링크 전송 모듈;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다운링크 자원으로부터 다운링크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다운링크 전송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에 회피 설정 검출 보고를 송신 - 해당 회피 설정 검출 보고는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 조작을 트리거하여 상기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의 정보 전송을 정지할지 여부를 보고함 - 하도록 구성되는 회피 설정 보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에 자신의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를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지원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주파수 능력 보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5. 삭제
  36.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에 자신의 조절 능력 정보를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조절 능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전송 시간 간격 조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절 능력 보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7. 컴퓨터 명령이 기록되고, 상기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내지 제 9항, 제 12항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8. 컴퓨터 명령이 기록되고, 상기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 제 15항 내지 제16항,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9.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되,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기설정 간섭 회피 설정을 하지 않았음을 확정 - 상기 기설정 간섭 회피 설정은 상기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 조작을 트리거하여 상기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의 정보 전송을 정지하도록 함 - 하도록 구성되고 ;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상기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획득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며;
    상기 전송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과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하나의 원래 전송 시간 간격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 기기의 업링크 정보 전송이 적어도 다운링크 스케줄링 제어 정보의 전송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40.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에서 송신한 기기 내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전송 구성 정보를 수신 - 상기 전송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의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함 - 하고;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전송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 다운링크 자원으로부터 다운링크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에 회피 설정 검출 보고를 송신 - 해당 회피 설정 검출 보고는 사용자 기기에서 기기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 조작을 트리거하여 상기 기기 내 간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의 정보 전송을 정지할지 여부를 보고함 - 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KR1020197028128A 2017-07-19 2017-07-19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292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93490 WO2019014865A1 (zh) 2017-07-19 2017-07-19 传输信息的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314A KR20190120314A (ko) 2019-10-23
KR102292723B1 true KR102292723B1 (ko) 2021-08-24

Family

ID=6501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128A KR102292723B1 (ko) 2017-07-19 2017-07-19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83925A1 (ko)
EP (1) EP3648394A4 (ko)
JP (1) JP7071997B2 (ko)
KR (1) KR102292723B1 (ko)
CN (2) CN111246581B (ko)
WO (1) WO20190148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2974B (zh) * 2017-09-07 2021-02-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规避小区间干扰的方法及基站
CN112312536A (zh) * 2019-08-01 2021-02-02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控制方法和装置
CN111641423A (zh) * 2020-06-09 2020-09-0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射频干扰的处理方法、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WO2022147028A1 (en) * 2020-12-30 2022-07-07 Google Llc Fixed broadband wireless access cpe with embedded iot gateways
CN115835296B (zh) * 2022-11-23 2023-08-15 上海山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针对5g网络的信息干扰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7119602A (zh) * 2023-07-10 2023-11-24 北京云智软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设备调度方法、装置及基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0229A1 (en) * 2010-03-31 2012-01-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US20130242833A1 (en) * 2012-03-19 2013-09-19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334330A1 (en) * 2011-12-05 2014-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user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66232C (zh) * 2005-08-08 2009-12-0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时分双工系统支持可变覆盖范围的方法
CN101060389A (zh) * 2006-04-20 2007-10-2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td-cdma系统的性能优化方法
CN101170357B (zh) * 2007-11-22 2010-06-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级联射频拉远单元的上行数据传输方法
CN101841906B (zh) * 2009-03-19 2012-09-05 华为技术有限公司 帧同步发射的方法和基站
WO2010114252A2 (en) * 2009-03-29 2010-10-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8848607B2 (en) * 2010-03-30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EP2945452A1 (en) 2010-08-13 2015-11-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In-device interference mitigation
CN102387506B (zh) * 2010-08-30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通信系统共存时的物理资源配置和信号发送方法及系统
CN102421148B (zh) * 2010-09-28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多种通信系统实现通信的方法和用户设备
KR101928448B1 (ko) * 2010-10-11 2018-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내에 복수 개의 이종 통신 모듈이 있을 경우, 시분할 방식으로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469465B (zh) * 2010-11-05 2014-12-1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Tdm设备内共存干扰协调的控制方法和设备
US10123345B2 (en) * 2010-12-22 2018-11-0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device supporting multiple radio technologies communicating in overlapping time periods
CN102546074A (zh) * 2010-12-27 2012-07-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种无线电技术在终端共存时的时分复用通信方法和系统
CN102595465B (zh) * 2011-01-10 2018-07-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干扰信息上报的方法、系统及ue
CN102724671A (zh) * 2011-03-29 2012-10-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设备内共存干扰的处理方法及装置
CN102811191B (zh) * 2011-05-31 2016-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装置
WO2013044985A1 (en) * 2011-09-30 2013-04-04 Nokia Siemens Networks Oy Packet scheduling in communications
US9584297B2 (en) 2012-05-11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for adaptive TDD with frequency domain separations
CN104584665B (zh) * 2013-05-22 2019-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传输的方法、网络设备和用户设备
CN104904175B (zh) * 2013-09-27 2018-1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的传输方法、基站、用户设备和通信系统
CN106464403B (zh) * 2014-05-09 2019-07-0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避免设备到设备无线通信系统中的干扰的装置和方法
CN107210763B (zh) * 2014-11-28 2020-06-0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处置干扰的方法和设备
KR102316775B1 (ko) * 2015-04-02 2021-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시간구간 감소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0229A1 (en) * 2010-03-31 2012-01-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US20140334330A1 (en) * 2011-12-05 2014-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user equipment
US20130242833A1 (en) * 2012-03-19 2013-09-19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51794B (zh) 2020-01-14
CN111246581B (zh) 2023-11-17
JP2020519068A (ja) 2020-06-25
CN109451794A (zh) 2019-03-08
US20200083925A1 (en) 2020-03-12
CN111246581A (zh) 2020-06-05
KR20190120314A (ko) 2019-10-23
WO2019014865A1 (zh) 2019-01-24
JP7071997B2 (ja) 2022-05-19
EP3648394A4 (en) 2020-07-22
EP3648394A1 (en)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723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184829B2 (en) Metho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djustment,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CN108370577B (zh) 传输信息的方法及装置
US11445511B2 (en) Metho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djustment,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113993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questing uplink transmission resource
CN113261351B (zh) 调度请求触发方法和装置
WO2020062182A1 (zh) 传输信息的方法、装置、基站及终端
CN110582982B (zh) 资源分配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19153348A1 (zh) 传输信息的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11638271B2 (en) Metho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djustment,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WO2020124499A1 (zh) 传输上行信息的方法、装置、基站及终端
CN110622601A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0029268A1 (zh) 上行反馈方法、装置、终端和基站以及存储介质
CN108370572B (zh) 无线资源控制消息的传输方法及装置
CN113498617A (zh) 数据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